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레드나고라산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레드나고라 산맥은 불가리아 중부에 위치하며, 발칸 산맥 남쪽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산맥이다. 서쪽의 이스카르 강에서 동쪽의 툰자 강까지 285km에 걸쳐 뻗어 있으며, 최고봉은 해발 1,604m의 골랴르 보그단 봉우리이다. 토폴니차 강과 스트리야마 강에 의해 이흐티만스카, 사슈틴스카, 사르네나 스레드나 고라의 세 지역으로 구분된다. 온대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산업, 농업, 관광이 경제의 기반을 이룬다. 구리 광업, 광학 산업이 발달했으며, 포도 재배, 에센셜 오일 생산도 이루어진다. 히사랴, 파벨 바냐, 스타로자고르스키 바니 등 온천 관광이 유명하며, 신석기 시대 유적, 트라키아 시대 유적, 로마 시대 유적, 중세 요새, 불가리아 민족 부흥 시대 건축물 등 풍부한 역사적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로브디프주의 지형 - 마리차강
    마리차강은 발칸반도를 흐르는 강으로, 그리스와 터키의 국경을 형성하며 1371년 마리차 전투가 벌어졌고, 1923년 이후 국경선으로 정치적 중요성을 가지며 홍수에 취약하다.
  • 플로브디프주의 지형 - 발칸산맥
    발칸산맥은 불가리아와 세르비아 국경에 걸쳐 동서로 뻗어 있는 산맥으로, 고대에는 헤무스 몬스라 불렸고, 다뉴브강과 에게해로 흐르는 강들의 분수계이며, 다양한 동식물상과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다.
  • 불가리아의 산맥 - 로도피산맥
    로도피산맥은 발칸 반도 남동부, 불가리아와 그리스에 걸쳐 있는 산맥으로, "붉은 강"이라는 뜻의 이름과 여왕 로도페에 얽힌 그리스 신화를 지니며, 지리적, 수문학적 특징에 따라 세 지역으로 나뉘고, 풍부한 수자원과 온화한 기후, 다양한 문화와 역사를 바탕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불가리아의 산맥 - 피린산맥
    피린 산맥은 불가리아 남서부에 위치한 릴라-로도피 산괴의 일부로, 뾰족한 봉우리와 U자곡 등의 지형을 가지며, 지중해성 및 고산 기후가 나타나는 피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관광지로 활용된다.
스레드나고라산맥
지도 정보
산맥 정보
이름스레드나고라산맥
위치불가리아
지질화강암, 편마암, 석영
면적5950 제곱킬로미터
길이285 킬로미터 (서-동 방향)
50 킬로미터 (남-북 방향)
최고봉골랴M 보그단
높이1604 미터
불가리아 히사랴 시 스타로셀 근처 트라키아인 무덤 유적에서 바라본 모습

2. 지리

스레드나고라산맥은 불가리아 중부에 위치하며, 발칸산맥 남쪽과 평행하게 뻗어 있고, 상트라키아 평원 북쪽에 자리한다. 서쪽으로는 이스카르강에서 동쪽으로는 얌볼 북쪽 툰자강의 굽이까지 이어진다. 주요 산맥은 서쪽에서 동쪽 방향이며, 총 길이는 285km, 최대 너비는 남북 방향으로 50km이다.[1][2] 스레드나고라의 총 면적은 5,950km2이며,[1] 최고봉은 골랴르 보그단 봉우리로 해발 1604m, 평균 해발고도는 608m이다.[1]

토폴니차강과 스트리야마강은 모두 마리차강의 지류이며, 이 두 강에 의해 스레드나고라 산맥은 세 부분으로 나뉜다.[1]


  • 이흐티만스카 스레드나 고라: 이스카르 계곡과 토폴니차강 사이에 위치하며, 세 지역 중 면적이 가장 작고 평균 고도가 가장 높다.[3]
  • 사슈틴스카 스레드나 고라: 토폴니차강과 스트리야마강 사이에 위치하며, 골랸 보그단 봉우리를 포함하여 산맥에서 가장 높은 부분이 있다.[5]
  • 사르네나 스레드나 고라: 스트리야마강과 툰자강 사이에 위치하며, 산맥에서 가장 낮고 구릉 지형이 대부분이다.[6]

2. 1. 위치 및 경계

페트리치 인근의 스레드나고라


히사리 인근 스레드나고라 조망


스레드나고라는 불가리아 중부에 위치하며, 발칸산맥 남쪽 및 평행하게 뻗어 있고, 상트라키아 평원 북쪽에 자리한다. 서쪽으로는 이스카르강에서 동쪽으로는 얌볼 북쪽 툰자강의 굽이까지 이어진다. 주요 산맥은 서쪽에서 동쪽 방향이며, 총 길이는 285km, 최대 너비는 남북 방향으로 50km이다.[1][2] 스레드나고라의 총 면적은 5,950km2이며,[1] 최고봉은 골랴르 보그단 봉우리로 해발 1604m, 평균 해발고도는 608m이다.[1]

스레드나고라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그레벤 (불가리아 영토 내 1156m), 자발스카 플라니나 (1181m), 비스캬르 산 (1136m), 류린 산 (1256m), 비토샤 (2290m), 플라나 (1338m)를 포함하여 바카지치테 및 히사르 고지를 아우르는 스레드노고리에 산악 시스템의 일부이다.[2]

북쪽으로 스레드나고라는 소피아 계곡 남동쪽 경계에서 시작하여 사란스카 계곡, 카마르스카 계곡, 즈라티차-피르도프 계곡, 카를로보 계곡, 카잔락 계곡(불가리아 장미 계곡), 트바르디차 계곡, 슬리벤 계곡에 이르는 11개의 소발칸 계곡 중 8개까지 뻗어 있다. 동쪽 끝은 툰자 강 굽이 바로 남서쪽, 슬리벤 계곡의 남서쪽 경계에 있는 자이치 브라흐 고지(256m)이다.[2] 북쪽 경계를 따라 스레드나고라는 네구셰프스키 리드, 오포르스키 리드, 갈라베츠, 코즈니차, 스트라자타 등 5개의 남북 산등성이를 통해 발칸 산맥과 연결된다.[1][2]

