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가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가마는 "내려온 것"을 의미하며, 전통으로 내려온 교리와 교리를 지칭하는 힌두교 경전이다. 시바와 샤크티의 대화 형식으로 영적 통찰력을 제시하며, 푸자(puja)를 통한 숭배를 강조한다. 아가마는 지아나 파다, 요가 파다, 크리야 파다, 차르야 파다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며, 사원 설계, 조각, 의식 등에 대한 규칙을 담고 있다. 힌두교의 다양한 철학적 견해를 제시하며, 베다와 우파니샤드와는 힌두교의 일반 경전과 특정 종파의 성전이라는 관계를 가진다. 샤이바, 샥타, 바이슈나바 등 다양한 아가마 문헌이 존재하며, 그 역사는 불분명하지만 서기 5세기에는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교 경전 - 브라만
    브라만은 고대 인도 카스트 제도에서 최상위 계급으로,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지위를 갖는 사제 계급이었으나, 현대에는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인도 인구의 약 5%를 차지하고 동남아시아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 힌두교 경전 - 바르나 (힌두교)
    바르나는 힌두교의 사회 계급 제도로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네 계급으로 구성되며, 각 계급의 역할과 의무를 규정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틀을 제공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차별과 불평등을 야기하여 현대에는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힌두교 - 브라만
    브라만은 고대 인도 카스트 제도에서 최상위 계급으로,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지위를 갖는 사제 계급이었으나, 현대에는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인도 인구의 약 5%를 차지하고 동남아시아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 힌두교 - 바르나 (힌두교)
    바르나는 힌두교의 사회 계급 제도로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네 계급으로 구성되며, 각 계급의 역할과 의무를 규정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틀을 제공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차별과 불평등을 야기하여 현대에는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아가마
기본 정보
종류힌두교 경전
언어산스크리트어
관련 종교힌두교
관련 경전베다
하위 분류샤이바 아가마
샥타 아가마
바이슈나바 아가마
상세 정보
다른 이름탄트라
특징힌두교의 주요 경전 중 하나로, 신의 지혜와 예배 의식, 철학적 가르침 등을 담고 있다. 베다와 함께 힌두교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한다.
내용신과 우주의 본질
예배 방법
명상 및 요가
윤리적 가르침
사회적 의무
주요 아가마
샤이바 아가마시바 신을 숭배하는 아가마
샥타 아가마데비 여신을 숭배하는 아가마
바이슈나바 아가마비슈누 신을 숭배하는 아가마
추가 정보
중요성힌두교 신자들에게 신성한 지식과 실천적인 지침을 제공하며, 종교적 삶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진다.

2. 어원

''아가마''(산스크리트어: आगम, āgama)는 "가다"라는 의미를 지닌 동사 어근 गम्(gam)과 "~으로"라는 의미를 지닌 전치사 आ(ā)에서 파생되었으며, "내려온 것"으로서의 경전을 지칭한다.[19] 문자 그대로 "전통"을 의미하며,[19] 전통으로 내려온 교리 및 가르침을 가리킨다.[6] 다바모니(Dhavamony)에 따르면, 아가마는 "힌두교의 기초가 되는 종교 텍스트의 일반적인 이름"이기도 하다.[6] 이러한 텍스트에 사용되는 다른 용어로는 삼히타(saṃhitā, "모음"), 수트라(sūtra, "격언"), 탄트라(tantra, "체계") 등이 있으며, "탄트라"라는 용어는 샤이바(Shaiva) 또는 바이슈나바(Vaishnava) 아가마보다 샤크타(Shakta) 아가마에 더 자주 사용된다.[20][6]

3. 중요성

아가마는 종종 시바샤크티 사이의 대화 형식으로 구성된다.[21] 신들 사이의 이러한 대화 형식은 단일한 신적 존재가 한 장소와 시간에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계시의 독백과 대조된다. 이 형식은 영적인 통찰력이 항상 진행 중이며, 깨달음을 올바르게 함양함으로써 구도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영원하고 역동적인 대화임을 보여주기 때문에 중요하다.[21] 라제스와리 고쉬에 따르면, 아가마는 특정 신의 가르침을 통해 의례적 숭배와 윤리적 개인 행동을 포함하는 영성 체계를 가르친다.[22]

