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제는 학교 등에서 교사가 학생에게 부과하는 자율 학습 과제를 의미한다. 수업 중, 시험 전후, 방학 기간 등 다양한 시기에 주어지며, 문제 풀이, 작문, 보고서 작성 등 여러 형태를 띤다. 숙제는 수업 이해도 확인, 학생의 의식 조사 등을 목적으로 하며, 학생의 능동적 학습 참여, 시간 관리 능력 개발 등에도 기여한다. 숙제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엇갈리며, 과도한 숙제는 스트레스와 수면 부족을 유발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 각국은 숙제 양과 방식에 차이를 보이며, 한국에서는 숙제 부담 완화 및 질 개선을 위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교 관련 용어 - 졸업
졸업은 학교의 교육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학위 취득과 연관되며 졸업식에서는 학위 수여, 송별사, 학사복 착용 등의 절차가 진행되고, 중세 유럽 대학에서 유래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졸업 문화가 존재한다. - 학교 관련 용어 - 모교
알마 마테르는 '키워준 어머니'라는 뜻의 라틴어로, 개인의 성장에 큰 영향을 준 학교, 특히 고등교육기관을 가리키는 말이며, 고대 로마에서는 대지의 여신, 중세 기독교에서는 성모 마리아를 지칭하기도 했고, 17세기부터는 대학을 상징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유럽 대학들이 공식 명칭이나 모토에 사용하고, 한국에서는 '모교'라는 단어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 학습 방법 - 과외
과외는 학업 능력 향상이나 특정 기술 습득을 위해 학교 교육 외에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활동으로,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과 긍정적 자아 개념 형성에 기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대학 입시를 위한 사교육 형태로 널리 행해지고 있고 과외 관리 시스템을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학습 방법 - 잠재학습
잠재학습은 명확한 보상이나 처벌 없이 환경 정보를 습득하는 학습으로, 즉각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인지적 요인이 중요하고, 쥐의 미로 실험과 유아의 모방 행동 연구를 통해 특성이 밝혀졌으며 특정 물질과 뇌 신경 물질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학교 교육 - 입학
입학은 학교나 교육 기관에 학생이 등록하는 것을 의미하며, 각국은 다양한 입학 제도를 운영하고 초등학교 입학 나이는 만 5세에서 7세까지 차이가 있으며 학년 시작 시기도 다르다. - 학교 교육 - 학부
학부는 대학에서 학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는 교육 단위로, 중세 유럽 대학의 4개 학부 체제에서 유래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학부들이 운영되고, 한국과 일본에서는 단과대학을 의미하기도 한다.
| 숙제 | |
|---|---|
| 개요 | |
| 종류 | 교육 활동 |
| 목적 | 학습 내용 복습 및 심화 자기 주도 학습 능력 향상 책임감 함양 |
| 방법 | 교과서, 참고 자료, 문제 풀이 등 다양한 자료 활용 |
| 관련 주제 | 교육 학습 학교 교사 학생 |
| 긍정적 측면 | |
| 학습 효과 증진 | 수업 내용 복습 및 심화, 장기 기억 향상 |
| 자기 주도 학습 능력 향상 | 스스로 학습 계획 수립 및 실천 능력 배양 |
| 책임감 함양 | 과제 완수를 위한 노력, 마감 기한 준수 |
| 문제 해결 능력 향상 | 다양한 문제 해결 과정 경험 |
| 시간 관리 능력 향상 | 학습 시간 배분 및 효율적 활용 |
| 학업 성취도 향상 | 시험 대비, 성적 향상 |
| 가정-학교 연계 강화 | 학부모의 자녀 학습 참여 기회 제공 |
| 부정적 측면 | |
| 스트레스 및 과도한 부담 | 학습 부담 증가, 스트레스 유발, 건강 문제 야기 |
| 학습 격차 심화 | 가정 환경에 따른 학습 지원 차이, 학업 성취도 격차 심화 |
| 시간 부족 | 여가 시간 감소, 수면 부족 |
| 표절 및 대리 숙제 | 인터넷 자료 의존, 숙제 대행 |
| 비효율적인 숙제 | 의미 없는 반복 학습, 학습 효과 미흡 |
| 숙제의 역사 | |
| 기원 | 고대 로마 시대의 연습 활동 |
| 발전 | 19세기 이후 의무 교육 확대와 함께 보편화 |
| 논쟁 | 숙제 효과에 대한 찬반 논쟁 지속 |
| 유형 | |
| 읽기 숙제 | 교과서, 참고 도서, 논문 등 읽고 내용 요약 또는 감상문 작성 |
| 쓰기 숙제 | 작문, 보고서, 논술문 작성 |
| 문제 풀이 숙제 | 수학, 과학 등 교과 문제 풀이 |
| 조사 숙제 | 특정 주제 조사 및 발표 자료 제작 |
| 실험 숙제 | 과학 실험 수행 및 결과 보고서 작성 |
| 창작 숙제 | 그림 그리기, 글짓기, 음악 작곡 등 창작 활동 |
| 프로젝트 숙제 | 특정 주제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 및 결과물 제작 |
| 숙제 효과 논쟁 | |
| 찬성 | 학습 효과 증진, 자기 주도 학습 능력 향상, 책임감 함양 |
| 반대 | 스트레스 유발, 학습 격차 심화, 시간 부족, 비효율적인 학습 |
| 해결 방안 | 적절한 숙제 양과 난이도 조절, 개별 맞춤형 숙제 제공, 숙제 점검 및 피드백 강화, 숙제 관련 연구 및 정책 개발 |
2. 숙제의 정의 및 목적

숙제는 학교 등에서 교사가 학생에게 부과하는 자율 학습 과제를 말한다. 숙제는 수업 도중, 정기고사 전후, 또는 여름방학이나 겨울방학 등 긴 휴식 기간 동안에 부과될 수 있다. 유인물, 교과서 연습 문제, 문제집 문제 풀이, 작문, 보고서, 작품 제작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학생들은 집이나 도서관 등에서 숙제를 하고 교사에게 제출하며, 교사는 숙제를 검토하고 첨삭하거나 평가하여 학생에게 돌려준다.[38][39]
교사가 숙제를 내는 목적은 수업 내용 이해도 확인, 학생의 생각 파악 등 다양하다. 유인물이나 교과서 연습 문제는 수업 내용 이해도 확인에, 작문이나 감상문은 학생의 생각을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2][3][4]
초등학교에서는 유인물, 연습 문제, 문제집 등을 활용하거나 글쓰기, 신문 만들기 등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숙제가 많다. 중·고등학교에서는 학습 내용이나 연구 내용을 정리하여 보고서 형태로 제출하는 숙제가 많아진다. 2020년에는 개학 연기로 온라인 숙제가 시행되기도 하였다.
