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실버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버 사건은 1999년 아스키 엔터테인먼트에서 플레이스테이션으로 출시된 텍스트 기반의 어드벤처 비주얼 노벨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1인칭 시점에서 환경을 탐색하며 스토리를 진행하며, 연쇄 살인 미스터리를 해결하는 형사 또는 사건을 취재하는 프리랜서 저널리스트의 역할을 맡는다. 게임은 "Transmitter"와 "Placebo" 두 가지 시나리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름 윈도우' 시스템을 통해 텍스트, 2D/3D 아트워크, 실제 사진, 영상 등을 한 화면에 표시한다. 스다 고이치가 기존 게임 시스템에 의문을 품고 개발했으며, 2016년에는 고화질 리마스터 버전이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레이즘 게임 - 시그널리스
    독일의 rose-engine에서 개발한 시그널리스는 레트로 퓨처리즘 세계관을 배경으로 기술자 레플리카 엘스터가 조종사 아리안 양을 찾아 셸핀스키를 탐색하며 초자연적인 사건을 마주하는 2.5D 탑 다운 슈터 방식의 서바이벌 호러 게임이다.
  • 플레이즘 게임 - 네크로바리스타
    네크로바리스타는 팀 스튜디오에서 개발한 비주얼 노벨 게임으로, 망자들이 사후 세계로 가기 전 머무는 카페 '터미널'에서 시간 거래를 하는 독특한 세계관을 배경으로 죽음과 인간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 취소된 닌텐도 DS 게임 - 레이튼 교수와 기적의 가면
    레이튼 교수와 기적의 가면은 레벨 5에서 개발한 닌텐도 3DS용 퍼즐 어드벤처 게임으로, 몬테 도르 시에서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과 관련된 미스터리를 해결하는 내용이며, 3D 그래픽, 터치 스크린 환경 탐색, 미니 게임, 추가 퍼즐 다운로드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취소된 닌텐도 DS 게임 - 판타지 라이프
    판타지 라이프는 레벨파이브에서 개발한 닌텐도 3DS용 역할 수행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12개의 라이프 클래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세계를 탐험하고 캐릭터를 성장시킬 수 있으며, 닌텐도 스위치용 후속작과 온라인 버전도 출시되었다.
  • 그래스호퍼 매뉴팩처 게임 - 롤리팝 체인소
    롤리팝 체인소는 줄리엣 스타링이 톱날을 사용하여 좀비 무리와 싸우는 핵 앤 슬래시 비디오 게임이며, 2022년에 리메이크되어 2024년 9월 26일에 롤리팝 체인소 RePOP으로 출시되었다.
  • 그래스호퍼 매뉴팩처 게임 - 령: 월식의 가면
    《령: 월식의 가면》은 생존 공포 비디오 게임으로, 플레이어가 카메라 옵스큐라를 사용하여 유령과 싸우며 탐험, 전투, 퍼즐 요소가 결합된 게임플레이를 통해 로게츠 섬의 불가사의한 사건과 소녀들의 기억과 정체성에 대한 이야기를 경험하는 게임이다.
실버 사건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플레이스테이션 커버 아트
플레이스테이션 커버 아트
제목실버 사건
원제シルバー事件
로마자 표기Shirubā Jiken
장르어드벤처
비주얼 노벨
개발
개발사글라스호퍼 매뉴팩처
프로듀서타무라 히로유키
디렉터스다 고이치
디자이너스다 고이치
프로그래머유이치 오가와
마사시 니와노
토시히로 후지카와
아티스트타카시 미야모토
작가스다 고이치
마사히 오오카
사코 카토
작곡가다카다 마사후미
엔진유니티 (HD 리마스터)
배급
배급사아스키 엔터테인먼트
플랫폼플레이스테이션
윈도우
macOS
플레이스테이션 4
리눅스
닌텐도 스위치
출시
플레이스테이션일본: 1999년 10월 7일
윈도우전 세계: 2016년 10월 7일
macOS전 세계: 2016년 11월 7일
플레이스테이션 4북아메리카: 2017년 4월 18일
유럽: 2017년 4월 21일
일본: 2018년 3월 15일
리눅스전 세계: 2017년 8월 1일
닌텐도 스위치일본: 2021년 2월 18일
북아메리카: 2021년 7월 6일
유럽: 2021년 7월 9일
기타 정보
모드싱글 플레이어
CERO 등급CERO-D (17세 이상)
내용 아이콘범죄
PS 형식SLPS-02320

