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식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녹색식물은 단세포, 군체, 다세포, 다핵체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지며, 세포벽과 엽록체를 특징으로 한다. 광합성을 통해 녹말을 저장하며, 엽록체는 클로로필 a와 b를 포함한다. 생식 방식은 다양하며, 생활환에서 감수 분열 시기 또한 여러 유형이 존재한다. 녹색식물은 바다, 담수, 육상 환경에 널리 분포하며, 육상 식물은 육상 생태계의 주요 생산자이다. 인간에게 식량, 재료, 관상용 등으로 널리 이용되며, 바이오 연료 등 친환경 소재 개발 연구도 진행 중이다. 녹색식물은 남세균과의 일차 공생을 통해 엽록체를 획득했으며, 녹조식물과 스트렙토식물 두 계통군으로 나뉜다.
녹색식물은 단세포 생물, 군체, 다세포 생물, 다핵체 등 매우 다양한 체제를 가지고 있다.[36][37][67][38][39] 육상 식물은 조직 및 기관 분화를 동반하는 복잡한 다세포체를 갖는 반면[40][41], 갈파래강이나 녹조강의 일부, 차축조류 등은 세포 간의 연락 구조인 원형질 연락을 갖는다.[38][39] 녹색식물 중에는 직경 1 µm 이하의 단세포성 종도 있지만[42], 육상 식물 중에는 높이 100 m 이상에 달하는 다세포체를 형성하는 것도 있다.
육상 식물(특히 피자 식물)은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식량이다. 인간의 주식은 일반적으로 벼, 밀, 옥수수, 감자 등이며, 다양한 육상 식물이 채소나 과일로 이용되고 있다(--). 소 등의 가축 사육에는 육상 식물이 사료로 사용된다. 육상 식물은 이 외에도 기호품, 의약품, 재료, 관상용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인간에게 이용되고 있다. 한편, 녹조류가 직접 이용되는 경우는 많지 않지만, 김, 파래, 바다포도, 클로렐라 등은 식품이나 건강식품으로 이용된다[65] 또한 종속 영양성 녹조류인 프로토테카는 인간에게 기생하여 프로토테카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66]。
다음은 프로보라(2022년에 발견된 미생물 포식자 집단)를 포함하여 제안된 계통 발생이다.[120] 메타모나다는 디스코바나 말라이모나스문의 자매일 가능성이 있어 계통 분류가 어렵다.[121][122][123]
2. 특징
체제 예시 이미지 단세포성 클라미도모나스류 (녹조강) -- 군체성 별해캄속 (녹조강) -- 사상성 실말속 (접합조류) -- 유조직성 은행나무 (육상 식물) -- 다핵낭상성 괭생이붙이속 (갈파래강) --
2. 1. 세포 구조
녹색식물의 세포는 보통 셀룰로스를 포함한 세포벽으로 둘러싸여 있다.[37][38][39][43] 하지만, 만난이나 자일란 등 다른 다당류를 주성분으로 하거나 당단백질로 구성된 세포벽을 가진 경우도 있다.[38][39] 두날리엘라속과 같이 명확한 세포 외피가 없는 나출형 세포도 존재한다.[37][39][44][45]
엽록체는 2중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36][37][38][39] 여러 장의 틸라코이드가 겹쳐져 '''라멜라 구조'''를 형성한다.[36][37][38][39] 특히 육상식물 등에서는 판 모양의 틸라코이드가 다수 겹쳐진 그라나가 발달해 있다. 엽록체 내에는 루비스코 등의 단백질 덩어리인 파이레노이드가 존재하기도 한다.[36][37][38][39]
녹색식물은 광합성 색소로 '''클로로필 ''a'' 와 ''b'' 를 가진다'''.[36][37][38][39] 이와 함께, 루테인, 제아잔틴, 비올라잔틴, 네오잔틴, β-카로틴과 같은 다양한 카로티노이드도 포함한다.[54] 저장 다당류로 아밀로스와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된 '''녹말을 색소체 내에 축적'''한다.[36][37][38][39] 미토콘드리아는 판 모양의 크리스타를 갖는다.[39]
2. 2. 생식
녹색식물은 동형 배우자(형태가 같은 배우자), 이형 배우자(크기가 다른 배우자), 난생식(크고 움직이지 않는 난자와 작은 정자의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배우자를 합체한다.[36][37][38][39][40] 이러한 방식은 녹색식물 내 여러 계통에서 나타나며, 난생식으로의 진화가 여러 번 독립적으로 일어났다고 추정된다.[38][56] 접합조류에서는 일반적인 상태(영양체)의 부동 세포가 서로 마주보고 세포질이 합쳐지는 접합(conjugation)이라는 특이한 현상이 관찰된다. 영양 세포가 직접 배우자를 만들기도 하지만, 육상 식물은 보통 여러 세포로 이루어진 복잡한 배우자낭(조란기, 조정기)을 만든다(종자식물에서는 퇴화).[40][41]
생활환에서 감수 분열이 일어나는 시기도 다양한데,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다.[36][37][39][40]
