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입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입학은 학교나 교육기관에 학생이 등록하는 것을 의미하며, 세계 각국은 다양한 입학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OECD 가입국 중 초등 교육 기관 입학 나이는 만 5세(영국)에서 만 7세(덴마크 등)까지 다양하며, 학년 시작 시기도 북반구는 8~9월, 남반구는 1~2월로 차이가 있다. 대한민국은 6·3·3·4 학제를 채택하여 초등학교 입학은 만 6세에 이루어지며, 3월에 입학식을 거행한다. 일본은 4월, 서구 국가와 중국은 9월에 입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020년 일본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9월 입학 전환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교 행사 - 졸업
    졸업은 학교의 교육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학위 취득과 연관되며 졸업식에서는 학위 수여, 송별사, 학사복 착용 등의 절차가 진행되고, 중세 유럽 대학에서 유래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졸업 문화가 존재한다.
  • 학교 행사 - 수학여행
    수학여행은 학교에서 단체로 떠나는 교육 활동으로, 학생들은 교실 밖에서 경험을 쌓고 교우 관계를 증진하며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여러 사건과 전염병으로 인해 취소되거나 축소되기도 하며, 과도한 비용 및 안전 문제와 교육적 효과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 학생 - 졸업
    졸업은 학교의 교육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학위 취득과 연관되며 졸업식에서는 학위 수여, 송별사, 학사복 착용 등의 절차가 진행되고, 중세 유럽 대학에서 유래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졸업 문화가 존재한다.
  • 학생 - 학도병
    학도병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제에 의해 강제 징집된 조선인 학생들과 한국 전쟁 당시 자발적으로 참전한 대한민국 학생들을 지칭하며, 두 경우 모두 그들의 희생은 한국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교육 단계 - 졸업
    졸업은 학교의 교육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학위 취득과 연관되며 졸업식에서는 학위 수여, 송별사, 학사복 착용 등의 절차가 진행되고, 중세 유럽 대학에서 유래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졸업 문화가 존재한다.
  • 교육 단계 - 중등교육
    중등 교육은 고등학교, 중학교 등을 포함하며, 유네스코의 분류에 따르면 초중등 교육에 해당하고, 많은 국가에서 의무 교육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시대 변화에 맞춰 다양한 생활 기술과 정의, 민주주의, 인권에 대한 사고방식을 가르치는 역할을 한다.
입학
입학 정보
정의
의미교육 기관, 특히 대학교 또는 대학원과 같은 고등 교육 기관에 정식으로 등록하는 과정.
입학 과정학교에 입학 지원을 하고,
필요한 입학 요건을 충족하고,
공식적으로 학교 명부에 이름을 올리는 행위.
일본어 정의 (入学, 뉴가쿠)학교나 교육 기관에 들어가는 것, 특히 상급 학교에 들어가는 것.
새 학년도나 학교 생활을 시작하는 것.
학교에 등록하는 것.
한국어 정의 (입학)학교나 교육 기관에 들어가는 것.
상급 학교에 진학하는 것.
입학 단계
지원학생이 특정 학교나 프로그램에 대한 입학 의사를 밝히고,
입학 사정을 위한 관련 서류를 제출함.
평가학교가 입학 신청자의 학업 성적, 시험 점수, 추천서 등을 평가함.
경우에 따라 면접이나 에세이가 요구될 수도 있음.
합격 통지학교가 합격한 학생에게 공식적으로 알림.
등록합격한 학생이 학교에 등록하고 수업료를 납부하는 행위.
역사적 맥락
초기 의미중세 시대 대학교에서 학생이 대학 명부에 이름을 올리는 행위.
현대적 의미대학교 또는 대학원 입학 과정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됨.
학생이 고등 교육 기관의 정식 구성원이 되는 과정.
입학 관련 용어
입학 요건특정 교육 기관에 입학하기 위해 충족해야 하는 학업적 또는 기타 요구 사항.
입학 허가학교가 학생에게 입학을 허가하는 행위.
입학 사정학교가 지원자의 자격을 평가하고 입학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교육 시스템 별 입학
한국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등 각급 학교에 입학함.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통해 대학교 입학 자격을 얻는 경우가 많음.
일본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등 각급 학교에 입학함.
입학 시험을 통해 대학교 입학 자격을 얻는 경우가 많음.
미국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교 입학을 위해 SAT 또는 ACT 시험 점수를 제출해야 함.
대학교 입학 사정 시 에세이, 추천서, 과외 활동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함.
기타
중요성개인의 교육 여정과 사회적 지위 향상에 중요한 단계.
특정 분야의 전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출발점.
다양성각 교육 기관마다 입학 정책과 과정이 다름.
다양한 유형의 학교와 프로그램이 존재하며, 각자의 목표에 맞는 학교 선택 중요.

2. 세계의 입학 제도

OECD 가입국 중 20개 나라의 초등 교육 기관 입학 나이는 2005년 기준으로 영국에서 만 5세, 대한민국 등 16개 나라에서 만 6세, 덴마크 등 세 나라에서 만 7세이다.

학년은 일반적으로 북반구에서는 8~9월에, 남반구에서는 1~2월에 시작한다. 오스트레일리아는 2월에, 대만, 독일, 미국 등은 8월에 입학하며, 중국, 튀르키에, 영국에서는 9월에 학년을 시작한다. 예외적으로 대한민국은 3월에, 북한, 일본은 4월에 시작한다.[65][66]

일본에서는 벚꽃이 피는 4월에 입학식이 거행되지만, 서구 국가들과 중국에서는 9월에 입학식이 열린다. 남반구 국가들도 현지 가을인 2~3월경에 입학하는 경우가 많으며, 2학기제(전기와 후기로 나뉘어 겨울방학과 여름방학이 길고 봄방학은 없다)가 일반적이다. 서구 대학들은 여름/겨울 학기제로 봄이나 가을에 시작할 수 있지만, 첫 입학은 9월이 일반적이다.

