솔로몬 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솔로몬 작전은 1991년 5월, 에티오피아의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 속에서 이스라엘이 에티오피아 유대인(베타 이스라엘)을 이스라엘로 이송한 비밀 작전이다. 에티오피아 내전으로 인한 유대인 박해 위험 증가와 국제 사회의 우려 속에서, 미국, 이스라엘, 에티오피아 정부 간의 협력을 통해 25시간 동안 35대의 항공기를 동원, 약 1만 4천 명의 에티오피아 유대인을 이스라엘로 이송했다. 이 작전은 인도주의적 성공으로 평가받았지만, 이주한 베타 이스라엘은 이스라엘 사회 정착 과정에서 사회경제적 어려움과 차별에 직면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티오피아의 군사사 - 칵뉴 대대
칵뉴 대대는 한국 전쟁에 참전한 에티오피아 파병 대대로, 혼돈에서 질서를 확립한다는 뜻의 "칵뉴"라는 이름처럼 혁혁한 공을 세웠으며, 238번의 전투에서 단 한 번도 패하지 않는 용맹함을 보여 미국이 그들의 활약을 기려 군사 기지를 명명하기도 했다.
솔로몬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작전 개요 | |
목표 | 에티오피아 유대인을 이스라엘로 공수 |
위치 | 에티오피아-이스라엘 |
계획 | 이스라엘 정부 및 이스라엘 방위군 |
실행 | 이스라엘 정부 및 이스라엘 방위군 |
날짜 | 1991년 5월 24일 |
결과 | 36시간 만에 에티오피아 유대인 14,325명을 이스라엘로 이송 |
관련 정보 | |
관련 사건 | 솔로몬 작전 |
2. 배경
1991년 에티오피아는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정권 붕괴 직전의 극심한 정치적 혼란 상태에 놓여 있었다. 이는 에리트레아 및 티그레 반군의 공세와 에티오피아 내전 격화에 따른 것이었다. 이러한 불안정한 상황 속에서 에티오피아 내 유대인 공동체인 베타 이스라엘의 안전에 대한 국제적 우려가 커졌다.[6] 이전 멩기스투 정권 하에서는 이들의 이스라엘 이주가 어려웠으나, 정권 약화는 오히려 이주 가능성을 열어주었다.[6]
이에 이스라엘 정부와 이스라엘 방위군은 에티오피아 유대인들을 이스라엘로 공수하기 위한 계획을 비밀리에 준비했으며,[16] 미국 에티오피아 유대인 협회(AAEJ) 등 세계 유대인 단체들도 이들의 안위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6] 미국 정부 역시 외교적으로 개입하여 에티오피아 정부의 협조를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6][7] 결국 에티오피아 임시 정부로부터 공수 작전 허가를 얻어냈으며,[8] 유대인 공동체는 작전 지원을 위해 3500만달러를 모금하여 에티오피아 측에 전달하기도 했다.[9] 다만, 이 작전 실행을 두고 이스라엘 내부에서는 수용 찬반 논쟁이 존재했다.[22][23]
2. 1. 에티오피아의 정세
1991년, 에티오피아를 통치하던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정권은 에리트레아 및 티그레 반군, 특히 티그레 인민 해방 전선(TPLF)과 에티오피아 인민 혁명 민주 전선(EPRDF) 등 민족주의 무장 세력의 공세로 붕괴 직전에 놓였다. 이는 에티오피아 내전이 격화되는 상황 속에서 에티오피아의 정치적 불안정을 심화시켰다.[22]이러한 혼란 속에서 에티오피아 고원의 곤다르 지역에 주로 거주하던 베타 이스라엘(에티오피아 유대인)의 안위가 국제 사회의 우려를 샀다. 이들 대부분은 농부나 장인이었으며,[6] 소수 종교 집단으로서 박해 위험이 커지고 있었다.[22] 미국 에티오피아 유대인 협회(AAEJ)를 비롯한 세계 유대인 단체와 이스라엘 정부는 이들의 안전 문제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6]
멩기스투 정권 하에서는 베타 이스라엘의 대규모 이스라엘 이주가 어려웠으나, 정권의 힘이 약해지면서 이주를 원하는 이들에게 기회가 생기기 시작했다.[6] 멩기스투는 초기에는 무기를 받는 대가로 이주를 허용하려 하기도 했다.[2]