숙제는 대개 제출 기한이 있으며, 기한 내에 숙제를 제출해야 한다. 내용이 부족하면 다시 제출해야 하거나, 기한을 넘기면 감점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숙제의 규칙은 회사 등에서 "주어진 일을 기한 내에 완성한다"라는 규칙과 유사하여, 학교 교육에서 사회 훈련의 하나로 숙제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도 많다.
2. 1. 정의
학교 등 교육 기관에서 교사가 학생에게 부과하는 자율 학습 과제를 통칭한다. 숙제는 수업 중, 정기고사 전후, 장기 방학 등에 부과될 수 있다.[38][39] 넓은 의미로는 학교 등에서 교사가 아동, 학생, 학습자에게 부과하는 모든 자율 학습 과제를 말한다. 유인물, 교과서, 문제집 등의 연습 문제 풀이, 작문, 보고서, 작품 제작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학습자는 집이나 도서관 등에서 숙제를 한 후 교사에게 제출하며, 교사는 제출된 숙제를 검토하고 첨삭, 평가 등을 통해 학생에게 돌려준다.[42]2. 2. 목적
숙제를 내는 목적은 교사에 따라 다르지만, 주로 수업 내용 이해도를 확인하고 심화하는 데 있다. 또한, 학생들의 자기 주도 학습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고, 학습 습관 형성과 시간 관리 능력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2][3][4] 교사에 따라서는 학생의 학습 의욕 및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숙제를 활용하기도 한다.숙제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목적 | 설명 |
|---|---|
| 수업 내용 이해도 확인 및 심화 | 유인물, 교과서 연습 문제 풀이 등을 통해 수업 내용을 얼마나 잘 이해했는지 확인한다. 작문, 감상문 등의 숙제는 학생의 생각을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
| 자기 주도 학습 능력 및 문제 해결 능력 함양 |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우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능동적인 학습 참여를 유도한다. |
| 학습 습관 형성 및 시간 관리 능력 향상 | 꾸준히 숙제를 하면서 학습 습관을 만들고, 제출 기한을 지키면서 시간 관리 능력을 키운다. |
| (교사에 따라) 학생의 학습 의욕 및 태도 파악 | 숙제 수행 과정과 결과를 통해 학생의 학습 의욕과 태도를 파악할 수 있다. |
숙제는 학교 등에서 선생이 아동, 학생, 학습자에게 부과하는 스스로 학습 과제 전반을 의미한다. 숙제는 수업 도중에 제공되기도 하고, 정기적인 시험 직전이나 직후, 또는 방학(여름·겨울 방학 등) 과제로 제공되기도 한다. 유인물, 교과서, 문제집 등의 연습 문제 풀이, 작문, 보고서, 작품 제작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학습자는 집이나 도서관 등에서 숙제를 한 다음, 선생에게 제출하고, 교사는 제출된 숙제를 검토하여 도장을 찍거나 필요한 부분을 수정하여 돌려준다.[38][39]
3. 숙제의 유형
숙제를 내는 의도는 학교나 교사에 따라 다양하지만, 주로 수업 이해도 확인이나 학생의 생각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프린트나 교재를 이용한 문제 풀이는 수업 이해도 확인, 작문이나 감상문은 학생의 생각 파악에 활용된다.[38][39]
숙제는 대개 제출 기한이 있고, 기한 안에 지정된 내용을 학습하여 제출해야 한다. 내용이 부족하면 다시 제출해야 하거나, 기한을 넘기면 감점을 받기도 한다. 이러한 숙제의 규칙은 회사 등에서 "주어진 일을 기한 내에 완성한다"라는 규칙과 유사하여, 숙제를 사회생활 훈련의 일환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도 많다.[38][39]
3. 1. 일반적인 유형

일반적인 숙제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초등 교육에서는 주로 프린트 교재나 교과서, 문제집을 활용한 문제 풀이 숙제가 많다. 중등 교육, 고등 교육으로 갈수록 작문, 보고서, 논문 등 학생의 생각과 의견을 정리하는 과제가 늘어난다.