서쪽으로 이스카르 강과 판차레보 협곡은 스레드나고라를 플라나와 분리하며, 시포찬스키 리드와 슈무나티차 능선은 이를 릴라 산맥과 연결한다. 남쪽 경계는 코스테네츠-돌나 바냐 계곡 북쪽 가장자리를 따라 마리차강의 모미나 클리수라 협곡에서 벨로보 마을까지 이어진다. 벨로보에서 상트라키아 평원과의 경계가 시작되며, 이는 대략 파자르지크주 베트렌, 파자르지크주 칼루게로보, 블라트니차, 크라스노보, 스타로셀, 플로브디프주 체르니체보의 정착지를 거쳐 페스노포이 마을에서 스트리야마강에 도달한다. 이후 플로브디프주 바르벤, 플로브디프주 젤레니코보, 베렌 마을 근처를 따라 이어지며, 치르판 고지가 치르판 방향으로 돌출부를 형성한 뒤 스타라 자고라, 코르텐, 슬리벤주 카메노보 근처에서 동쪽으로 뻗어 얌볼 북서쪽 자이치 브라흐 고지에 이른다.[2]

2. 2. 지형 구분

토폴니차강과 스트리야마강은 모두 마리차강의 좌안 지류이며, 이 두 강에 의해 스레드나고라 산맥은 세 부분으로 나뉜다. 서쪽에는 이흐티만스카 스레드나 고라, 가운데에는 사슈틴스카 스레드나 고라, 동쪽에는 사르네나 스레드나 고라가 있다.[1]

오포르 봉우리에서 바라본 이흐티만스카 스레드나 고라

  • 이흐티만스카 스레드나 고라는 서쪽으로 이스카르 계곡, 북쪽으로 소피아, 사라나, 카마르스카, 즐라티차-피르도프 계곡, 동쪽으로 토폴니차강, 남쪽으로 릴라산맥과 경계를 이룬다.[3] 면적은 1370km2이고 평균 해발 고도는 750m로, 세 지역 중 영토가 가장 작고 평균 고도가 가장 높다.[3] 이흐티만스카 스레드나 고라는 바카렐스코-벨리시키, 시포찬스코-엘레지스키, 이흐티만스키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에는 산맥 서쪽 끝 로젠산 (1190m), 바카렐스카 (1090m), 벨리차 (1221m)가 있다. 가브라강은 로젠과 바카렐스카 사이에 작은 계곡을 형성한다. 시포찬스코-엘레지스키 구역은 서쪽의 사모코프 계곡과 동쪽의 토폴니차 사이에 위치하며, 남쪽으로는 릴라와 콘스테네츠-돌나 바냐 계곡과 연결된다. 여기에는 시포찬스키 리드 (1312m), 슈므나티차 (1392m), 셉템브리이스키 (1275m), 엘레지크 (1186m)의 능선이 포함된다.[3] 이 두 구역 사이에는 해발 620m에서 700m 사이의 이흐티만 계곡이 있다.[4]


로조베츠 근처의 사르네나 스레드나 고라

  • 사슈틴스카 스레드나 고라는 서쪽의 토폴니차 계곡에서 동쪽의 스트리야마강까지 뻗어 있다. 면적은 2300km2이고 평균 해발 고도는 656m이다.[5] 북쪽으로는 즐라티차-피르도프 및 카를로보 계곡의 남쪽 경계, 남쪽으로는 상 트라키아 평원과 경계를 이룬다.[5] 부나이스코-보그단스키와 파나규르스코-스트렐찬스키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전자는 산맥에서 가장 높은 부분으로 북쪽에 위치한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브라티아 (1519m), 부나야 (1572m), 골랸 보그단 (1604m) 봉우리가 있다. 그 가운데에는 높은 코프리프쉬티차 계곡 (1000m)이 있다. 고도는 남쪽으로 파나규리슈테스트렐차 마을 계곡, 루다 야나, 포토카강, 피야사치니크 강의 중류로 낮아진다.[5]

  • 사르네나 스레드나 고라는 산맥에서 가장 낮고 지형이 대부분 구릉지이며, 서쪽의 스트리야마에서 동쪽의 툰자까지 뻗어 있다. 면적은 2280km2이고 평균 해발 고도는 416m이다.[6] 북쪽으로는 카를로보, 카잔락, 트바르디차, 슬리벤 계곡의 남쪽 경계, 남쪽으로는 상 트라키아 평원으로 점차 낮아진다.[6] 브라탄스키, 코르텐스키, 치르판스키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전자는 고도가 가장 높고, 서쪽의 스트리야마에서 동쪽의 즈메요프스키 고개 (430m)까지 뻗어 있으며 브라탄 봉우리 (1236m)가 가장 높다. 코르텐스키 구역은 즈메요프스키 고개 동쪽에 위치하며 자이치 브라흐에서 산맥 동쪽 끝에 도달한다. 이 지역 최고봉은 모루레이 (895m)이다. 세 번째 구역은 브라탄스키 구역 남쪽에 위치한 치르판 고원으로, 키트카에서 최대 651m 높이에 도달한다.[7]

3. 기후

스레드나고라 산맥은 온대 대륙성 기후대에 속한다.[1] 그러나 스레드나고라 산맥의 고르지 않은 고도, 현저한 분절 및 다양한 지형 노출과 인접 지역의 변환 공기 덩어리의 기후 형성 영향으로 인해 산맥의 기후 조건이 뚜렷하게 분화된다.[8] 북쪽 경사면을 따라 1000m까지, 남쪽 경사면을 따라 1500m까지의 산악 지대에서는 대륙성 기후가 우세하다. 이 고도 이상에서는 고산 기후가 나타난다.[8] 사르네나 스레드나고라의 낮은 부분, 특히 가장 남쪽 경사면을 따라서는 온대 대륙성 기후와 대륙성 지중해성 기후 사이의 과도적 지대가 있다.[8]

