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멘호테프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멘호테프 3세는 투트모세 4세와 무테무이야의 아들로, 기원전 14세기 초에 이집트를 통치한 파라오이다. 그는 평민 출신인 티이와 결혼하여 대왕비로 삼았으며, 아들 투트모세와 아크나톤을 두었다. 아멘호테프 3세는 룩소르 신전 건축, 카르나크 신전 확장 등 대규모 건설 사업을 추진하여 이집트 건축의 황금기를 이끌었고, 미탄니, 바빌론 등 주변 강대국들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 그의 치세는 이집트 역사상 가장 번영했던 시기로 평가받지만, 종교적 변화의 조짐과 아문 신전 세력의 비대화는 아들 아크나톤 시대의 종교 개혁과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250개 이상의 조각상이 현존하며, 멤논의 거상과 룩소르 신전 등이 그의 대표적인 유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4세기 파라오 - 투탕카멘
투탕카멘은 기원전 14세기에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로, 아케나톤의 아들로 추정되며, 10세에 파라오가 되어 아텐 신앙을 폐지하고 아멘 신앙으로 복귀했으며, 18세에 사망하여 그의 무덤에서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 - 기원전 14세기 파라오 - 아크나톤
아크나톤은 기원전 14세기 이집트 파라오로, 아멘호테프 4세에서 개명하여 다신교를 버리고 태양신 아텐만을 숭배하는 종교 개혁을 추진, 아마르나 시대를 열었으며, 수도 이전과 아마르나 미술 발전으로 세계 최초 유일신교 시도 평가를 받지만 단일신교 견해도 있다. - 이집트 제18왕조 - 투탕카멘
투탕카멘은 기원전 14세기에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로, 아케나톤의 아들로 추정되며, 10세에 파라오가 되어 아텐 신앙을 폐지하고 아멘 신앙으로 복귀했으며, 18세에 사망하여 그의 무덤에서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 - 이집트 제18왕조 - 아멘호테프 2세
아멘호테프 2세는 투트모세 3세의 아들이자 기원전 1427년경부터 1401년경까지 고대 이집트를 통치한 제18왕조의 파라오로, 아시아 원정을 통해 노예를 잡아왔으며 출애굽 당시의 파라오라는 주장이 있지만 역사학계에서는 다른 인물이 더 유력한 후보로 거론된다. -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 - 투트모세 3세
투트모세 3세는 고대 이집트 제18왕조의 여섯 번째 파라오로, 하트셉수트의 섭정 이후 이집트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정복한 군사적 지도자이며, 메기도 전투를 비롯한 17차례의 원정과 건축물을 통해 광대한 제국을 건설했다. -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 - 투탕카멘
투탕카멘은 기원전 14세기에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로, 아케나톤의 아들로 추정되며, 10세에 파라오가 되어 아텐 신앙을 폐지하고 아멘 신앙으로 복귀했으며, 18세에 사망하여 그의 무덤에서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
아멘호테프 3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아메노테프 3세 |
다른 이름 | 니브무아레야 미무레야 아메노피스 3세 |
즉위명 (네브마아트레) | 진실의 소유자 레 |
탄생명 (아멘호테프 헤카와세트) | 아문이 만족하시다, 테베의 통치자 |
호루스 이름 | 진실로 나타난 강한 황소 |
네브티 이름 (두 여신 이름) | 법을 세우고 두 땅을 진정시킨 자 |
황금 호루스 이름 | 힘이 센 자, 아시아인을 격파한 자 |
통치 기간 | |
재위 기간 | 기원전 1391년–1353년 또는 기원전 1388년–1351년 |
가족 관계 | |
왕조 | 제18왕조 |
아버지 | 투트모세 4세 |
어머니 | 무템위야 |
배우자 | 티이 길루케파 타두케파 시타문 이세트 |
자녀 | 투트모세 아멘호테프 4세/아크나톤 시타문 이세트 헤누트타네브 네베타 더 영거 레이디 베케타텐(이론상) 스멘크카레(이론상) |
생애와 죽음 | |
사망 | 기원전 1353년 또는 기원전 1351년 |
매장지 | WV22; 미라는 KV35 왕실 미라 은닉처에서 발견됨 (테베 네크로폴리스) |
업적 | |
기념물 | 말카타 아멘호테프 3세의 장제전 멤논의 거상 |
이름(상형문자) | |
탄생명(상형문자) | ' Imen hetepu heka waset 아문이 만족하시다, 테베의 통치자 |
즉위명(상형문자) | ' Neb maat re 레의 마아트의 소유자 |
호루스(상형문자) | ' Ka nakht kha em maat 진실로 나타난 강한 황소 |
네브티(상형문자) | ' Semen hepu segereh tawy 법을 세우고 두 땅을 진정시킨 자 |
황금(상형문자) | ' Aa khepesh hui setjetiu 힘이 센 자, 아시아인을 격파한 자 |
2. 가족 및 초기 생애
아멘호테프 3세는 투트모세 4세와 그의 소실 무테무이야 사이에서 기원전 1401년경에 태어났다. 그는 룩소르 신전에 자신의 탄생 설화를 묘사하면서, 친아버지가 아문 신이라고 주장했다.