2. 게임플레이

''더 실버 케이스''의 이벤트 장면


''더 실버 케이스''는 텍스트 기반의 포인트 앤 클릭 어드벤처 비주얼 노벨 비디오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1인칭 시점으로 환경을 이동하며 스토리를 진행한다. 게임은 "송신기"와 "플라시보" 두 가지 시나리오로 나뉘는데, 전자는 연쇄 살인 미스터리를 해결하는 형사의 시점, 후자는 조사를 취재하는 프리랜서 저널리스트의 시점으로 진행된다. 각 시나리오는 6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총 12개의 챕터가 존재한다.

게임 진행 중에는 텍스트, 2D 및 3D 아트워크, 실제 사진, 제한된 풀 모션 그래픽, 짧은 실사 시퀀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는 게임 내 이벤트를 단일 배경의 특수 창에서 볼 수 있다. 게임의 특정 지점에서는 퀴즈 질문과 미니 게임, 그리고 텍스트 기반 기능 및 프레젠테이션과 밀접하게 관련된 퍼즐도 등장한다.

2. 1. 필름 윈도우 (フィルム・ウィンドウ)

"필름 윈도우"(フィルム・ウィンドウ)는 여러 유형의 정보를 윈도우 단위로 조합하여 표현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개별 정보를 한 화면에 표시하거나, 여러 등장인물의 심정을 동시에 표현하여 "두 개의 이야기를 하나의 시간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2]

화면 내에 여러 윈도우를 표시하고, 장면마다 표시 위치와 크기를 변경한다. "필름 윈도우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종류설명
3D 윈도우폴리곤으로 그려진 풍경, 건물 등 "장소"가 표시된다. 주인공 이동 시에는 3D 시점 필드 화면 역할을 하며, 대화 이벤트 시에는 배경 표시 역할을 한다. 장면 전환 시 원경이 흘러가고, 겹쳐서 시각, 지명, 장 제목 등이 표시된다.
무비 윈도우실사 영상, 애니메이션, 3D 폴리곤 등 다양한 묘법으로 무비가 표시된다. 이벤트 무비 역할뿐만 아니라, "무비가 흘러가는 곁에서 (버튼 조작으로) 텍스트를 읽어 나간다"와 같은 장면도 있다.
그래픽 윈도우이벤트 그림으로서 한 장의 그림이나, 아이템, 중요 부분 등의 영상이 표시된다.
텍스트 윈도우문자가 표시된다. 캐릭터 대사의 경우 대사 길이에 따라 윈도우 크기가 달라진다. PC 화면을 의미하는 경우 넓게 공간이 확보된 일정 크기 윈도우에 문자가 정렬된다. 메일 매거진이나 벽보를 의미하는 윈도우에서는, 미리 표시된 전문(윈도우 밖으로 텍스트가 넘쳐흐른다)을 화면을 상하로 스크롤하여 읽는다. 이벤트 무비로서, 텍스트 윈도우가 연속적으로 흘러가는 장면도 있다.
페이스 윈도우캐릭터 얼굴이 표시된다. 해당 캐릭터 대사인 텍스트 윈도우와 함께 표시되며, 표시 시 윈도우 테두리가 빛나고 캐릭터 이름도 표시된다. 그래픽 윈도우의 한 장의 그림에서 인물 얼굴에 해당하는 장면이 빛나는 테두리로 둘러싸여, 페이스 윈도우 역할을 하는 경우도 많다.
메뉴 윈도우커맨드가 표시된다. "M", "C", "I", "S" 문자가 표시되며, 각각 "MOVEMENT(이동)", "CONTACT(접촉)", "INPLEMENT(도구 사용)", "SAVE(세이브)"를 의미한다.



윈도우가 표시되는 배경도 시나리오마다 디자인이 다르며, 대부분 장면에서 애니메이션을 계속한다. 이러한 배경은 흐르는 음악 리듬에 맞춰 움직임과 표시 속도가 달라지는 연출이 이루어진다.