원래 메이지(明治) 시대부터 다이쇼(大正) 초기까지 일본의 대학 입학 시기는 9월이었다.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가 지은 소설 『삼사랑(三四郎)』에는 메이지 시대의 9월 입학 풍경이 묘사되어 있다.

일본에서 현재와 같이 4월 입학이 된 경위는 다음과 같다.


  • 1886년(明治 19년) 4월부터 주세(酒造税)에 “4월-3월 제도”가 도입되고, 1889년(明治 22년) 회계법 제정으로 “4월-3월 제도”가 법제화되면서 시제(市制) 및 촌제(町村制) 시행에 맞춰 같은 해 4월부터 시정촌(市町村)에서도 시행되었고, 이듬해 5월부터 도현(都府県)(후에 도(都)도)에서도 시행되었다.
  • 1887년(明治 20년) 3월 9일 징병(徴兵) 사무 조례가 개정되어 징병 대상자(만 20세 남성)의 신고일이 종전의 9월에서 4월로 변경되었고, 4월이 사관학교(士官学校) 등 군 관계 학교의 신학기가 되었다.
  • 학교 운영 자금을 정부로부터 조달하기 위해서는 국가 회계연도(会計年度)의 시작에 맞추지 않으면 불편하다는 이유로, 1886년(明治 19년) 고등사범학교(高等師範學校)가 4월 입학이 되었다.
  • 1888년(明治 21년) 문부성(文部省)의 지시로 전국의 사범학교(師範學校)와 초·중학교에서도 4월 입학이 확산되었다. 1920년(大正 9년) 7월 7일, 도쿄제국대학(東京帝國大學)이 다음 학년도 개학 시기를 9월에서 4월로 변경하기로 결정하자 다른 고등학교들도 뒤따랐고,[59] 이듬해 1921년(大正 10년) 4월부터 모든 학교가 4월 입학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1. 대한민국의 입학 제도

대한민국의 공교육제도에서는 6·3·3·4 학제를 채택하였으며(유치원은 제외), 학생은 초등학교 입학 6년 뒤에 중학교, 그 3년 뒤에 고등학교 입학을 하게 된다.[62]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나이는 2010년 현행법 기준으로 만 6세이며, 보호자의 뜻에 따라 그 시기를 1년 앞당기거나 뒤로 미룰 수 있다.[62] 만 6세라는 기준 나이를 1년 줄여서 만 5세로 하는 방안이 2009년부터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회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데,[63] 이에 대해서 찬반 논란이 있다.[64] 입학 시기는 일반적으로 3월 2일 ~ 3월 4일이다.[62]

초·중등교육법 제13조에 의거, 대한민국에서는 입학 전년도 11월에서 12월 사이에 취학이 결정되어 관할 지역 학교의 학생 신분으로 결정되고 난 후, 입학하는 해 1월에 자신이 거주하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취학통지서를 받게 된다. 취학통지서를 분실했을 경우, 관할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보호자'''(미성년자에 대하여 친권을 행사하는 사람)의 신분증(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등)만 제출하면 바로 재발급받을 수 있다.

입학 당해 1월에서 2월 사이, 예비소집일에 자신이 받은 취학통지서를 지참하여 배정받은 학교를 부모님과 함께 방문하여 예비신입생으로 등록하고, 앞으로 공부하게 될 교실도 둘러보게 된다. 이는 일종의 학교 소속감을 갖게 하는 과정이자 면접 과정이다.

예비소집일에 불참할 경우, 관할 시도 교육청의 소재불명 아동 실태조사를 거쳐 경찰에 의해 수사를 받게 되며, 자녀를 입학시키지 않을 경우 학부모는 초중등교육법 제68조에 의거하여 처벌받게 된다.

입학식은 배정 이후 학교에 처음 들어가는 신입생들이 교장선생님을 비롯한 여러 선생님, 학교 선배, 학부모 앞에서 '오늘부터 이 학교의 학생이 되겠습니다'라고 하는 일종의 서약식이다.

입학식은 대부분 3월 2일에 치르는데, 3월 1일은 국가에서 제정한 공휴일(삼일절)이기 때문이다. 만일 그날이 주말(토요일, 일요일)과 겹칠 경우 그 다음 주 월요일(3월 3일~4일 경)에 행사를 개최하며, 본 행사를 치르고 나면 정식으로 학생이 된다.

이 시기에 대한민국의 계절은 으로, 아직은 쌀쌀한 날씨 탓에 대부분 점퍼코트를 입지만, 여자 아이들은 원피스나 스커트를 입고 멋을 내기도 한다.

입학식 때 학생 복장은 초등학교의 경우 따로 정하지 않은 평상복을 착용하고, 중학교, 고등학교의 경우 교복을 착용하고 입학식을 치른다(신설 학교는 교복이 정해질 때까지 평상복을 착용함).