악화되는 에티오피아 상황을 인지한 이스라엘 정부와 이스라엘 방위군은 1990년부터 유대인 공수 작전을 비밀리에 계획했다.[16] 미국 정부 역시 미국 에티오피아 유대인 협회(AAEJ) 등을 통해 에티오피아 유대인들이 처한 위험을 전달받고 작전 계획에 관여하기 시작했다.[16] 조지 H. W. 부시 행정부의 외교적 노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루디 보슈비츠 상원의원이 특사로 파견되었고,[7] 허먼 제이 코언 아프리카 담당 차관보 등 미국 외교관들은 에티오피아 내전 중재와 더불어 멩기스투 정권과의 협상을 진행했다.[7][16] 이러한 노력 끝에 멩기스투 실각 후 대통령 권한대행이 된 테스파예 게브레 키단은 최종적으로 공수 작전을 허가했다.[8][24] 작전을 둘러싼 협상은 런던 원탁 회의로 이어져 에티오피아 교전 당사자들이 과도 정부 구성을 위한 회의 개최에 합의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7]
결론적으로, 에티오피아 내전 격화와 정권 붕괴 위기라는 불안정한 정세는 베타 이스라엘의 안전을 위협했고, 이는 솔로몬 작전 추진의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다.
2. 2. 국제 사회의 우려와 협력
1991년, 에티오피아의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정권은 에리트레아와 티그레 반군의 공세로 붕괴 위기에 처해 있었고, 이는 에티오피아 내 극심한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미국 에티오피아 유대인 협회(AAEJ)를 비롯한 세계 유대인 단체들과 이스라엘은 에티오피아에 거주하던 베타 이스라엘(에티오피아 유대인)의 안위를 깊이 우려했다. 대부분 곤다르 지역에 거주하며 농업과 수공업에 종사하던 베타 이스라엘은 멩기스투 정권 하에서 이스라엘 이주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나, 정권의 약화는 오히려 이들에게 이주의 기회를 제공하는 역설적인 상황을 만들었다.[6] 에티오피아의 정치 상황이 악화되자, 1990년 이스라엘 정부와 이스라엘 방위군은 베타 이스라엘을 이스라엘로 공수하기 위한 비밀 계획을 수립했다. 미국 정부는 AAEJ 소속 유대인 지도자들로부터 에티오피아 유대인들이 처한 위험에 대해 전해 듣고 솔로몬 작전 계획에 관여하기 시작했다.[16]미국 정부는 공수 작전 준비 과정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에티오피아 정부가 모든 팔라샤(베타 이스라엘을 지칭하는 용어 중 하나)의 출국을 허용한 결정에는 과거 조슈아 작전과 모세 작전에도 관여했던 조지 H. W. 부시 당시 미국 대통령의 서한이 큰 영향을 미쳤다.[16] 이전까지 멩기스투는 무기 지원을 대가로 이민을 허용하려는 태도를 보였다.[2]
미국의 외교적 노력 또한 작전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루디 보슈비츠 상원의원이 부시 대통령의 특사로 파견되어 어빈 힉스 아프리카 담당 차관보, 로버트 C. 프레이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아프리카 담당 국장, 로버트 호우데크 아디스아바바 주재 미국 대사관 임시 대리인 등과 함께 에티오피아 정부를 만나 이스라엘의 공수 작전을 지원했다. 특히 허먼 제이 코언 아프리카 담당 차관보는 에티오피아 내전의 국제 중재자로서, 멩기스투에게 반군과의 합의, 인권 및 이민 정책 개선, 공산주의 경제 정책 포기 등을 조건으로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약속하는 협상을 이끌었다.[7][16] 이러한 외교적 노력에 힘입어 에티오피아의 대통령 권한대행이었던 테스파예 게브레 키단은 최종적으로 공수 작전을 허가했다.[8] 작전을 둘러싼 협상은 런던 원탁 회의로 이어져 에티오피아 교전 당사자들이 과도 정부 구성을 위한 회의 개최에 합의하는 공동 선언을 이끌어냈다.[7] 한편, 유대인 공동체는 베타 이스라엘의 이주를 위해 3500만달러를 모금하여 에티오피아 정부에 전달했으며, 이 자금은 아디스아바바 공항 운영 비용으로 사용되었다.[9]
2. 3. 이스라엘 내부의 논쟁