녹색식물에서는 무성 생식이 매우 흔하며, 이분열, 출아, 포자(유주자, 부동 포자, 자생 포자 등) 형성, 영양체 분단, 무카고(주아) 등 다양한 방식이 관찰된다.[37][38][39]
2. 3. 생태
녹색식물은 바다, 담수, 육상 등 다양한 환경에서 널리 서식한다. 특히 육상식물은 육상 생태계의 주요 생산자이며, 지구상 1차 생산의 약 절반을 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57] 육상 식물 중에는 이차적으로 담수나 바다로 진출한 물풀, 해초와 같은 경우도 있다.[40] 한편, 녹조류는 바다에서 담수 수역에 많이 분포하며, 플랑크톤 또는 저서생물로 살아간다.[38][39] 또한 녹조류 중에는 바위 위, 나무 껍질 위, 토양 등 육상 지역에 서식하는 종도 적지 않다.[39][58] 특수한 환경으로 염호나 빙설 중에 서식하는 녹조류도 존재한다.[39]
녹조류 중에는 다른 생물과 공생하는 경우가 있다.[39][59][60] 특히 지의류 공생 조류의 대부분은 녹조류이다. 그 외에도 섬모충, 아메바류, 태양충, 해면, 히드라, 말미잘, 나무늘보 등 다양한 생물에 녹조류가 세포 내 또는 세포 외 공생하는 예가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녹색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빛 독립영양생물로서 살아가지만, 광합성과 동시에 외부에서 섭취한 유기물을 탄소원, 에너지원으로 이용 가능한 혼합영양생물도 있다 (예: 클로렐라, 클라미도모나스).[61] 또한 녹색 식물 중에는 이차적으로 광합성 능력을 잃은 종속영양생물도 존재한다 (예: 프로토테카 속, 전기생물, 균종속영양생물).[62] 이러한 종속영양성 녹색 식물은 흡수를 통해 유기물을 얻는 흡수영양생물(osmotroph)이며, 포식(식작용)에 의해 살아가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플라시노조류의 일부 (광합성 종)에서는 식작용의 존재가 보고된 바 있다.[63][64]
3. 인간과의 관계
4. 진화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center;" |진핵생물 (22억 년 전?)
|-
|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center;" |디포다 (쌍편모생물)
|-
|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center;" |디아포레틱케스
|-
|
{| class="wikitable"
|-
| 크립티스타
|-
! style="text-align:center;" |원시색소체생물 (16억 년 전)
|-
|
{| class="wikitable"
|-
|
|-
! style="text-align:center;" |피코조아
|}
|-
|회청조식물 (11억 년 전) 녹색식물 (식물, 10억 년 전)
|}
|-
|
{| class="wikitable"
|-
| 헤미마스티고포라류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center;" |합티스타
|-
! style="text-align:center;" |TSAR
|-
|
{| class="wikitable"
|-
| 텔로네마류
|-
! style="text-align:center;" |SAR
|-
|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center;" |할바리아
|-
|
|-
! style="text-align:center;" |리자리아 (5억 5천만 년 전)
|}
|}
|}
|-
| 프로보라
|}
|}
|-
|
|-
|
{| class="wikitable"
|-
| 안키로모나스류
|-
|
{| class="wikitable"
|-
| 말라이모나스류
|-
|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center;" |CRuMs
|-
! style="text-align:center;" |아모르페아 (15억 년 전)
|-
|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center;" |아메바류
|-
! style="text-align:center;" |오바조아
|-
|
{| class="wikitable"
|-
| 브레비아타류
|-
|
{| class="wikitable"
|-
| 아푸소모나스목
|-
! style="text-align:center;" |후편모생물 (13억 년 전)
|-
|
|}
|}
|}
|}
|}
|}
|}
|}
|}
4. 1. 진화 과정
녹색식물의 공통 조상은 남세균(시아노박테리아)이 세포 내 공생(일차 공생)을 통해 엽록체를 획득하면서 시작되었다고 추정된다.[37][67][39][68] 회색조식물과 홍색식물(홍조) 또한 일차 공생으로 엽록체를 획득한 것으로 보이며, 이들은 녹색식물과 함께 일차 식물로 불린다.[67] 이 세 그룹은 공통 조상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진핵생물 내에서 단일 계통군을 형성하여 아케에플라스티다(고색소체류)로 묶인다.[69][70]