2. 2. 오스트레일리아의 입학 제도

호주에서는 '입학 자격 시험'(matriculation)이라는 용어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 모든 주에서는 입학 자격 시험을 뉴사우스웨일스주와 빅토리아주의 고등학력인정시험(HSC)과 같은 인정서 또는 서호주주의 고등교육입학시험과 같은 대학 입학 시험으로 대체했다. 이들은 모두 (뉴사우스웨일스주를 제외하고) 빅토리아교육인증(VCE) 또는 서호주교육인증(WACE)과 같은 주 기반 인정서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호주 일부 가톨릭 대학 부속 단과대학에서는 입학식을 다시 도입했다. 시드니 대학교 내 세인트 존 복음사가 칼리지의 신입생과 캠피언 칼리지 오스트레일리아의 신입생들은 정식 의상을 착용한 채 공식 행사 중에 단과대학 등록부에 서명한다.[1]

2. 3. 방글라데시의 입학 제도

방글라데시에서는 10학년에 치르는 중등교육자격시험(SSC)을 "매트릭 졸업 시험"(Matriculation)이라고 하며, 12학년에 치르는 고등교육자격시험(HSC)을 "중간 시험"(Intermediate Exams)이라고 한다. 방글라데시는 인도 아대륙의 다른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영국령 인도 시대(British Raj)부터 사용되어 온 용어들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1] 영국 자체에서는 이러한 용어들이 각각 'O' 레벨 시험(일반 수준 시험, 현재 GCSE)과 'A' 레벨 시험(고급 수준 시험)으로 대체되었지만, 방글라데시에서는 그렇지 않다.[1]

2. 4. 브라질의 입학 제도

브라질 포르투갈어에서 matricularpt는 초등, 중등, 대학 또는 대학원 교육 과정에 등록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2. 5. 캐나다의 입학 제도

캐나다에서는 일부 오래된 대학교들이 오리엔테이션(신입생 환영회) 행사를 가리키는 용어로 '입학'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1] 킹스 칼리지를 포함한 일부 대학교에서는 여전히 정식 입학식을 거행하는데, 킹스 칼리지의 입학식은 옥스퍼드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열리는 입학식과 매우 유사하다. 토론토 대학교트리니티 칼리지 또한 정식 입학식을 거행하며, 이때 신입생들은 입학 등록부에 서명해야 한다. 이는 북미의 어떤 대학교보다 옥스퍼드케임브리지 대학의 방식과 가장 유사한 절차이다. 토론토 대학교 응용과학 및 공학 학부의 "신입생 주간" 또한 대학교의 입학식 홀에서 열리는 별도의 입학식으로 시작된다. 하지만, 입학 등록부에 서명하는 절차는 없으며, 이 행사는 학부가 아닌 학생들이 운영하는 토론토 대학교 공학회(Orientation Committee를 통해)에서 주관한다.[2] 또한 1학년 공학생들이 라이플맨의 신조를 수정한 버전인 "안전모 선서"를 하는 곳이기도 하다.[3] 몬트리올맥길 대학교에서는 1990년대 이후 입학식이 상당히 축소되었지만, 총장이 신입생들에게 하는 연설은 여전히 몰슨 스타디움에서 매년 열리는 의례적인 전통으로 남아있다.

온타리오주에서는 13학년이 있던 시대에 12학년을 성공적으로 마치면 주니어 매트리큘레이션(Junior Matriculation), 13학년을 성공적으로 마치면 시니어 매트리큘레이션(Senior Matriculation)으로 간주되었다. 현재 노바스코샤주에서는 주니어 매트리큘레이션이 11학년, 시니어 매트리큘레이션이 12학년 수료를 의미한다.

2. 6. 체코의 입학 제도

체코에서 가장 오래되고 명망 있는 대학인 프라하 카를 대학교에서는 입학식이 대강당(Magna Aula)에서 거행된다. 이 행사에는 학업을 시작하는 학생들이 참석하며, 학생의 의무를 수락하고 학생의 권리를 획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입학식에서는 학생들이 대학의 입학 선서를 하고 상징적으로 학장의 홀을 만지고 학장과 악수한다.

다른 체코 대학들도 이와 유사한 입학식을 거행한다.

2. 7. 덴마크의 입학 제도

덴마크에서는 매년 코펜하겐 대학교에서 입학식을 거행한다. 이 의식은 대학교 본관 대강당에서 열린다. 의식은 학사복과 기타 의복을 착용한 총장과 학장들의 행렬로 시작된다. 그 후 총장이 각 학부를 나열하고, 학부가 언급될 때마다 해당 학부 학생들이 환호한다. 총장은 연설을 하고, 총장과 학장들은 다시 행렬을 이루어 의식장을 떠난다. 이후 신입생 입학을 기념하는 파티가 대학교 구내에서 열린다.

2. 8. 핀란드의 입학 제도

핀란드에서 대입 시험(Ylioppilastutkintofi, Studentexamensv)은 대학교에 입학할 자격을 얻기 위해 중등 교육 과정을 마친 후 치르는 시험이다. 이 시험은 고등학교 졸업 시험이기도 하지만, 시험 성적이 아닌 개별 과목 성적을 기준으로 하는 고등학교 졸업 증서는 별도로 존재한다. 1919년부터는 대입 시험 위원회라는 국가 기관이 시험을 주관하고 있다. 그 이전에는 헬싱키 대학교(1918년까지 핀란드의 유일한 대학교였다)가 시험 관리를 담당했다.[1]

2. 9. 독일의 입학 제도

독일어 'Immatrikulation'은 대학교에 학생으로 등록하는 행정 절차를 의미한다.[4] 이는 겨울 학기에 가능하며, 학위 프로그램에 따라 여름 학기에도 가능하다. 별도의 입학식은 없다. 입학(Immatrikulation)을 하려면 일반적으로 일반 대학교는 독일의 표준 대학 입학 자격 시험인 아비투어(Abitur)가 필요하고, Fachhochschulen (응용과학대학)은 'Fachhochschulreife'가 필요하다. 아비투어(Abitur)와 'Fachhochschulreife'는 모두 독일의 특정 종류의 고등학교에서 최종 시험에 합격한 학생들이 받는 졸업 증명서이다.