솔로몬 작전 실행을 앞두고 약 10년간, 이스라엘 사회 내부에서는 에티오피아 유대인, 즉 베타 이스라엘의 수용 여부를 둘러싸고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10] 이들의 이주에 대한 반대 이유는 다양했다.일부 이스라엘 유대인들은 שאנדע פֿאר די גויים|샨다 퍼 디고임yi (비유대인 앞에서의 당혹감)을[10] 우려하여, 에티오피아 유대인들의 이주 요청을 외면함으로써 논란 자체를 피하고자 했다. 또 다른 이들은 기본적으로 유럽 출신이 주류인 이스라엘 사회와 오랫동안 에티오피아에서 살아온 흑인인 베타 이스라엘 사이에 존재하는 깊은 문화적 차이를 지적하며 통합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했다.[22] 유대기구(Jewish Agency)의 이민 및 정착부 국장이었던 예후다 도미니츠는 이러한 이주를 물고기를 물 밖으로 꺼내는 것에 비유하며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11] 심지어 세계 시온주의 기구 소속 작가 말카 레이미스트와 같이 "에티오피아인들의 정신적 전망은 어린아이 수준이며, 최소한의 진보적 사고를 하도록 교육하는 데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주장하는 등[23] 노골적인 차별적 시각을 드러내는 이들도 있었다.
한편, 작전 자체는 지지하지만 체포나 사회적 논란을 우려하여 공개적인 활동을 꺼리는 소극적인 입장도 존재했다.[10]
그러나 이러한 내부의 격렬한 반대와 논쟁에도 불구하고, 당시 이츠하크 샤미르가 이끌던 이스라엘 정부는 결국 공중 수송 작전을 강행하기로 결정했다.[12]
3. 작전 개시
1991년, 에티오피아의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정권이 에리트레아 및 티그레 반군의 공세로 붕괴 위기에 처하면서 극심한 정치적 불안정이 야기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에티오피아에 거주하던 유대인 공동체인 베타 이스라엘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미국 에티오피아 유대인 협회(AAEJ)를 비롯한 국제 유대인 사회와 이스라엘 정부는 이들의 안위를 걱정했으며, 특히 대부분 곤다르 지역에 거주하던 베타 이스라엘 주민들의 이스라엘 이주(알리야)를 추진하게 되었다.[6] 멩기스투 정권은 이전부터 베타 이스라엘의 대규모 이주를 제한해왔으나, 정권의 약화는 오히려 이주를 원하는 이들에게 기회가 되었다. 이미 1990년부터 이스라엘 정부와 이스라엘 방위군은 에티오피아의 상황 악화를 인지하고 유대인들을 이스라엘로 공수하기 위한 비밀 계획을 수립하고 있었다.[6]
미국 정부는 AAEJ로부터 에티오피아 유대인들의 위태로운 상황을 전달받은 후 솔로몬 작전 계획에 관여하기 시작했다.[16] 특히 조지 H.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과거 모세 작전과 조슈아 작전에 관여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에티오피아 정부가 모든 팔라샤(베타 이스라엘)의 출국을 허용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는 서신을 보냈다.[16] 이전까지 멩기스투는 무기 지원을 대가로 이주를 허용하려 했었다.[2]
작전 성사를 위해 미국은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 루디 보슈비츠 상원의원을 대통령 특사로 파견했으며, 어빈 힉스 아프리카 담당 차관보, 로버트 C. 프레이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아프리카 담당 국장, 로버트 호우데크 아디스아바바 주재 미국 대사관 임시 대리인 등이 포함된 외교팀이 에티오피아 정부와 만나 이스라엘의 공수 작전을 지원했다. 또한 허먼 제이 코언 아프리카 담당 차관보는 에티오피아 내전의 국제 중재자로서, 멩기스투 정권과의 협상을 통해 에티오피아가 반군과 합의하고 인권 및 이민 정책을 개선할 경우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약속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7][16] 이러한 외교적 노력에 힘입어, 멩기스투 실각 후 에티오피아 임시 대통령이 된 Tesfaye Gebre Kidan|테스파예 게브레 키단eng은 최종적으로 공수 작전을 허가했다.[8] 작전을 둘러싼 협상은 이후 런던에서 열린 평화 회담으로 이어져 에티오피아 내전 당사자들이 과도 정부 구성을 위한 회의 개최에 합의하는 공동 선언을 이끌어내기도 했다.[7]
