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자(賢者)는 기독교에서 동방 박사, 유대-기독교 전통에서 지혜로운 노인, 심리학에서 세넥스(Senex) 원형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기독교에서는 예수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해 선물을 가지고 온 점성술 학자들을 지칭하며, 중세 문학 및 현대 판타지에서는 간달프, 덤블도어와 같은 현명한 마법사 캐릭터로 묘사된다. 심리학에서는 융의 분석 심리학에서 세넥스라는 용어로 현명한 노인의 원형을 나타내며, 긍정적인 의미를 지닌다.

2. 성서 속 현자

기독교에서 현자는 특히 마태 복음(2:1-13)에 등장하는 점성술의 학자들을 가리킨다.[6] 아브라함, 모세, 솔로몬 등 많은 사람들이 유대-기독교 전통에서 지혜로운 노인으로 여겨진다. 신약성경구약성경에서 노년학의 기본 문구는 유대교기독교 모두에게 동등하게 구속력을 가지는데, 그것은 "오래도록 충만한 삶은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선물이다."이다.[7]

서구 세계에서 노년에 대한 많은 태도는 구약성경신약성경에서 유래되었다. 나이는 신중함, 경험, 통찰력, 지혜와 관련되어 왔지만,[8] 육체적 건강과 감각 수행 능력의 저하와 같은 약점과도 관련되어 왔다.[9]

기독교에서 현자는 특히 『마태오 복음서』(2:1-13)에 등장하는 점성술 학자들을 가리킨다. 영어 성경에서는 wise men, 라틴어 성경에서는 magi(모두 복수형)로 표현하는데, 을 보고 예수의 탄생을 알고 동방에서 선물을 가지고 왔다. 공동번역 성서에서는 "점성술 학자들"로 번역하지만, 박사, 현자 등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복음서에 인원은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선물의 수에서 전통적으로 3명으로 여겨진다. "동방 박사" 또는 "동방의 세 현자"라고도 한다. 구약 성서에서도 이집트의 파라오 측근에 현자와 주술사, 마술사가 있었고(탈출기 7:11), 모세의 기적에 대항한다. 바빌론느부갓네살은 점쟁이, 기도사, 마법사, 현자에게 자신이 본 꿈을 설명하려 했다(다니엘서 2:2).

성서에 등장하는 현자는 주로 주변 이교도의 나라에서 궁정에 봉사했던 지식인을 가리키며, 라틴어 번역 신약 성서에 사용된 magi는 마술사(magician영어)의 어원이다.

중세 유럽의 기독교 국가 사람들로부터 위대한 연금술사이자 현자로 인식되었던 인물에 라틴어 이름 게베르(자비르 이븐 하이얀)가 있다. 그는 아바스 왕조 5대 칼리프에게 봉사한 궁정 학자이다.

3. 중세 문학과 현자

이 캐릭터는 일반적으로 친절하고 현명한 노인 아버지상으로 표현되며, 사람과 세상에 대한 개인적인 지식을 활용하여 이야기를 전하고, 청중에게 그들이 누구이고 앞으로 어떻게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감각을 신비로운 방식으로 심어주어 멘토 역할을 한다. 그는 때때로 엉뚱한 교수로 나타나기도 하며, 사색적인 활동을 좋아하기 때문에 엉뚱해 보일 수 있다.[2]

현자는 종종 조언을 해주는 대상과 다른 문화, 국가, 또는 때로는 시간에서 온 것으로 묘사된다. 극단적인 경우, 그는 인간의 절반에 불과했던 멀린과 같은 경계적 존재일 수 있다.[2]

중세 기사도 로맨스와 현대 판타지 문학에서 그는 종종 마법사로 등장한다.[2] 그는 또한 은둔자로 묘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캐릭터는 종종 기사나 영웅들에게, 특히 성배를 찾는 사람들에게 그들의 만남의 의미를 설명한다.[3]

스토리텔링에서 현자의 캐릭터는 영웅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일정 기간 동안 어떤 방식으로든 제거되는 경우가 있다.

17세기 스페인의 작가 미겔 데 세르반테스가 기사도 이야기의 패러디로 쓴 작품 돈 키호테 2권에는 현자가 등장한다. 당시 읽히던 많은 기사도 이야기는 주인공인 기사에게 동행하는 "현자"가 등장하는 것이 정석이었다. 세르반테스는 시데 하메테 베넹헬리라는 가상의 인물을 등장시켜, 주인공 돈 키호테의 전기를 기록하게 한다.[12]

세르반테스가 현자로 등장시킨 이 인물은 아라비아 반도의 역사가라는 직함으로 소개된다. 영어로 Wise old man 또는 Philosopher로 표기되는 현자상은 광범위한 학문 지식을 가진 자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영어의 Philosopher를 "철학자"로 번역하는 것은, 17세기의 과학 혁명 이후 학문 지식이 분과된 이후의 호칭이다.