고르지 않은 고도로 인해 최저 부분의 평균 1월 기온은 0°C에서 -4°C 사이에서 변동하며,[8] 높은 고도에서는 -5°C에서 -8°C 사이로 크게 낮아진다.[8] 기온 역전 현상은 겨울철 스레드나고라의 잘 닫힌 계곡에서 규칙적으로 발생하며, 파나규리슈테(-32.4°C),[8] 코프리프시티차(-32°C),[9] 이흐티만(-31.8°C)에서 절대 최저 기온을 기록하는 데 기여했다.[9]

산맥의 상당한 기후 변화는 연평균 강수량의 고르지 않은 정량적 분포와 다양한 강수 체계로도 나타난다. 온대 대륙성 기후와 고산 기후가 나타나는 스레드나고라의 일부 지역에서는 강수량이 여름에 최대, 겨울에 최소를 보인다. 온대 대륙성 기후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600~800mm인 반면, 고산 지역에서는 800~1000mm에 이른다.[8] 여기서 고도와 함께 강수량이 증가하고, 적설량도 증가하여 눈이 평균 4~5개월 동안 덮인다. 지중해의 영향이 더 강한 과도기적 기후대의 산악 지역에서는 강수량이 일년 내내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하며 연간 550~600mm로 가장 적다.[8]

보그단 보호구역 근처의 겨울 풍경

4. 수문

토폴니차 저수지 근처의 모습


스레드나고라산맥 대부분 지역에서 산맥에서 발원하는 강은 강수와 적설의 영향을 받으며[8], 다른 높은 불가리아 산맥에 비해 눈 보존이 덜하고 강수량이 강을 이루는 주요 요소이기 때문에 초봄에 유량이 많다. 동쪽의 가장 낮은 지역에서는 강이 거의 강수량에만 의존한다. 이 강들 중 대부분은 일시적인 유량을 보이며, 산림이 파괴되었거나 유역이 침식된 곳에서는 때때로 뚜렷하고 짧은 폭우 흐름을 보이기도 한다. 스레드나고라산맥의 가장 높은 지역에서는 비교적 적은 강수량, 낮은 눈 보존 및 강한 증발로 인해 1km2당 15L/s의 유량이 나타난다. 고도가 낮은 지역, 특히 동쪽에서는 강수량이 적고, 증발이 심하며, 경사가 미미하고, 토양이 투과성이 높아 이 양이 1L/s per km2로 줄어든다. 산맥 전체의 평균 강 유량은 4.7L/s per km2이다.[9] 스레드나고라산맥의 수자원은 평균 고도가 낮고, 기온이 높으며, 눈 보존이 낮아 불가리아의 다른 산맥에 비해 더 제한적이다.[9]

스레드나고라산맥의 대부분의 강은 에게해 유역의 마리차강 유역에 속하며, 가장 서쪽과 북서쪽 지역은 흑해 유역의 이스카르강 유역에 속한다. 산맥에서 발원하는 강에는 이스카르강의 오른쪽 지류인 레스노브스카 강과 시포차니차, 마리차강의 왼쪽 지류인 토폴니차 강과 그 지류인 마티비르, 루다 야나, 포토카, 피아사치니크, 스레브라, 브레조브스카 강, 오무로브스카 강, 테키르스카 강, 메리클레르스카 강, 마르틴카 강과 사즐리이카, 그리고 툰자강의 두 개의 오른쪽 지류인 투키이스카 강과 규르랴가 있다.[9] 토폴니차 협곡의 가장 좁은 부분에는 토폴니차 저수지가 위치해 있다. 토폴니차강 유역은 1km2당 8.2L/s로 평균 강 유량이 가장 높다.[9]

산맥 전역에 걸쳐 수많은 광천이 있으며, 주로 단층을 따라 위치해 있다. 남쪽 사면에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돌나 바냐, 프첼린, 코스테네츠, 바냐, 파나규리쉬테, 스트렐차, 크라스노보, 스타로 젤레자레, 히사리야, 스타로자고르스키 바니 및 코르텐에 광천이 위치해 있다. 북쪽 사면에는 같은 방향으로 바냐, 파벨 바냐, 야고다, 노보자고르스카 바냐 및 슬리벤스키 미네랄니 바니가 있다.[10]

5. 자연

스레드나고라산맥의 식생은 기후, 지형, 토양, 인간 활동에 영향을 받으며, 동물군은 주로 중부 유럽 종이 서식한다.

구분내용
식생강 계곡 주변 충적토에는 오리나무, 버드나무, 포플러 등 수생 초목과 숲 식생이 나타난다.[11] 버티솔 지역과 계피 숲 토양 지역은 농경지와 목초지로 많이 이용되어 자연 식생이 감소했다. 농경지가 아닌 곳에서는 떡갈나무, 서어나무, 너도밤나무 등이 자란다. 높은 고도에서는 유럽 너도밤나무 숲이, 낮은 고도에는 서어나무와 떡갈나무 숲이 나타난다. 동쪽 남쪽 사면에는 지중해 테레빈나무 숲이, 낮은 사면에는 오스트리아 떡갈나무, 헝가리 떡갈나무, 솜털 떡갈나무의 건조열 숲이 있다.[9]
동물군노루, 붉은 사슴, 멧돼지와 같은 대형 초식 포유류와 붉은 여우, 회색 늑대, 불곰 등의 포식자가 서식한다.[11] 남부 흰가슴 고슴도치, 붉은 다람쥐 등 작은 포유류와 중부 딱따구리, 바위자고새 등 다양한 조류도 서식한다.[9] 의사뱀, 살무사 등 다양한 파충류와 양서류도 발견된다.[9]
보호 구역보그단 보호 구역이 유일한 자연 보호 구역이다.[13]


5. 1. 식생

스레드나고라산맥의 식생은 기후 조건, 지형, 토양 유형, 인간의 활동에 영향을 받는다. 강 계곡 주변의 충적토에는 오리나무, 버드나무, 포플러와 같은 수생 초목과 숲 식생이 나타난다.[11] 버티솔과 계피 숲 토양 지역은 농경지와 목초지로 많이 사용되어 자연 식생이 줄어들었다. 농경지가 아닌 계피 숲 토양에서는 떡갈나무가, 언덕과 저산지대의 북쪽 사면에서는 서어나무가 자란다. 높은 지대의 갈색 숲 토양에서는 너도밤나무 숲이 나타나며, 사슈틴스카 스레드나고라산맥 일부 지역에는 오래된 너도밤나무 숲이 있다.[11] 사슈틴스카 스레드나고라산맥의 평평한 능선에는 산-초원 토양에서 넓은 초원과 목초지가 발달했다.[1][9]