작전 실행을 위해 유대인 공동체는 에티오피아 정부에 3500만달러를 지원하기로 했으며, 이 자금은 아디스아바바의 볼레 국제공항 운영 비용 등으로 사용되었다.[9] 솔로몬 작전은 당시 이스라엘 총리였던 이츠하크 샤미르의 총괄 지휘 아래 개시되었다.[6]
3. 1. 작전 준비
솔로몬 작전은 에티오피아 유대인을 위한 미국 협회(AAEJ)의 상당한 도움으로 속도를 낼 수 있었다.[6] 1989년부터 AAEJ는 에티오피아-이스라엘 관계 개선을 기회로 삼아 알리야를 가속화했다. 당시 아디스아바바 주재 AAEJ 국장이었던 수잔 폴락은 에티오피아 유대인들이 처한 끔찍한 상황을 이스라엘과 미국에 보고하며 작전의 조속한 실행을 촉구했다.[16]AAEJ는 곤다르 지역 주민들이 신속하게 아디스아바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버스와 트럭 등 교통수단을 확보했다.[6] 하지만 많은 유대인들은 곤다르 고원지대 마을에서 수도 아디스아바바까지 수백 마일에 달하는 거리를 자동차나 말을 이용하거나 직접 걸어서 이동해야만 했다.[13] 이 과정에서 일부는 도적에게 약탈당하거나 살해당하는 비극을 겪기도 했다. 1989년 12월까지 약 2,000명의 에티오피아 유대인들이 아디스아바바에 도착했으며, 1991년 작전 직전까지 더 많은 이들이 합류했다.[16]
항공 수송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이스라엘 공군 및 엘알 항공 소속 항공기들의 좌석을 제거하는 개조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는 난민들의 평균 체중이 가볍고 소지품이 거의 없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로, 이를 통해 한 대의 비행기에 최대한 많은 인원을 태울 수 있도록 준비했다.[26] 작전 실행을 위해 이스라엘과 미국은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정권 붕괴 이후 에티오피아 대통령 대리가 된 Tesfaye Gebre Kidan|테스파예 게브레 키단영어과 협상을 진행했다. 테스파예는 유대인들의 이주를 허가하고 이스라엘 항공기가 에티오피아 공항을 사용하는 것에 동의했다.[24]
작전은 당시 총리였던 이츠하크 샤미르의 감독 하에 진행되었으며,[6] 군사 검열을 통해 철저히 비밀에 부쳐졌다.[2]
3. 2. 작전 실행
당시 이스라엘 총리였던 이츠하크 샤미르가 작전을 총괄했으며,[6] 군 검열을 통해 비밀리에 진행되었다.[2] 작전 실행에는 미국 에티오피아 유대인 협회(AAEJ)의 지원이 큰 역할을 했다. 1989년 에티오피아와 이스라엘 관계가 개선되자 AAEJ는 알리야(이스라엘 이주)를 가속화했으며, 당시 아디스아바바의 AAEJ 이사였던 수잔 폴락은 에티오피아 유대인들의 열악한 상황을 알리며 신속한 작전 진행을 촉구했다.[16] AAEJ는 곤다르 지역 주민들이 수도 아디스아바바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버스와 트럭 등 교통수단을 확보했다.[6]작전 결정 배경에는 에티오피아의 불안정한 국내 상황이 있었다.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정권이 무너지고 내전이 격화되면서 티그레 인민 해방 전선 등 민족주의 무장 세력이 활동했고, 이로 인해 소수 종교 집단인 유대교도들에 대한 박해 위험이 커졌다. 세계 유대인 단체들의 우려 표명과 함께 이스라엘 내에서는 이들을 구출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었다. 물론 유럽 출신 유대인이 주류인 이스라엘 사회와의 문화적 차이를 이유로 이주에 반대하는 의견도 존재했다.[22][23]