녹색식물은 아케에플라스티다를 구성하는 일차 식물 중 홍색식물과 엽록체(색소체)에 펩티도글리칸 벽이 없고, 집광성 클로로필 단백질 복합체(LHC)를 갖는 등 파생적인 특징을 공유한다.[72][73] 또한, 녹색식물은 클로로필 ''b''를 갖고, 피코빌린이 없으며, 틸라코이드가 겹쳐 라멜라를 형성하는 등 여러 면에서 특이하며, 이러한 특징은 녹색식물의 공통 조상에서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2019년에는 1,153종의 식물 유전체 및 전사체를 기반으로 한 계통 발생이 제안되었다.[21] 이 분석에서 "녹조류"와 "스트렙토파이트 조류"는 모두 측계통군으로 취급된다.[22][23]
4. 2. 분자 계통
2019년에 1,153종의 식물 유전체 및 전사체를 기반으로 한 계통 발생이 제안되었다.[21] 이후 염기 서열이 결정된 Mesostigmatophyceae 및 Chlorokybophyceae의 유전체에 기반한 계통 발생에 의해 조류 그룹의 위치가 뒷받침되었다.[22][23] 이 분석에서는 "녹조류"와 "스트렙토파이트 조류" 모두 측계통군으로 취급된다. 선태식물의 분류는 Puttick 외 2018[24]에 의해, 또한 이후 염기 서열이 결정된 뿔이끼 유전체를 포함하는 계통 발생에 의해 뒷받침된다.[25][26]
녹색식물의 공통 조상은 남세균이 세포 내 공생(일차 공생)을 함으로써 엽록체를 획득했다고 생각된다.[37][67][39][68] 회색조류와 홍조식물(홍조류)도 일차 공생으로 엽록체를 획득했으며, 녹색식물을 합쳐 이 3군은 일차 식물이라고도 불린다.[67] 이들 3군의 기원이 된 일차 공생은 공통적인 현상이었으며, 즉 이 3군은 공통 조상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이 3군은 진핵생물 중에서 단일 계통군을 형성한다고 생각되며, 함께 아케에플라스티다(고색소체류)로 묶인다.[69][70]
아케에플라스티다를 구성하는 일차 식물 3군 중에서 녹색식물과 홍색식물은 엽록체(색소체)에 펩티도글리칸으로 구성된 벽이 없는 것, 집광성 클로로필 단백질 복합체 (LHC)를 갖는 것 등, 파생적인 특징을 공유하고 있으며, 색소체의 분자 계통에서도 녹색식물과 홍색식물의 근연 관계가 시사되는 경우가 많다.[72][73] 그러나 핵 단백질 등에 기초한 계통 분석에서는 일차 식물 3군의 계통 관계에 대해서는 뚜렷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고 있다. 아케에플라스티다 안에서 녹색식물은 클로로필 ''b''를 갖는 것, 피코빌린을 결여하는 것, 틸라코이드가 겹쳐 라멜라를 형성하는 등, 여러 면에서 특이하며, 이러한 변화가 녹색식물의 공통 조상에서 일어났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분자 계통 분석에서는 아케에플라스티다 안에 일차 식물 3군 이외의 진핵생물이 포함될 가능성도 시사되고 있다. 그러한 진핵생물로서 크립티스타, 피코조아, 로델피스속()가 있다.[74][75][76] 이들 생물에서는 일차 공생 유래의 색소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일차 공생 유래의 색소체를 이차적으로 잃었을지도 모른다.
5. 분류
녹조식물과 스트렙토식물은 광합성 색소 조성, 저장 다당류, 편모 세포의 공통성으로 인해 근연 관계에 있다는 것이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81][82] 그러나 그 체제의 차이 등으로 인해 별도로 분류되다가, 계통 관계를 직접 분류 체계에 반영하면서 육상 식물과 녹조류를 묶은 계통군에 대한 분류군명으로 식물계[32], 클로로비오타(Chlorobiota)[31][83], 클로로비온타(Chlorobionta)[29][30], 클로로플라스티다(Chloroplastida)[27][28], 녹색식물(Viridiplantae)[71][84] 등이 제안되었다.
과거에는 녹조류가 영양체의 체제(대략적인 몸의 구조)에 따라 분류되었고, 이에 따른 진화가 예상되었다.[81][85][86] 1970년대 이후 미세 구조(편모 장치, 세포 분열 양식 등)와 생화학적 특징(광호흡에 작용하는 효소 등) 연구를 통해 녹조류 중에는 체제와 일치하지 않는 두 개의 큰 계통군이 존재하고, 그 중 하나에 육상 식물이 포함된다는 것이 밝혀졌다.[37][87][88] 이 가설은 분자 계통학적 연구에서도 지지받아 널리 받아들여지게 되었다.[82][89] 이처럼 밝혀진 녹색 식물을 구성하는 두 개의 큰 계통군은 '''녹조식물''' 및 '''스트렙토식물'''이라고 불린다.[39][82][89]
녹조식물에 포함된 녹조류의 대부분은 갈파래강, 트레보욱시아강, 녹조강 중 하나에 속하며, 이 세 강은 서로 근연 관계에 있다(UTC 계통군).[97][98] 여기에 클로로덴드론조강과 페디노조강을 합한 계통군은 "코어 녹조류" (core chlorophytes, core Chlorophyta)라고 불린다.[99] 프라시노조류는 녹조식물 내에서 다수의 계통군으로 나뉜다.