아멘호테프 3세는 재위 2년에 티이와 결혼하여 그녀를 대왕비로 삼았다. 그는 기념 스카라베를 통해 자신의 신성한 권력과 티이의 정당성을 과시했다. 티이와의 사이에서 왕세자 투트모세와 아멘호테프 4세(훗날 아크나톤)를 포함한 여러 자녀를 두었다. 시타문, 헤누타네브, 이세트, 네베타, 베케타텐 등의 딸들도 있었으나, 네베타와 베케타텐은 각각 메디네트 하부의 거대한 석회암 조각상과 아마르나에서만 언급된다.
티이 외에도 아멘호테프 3세는 여러 후궁을 두었다. 재위 10년에는 미탄니의 수타르나 2세의 딸 길루케파와, 재위 36년경에는 미탄니 투슈라타의 딸 타두케파와 결혼했다. 또한 바빌론 왕 쿠리갈주 1세와 카다슈만-엔릴 1세의 딸, 아르자와와 아미아(현재의 시리아) 통치자의 딸 등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부인들도 있었다.
아멘호테프 3세는 재위 말년에 자신의 딸들인 시타문과 이세트와도 결혼했다. 재위 30년의 항아리 라벨 비문에는 시타문이 대왕비로 격상되었음이 나타난다. 왕족 간의 근친혼은 일반 이집트인들에게는 금기시되었지만, 왕족 사이에서는 드물지 않았다.
; 왕비
- 티이 - 제1왕비. 신관 유야와 투야의 딸, 아이의 여동생.
- 네페르티티 - 대사제 아이와 테이의 딸. 훗날 아크헤나텐의 왕비.
- Tadukhipa|타두키파영어 - 미탄니 왕 투슈라타의 공주.[29] 훗날 아크헤나텐과 재혼. 키야 혹은 네페르티티와 동일 인물이라는 설이 있음.
- Gilukhipa|길루키파영어 - 미탄니 왕 슈타르나 2세의 공주.
- Sitamun|시타문영어 - 친딸 (어머니는 티이).
- Iset_(daughter_of_Amenhotep_III)|이세트영어 - 친딸 (어머니는 티이).
; 자녀
- Thutmose (prince)|투트모세영어 - 장남. 프타 대사제. 어머니는 티이.
- 아멘호테프 4세 - 별명 아크헤나텐. 어머니는 티이.
- 스멘크카레 - 어머니는 불명. 아크헤나텐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음. 네페르네페르아텐 다음의 파라오.
- Sitamun|시타문영어 - 장녀. 어머니는 티이. 아버지 아멘호테프 3세의 왕비가 됨.
- Iset_(daughter_of_Amenhotep_III)|이세트영어 - 차녀. 어머니는 티이. 아버지 아멘호테프 3세의 왕비가 됨.
- Henuttaneb|헤누트타네브영어 - 셋째 딸. 어머니는 티이.
- Nebetah|네베타영어 - 넷째 딸. 어머니는 티이.
- Beketaten|베케타텐영어 - 다섯째 딸. 어머니는 티이.
2. 1. 가계와 출생
아멘호테프 3세는 투트모세 4세와 그의 소왕비 무테무이야의 아들로 기원전 1401년경에 태어났다.[7] 훗날 아멘호테프 3세는 룩소르 신전에 자신의 신성한 탄생을 묘사하는 조각을 의뢰했는데, 아멘호테프는 자신의 진짜 아버지가 투트모세 4세의 모습으로 무테무이야와 아이를 갖기 위해 내려온 신 아문이라고 주장했다.[7] 이는 그의 왕권 신성화를 위한 통치 이데올로기로 볼 수 있다.