결국 작전 실행이 결정되었고, 미국도 협력 의사를 밝혔다. 이스라엘과 미국은 멩기스투의 후임인 테스파예 게브레 키단 에티오피아 대통령 대행과 협상하여 유대인 이주 및 이스라엘군의 공항 사용 허가를 얻어냈다.[24] 하지만 공항 사용 허가 외에는 별다른 지원이 없어, 많은 에티오피아 유대인들은 혼란 속에서 공항까지 수백 마일을 도보나 말을 이용해 이동해야 했으며, 이 과정에서 약탈당하거나 살해당하는 경우도 있었다.[13][25] 1989년 12월까지 약 2,000명이 곤다르 고원지대에서 수도로 이동했고, 1991년 작전 직전까지 더 많은 이들이 합류했다.[16]
작전은 1991년 5월 24일 금요일 오전 10시부터 다음 날인 5월 25일 토요일 오전 11시까지, 총 25시간 동안 이어졌다. 작전 시작일이 유대교 샤밧(안식일)과 겹쳤으나,[14] 유대교 율법상 생명을 구하는 일에는 안식일 규정이 적용되지 않아 더 많은 인력과 장비를 동원할 수 있었다.[15]
이스라엘 공군 군용기와 엘알 항공 민간기 등 총 35대의 항공기가 41회 운항에 투입되었다. 최대한 많은 인원을 수송하기 위해 항공기 좌석을 제거했으며,[26] 엘알 항공의 보잉 747기 한 대에는 공식적으로 1,086명이 탑승하여 단일 항공기 최다 탑승 인원 기네스 세계 기록을 세웠다. 비행 중 태어난 아기 2명을 포함하면 1,088명이라는 기록도 있으며, 실제로는 1,122명에 달했을 것이라는 추정도 있다.[4][2][27]
항목 | 내용 |
---|---|
기간 | 1991년 5월 24일 10시 ~ 5월 25일 11시 (25시간) |
비행 경로 | ቦሌ ዓለም አቀፍ አውሮፕላን ማረፊያ|볼레 국제공항amh (아디스아바바, 에티오피아) ↔ 벤구리온 국제공항 (로드, 이스라엘) |
비행 거리 | 편도 약 2400km (약 4시간 소요) |
동원 항공기 | 군용기 및 엘알 항공 민간기 총 35대 |
총 운항 횟수 | 41회 |
1회 최대 수송 인원 | 엘알 항공 보잉 747기 1,087명 (기네스 세계 기록 등재)[27] (비공식 1,122명 설 존재) |
총 수송 인원 | 약 14,000명[28] |
이스라엘에 도착한 이민자들은 대부분 옷과 약간의 조리도구 외에는 가진 것이 거의 없었다. 공항 활주로에는 구급차가 대기했고, 건강이 좋지 않은 140여 명은 즉시 의료 지원을 받았다. 비행 중 출산한 산모와 아기들은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도착한 이들은 환호하며 기뻐했고, 29세의 무카트 아바그는 "옷도, 다른 물건도 가져오지 못했지만, 이곳에 오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2]
솔로몬 작전 이전에 에티오피아에 남아있던 유대인들은 HIV 등 질병 감염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고, 작전 이후 남겨진 이들의 감염 위험은 더욱 커졌다.[16] 작전 이후에도 약 2만 명의 유대인이 추가 이주를 시도했지만, 식량과 거처 등 기본적인 생존 자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6]
솔로몬 작전은 1984년의 모세 작전보다 거의 두 배 많은 에티오피아 유대인을 이스라엘로 이주시켰다. 작전 종료 후에도 이주는 계속되어 1990년부터 1999년까지 총 39,000명 이상이 이스라엘에 정착했다.[3][29] 2015년 기준 이스라엘에는 약 13만 5천 명의 에티오피아계 시민이 거주하고 있다.[30]
4. 작전 이후
솔로몬 작전은 에티오피아의 유대인 공동체인 베타 이스라엘을 이스라엘로 대규모 공수한 사건이었지만, 이것이 에티오피아 유대인 구출 시도의 전부는 아니었다. 이미 1984년경 수단에서 모세 작전과 Operation Joshua|여호수아 작전eng이 실행된 바 있다. 솔로몬 작전 이후에도 에티오피아 유대인들의 이스라엘 이주는 계속되어, 1990년대에만 약 4만 명 가까이가 이주했으며[29], 2015년 기준으로 약 13만 5천 명의 에티오피아계 시민이 이스라엘에 거주하게 되었다.[30]
그러나 이스라엘로 이주한 베타 이스라엘 공동체는 새로운 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다. 초기에는 언어 장벽, 문화적 차이, 낮은 문해력 등으로 인해 높은 실업률을 겪으며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17] 시간이 지나면서 이스라엘에서 교육받은 2세대들이 사회에 진출하며 상황이 다소 개선되었지만[18], 여전히 이스라엘 전체 평균보다 높은 실업률과 사회 내 인종 차별 및 편견 문제[19]는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2015년에는 에티오피아계 군인이 경찰에게 폭행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대규모 항의 시위로 이어지기도 했다.