스트렙토식물에는 육상 식물과 함께 육상 식물과 근연 관계에 있는 녹조류(접합조류, 차축조류 등)가 포함된다. 이러한 녹조류는 이전에는 광의의 차축조강(Charophyceae ''sensu lato'')으로 묶여 있었지만,[88], 이 묶음은 단계통군이 아니다. 따라서 2019년 현재 이러한 녹조류는 보통 여러 강(또는 문)으로 나뉘는 경우가 많다.[96][95][100] 이러한 녹조류의 총칭으로는 스트렙토조류(streptophyte algae)가 사용될 수 있다.
접합조류, 콜레오케테류, 차축조류는 육상 식물과 함께 단계통군을 형성하며, 세포질 분열 시 프래그모플라스트(격막 형성체)가 생긴다는 공통점을 가진다.[101][102] 이 단계통군은 프래그모플라스트 식물(Phragmoplastophyta)[69]이라고 불린다.
녹색 식물 내의 계통 가설의 예는 다음과 같다.[89][103][104][105][106][107]
{{cladogram
|caption='''녹색 식물 내 계통 가설의 예'''[89][103][104][105][106][107]. 맨 아래의 육상 식물을 제외하고는 녹조류로 통칭된다.
|align=center
|width=
|clades={{clade| style=font-size:80%;line-height:100%
|label1='''녹색식물'''
|1={{Clade
|label1='''녹조식물'''
|1={{Clade
|1='''팔모필름조강'''
|2={{Clade
|1='''마미엘라조강'''
|2='''피라미모나스목'''
}}
|3='''가스코울피엘디아목'''
|4='''스코울피엘디아목'''
|5='''네프로셀미스조강'''
|6={{Clade
|1='''피코키스티스조강'''
|2='''클로로피콘조강'''
|label3="코어 녹조식물"
|3={{Clade
|1='''페디노조강'''
|2='''클로로덴드론조강'''
|3={{Clade
|1='''트레보욱시아조강'''
|2={{Clade
|1='''갈파래강'''
|2='''녹조강'''
}}
}}
}}
}}
|label2='''스트렙토식물'''
|2={{Clade
|1='''메소스티그마조강'''
|2='''클로로키부스조강'''
|3={{Clade
|1='''클레브솔미디움조강'''
|label2=프래그모플라스트 식물
|2={{Clade
|1='''차축조강'''
|2={{Clade
|1='''콜레오케테조강'''
|2={{Clade
|1='''접합조류''' (별말강)
|2='''육상 식물'''
}}
}}
}}
}}
}}
}}
}}
5. 1. 녹조식물 (Chlorophyta)
녹조식물은 편모 장치가 회전 대칭 교차형이며,[91] 세포 분열 시 파이코플라스트가 관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39][89][90] 갈파래강, 트레보욱시아강, 녹조강 등은 녹조식물의 주요 계통군이며, 이들은 "코어 녹조류"를 형성한다.[97][98][99] 프라시노조류는 녹조식물 내 여러 계통군에 분산되어 있다.녹조식물과 스트렙토식물의 특징 비교는 다음 표와 같다.
특징 | 녹조식물 | 스트렙토식물 |
---|---|---|
편모 세포 | 편모는 세포 정단에서 서로 마주보고 생김[91] | 편모는 세포 측면에서 평행하게 생김 |
편모 장치 | 회전 대칭 교차형[91] | 비대칭 측방형[92] |
편모 세포의 안점 | 있음[93] | 없음[92] |
핵분열 | 폐쇄형[93] | 개방형 |
중간 방추사 | 잔존성 or 초기 붕괴성 | 잔존성 |
세포질 분열 | 환상 수축 or 세포판, 때로는 파이코플라스트 있음 | 환상 수축 or 세포판, 때로는 프래그모플라스트 있음 |
셀룰로스 합성 효소 복합체 | 선상 | 로제트형 |
광호흡 (글리콜산 대사) | 미토콘드리아 내 글리콜산 탈수소 효소 | 과산화소체 내 글리콜산 산화 효소 |
구리/아연형 수퍼옥시드 디스뮤테이스 | 없음 | 있음 |
이소프렌 생합성 | 색소체 내 비메발론산 경로 | 색소체 내 비메발론산 경로 및 세포질 기질의 메발론산 경로 |
대표적인 예 | 클로렐라, 클라미도모나스, 군생말, 청각, 마리모 | 미크라스테리아, 실말, 차축조, 선태식물, 관다발 식물 |
5. 1. 1. 주요 분류군
Leliaert 등(2012)은 녹색식물의 다음과 같은 단순화된 분류를 제안했다.[19]- 녹색식물
- * 클로로조류(Chlorophyta)
- ** 핵심 녹조류
갈파래강(Ulvophyceae)
* 청록말목(Cladophorales)
* 방사말목(Dasycladales)
