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다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다어는 주로 자바섬 서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살라카나가라 왕국, 순다 왕국 등 여러 왕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아 고대 순다 문자를 사용했다. 순다어는 현재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반텐어, 북부 순다어, 남부 순다어 등이 있다. 언어학자 로버트 블러스트에 따르면 말레이어군 및 보르네오 언어군과 관련이 있다. 순다어는 주어-서술어-목적어 어순을 따르며, 화법 레벨에 따라 단어 형태가 달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순다 문자, 라틴 문자 등 여러 문자로 표기되었으며, 현대에는 라틴 문자를 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마두라어
    마두라어는 인도네시아 마두라섬에서 사용되며 여러 방언과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SVO 어순을 따르는 언어이다.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발리어
    발리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네시아 발리섬과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복잡한 경어 표현과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발리 문자와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테툼어
    테툼어는 동티모르의 공용어 중 하나로,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 특징을 가지며, 딜리 지역을 중심으로 테툰-프라사가 널리 사용되고, 2002년 독립 이후 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베타위어
    베타위어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하고 코코스 말레이어의 기원이 되었으며, 원말레이어 방언 또는 크리올어에서 기원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 SVO형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SVO형 언어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순다어
지도 정보
순다어 분포 지도
순다어가 주로 사용되는 지역
기본 정보
언어 분류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하위 분류순다-바두이어
조상어고대 순다어
고전 순다어
방언
방언바두이어 (별개의 언어로 간주)
반텐어
판데글랑
세랑
탕에랑
바뉴마스 순다어 (사멸)
북부 해안
비농
보고르
카라왕
프레앙안
반둥
치아미스
가룻
수메당
타시크말라야
중동부
브레베스 순다어
치레본 순다어
인드라마유
마자렝카
표준어
표준어프리앙안 순다어
언어 코드
ISO 639-1su
ISO 639-2sun
ISO 639-3sun
Glottologsund1252
Linguasphere31-MFN-a

2. 역사 및 분포

순다어는 주로 자바섬 서쪽, 타타르 순다(파수단(Parahyangan))로 알려진 지역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브레베스(Brebes)와 칠라찹(Cilacap) 등 중앙 자바 서부 지역, 특히 갈후 왕국의 지배를 받았던 지역에서도 순다어가 사용된다. 칠라찹의 많은 지명은 다예우루르(Dayeuhluhur), 치망구(Cimanggu), 치파리(Cipari)와 같이 여전히 순다어 지명이며, 심지어 바뉴마스(Banyumas) 지역까지도 칠롱옥(Cilongok), 칭게불(Cingebul), 구멜라르(Gumelar) 등 순다어 지명이 존재한다.

1600년까지 순다어는 살라카나가라 왕국, 타루마나가라 왕국, 순다 왕국, 갈후 왕국, 파자자란 왕국, 수메당 라랑 왕국에서 공용어였다. 이 기간 동안 순다어는 푸르나와르만(Purnawarman) 왕 때의 '바투 타팍 카키 키리 뇨레앙(Batu Tapak Kaki Kiri Nyoreang)' 비문에서 볼 수 있듯이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팔라바 문자를 사용했다. 당시 순다어는 국가, 예술, 일상생활에서 사용되었으며, 『상향 시크사 칸당 카레시안』, 『차리타 파라히양안』, 『아마낫 갈룽궁』, 『구루 탈라파칸』과 같은 많은 종교 서적이 순다어로 쓰여졌고 고대 순다 문자를 사용했다.

또한 일부 순다어 전문가들에 따르면 6세기경까지 순다어 사용 지역은 중앙 자바의 디엥 고원까지 미쳤다고 한다. "디엥(Dieng)"이라는 이름은 디향/dihyangkaw에서 유래한 순다어 이름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순다족의 이주와 이민으로 인해 순다어 사용자들은 자바섬 밖으로도 퍼져나갔다. 예를 들어 람풍, 남수마트라, 벵쿨루, 리아우, 서칼리만탄, 동남 술라웨시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외부인 타이완, 일본, 호주 등 다른 국가에도 상당수의 순다족이 파수단(Parahyangan) 지역 외부에 거주하고 있다.

2. 1. 고대 순다어

순다어는 주로 자바섬 서쪽, 타타르 순다(파수단(Parahyangan))로 알려진 지역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브레베스(Brebes)와 칠라찹(Cilacap) 등 중앙 자바 서부 지역, 특히 갈후 왕국(Galuh Kingdom)의 지배를 받았던 지역에서도 순다어가 사용된다. 칠라찹의 많은 지명은 다예우루르(Dayeuhluhur), 치망구(Cimanggu), 치파리(Cipari)와 같이 여전히 순다어 지명이며, 심지어 바뉴마스(Banyumas) 지역까지도 칠롱옥(Cilongok), 칭게불(Cingebul), 구멜라르(Gumelar) 등 순다어 지명이 존재한다.

1600년까지 순다어는 살라카나가라(Salakanagara) 왕국, 타루마나가라(Tarumanagara) 왕국, 순다 왕국(Sunda Kingdom), 갈후 왕국(Galuh Kingdom), 파자자란(Pakuan Pajajaran) 왕국, 수메당 라랑(Sumedang Larang Kingdom) 왕국에서 공용어였다. 이 기간 동안 순다어는 푸르나와르만(Purnawarman) 왕 때의 '바투 타팍 카키 키리 뇨레앙(Batu Tapak Kaki Kiri Nyoreang)' 비문에서 볼 수 있듯이 산스크리트어(Sanskrit language)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팔라바 문자(Pallava script)를 사용했다. 당시 순다어는 국가, 예술, 일상생활에서 사용되었으며, 『상향 시크사 칸당 카레시안(Sanghyang Siksa Kandang Karesian)』, 『차리타 파라히양안(Carita Parahyangan)』, 『아마낫 갈룽궁(Amanat Galunggung)』, 『구루 탈라파칸(Guru Talapakan)』과 같은 많은 종교 서적이 순다어로 쓰여졌고 고대 순다 문자(Old Sundanese script)를 사용했다.

또한 일부 순다어 전문가들에 따르면 6세기경까지 순다어 사용 지역은 중앙 자바의 디엥 고원(Dieng Plateau)까지 미쳤다고 한다. "디엥(Dieng)"이라는 이름은 디향/dihyangkaw에서 유래한 순다어 이름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순다족의 이주와 이민으로 인해 순다어 사용자들은 자바섬(island of Java) 밖으로도 퍼져나갔다. 예를 들어 람풍(Lampung), 남수마트라(South Sumatra), 벵쿨루(Bengkulu), 리아우(Riau), 서칼리만탄(West Kalimantan), 동남 술라웨시(Southeast Sulawesi)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외부인 타이완(Taiwan), 일본(Japan), 호주(Australia) 등 다른 국가에도 상당수의 순다족이 파수단(Parahyangan) 지역 외부에 거주하고 있다.