3. 2. 교육 단계별 유형
초등 교육에서는 문제 풀이, 글쓰기, 만들기 등의 숙제가 일반적이다. 일본의 경우, 워크시트나 문제집을 이용한 문제 풀이, 작문이나 신문 만들기 등을 통해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정리하는 숙제가 많다.[38][39]
중등 교육에서는 문제 풀이, 보고서 작성, 소논문 작성 등의 숙제가 주어진다. 일본의 경우, 중등 교육부터 고등 교육으로 진행하면서 스스로 학습하고 연구한 내용을 정리하여 소논문 형태의 보고서를 제출하는 숙제가 많아진다.[38][39]
고등 교육에서는 보고서, 소논문 등의 숙제가 주로 부과된다.
4. 숙제의 효과 및 논란
숙제와 그 영향, 정당성, 동기 및 주장되는 이점은 많은 교육 전문가와 연구자들 사이에서 날카로운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다. 반복적인 과제, 기계적인 학습, 암기에 대한 비판은 학생들의 전반적인 건강과 웰빙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18] 특히 초등학교에서 이러한 비판이 커지면서 숙제 폐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학부모들 또한 자녀들이 과도한 숙제 때문에 놀이, 휴식, 양질의 시간을 빼앗기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움직임에 동참했다.[23][24]
드레스덴 공과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숙제는 학업 성취도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25] 각 학생에게 성과와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동일한 연습 문제가 주어지는 것은 일부 학생에게는 충분한 도전을 주지 못하고, 다른 학생에게는 과도한 부담을 줄 수 있다.[25][26] 또한, 학생들은 숙제가 자기 조절 이론을 장려하는 방법으로 여겨짐에도 불구하고, 특정 과목에 대한 지식을 더 쌓아야 하는지, 아니면 어려움을 겪는 다른 과목에 시간을 써야 하는지 스스로 결정할 수 없다.[27]
때때로 숙제는 수업 시간에 완료되지 않은 내용을 가정에서 해결하도록 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설계되지 않은 숙제를 하게 되고, 학부모들은 무력감과 좌절감을 느낀다.[28] 그 결과, 학생들은 인터넷이나 다른 자원을 사용하여 도움을 받아야 하며, 이는 숙제 격차를 낳아 인터넷 접근성이 없는 학생에게 불리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숙제는 기회 균등을 촉진하지 못한다.[29][30] 교사의 전문적인 피드백이 없는 숙제는 학생들의 학습 성공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31]
숙제를 완료하는 데 학생의 자유 시간의 많은 부분이 소요될 수 있다. 아이들이 밤늦게까지 숙제를 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수면 장애와 건강에 해로운 심리적 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있다.[28] 아이들은 숙제가 너무 많을 때 압도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아이들의 자연스러운 호기심과 지식에 대한 갈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32]
UCL 교육 연구소의 연구는 숙제와 관련된 압력이 가족 구성원 간의 다툼을 유발한다는 것을 발견했다.[33] 이 연구는 또한 숙제가 아이들의 불안, 우울증, 그리고 정서적 소진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33]
학교, 교사, 학부모 간의 협력은 긍정적인 숙제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문가들은 학교와 교육자들이 학부모의 의견을 듣고 학부모의 참여를 유도하는 열린 소통 채널을 구축하여 자녀의 숙제에 학부모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것을 권장한다. 이는 학생들에게 지원적이고 도움이 되는 숙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34]
일본 문부과학성이 정한 학습 지도 요령에 숙제라는 항목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학교와 교사의 재량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학력이 낮은 학생의 경우 숙제가 어렵게 느껴져 의욕을 잃거나 답을 베껴 제출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40] 신주쿠구립 니시신주쿠 초등학교는 2023년부터 학기 중 숙제를 폐지했는데, 이는 학생들이 주변과의 비교와 경쟁에 노출되어 자기 긍정감이 낮아지고 있다는 점, 그리고 학생들의 자유로운 발상을 존중해야 한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41]
4. 1. 긍정적 효과
숙제에 관한 연구는 1900년대 초부터 진행되었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5] 연구 결과는 학생의 연령, 학업 성취도 측정 방법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6]어린 학생들의 경우, 숙제를 많이 할수록 학업 성취도가 약간 낮거나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6] 숙제가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킨다는 증거는 없다. 숙제가 어린 학생들의 좋은 학습 습관 형성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있지만, 관련 연구는 아직 진행되지 않았다.[5]
10대 학생들은 숙제를 많이 할수록 성적과 시험 점수가 더 높은 경향이 있다.[6] 그러나 숙제가 지나치게 많으면 오히려 학업 성적이 나빠질 수 있다.[6]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생들은 숙제를 통해 표준화 시험에서 더 나은 점수를 받을 수 있지만, 하루 90분(중학교) 또는 2시간(고등학교) 이상 숙제하면 오히려 점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6]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은 숙제를 통해 더 많은 혜택을 받는다.[7] 그러나 학교 교사들은 숙제가 필요한 학생들에게는 덜 내주고, 성적이 좋은 학생들에게는 더 많이 내주는 경향이 있다.[7]