* 총상해조목(Bryopsidales)
* 털말목(Trentepohliales)
* 갈파래목(Ulvales) - 콩짜개란목(Ulotrichales)
* Oltmannsiellopsidales
녹조강(Chlorophyceae)
* 털혹말목(Oedogoniales)
* 톡토기말목(Chaetophorales)
* Chaetopeltidales
* 클라미도모나스목(Chlamydomonadales)
* 스파에로플레아목(Sphaeropleales)
트레보욱시아강(Trebouxiophyceae)
* 클로렐라목(Chlorellales)
* Oocystaceae
* Microthamniales
* Trebouxiales
* ''프라시올라(Prasiola)'' 계통
클로로덴드론조강(Chlorodendrophyceae)
* 클로로덴드랄레스(Chlorodendrales)
페디노조강(Pedinophyceae)[20]
- ** 파라시노조류(prasinophytes) (측계통군)
피라미모나스목(Pyramimonadales)
마미엘라조강(Mamiellophyceae)
Pycnococcaceae
네프로셀미스조강(Nephroselmidophyceae)
Prasinococcales
Palmophyllales
5. 2. 스트렙토식물 (Streptophyta)
스트렙토식물은 편모 장치가 비대칭 측방형이며, 세포 분열 시 프래그모플라스트(격막 형성체)가 관여하는 특징을 가진다.[92] 육상 식물과 일부 녹조류(접합조류, 차축조류, 콜레오케테조강 등)를 포함한다.[96][95][100]녹조식물과 스트렙토식물의 특징 비교는 다음 표와 같다.
특징 | 녹조식물 | 스트렙토식물 |
---|---|---|
편모 세포 | 편모는 세포 정단에서 서로 마주보고 생김[91] | 편모는 세포 측면에서 평행하게 생김 |
편모 장치 | 회전 대칭 교차형[91] | 비대칭 측방형[92] |
편모 세포의 안점 | 있음[93] | 없음[92] |
핵분열 | 폐쇄형[93] | 개방형 |
중간 방추사 | 잔존성 or 초기 붕괴성 | 잔존성 |
세포질 분열 | 환상 수축 or 세포판, 때로는 파이코플라스트 있음 | 환상 수축 or 세포판, 때로는 프래그모플라스트 있음 |
셀룰로스 합성 효소 복합체 | 선상 | 로제트형 |
광호흡 (글리콜산 대사) | 미토콘드리아 내 글리콜산 탈수소 효소 | 과산화소체 내 글리콜산 산화 효소 |
구리/아연형 수퍼옥시드 디스뮤테이스 | 없음 | 있음 |
이소프렌 생합성 | 색소체 내 비메발론산 경로 | 색소체 내 비메발론산 경로 및 세포질 기질의 메발론산 경로 |
대표적인 예 | 클로렐라, 클라미도모나스, 군생말, 청각, 마리모 | 미크라스테리아, 실말, 차축조, 선태식물, 관다발 식물 |
접합조류, 콜레오케테류, 차축조류는 육상 식물과 함께 세포질 분열 시 프래그모플라스트가 생기는 공통점을 가지는 프래그모플라스트 식물을 형성한다.[101][102]
5. 2. 1. 주요 분류군
Leliaert 등(2012)이 제안한 녹색식물의 단순화된 분류는 다음과 같다.[19]- 녹색식물(Viridiplantae)
- * 스트렙토조류(Streptophyta)
- ** 차축조류(Charophyta)
메소스티그마조강(Mesostigmatophyceae)
클로로키부스목(Chlorokybales)
- ** 클렙소르미디움조강(Klebsormidiophyceae)
- ** 프라그모플라스트조류(Phragmoplastophyta)
차축조강(Charophyceae)
콜레오케이트조강(Coleochaetophyceae)
접합조강(Zygnematophyceae)
육상식물(Embryophyta)
스트렙토식물에는 육상 식물과 함께 육상 식물과 근연 관계에 있는 녹조류(접합조류, 차축조류 등)가 포함된다. 이러한 녹조류는 이전에는 광의의 차축조강(Charophyceae ''sensu lato'')으로 묶여 있었지만,[88] 이 묶음은 단계통군이 아니다. 따라서 2019년 현재 이러한 녹조류는 보통 여러 강(또는 문)으로 나뉘는 경우가 많다.[96][95][100] 2019년 현재 이러한 녹조류의 총칭으로는 스트렙토조류(streptophyte algae)가 사용될 수 있다. 스트렙토조류 중에서 접합조류, 콜레오케테류, 차축조류는 육상 식물과 함께 단계통군을 형성한다는 것이 강하게 지지받고 있다. 이러한 생물군은 세포질 분열 시 프래그모플라스트(격막 형성체)가 생긴다는 공통점을 가지므로,[101][102] 이 단계통군은 프래그모플라스트 식물[69]이라고 불린다.
다음은 녹색 식물 내의 계통 가설의 예이다.