2. 10. 홍콩의 입학 제도

홍콩에서는 고등학교 6학년 과정 수료와 같은 의미로 입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교육 자격 시험에 응시한 자격 있는 학생들은 2년의 고등학교 6학년 과정 교육을 받고, 수료 후 A-레벨 시험에 응시한다. 대부분의 중등학교에서 고등학교 6학년 과정을 제공하며, 몇몇 고등학교 6학년 과정 대학도 있다. A-레벨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얻은 학생들은 대학에 입학하게 된다. 2000년대 홍콩의 교육 개혁으로 HKCEE를 준비하는 4학년 및 5학년 교육과 고등학교 6학년 과정 교육이 홍콩 중등교육 자격증 시험으로 이어지는 3년의 고등학교 고학년 교육으로 대체되었다. 마지막 고등학교 6학년 과정 학생들은 2012년에 졸업하고 A-레벨 시험을 치렀으며, 같은 해에 새로운 고등학교 고학년 교육 과정을 이수한 첫 번째 학생들이 첫 번째 HKDSE 시험을 치렀다.

2. 11. 인도의 입학 제도

인도에서 "매트릭 졸업(matriculation)"은 10학년 최종 시험 결과와, 전국 수준 시험 또는 주 수준 시험(일반적으로 "매트릭 졸업 시험"이라고 함)을 통과하여 받는 자격을 가리킨다.[5]

인도는 10학년과 12학년 시험에 대해 각각 "매트릭 졸업 시험"과 "중간 시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영국 통치 시대에서 유래했다. 영국에서는 이러한 용어가 'O' 레벨 또는 일반 수준 시험(현재 GCSE)과 'A' 레벨 또는 고급 수준 시험으로 대체되었다.

매트릭 졸업 시험의 과학 과목은 영어가 표준 언어이며, 지역 언어도 선택할 수 있다. 매트릭 졸업(또는 10학년)을 통과하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15~16세이다. 시험을 통과하면 고등학교(Higher secondary school)로 진학할 수 있다. 12학년을 통과하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17~18세이다. CBSE와 ICSE는 전국적으로 12학년 과정을 운영하고, 주 교육위원회는 주 단위로 운영한다. 기본 교육 과정은 CBSE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인도의 여러 대학교 입학을 위한 거의 모든 경쟁 시험은 CBSE 교육 과정을 기반으로 한다. NTSE, NSO, NSTSC 등 매트릭 졸업 시험 응시생에게 다양한 장학금이 제공된다.

2. 12. 말레이시아의 입학 제도

말레이시아에서는 국립대학교와 교육부(MoE)에 의해 대학 입학 예비과정이 운영된다. 국립대학교에서 제공하는 대학 입학 예비과정은 해당 대학교로 진학이 제한되어 있어, 수료 후 추가적인 진학 선택지가 제한적이다.

교육부(MoE)가 제공하는 대학 입학 예비과정은 말레이시아 정부가 지원하는 1년 과정의 대학 입시 준비 과정이다. 말레이시아 교육 이수증(SPM) 소지자는 SPM 학년(5학년) 동안 MoE 대학 입학 예비과정에 지원할 수 있다. 대학 입학 예비과정에 합격한 학생들은 말레이시아 내 여러 대학 입학 예비학교에 배정된다.

MoE 대학 입학 예비과정 수료 후, 말레이시아 내 국립대학교에 진학할 수 있다.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의 여러 대학교에서도 MoE 대학 입학 예비과정을 대학 입시 자격으로 인정한다.

대학 입학 예비과정 외에도, 6학년생이 치르는 표준화된 전국 시험인 STPM(말레이시아 고등 교육 이수증) 과정이 있다. STPM은 기간(2년 vs 1년), 교육과정(폭과 깊이), 채점 방식(전국 표준화 평가 vs. 대학 입학 예비학교 자체 평가), 합격률 측면에서 대학 입학 예비과정과 다르다.

2. 13. 네팔의 입학 제도

네팔에서는 이전에는 학교 졸업 증명서(SLC)라고 불렸으나, 2016년 새로운 교육법에 따라 현재는 중등교육자격시험(SEE)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시험은 대학교 진학 전 2년 동안 치르는 중간고사(고등교육 또는 10+2)에 앞서 10학년에 치르는 시험이다. 학교 졸업 증명서(SLC) 또는 중등교육자격시험(SEE)는 네팔에서 "철문(Iron gate)"이라고도 불리는 주요 시험이다. SLC와 10+2가 널리 사용되지만, 일부 교육기관은 영국식 시스템을 따라 O 레벨 시험(현재 GCSE라고 함)과 A 레벨 시험을 각각 실시한다.

2. 14. 네덜란드의 입학 제도

네덜란드에서는 고등학교 교육이 여러 수준으로 나뉜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대학교 진학 예비 과정(Voorbereidend Wetenschappelijk Onderwijs, VWO)을 이수한 후 대학교에 진학한다. 이 과정은 네덜란드 법률에 따라 규정된 중앙 시험(입학 시험)으로 마무리된다.[1] VWO 3학년을 마친 후, 고등학생들은 언어, 인문학 및 경제학, 생물학 및 의학, 이공계의 네 가지 방향 중 하나를 선택하며, VWO 마지막 3년은 해당 방향 내에서의 대학 교육을 준비하기 위한 것이다.[1]

2. 15. 파키스탄의 입학 제도

파키스탄에서는 9학년과 10학년 말에 '매트릭'(matriculation)이라고 불리는 최종 시험을 치른다.[6] 이 시험은 보통 14세에서 16세 사이의 학생들이 치른다.