4. 2. 부정적 효과
과도한 숙제는 학생들에게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스트레스 및 수면 부족: 숙제는 학생들에게 스트레스와 불안의 주요 원인이 되며,[14] 특히 고등학생들에게서 두드러진다. 숙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학생들은 수면 부족을 겪을 가능성이 더 높다. 홍콩의 한 연구에 따르면, 숙제는 스트레스와 불안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두통, 복통과 같은 신체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14]
- 학습 의욕 저하 및 창의성 훼손: 숙제가 너무 많으면 학생들은 압도감을 느껴 학습 의욕이 저하될 수 있다.[32] 이는 학생들의 자연스러운 호기심과 지식에 대한 갈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32] 또한, 반복적인 과제는 기계적인 학습과 암기를 유발하여 학생들의 창의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18]
- 사교육 의존 심화 및 교육 불평등 심화: 숙제는 때때로 수업 시간에 완료되지 않은 내용을 가정에서 해결하도록 하여, 학생들의 사교육 의존도를 높일 수 있다.[28] 이는 인터넷 접근성이 없는 학생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하여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29][30]
- 가족 갈등: 숙제는 가정 내 긴장과 갈등을 유발하고, 학생들의 가족 및 여가 시간을 줄일 수 있다.[28]
드레스덴 공과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숙제는 학업 성취도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25] 또한, 모든 학생에게 동일한 숙제가 주어지는 것은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아, 일부 학생에게는 너무 쉽거나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25][26]
일본 문부과학성의 학습 지도 요령에는 숙제가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학교와 교사의 재량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학력이 낮은 학생의 경우 숙제가 어렵게 느껴져 의욕을 잃거나 답을 베껴 제출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40] 신주쿠구립 니시신주쿠 초등학교는 2023년부터 숙제를 폐지했는데, 이는 학생들이 주변과의 비교와 경쟁에 노출되어 자기 긍정감이 낮아지고 있다는 점, 그리고 학생들의 자유로운 발상을 존중해야 한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41]
4. 3. 숙제 효과에 대한 연구
숙제 연구는 1900년대 초부터 시작되었지만, 숙제의 일반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연구 결과는 학생의 연령대, 학업 성취도 측정 방법 등에 따라 달라진다.초등학교 학생의 경우, 숙제를 많이 할수록 학업 성취도가 약간 낮거나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숙제가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높인다는 증거는 없지만, 좋은 학습 습관을 길러준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이 주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5]
반면, 십대들의 경우 숙제를 많이 하는 학생이 성적과 시험 점수가 더 높은 경향이 있다. 그러나 숙제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오히려 학업 성적이 나빠질 수 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생이 표준화 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받더라도, 하루 90분(중학생) 또는 2시간(고등학생) 이상 숙제를 하면 점수가 오히려 낮아진다.[6]
성취도가 낮은 학생은 숙제를 통해 더 많은 도움을 받는다.[7] 그러나 교사들은 숙제가 필요한 학생에게는 덜 내주고, 성적이 좋은 학생에게 더 많이 내주는 경향이 있다.[7] 과거에는 숙제가 학업 실패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학교 출석이 의무가 아니었을 때, 학생들은 숙제를 따라가지 못하면 중퇴하기도 했다.[8]
2003년 미시간 대학교 사회 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15~17세 청소년들은 평일에 평균 50분 동안 숙제를 한다.[15] 2019년 퓨 리서치 센터의 조사에서는 학년 기간 동안 하루 평균 1시간을 숙제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3~2006년에서 2014~2017년 사이에 이 연령대의 평균 숙제 시간은 약 16분 증가했다. 미국의 십 대 소녀들이 소년들보다 숙제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했다.[16]
2019년 UCLA 고등 교육 연구소의 조사에서 미국 대학 신입생 95,505명에게 고등학교 마지막 해에 숙제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썼는지 질문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숙제 시간 | 응답자 비율 |
|---|---|
| 전혀 하지 않음 | 1.9% |
| 1시간 미만 | 7.4% |
| 1~2시간 | 19.5% |
| 3~5시간 | 27.9% |
| 6~10시간 | 21.4% |
| 11~15시간 | 11.4% |
| 16~20시간 | 6.0% |
| 20시간 이상 | 4.5% |
[17]
UCLA 고등 교육 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성적이 우수한" 10개 고등학교 학생 4,317명은 매일 3시간 이상 숙제를 했다. 72%는 숙제로 인한 스트레스를, 82%는 신체적 증상을 호소했다. 학생들의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 48분으로, 권장 수면 시간보다 적었다.