2. 2. 현대 순다어

순다어는 주로 자바섬 서쪽, 타타르 순다(파수단(Parahyangan))로 알려진 지역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브레베스(Brebes)와 칠라찹(Cilacap) 등 중앙 자바 서부 지역, 특히 갈후 왕국(Galuh Kingdom)의 지배를 받았던 지역에서도 순다어가 사용된다. 칠라찹의 많은 지명은 다예우루르(Dayeuhluhur), 치망구(Cimanggu), 치파리(Cipari)와 같이 여전히 순다어 지명이며, 심지어 바뉴마스(Banyumas) 지역까지도 칠롱옥(Cilongok), 칭게불(Cingebul), 구멜라르(Gumelar) 등 순다어 지명이 존재한다.

1600년까지 순다어는 살라카나가라(Salakanagara) 왕국, 타루마나가라(Tarumanagara) 왕국, 순다 왕국(Sunda Kingdom), 갈후 왕국(Galuh Kingdom), 파자자란(Pakuan Pajajaran) 왕국, 수메당 라랑(Sumedang Larang Kingdom) 왕국에서 공용어였다. 이 기간 동안 순다어는 푸르나와르만(Purnawarman) 왕 때의 '바투 타팍 카키 키리 뇨레앙(Batu Tapak Kaki Kiri Nyoreang)' 비문에서 볼 수 있듯이 산스크리트어(Sanskrit language)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팔라바 문자(Pallava script)를 사용했다. 당시 순다어는 국가, 예술, 일상생활에서 사용되었으며, 『상향 시크사 칸당 카레시안(Sanghyang Siksa Kandang Karesian)』, 『차리타 파라히양안(Carita Parahyangan)』, 『아마낫 갈룽궁(Amanat Galunggung)』, 『구루 탈라파칸(Guru Talapakan)』과 같은 많은 종교 서적이 고대 순다 문자(Old Sundanese script)를 사용하여 순다어로 쓰여졌다.

일부 순다어 전문가들에 따르면 6세기경까지 순다어 사용 지역은 중앙 자바의 디엥 고원(Dieng Plateau)까지 미쳤다고 한다. "디엥(Dieng)"이라는 이름은 고대 순다어(Old Sundanese language) 단어인 "디향(dihyang)"에서 유래한 순다어 이름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순다족의 이주와 이민으로 인해 순다어 사용자들은 자바섬(island of Java) 밖으로도 퍼져나갔다. 예를 들어 람풍(Lampung), 남수마트라(South Sumatra), 벵쿨루(Bengkulu), 리아우(Riau), 서칼리만탄(West Kalimantan), 동남 술라웨시(Southeast Sulawesi)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외부인 타이완(Taiwan), 일본(Japan),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 등 다른 국가에도 상당수의 순다족이 파수단(Parahyangan) 지역 외부에 거주하고 있다.

3. 분류

미국의 언어학자 로버트 블러스트(Robert Blust)에 따르면, 순다어는 말레이어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보르네오에서 사용되는 언어군, 예를 들어 다야크어군(Land Dayak languages)이나 카얀-무릭어군(Kayan–Murik languages)과도 높은 어휘 유사성을 바탕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한다.

4. 방언

순다어는 여러 방언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거주 지역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2]

자와 서부주, 반텐주, 중부 자와주 서부, 및 자카르타의 언어 지도

  • 서부 방언: 반텐주, (특히 자싱가 지역) 서부, 그리고 람풍주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2]
  • 북부 방언: 보고르군과 자와 서부주의 북서부 해안 지역에서 사용된다.[2]
  • 남부 또는 프리아응 방언: 수카부미, 수메당, 치안주르, 반둥, 가룻, 그리고 타식말라야에서 사용된다.[2] 순다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순다어로 ''Parahyangan'')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프리아응 방언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순다어이며, 자와 서부주와 반텐주에서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12학년에 해당)까지 교육된다.
  • 중동부 방언: 치레본, 마잘랑카, 그리고 인드라마유 남부 지역에서 사용된다.[2]
  • 북동부 방언: 쿠닝안(자와 서부주)과 브레베스(중부 자와주)에서 사용된다.[2]
  • 남동부 방언: 치아미스, 팡안다랑, 반자르, 그리고 칠라찹(중부 자와주)에서 사용된다.[2]


순다어 방언에는 반텐 방언(Banten), 보고르 방언(Bogor), 프리아간 방언(priangan), 치레본 방언(Cirebon)의 네 가지가 있으며, 그중 분포 범위가 넓은 프리아간 방언이 순다어의 기반이 된다.

4. 1. 반텐 방언 (서부 방언)

반텐 방언은 반텐주, (특히 자싱가 지역) 서부, 그리고 람풍주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2]

4. 2. 보고르 방언 (북부 방언)

보고르 방언은 보고르군과 자와 서부주의 북서부 해안 지역에서 사용된다.[2] 특히 보고르군 서부의 자싱가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은 서부 방언의 특징을 일부 공유한다. 순다어 방언은 크게 반텐 방언, 보고르 방언, 프리아간 방언, 치레본 방언의 네 가지로 나뉘며, 이 중 프리아간 방언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4. 3. 프리아간 방언 (남부 방언)

수카부미, 수메당, 치안주르, 반둥, 가룻, 그리고 타식말라야에서 사용되는 프리아응 방언은 순다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순다어로 ''Parahyangan'')을 중심으로 사용된다.[2] 자와 서부주와 반텐주에서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12학년에 해당)까지 교육될정도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순다어이며, 순다어 방언중 분포 범위가 넓어 순다어의 기반이 된다.[2]

4. 4. 치레본 방언 (중동부 방언)

치레본, 마잘랑카, 그리고 인드라마유 남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순다어 방언이다.[2]

4. 5. 브레베스 방언 (북동부 방언)



북동부 방언은 쿠닝안(자와 서부주)과 브레베스(중부 자와주)에서 사용된다.[2]

4. 6. 치아미스 방언 (남동부 방언)

자와 서부주 치아미스, 팡안다랑, 반자르, 그리고 중부 자와주 칠라찹에서 사용된다.[2]