이 시험을 통과하면 중등학교 졸업장(SSC) 또는 기술학교 졸업장(TSC)이 발급된다. SSC(또는 TSC)를 취득한 후에는 고등학교에서 11학년 과정을 이수할 수 있다. 고등학교에서 11학년(HSSC-1)과 12학년(HSSC-2)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치면 고등학교 졸업장(HSSC)을 취득하고 파키스탄 또는 다른 나라의 대학교에 진학할 자격을 얻게 된다. 파키스탄은 영국 통치 시대부터 사용해 온 "매트릭 시험"과 "중간 시험"과 같은 용어를 여전히 사용하지만, 영국 자체에서는 이러한 용어가 'O' 레벨 또는 일반 수준 시험(현재 GCSE)과 'A' 레벨 또는 고급 수준 시험으로 대체되었다.

2. 16.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입학 제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매트리큘레이션(Matriculation, 또는 '''매트릭(matric)''')은 고등학교의 마지막 학년이자 고등학교 졸업 시 받는 자격증이며, 대학교 입학의 최소 요건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처음으로 공식적인 시험이 치러진 것은 1858년 케이프타운 대학교 주관 하에 있었다.[7]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학교들은 자체 입학 시험을 치르지 않지만, 많은 대학교들이 언어, 수리 및 수학 능력을 평가하는 표준화된 입학 시험인 국가 벤치마크 시험(National Benchmark Tests)[8]을 사용한다. 이 시험은 AQL 시험(학문적 및 정량적 읽기 능력)과 수학 시험으로 나뉜다.

2. 17. 영국의 입학 제도

옥스퍼드,[9] 케임브리지,[10][11] 왕립농업대학교,[12] 세인트앤드루스,[13] 에든버러,[14] 더럼,[15] 뉴 컬리지 오브 휴머니티즈[16] 등의 대학교에서는 신입생이 대학교 등록부(라틴어 ''마트리쿨라'')에 등재되는 의식을 '입학식'이라 부르며, 이 시점부터 그들은 대학교 구성원이 된다. 옥스퍼드 대학교는 입학식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서브푸스쿠스를 포함한 학위복 착용을 요구한다.[9] 케임브리지와 더럼 대학교는 학위복 착용에 대한 정책이 대학마다 다르다. 더럼 대학교의 일부 대학에서는 별도의 입학식이 거행된다. 더럼 대학교는 모든 학생이 등록부에 등재되는 것은 아니고, 각 대학에서 한 명씩 선발되어 전체 대학을 대표하여 서명한다.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를 비롯한 스코틀랜드의 고대 대학교들은 입학식에서 스폰시오 아카데미카에 서명하여 대학교 규칙을 준수하고 기관을 지지할 것을 약속한다. 2015년에는 비스숍 그로세테스트 대학교 링컨이 모든 신입생을 위한 입학식 행사를 도입했다.

대부분의 영국 대학교는 공식적인 입학식이 없다. 많은 대학교에서 "입학식(matriculation)"이라는 용어 대신 "등록(enrolment)" 및 "등록(registra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대학교 구성원이 되는 행정 절차를 설명한다.

2. 18. 미국의 입학 제도

미국 대부분의 대학교와 대학에서 "입학(matriculation)"은 학위 취득을 목표로 하는 학생의 단순한 등록 또는 입학을 의미하며, 특별한 의식은 포함하지 않는다.

정식 입학식을 거행하고 그렇게 명명하는 대학도 있지만, 신입생을 위한 이러한 등록식을 "신입생 환영식(convocation)"이라고 부르는 대학도 있다. 코네티컷의 트리니티 칼리지와 같이 두 용어를 모두 사용하는 대학도 있는데, 모임을 입학식(convocation)이라고 하고, 학생으로서의 정식 등록을 입학(matriculation)이라고 한다.

일부 기관에서는 이러한 행사가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었다. 스크립스 칼리지의 입학식은 1990년에야 시작되었다. 트리니티 칼리지와 같이 거의 200년 된 역사를 가진 대학도 있는데, 처음으로 입학식을 거행한 것은 1826년이었다.

"입학(matriculation)"식을 특별히 거행하고 이 이름을 특별히 사용하는 대학은 다음과 같다.

대학교
애드리언 칼리지(Adrian College)[21]
알비온 칼리지(Albion College)[22]
어섬션 칼리지(Assumption College)[23]
벨몬트 대학교(Belmont University)[24]
보스턴 칼리지(Boston College)[25]
보스턴 대학교(Boston University)[26]
시타델(The Citadel)[27]
컬버-스톡턴 칼리지(Culver-Stockton College)[28]
다트머스 칼리지(Dartmouth College)[29]
듀케인 대학교(Duquesne University)[30]
잭슨빌 대학교(Jacksonville University)[31]
케니언 칼리지(Kenyon College)[32]
로렌스 대학교(Lawrence University)[33]
라이온 칼리지(Lyon College)[34]
마리에타 칼리지(Marietta College)[35]
맥켄드리 대학교(McKendree University)[36]
마운트 유니온 칼리지(Mount Union College)[37]
모라비안 칼리지(Moravian College)[38]
뮬렌버그 칼리지(Muhlenberg College)[39]
랜돌프-맥콘 칼리지(Randolph-Macon College)[40]
라이스 대학교(Rice University)[41]
세인트 로렌스 대학교(St. Lawrence University)[42]
스크립스 칼리지(Scripps College)[43]
트리니티 칼리지(Trinity College)[44]
터프츠 대학교(Tufts University)[45]
세인트 메리 대학교(University of Saint Mary)[46]
버지니아 육군사관학교(Virginia Military Institute)[47]
와바시 칼리지(Wabash College)[48]
월시 대학교(Walsh University)[49]
워싱턴 앤 제퍼슨 칼리지(Washington and Jefferson College)[50]
윌라메트 대학교(Willamette University)[51]