듀크 대학교 뇌신경학 교수 카일 쿠퍼(Kyle Cooper)는 학년에 따라 숙제의 효과가 다르다고 말한다. 고등학생에게는 숙제가 긍정적 효과를 보이지만, 초등학생(특히 저학년)에게는 성적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는 것이다. 그는 "학년, 숙련도에 맞는 적절하고 단계적인 숙제 시간을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아이의 학년 × 숙제 10분"(the 10 Minute Rule)[50] 방식을 추천한다.[49]
4. 4. 숙제 대행 서비스
인터넷을 통해 숙제를 부탁하면, 일정 기간 후 답안이 적힌 숙제를 받을 수 있는 숙제 대행 서비스가 사업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계산 문제부터 독서 감상문, 자유 연구 등을 대신 해준다.[55]대한민국에서는 주로 자녀를 둔 부모의 수요에 맞춰 숙제 대행 서비스가 널리 유행하며, 이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51] 인터넷을 통해 주문하고 숙제를 납품받는 방식으로, 계산 문제, 독후감, 자유 연구, 졸업 논문, 취업 논문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룬다.[51] 초등학교 저학년용 독후감은 쉼표를 사용하지 않는 등, 초등학생 저학년의 문장 특징을 따라 하여 실제 초등학생이 작성한 것처럼 보이게 하는 기법도 사용된다.[52]
이러한 서비스에 대해 찬반 논란이 있지만, 교육 관계자들은 대체로 비판적인 입장이다. 일본 문부과학성과 오사카부교육위원회는 "숙제의 본래 목적에 어긋난다", "무엇이든 돈으로 해결하는 것을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것은 좋지 않다"라며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51] 교육 평론가 오기 나오키는 자신의 블로그에서 숙제 대행 서비스의 높은 비용을 지적하며, 이를 "교육 사기", "교육 범죄"라고 비판했다.[53][54]
대한민국에서도 숙제 대행 서비스가 널리 유행하고 있다.[51]
5. 각국의 숙제 현황 및 정책


숙제는 여러 문화와 사회에서 1세기 넘게 시행되어 왔다. 학교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숙제의 실행과 수용에 대한 논쟁은 교육 분야에서 찬반 양론이 오가며 제기되어 왔다. 1900년대 후반, 많은 연구자들이 자신의 주장을 제시하고 개혁을 촉구하는 책과 논문을 발표하기 시작했다.[18] 이 섹션에서는 미국, 영국, 스페인의 숙제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 '''미국'''
역사적으로 미국에서 숙제는 좋지 않게 여겨졌다. 고등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학생이 거의 없었고, 많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집안일과 농업 노동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해야 했기 때문에, 숙제는 부모뿐만 아니라 일부 학교에서도 싫어했다.[8] 1880년, 프랜시스 아마사 워커는 보스턴의 학교 위원회를 설득하여 교사가 일반적인 상황에서 수학 숙제를 내는 것을 금지하게 했다.[8] 1900년, 언론인 에드워드 복은 학교가 15세까지의 학생들에게 숙제를 내는 것에 대해 비판했다.[8] 1901년, 캘리포니아 입법부는 15세 미만의 모든 사람에 대한 숙제를 사실상 폐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8] 1950년대에는 냉전에서 앞서나가려는 미국의 압력이 커지면서 숙제가 다시 부상했고, 아이들은 소련의 동료들을 따라갈 것을 권장받았다.[8] 그 이후로 사회적 태도는 대략 15년 주기로 바뀌었다.[8]
- '''영국'''
영국 학생들은 유럽의 다른 많은 국가보다 더 많은 숙제를 받는 편이다. 주당 평균 숙제 시간은 5시간이다. 영국 숙제의 주요 특징은 사회적 격차로, 중산층 십대들이 아시아 및 유럽에 비해 과도한 양의 숙제를 받는다.[20]
- '''스페인'''
2012년 OECD의 보고서에 따르면 스페인 어린이들은 일주일에 6.4시간을 숙제에 사용한다. 이에 12,000개의 스페인 학부모 단체를 대표하는 CEAPA는 숙제 거부 운동을 촉구했다.[21]
숙제와 그 영향, 정당성 등에 대해서는 많은 교육 전문가와 연구자들 사이에서 날카로운 비판이 있어 왔다.
드레스덴 공과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숙제는 학업 성취도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25] 숙제를 할당할 때, 각 학생에게 학생의 성과와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동일한 연습 문제가 주어지는데, 이로 인해 일부 학생들은 충분한 도전을 받지 못하고, 다른 학생들은 숙제에 압도당하게 된다.[25][26]
숙제는 때때로 수업 시간에 완료되지 않은 학교 자료를 가정으로 외주하는 데 사용되어, 아이들이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설계되지 않은 숙제를 하게 되고, 학부모들은 무력감과 좌절감을 느낀다.[28] 교사의 전문적인 피드백이 없는 숙제는 학생들의 학습 성공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31]
숙제를 완료하는 데 학생의 자유 시간의 많은 부분이 소요될 수 있다. 아이들이 밤늦게까지 숙제를 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수면 장애와 건강에 해로운 심리적 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있다.[28] UCL 교육 연구소의 연구는 숙제가 아이들의 불안, 우울증, 그리고 정서적 소진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33]
학교, 교사, 학부모 간의 협력은 긍정적인 숙제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문가들은 학교와 교육자들이 학부모의 참여를 유도하여 자녀의 숙제에 학부모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것을 권장한다.[34]
5. 1. 대한민국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숙제에도 셔틀이 있는 반면에, 유럽(특히 프랑스)에는 숙제가 없는 경우도 있다.[8]역사적으로 숙제는 미국 문화에서 좋지 않게 여겨졌다. 고등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학생이 거의 없었고, 많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집안일과 농업 노동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해야 했기 때문에, 숙제는 부모뿐만 아니라 일부 학교에서도 싫어했다.[8] 학생들이 주로 집에서 할당된 텍스트를 암기하는 숙제를 따라갈 수 없었기 때문에 학생들은 비교적 어린 나이에 학교를 중퇴하는 데 기여했다. 학교에 다니는 것은 법적으로 요구되지 않았고, 학생이 숙제에 시간을 할애할 수 없다면 학교를 그만둘 수 있었다.[8]
5. 2. 일본
일본의 초등에서 중등 교육에서는, 주어진 학습 과제를 풀고 답하는 숙제 (워크시트나 문제집 등), 자기의 의견, 생각을 정리하는 것 (작문이나 신문 만들기 등)이 많다. 중등 ~ 고등 교육에서는, 스스로 학습, 연구한 내용 등을 정리하여, 소논문의 형식으로 하는 보고서 형식의 숙제가 많아진다.[38][39]숙제의 대부분은 제출 기한이 있으며, 그 기한 내에 지정된 내용을 학습하여 제출해야 한다. 내용이 불충분하면 다시 제출해야 하거나, 기한 내에 제출하지 못하면 성적에서 감점되는 경우가 있다.