4. 1. 베타 이스라엘의 이스라엘 정착
솔로몬 작전 이후에도 에티오피아 유대교도의 이스라엘 이주는 단속적으로 이어졌다. 1990년부터 1999년 사이에 3만 9천 명 이상이 이스라엘에 입국한 것으로 추산된다.[29] 2015년 기준으로 이스라엘에는 약 13만 5천 명의 에티오피아계 시민이 거주하고 있다.[30]에티오피아 유대인 구출 시도는 솔로몬 작전이 처음은 아니었다. 1984년경 수단의 정세가 악화되면서 두 차례의 구출 작전이 실행된 바 있다. 이는 벨기에 전세 항공사, 수단 정부군, 용병 등이 참여한 모세 작전과 미국 공군이 주도한 Operation Joshua|여호수아 작전영어이다.
4. 2. 사회경제적 문제와 갈등
솔로몬 작전 이후 이스라엘로 이주한 베타 이스라엘 이민자 다수는 정착 과정에서 심각한 사회경제적 문제에 직면했다. 이주 초기에는 일자리를 구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었으며, 2006년 추산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출신 성인 이민자의 80%가 실업 상태로 국가 복지 수당에 의존해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7] 이는 에티오피아 출신 이민자 대다수가 문해력이 부족하고, 이스라엘의 공용어인 히브리어나 아랍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등 현지 사회 적응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술과 교육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에티오피아의 농촌 환경과 이스라엘의 도시화된 노동 시장 간의 격차, 그리고 다른 숙련된 이민 노동자들과의 경쟁 역시 중요한 장벽으로 작용했다.시간이 지나면서 상황은 다소 개선되었다. 이스라엘에서 성장하고 교육받은 2세대들이 사회에 진출하면서 2016년에는 실업률이 남성 20%, 여성 26% 수준으로 낮아졌다.[18] 그러나 이 수치 역시 이스라엘 전체 평균 실업률에 비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며, 이는 에티오피아계 이스라엘인들이 겪는 구조적인 문제가 여전함을 시사한다. 특히, 고등 교육을 받은 젊은 세대조차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현상은[19] 단순한 기술 부족 문제를 넘어 이스라엘 사회 내에 존재하는 인종 차별이나 편견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경제적 어려움과 더불어 에티오피아계 이주민들은 이스라엘 사회 내에서 일상적인 차별과 폭력에 시달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갈등은 2015년 5월 3일, 에티오피아계 병사가 경찰관 두 명에게 폭행당하는 영상이 공개되면서 극에 달했다. 이 사건은 텔아비브 등 주요 도시에서 대규모 항의 시위를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4. 3. 긍정적 변화와 노력
솔로몬 작전 이후 이스라엘에 정착한 베타 이스라엘 출신 이민자들은 초기 정착 과정에서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특히 에티오피아의 농촌 환경과 다른 이스라엘 사회에 적응하고 일자리를 구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2006년 추산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출신 성인 이민자의 약 80%가 실업 상태로 국가 복지 수당에 의존해 생활했다.[17] 이러한 어려움의 주된 원인으로는 낮은 문자 해독률과 이스라엘 공용어인 히브리어 및 아랍어 구사 능력 부족 등이 꼽힌다. 이는 이스라엘 노동 시장에서 요구하는 기술과 언어 능력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시간이 흐르면서 긍정적인 변화도 나타났다. 이스라엘에서 성장하고 교육받은 젊은 세대는 정규 교육을 통해 학위를 취득하는 등 이전 세대보다 높은 교육 수준을 갖추고 사회에 진출하기 시작했다.[19] 그 결과, 2016년에는 에티오피아계 이스라엘인의 실업률이 남성 20%, 여성 26%로 이전보다 크게 개선되었다.[18]