3. 시놉시스

게임은 "Transmitter"와 "Placebo" 두 가지 시나리오로 나뉘어 진행된다. "Transmitter"는 흉악범죄수사반 형사의 시점에서, "Placebo"는 프리랜서 저널리스트의 시점에서 사건을 다룬다.
Transmitter시장 경제 주도형 사회주의 국가 "칸토"의 중심부인 신흥 도시 "24구"의 경찰서, 24서의 흉악 범죄과를 배경으로 한다. 24구에서 전설이 된 사건 "실버 사건"의 범인, 우에하라 카무이가 수용 중인 병원에서 탈주한다. 카무이 체포를 위해 출동한 공안 특수 부대원인 주인공은 그 후 흉악 범죄과에 배속되어, 그들과 함께 기묘하고 부조리한 여러 사건들과 조우한다.
Placebo24구에 사는 프리랜서 기자 모리시마 토키오는 유년 시절의 기억을 갖고 있지 않다. 교외의 맨션에서 애완동물인 거북이와 함께 자포자기한 생활을 하고 있었지만, 어느 날 과거 직장의 상사로부터 전설의 범죄자 우에하라 카무이에 대해 조사해 달라는 의뢰를 받는다. 때를 같이하여, 카무이가 수용 중인 병원에서 탈주, 공안 특수 부대원 수 명을 살해하고 시가지에 잠복한다. 그 후 토키오는 심야, 폐점 후의 쇼핑 센터에서 우에하라 카무이와 조우하고, 이후 자기 안에서 누군가가 속삭이는 듯한 목소리를 듣게 된다.


  • --


기본적으로 우에하라 카무이와 전설의 사건 "실버 사건"의 수수께끼를 풀어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형사물 서스펜스 요소와 함께 사이언스 픽션적인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

  • 범죄력: 극 중에서 전개되는 살인 등의 범죄는 바이러스처럼 전파성이 있으며, 사람에게서 사람에게로 "범죄를 실행하는 인자"로서 감염되는 성질을 갖고 있다. "범죄력"은 텔레비전 등의 언론을 통해 전염,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흉악 범죄과는 이를 막기 위해 현장에서 범인을 처분하고, 보도 기관으로의 전개를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잔류 사념: 유령과는 다른 존재로, 강한 범죄력을 가진 인간이 사망하면 현출하고, 범죄력의 감염원이 된다. 범죄와 관련 없는 민간인도 사망 후 잔류 사념이 남을 수 있으며, 이를 볼 수 있는 사람도 존재한다.


무대는 1999년 가상의 국가 "칸토"의 가상 신흥 도시, 국가 경제 행정 특별 자치구 "'''24구'''"이다. 당시와 동시대이지만 일본에는 없는 듯한 근미래를 이미지한 세계관이다.

구청장은 5기째를 맞이하는 하치스카 카오루이며, 인구는 10만 명이다. 여러 정당시민 단체가 존재하며, 이들의 세력이 양립하거나 대립하며 도시를 형성하고 있다. 겉으로는 온화해 보이지만 시민 개개인에게는 선예적인 정치적 대립이 존재한다(흉악 범죄과도 예외는 아니다). 치안 유지 기구 등도 여러 곳이 존재하며, 뒤로는 서로 반목하고 있다.

공모를 통해 입주한 주민들 사이에서는 7할의 저급 정보층과 3할의 고급 정보층이라는 뚜렷한 계급 차이가 존재하며, 소득보다는 정보 격차가 계급을 형성한다. 최근에는 흉악 범죄가 격증하고 있으며, 언론을 통해 "전염"되기 때문에, 흉악 범죄과는 "처분"이라고 불리는 피의자 사살의 권리를 가지고 있다.

3. 1. 등장인물 및 구조


  • '''우에하라 카무이'''는 20년 전 24구에서 발생한 "실버 사건"의 피의자이다. 이 사건의 자세한 내용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카무이는 체포된 후 정신적인 문제를 겪어 정신병원에 입원해 있었다. 최근에는 심각한 정신증 진단을 받아 혼자서는 사회생활을 할 수 없는 상태였다. 말하거나 움직이는 것조차 제대로 하지 못했지만, 갑작스럽게 경비원 등 여러 명을 살해하고 도주했다. 공안 특수 부대의 추격을 피해 시내에 숨어 있다.[1]