아가마 종교의 숭배 방식은 베다의 형태와 다르다. 베다 형태의 야즈나는 아이콘과 사원이 필요하지 않지만, 아가마 종교는 푸자를 숭배 수단으로 하는 아이콘을 기반으로 한다.[22] 상징, 아이콘, 사원은 아가마 수행에 필수적인 부분이며, 무신론적 경로는 베다 수행의 대안적 수단이다.[22] 행동과 의지가 아가마의 가르침을 이끌고, 지식은 베다의 가르침에서 구원을 가져다준다.[22] 그러나 중세 시대 힌두교 신학자들에 따르면, 이것이 반드시 아가마와 베다가 대립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티루물라르는 그들의 연관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베다는 길이고, 아가마는 말이다."[22][23]

각 아가마는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24][22]


  • 지아나 파다(Jnana pada, 비디야 파다(Vidya pada)라고도 함)[24] - 교리, 철학적 및 영적 지식, 현실과 해방에 대한 지식으로 구성된다.
  • 요가 파다(Yoga pada) - 요가에 대한 가르침, 신체적 및 정신적 훈련.
  • 크리야 파다(Kriya pada) - 의식에 대한 규칙, 사원 건설 (만디르); 사원에서 숭배를 위해 신들의 우상 조각, 조각 및 봉헌을 위한 디자인 원칙으로 구성된다.[25]
  • 차르야 파다(Charya pada) - 행동 규칙, 숭배 (푸자), 종교 의식, 축제 및 프라야스치타를 규정한다.


아가마는 순례 장소에 대한 세 가지 요구 사항, 즉 스탈라(Sthala), 티르타, 무르티를 명시한다. 스탈라는 사원을 의미하고, 티르타는 사원 연못을 의미하며, 무르티는 신의 형상(일반적으로 신의 아이콘)을 의미한다.

아가마에는 쉴파(Silpa, 조각)에 대한 상세한 규칙이 명시되어 있으며, 사원을 지을 장소의 품질 요구 사항, 설치할 이미지의 종류, 이미지를 만들 재료, 치수, 비율, 공기 순환, 사원 단지의 조명 등을 설명한다.[25] 마나사라(Manasara)와 쉴파사라(Silpasara)는 이러한 규칙을 다루는 작품 중 일부이다. 사원에서 매일 예배 시간에 따라야 하는 의식 또한 아가마에 명시된 규칙을 따른다.

4. 철학

힌두교의 아가마 경전은 유신론적 이원론에서 절대 일원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철학을 제시한다.[28][27] 10세기 학자 아비나바굽타는 탄트랄로카 36장에서 이러한 견해의 다양성을 인정했다.[28] 사(Shaiva)교만 보더라도, 10개의 이원론(dvaita) 아가마 경전, 18개의 한정된 일원론-이원론(bhedabheda) 아가마 경전, 64개의 일원론(advaita) 아가마 경전이 존재한다.[29] 바이라바 샤스트라는 일원론적이며, 시바 샤스트라는 이원론적이다.[30][31]

바이슈나바 아가마에도 유사하게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사(Shaiva)교와 바이슈나바교 학파의 아가마 경전은 아트만 (영혼, 자아)의 존재와 궁극적 실재(브라만 – 사(Shaiva)교에서는 시바, 바이슈나바교에서는 비슈누라고 불림)의 존재를 전제로 한다.[32] 두 존재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 경전들은 서로 다르다. 어떤 경전들은 개별 영혼과 궁극적 실재가 다르다는 이원론적 철학을 주장하는 반면, 다른 경전들은 둘 사이의 일원론을 주장한다.[32] 카슈미르 사(Shaiva) 아가마는 절대적 일원론, 즉 신(시바)은 인간 안에 있고, 신은 모든 존재 안에 있으며, 신은 모든 무생물을 포함하여 세상 모든 곳에 존재하며, 생명, 물질, 인간, 신 사이에는 영적인 차이가 없다고 주장한다. 바이슈나바교 신자들 중 이에 상응하는 그룹은 순수 아드바이티니(Shuddhadvaitins)이다.[32]