5. 문자

순다 문자는 순다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 문자 체계이다. 순다어는 역사를 통틀어 여러 가지 서체로 기록되어 왔다. 순다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기록들은 고대 순다 문자(아크사라 순다 쿠노/Aksara Sunda Kunoid)로 쓰여졌다.[3] 이슬람교의 도래 이후에는 주로 종교적인 목적으로 페곤 문자가 사용되었다. 유럽인들의 도래 이후에는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12세기 또는 13세기까지는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고, 17세기까지는 자바 문자로 표기되었다. 19세기 중반부터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순다 문자도 존재하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현대에는 순다어 문학의 대부분이 라틴 문자로 쓰여진다. 한편, 서자바와 반텐의 지역 정부는 공공장소와 도로 표지판에 표준 순다 문자(아크사라 순다 바쿠/Aksara Sunda Bakuid) 사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페곤 문자는 현재 대부분 페산트렌(이슬람 기숙학교)과 순다 이슬람 문학에서 사용되지만,[3] 렘방과 타식말라야와 같은 특정 지역의 공공장소와 도로 표지판에서 여전히 간혹 볼 수 있다.[4][5]

5. 1. 고대 순다 문자

순다어는 역사를 통틀어 여러 가지 서체로 기록되어 왔다. 순다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기록들은 고대 순다 문자(아크사라 순다 쿠노/Aksara Sunda Kunoid)로 쓰여졌다.[3] 이슬람교의 도래 이후에는 주로 종교적인 목적으로 페곤 문자가 사용되었다. 유럽인들의 도래 이후에는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대에는 순다어 문학의 대부분이 라틴 문자로 쓰여진다. 한편, 서자바와 반텐의 지역 정부는 공공장소와 도로 표지판에 표준 순다 문자(아크사라 순다 바쿠/Aksara Sunda Bakuid) 사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3] 렘방과 타식말라야와 같은 특정 지역의 공공장소와 도로 표지판에서 페곤 문자를 간혹 볼 수 있다.[4][5]

12세기 또는 13세기까지는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고, 17세기까지는 자바 문자로 표기되었다. 19세기 중반부터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순다 문자도 존재하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5. 2. 페곤 문자

순다어는 역사를 통틀어 여러 가지 서체로 기록되어 왔다. 순다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기록들은 고대 순다 문자(Aksara Sunda Kunoid)로 쓰여졌다.[3] 이슬람교의 도래 이후에는 주로 종교적인 목적으로 페곤 문자가 사용되었다.[3] 유럽인들의 도래 이후에는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다.[3] 12세기 또는 13세기까지는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고, 17세기까지는 자바 문자로 표기되었다. 19세기 중반부터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순다 문자도 존재하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현대에는 순다어 문학의 대부분이 라틴 문자로 쓰여진다. 한편, 서자바와 반텐의 지역 정부는 공공장소와 도로 표지판에 표준 순다 문자(Aksara Sunda Bakuid) 사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페곤 문자는 현재 대부분 페산트렌(이슬람 기숙학교)과 순다 이슬람 문학에서 사용되지만,[3] 렘방과 타식말라야와 같은 특정 지역의 공공장소와 도로 표지판에서 여전히 간혹 볼 수 있다.[4][5]

5. 3. 자바 문자

순다어는 역사를 통틀어 여러 가지 서체로 기록되어 왔다. 순다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기록들은 고대 순다 문자(아크사라 순다 쿠노/Aksara Sunda Kunoid)로 쓰여졌다. 이슬람교의 도래 이후에는 주로 종교적인 목적으로 페곤 문자가 사용되었다.[3] 유럽인들의 도래 이후에는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19세기 중반부터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대에는 순다어 문학의 대부분이 라틴 문자로 쓰여진다.

서자바와 반텐의 지역 정부는 공공장소와 도로 표지판에 표준 순다 문자(아크사라 순다 바쿠/Aksara Sunda Bakuid) 사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페곤 문자는 현재 대부분 페산트렌(이슬람 기숙학교)과 순다 이슬람 문학에서 사용되지만,[3] 렘방과 타식말라야와 같은 특정 지역의 공공장소와 도로 표지판에서 여전히 간혹 볼 수 있다.[4][5] 12세기 또는 13세기까지는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고, 17세기까지는 자바 문자로 표기되었다. 순다 문자도 존재하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5. 4. 라틴 문자

순다어는 역사를 통틀어 여러 가지 서체로 기록되어 왔다. 순다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기록들은 고대 순다 문자(아크사라 순다 쿠노/Aksara Sunda Kunoid)로 쓰여졌다. 이슬람교의 도래 이후에는 주로 종교적인 목적으로 페곤 문자가 사용되었다. 유럽인들의 도래 이후에는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대에는 순다어 문학의 대부분이 라틴 문자로 쓰여진다.[3] 한편, 서자바와 반텐의 지역 정부는 공공장소와 도로 표지판에 표준 순다 문자(아크사라 순다 바쿠/Aksara Sunda Bakuid) 사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페곤 문자는 현재 대부분 페산트렌(이슬람 기숙학교)과 순다 이슬람 문학에서 사용되지만, 렘방과 타식말라야와 같은 특정 지역의 공공장소와 도로 표지판에서 여전히 간혹 볼 수 있다.[4][5] 12세기 또는 13세기까지는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고, 17세기까지는 자바 문자로 표기되었다. 19세기 중반부터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5. 5. 순다 문자

순다어는 역사를 통틀어 여러 가지 서체로 기록되어 왔다. 순다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기록들은 고대 순다 문자(아크사라 순다 쿠노/Aksara Sunda Kunoid)로 쓰여졌다. 이슬람교의 도래 이후에는 주로 종교적인 목적으로 페곤 문자가 사용되었다. 유럽인들의 도래 이후에는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대에는 순다어 문학의 대부분이 라틴 문자로 쓰여진다.[3] 한편, 서자바와 반텐의 지역 정부는 공공장소와 도로 표지판에 표준 순다 문자(아크사라 순다 바쿠/Aksara Sunda Bakuid) 사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페곤 문자는 현재 대부분 페산트렌(이슬람 기숙학교)과 순다 이슬람 문학에서 사용되지만, 렘방과 타식말라야와 같은 특정 지역의 공공장소와 도로 표지판에서 여전히 간혹 볼 수 있다.[4][5]

12세기 또는 13세기까지는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고, 17세기까지는 자바 문자로 표기되었다. 19세기 중반부터 라틴 문자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순다 문자도 존재하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6. 음운

순다어 정서는 매우 음소적인 특징을 지닌다(순다 문자 참조).[6] 짧은 모음 7개와 자음 20개로 이루어져 있다.