스레드나고라산맥의 헝가리 떡갈나무(Quercus frainetto) 숲


가장 높은 고도에서는 유럽 너도밤나무(Fagus sylvatica) 숲이 주로 나타나며, 일부 지역에서는 서어나무(Carpinus betulus), 은백색 전나무(Abies alba), 유럽 사위질빵(Ostrya carpinifolia)과 섞여 있고, 돌이 많은 지역에서는 서어나무가 나타난다.[9] 낮은 고도의 북쪽 사면에는 서어나무와 떡갈나무(Quercus petraea) 숲이 있다. 스레드나고라산맥의 가장 낮은 동쪽 부분의 남쪽 사면에는 건조열 숲이 드물게 나타나며, 불가리아에서 가장 큰 지중해 테레빈나무(Pistacia terebinthus) 숲이 있다.[9] 가장 낮은 사면, 특히 동쪽에는 오스트리아 떡갈나무(Quercus cerris), 헝가리 떡갈나무(Quercus frainetto), 솜털 떡갈나무(Quercus pubescens)의 건조열 숲이 있다.[9]

5. 2. 동물군

스레드나고라산맥에는 주로 중부 유럽 종의 동물들이 서식한다. 대형 초식 포유류로는 노루, 붉은 사슴, 멧돼지 등이 있다. 포식자 중에는 붉은 여우가 흔하며, 회색 늑대와 불곰은 드물게 나타나는데, 불곰은 주로 인접한 발칸 산맥에서 이동해 온 것이다.[11]

흔히 볼 수 있는 작은 포유류로는 남부 흰가슴 고슴도치, 붉은 다람쥐, 유럽 식용 멧밭쥐, 집쥐 등이 있다.[9] 조류 중에서는 중부 딱따구리, 바위자고새, 검은새, 큰새 등이 대표적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가 서식한다.

파충류와 양서류로는 의사뱀, 매끈한 뱀, 살무사, 뿔살무사, 줄무늬 뱀, 벽 도마뱀, 유럽 구리 도마뱀, 황색 배 두꺼비, 유럽 녹색 두꺼비, 두꺼비, 개구리, 불 도롱뇽 등이 있다.[9] 알파인 뉴트는 매우 희귀하며, 말라크 보그단 정상 근처에서만 발견된다.[12]

5. 3. 보호 구역



불가리아에 있는 90개의 자연 보호 구역 및 관리 자연 보호 구역 중 스레드나고라산맥에는 보그단 보호 구역 하나만 있다. 불가리아의 국립 공원이나 자연 공원 중 스레드나고라산맥까지 확장되는 곳은 없다.[13]

6. 역사

스레드나고라산맥은 오스만 제국에 맞선 불가리아인들의 저항과 독립 투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 스레드나고라에는 많은 하이두크가 있었으며, 18세기와 19세기 사슈틴스카 스레드나고라에서만 80명 이상의 보이보데가 활동했다.[10]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파나규리슈테와 코프리브시티차 같은 이 지역의 많은 도시들이 경제적으로 번영했으며, 많은 혁명가, 문화 및 정신적 지도자들이 이 지역을 기반으로 불가리아 민족 부흥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876년 서부 스레드나고라는 4월 봉기의 중심지였다.[10] 봉기는 파나규리슈테 근처의 오보리슈테 지역에서 열린 회의에서 결정되었으며, 이는 불가리아 국민 의회의 전조로 여겨지며 불가리아 의회 민주주의의 기초를 놓았다.[22] 이 지역의 30개 이상 정착지가 반란에 참여했고, 엘레지크와 파나규리슈테의 스레드나고라에서 결정적인 전투가 벌어졌다.[10] 오스만군은 봉기를 잔혹하게 진압하여 수천 명이 학살되었고, 파나규리슈테를 포함한 많은 정착지가 약탈되고 불태워졌다.[10]

4월 봉기 진압 이후 유럽 전역에서 오스만 제국의 만행에 대한 여론의 분노가 일면서 1877–1878년 러시아-투르크 전쟁이 일어났고, 이 전쟁은 스레드나고라에서 전개되었다. 1877년 7월 스타라 자고라 전투 이후, 러시아-불가리아군은 쉬프카 고개로 후퇴해야 했고, 오스만군은 당시 불가리아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였던 스타라 자고라를 불태웠으며, 그곳의 주민들을 무차별적인 학살에 처했다.[23][24]

1878년 불가리아 해방으로 스레드나고라는 재건된 불가리아 국가인 불가리아 공국의 국경 밖에 위치한 자치주 동루멜리아에 속하게 되었다. 1885년 9월 2일, 파나규리슈테에서의 시위가 불가리아 통일의 시작을 촉발했고, 며칠 후 공식적으로 발표되어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에서 성공적으로 방어되었다.[25] 통일은 이후 불가리아의 정치적, 경제적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25]

6. 1. 고대

스타로셀 근처 체티뇨바 모길라의 트라키아 무덤


히사르의 로마 시대 성벽


트라야노바 게이트


스레드나고라산맥에는 수천 년 동안 사람이 거주해 왔다. 기원전 6천 년기에 속하는 신석기 시대 거주지가 산맥 남동쪽 기슭에 있는 스타라 자고라 근처에서 발견되었다.[10][14] 기원전 6천 년에서 4천 년 사이에는 스레드나고라산맥의 동쪽 지역이 번성하여 트라키아 문명에 영향을 미친 카라노보 문화의 중심지였다.[15]