  • '''쿠사비 테츠고로'''는 24서 흉악범죄 2과 특별 수사관으로, 40대 후반의 베테랑 형사이다. 과거 "실버 사건"에 관여하여 "카무이를 체포한 남자"로 알려져 있다. "실버 사건"의 진실을 알고 있는 몇 안 되는 인물 중 하나이다.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코토부키 신지와 함께 흉악범죄과를 창설했다. 현장 수사를 중시하는 타입으로, 주변의 평가도 좋지만, 사생활은 엉망이다. 도박으로 인한 빚에 시달리고 있으며, 딸에게 미움받는 것을 가장 두려워하여 금연을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다.[1]

  • '''코다이 스미오'''는 24서 흉악범죄 2과 특별 수사관으로, 마른 체형의 미남이다. 쿠사비와 함께 수사를 진행하며, 주인공에게 지시를 내리는 경우도 많다. 가끔 유아적인 발작 증세를 보이며, 상사인 쿠사비에게 폭언을 하기도 한다. 여성에 대한 페티시즘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과거는 이야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1]

  • '''하치스카 치즈루'''는 24서 흉악범죄 1과 특별 수사관으로, 25세이다. 24구 구청장 하치스카 카오루의 딸이다. 과학수사연구소 출신으로, 과학 수사와 프로파일링을 전문으로 하지만, 주변에서는 그녀의 방식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아버지의 이름을 언급하는 것을 싫어하며, 이성적인 의견을 제시하면서도 감정 기복이 심해 주변을 당황하게 만들기도 한다.[1]

  • '''모리시마 토키오'''는 24구에 사는 프리랜서 기자이다. 어린 시절의 기억이 없으며, 이 사실은 사건과 관련이 있다. 과거에는 큰 통신사에서 일했지만, 불미스러운 이유로 퇴사했다. 현재는 교외의 맨션 "타이푼"에서 애완 거북 "아카미미"와 함께 자포자기한 생활을 하고 있다. 자신의 편집 메모를 일기처럼 기록하는 습관이 있으며, 이는 [Placebo]편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24구 내의 바 "잭 해머"의 단골 손님이다.[1]

3. 2. 줄거리

1999년, 일본 도쿄의 가상 도시 "24구"에서 기괴한 살인 사건이 발생한다. 24구 경찰서 흉악범죄수사반(HCU)은 이 사건이 1979년 "실버 사건" 당시 정부 요인들을 암살했던 연쇄 살인범 우에하라 카무이의 소행과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한다. 카무이는 체포되어 정신병원에 수감되어 있었지만, 새로운 사건들은 그가 다시 범죄를 저지르고 있음을 암시한다.

4. 개발



''실버 사건''은 스다 고이치가 휴먼 엔터테인먼트에서 퇴사한 후 1998년에 설립한 그래스호퍼 매뉴팩처의 데뷔작이다. 스다는 휴먼에서 ''트와일라이트 신드롬'' 시리즈의 스핀오프인 ''문라이트 신드롬''을 완성한 후 퇴사했다. ''실버 사건''은 기존 프로젝트만 작업했던 스다가 독창적인 무언가를 만들고 싶다는 바람에서 탄생했다.

개발팀은 독립적이었지만, 아스키 엔터테인먼트의 지원을 받았다. 아스키 엔터테인먼트는 스다가 휴먼을 떠났을 때 그와의 협업을 제안했고, 스다는 그래스호퍼 매뉴팩처를 설립한 후 ''실버 사건''의 컨셉으로 그들에게 접근했다. 스다는 다른 어떤 게임과도 다른 무언가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다.

개발팀은 재정적 제약과 소규모 인력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다는 "필름 윈도우 엔진"을 만들었다. 일러스트레이션과 텍스트는 전용 창으로 제한되었고, 스토리 시퀀스는 3D CGI, 실사 및 애니메이션 시퀀스를 통해 전달되었다.

이 게임은 플레이스테이션용으로 개발되었으며, 5명의 팀으로 시작하여 마지막 6개월 동안 10명으로 확장되었다. 캐릭터 디자인은 미야모토 타카시가 담당했으며, 그의 디자인은 책, 영화, 텔레비전 등 다양한 미디어의 영향을 받았다. 그의 그림 스타일은 만화 일러스트레이션과는 달리 현실적인 것을 의도했다.