많은 의과대학은 가운 입학식(white coat ceremony)으로 입학을 강조한다. 이것은 비교적 최근의 현상으로, 1989년 시카고 대학교의 프리츠커 의과대학(Pritzker School of Medicine)에서 시작되었다. 첫 번째 정식 행사는 1993년 컬럼비아 대학교 의과대학(Columbia University's Vagelos College of Physicians and Surgeons)에서 열렸다.[52]

미국의 대학교들은 일반적으로 '''특별 수강생''',[53][54][55] '''비정규생'''[56][57] 또는 '''비정규등록생'''[58]이라고 불리는 유형의 학생들을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단순히 수업을 청강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으로 옮길 수 있는 학점을 받고, 전액 수업료를 지불하며, 시설 이용 및 의료 서비스와 같은 다른 학생들이 받는 혜택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다른 교육기관에 정규생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어떤 종류의 방문 학자들이다. 그러나 때로는 독립적인 비학위 과정 교육을 목적으로 수업에 참석하는 학생들도 있다.

2. 19. 일본의 입학 제도

대부분의 공립 초등학교·중학교에는 입학시험이 없지만, 사립과 국립 및 일부 공립 초등학교·중학교·중등교육학교에는 입학시험이 있다. 또한 국공립 고등학교·대학교(학부·대학원·단기대학) 등에도 입학시험이 있다. 단, 통신과정의 경우에는 입학시험이 없는 경우가 많다.

학교교육법 및 학교보건안전법의 규정에 따라, 4월 1일 기준 만 6세인 일본 국적아동은 취학 전 건강검진을 받고 이상이 없으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제도가 되어 있다(외국 국적의 취학 아동도 입학은 가능). 장애가 있거나, 미숙아 등으로 발달 수준이 낮은 경우, 특수학교에 입학하거나, 취학유예 또는 취학면제 등의 제도를 받게 된다. 의무교육 제도이므로, 원칙적으로는 건강한 학령 아동은 모두 정규 학교에 입학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국제학교 등의 미인가 학교에 입학하거나, 어떤 학교에도 입학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이 경우에도 학적이 지역 학교에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에서는 일반적으로 벚꽃이 피는 4월, 봄에 입학식이 거행되지만, 서구 국가들과 중국에서는 9월, 가을에 입학식이 열린다(마찬가지로 남반구 국가들도 현지 가을인 2~3월경에 입학하는 경우가 많으며), 2학기제가 일반적이다. 서구 대학들은 여름/겨울 학기제로 봄이나 가을에 시작할 수 있지만, 첫 입학은 9월이 일반적이다.

원래 메이지(明治) 시대부터 다이쇼(大正) 초기까지 일본의 대학 입학 시기는 9월이었다. 실제로 메이지 후기에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가 지은 소설 『삼사랑(三四郎)』에서는 주인공이 여름에 규슈(九州)에서 상경한 것과 9월에 제국대학(帝国大学) 수업이 시작되는 등 메이지 시대의 9월 입학 풍경이 묘사되어 있다.

현재 4월 입학이 된 경위는 다음과 같다.

  • 1886년(明治 19년) 4월부터 주세(酒造税)에 “4월-3월 제도”가 도입되고, 1889년(明治 22년) 회계법 제정으로 “4월-3월 제도”가 법제화되면서 시제(市制) 및 촌제(町村制) 시행에 맞춰 같은 해 4월부터 시정촌(市町村)에서도 시행되었고, 이듬해 5월부터 도현(都府県)(후에 도(都)도)에서도 시행되었다.
  • 1887년(明治 20년) 3월 9일 징병(徴兵) 사무 조례가 개정되어 징병 대상자(만 20세 남성)의 신고일이 종전의 9월에서 4월로 변경되었고, 4월이 사관학교(士官学校) 등 군 관계 학교의 신학기가 되었다.
  • 이에 따라 학교 운영 자금을 정부로부터 조달하기 위해서는 국가 회계연도(会計年度)의 시작에 맞추지 않으면 불편하다는 이유로, 1886년(明治 19년) 고등사범학교(高等師範學校)가 4월 입학이 되었다.
  • 1888년(明治 21년) 문부성(文部省)의 지시로 전국의 사범학교(師範學校)와 초·중학교에서도 4월 입학이 확산되었다. 1920년(大正 9년) 7월 7일, 도쿄제국대학(東京帝國大學)이 다음 학년도 개학 시기를 9월에서 4월로 변경하기로 결정하자 다른 고등학교들도 뒤따랐고,[59] 이듬해 1921년(大正 10년) 4월부터 모든 학교가 4월 입학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8년 학교교육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에 따라 대학에서는 학년의 시작 및 종료 시기는 학장이 정하는 것으로 되었고, 2011년에 도쿄대학을 중심으로 한 국립대학에서 가을 학기 입학으로의 전환이 논의되었으나, 고등학교 졸업 후 공백 기간 및 많은 기업의 채용 시기와 맞지 않아 중단되었다. 현재, 해외 학교에 맞춰 중간 학기에 입학이 가능한 대학도 있다.[60]

1921년부터 일본에서는 4월 입학이 정착되어 사회 전체의 라이프스타일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지만,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감염 확대로 전국적으로 휴교 조치가 취해진 것을 계기로 학업의 지체를 만회하기 위한 9월 입학 전환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에 정부가 9월 입학 전환 검토 시작을 발표하면서 찬반 양론이 격렬하게 일어나 사회적 논쟁(9월 입학 논쟁)으로 발전했다.