문부과학성이 정한 학습 지도 요령에는 숙제 항목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가정 학습을 고려한 지도"·"종합적인 학습 시간"의 일환으로 다루어진다. 지도 내용이나 실태는 각 학교, 각 교사의 재량에 맡겨져 복잡하고 다양하다.
학생마다 학력이 다르므로, 고학력 학생에게는 이미 수업에서 습득한 내용의 반복이라 학습 효과가 낮고, 저학력 학생에게는 어렵고 복잡하여 숙제를 할 의욕이 생기지 않아 답을 베껴 제출하는 등 숙제로서의 의미를 잃는 문제가 있다.[40]
신주쿠구립 니시신주쿠 초등학교는 "아이들은 항상 주변과의 비교와 경쟁에 노출되어, 자신의 부족함을 드러내는 가운데, 자기 긍정감이 낮아지고 있다", "성적으로 순위를 매겨, 착한 아이와 나쁜 아이로 선별하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 한 사람의 장점을 보는 평가를 하고 싶다", "아이들의 자유로운 발상에 대해 어른들이 '그런 시시한 짓은 그만두고 공부나 해라'라고 말하는 것은, 어쩌면 대발견의 싹을 자르는 행위일지도 모르며, 그것은 인류에게 있어서의 손실"이라는 이유로 2023년도부터 학기 중 숙제를 폐지했다.[41]
5. 3. 영국
영국 학생들은 유럽의 다른 많은 국가보다 더 많은 숙제를 받는 편이다. 이 과목의 주당 평균 숙제 시간은 5시간이다. 영국 숙제의 주요 특징은 사회적 격차로, 중산층 십대들이 아시아 및 유럽에 비해 과도한 양의 숙제를 받는다.[20]토니 블레어 정권은 기초 학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교육 개혁의 중요한 시책 중 하나로, 1998년에 "숙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여 거의 모든 학교에서 숙제에 대한 조직적인 노력이 실시되게 되었다.[42]
보수당 정권 시대에 제정된 1988년 교육 개혁법 이후, 1990년대 중반부터 학력 향상과 관련하여 숙제의 의의가 주목받게 되었다.[42] 1995년에는 교육 수준청이 "초등·중등학교에서의 숙제"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42] 같은 해 전국 교육 연구소(NFER)의 조사 결과, 초등학교 6학년의 거의 절반의 아동이 정기적인 숙제를 부과받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42]
토니 블레어 정권 성립 후, 1997년 7월에 교육 백서 "더 나은 학교를 원하며"가 발표되어, 연령별 숙제 분량 및 시간 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42] 교육 수준청의 조사 결과 등을 바탕으로 "머리말", "서론", "초등학교", "중등학교", "부속 문서 '숙제: 실천을 통해 배우다' (교육 수준청의 조사 결과의 개요)"로 구성된 정부 공식 가이드라인 "숙제: 초등·중등학교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발표되었다.[42]
정부의 "숙제: 초등·중등학교에 대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숙제 방침은 학교 전체의 학습·평가 전략의 일부로서 학교 교장 등 관리직 팀이 주도하여 수립하도록 되어 있다.[42]
1990년대 중반에는 대다수의 중등학교에서 학교 전체 차원의 숙제 노력이 이루어졌지만, 초등학교에서는 진전이 더뎠다.[42] 1995년 조사에서는 숙제 방침을 수립하고 있는 초등학교가 25%에 불과했지만, 정부의 숙제 가이드라인 발표 후 1999년 조사에서는 거의 100%의 초등학교가 숙제 방침을 수립한 것으로 나타났다.[42]
5. 4.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혁명 이후 학교는 공적 영역, 가정은 사적 영역으로 각자의 교육을 분리하며, 공교육의 일부인 학교의 숙제가 가정의 시간에 침범하는 것은 개인의 자유 침해에 해당한다는 생각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프랑스 공립 초등학교에서는 기술을 포함하는 숙제가 프랑스 국민 교육부의 훈령(Circulaire du 29 décembre 1956(프랑스 국민 교육부 1956년 11월 23일자 훈령))으로 금지되어 있다.[44][43]프랑스 공립 초등학교에서는 교사가 독자적인 판단으로 숙제를 내는 경우도 늘고 있지만, 2012년 10월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은 공립 초등학교의 숙제 폐지를 제안했다.[44]
5. 5. 중국
중국에서는 2021년 7월 24일에 학교 숙제의 양을 대폭 제한하고, 사교육 학원 통학으로 인한 아이들의 부담을 억제하는 쌍감 정책이 발표되었다[45]。 같은 해 10월에는 "가정교육 촉진법"이 성립되었다[45]。쌍감 정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46]。
- 보호자에 의한 숙제 지도 금지[46]
- 숙제는 초등학교 1~2학년은 금지, 3~6학년은 평균 1시간 이내, 중학생은 90분 이내로 제한[46]
- 일반 기업의 법정 퇴근 시간까지 방과 후 시간을 연장하고, 교사에 의한 숙제 및 문제 해설 등 학습 지도 실시[46]
5. 6. 국제 조사
대한민국에서는 숙제에도 셔틀이 있는 반면에, 유럽 (특히 프랑스)에는 숙제가 없는 경우도 있다. 영국 학생들은 유럽의 다른 많은 국가보다 더 많은 숙제를 받는데, 주당 평균 5시간이다. 영국 숙제의 주요 특징은 사회적 격차로, 중산층 십대들이 아시아 및 유럽에 비해 과도한 양의 숙제를 받는다.[20] 2012년 OECD의 보고서에 따르면 스페인 어린이들은 일주일에 6.4시간을 숙제에 사용하며, 이에 12,000개의 스페인 학부모 단체를 대표하는 CEAPA는 숙제 거부 운동을 촉구했다.[21]중국에서는 2021년 7월 24일에 학교 숙제 양을 대폭 제한하고, 사교육 학원 통학으로 인한 아이들의 부담을 억제하는 쌍감 정책이 발표되었다.[45] 같은 해 10월에는 "가정교육 촉진법"이 성립되었다.[45] 쌍감 정책에서 숙제 부담 경감에 대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46]
- 보호자에 의한 숙제 지도 등의 금지[46]
- 숙제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2학년까지는 금지, 3학년부터 6학년까지는 평균 1시간 이내, 중학생은 90분 이내로 제한[46]