스타라 자고라에서 북서쪽으로 8km 떨어진 메치 클라데네츠 마을의 스레드나고라산맥에 있는 석기 시대 구리 광산은 기원전 5천 년기에 유럽에서 가장 큰 광산 중심지였다.[16] 당시 이 광산에서는 1,000톤의 금속을 생산할 수 있었는데, 이는 그 시대에 엄청난 양이었다. 이 매장지에서 나온 구리는 바르나 문화 유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멀리 볼가강 중류에서도 발견되었다.[16]

트라키아인들은 산맥 전체에 거주했으며, 스레드나고라산맥과 주변 계곡 전역에서 그들의 존재를 보여주는 고고학적 유물이 발견되었다. 파나규리슈테와 스트렐차 계곡의 제한된 지역에서만 약 600개의 트라키아 시대 무덤이 있다.[10] 스레드나고라산맥 남쪽 경사면에 있는 스타로셀 근처의 체티뇨바 모길라 툼에는 중요한 트라키아 매장 및 숭배 단지가 있었는데, 여기에는 발칸반도에서 가장 큰 지하 사원이 포함되어 있다.[17][18] 기원전 5세기 초에서 기원전 1세기 사이에 번성했던 트라키아 오드리시아 왕국의 수도인 세우토폴리스는 산맥 북쪽 기슭의 카잔락 계곡에 위치해 있었다. 이 지역 트라키아 문명의 부와 권력을 보여주는 증거는 기원전 4세기에서 3세기에 걸쳐 제작된 파나규리슈테 보물인데, 6kg이 넘는 무게의 24캐럿 으로 만들어진 9개의 용기로 구성되어 있다.[10][19]

기원전 1세기에 이 지역이 로마 제국에 병합되면서, 베로에/아우구스타 트라아나(현재의 스타라 자고라), 디오클레티아노폴리스(히사르), 카빌레(얌볼 근처) 등 많은 이전 트라키아 정착지가 로마 도시로 더욱 확장되었다.[10] 중앙 유럽과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연결하는 전략적인 로마 도로인 비아 밀리타리스가 스레드나고라산맥의 서쪽 구간을 통과했으며, 여러 도로 기지와 요새가 있었다.[10] 4세기에 로마 제국이 분할되면서 이 지역은 동로마(비잔틴)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10]

6. 2. 중세

중세 시대에 스레드나고라산맥의 동쪽 지역은 자고레 지역의 일부였다.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이 발칸산맥 북쪽에 건국된 후, 자고레는 테르벨 칸(재위 700년–721년) 치하에서 불가리아에 병합된 최초의 영토였으며, 716년 비잔틴-불가리아 조약으로 확정되었다.[10][20] 976년, 사무엘 황제(재위 997년–1014년) 치하의 중세 불가리아군은 스레드나고라의 트라야노바 게이트에서 바실 2세 황제 치하의 비잔틴군에게 치명적인 패배를 안겼다.[10]

1018년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이 멸망하면서 이 지역은 아센과 페테르의 반란이 일어나 제2차 불가리아 제국이 복원될 때까지 비잔틴 제국에 포함되었다. 13세기에는 스레드나고라가 북쪽의 여러 소발칸 계곡과 함께 스밀레츠 왕조가 통치하는 중요한 봉건 영지의 중심지였다. 1292년부터 1298년까지 보야르스밀레츠가 불가리아의 황제로 통치했다. 그의 사후 스레드나고라의 영토는 서쪽의 아네보 요새를 근거지로 한 그의 형제 보이실과 동쪽의 크란을 근거지로 한 테르테르 왕조의 알디미르 사이에 분할되었다.

14세기에 일어난 불가리아-오스만 전쟁은 스레드나고라에서 강력한 저항에 직면했다. 1355년에는 왕세자 미하일 아센 4세가 침략해 온 오스만군과의 이흐티만 전투에서 사망했다. 이 지역은 1382년 또는 1385년 소피아 포위전 이후 오스만 제국에 완전히 편입되었다.[21]

6. 3.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 시대에 스레드나 고라에는 많은 하이두크가 있었으며, 18세기와 19세기 사슈틴스카 스레드나 고라에서만 알려진 80명 이상의 보이보데의 이름이 있다.[10]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파나규리슈테와 코프리브시티차와 같은 이 지역의 많은 도시들은 어느 정도 경제적 번영을 이루었으며, 많은 혁명가, 문화 및 정신적 지도자들이 이 지역을 기반으로 불가리아 민족 부흥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4월 봉기 동안 오스만군과 싸우는 불가리아 반군


1876년 서부 스레드나 고라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한 4월 봉기의 중심지였다.[10] 봉기의 시작은 파나규리슈테 근처의 오보리슈테 지역에서 열린 회의에서 결정되었으며, 이는 불가리아 국민 의회의 전조로 여겨지며 불가리아 의회 민주주의의 기초를 놓았다.[22] 이 지역의 30개 이상의 정착지가 반란을 일으켰고, 엘레지크와 파나규리슈테의 스레드나 고라에서 결정적인 전투의 일부가 벌어졌다.[10] 오스만군이 봉기를 진압했을 때 수천 명이 학살되었고, 파나규리슈테를 포함한 많은 정착지가 약탈되고 불태워졌다.[10]

6. 4. 불가리아 독립 이후

오스만 불가리아 시대에 스레드나고라에는 많은 하이두크가 있었으며, 18세기와 19세기 사슈틴스카 스레드나고라에서만 80명 이상의 보이보데의 이름이 알려져 있다.[10]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파나규리슈테와 코프리브시티차 같은 이 지역의 많은 도시들이 경제적으로 번영했으며, 많은 혁명가, 문화 및 정신적 지도자들이 이 지역을 기반으로 불가리아 민족 부흥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876년 서부 스레드나고라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한 4월 봉기의 중심지였다.[10] 봉기의 시작은 파나규리슈테 근처의 오보리슈테 지역에서 열린 회의에서 결정되었으며, 이는 불가리아 국민 의회의 전조로 여겨지며 불가리아 의회 민주주의의 기초를 놓았다.[22] 이 지역의 30개 이상 정착지가 반란을 일으켰고, 엘레지크와 파나규리슈테의 스레드나고라에서 결정적인 전투가 벌어졌다.[10] 오스만군이 봉기를 진압하면서 수천 명이 학살되었고, 파나규리슈테를 포함한 많은 정착지가 약탈되고 불태워졌다.[10]

