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쌍편모생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쌍편모생물은 두 개의 유전자가 융합된 특징을 가지며, 티미딜산 합성효소와 디히드로폴산 환원효소 유전자가 융합되어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계통 분류 연구에 따르면 단편모생물은 후편모생물과 아메바류의 조상이며, 쌍편모생물은 원시색소체생물, 엑스카바타, 리자리아, 크로말베올라타의 조상일 수 있다. 엑스카바타와 리자리아를 카보조아로, 알케플라스티다와 크로말베올라타를 코르티카타로 분류하는 등 쌍편모생물 내 관계는 불분명하며, 피코조아가 홍조식물의 가까운 친척이라는 제안과 프로보라의 발견 등 최근 연구 결과가 반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쌍편모생물 - 프로보라
    프로보라는 2022년에 발견된 디아포레티케스 내 고대 계통의 진핵생물 분류군으로, 네뷸리디아와 닙블러리디아의 두 주요 그룹으로 나뉜다.
  • 쌍편모생물 - 디아포레틱케스
    디아포레티케스는 아케플라스티다, SAR 슈퍼그룹, 착편모조류를 포함하는 진핵생물 그룹으로, 대부분의 광합성 종과 엑스카바타를 제외한 모든 비콘트를 포함하며, '식물+HC+SAR 메가그룹'으로도 불린다.
  • 진핵생물 - 아모르페아
    아모르페아는 아메바류와 오바조아로 나뉘는 진핵생물의 계통 분류 그룹으로, 대부분 하나의 편모를 가지거나 편모가 없으며, 후편모생물을 포함한다.
  • 진핵생물 - 안키로모나스속
    안키로모나스속은 다양한 종을 포함하며, 각 종은 학명, 명명 연도, 명명자에 따라 분류되고, 안키로모나스 아틀란티카, 콘토르타, 임플루비움, 인디카, 켄티, 라타, 마그나 등이 주요 종이며, Skvortzov에 의해 다수 종이 명명되었다.
  • 토머스 캐빌리어 스미스가 명명한 분류군 - 코아노조아
    코아노조아는 칼라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깃편모충류와 동물을 포함하는 계통 분류군으로, 동물의 기원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동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연결고리를 제공한다.
  • 토머스 캐빌리어 스미스가 명명한 분류군 - 합티스타
    합티스타는 2015년 캐빌리어-스미스에 의해 명명된 생물 분류군으로, 엑스카바타 생물군 중 디스코바에 속하며, 하위 분류로 알베이다아문, 육질태양충아문, 착편모조아문 등이 있다.
쌍편모생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방산충
방산충의 일종
학명Bikonta
명명자Cavalier-Smith, 1993
이명Biciliata Cavalier-Smith, 1993
Diaphoretickes Adl et al., 2012
Diphoda Derelle et al., 2015
화석 범위1600 백만 년 전 – 현재
하위 분류
아군디아포레틱케스
엑스카바타
Hemimastigophora

2. 효소

쌍편모생물은 유전자 두 개가 하나의 단위로 융합되는 특징이 있다. 티미딜산 합성효소(TS)와 디히드로폴산 환원효소(DHFR) 유전자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진 단일 단백질을 암호화한다.[2]

이 유전자들은 단편모생물에서는 개별적으로 번역된다.

3. 계통 분류

단편모생물이 후편모생물(동물의 선조)과 아메바류의 조상이며, 쌍편모생물은 원시색소체생물(식물의 선조)과 엑스카바타, 리자리아, 그리고 크로말베올라타의 조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토머스 카발리아-스미스는 분류가 불분명한 아푸소조아가 쌍편모생물이라고 주장했다.

쌍편모생물 내의 관계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카발리아-스미스는 엑스카바타리자리아를 카보조아로, 알케플라스티다크로말베올라타를 코르티카타로 분류했지만, 리자리아크로말베올라타가 공통 조상을 가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3]

2015년 Derelle 등은 단편모생물-쌍편모생물 분류에 대한 대안으로 오피모다와 '''디포다'''라는 약어를 제안했다. 디포다는 DIscobadiaPHOretickes의 글자를 조합하여 만들어졌다.