- 일반 기업의 법정 퇴근 시간까지 방과 후 시간을 연장하고, 교사에 의한 숙제 및 문제 해설 등 학습 지도를 실시[46]
'학습 기본 조사·국제 6개 도시 조사 속보판 (2006년~2007년)'에 따르면, 도쿄, 베이징, 서울, 헬싱키, 런던, 워싱턴 D.C.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학습 시간 전체에서 숙제에 할애하는 시간이 가장 긴 곳은 베이징으로 60.0분, 구미 3개 도시가 45분 안팎, 도쿄와 서울이 30분대였다.[47] 도쿄와 서울에서 숙제 시간이 짧았던 것은 학교 밖 학습이 활발하여 교사가 숙제를 많이 내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47] 베이징에서는 교사의 많은 숙제와 더불어 기타 학습도 많다.[47]
중국 민간 기관의 조사 '초·중·고교생의 숙제 스트레스 리포트'에 따르면, 2017년에 18세 이하 중국 아이들이 숙제에 들인 시간은 하루 평균 2.82시간으로, 세계 평균의 3배, 일본의 3.7배, 한국의 4.8배였다.[48] 이로 인해 수면 부족이나 컨디션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48] 2021년 7월 쌍감 정책을 통해 학교 숙제 양을 대폭 제한하게 되었다.[45]
6. 한국의 숙제 정책 개선 방향 (더불어민주당 관점)
더불어민주당의 교육 정책은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과 창의성 함양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기조에 따라 한국의 숙제 정책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개선될 수 있다.
- 숙제 부담 완화: 학생들의 과도한 학습 부담을 줄이기 위해 숙제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난이도를 다양화해야 한다.
- 숙제의 질 개선: 단편적인 지식 암기보다는 탐구, 문제 해결, 비판적 사고 등 고차원적 사고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숙제를 제시해야 한다.
- 개별 맞춤형 숙제: 학생들의 학습 수준, 흥미, 진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 평가 방식 개선: 숙제 수행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 협력, 태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하여 성장을 지원해야 한다.
이러한 개선 방향은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 자기 주도 학습 능력과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6. 1. 협력 학습 및 창의적 활동 장려
모둠 활동, 프로젝트 학습 등 협력 학습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휘할 수 있는 숙제를 제시해야 한다.[9][10][11][12][13]6. 2. 숙제 부담 완화

숙제의 목적을 재정의하여 학생들에게 더 의미 있는 숙제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광범위한 고려와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숙제 과제 완료가 학생들의 동기 부여, 학업 성취, 행동 통제를 향상시킬 것이라는 오래된 믿음과 관행에서 벗어나는 데에는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했다. 숙제 관행을 재고하고 다양한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하도록 보장하는 것은 패러다임 전환으로 여겨졌다.[35] 이러한 변화는 교사가 숙제와 과제를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통합하는 데 더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도록 요구했다. 교사가 직면할 수 있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믿음은 숙제의 주요 목표가 학생 학습을 촉진하는 것이다. 숙제는 학생들이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사고 과정을 명확하게 설명하며,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겪을 때 전략을 개발하거나 제안하도록 장려해야 한다.[36]
이 주제에 대한 현재의 논의는 숙제의 양보다 질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35][37] 긍정적인 태도를 조성하고 모든 학년 수준에서 건강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학생 학습에 원하는 궁극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모든 이해 관계자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35][37]
참조
[1]
논문
Developing Self-Regulation Skills: The Important Role of Homework
http://journals.sage[...]
2011-02
[2]
문서
Synthesis of research on homework
Educational Leadership
1989
[3]
웹사이트
Homework: The Rules of the Game
http://www.homework-[...]
2014-03-18
[4]
논문
More Than Minutes: Teachers' Roles in Designing Homework
2001-09-01
[5]
뉴스
Forget Homework
http://www.slate.com[...]
2018-04-11
[6]
뉴스
The Myth About Homework
http://www.time.com/[...]
2006-08-29
[7]
뉴스
Is homework worth the hassle?
https://www.bbc.com/[...]
2017-04-21
[8]
웹사이트
The Long History of Parents Complaining About Their Kids' Homework
https://slate.com/hu[...]