기사도 이야기가 쓰인 배경에 십자군 전쟁과 레콩키스타가 있었음을 생각하면, 당시 학문 지식이 앞서 있었던 이슬람 세계(이슬람 제국)에서 현자들이 오는 것은 자연스러웠을 것이다. 실제로 중세 유럽 사람들에게 가장 위대한 현자로 알려진 사람은 라틴어 명칭 게펠이라는 이슬람의 궁정 학자였다. 유럽이 연금술의 시대를 거쳐 이슬람 과학을 따라잡고 넘어선 것은 과학 혁명 이후가 된다. 그 전까지는 믿을 수 없는 지식을 가진 자는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또한, 기독교의 입장에서는 그들은 이교도의 마술을 사용하는 자로 생각했다. 아서 왕에게 고용된 멀린은 그가 가진 신비한 힘 때문에 마법사라고 불린다.

4. 심리학과 현자

카를 융의 분석 심리학에서 '''세넥스'''는 이 원형과 관련된 특정 용어이다.[4] 고대 로마에서 세넥스(Senex, 라틴어로 '노인')라는 칭호는 마을에서 좋은 평판을 가진 가족이 있는 노인에게만 수여되었으며, 이 칭호에서 원로원이 파생되었다. 긍정적인 형태의 세넥스 원형의 예로는 현명한 노인 또는 마법사가 있다.

융의 개성화 과정에서 현명한 노인의 원형은 늦게 나타나 자기의 징후로 여겨졌다. "만약 개인이 아니마(또는 아니무스) 문제와 충분히 진지하고 오랫동안 씨름했다면... 무의식은 다시 지배적인 특성을 바꾸고 새로운 상징적 형태로 나타난다... 남성적인 시작자이자 수호자(인도의 '구루'), 현명한 노인, 자연의 정령 등".[5]

세넥스의 대립 원형, 즉 반대는 영원한 소년이다.

5. 근현대 작품 속 현자

판타지 소설이나 게임 등 허구 작품에서 현자는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며, 주인공(용사 등)에게 조언을 하는 마법사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2] 이 캐릭터는 보통 친절하고 현명한 노인의 모습으로 그려지며, 사람과 세상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이야기를 전달하고, 듣는 이에게 그들이 누구이며 앞으로 어떻게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감각을 신비롭게 심어주는 멘토 역할을 한다. 때로는 엉뚱한 교수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사색적인 활동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현자는 종종 조언을 해주는 대상과 다른 문화, 국가, 또는 시간에서 온 것으로 묘사된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인간의 절반에 불과했던 멀린과 같은 경계적 존재일 수도 있다.

중세 기사도 로맨스와 현대 판타지 문학에서 현자는 종종 마법사로 등장한다.[2] 은둔자로 묘사되기도 하는 이 유형의 캐릭터는 종종 기사나 영웅, 특히 성배를 찾는 이들에게 그들이 겪는 만남의 의미를 설명해준다.[3]

이야기에서 현자 캐릭터는 영웅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일정 기간 동안 제거되기도 한다. 허구에서 현명한 노인은 중세 기사도 로맨스 소설과 현대 판타지 문학영화에서 멀린과 같은 마법사나 기타 마법사 형태로 자주 등장한다. 주목할 만한 예로는 호빗반지의 제왕간달프, 해리 포터알버스 덤블도어, 스타워즈오비완 케노비가 있다.

컴퓨터 RPG나 테이블탑 롤플레잉 게임(TRPG) 등의 게임에서 현자는 (고레벨의) 마법 사용자로서의 역할을 부여받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유럽풍 판타지를 소재로 한 작품에 등장하는 현자 캐릭터는 중세 기사도 이야기의 전통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서적 Anatomy of Criticism
[2] 문서 Frye, p. 195.
[3] 서적 The Idea of the Labyrinth: from Classical Antiquity through the Middle Ages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4] 서적 Terrapsychology: Reengaging the Soul of Place Spring Journal Books
[5] 서적 Man and his Symbols Picador
[6] 웹사이트 The old person in the Old Testament http://www.emk-bildu[...] 2022-04-20
[7] 문서 Genesis 25.8; 1 chronicles 29:28; Job 42:17
[8] 문서 Sirach 25,4-6; Job 8.8 ff. and 12.12; Wisdom 4,8 f .; Daniel 13.50; Job 12.12.
[9] 문서 1 Kings 1,1 ff., 14,4, 15,23; 2 Samuel 19.36 f.
[10] 문서 Job 12.12 and 32.9; Sirach 25.2.
[11] 서적 Recovering Jesus: the witness of the New Testament
[12] 서적 ドン・キホーテ 正編(一) 岩波文庫
[13] 서적 Anatomy of Criticis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