캐릭터 디자인 과정에서 스다는 미야모토에게 캐릭터를 설명하고 패션 잡지를 보여주며 원하는 옷 스타일을 제시했고, 미야모토는 자신의 비전을 만들고 옷에 대한 선택을 했다. 두 사람은 중간 지점에 합의했고, 미야모토는 캐릭터 일러스트레이션을 만들었다. 그의 어두운 예술 스타일은 필름 누아르를 모방한 것이었다. 그는 ''메트로폴리스'', ''가타카'', ''히트'', ''세븐'' 등 여러 영화를 시각적 레퍼런스로 통합했다. 1999년 현대를 배경으로 했지만, 윌리엄 깁슨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은 미래 지향적인 개념을 통합했다. 스다는 그에게 모리카와와 코토부키를 텔레비전 시리즈 ''Taiyō ni Hoero!''의 캐릭터처럼 디자인하라고 말했다.

음악은 다카다 마사후미가 작곡했으며, 메인 테마는 ''실버 사건'' 전체에서 라이트모티프로 사용되었다. 그는 메인 테마 외에도 전용 캐릭터 모티프를 사용하여 게임의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는 리믹스와 곡을 만들었다.

게임의 두 시나리오는 서로 다른 작가가 담당했다. 스다는 "트랜스미터" 시나리오를 썼고, "플라시보" 시나리오는 오오카 마사히와 카토 사코가 썼다. 스다는 "인간의 힘 VS 인간의 힘"을 주요 테마로 묘사했다.

스다와 오오카는 전체 시나리오를 함께 만들었고, 스다는 특히 카무이에 대한 사건을 처리했다. 그는 이전에 휴먼에서 시나리오 작성 경험이 있었지만, 게임을 위한 완전히 독창적인 전제와 스크립트를 만드는 것은 그에게 어려웠다.

''실버 사건''은 ''문라이트 신드롬''과 ''Flower, Sun, and Rain''과 설정과 일부 캐릭터를 공유한다.

본작은 당초 오소독스한 커맨드 선택식 어드벤처 3편이 들어간 게임으로 기획되었으며, 제목은 『'''이그지트 콜'''』로 개발이 시작되었다.[5] 필름 윈도우는 아스키의 요구로 모든 정보를 윈도우로 관리하고, 미야모토의 그림과 3D 폴리곤의 부조화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 윈도우로 표시하게 되었다.[6]

스토리 구성은 결말을 정하지 않고 큰 줄기만 정한 채 작성되었으며, 예상과 다른 결말이 나는 경우가 많았다. 원래 관람차가 등장할 예정이었으나 등장하지 않았고, 이는 『문라이트 신드롬』에서도 마찬가지였다.[5]

스다는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는 느낌"과 피부 감각으로 느끼는 것을 표현하고자 했으며, 플레이 후 여운을 남기고 현실 세계와 연결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총 5부작으로 제작을 검토했었다.[5]

2016년 4월, ''실버 사건''의 고화질 리마스터 ''The Silver Case HD Remaster''가 공개되었다. 그래스호퍼 매뉴팩처와 Active Gaming Media(액티브 게이밍 미디어)가 공동 개발했으며, Steam과 Playism(플레이즘)을 통해 Windows용으로 출시될 예정이었다. Active Gaming Media는 2014년에 게임 현지화를 위해 스다 고이치에게 접근했고, 스다는 협력하여 프로듀서로 활동했다. 리마스터는 Unity 5 엔진으로 개발되었다.

원본 엔진의 노후화로 인해 비디오 및 장면 전환 관련 알고리즘은 완전히 다시 작성되었지만, 영화 창 시스템은 최대한 그대로 유지되었다. 원본 소스 코드가 손실되어 오디오 데이터는 PlayStation 디스크 버전에서 추출해야 했다. 현지화는 더글러스 와트가 감독하고 제임스 마운틴이 번역을 맡았다.

스다는 아트북 출시로 국내외 관심이 높아졌다고 언급했다. 게임의 질문 세그먼트는 일본어 지식에 의존하여 완전히 다시 작성해야 했다. 해상도는 480p에서 1080p로 업스케일링되었고, UI와 인터페이스는 현대 게이머에게 친숙하도록 수정되었다. 3D 그래픽과 색상 균형도 개선되었다. 원본 데이터 손실로 인해 재구성이 필요한 부분도 있었다. 원본 음악은 야마오카 아키라가 리믹스했다. 스다는 원본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최고의 리마스터 버전을 제작했다고 느꼈다.