두 학파의 학자들은 이원론에서 일원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논문을 저술했다. 예를 들어, 시바그라요긴(Shivagrayogin)은 의례, 행동, 개인적 훈련 및 영적 지식에 대한 통찰력을 포함하는 단계를 통해 깨달아지는 존재의 비차이 또는 통일성(아트만과 시밤 사이)을 강조했다.[33] 소니는 이것이 상카라, 마드바, 라마누자 베단타 논의와 놀랍도록 유사하다고 말한다.[33]

5. 베다 및 우파니샤드와의 관계

힌두교에서 베다와 우파니샤드는 일반적인 경전으로, 아가마는 특정 종파의 성전으로 여겨진다.[6] 현존하는 베다 문헌은 기원전 1천 년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아가마는 서기 1천 년기로 거슬러 올라간다.[6] 샤이비즘( শৈববাদ)에서 베다 문헌은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반면, 아가마는 특별한 논문이다. 샤이바는 철학과 영적 교리에 있어 베다 문헌에 반하는 아가마는 받아들이지 않는다.[6] 마찬가지로, 바이슈나바들은 베다와 바가바드 기타를 주요 경전으로, 삼히타(아가마)를 그 안의 철학과 영적 교리에 대한 주석 및 해설로 취급한다.[6] 샥타들은 베다 문헌에 대한 유사한 경외심을 가지고 있으며 탄트라(아가마)를 다섯 번째 베다로 간주한다.[6]

아가마의 유산은 "우파니샤드의 일원론에서 성숙한 베다적 경건함, 궁극적인 영적 실재를 브라만으로 제시하고 기타에서 묘사된 실현 방식"이라고 Krishna Shivaraman은 말한다.[34]

우마파티는 베다를 암소, 진정한 아가마를 그 우유로 비유했다.[35]

6. 주요 아가마 문헌

아가마는 시바샤크티 사이의 대화 형식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21] 각 아가마는 다음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24][22]


  • 지냐나 파다(Jnana pada) 또는 비드야 파다(Vidya pada): 교리, 철학 및 영적 지식, 현실과 해방에 대한 지식을 담고 있다.
  • 요가 파다(Yoga pada): 요가에 대한 가르침, 신체적 및 정신적 훈련을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 크리야 파다(Kriya pada): 의식, 사원(만디르) 건설, 신상 조각 및 봉헌을 위한 디자인 원칙을 담고 있다.[25]
  • 차르야 파다(Charya pada): 행동 규칙, 숭배 (푸자), 종교 의식, 축제 및 프라야스치타(속죄)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다.


아가마는 순례 장소에 대해 스탈라(Sthala, 사원), 티르타(사원 연못), 무르티(신의 형상)의 세 가지 요건을 명시한다.

아가마에는 쉴파(조각)에 대한 상세한 규칙이 있으며, 사원을 지을 장소, 이미지의 종류, 재료, 치수, 비율, 공기 순환, 조명 등을 설명한다.[25] 마나사라(Manasara)와 쉴파사라(Silpasara)는 이러한 규칙을 다루는 작품이다.

6. 1. 샤이바 아가마 (Shaiva Agamas)

아가마는 여러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중 하나는 아비나바굽타가 제시한 구분이다. 샤이바 아가마에서 샤이바 시드단타 아가마(10개의 샤이바 아가마와 18개의 루드라 아가마)는 이원론적이고 시바 중심적인 측면에 속한다. 64개의 바이라바 아가마는 중간에 위치하며, 가장 비이원론적이고 샤크티 중심적인 측면에는 비드야피타 탄트라가 있다. 샥타 아가마는 샤이바 아가마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샥타 탄트라에서는 시바와 함께하는 샤크티에, 샤이바 텍스트에서는 시바에 초점을 맞춘다.[45] 다스굽타는 시바와 샤크티가 "동일한 진실의 두 측면"이며, 서로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고 말한다. 시바의 역동적인 힘은 샤크티이며, 샤크티는 최고의 진실이고 시바는 나타난 본질이다.[45]