== 홀소리 (모음) ==

순다어에는 총 7개의 모음이 있다. a는 /a/, é는 /ɛ/, i는 /i/, o는 /ɔ/, u는 /u/, e는 /ə/, eu는 /ɨ/로 소리낸다.[6]



== 닿소리 (자음) ==

순다어 음운론에는 18개의 자음이 있다. 뮬러-고타마(2001)에 따르면 /b/, /tʃ/, /d/, /ɡ/, /h/, /dʒ/, /k/, /l/, /m/, /n/, /p/, /r/, /s/, /ŋ/, /t/, /ɲ/, /w/, /j/와 같다. 그러나 외국어의 영향으로 /f/, /v/, /z/ (''fonem'', ''qur'an'', ''xerox'', ''zakat''과 같이) 와 같은 몇몇 추가적인 자음이 도입되었다.



자음 음소는 p, b, t, d, k, g, c (/t͡ʃ/), j (/d͡ʒ/), h, ng (/ŋ/), ny (/ɲ/), m, n, s (/s/), w, l, r (/r~ɾ/), y (/j/)의 문자로 표기된다. 인도네시아어 차용어에 원래 나타나는 다른 자음들은 대부분 고유 자음으로 전환된다: f/v /f/ → p, sy /ʃ/ → s, z /z/ → j, 그리고 kh /x/ → h.

삽입된 반모음 /w/과 /j/는 고모음 바로 뒤에 다른 모음이 오는 경우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kuéh (/ku'''w'''ɛh/), muih (/mu'''w'''ih/), béar (/be'''j'''ar/), miang (/mi'''j'''aŋ/), eweuh (/ɜ'''w'''ɜh/)와 같은 단어에서 나타난다. 순다어에서는 일반적으로 f, v, z는 외래어에만 사용된다. 인도네시아어 차용어에서는 f→p, v→p, sy→s, sh→s, z→j, kh→h와 같이 바뀐다.

6. 1. 홀소리 (모음)

순다어에는 총 7개의 모음이 있다. a는 /a/, é는 /ɛ/, i는 /i/, o는 /ɔ/, u는 /u/, e는 /ə/, eu는 /ɨ/로 소리낸다.[6]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eu(/ɨ/)u
중모음é(/ɛ/)e(/ə/)o(/ɔ/)
저모음a


6. 2. 닿소리 (자음)

순다어 음운론에는 18개의 자음이 있다. 뮬러-고타마(2001)에 따르면 /b/, /tʃ/, /d/, /ɡ/, /h/, /dʒ/, /k/, /l/, /m/, /n/, /p/, /r/, /s/, /ŋ/, /t/, /ɲ/, /w/, /j/와 같다. 그러나 외국어의 영향으로 /f/, /v/, /z/ (''fonem'', ''qur'an'', ''xerox'', ''zakat''과 같이) 와 같은 몇몇 추가적인 자음이 도입되었다.



자음 음소는 p, b, t, d, k, g, c (/t͡ʃ/), j (/d͡ʒ/), h, ng (/ŋ/), ny (/ɲ/), m, n, s (/s/), w, l, r (/r~ɾ/), y (/j/)의 문자로 표기된다. 인도네시아어 차용어에 원래 나타나는 다른 자음들은 대부분 고유 자음으로 전환된다: f/v /f/ → p, sy /ʃ/ → s, z /z/ → j, 그리고 kh /x/ → h.

삽입된 반모음 /w/과 /j/는 고모음 바로 뒤에 다른 모음이 오는 경우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kuéh (/ku'''w'''ɛh/), muih (/mu'''w'''ih/), béar (/be'''j'''ar/), miang (/mi'''j'''aŋ/), eweuh (/ɜ'''w'''ɜh/)와 같은 단어에서 나타난다. 순다어에서는 일반적으로 f, v, z는 외래어에만 사용된다. 인도네시아어 차용어에서는 f→p, v→p, sy→s, sh→s, z→j, kh→h와 같이 바뀐다.

7. 문법

순다어는 주어→서술어→목적어 어순을 따른다. 수식받는 말이 수식하는 말 앞에 온다.

순다어는 정중함의 정도를 구분하는 정교한 화법 레벨 체계를 가지고 있다.[7] 초기에는 순다어의 화법 레벨이 6단계(''basa kasar''(거친), ''sedeng''(중간), ''lemes''(정중한), ''lemes pisan''(매우 정중한), ''kasar pisan''(매우 거친), 그리고 ''basa panengah''(중간))로 알려졌다. 그러나 1988년 보고르에서 열린 순다어 회의 이후 화법 레벨은 ''basa hormat''(정중한)과 ''basa loma''(일반적인) 두 가지로 축소되었다. 뿐만 아니라 용어도 "''tatakrama basa''"(언어 예절)로 변경되었지만, 본질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hormat'' 변형어는 존경을 표현하는 미묘한 언어인 반면, ''loma'' 변형어는 일반적이고, 중립적이며, 친근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 ''loma'' 변형어는 순다 사회에서 일종의 표준 서면어로 사용된다. 순다어 잡지, 신문, 문학 작품 및 논문은 대부분 ''loma'' 변형어를 사용한다.

위의 두 레벨 외에도, ''cohag''(거친)이라는 가장 낮은 레벨이 있다. 이 레벨은 화자가 화가 났거나 친밀감을 표현할 때만 사용된다. 이 화법 레벨은 프리아항 순다어 방언에서만 발견되며, 반텐어와 같은 다른 방언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많은 단어는 ''loma''와 ''lemes'' 형태가 구분된다. 예를 들어, "원하다"는 뜻의 aréksun(''loma'')와 badésun(''lemes''), "읽다"는 뜻의 macasun(''loma'')와 maossun(''lemes'')가 있다. ''lemes'' 레벨에서는, 어떤 단어는 겸손한 형태와 정중한 형태로 더 세분화되는데, 전자는 자신을 가리킬 때, 후자는 상대방과 제3자를 가리킬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내 집"은 rorompoksun, "(당신 또는 다른 사람의) 집"은 bumisun이고 (''loma'' 형태는 imahsun이다).

이와 유사한 화법 레벨 체계는 일본어, 한국어, 그리고 태국어에서도 발견된다.