''The Silver Case'' 리마스터 버전은 2016년 10월 7일에 출시되었다. Limited Run Games(리미티드 런 게임즈)에서 한정판을 제작, 배포했다. 11월 7일에는 macOS 플랫폼으로도 출시되었다. Nippon Ichi Software(일본이치 소프트웨어)는 PlayStation 4용 게임을 출시했다. 스다는 2016년 도쿄 게임 쇼에서 Nippon Ichi Software의 제안으로 PlayStation 4 이식 개발을 결정했다. NIS America는 ''단간론파'' 시리즈의 성공적인 출시로 서구 팬층을 확보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이 버전에는 야마오카 아키라, 이토 에리카, Grasshopper Sound Team의 리믹스 트랙과 새로운 트랙, 그리고 새로운 시나리오 "야미(闇)"와 "화이트아웃 프롤로그(Whiteout Prologue)"가 포함되었다. 새로운 시나리오는 스다 고이치와 오오카 타카유키가 다시 썼다. 이 게임은 2017년 4월 북미와 유럽에서 출시되었다. PlayStation 4 버전은 2018년 3월 일본에서 ''The Silver Case 2425''와 함께 패키지로 출시되었다. 2017년 8월에는 Linux 플랫폼으로 출시되었다. 닌텐도 스위치용 ''The Silver Case 2425''는 2021년 2월 일본에서, 7월에는 북미와 유럽에서 출시되었다.

4. 1. 개발 배경

스다 고이치는 기존 게임 시스템에 의문을 품고 캐릭터 이동, 윈도우 표시, 그림 등 모든 면에서 새로운 시스템을 채용했다.[5] 프로그래머에게는 디자인도 겸업하도록 디자인 학습을 시켰고, 일러스트레이터에게는 방법론을 확립하여 효율적으로 그림을 그리도록 요청했다.[5]

스토리 면에서는 스다의 아내가 경찰관이었던 점을 바탕으로 형사물을 소재로 선택했다.[5] 이전 작품인 문라이트 신드롬(1997년)에서 젊은이의 시점으로 범죄를 다룬 것과 달리, 본작에서는 수사관의 시점에서 범죄를 묘사하고자 했다.[5] 이는 고베 아동 살인 사건과 당시 언론 검열에 대한 반작용으로, 연쇄 살인범보다는 수사관에게 초점을 맞추려는 의도였다.

또한, 스다는 자치체의 위험성과 주민 기본 대장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우려를 바탕으로 관리 사회를 전제로 한 스토리를 구축했다.[5] 이는 적응력이 높아 어느새 관리 사회에 적응해버리는 일본인에 대한 공포감을 반영한 것이었다.

5. 출시

실버 사건일본어은 1999년 10월 7일 아스키 엔터테인먼트에서 플레이스테이션용으로 출시되었다. 2008년 12월 10일에는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를 통해 재발매되었다.

스다 고이치는 이 게임을 영어로 현지화하고 싶었지만, 방대한 양의 대화, 퍼즐과 대화에 필요한 일본어 지식 등 번역의 어려움으로 인해 서양 발매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후 스다는 게임을 다시 출시하고자 했으나, 스토리와 대화 관련 문제로 인해 처음에는 일본에서만 독점 출시되었다. 2007년에는 닌텐도 DS용 리메이크가 서양 발매와 함께 발표되었으나, 2012년 2월에 발매가 취소되었다.

제목발매일대응 기종개발원발매원미디어비고
실버 사건일본어2008년 12월 10일일본어플레이스테이션 3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글래스호퍼 매뉴팩쳐다운로드
(게임 아카이브스)
The Silver Case2016년 10월 6일영어Windows
OS X
액티브 게이밍 미디어액티브 게이밍 미디어다운로드
(Steam)
The Silver Case2016년 10월 7일영어Windows
OS X
액티브 게이밍 미디어액티브 게이밍 미디어다운로드
(PLAYISM)
The Silver Case
실버 2425일본어
2017년 4월 18일영어
2017년 4월 21일영어
2018년 3월 15일일본어
플레이스테이션 4글래스호퍼 매뉴팩쳐일본 일 소프트웨어다운로드
BD-ROM
판매량: 2,450개일본어[3]
The Silver Case2017년 8월 1일영어리눅스액티브 게이밍 미디어액티브 게이밍 미디어다운로드
(Steam)
실버 2425일본어2020년 2월 18일일본어닌텐도 스위치글래스호퍼 매뉴팩쳐액티브 게이밍 미디어다운로드
게임 카드


6. 평가

리마스터 버전은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메타크리틱에서 "평가 혼조 또는 평균"을 받았다.