{{cladogram
|caption='''녹색 식물 내 계통 가설의 예'''[89][103][104][105][106][107]. 맨 아래의 육상 식물을 제외하고는 녹조류로 통칭된다.
|align=center
|width=
|clades={{clade| style=font-size:80%;line-height:100%
|label1='''녹색 식물 아계'''
|1={{Clade
|label1='''녹조식물'''
|1={{Clade
|1='''팔모필름조강'''
|2={{Clade
|1='''마미엘라조강'''
|2='''피라미모나스목'''
}}
|3='''가스코울피엘디아목'''
|4='''스코울피엘디아목'''
|5='''네프로셀미스조강'''
|6={{Clade
|1='''피코키스티스조강'''
|2='''클로로피콘조강'''
|label3="코어 녹조식물"
|3={{Clade
|1='''페디노조강'''
|2='''클로로덴드론조강'''
|3={{Clade
|1='''트레보욱시아강'''
|2={{Clade
|1='''갈파래강'''
|2='''녹조강'''
}}
}}
}}
}}
|label2='''스트렙토식물'''
|2={{Clade
|1='''메소스티그마조강'''
|2='''클로로키부스조강'''
|3={{Clade
|1='''클레브솔미디움조강'''
|label2=프래그모플라스트 식물
|2={{Clade
|1='''차축조강'''
|2={{Clade
|1='''콜레오케테조강'''
|2={{Clade
|1='''접합조류''' (별말강)
|2='''육상 식물'''
}}
}}
}}
}}
}}
}}
}}
5. 3. 계통 분류 (최신 연구)
2019년에 1,153종의 식물 유전체 및 전사체를 기반으로 한 계통 발생이 제안되었다.[21] 조류 그룹의 위치는 이후 염기 서열이 결정된 *Mesostigmatophyceae* 및 *Chlorokybophyceae*의 유전체에 기반한 계통 발생에 의해 뒷받침된다. 이 분석에서는 "녹조류"와 "스트렙토파이트 조류" 모두 측계통군으로 취급된다(계통수 다이어그램 옆의 수직 막대).[22][23] 선태식물의 분류는 2018년 Puttick 외 연구진에 의해 제안되었고,[24] 이후 염기 서열이 결정된 뿔이끼 유전체를 포함하는 계통 발생에 의해 뒷받침된다.[25][26]아래는 2019년 제안된 녹색식물의 계통 분류이다.
상위 분류군 | 하위 분류군 |
---|---|
원시녹색식물 | 홍조류 |
해록조류 | |
녹색식물 | |
Prasinodermophyta | |
녹조류 | |
Mesostigmatophyceae | |
Chlorokybophyceae영어 | |
Spirotaenia | |
Klebsormidiales | |
Chara | |
Coleochaetales | |
접합조류 | |
육상식물 | |
참조
[1]
논문
A one-billion-year-old multicellular chlorophyte
https://www.nature.c[...]
2020-02-24
[2]
논문
The kingdoms of organisms
[3]
서적
The Classification of Lower Organisms
https://archive.org/[...]
Pacific Books
[4]
논문
New concepts of kingdoms or organisms. Evolutionary relations are better represented by new classifications than by the traditional two kingdoms
https://www.ib.usp.b[...]
2015-01-31
[5]
서적
Einführung in die Phykologie
https://books.google[...]
Georg Thieme Verlag
[6]
논문
Eukaryote kingdoms: seven or nine?
1981
[7]
논문
One thousand plant transcriptomes and the phylogenomics of green plants
2019-10
[8]
논문
Gain and loss of elongation factor genes in green algae
2009-02
[9]
서적
Function and evolution of the vacuolar compartment in green algae and land plants (Viridiplantae)
https://archive.org/[...]
[10]
논문
EEF2 analysis challenges the monophyly of Archaeplastida and Chromalveolata
2008-07
[11]
논문
Plants
2011-06
[12]
웹사이트
Charophycean Green Algae Home Page
http://www.life.umd.[...]
2018-02-24
[13]
논문
From algae to angiosperms-inferring the phylogeny of green plants (Viridiplantae) from 360 plastid genomes
2014-02
[14]
논문
The Evolutionary Origin of a Terrestrial Flora
2015-10
[15]
논문
Estimating the timing of early eukaryotic diversification with multigene molecular clocks
2011-08
[16]
논문
The origin and early evolution of plants
https://www.cell.com[...]
2022-10-31
[17]
웹사이트
Viridiplantae
https://www.uniprot.[...]
2009-03-08
[18]
논문
The new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with emphasis on the taxonomy of protists
[19]
논문
Phylogeny and molecular evolution of the green algae
https://hal.archives[...]