하지만 이러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실업률은 여전히 이스라엘 전체 평균보다 높으며, 에티오피아계 이스라엘인들은 사회 내 차별 문제에 계속 직면하고 있다.[19] 2015년에는 에티오피아계 군인이 경찰관 두 명에게 폭행당하는 영상이 공개되어 대규모 항의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는 베타 이스라엘 공동체가 이스라엘 사회에 완전히 통합되기까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음을 시사한다.
5. 솔로몬 작전의 의의
솔로몬 작전은 에티오피아 내전으로 인해 박해 위험에 처했던 베타 이스라엘 공동체를 이스라엘로 긴급히 공수한 대규모 인도주의적 구출 작전으로 평가받는다.[24] 에티오피아 인민 혁명 민주 전선 등 반군 세력이 수도 아디스아바바를 위협하는 급박한 상황 속에서, 이스라엘은 단 25시간 만에 약 1만 4천 명[28]의 유대인을 구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이스라엘이 '유대인의 고향'으로서 위험에 처한 공동체 구성원을 보호해야 한다는 책임을 이행한 사례로 여겨진다.
thumb
작전 계획 당시, 이스라엘 내부에서는 유럽 출신 주류 사회와 에티오피아계 흑인 유대인 간의 문화적 차이 등을 이유로 이주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22] 일부에서는 에티오피아인에 대한 차별적인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다.[23] 이러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작전은 미국의 협력과 에티오피아 임시 정부의 동의를 얻어 실행되었다.[24]
솔로몬 작전은 단기간에 많은 생명을 구했다는 점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이후 이주한 베타 이스라엘 공동체가 이스라엘 사회에 통합되는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많은 이주민이 문자 해독 능력이 부족하고 이스라엘의 공용어인 히브리어나 아랍어를 구사하지 못해 경제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25] 2006년 추정치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출신 이주민의 약 80%가 빈곤 상태에 놓여 있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주민 자녀 세대가 교육을 받고 사회에 진출하면서 상황은 점차 개선되었으나, 2016년 기준으로도 에티오피아계 이스라엘인의 실업률(남성 20%, 여성 26%)은 이스라엘 전체 평균보다 현저히 높았다. 또한, 이스라엘 사회 내 뿌리 깊은 차별 의식은 여전히 심각한 문제로 남아있다. 에티오피아계 주민들은 일상적인 차별과 폭력에 노출되어 있으며, 2015년에는 에티오피아계 병사가 경찰관에게 폭행당하는 영상이 공개되면서 대규모 항의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다.
결론적으로 솔로몬 작전은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수많은 베타 이스라엘 공동체를 구출한 성공적인 인도주의 작전이라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하지만 동시에 이주민들의 사회경제적 통합과 차별 해소라는 장기적인 과제를 이스라엘 사회에 남겼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Operation Solomon
https://www.jewishvi[...]