1970년대까지 일부 사립대학에서는 학교 관계자나 친척 등의 청탁으로 합격을 허용하는 '''추천 입학 제도'''가 존재했다.[61] 이를 포함하여 친척에게 돈을 제공하고 시험 결과를 조작하는 등의 방법으로 부정하게 시험을 통과하여 입학하는 것을 '''裏口入学'''(우라구치뉴가쿠, 뒷문 입학)이라고 부른다. 특히 사립대학에서 이러한 일이 많았다. (예: 와세다대학 상학부 입시 문제 유출 사건, 테이쿄대학 의학부 뒷문 입학 사건)

3. 세계의 입학 시기

세계 여러 나라는 각자의 실정에 맞는 다양한 입학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학년은 일반적으로 북반구에서는 8~9월에, 남반구에서는 1~2월에 시작한다. 남반구에 위치한 오스트레일리아는 2월에, 북반구의 대만, 독일, 미국 등은 8월에 입학을 실시하며 중국, 튀르키에, 영국에서는 9월에 학년을 시작한다. 예외적으로 대한민국은 3월에, 북한, 일본은 4월에 시작한다.[65][66]

일본에서는 벚꽃이 피는 4월에 입학식이 거행되지만, 서구 국가들과 중국에서는 9월에 입학식이 열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서구 대학들은 여름/겨울 학기제로 봄이나 가을에 시작할 수 있지만, 첫 입학은 9월이 일반적이다.

원래 일본의 대학 입학 시기는 9월이었으나, 1886년 국가 회계연도가 4월부터 시작되면서 학교 운영 자금 조달의 편의를 위해 고등사범학교가 먼저 4월 입학을 도입하였고, 이후 다른 학교들로 확산되었다.



2008년 한국의 학교교육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에 따라 대학교의 학년 시작 및 종료 시기는 학장이 정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2011년에는 가을 학기 입학으로의 전환이 논의되었으나 여러 문제로 중단되었다.

3. 1. 입학 연령

OECD 가입국 중 20개 나라의 초등 교육 기관 입학 나이는 2005년 기준으로 영국에서 만 5세, 대한민국 등 16개 나라에서 만 6세, 덴마크 등 세 나라에서 만 7세이다.

학년은 일반적으로 북반구에서는 8~9월에, 남반구에서는 1~2월에 시작한다. 남반구에 위치한 오스트레일리아는 2월에, 북반구의 대만·독일·미국 등은 8월에 입학을 실시하며 중국, 튀르키에, 영국에서는 9월에 학년을 시작한다. 예외적으로 한국은 3월에, 북한, 일본은 4월에 시작한다.[65][66]

[68]

3. 2. 입학 시기 (월별)

여러 나라는 각자의 실정에 따라 다양한 입학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학년은 일반적으로 북반구에서는 8~9월에, 남반구에서는 1~2월에 시작한다. 예외적으로 대한민국은 3월에, 북한, 일본은 4월에 시작한다.[65][66]

국가
1월,
2월, ,
3월, ,
4월, , 미조람주,
5월
6월
7월
8월, ,
9월, , , , , , , , , , , , , , ,
10월, , , , , ,
11월,
12월