영어순다어(공식)순다어(정중)
먹다dahartuang (다른 사람을 위한)
neda (나를 위한)
마시다inumleueut
쓰다tulisserat
읽다macamaos
잊다poholali (다른 사람이)
hilap (내가)
기억하다ingetémut
앉다diuklinggih (다른 사람이)
calik (내가)
서다nangtungngadeg
걷다leumpangnyacat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특히 인도네시아 서부의 언어들)은 복수형을 만들 때 일반적으로 중복을 사용한다. 그러나 순다어는 어근 단어에 접미사 'ar'을 삽입한다. 어근 단어가 'l'로 시작하거나 접미사 다음에 'r'이 포함된 경우 접미사 'ar'은 'al'이 된다. 또한 다른 순다어 접미사(예: 'um')와 마찬가지로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접미사는 접두사가 된다.

예:


  • 'Mangga A, t'''ar'''ahuna haneut kénéh'. "실례합니다, 두부가 아직 따뜻합니다." 'tahu'(두부)의 복수형은 처음 자음 뒤에 'ar'을 삽입하여 만들어진다.
  • 'B'''ar'''udak leutik l'''al'''umpatan.' "어린 아이들이 뛰어다닌다." 'Barudak'(아이들)은 'budak'(아이)에 접미사 'ar'을 붙여 만들어졌다; 'lumpat'(뛰다)에서 접미사 'ar'은 'lumpat'이 'l'로 시작하기 때문에 'al'이 된다.
  • 'Ieu kaén batik '''ar'''alus sadayana'. "이 바틱 옷들은 모두 아름답습니다." 'alus'(좋은, 아름다운)에 접미사 'ar'을 붙여 만들어졌는데, 'alus'가 모음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접두사가 된다. 이것은 복수의 주어/명사(바틱 옷)에 대한 "아름다운"이라는 형용사를 나타낸다.
  • 'Siswa sakola éta mah b'''al'''ageur.' "그 학교 학생들은 행실이 좋다." 'bageur'("행실이 좋은, 착한, 예의 바른, 친절한")에 접미사 'ar'을 붙여 만들어졌는데, 어근에 'r'이 있기 때문에 'al'이 된다. 이것은 복수의 학생들에게 "행실이 좋은"이라는 형용사를 나타낸다.


그러나 (4)에서 예시된 것처럼 'r'이 이웃하는 음절의 음절 시작 부분에 있는 경우에는 'al' 대신 'ar'을 사용하는 것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형용사 'curiga'(의심스러운)의 복수형은 'caruriga'이고 *'caluriga'가 아닌데, 그 이유는 어근의 'r'이 다음 음절의 시작 부분에 나타나기 때문이다.[8]

접두사는 '매우-'를 나타내거나 집단의 복수를 나타내기 위해 중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arar'''udak"은 매우 많은 아이들 또는 많은 아이들의 무리를 나타낸다('budak'은 순다어로 아이이다). 또 다른 예로 "b'''alal'''ageur"는 "매우 행실이 좋은"의 복수 형용사를 나타낸다.

대부분의 순다어 동사의 활동형은 '앉다'를 뜻하는 ''diuk''이나 '먹다'를 뜻하는 ''dahar''처럼 어근과 동일하다. 일부는 어근의 첫 음소에 따라 달라진다.

  • 어근의 첫 음소가 , , , , , , , , , 인 경우, ''ngadahar''처럼 접두사 ''nga''가 붙는다.
  • 어근의 첫 음소가 , , , , 인 경우, ''nginum''("마시다")처럼 접두사 ''ng''이 붙는다.


순다어에는 문장을 부정하는 데 사용되는 여러 단어가 있다. 이 단어들은 또한 공손한 (''lemes'') 어체와 비공손한 (''loma'') 어체, 그리고 방언에 따라 다릅니다.

프리아응 순다어에서 정중한 부정은 대부분의 동사에 '''henteu'''(짧은 형태인 '''teu'''도 일반적으로 사용됨)를 추가하여 이루어진다(영어의 "do" 또는 "does"에 "not"을 추가하는 것과 유사). 주어가 형용사나 명사와 연결되는 절(영어에서는 일반적으로 "be"와 같은 연결 동사가 필요함)을 부정할 때는 '''sanés'''를 사용한다.

  • ''Abdi '''teu''' acan neda''. "저는 아직 먹지 않았습니다."

이 문장에서 "acan"은 화자가 무언가를 하지 않았지만 곧 할 것임을 나타냅니다.

  • ''Buku abdi mah '''sanés''' nu ieu''. "제 책은 이것이 아닙니다."


절을 부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단어로는 '''moal'''(화자가 무언가를 하지 않을 것임을 나타냄)과 '''alim'''(화자가 무언가를 하고 싶어하지 않음을 나타냄)이 있습니다. 다른 순다어 방언은 문장을 부정하는 다른 방법을 가질 수 있습니다.

다양한 비격식 부정 보조어가 존재한다. 프리아항 순다어에서는 여러 단어를 사용하여 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 ''Urang '''acan''' dahar''. "아직 먹지 않았습니다."

짧은 형태인 ''can''도 특히 구어체에서 흔히 사용됩니다.

  • ''Buku Urang mah '''lain''' nu ieu''. "제 책은 이것이 아닙니다."

''lain''은 ''sanés''의 비격식적 변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Moal'''과 그 좀 더 긴 형태인 '''moal waka'''도 비격식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른 단어로는 ''teu hayang''(문맥에 따라 공격적으로 들릴 수도 있음)과 '''embung'''(다소 ''alim''의 비격식적 대응어)이 있습니다.

순다어에는 인칭, 시제, 상에 따른 동사 활용이 존재하지 않는다. 시제나 상은 동사 앞에 그 의미를 나타내는 어휘를 놓는 방식으로 표현한다.

  • 미래: arék 또는 badé + 동사

Taro ngapalkeun basa Sunda. (타로는 순다어를 공부한다.) → Taro arék ngapalkeun basa Sunda. (타로는 순다어를 공부할 것이다.)

  • 과거, 완료: enggeus 또는 parantos + 동사

Taro enggeus ngapalkeun basa Sunda. (타로는 순다어를 이미 공부했다.)

  • 진행형: keun 또는 nuju + 동사

Taro keur ngapalkeun basa Sunda. (타로는 순다어를 공부하고 있다.)

  • 경험: kungsi + 동사

Taro kungsi ngapalkeun basa Sunda. (타로는 순다어를 공부한 적이 있다.)

  • 개시: kakara + 동사

Taro kakara ngapalkeun basa Sunda. (타로는 순다어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공손체:

  • ''Buku dibantun ku abdi.'' "책은 제가 가져왔습니다." ''Dibantun''은 "가져오다"라는 뜻의 ''ngabantun''의 수동태입니다.
  • ''Pulpén ditambut ku abdi.'' "펜은 제가 빌렸습니다."
  • ''Soal ieu dipidamel ku abdi.'' "이 문제는 제가 풀었습니다."
  • ''Kacasoca dianggo ku abdi.'' "안경은 제가 썼습니다."