이후 유럽 전역에서 여론의 분노가 일면서 1877–1878년 러시아-투르크 전쟁이 일어났고, 이 전쟁은 스레드나고라에서 전개되었다. 1877년 7월 스타라 자고라 전투 이후, 러시아-불가리아군은 쉬프카 고개로 후퇴해야 했고, 오스만군은 당시 불가리아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였던 스타라 자고라를 불태웠으며, 그곳의 주민들을 무차별적인 학살에 처했다.[23][24]

1878년 불가리아 해방으로 스레드나고라는 재건된 불가리아 국가인 불가리아 공국의 국경 밖, 자치주인 동루멜리아에 남겨졌다. 1885년 9월 2일, 파나규리슈테에서의 시위가 불가리아 통일의 시작을 촉발했고, 며칠 후 공식적으로 발표되어 세르비아-불가리아 전쟁에서 성공적으로 방어되었다.[25] 통일은 이후 불가리아의 정치적, 경제적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25]

7. 정착지와 교통

스타라 자고라는 스레드나고라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


이 지역의 중요한 경제, 문화 및 역사적인 도시인 파나규리슈테의 모습


스레드나고라와 그 기슭에는 13개의 도시와 많은 마을이 있다.[26] 행정적으로는 소피아, 파자르지크, 플로브디프, 스타라 자고라, 슬리벤 주에 속한다. 스레드나고라에서 가장 큰 도시는 스타라 자고라(2022년 기준 인구 136,144명)이며, 사르네나 스레드나고라와 상부 트라키아 평원의 가장 남쪽 경사면에 위치해 있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다른 도시들은 다음과 같다.

도시인구 (2022년 기준)
돌나 바냐4,730
이흐티만13,617
모민 프로호드1,422
코스테네츠5,954
베트렌2,888
파나규리슈테16,424
스트렐차4,069
코프리프쉬티차2,032
클리수라930
히사랴6,642
바냐3,083
파벨 바냐2,639



불가리아 중심부에 전략적으로 위치한 스레드나고라는 국가적, 국제적으로 중요한 여러 교통 동맥이 통과한다.[1][10] 이 지역의 정착지에는 수많은 도로가 있다.[1] 서쪽에서는 트라키아 고속도로의 79km 구간이 노비 한과 칼루게로보 마을 사이의 북서-남동 방향으로 이흐티만스카 스레드나고라를 가로지른다.[27] 노비 한과 벨로보 사이의 고속도로와 거의 평행하게 1급 I-8 도로 칼로티나–소피아플로브디프–카피탄 안드레예보의 74.2km 구간이 있다.[27] 두 도로 모두 전체 경로를 따라 유럽 고속도로 E80을 따라간다. 고르나 말리나와 미르코보 마을 사이의 산맥 북쪽 주변부를 따라 서쪽에서 동쪽으로 1급 I-6 도로 규에셰보–소피아–카를로보부르가스의 36.8km 구간이 통과한다.[27] 야고다 마을과 스타라 자고라시 사이의 북-남 방향 사르네나 스레드나고라의 즈메요프스키 고개를 통해 1급 I-5 도로 루세–벨리코 터르노보–스타라 자고라–하스코보–마카자의 14.1km 구간이 있다.[27]

또한 2급 및 3급 도로가 많이 있는데,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사모코프–코스테네츠–소피아를 잇는 2급 II-82 도로의 전체 길이 86.3km
  • 즐라티차–레프스키 구간의 2급 II-37 도로의 55.4km
  • 바냐–페스노포이 구간의 2급 II-64 도로의 5.9km
  • 2급 II-53 도로의 5.2km
  • 파니체레보–아세노베츠 구간의 2급 II-55 도로의 16km
  • 파벨 바냐–젤레니코보 구간의 2급 II-56 도로의 37km
  • 즐라티 보이보다–카메노보 구간의 2급 II-66 도로의 10.4km[27]


이 산맥에는 불가리아 국영 철도에서 운행하는 몇 개의 중요한 철도가 있는데,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10]

  • 북서-남동 방향으로 이흐티만스카 스레드나고라를 가로지르는 철도 노선 1호 칼로티나–소피아플로브디프–스빌렌그라드
  • 스레드나고라 북쪽 기슭 또는 서-동 방향 대부분의 발칸 계곡을 따라가는 철도 노선 3호 일리얀치(소피아)–카를로보슬리벤–카르노바트–바르나
  • 즈메요프스키 고개를 따라 북-남 방향의 철도 노선 4호 루세–고르나 오랴호비차–스타라 자고라–포드코바의 일부


스레드나고라를 발칸 산맥에 연결하는 능선을 통과하는 3호선에는 불가리아에서 가장 긴 두 개의 터널인 코즈니차(5808m)[28]와 갈라베츠(3034m)[29]가 있다. 또한 사슈틴스카 스레드나고라에는 2개의 부속 철도 노선인 81호 플로브디프파나규리슈테와 82호 플로브디프카를로보의 구간이 있다.[10] 2021년에 국가 철도 인프라 회사는 전체 스레드나고라 구간을 따라 철도 노선 1호의 현대화를 시작하여 총 길이 20km가 넘는 13개의 터널(가장 긴 터널은 6.7km), 24개의 교량 및 고가도로를 건설했다.[30] 계획된 투자는 6.65억유로이다.[30]

8. 경제 및 관광

스레드나고라산맥의 경제는 산업, 서비스, 농업, 관광을 기반으로 한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광업, 제조업, 농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나오므로, 경제 섹션에서는 간략하게 언급만 하고 넘어가도록 한다.