샤이바 아가마는 남인도 타밀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샤이바 시단타 철학의 기반이 되었다. 28개의 아가마 중 파라메사, 니스와사, 스와얌부바[수트라상그라하], 라우라바[수트라상그라하], 키라나, 파라[아크야]/사우라베야는 모두 12세기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사본이 남아 있다.[38] 이 아가마 중 다수는 히말라야 아카데미에서 번역 및 출판되었다.[39] 샤이바 시단타는 28개의 정전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4개의 아가마(칼로타라, 마탕가-파라메스와라, 므겐드라, 사르바지나노타라)와 두 개의 프라티스타-탄트라(마야상그라하 및 모하추도타라)에도 의존한다.[38] 티루물라르의 저작과 시다르 계보의 텍스트, 예를 들어 티루무라이에 수집된 것들도 이 전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단타에서 아가마는 시바의 이중적 지혜로 간주되며, 만트라와 깨달음을 통해 개인의 자아를 세 가지 속박에서 해방시킨다.[21]

28개의 샤이바 아가마 목록은 다음과 같다.[37]

번호이름
1카미캄
2요가잠
3친티암
4카라남
5아지탐
6딥탐
7숙스캄
8사하스람
9아슈만
10수프라베담
11비자얌
12니슈와삼
13스와얌부밤
14아날람
15비람
16라우라밤
17마쿠탐
18비말람
19찬드라그나남
20빔밤
21프로지탐
22라리탐
23시담
24산타남
25사르복탐
26파라메스와람
27키라남
28바툴람



카슈미르 시바교는 10개의 사이바 아가마, 18개의 루드라 아가마, 64개의 바이라바 아가마를 수용하며, 이를 이원론적, 부분적 비이원론적, 비이원론적 진화로 본다. 동시에 샥타 탄트라도 통합한다. 바이라바 아가마 중에서는 아므르테스와라 세트 아가마의 네트라 탄트라와 만트라피타 세트 아가마의 스바찬다 탄트라 두 가지 아가마가 중요하다.[36] 두 아가마 모두 크셰마라자 같은 카슈미르 시바교 주석가들의 주석을 받았으며 현재까지 중요하다.[40] 샥타 탄트라에서 카슈미르 시바교는 주로 트리카 경전, 특히 말리니비자요타라와 더불어 시드요게스와리마타, 탄트라사드바바, 파라트리시카, 그리고 비즈냐나 바이라바를 차용한다.[40] 아비나바굽타와 크셰마라자는 아가마를 시바의 자기 계시 행위로 본다. 시바는 스승과 제자의 역할을 맡아 다양한 대상의 관심사에 따라 탄트라를 드러낸다. 아가마는 프라카샤-비마르샤와 동일시된다.[21] 카슈미르 시바교 문헌은 아가마 샤스트라, 스판다 샤스트라, 프라티야비즈냐 샤스트라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뉜다.[41] 이 외에도 카슈미르 시바교는 바수굽타(850년경)의 시바 수트라[42][41]와 소마난다(875–925년경)의 ''시바드리시티''를 발전시키는 주석 작업에 의존한다.[43][44] 이 텍스트들은 모두 영적인 상황에서 계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칼라타는 스판다-브리티에서, 크셰마라자는 그의 주석 비마르시니에서 시바가 바수굽타에게 비밀 교리를 계시했다고 말하고, 바스카라는 그의 바르티카에서 한 시다가 꿈속에서 바수굽타에게 교리를 계시했다고 말한다.[42]

6. 2. 샥타 아가마 (Shakta Agamas)