2021-05-31
[2]
뉴스
Ethiopian Jews and Israelis Exult as Airlift Is Completed
https://www.nytimes.[...]
1991-05-26
[3]
웹사이트
Operation Solomon
http://www.zionism-i[...]
2018-12-01
[4]
웹사이트
Most passengers on an aircraft
https://www.guinness[...]
1991-05-24
[5]
웹사이트
Nishmat-Home
https://www.nishmat.[...]
[6]
웹사이트
Yitzhak Shamir's Greatest Legacy Is Operation Solomon, the May 1991 Airlift of Thousands of Ethiopian Jews – Tablet Magazine
https://www.tabletma[...]
2018-12-01
[7]
웹사이트
Remarks at the Awards Presentation Ceremony for Emigration Assistance to Ethiopian Jews June 4, 1991
https://www.govinfo.[...]
[8]
웹사이트
Statement by Press Secretary Fitzwater on the Airlift of Ethiopian Jews to Israel May 24, 1991
https://www.govinfo.[...]
[9]
뉴스
Wandering no more For the thousands of Ethiopian Jews who have immigrated to Israel over the last two decades, assimilation has been a wrenching process. Yet they are fulfilling a lifelong dream to live in the Holy Land, and they have a few regrets
1991-06-30
[10]
간행물
Operation Solomon: The Daring Rescue of the Ethiopian Jews (review)
https://scholarworks[...]
2004
[11]
서적
The Migration Journey
Routledge
[12]
웹사이트
The massive protests by Tel Aviv's Ethiopian Jews hold a crucial lesson for Israel
https://www.vox.com/[...]
2015-05-06
[13]
뉴스
To Live in Deed
1992-05-02
[14]
웹사이트
Ethiopia Virtual Jewish Tour
https://www.jewishvi[...]
2018-12-01
[15]
뉴스
Ethiopian Jews and Israelis Exult as Airlift Is Completed
https://www.nytimes.[...]
1991-05-26
[16]
서적
Operation Solomon: The Daring Rescue of the Ethiopian Jew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3-15
[17]
웹사이트
Ethiopian Immigrants Not Being Prepared for New Life in Israel
https://www.haaretz.[...]
2006-05-29
[18]
웹사이트
Ethiopian Jews suffer racism in Israel
https://www.aa.com.t[...]
[19]
서적
Israelis in conflict: hegemonies, identities and challenges
Sussex Academic Press
2014
[20]
뉴스
Operation Solomon drama 'Fig Tree' heads to Toronto film fest
https://www.timesofi[...]
[21]
문서
ファラシャという呼称もあるが、「侮蔑的である」として忌避される場合がある。
[22]
간행물
Operation Solomon: The Daring Rescue of the Ethiopian Jews (review)
https://scholarworks[...]
2004
[23]
서적
From tragedy to triumph: the politics behind the rescue of Ethiopian Jewry
Praeger
2002
[24]
서적
Operation Solomon: The Daring Rescue of the Ethiopian Jew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3-15
[25]
뉴스
To Live in Deed
1992-05-02
[26]
뉴스
Ethiopian Jews and Israelis Exult as Airlift Is Completed
https://www.nytimes.[...]
[27]
웹사이트
The Day 1122 Passengers Flew On A Single 747
https://simpleflying[...]
2020-11-26
[28]
문서
エチオピア・ユダヤ人の奇跡のアリヤー : ソロモン作戦 - 鈴木元子 静岡文化芸術大学研究紀要 5, 31-39, 2004
http://www.suac.ac.j[...]
[29]
웹사이트
Operation Solomon
http://www.zionism-i[...]
2018-12-01
[30]
뉴스
イスラエル、「人種差別」取り締まり約束 エチオピア系市民のデモ暴徒化
https://www.afpbb.co[...]
2015-05-05
[31]
웹사이트
Ethiopian Immigrants Not Being Prepared for New Life in Israel
https://www.haaretz.[...]
2006-05-29
[32]
서적
Israelis in conflict : hegemonies, identities and challenges
Sussex Academic Press
2014
[33]
URL
https://www.aa.com.t[...]
[34]
URL
版元ドットコム
http://www.hanmoto.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