스레드나고라산맥은 주요 구리 광석 매장량을 포함하고 있다. 가장 큰 광산 회사는 파나규리슈테에 본사를 둔 아사렐 메데트(Asarel Medet)이다.[31] 제조 산업은 스타라 자고라와 파나규리슈테를 중심으로 하며, 특히 파나규리슈테는 불가리아 광학(optical industry) 산업의 중심지이다.[35][36]

농업은 스레드나고라산맥의 계곡과 낮은 언덕 지역에서 중요하다. 포도원이 넓게 분포하며,[1] 다마스크 장미(Rosa × damascena), 라벤더(Lavandula) 등 에센셜 오일 추출을 위한 비식용 작물(Nonfood crop) 재배도 이루어진다.[10] 광대한 목초지는 가축 사육을 지원한다.[10]

관광 산업 또한 중요한데, 풍부한 자연, 문화, 역사 및 건축 유산은 관광 및 서비스 산업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 특히 풍부한 미네랄 샘은 스파 및 건강 관광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국가적으로 중요한 19개의 스파 리조트 중 9개가 스레드나고라산맥에 위치해 있다.[43] 가장 발달된 리조트로는 히사랴, 파벨 바냐, 스타로자고르스키 바니 등이 있다.

8. 1. 산업

스레드나고라산맥의 경제는 산업, 서비스, 농업, 관광에 기반을 두고 있다. 특히, 이 산맥은 주요 구리 광석 매장량을 포함하고 있어 광산업이 발달했다.

가장 큰 광산 회사는 파나규리슈테에 본사를 둔 아사렐 메데트(Asarel Medet)이다. 이 회사는 매년 1,300만 톤 이상의 구리 광석을 채굴 및 가공하여 20만 톤의 구리 정광을 생산한다. 생산된 구리 정광은 전 세계, 특히 산맥 바로 북쪽에 있는 Zlatitsa-Pirdop 계곡의 피르도프 구리 제련소 및 정제소(Pirdop copper smelter and refinery)로 판매된다. 아사렐 메데트는 파자르지크 주 전체에서 가장 큰 고용주이다.[31] 20세기 후반 또는 2000년대 초에 채굴된 다른 구리 매장지로는 메데트, 엘시차(Elshitsa), 차르 아센(Tsar Asen)이 있다.[32][33]

소피아 주 가브라(Gabra, Sofia Province) 마을에는 19세기 중반부터 가동되어 갈탄을 채굴하는 불가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탄광인 추쿠로보 광산이 있다.[34]

제조 산업은 스타라 자고라와 파나규리슈테를 중심으로 발달했다. 특히 파나규리슈테는 불가리아 광학(optical industry) 산업의 중심지이다. 이곳에는 옵티코일렉트론(Opticoelectron)과 옵틱스(Optix)라는 두 개의 주요 광학 회사가 있다. 이 회사들은 파나규리슈테, 스트렐차 및 포핀치(Popintsi)에 생산 시설을 운영하며, 광학 조준경, 열화상 장치, 야간 투시경, 스코프 및 시스템, 감시 카메라, 적외선 렌즈 등 다양한 군용 및 민간 제품을 제조한다.[35][36]

이외에도 스레드나고라산맥에서는 기계 제조 및 금속 가공(스타라 자고라, 이흐티만, 코스테네츠, 코프리프쉬티차),[37][38][39][40] 전자 제품(스타라 자고라),[39] 펄프 및 제지(코스테네츠, 벨로보),[40][41] 플라스틱(파나규리슈테),[42] 식품 가공(스타라 자고라, 파나규리스테, 코스테네츠),[39][40] 섬유(파나규리슈테, 코스테네츠) 등의 산업이 이루어지고 있다.[10][40][42]

8. 2. 농업

스레드나고라산맥의 계곡과 낮은 언덕 지역은 농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시틴스카와 사르네나 스레드나고라의 남쪽 경사면에는 포도원이 넓게 분포하여 포도를 생산한다.[1] 스트렐차와 브레즈니크 주변 지역 및 산맥 북쪽의 일부 계곡에서는 다마스크 장미(Rosa × damascena), 라벤더(Lavandula), 박하(Mentha)와 같이 에센셜 오일 추출에 사용되는 비식용 작물(Nonfood crop) 재배에 유리한 조건이 갖춰져 있다.[10] 또한, 광대한 목초지에서는 양과 소를 포함한 가축 사육이 이루어진다.[10]

다마스크 장미(Rosa × damascena) 스레드나고라산맥 남쪽 기슭의 밭

8. 3. 관광

스레드나고라산맥은 풍부한 자연, 문화, 역사 및 건축 유산을 바탕으로 관광 및 서비스 산업이 발달하였다. 특히 미네랄 온천이 풍부하여 수천 년 전부터 스파와 건강 관광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불가리아의 국가적으로 중요한 19개 스파 리조트 중 9개가 스레드나고라산맥에 위치해 있을 정도이다.[43]

가장 발달된 스파 리조트로는 히사랴, 파벨 바냐, 스타로자고르스키 바니 등이 있다. 히사랴는 1882년부터 가장 오래된 규제된 불가리아 스파 타운 목록(List of spa towns in Bulgaria)이며 치료 및 휴양에 사용된다.[44][45] 총 배출량은 70 L/초, 온도는 47.8 °C인 22개의 샘이 있다.[44] 2019년에는 거의 14만 명의 관광객이 히사랴를 방문했다.[45] 파벨 바냐에는 배출량 15 L/초, 온도 19 °C에서 61 °C인 7개의 미네랄 샘이 있으며,[46] 매년 3만 명의 방문객을 맞이한다.[47] 스타로자고르스키 바니(Starozagorski bani)는 이 지역의 가장 큰 도시인 스타라 자고라에서 북서쪽으로 15 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총 배출량 18 L/초, 온도 51.5 °C인 샘을 포함하고 있다.[48][49]

스타로자고르스키 바니(Starozagorski bani)의 전경


스타라 자고라의 신석기 시대 주거 박물관(Neolithic Dwellings Museum)에는 유럽에서 가장 초기의 잘 보존된 초기 신석기 시대 건물 유적이 보존되어 있다.[14] 부조브그라드 거석(Buzovgrad Megalith)과 같은 신석기 시대의 많은 성소와 거석도 찾아볼 수 있다.[50]