[20]
논문
Nested in the Chlorellales or independent class?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he Pedinophyceae (Viridiplantae) revealed by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of complete nuclear and plastid-encoded rRNA operons
2012-09
[21]
논문
One thousand plant transcriptomes and the phylogenomics of green plants
[22]
논문
Mesostigma viride Genome and Transcriptome Provide Insights into the Origin and Evolution of Streptophyta
[23]
논문
Genomes of early-diverging streptophyte algae shed light on plant terrestrialization
[24]
논문
The Interrelationships of Land Plants and the Nature of the Ancestral Embryophyte
[25]
논문
The hornwort genome and early land plant evolution
[26]
논문
Anthoceros genomes illuminate the origin of land plants and the unique biology of hornworts
[27]
논문
The new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with emphasis on the taxonomy of protists
[28]
문서
[29]
논문
A cladistic classification of green plants
[30]
논문
Kingdoms, codes and classification
[31]
논문
Thallophytes and kingdoms: a critique
[32]
서적
The Classification of Lower Organisms
https://archive.org/[...]
Pacific Books
[33]
논문
New concepts of kingdoms of organisms
[34]
문서
[35]
간행물
Green plants.
http://tolweb.org/Gr[...]
Tree of Life Web Project.
[36]
서적
藻類多様性の生物学
内田老鶴圃
[37]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38]
서적
Algae: an introduction to phy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서적
Algae
Benjamin Cummings
[40]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2) 植物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41]
서적
維管束植物の形態と進化
文一総合出版
[42]
논문
A new marine picoeucaryote: ''Ostreococcus tauri'' gen. et sp. nov.(Chlorophyta, Prasinophyceae)
[43]
논문
植物細胞壁の構造と機能の多様性
[44]
서적
Progress in Phycological Research
Biopress Ltd., Bristol
[45]
논문
The basal position of scaly green flagellates among the green algae (Chlorophyta) is revealed by analyses of nuclear-encoded SSU rRNA sequences
[46]
논문
Flagellar motion and fine structure of the flagellar apparatus in ''Chlamydomonas''
[47]
논문
Green algae and the origin of land plants
https://doi.org/10.3[...]
[48]
논문
Centrin plays an essential role in microtubule severing during flagellar excision in ''Chlamydomonas reinhardtii''
[49]
논문
Flagellar apparatus absolute orientations and the phylogeny of the green algae
[50]
논문
Structural and evolutionary aspects of the flagellar apparatus in green algae and land plants
[51]
서적
Compartments in algal cells and their interaction
Springer, Berlin, Heidelberg
[52]
논문
Diversity of plastid DNA configuration among eukaryote algae
https://doi.org/10.1[...]
[53]
문서
2枚目と3枚目の色素体膜の間の空間。[[クリプト藻]]ではここにデンプンが蓄積される (千原 1999)。
[54]
논문
Carotenoids in algae: distributions, biosyntheses and functions
[55]
논문
Plastid structure, diversification and interconversions II. Land plants
[56]
논문
Oogamy: inventing the sexes
[57]
논문
Primary production of the biosphere: integrating terrestrial and oceanic components
[58]
논문
気生藻類
http://sourui.org/pu[...]
[59]
서적
Algal Symbiosis: a continuum of interaction strateg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0]
논문
Molecular evidence for a diverse green algal community growing in the hair of sloths and a specific association with ''Trichophilus welckeri'' (Chlorophyta, Ulvophyceae)
https://doi.org/10.1[...]
[61]
논문
Mixotrophic cultivation of microalgae for biodiesel production: status and prospects
https://doi.org/10.1[...]
[62]
논문
The nutrition, resistance to antibiotics and ultrastructure of ''Prototheca wickerhamii''
[63]
논문
A modern descendant of early green algal phagotrophs
https://doi.org/10.1[...]
[64]
논문
Phagotrophy by the picoeukaryotic green alga ''Micromonas'': implications for Arctic Oceans
https://doi.org/10.1[...]
[65]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66]
논문
Protothecosis. A pseudofungal infection
https://doi.org/10.1[...]
[67]
서적
藻類30億年の自然史 -藻類からみる生物進化-
東海大学出版会
[68]
논문
The endosymbiotic origin, diversification and fate of plastids
https://doi.org/10.1[...]
[69]
논문
Revisions to the classification, nomenclature, and diversity of eukaryotes.
https://doi.org/10.1[...]
[70]
문서
この名は正式な分類群名 (命名規約に法った名) ではなく、系統群名である。
[71]
논문
Eukaryote kingdoms: seven or nine?
[72]
논문
Phylogeny of nuclear-encoded plastid-targeted proteins supports an early divergence of glaucophytes within Plantae
[73]
논문
Plastid genomes from diverse glaucophyte genera reveal a largely conserved gene content and limited architectural diversity
[74]
논문
Untangling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eukaryotes: a phylogenomic study of the evolutionary origins of Centrohelida, Haptophyta and Cryptista
https://doi.org/10.1[...]
[75]
논문
Hemimastigophora is a novel supra-kingdom-level lineage of eukaryotes
https://doi.org/10.1[...]