샥타 아가마(Shakta Agamas)는 일반적으로 탄트라(Tantras)로 알려져 있으며,[6][7] 여성을 숭배하고, 여신을 중심으로 표현하며 여성성을 우주의 존재의 동등하고 필수적인 부분으로 간주한다.[45] 여성적 ''샤크티''(Shakti, 문자 그대로 에너지와 힘) 개념은 베다 문헌에서 발견되지만, Shakta Agamas에서만 광범위한 텍스트적 세부 사항으로 발전한다. 이 텍스트는 여성성을 남성 신성의 창조적 측면, 우주 발생력, 그리고 모든 곳에 스며드는 신성한 본질로 강조한다. 리타 셰르마(Rita Sherma)는 신학을 남성적 및 여성적 원리를 "원시적이고 초월적이며 행복한 통일 상태"로 제시한다고 말한다.[45] 여성성은 의지이며, 앎이며, 활동이며, 그녀는 창조의 모체일 뿐만 아니라 창조 자체이다. 이러한 힌두교 종파의 탄트라 텍스트에서 남성 원리와 통일된 여성은 절대적인 존재이다.[45]

Shakta Agamas는 시바와 샤크티, 그리고 영적 지식의 기반으로서의 통일된 관점을 사용한다.


샥타 아가마는 샤이바 아가마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며, 샥타 탄트라에서는 시바와 함께하는 샤크티에, 샤이바 텍스트에서는 시바에 각각 초점을 맞춘다.[45] 다스굽타(Dasgupta)는 시바와 샤크티가 "동일한 진실의 두 측면, 즉 정적이고 역동적이며, 초월적이고 내재적이며, 남성적이고 여성적인 측면"이며, 서로 없이는 현실이 아니라고 말한다. 시바의 역동적인 힘은 샤크티이며 그녀는 그 없이는 존재하지 않으며, 그녀는 최고의 진실이고 그는 나타난 본질이다.[45]

Shakta Agamas 또는 Shakta 탄트라는 64개이다.[7] 크리쉬난다 아가마바기샤(Krishnananda Agamavagisha)는 ''브리하트 탄트라사라(Brihat Tantrasara)''라는 단일 권에 64개의 아가마를 수집했다.[46] 이 장르의 몇몇 오래된 탄트라 텍스트는 ''야말라스''(Yamalas)라고 불리며, 테운 구드리안(Teun Goudriaan)에 따르면, 문자 그대로 "시바와 샤크티의 비이원성의 원시적이고 행복한 상태, 즉 탄트라 사드하카의 궁극적인 목표"를 의미한다.[47]

Shakta 탄트라는 각각 다른 여신을 강조하며 여러 전승(āmnāyas)으로 발전했는데, 이는 텍스트에 따라 시바의 4개, 5개 또는 6개의 방향 면 중 하나와 상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48][49] 네 방향으로 계산하면, 이 전승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푸르바므나야(Pūrvāmnāya, 동쪽 전승): 트리카(Trika) 여신인 파라, 파라파라, 아파라를 특징으로 한다.
  • 우타라므나야(Uttarāmnāya, 북쪽 전승): 칼리(Kali) 카라마를 특징으로 한다.
  • 파스치마므나야(Paścimāmnāya, 서쪽 전승): 곱사등이 여신 쿠브지카(Kubjikā)와 그녀의 배우자 나바트만을 특징으로 한다.
  • 닥시나므나야(Dakṣiṇāmnāya, 남쪽 전승): 여신 트리푸라 순다리(Tripura Sundari)와 스리 비디야(Sri Vidya)를 특징으로 한다.


네팔에서 이러한 전승은 네와르족(Newar people) 탄트라 공동체 내에서 보존되었을 뿐만 아니라, 12세기 초부터 사르바므나야 탄트라(Sarvamnaya tantra) 전통 내에서 일련의 수행으로 정립되었다.[50][51] 사르바므나야 탄트라(Sarvāmnāya tradition) 전통에서 입문자는 각 전승에 순차적으로 입문하여, 각 여신을 다른 모든 여신과 통합하고 샤크티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경험하는 법을 배운다.[50][51]

6. 3. 바이슈나바 아가마 (Vaishnava Agamas)

판차라트라를 주된 글로 한다.