정중체:

  • ''Buku dibawa ku urang.'' "책은 제가 가져왔습니다." ''Dibawa''는 "가져오다"라는 뜻의 ''mawa''의 수동태입니다.
  • ''Pulpén diinjeum ku urang.'' "펜은 제가 빌렸습니다."
  • ''Soal ieu digawékeun ku urang.'' "이 문제는 제가 풀었습니다."
  • ''Tasma dipaké ku urang.'' "안경은 제가 썼습니다."


수동태는 접두사 ka-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bawa(운반하다) → kabawa(운반되다)

관계절은 선행사 다음에 `anu` 또는 `nu`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buku(책) `nu` kudu(∼해야 한다) baca(읽다) → 읽어야 하는 책


두피 (공손한 상황)/아리 (격식을 갖춘 상황) - (의문문)

예:

공손한 경우:

  • ''두피 투앙 라마 뇨돈 디 부미?'' "아버지께서 집에 계세요?"
  • ''두피 부미 디 팔리 마나?'' "어디에 사세요?"


격식을 갖춘 경우:

  • ''아리 바파 아야 디 이마?'' "아버지께서 집에 계세요?"
  • ''아리 이마 디 벌라 마나?'' "어디에 사세요?"


영어순다어
(공식)
순다어
(정중)
인도네시아어
무엇naonapa
누구
형식어공손한 표현의미
di jerodi lebet안쪽
di luardi luar바깥쪽
di gigirdi gédéng옆에
di luhurdi luhur위에
di handapdi handap아래에
di tukangdi pengker뒤에
di hareupdi payun앞에



''Di gigir/luhur/handap/tukang/hareup'' (또한 ''ka gigir'', ''ti gigir'' 등)은 뒤에 명사가 없는 절대 부사 표현이다. 상대적 위치를 표현하려면 접미사 ''-eun''을 추가해야 한다. 예:

공손한 표현:


  • ''di luhur bumi'' – '집 위에'
  • ''dina luhur lomari'' – '찬장 위에'
  • ''ti pengker bumi'' – '집 뒤에서', 다른 표현: pengkereun bumi
  • ''tina pengker lomari'' – '찬장 뒤에서'


형식어:

  • ''di luhureun imah'' – '집 위에'
  • ''dina luhureun lomari'' – '찬장 위에'
  • ''ti tukangeun imah'' – '집 뒤에서'
  • ''tina tukangeun lomari'' – '찬장 뒤에서'


''Di jero,'' ''di luar'' 그리고 공손한 표현인 ''luhur'' & ''pengker''는 명사가 뒤에 오든 안 오든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영어순다어
(공식)
순다어
(정중)
이전에saacan/saméméhsateuacan
이후에sanggeussaparantos
동안에basanalika
과거에baheulakapungkur



영어순다어
(공식)
순다어
(정중)
~에서tina/titina/ti
~을 위해jang, paragikanggo/kanggé


7. 1. 어순

순다어는 주어→서술어→목적어 어순을 따른다. 수식받는 말이 수식하는 말 앞에 온다.

7. 2. 존댓말 (경어법)

순다어는 정중함의 정도를 구분하는 정교한 화법 레벨 체계를 가지고 있다.[7] 초기에는 순다어의 화법 레벨이 6단계(''basa kasar''(거친), ''sedeng''(중간), ''lemes''(정중한), ''lemes pisan''(매우 정중한), ''kasar pisan''(매우 거친), 그리고 ''basa panengah''(중간))로 알려졌다. 그러나 1988년 보고르에서 열린 순다어 회의 이후 화법 레벨은 ''basa hormat''(정중한)과 ''basa loma''(일반적인) 두 가지로 축소되었다. 뿐만 아니라 용어도 "''tatakrama basa''"(언어 예절)로 변경되었지만, 본질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hormat'' 변형어는 존경을 표현하는 미묘한 언어인 반면, ''loma'' 변형어는 일반적이고, 중립적이며, 친근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 ''loma'' 변형어는 순다 사회에서 일종의 표준 서면어로 사용된다. 순다어 잡지, 신문, 문학 작품 및 논문은 대부분 ''loma'' 변형어를 사용한다.

위의 두 레벨 외에도, ''cohag''(거친)이라는 가장 낮은 레벨이 있다. 이 레벨은 화자가 화가 났거나 친밀감을 표현할 때만 사용된다. 이 화법 레벨은 프리아항 순다어 방언에서만 발견되며, 반텐어와 같은 다른 방언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많은 단어는 ''loma''와 ''lemes'' 형태가 구분된다. 예를 들어, "원하다"는 뜻의 aréksun(''loma'')와 badésun(''lemes''), "읽다"는 뜻의 macasun(''loma'')와 maossun(''lemes'')가 있다. ''lemes'' 레벨에서는, 어떤 단어는 겸손한 형태와 정중한 형태로 더 세분화되는데, 전자는 자신을 가리킬 때, 후자는 상대방과 제3자를 가리킬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내 집"은 rorompoksun, "(당신 또는 다른 사람의) 집"은 bumisun이고 (''loma'' 형태는 imahsun이다).

이와 유사한 화법 레벨 체계는 일본어, 한국어, 그리고 태국어에서도 발견된다.

7. 2. 1. 겸양어와 존경어

순다어는 정중함의 정도를 구분하는 정교한 화법 레벨 체계를 가지고 있다.[7] 초기에는 순다어의 화법 레벨이 6단계로 알려졌는데, ''basa kasar''(거친), ''sedeng''(중간), ''lemes''(정중한), ''lemes pisan''(매우 정중한), ''kasar pisan''(매우 거친), 그리고 ''basa panengah''(중간)이었다. 그러나 1988년 보고르에서 열린 순다어 회의 이후 화법 레벨은 ''basa hormat''(정중한)과 ''basa loma''(일반적인) 두 가지로 축소되었다. 뿐만 아니라 용어도 "''tatakrama basa''"(언어 예절)로 변경되었지만, 본질은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hormat'' 변형어는 존경을 표현하는 미묘한 언어인 반면, ''loma'' 변형어는 일반적이고, 중립적이며, 친근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 ''loma'' 변형어는 순다 사회에서 일종의 표준 서면어로 사용된다. 순다어 잡지, 신문, 문학 작품 및 논문은 대부분 ''loma'' 변형어를 사용한다.