피질생물은 대략 두 가닥 편모 생물에 해당한다. 합티식물, 크립티스타, 남조식물, 홍조식물, SAR 상군녹색식물은 일반적으로 단일 계통군으로 간주되지만, 원시색소체생물은 측계통군일 수 있으며, 이들 간의 상호 관계는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최근에는 원시색소체생물과 Hacrobia를 SAR/HA 상위군 내에서 SAR 상위군에 자매 클레이드인 "HA 상위군" 또는 "AH 상위군"으로 함께 배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Hacrobia의 단일 계통성이 논쟁의 대상이 되면서 이는 점차 선호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3. 1. 주요 하위 그룹

어떤 연구 결과는 단편모생물이 후편모생물(동물의 선조)과 아메바류의 조상이며, 쌍편모생물은 원시색소체생물(식물의 선조)과 엑스카바타, 리자리아, 크로말베올라타의 선조라고 제안한다.[13][14][15][16][17][18] 토머스 카발리아-스미스는 아직 그 분류가 불분명한 아푸소조아가 쌍편모생물이라고 주장했다.

쌍편모식물 내의 관계들은 아직 불분명하다. 토머스 카발리아-스미스는 엑스카바타리자리아를 카보조아로, 알케플라스티다크로말베올라타를 코르티카타로 분류했다. 하지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구를 통해 리자리아크로말베올라타가 공통의 선조를 지닌 생물군으로 제안했다.

3. 2. 계통수 (2021년 제안 포함)

다음은 2021년에 제안된 피코조아홍조식물과 가깝다는 것과 2022년에 발견된 프로보라를 포함한 계통 발생이다.[13][14][15]

메타모나다디스코바, 아마도 말라이모나스문의 자매일 가능성이 있어 계통수 내에서 위치가 불확실하다.[16][17][18]

3. 3. 추가 논의

어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단편모생물은 후편모생물(동물의 선조)과 아메바류의 조상이며, 쌍편모생물은 원시색소체생물(식물의 선조)과 엑스카바타, 리자리아, 그리고 크로말베올라타의 선조라고 제안된다.[13] 토머스 카발리아-스미스는 분류가 불분명한 아푸소조아가 쌍편모생물이라고 주장했다.

쌍편모식물 내의 관계는 아직 불분명하다. 토머스 카발리아-스미스는 엑스카바타리자리아를 카보조아로, 알케플라스티다크로말베올라타를 코르티카타로 분류했다. 하지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구를 통해 리자리아크로말베올라타가 공통의 선조를 지닌 생물군으로 제안되었다.[3]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계통발생이 제안되기도 한다.

참조

[1] 논문 Monophyly of Rhizaria and multigene phylogeny of unicellular bikonts 2006-10-01
[2] 논문 Protist phylogeny and the high-level classification of Protozoa
[3] 논문 Phylogenomics Reshuffles the Eukaryotic Supergroups
[4] 논문 The Glaucophyta: the blue-green plants in a nutshell 2015-01-01
[5] 논문 The evolutionary history of haptophytes and cryptophytes: phylogenomic evidence for separate origins 2012-06-07
[6] 논문 Bacterial proteins pinpoint a single eukaryotic root 2015-02-17
[7] 논문 Multiple origins of Heliozoa from flagellate ancestors: New cryptist subphylum Corbihelia, superclass Corbistoma, and monophyly of Haptista, Cryptista, Hacrobia and Chromista 2015-12-01
[8] 논문 A paneukaryotic genomic analysis of the small GTPase RABL2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recurrent gene loss in eukaryote evolution 2016-01-01
[9] 논문 Monophyly of Rhizaria and multigene phylogeny of unicellular bikonts http://mbe.oxfordjou[...]
[10] 논문 Protist phylogeny and the high-level classification of Protozoa
[11] 논문 Phylogenomics Reshuffles the Eukaryotic Supergroups
[12] 논문 http://mbe.oxfordjou[...]
[13] 논문
[14] 논문 http://urn.kb.se/res[...]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Untangling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eukaryotes: a phylogenomic study of the evolutionary origins of Centrohelida, Haptophyta and Cryptista http://rspb.royalsoc[...] 2016-01-27
[18] 논문 A Eukaryote without a Mitochondrial Organelle http://linkinghub.e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