4. 9월 입학 논쟁 (일본)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감염 확대로 일본에서 전국적으로 휴교 조치가 취해진 것을 계기로, 학업 지체를 만회하기 위한 9월 입학 전환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에 정부가 9월 입학 전환 검토 시작을 발표하면서 찬반 양론이 격렬하게 일어나 사회적 논쟁(9월 입학 논쟁)으로 발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Matriculation – Skulepedia https://skulepedia.c[...] 2022-10-25
[2] 웹사이트 F!rosh Week – Skulepedia https://skulepedia.c[...] 2022-10-25
[3] 웹사이트 The Hardhat Oath – Skulepedia https://skulepedia.c[...] 2022-10-25
[4] 웹사이트 University Matriculas as Material Testimonies of the Initiation Culture at Universities.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example of the Heidelberg matriculation records https://biblioscout.[...] 2024-11-11
[5] 웹사이트 NTSE Eligibility https://www.ntseguru[...] 2020-08-01
[6] 웹사이트 Matric Result 2020 – 9th class and 10th class result, SSC part 1 and SSC part 2 https://matricboardr[...] 2020-05-14
[7] 웹사이트 Examinations http://www.education[...] Education.gov.za 2013-07-06
[8] 웹사이트 National Benchmark Test Project http://www.aarp.ac.z[...] Aarp.ac.za 2013-07-06
[9] 웹사이트 Matriculation University of Oxford https://www.ox.ac.uk[...] 2020-11-07
[10] 논문 As an example of the continual use of the term matriculation in the ACAD database for any student entering any of the Colleges at Cambridge
[11] 웹사이트 Arrival https://www.cambridg[...] 2014-11-04
[12] 웹사이트 Matriculation (noun): The process of formally becoming a student at a university. See you on 20/9/23 https://www.youtube.[...] 2023-09-13
[13] 웹사이트 Matriculation {{!}} Current Students {{!}} University of St Andrews https://www.st-andre[...]
[14] 웹사이트 Matriculation explained https://www.ed.ac.uk[...]
[15] 웹사이트 Ustinov College : Matriculation – Durham University https://www.dur.ac.u[...]
[16] 웹사이트 Undergraduate Freshers 2020 Guide https://www.nchlondo[...]
[17] 웹사이트 President's Convocation and Matriculation https://www.trincoll[...]
[18] 웹사이트 Traditions https://www.trincoll[...]
[19] 웹사이트 Scripps College Traditions {{!}} Scripps College in Claremont, California https://www.scrippsc[...]
[20] 웹사이트 Traditions https://www.trincoll[...]
[21] 웹사이트 Matriculation August 13, 2023 Adrian College Liberal Arts College in MI https://www.adrian.e[...] 2023-09-05
[22] 웹사이트 Matriculation Ceremony https://www.albion.e[...] 2023-09-05
[23] 웹사이트 Matriculation Assumption University https://www.assumpti[...] 2023-09-05
[24] 웹사이트 Welcome Week Belmont University https://www.belmont.[...] 2023-09-05
[25] 웹사이트 Conversations in the First Year — Boston College http://www.bc.edu/of[...] Bc.edu 2010-09-14
[26] 웹사이트 Matriculation https://www.bu.edu/m[...] 2023-09-05
[27] 웹사이트 Matriculation Headquarters https://www.citadel.[...] 2023-09-05
[28] 웹사이트 Matriculation ceremony set for Friday, EDM to be held Saturday Culver-Stockton College https://culver.edu/n[...] 2023-09-05
[29] 웹사이트 Matriculation 2.0: An Untraditional Tradition https://admissions.d[...] 2023-09-05
[30] 웹사이트 https://guidebook.co[...] 2023-09-08
[31] 웹사이트 Welcoming the Class of 2027 https://www.ju.edu/n[...] 2023-09-08
[32] 웹사이트 Kenyon College – Traditions http://www.kenyon.ed[...] 2007-05-19
[33] 웹사이트 Convocations {{!}} Lawrence University https://www.lawrence[...] 2023-09-08
[34] 웹사이트 Lyon College https://www.lyon.edu[...] 2023-09-08
[35] 웹사이트 URL retrieved 2007-August-26. http://www.marietta.[...] Marietta.edu 2010-09-14
[36] 웹사이트 Class of 2016 Matriculates at McKendree http://www.mckendree[...] 2012-08-25
[37] 웹사이트 URL retrieved 2008-April-11 http://www2.muc.edu/[...] 2020-03-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대략적인 월까지만 표기
[38] 웹사이트 Families of New Students {{!}} Moravian University https://www.moravian[...] 2023-09-08
[39] 웹사이트 Latest News https://www.muhlenbe[...] 2023-09-08
[40] 웹사이트 Meet the Class of 2027 and Welcome to Fall Transfers https://www.rmc.edu/[...] 2023-09-08
[41] 웹사이트 R-MC :: R-MC Holds Matriculation Ceremony http://www.rmc.edu/N[...] 2010-12-23
[42] 웹사이트 Matriculation 2023 https://www.stlawu.e[...] 2023-08-20
[43] 웹사이트 Scripps College Traditions Scripps College in Claremont, California https://www.scrippsc[...] 2023-09-08
[44] 웹사이트 President's Convocation and Matriculation https://www.trincoll[...] 2023-09-08
[45] 웹사이트 The History of Matriculation Today, Tufts continues the tradition of its Matriculation Ceremony for the Class of 2025 and transfer students. Learn more about what matriculation has... By Tufts University Facebook https://www.facebook[...] 2023-09-08
[46] 웹사이트 USM Welcomes 300 New Undergraduate Students with Traditional Matriculation Ceremonies https://stmary.edu/n[...] 2023-09-08
[47] 웹사이트 Matriculation at VMI https://www.vmi.edu/[...] 2023-09-08
[48] 웹사이트 Ringing in the new – a special time at Wabash Dear Old Wabash http://blog.wabash.e[...] 2017-04-12
[49] 웹사이트 Walsh Formally Welcomes the Class of 2024 with Virtual Matriculation Ceremony https://www.walsh.ed[...] 2023-09-08
[50] 웹사이트 W&J welcomes Class of 2027 https://www.washjeff[...] 2023-08-17
[51] 웹사이트 Welcome Class of 2025! https://willamette.e[...] 2023-09-08
[52] 웹사이트 For New Medical Students, White Coats Are a Warmup https://www.latimes.[...] 2023-09-08
[53] 웹사이트 Special Students: Admissions https://web.archive.[...] 2016-01-07
[54] 웹사이트 University Special Students http://continuingstu[...] 2016-01-07
[55] 웹사이트 Undergraduate Special Student Admissions http://web.mit.edu/a[...] 2016-01-07
[56] 웹사이트 Non-Matriculated Graduate Student Status https://web.archive.[...] 2016-01-07
[57] 웹사이트 Graduate Non-Matriculated Students https://web.archive.[...] 2016-01-07
[58] 웹사이트 Nonmatriculating Students https://web.archive.[...] 2016-01-07
[59] 서적 環境史年表 明治・大正編(1868-1926) 河出書房新社 2003-11-30
[60] 웹사이트 日本の大学に9月入学!9月入学や秋入学を実施している大学一覧 https://www.edubal.n[...] 株式会社トモノカイ 2024-06-24
[61] 뉴스 裏口入学、実際にあった 学部長認める「来年から全廃」 朝日新聞 1979-06-20
[62] 웹인용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시행 2010. 6.29.][대통령령 제22234호, 2010. 6.29. 일부개정] http://www.law.go.kr[...] 법제처 2010-11-21
[63] 웹인용 (보도자료)미래기획위원회, 이명박 정부의 저출산 대응전략 제시 http://www.future.go[...] 미래기획위원회 2010-11-21
[64] 뉴스인용 만5세 조기취학 '찬반논란'…넘어야 할 산 많다 http://news.sbs.co.k[...] SBS 2010-11-21
[65] 일반
[66] 일반
[67] 일반
[68] 뉴스인용 주요국 취학연령… 英만 5세, 대부분 국가는 6세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0-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