바이슈나바 아가마는 판차라트라와 바이카나사의 두 가지 주요 학파로 나뉜다. 바이카나사 아가마는 비카나사 리시(Vikhanasa Rishi)로부터 그의 제자인 브리구(Brighu), 마리치(Marichi), 아트리(Atri), 카샤파(Kashyapa)에게 전해졌지만, 판차라트라 아가마는 다시 ''디비야''(Divya, 비슈누로부터), ''무니바시타''(Munibhaashita, 무니, 즉 현자들로부터), ''아프타마누자프로크타''(Aaptamanujaprokta, 신뢰할 수 있는 사람들의 말로부터)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19]

वैखानस आगम|바이카나사 아가마sa라고 명명된 일련의 아가마를 편찬하는 데 지침을 제공한 것으로 여겨지는 마하리쉬 비카나사는 나라야나 경의 "마나세카 우트바바르"(Maanaseeka Utbhavar)로 개념화된다.[52]

바이카나사 아가마와 마찬가지로 판차라트라 아가마, 비스와나타 아가마는 비슈누 신을 숭배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 바이칸사가 주로 바이디 박티를 다루는 반면, 판차라트라 아가마는 바이디 박티와 라가누가 박티를 모두 가르친다.[55]

6. 4. 기타 아가마

Sourasa 또는 Saurasa 아가마는 샤이바, 바이슈나바, 샥타, 가나파티야, Kaumarasa 및 Sourasa의 6가지 대중적인 아가마 기반 종교 중 하나이다. Saurasa 탄트라는 태양(Suryasa)에게 헌정되었으며, Sourasa 아가마는 태양 숭배 사원에서 사용된다.[56]

파라마다 탄트라는 종파별 탄트라의 수를 언급하는데, 그 수는 다음과 같다.[56]

종파탄트라 수
바이슈나바(Vaishnava)6,000개
샤이바(Shaiva)10,000개
샥타(Shakta)100,000개
가나파티야(Ganapatya)1,000개
사우라(Saura)2,000개
바이라바(Bhairava)7,000개
야크샤-부타디-사다나(Yaksha-bhutadi-sadhana)2,000개


7. 역사

아가마 경전의 연대기와 역사는 불분명하다.[57] 현존하는 아가마 경전은 서기 1천년기에 쓰여졌을 가능성이 있으며, 서기 5세기에는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57] 그러나 라마난과 같은 학자들은 고대 운율과 언어학적 증거를 들어 아가마 문헌의 시작이 부처 열반 후 수십 년인 기원전 5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한다.[6][57][58]

사원과 고고학적 비문, 그리고 문헌 증거에 따르면, 아가마 경전은 팔라바 왕조 시대인 7세기까지 존재했다.[13] 그러나 리처드 데이비스는 고대 아가마가 "반드시 현대에 남아있는 아가마는 아니다"라고 지적한다. 텍스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정되었다.[13]