[76]
논문
Non-photosynthetic predators are sister to red algae
https://doi.org/10.1[...]
[77]
논문
A marine ''Synechocystis'' (Cyanophyta, Chroococcales) epizoic on ascidians
[78]
논문
''Prochloron'' and the theory of symbiogenesis
[79]
논문
Chlorophyll ''b'' and phycobilins in the common ancestor of cyanobacteria and chloroplasts
[80]
논문
Prochlorophyta a matter of class distinction
[81]
서적
The Freshwater Algae of the United States
McGraw-Hill, New York
[82]
논문
Green algae and the origin of land plants
[83]
문서
chloro- は「緑の」を意味する[[ギリシア語]]の接頭辞である。
[84]
논문
A revised six-kingdom system of life
[85]
서적
Introduction to the Algae, Structure and Reproduction
Prentice Hall
[86]
서적
日本淡水藻図鑑
内田老鶴圃
[87]
논문
Comparative cytology, evolutionand classification of the green algae, with some consideration of theorigin of other organisms with chlorophylls ''a'' and ''b''.
[88]
서적
The Systematics of the Green Algae
Academic Press, New York
[89]
논문
Phylogeny and molecular evolution of the green algae
https://frederikleli[...]
[90]
웹사이트
緑色植物
https://photosyn.jp/[...]
日本光合成学会
[91]
문서
[[プラシノ藻]]に例外が多い。
[92]
문서
メソスティグマ属は例外。
[93]
문서
例外あり。
[94]
서적
Origins of Plastids: symbiogenesis, prochlorophytes, and the origins of chloroplasts
Chapman and Hall
[95]
웹사이트
AlgaeBase
http://www.algaebase[...]
Nat. Univ. Ireland, Galway
2019-11-17
[96]
웹사이트
生物分類表
http://www2.tba.t-co[...]
2019-11-17
[97]
논문
Assessing the relationships of some coccoid green lichen algae and the microthamniales (Chlorophyta) with 18S ribosomal RNA gene sequence comparisons
[98]
논문
Origins and affinities of the filamentous green algal orders Chaetophorales and Oedogoniales based on 18S rRNA gene sequences
[99]
논문
New phylogenetic hypotheses for the core Chlorophyta based on chloroplast sequence data
[100]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101]
논문
The evolution of cell division: from streptophyte algae to land plants
[102]
문서
ただし接合藻の中にはフラグモプラストをもたないものもいる。
[103]
논문
Chloropicophyceae, a new class of picophytoplanktonic prasinophytes
https://doi.org/10.1[...]
[104]
논문
Broad phylogenomic sampling and the sister lineage of land plants.
https://doi.org/10.1[...]
[105]
논문
Phylotranscriptomic analysis of the origin and early diversification of land plants
https://doi.org/10.1[...]
[106]
논문
One thousand plant transcriptomes and the phylogenomics of green plants
[107]
논문
Comparative analyses of 3654 chloroplast genomes unraveled new insights into the evolutionary mechanism of green plants
[108]
저널
Eukaryote Kingdoms: Seven or Nine?
[109]
저널
PlantGDB: a resource for comparative plant genomics
http://nar.oxfordjou[...]
[110]
웹인용
www.ncbi.nlm.nih.gov
http://www.ncbi.nlm.[...]
2009-03-08
[111]
저널
Gain and loss of elongation factor genes in green algae
http://www.biomedcen[...]
[112]
저널
Function and evolution of the vacuolar compartment in green algae and land plants (Viridiplantae)
http://linkinghub.el[...]
[113]
저널
EEF2 analysis challenges the monophyly of Archaeplastida and Chromalveolata
http://dx.plos.org/1[...]
[114]
웹인용
Viridiplantae
http://www.uniprot.o[...]
2009-03-08
[115]
저널
EST analysis of the scaly green flagellate Mesostigma viride (Streptophyta):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green plants (Viridiplantae)
http://www.biomedcen[...]
[116]
저널
Mega-phylogeny approach for comparative biology: an alternative to supertree and supermatrix approaches
http://www.biomedcen[...]
[117]
저널
Drawing the tree of eukaryotic life based on the analysis of 2,269 manually annotated myosins from 328 species
http://genomebiology[...]
2009-11-12
[118]
저널
Phylogenomics Places Orphan Protistan Lineages in a Novel Eukaryotic Super-Group
2018-01-19
[119]
저널
Picozoa are archaeplastids without plastid
http://urn.kb.se/res[...]
[120]
저널
Microbial predators form a new supergroup of eukaryotes
2022-12
[121]
저널
전 지구적인 계통발생학적 관점에서 본 진핵생물의 생명나무
2014-05
[122]
저널
Untangling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eukaryotes: a phylogenomic study of the evolutionary origins of Centrohelida, Haptophyta and Cryptista
http://rspb.royalsoc[...]
2016-01-27
[123]
저널
A Eukaryote without a Mitochondrial Organelle
http://linkinghub.e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