위의 두 레벨 외에도, ''cohag''(거친)이라는 가장 낮은 레벨이 있다. 이 레벨은 화자가 화가 났거나 친밀감을 표현할 때만 사용된다. 이 화법 레벨은 프리아항 순다어 방언에서만 발견되며, 반텐어와 같은 다른 방언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많은 단어는 ''loma''와 ''lemes'' 형태가 구분된다. 예를 들어, "원하다"는 뜻의 aréksun(''loma'')와 badésun(''lemes''), "읽다"는 뜻의 macasun(''loma'')와 maossun(''lemes'')가 있다. ''lemes'' 레벨에서는, 어떤 단어는 겸손한 형태와 정중한 형태로 더 세분화되는데, 전자는 자신을 가리킬 때, 후자는 상대방과 제3자를 가리킬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내 집"은 rorompoksun, "(당신 또는 다른 사람의) 집"은 bumisun이고 (''loma'' 형태는 imahsun이다).

이와 유사한 화법 레벨 체계는 일본어, 한국어, 그리고 태국어에서도 발견된다.

7. 3. 동사

neda (나를 위한)
마시다inumleueut
쓰다tulisserat
읽다macamaos
잊다poholali (다른 사람이)
hilap (내가)
기억하다ingetémut
앉다diuklinggih (다른 사람이)
calik (내가)
서다nangtungngadeg
걷다leumpangnyacat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특히 인도네시아 서부의 언어들)은 복수형을 만들 때 일반적으로 중복을 사용한다. 그러나 순다어는 어근 단어에 접미사 'ar'을 삽입한다. 어근 단어가 'l'로 시작하거나 접미사 다음에 'r'이 포함된 경우 접미사 'ar'은 'al'이 된다. 또한 다른 순다어 접미사(예: 'um')와 마찬가지로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접미사는 접두사가 된다.

예:


  • 'Mangga A, t'''ar'''ahuna haneut kénéh'. "실례합니다, 두부가 아직 따뜻합니다." 'tahu'(두부)의 복수형은 처음 자음 뒤에 'ar'을 삽입하여 만들어진다.
  • 'B'''ar'''udak leutik l'''al'''umpatan.' "어린 아이들이 뛰어다닌다." 'Barudak'(아이들)은 'budak'(아이)에 접미사 'ar'을 붙여 만들어졌다; 'lumpat'(뛰다)에서 접미사 'ar'은 'lumpat'이 'l'로 시작하기 때문에 'al'이 된다.
  • 'Ieu kaén batik '''ar'''alus sadayana'. "이 바틱 옷들은 모두 아름답습니다." 'alus'(좋은, 아름다운)에 접미사 'ar'을 붙여 만들어졌는데, 'alus'가 모음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접두사가 된다. 이것은 복수의 주어/명사(바틱 옷)에 대한 "아름다운"이라는 형용사를 나타낸다.
  • 'Siswa sakola éta mah b'''al'''ageur.' "그 학교 학생들은 행실이 좋다." 'bageur'("행실이 좋은, 착한, 예의 바른, 친절한")에 접미사 'ar'을 붙여 만들어졌는데, 어근에 'r'이 있기 때문에 'al'이 된다. 이것은 복수의 학생들에게 "행실이 좋은"이라는 형용사를 나타낸다.


그러나 (4)에서 예시된 것처럼 'r'이 이웃하는 음절의 음절 시작 부분에 있는 경우에는 'al' 대신 'ar'을 사용하는 것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형용사 'curiga'(의심스러운)의 복수형은 'caruriga'이고 *'caluriga'가 아닌데, 그 이유는 어근의 'r'이 다음 음절의 시작 부분에 나타나기 때문이다.[8]

접두사는 '매우-'를 나타내거나 집단의 복수를 나타내기 위해 중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arar'''udak"은 매우 많은 아이들 또는 많은 아이들의 무리를 나타낸다('budak'은 순다어로 아이이다). 또 다른 예로 "b'''alal'''ageur"는 "매우 행실이 좋은"의 복수 형용사를 나타낸다.

대부분의 순다어 동사의 활동형은 '앉다'를 뜻하는 ''diuk''이나 '먹다'를 뜻하는 ''dahar''처럼 어근과 동일하다. 일부는 어근의 첫 음소에 따라 달라진다.

  • 어근의 첫 음소가 , , , , , , , , , 인 경우, ''ngadahar''처럼 접두사 ''nga''가 붙는다.
  • 어근의 첫 음소가 , , , , 인 경우, ''nginum''("마시다")처럼 접두사 ''ng''이 붙는다.


순다어에는 문장을 부정하는 데 사용되는 여러 단어가 있다. 이 단어들은 또한 공손한 (''lemes'') 어체와 비공손한 (''loma'') 어체, 그리고 방언에 따라 다릅니다.

프리아응 순다어에서 정중한 부정은 대부분의 동사에 '''henteu'''(짧은 형태인 '''teu'''도 일반적으로 사용됨)를 추가하여 이루어진다(영어의 "do" 또는 "does"에 "not"을 추가하는 것과 유사). 주어가 형용사나 명사와 연결되는 절(영어에서는 일반적으로 "be"와 같은 연결 동사가 필요함)을 부정할 때는 '''sanés'''를 사용한다.

  • ''Abdi '''teu''' acan neda''. "저는 아직 먹지 않았습니다."

이 문장에서 "acan"은 화자가 무언가를 하지 않았지만 곧 할 것임을 나타냅니다.

  • ''Buku abdi mah '''sanés''' nu ieu''. "제 책은 이것이 아닙니다."


절을 부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단어로는 '''moal'''(화자가 무언가를 하지 않을 것임을 나타냄)과 '''alim'''(화자가 무언가를 하고 싶어하지 않음을 나타냄)이 있습니다. 다른 순다어 방언은 문장을 부정하는 다른 방법을 가질 수 있습니다.

다양한 비격식 부정 보조어가 존재한다. 프리아항 순다어에서는 여러 단어를 사용하여 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 ''Urang '''acan''' dahar''. "아직 먹지 않았습니다."

짧은 형태인 ''can''도 특히 구어체에서 흔히 사용됩니다.

  • ''Buku Urang mah '''lain''' nu ieu''. "제 책은 이것이 아닙니다."

''lain''은 ''sanés''의 비격식적 변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Moal'''과 그 좀 더 긴 형태인 '''moal waka'''도 비격식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른 단어로는 ''teu hayang''(문맥에 따라 공격적으로 들릴 수도 있음)과 '''embung'''(다소 ''alim''의 비격식적 대응어)이 있습니다.