참조

[1] 서적 Hinduism: the way of the banyan Routledge 2004
[2] 서적 Hindu-Christian Dialogue Rodopi 2002
[3] 서적 Poems to Siva: The Hymns of the Tamil Saint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4] 서적 Encyclopaedia of Indian Literature: A-Devo Sahitya Akademi 1987
[5] 서적 The Crucible of Religion: Culture, Civilization, and Affirmation of Lif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2
[6] 서적 Hindu Spirituality Gregorian University and Biblical Press 1999
[7] 서적 A Survey of Hinduism: Third Edi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7
[8] 서적 The Philosophical Traditions of India Routledge 2009
[9] 서적 Tantra, Its Mystic and Scientific Basis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2010
[10] 서적 Sonic Theology: Hinduism and Sacred Sound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93
[11] 서적 Psycho-Religious Studies Of Man, Mind And Nature Global Vision Publishing House 2001
[12] 서적 Śaivāgamas: A Study in the Socio-economic Ideas and Institutions of Kashmir (200 B.C. to A.D. 700) https://books.google[...] Indus Publishing Company 1990
[13] 서적 Worshiping Śiva in Medieval India: Ritual in an Oscillating Univers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14] 서적 Lakṣmī Tantra: A Pāñcarātra Text Motilal Banarsidass 2013
[15] 서적 Psalms of a Saiva Saint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84
[16]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Zen Buddhism Rosen Publishing 2002
[17] 서적 Śakti, the Power in Tantra: A Scholarly Approach https://books.google[...] Himalayan Institute Press 1998
[18] 간행물 Agama Hindu Dharma Indonesia as a New Religious Movement: Hinduism Recreated in the Image of Islam 2010
[19]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6
[20] 서적 The Hindu Tantric world: an overview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7
[21] 논문 The Dialogical Manifestation of Reality in Āgamas https://academic.oup[...] 2014-05-01
[22] 서적 The Tyāgarāja Cult in Tamilnāḍu: A Study in Conflict and Accommodation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cations 1996
[23] 서적 Harmony of Religions: Vedānta Siddhānta Samarasam of Tāyumānavar Motilal Banarsidass 1993
[24] 서적 Religion, Philosophy, Yoga: A Selection of Articles Motilal Banarsidass 1991
[25] 서적 Rediscovering the Hindu Temple: The Sacred Architecture and Urbanism of India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2
[26] 서적 Temple Imagery from Early Mediaeval Peninsular India Ashgate Publishing 2012
[27] 서적 The Philosophy of Sadhan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0
[28] 서적 Ritual in an Oscillating Universe: Worshipping Siva in Medieval Ind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29] 서적 The Canon of the Śaivāgama Motilal Banarsidass 1989
[30] 서적 Śiva Sūtras Motilal Banarsidass 2012
[31] 서적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32] 서적 The Pratyabhijñā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2002
[33] 서적 Philosophical Anthropology in Śaiva Siddhānta Motilal Banarsidass 1990
[34] 서적 Hindu Spirituality Vedas Through Vedanta Motilal Banarsidass 2008
[35] 서적 The Dance of Siva: Religion, Art and Poetry in South Ind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36] 서적 Śaivism and the Tantric Traditions Routledge 1991
[37] 서적 Hindu Tantric and Śākta Literature Otto Harrassowitz Verlag 1981
[38] 서적 Parākhyatantram: the Parākhyatantra: a scripture of the Śaiva Siddhānta Institut Français de Pondichéry [u.a.] 2004
[39] 웹사이트 Agamas https://www.himalaya[...] 2024-02-06
[40] 서적 The Śaiva Exegesis of Kashmir Institut français d’Indologie / 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 2007
[41] 서적 The Philosophy of Sādhanā: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Trika Philosophy of Kashmir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3
[42] 서적 Śiva Sūtras: The Yoga of Supreme Identity : Text of the Sūtras and the Commentary Vimarśinī of Kṣemarāja Translated Into English with Introduction, Notes, Running Exposition, Glossary and Index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cations 1979
[43] 서적 The ubiquitous Śiva: Somānanda's Śivadṛṣṭi and his tantric interlocutor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44] 서적 History of Kashmir Saivism Utpal Publications 1990
[45] 서적 Is the Goddess a Feminist?: The Politics of South Asian Goddesses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0
[46] 서적 Brihat Tantrasar http://archive.org/d[...] 1932
[47] 서적 Hindu Tantric and Śākta Literature Otto Harrassowitz Verlag 1981
[48] 서적 The Hindu Tantric world: an overview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7
[49] 서적 The canon of the Śaivāgama and the Kubjikā Tantras of the western Kaula tradi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8
[50] 웹사이트 Our Tradition https://www.vimarsha[...] 2024-02-06
[51] 간행물 The transmission of all powers: Sarvāmnāya Śākta Tantra and the semiotics of power in Nepāla-maṇḍala 2004
[52] 문서 SrI VaikhAnasa Bhagavad SAstram http://www.srihayagr[...]
[53] 웹사이트 Vaikhanasa Agama Books http://www.vaikhanas[...] 2012-09-10
[54] 문서 Agamas and South Indian Vaisnavism Prof M Rangacharya Memorial Trust 1982
[55] 간행물 Awakened India, Volume 112, Year 2007 Prabuddha Bharata Office 2007
[56] 서적 A Companion To Tantra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007
[57] 서적 Śaiva Siddhānta: An Indian School of Mystical Thought Motilal Banarsidass 2000
[58] 서적 Haunting the Buddha: Indian Popular Religions and the Formation of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