2019-10-04
[9]
문서
Homework vs. Busywork: Tales from Home and a Request for More
The Washington Post
2003-02-13
[10]
문서
Transforming Lab Reports from Busy Work to Meaningful Learning Opportunitie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005-11
[11]
문서
Active Learning Through Online Quizzes: Better Learning and Less (busy) Work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2017
[12]
문서
The Creation and Implementation of Effective Homework Assignments (Part 1): Creation
PRIMUS
2019
[13]
문서
The Creation and Implementation of Effective Homework Assignments (Part 2): Implementation
PRIMUS
2019
[14]
문서
Bauwens, Hourcade, 1992, Conner, Pope, Galloway, 2009, Hardy, 2003, Kouzma, Kennedy, 2002, West, Wood, 1970, Ystgaard, 1997
[15]
웹사이트
Changing Times of American Youth: 1981-2003
http://ns.umich.edu/[...]
University of Michigan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2004-11
[16]
웹사이트
The way U.S. teens spend their time is changing, bu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persist
https://www.pewresea[...]
Pew Research Center
2019-02-20
[17]
간행물
The American Freshman: National Norms Fall 2019
https://www.heri.ucl[...]
Higher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Information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8]
서적
RETHINKING HOMEWORK
ASCD
[19]
뉴스
History of Homework
http://www.sfgate.co[...]
2007-03-24
[20]
뉴스
UK families' 'long homework hours'
https://www.bbc.co.u[...]
2017-11-02
[21]
뉴스
Parents in the UK and abroad: do your children get set too much homework?
https://www.theguard[...]
2017-11-02
[22]
문서
Do Kids Need Homework?
Scholastic: News/ Weekly Reader Edition 5/6
2016
[23]
논문
Students' study time and their homework problem
https://tcnj.primo.e[...]
[24]
뉴스
My Daughter's Homework is Killing Me.
[25]
뉴스
Studie: Hausaufgaben bringen überhaupt nichts
https://www.welt.de/[...]
2021-05-03
[26]
뉴스
Is homework too like hard work?
https://www.irishtim[...]
2020-12-18
[27]
웹사이트
Developing Self-Regulation Skills: The Important Role of Homework
https://www.research[...]
2021-11-24
[28]
뉴스
Homework Critics vs. Me
https://www.washingt[...]
2020-12-18
[29]
웹사이트
Homework Is Bad, Research Confirms
https://www.vice.com[...]
2020-12-18
[30]
뉴스
Schulleiter warnen: Hausaufgaben gefährden Chancengleichheit
https://www.welt.de/[...]
2020-12-18
[31]
웹사이트
The Case Against Homework: Why It Doesn't Help Students Learn
https://resilientedu[...]
2020-12-18
[32]
웹사이트
The Cult of Homework
https://www.theatlan[...]
2020-12-18
[33]
웹사이트
Homework causes family arguments
https://timesofmalta[...]
2021-05-03
[34]
논문
Family Engagement in Schools: Parent, Educator, and Community Perspectives
2020-10
[35]
서적
Rethinking Homework
ASCD
[36]
간행물
Making Homework More Meaningful
https://pubs.nctm.or[...]
2014-10-01
[37]
웹사이트
What's the Right Amount of Homework?
https://www.edutopia[...]
2024-05-03
[38]
뉴스
中3男子が始業式後に自殺…進路に不安? 鹿児島
https://www.sankei.c[...]
産経WEST
2018-09-05
[39]
뉴스
担任の指導直後、中3男子が自殺 夏休みの宿題提出促す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8-09-05
[40]
뉴스
新人王!藤井聡太の「元担任」が今明かす素顔 天才棋士は先生に「宿題をやる意味」を問うた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18-10-17
[41]
웹사이트
小学生の「夏休みの宿題」が減った理由 宿題もテストも通知表も“全廃”した学校に起きた「変化」
https://dot.asahi.co[...]
2024-07-31
[42]
간행물
イギリス公教育における学力向上策 : 宿題政策とその実施
http://id.nii.ac.jp/[...]
[43]
웹사이트
レファレンス事例詳細「フランスで宿題を禁止している法律は何か」
https://crd.ndl.go.j[...]
2022-04-20
[44]
뉴스
川口昌人「フランスを二分する宿題廃止論争」
https://president.jp[...]
プレジデントFamily
2013-02
[45]
뉴스
宿題と塾から解放された中国の子どもたち 問われる親の教育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22-04-20
[46]
뉴스
中国が「ゆとり教育」に突き進むワケ、塾禁止・宿題軽減に不安も続出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22-04-20
[47]
문서
木村治生「世界の小学生の学習状況 各都市の特徴について」
https://berd.benesse[...]
ベネッセ教育総合研究所
2022-04-20
[48]
뉴스
変わらぬ中国の子どもの「宿題漬け」 ゆとり教育が反面教師?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22-04-20
[49]
문서
Synthesis of research on homework grade level has a dramatic influence on homework's effectiveness
https://pdfs.semanti[...]
Harris Cooper
1989
[50]
문서
Hints to Help Reduce Homework Stress from the National PTA
http://www.astate.ed[...]
[51]
뉴스
親も子供も宿題丸投げ いま代行業者繁盛
産経新聞
2007-09-01
[52]
뉴스
宿題代行業者 子供の文章っぽく見せるために工夫する
http://yukan-news.am[...]
サイバーエージェント
2014-08-28
[53]
뉴스
尾木ママ 「宿題代行業」は詐欺罪だ
https://www.daily.co[...]
デイリースポーツ
2014-08-28
[54]
웹사이트
学生の皆さん!宿題代行という名の「教育詐欺」犯罪は即刻おやめ下さい!
https://ameblo.jp/og[...]
サイバーエージェント
2014-08-27
[55]
웹사이트
"''너무 바쁜(?) 아이들을 위한'' 방학숙제 대행업 유행"
http://www.cbs.c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