패미통은 ''The Silver Case''에 40점 만점에 30점을 부여했다. 리뷰어들은 윈도우 시스템의 가독성에 대해 지적했지만, 전반적으로 게임의 분위기와 연출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특히 스다 고이치의 이전 작품인 문라이트 신드롬과 비교하며 그의 독특한 스타일을 보여주는 초기 예시로 언급했다.

7. 영향

스다 고이치와 그래스호퍼 매뉴팩처는 《실버 사건》을 통해 일본 게임 업계에서 자리를 잡았다. 이 게임에서 탐구된 주제는 킬러7 등 후속작에도 영향을 미쳤다.

모바일 플랫폼용 후속작으로 《25구: 실버 사건》이 개발되었다.

7. 1. 한국의 관점

더 실버 케이스일본어는 일본의 독특한 사회 문화적 배경과 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어,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고도로 통제되고 관리되는 사회 시스템의 위험성과 개인의 자유, 그리고 언론의 역할에 대한 고민은 한국 사회에서도 중요한 화두이다. 게임에 등장하는 "범죄력" 개념은 사회적 문제의 전염성과 확산에 대한 경고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한국 사회의 여러 문제, 예를 들어 학교 폭력, 사이버 범죄, 혐오 범죄 등의 확산과도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사회적 약자와 소외 계층에 대한 보호, 그리고 사회 시스템의 개혁을 강조하는 정당으로서, 더 실버 케이스일본어에 나타난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 공감할 수 있다. 다만, 게임 내에서 묘사되는 폭력적인 해결 방식이나 과도한 통제는 더불어민주당의 정책 방향과는 다소 거리가 있을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シルバー事件」と「シルバー事件25区」をHDリマスター化。Switch版「シルバー2425」発売決定 https://game.watch.i[...] 2020-11-07
[2] 서적 週刊ファミ通 no.555 株式会社アスキー 1999-08-06
[3] 웹사이트 【週間ソフト販売ランキング TOP50】『星のカービィ スターアライズ』が22.9万本で1位 https://dengekionlin[...] KADOKAWA 2018-03-22
[4] 트위터 2018-06-30
[5] 간행물 『ファイプロ スペシャル』『シルバー事件』を創った男 太田出版 2003-04-22
[6] 간행물 緊急速報:シルバー事件 アスキー 1999-07-09
[7] 웹사이트 The Silver Case for PC http://www.metacriti[...] CBS Interactive 2016-12-08
[8] 웹사이트 The Silver Case Review http://www.gamespot.[...] CBS Interactive 2016-10-19
[9] 웹사이트 The Silver Case Review http://www.pcgamer.c[...] Future plc 2016-10-12
[10] 웹사이트 Review: The Silver Case http://www.hardcoreg[...] Hardcore Gamer 2016-10-12
[11] 웹사이트 The Silver Case Review http://www.rpgfan.co[...] RPGFan 2016-11-13
[12] 간행물 新作ゲームクロスレビュー アスキー 1999-10-15
[13] 웹사이트 シルバー事件 まとめ [PS] https://www.famitsu.[...] KADOKAWA CORPORATION
[14] 웹인용 The Silver Case for PC http://www.metacriti[...] CBS Interactive 2016-12-08
[15] 잡지 http://www.famitsu.c[...] Enterbrain 2016-07-23
[16] 웹인용 The Silver Case Review http://www.gamespot.[...] CBS Interactive 2016-10-19
[17] 웹인용 The Silver Case Review http://www.pcgamer.c[...] Future plc 2016-10-12
[18] 웹인용 Review: The Silver Case http://www.hardcoreg[...] Hardcore Gamer 2016-10-12
[19] 웹인용 The Silver Case Review http://www.rpgfan.co[...] RPGFan 2016-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