체티노바 모길라와 스타로셀 근처의 트라키아 무덤 호리존트(Thracian tomb Horizont) 등 산맥에는 많은 트라키아 매장 및 숭배 장소가 보존되어 있다. 체티노바 모길라는 발굴된 가장 큰 트라키아 고분이고, 트라키아 무덤 호리존트는 기둥이 있는 유일한 트라키아 무덤이다.[51] 기타 중요한 트라키아 유적지로는 스트렐차 근처의 자바 모길라(Zhaba Mogila), 코프리프쉬티차와 스트렐차 사이 산 깊숙한 곳의 스밀로베네 성소(Smilovene Sanctuary), 스타로셀 북쪽의 코지 그라마디(Kozi Gramadi) 단지가 있다.[52][53][54] 히사랴와 스타라 자고라에는 중요한 로마 유산이 보존되어 있으며, 특히 히사랴에는 2.3 km 길이의 잘 보존된 방어벽이 있다. 우르비치(Urvich), 트라야누스 게이트(Gate of Trajan), 크라센 (요새)(Krasen (fortress)) 등 산맥을 따라 중세 요새 유적도 흩어져 있다.[10]

파나규리슈테 보물(Panagyurishte Treasure)


전통적인 불가리아 민족 부흥(Bulgarian National Revival) 건축물, 코프리프쉬티차(Koprivshtitsa)


불가리아 민족 부흥(Bulgarian National Revival) 시기 건축물이 잘 보존된 코프리프쉬티차(Koprivshtitsa)는 건축 역사 보존 구역이자 불가리아 100대 관광 명소(100 Tourist Sites of Bulgaria) 중 하나이다. 이곳에는 게오르기 벤코프스키(Georgi Benkovski), 토도르 카블레시코프(Todor Kableshkov), 류벤 카라벨로프(Lyuben Karavelov), 나이덴 게로프(Nayden Gerov) 등 중요한 혁명가와 문화 인물들의 생가가 박물관으로 개조되어 있다.[55] 전통 건축물이 보존된 또 다른 역사적인 정착지는 스베젠(Svezhen) 마을이다.[56][57] 파나규리슈테는 1876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불탔으며, 라이나 크냐기냐(Rayna Knyaginya)의 집과 같은 몇몇 역사적인 건물만 남아 있다.[58] 파나규리슈테 역사 박물관은 때때로 플로브디프 지역 역사 박물관(Plovdiv Regional Historical Museum) 및 소피아의 불가리아 국립 역사 박물관(National Historical Museum, Bulgaria)과 함께 파나규리슈테 보물(Panagyurishte Treasure)을 전시한다.[59]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웹사이트 Register of the Protected Territories and Zones in Bulgaria https://eea.governme[...] 2024-02-17
[14] 웹사이트 Neolithic Dwellings Museum https://www.rimstz.e[...] 2024-01-14
[15]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Chalcolithic Copper Mines https://www.rimstz.e[...] 2024-01-14
[17] 뉴스 Bulgarian Archaeologists Make Breakthrough in Ancient Thrace Tomb http://www.novinite.[...] Novinite 2010-03-11
[18] 뉴스 Bulgarian Archaeologists Uncover Story of Ancient Thracians' War with Philip II of Macedon http://www.novinite.[...] Novinite.com (Sofia News Agency) 2011-06-21
[19] 서적 Thracian Art in Bulgaria; Translated by Marguerite Alexieva Sofia Press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The Grand National Assembly of Oborishte – Beginning of the Bulgarian Parliamentary Democracy Bul-koreni
[23] 서적
[24] 서적 Disraeli, Gladstone, and the Eastern Question: A Study in Diplomacy and Party Politic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5] 서적
[26] 웹사이트 Tables of Persons Registered by Permanent Address and by Current Address https://www.grao.bg/[...] 2023-12-28
[27] 웹사이트 A Map of the Republican Road Network of Bulgaria http://www.api.bg/in[...] 2023-12-28
[28] 서적
[29] 서적
[30] 웹사이트 Modernisation of the Railway Line Sofia–Plovdiv, section Elin Pelin–Kostenents https://www.rail-inf[...] 2023-12-28
[31] 웹사이트 About Asarel Medet https://www.asarel.c[...] 2023-12-28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웹사이트 About Opticoelectron https://www.opticoel[...] 2023-12-28
[36] 웹사이트 About Optix https://www.optixco.[...] 2023-12-28
[37] 서적 Geographic Dictionary of Bulgaria
[38] 서적 Geographic Dictionary of Bulgaria
[39] 서적 Geographic Dictionary of Bulgaria
[40] 웹사이트 About the Municipality https://kostenetz.co[...] 2023-12-28
[41] 서적 Geographic Dictionary of Bulgaria
[42] 서적 Geographic Dictionary of Bulgaria
[43] 웹사이트 List of Resorts in the Republic of Bulgaria and Definition of their Borders https://dv.parliamen[...] 2024-01-14
[44] 서적 Geographic Dictionary of Bulgaria
[45] 간행물 Plan for Integral Development of Hisarya Municipality for the Period 2021–2027
[46] 서적 Geographic Dictionary of Bulgaria
[47]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https://pavelbanya.b[...] 2024-01-14
[48] 서적 Geographic Dictionary of Bulgaria
[49] 웹사이트 Starozagorski bani https://visitstaraza[...] 2024-01-14
[50] 웹사이트 Tourist Sites https://www.kazanlak[...] 2024-01-28
[51] 웹사이트 Thracian Tomb of Starosel https://www.btsbg.or[...] 2024-01-28
[52] 웹사이트 Zhaba Mogila https://strelcha.bg/[...] 2024-01-28
[53] 웹사이트 Smilovene Sanctuary https://bulgariansan[...] 2024-01-28
[54] 웹사이트 Kozi Gramadi https://bulgariansan[...] 2024-01-28
[55] 웹사이트 Koprivshtitsa https://www.btsbg.or[...] 2024-01-28
[56] 서적 Encyclopaedia Bulgaria
[57] 뉴스 Svezhen a Village with 600 Years History https://darikradio.b[...] Darik Radio 2024-01-28
[58] 웹사이트 Museum House of Rayna Knyaginya https://www.btsbg.or[...] 2024-01-28
[59] 웹사이트 Exhibits https://museumpan.co[...] 2024-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