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므리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므리티는 힌두교의 성전으로, 슈루티에 속하는 베다 문헌에 대한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스므리티에는 수트라, 이티하사, 다르마 샤스트라, 푸라나, 우파베다, 아가마 등이 있다. 수트라는 베단가와 육파 철학의 수트라로 나뉘며, 이티하사는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 등의 인도 서사시를, 다르마 샤스트라는 사회적, 도덕적, 경제적 규범을 다루는 법전을, 푸라나는 일반인을 위한 종교적 가르침을, 우파베다는 응용 지식을, 아가마는 종교적 신앙 실천에 대한 가르침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교 경전 - 브라만
    브라만은 고대 인도 카스트 제도에서 최상위 계급으로,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지위를 갖는 사제 계급이었으나, 현대에는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인도 인구의 약 5%를 차지하고 동남아시아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 힌두교 경전 - 바르나 (힌두교)
    바르나는 힌두교의 사회 계급 제도로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네 계급으로 구성되며, 각 계급의 역할과 의무를 규정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틀을 제공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차별과 불평등을 야기하여 현대에는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스므리티
스므리티
스므리티 사본의 페이지
스므리티 사본의 페이지
범주
유형힌두 문헌
언어산스크리트어
역사
시대기원전 6세기 ~ 현재
텍스트
주요 텍스트베단가
이티하사 (마하바라타, 라마야나)
푸라나
아가마
다르마샤스트라
니반다
영향
영향 받은 것슈루티
영향 준 것힌두교 철학, 힌두교 법
주제
주제힌두 전통, 법, 윤리, 의례

2. 스므리티의 종류

성전(聖傳)으로서의 스므리티에는 수트라(Sūtras), 이티하사(Itihāsas), 다르마 샤스트라(Dharmaśāstra), 푸라나(Purāṇas), 우파베다(Upaveda), 아가마(Āgama)가 있다.

수트라는 베단가와 육파 철학의 수트라로 나뉘며, 이티하사는 《라마야나》, 《마하바라타》 등의 인도 서사시를, 다르마 샤스트라는 《마누 법전》과 같은 법전을 가리킨다. 푸라나는 종교적 가르침을 쉽게 풀어 쓴 것이며, 우파베다는 의학, 음악 등 전문 분야를, 아가마는 종교적 실천 및 수행에 대한 가르침을 담고 있다.

2. 1. 수트라 (Sūtras)

수트라(Sūtras)에는 크게 베단가(Vedāṅga)와 육파 철학(Six Āstika)의 수트라가 있다. 베단가는 베다 문헌에 기반한 종교적 실천에 따른 발음, 운율, 문법, 어원, 천문, 제식수행을 다루는 6종의 보조학이다. 육파 철학에는 각 학파의 철학과 체계를 보여주는 수트라가 있는데, 베단타 학파의 《브라흐마 수트라》, 요가 학파의 《요가 수트라》 등이 있다. 육파 철학의 수트라는 힌두교 현자가 종교적, 철학적, 실천적 경험과 견해를 기록한 것이므로 스므리티에 속하지만, 슈루티에 준하는 정전(正典)적인 권위를 가진다.[1]

2. 1. 1. 베단가 (Vedāṅga)

수트라에는 크게 베단가와 육파 철학의 수트라가 있다.

베단가는 베다 문헌에 기반한 종교적 실천에 따른 발음, 운율, 문법, 어원, 천문, 제식수행을 다루는 6종의 보조학으로, 이들에 대해 다루는 수트라가 있다.

2. 1. 2. 육파 철학 (Six Āstika)

수트라에는 크게 베단가와 육파 철학의 수트라가 있다. 각 육파 철학에는 자신들의 철학과 체계를 보여주는 수트라가 있다. 육파 철학의 수트라는 거의 정전(正典)적인 권위를 가지는 문헌으로 베단타 학파의 《브라흐마 수트라(베단타 수트라라고도 한다)와 요가 학파의 《요가 수트라》 등이 이에 속한다. 육파 철학의 수트라는 명상 상태("사마디")에서 신으로부터 계시받은 것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힌두교의 현자가 자신의 종교적, 철학적, 실천적 경험과 견해를 기록한 것이므로 분류상으로는 스므리티에 속하지만, 영적 수행과 공부의 실제적인 지침이 되므로 슈루티에 준하는 정전(正典)적인 권위를 가진다고 보아 베다 문헌에 속한다.[1]

2. 2. 이티하사 (Itihāsas)

이티하사(Itihāsas)는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바가바드기타를 포함)를 비롯한 인도 서사시를 가리킨다.[2]

2. 3. 다르마 샤스트라 (Dharmaśāstra)

다르마 샤스트라(Dharmaśāstra)는 사회적, 도덕적, 경제적 규범을 다루는 법전으로, 대표적인 것은 《마누 법전》이다.[2]

2. 4. 푸라나 (Purāṇas)

푸라나(Purāṇas영어)는 일반인들을 위해 종교적 가르침을 쉽게 만든 것이다.[2] 주요한 것으로는 18종이 있으며, 우주론 · 신화 · 전설 · 지리 · 영웅 · 현자 · 반인반신에 대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2][3]

2. 5. 우파베다 (Upaveda)

우파베다(Upaveda])는 "응용 지식"이라는 의미로 의학(아유르베다), 음악, 춤, 궁술, 군사학, 건축, 기술 등 전문 분야를 다룬다.[2][4][5] 특히, 의학에 해당하는 아유르베다는 인도의 신비적 철학과 실천 중의 하나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2. 6. 아가마 (Āgama)

아가마()는 종교적 신앙을 실천 및 수행하는 것에 대한 전승된 가르침 또는 체계를 기록한 문헌으로,[6] 다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 철학영적 지식

# 요가 수행

# 사원신상(神像) 건축에 대한 규범

# 종교의식, 제례, 축제에 대한 규범

참조

[1] 서적 The Spirit of Hindu Law
[2] 기타
[3] 웹사이트 Sacred Texts http://www.sacred-te[...] 2011-02-18
[4] 웹사이트 http://www.ibiblio.o[...] 2011-02-18
[5] 기타
[6] 웹인용 Siva sutras: The Yoga of Supreme Identity By Vasugupta, Jaideva Singh https://web.archive.[...] 2011-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