순다어에는 인칭, 시제, 상에 따른 동사 활용이 존재하지 않는다. 시제나 상은 동사 앞에 그 의미를 나타내는 어휘를 놓는 방식으로 표현한다.

  • 미래: arék 또는 badé + 동사

Taro ngapalkeun basa Sunda. (타로는 순다어를 공부한다.) → Taro arék ngapalkeun basa Sunda. (타로는 순다어를 공부할 것이다.)

  • 과거, 완료: enggeus 또는 parantos + 동사

Taro enggeus ngapalkeun basa Sunda. (타로는 순다어를 이미 공부했다.)

  • 진행형: keun 또는 nuju + 동사

Taro keur ngapalkeun basa Sunda. (타로는 순다어를 공부하고 있다.)

  • 경험: kungsi + 동사

Taro kungsi ngapalkeun basa Sunda. (타로는 순다어를 공부한 적이 있다.)

  • 개시: kakara + 동사

Taro kakara ngapalkeun basa Sunda. (타로는 순다어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 수동태

공손체:

  • ''Buku dibantun ku abdi.'' "책은 제가 가져왔습니다." ''Dibantun''은 "가져오다"라는 뜻의 ''ngabantun''의 수동태입니다.
  • ''Pulpén ditambut ku abdi.'' "펜은 제가 빌렸습니다."
  • ''Soal ieu dipidamel ku abdi.'' "이 문제는 제가 풀었습니다."
  • ''Kacasoca dianggo ku abdi.'' "안경은 제가 썼습니다."


정중체:

  • ''Buku dibawa ku urang.'' "책은 제가 가져왔습니다." ''Dibawa''는 "가져오다"라는 뜻의 ''mawa''의 수동태입니다.
  • ''Pulpén diinjeum ku urang.'' "펜은 제가 빌렸습니다."
  • ''Soal ieu digawékeun ku urang.'' "이 문제는 제가 풀었습니다."
  • ''Tasma dipaké ku urang.'' "안경은 제가 썼습니다."


수동태는 접두사 ka-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bawa(운반하다) → kabawa(운반되다)

7. 3. 1. 수동태

공손체:

  • ''Buku dibantun ku abdi.'' "책은 제가 가져왔습니다." ''Dibantun''은 "가져오다"라는 뜻의 ''ngabantun''의 수동태입니다.
  • ''Pulpén ditambut ku abdi.'' "펜은 제가 빌렸습니다."
  • ''Soal ieu dipidamel ku abdi.'' "이 문제는 제가 풀었습니다."
  • ''Kacasoca dianggo ku abdi.'' "안경은 제가 썼습니다."


정중체:

  • ''Buku dibawa ku urang.'' "책은 제가 가져왔습니다." ''Dibawa''는 "가져오다"라는 뜻의 ''mawa''의 수동태입니다.
  • ''Pulpén diinjeum ku urang.'' "펜은 제가 빌렸습니다."
  • ''Soal ieu digawékeun ku urang.'' "이 문제는 제가 풀었습니다."
  • ''Tasma dipaké ku urang.'' "안경은 제가 썼습니다."


수동태는 접두사 ka-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bawa(운반하다) → kabawa(운반되다)

7. 4. 관계절

관계절은 선행사 다음에 `anu` 또는 `nu`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buku(책) `nu` kudu(∼해야 한다) baca(읽다) → 읽어야 하는 책

8. 어휘

8. 1. 기본 어휘

8. 2. 대명사

어미레메스로마코하그
abdi (비격식)urang (비격식)aing
너/당신anjeunmanéhsia
그/그녀mantenna (존경하는 대상)manéhnasi éta
'우리들'abdi sadayana (비격식)kuring saréréaaing kabéhan
'우리(너와 나 포함)'urang samudayanaarurang/urang-
'여러분'aranjeunmaranéhsaria, sararia
'그들'aranjeunnamaranéhna-


8. 3. 수사

순다어의 숫자는 순다 문자로 표기되며, 1부터 10까지는 hiji, dua, tilu, opat, lima, genep, tujuh, dalapan, salapan, sapuluh이다. 11은 sabelas, 12는 dua belas와 같이 표현한다. 20은 dua puluh, 21은 dua puluh hiji와 같이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를 조합하여 나타낸다. 100은 saratus, 1000은 sarébu이다. 백의 자리는 ratusan, 천의 자리는 rébu라고 한다.

숫자순다 문자순다어
1hiji
2dua
3tilu
4opat
5lima
6genep
7tujuh
8dalapan
9salapan
10᮱᮰sapuluh
11᮱᮱sabelas
12᮱᮲dua belas
20᮲᮰dua puluh
21᮲᮱dua puluh hiji
30᮳᮰tilu puluh
31᮳᮱tilu puluh hiji
40᮴᮰opat puluh
50᮵᮰lima puluh
60᮶᮰genep puluh
70᮷᮰tujuh puluh
80᮸᮰dalapan puluh
90᮹᮰salapan puluh
100᮱᮰᮰saratus
백의 자리ratusan
1000᮱᮰᮰᮰sarébu
천의 자리rébu


9. 인사 표현


  • 아침 인사: Wilujeng enjing
  • 안녕하세요: Wilujeng siang.
  • 저녁 인사: Wilujeng wengi
  • 감사합니다: Hatur nuhun.
  • 아닙니다, 천만에요: Sawangsulna./Sami-sami.
  • 실례합니다: Hapunten.

참조

[1]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7
[2] 웹사이트 'Daftar Dialek atau Basa Wewengkon Bahasa Sunda' https://adjar.grid.i[...] 2022-05-17
[3] 서적 Mengenang hidup orang lain: sejumlah obituari https://books.google[...] Kepustakaan Populer Gramedia 2010
[4] 웹사이트 Bahasanya Sunda, Tapi Tulisannya Arab https://travel.detik[...] Detik Travel 2024-11-25
[5] 웹사이트 Tasikmalaya Tampil Beda: Daerah Sunda, tapi Pakai Papan Nama Aksara Jawa dan Arab Pegon. Kok Bisa? https://mojok.co/ter[...] 2024-11-25
[6] 서적 Sundanese LINCOM Europa 2001
[7] 서적 Papers in Southeast Asian Linguistics No. 16 Pacific Linguistics 1997
[8] 서적 The Phonology of Consonants: Harmony, Dissimilation, and Correspond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9] 웹사이트 Pernyataan Umum Ngeunaan Hak-hak Asasi Manusa https://www.ohchr.or[...] 2024-05-21
[10]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English http://www.ohchr.org[...]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Public Information, NY 2024-05-21
[11] 웹사이트 https://www.ethnolo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