아멘호테프 3세는 재위 2년에 유야와 투야의 딸인 티이와 결혼했다. 티이는 아멘호테프의 재위 기간 동안 대왕비였다. 아멘호테프 재위 기간 동안 많은 기념 스카라베가 제작되어 배포되었다. "결혼 스카라베"에서 아멘호테프는 자신의 신성한 권력과 아내의 정당성을 확인했다.
티이와의 사이에서 아멘호테프는 적어도 두 아들, 왕세자 투트모세와 아멘호테프 4세(후에 아크나톤으로 불림)를 두었다. 또한, 시타문, 헤누타네브, 이세트, 네베타, 베케타텐 등 여러 딸들이 이 부부의 자녀로 자주 언급된다.[7] 딸들 중 대부분은 아멘호테프 재위 기간의 조각상과 부조에 자주 등장한다.[7] 그러나 네베타는 메디네트 하부에서 발견된 거대한 석회암 조각상에서 한 번만 언급되며,[7] 베케타텐은 아마르나에서만 나타난다.[7]
2. 2. 티예와의 결혼
아멘호테프 3세는 15세쯤 되었을 때 평민 출신인 유야와 투야의 딸 티예와 결혼했다.[29] 왕이 평민 출신과 결혼하는 것은 당시 이집트에서는 보기 드문 일이었다.[29] 이후 아멘호테프 3세가 쾌락에 빠지면서 정치는 티예가 맡게 되었고, 티예는 이집트 역사상 위대한 여왕 중 한 명으로 꼽히게 된다.[29]3. 치세와 업적
아멘호테프 3세는 6세에서 12세 사이에 파라오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가 성년이 될 때까지 섭정이 통치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현존하는 기록에는 섭정에 대한 언급이 없다.
그의 치세 동안 단 한 번의 군사 원정이 기록되어 있는데, 즉위 5년에 쿠시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한 것이다. 이 승리는 누비아의 아스완과 사이 근처에서 발견된 세 개의 바위 조각 비석으로 기념되었다. 아멘호테프 3세의 군사적 승리에 대한 공식적인 기록은 당시 시대의 전형적인 과장법으로 그의 무예를 강조하고 있다.[8]
3. 1. 내치
아멘호테프 3세는 젊은 시절 사냥을 즐기는 용맹한 왕이었다고 전해진다.[8] 즉위 초기에 평민 출신인 티예와 결혼했는데, 이는 이집트에서 드문 일이었다. 아멘호테프 3세는 나이가 들면서 정치보다 쾌락에 빠졌고, 이에 왕비 티예가 이집트 정치를 맡아 위대한 여왕으로 불리게 되었다.
아멘호테프 3세는 즉위 11년에 티예의 고향인 자카루에 인공 호수를 건설하고, 이를 기념하는 스카라브를 제작하여 배포했다. 이 스카라브에는 왕실 바지선 "아텐-테헨"을 호수에서 운행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또한, 다른 스카라브를 통해 아멘호테프 3세가 재위 첫 10년 동안 102마리 또는 110마리의 사자를 사냥한 것으로 알려져 그의 용맹함을 엿볼 수 있다.
아멘호테프 3세는 통치 30년, 34년, 37년에 세 번의 세드 축제를 거행했다. 이 축제는 서(西) 테베의 말카타 궁전에서 열렸으며, 아문 신전과 축제 홀이 특별히 건설되었다. 세드 축제는 파라오가 이집트 통치자로서의 자격을 유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일련의 시험으로, 이집트 구왕국 시대부터 이어진 전통이었다. 티이 여왕의 집사 켄루에프의 기록에 따르면 축제는 2개월에서 8개월까지 지속되기도 했다.
하푸의 아들 아멘호테프는 아멘호테프 3세의 명을 받아 세드 축제를 계획했다. 그는 고대 장례 신전의 기록과 비문에서 의식과 복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축제를 준비했다. 축제 기간 동안 왕은 나일강을 따라 사원들을 건설하고 조각상들을 세웠으며, 장인과 보석상들은 이벤트를 기념하는 장식품을 만들었다. 서기 네브메루테프는 행사의 모든 단계를 조정하는 역할을 맡았다.
축제의 주요 행사 중 하나는 왕의 이중 즉위식이었다. 아멘호테프 3세는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를 위해 각각 즉위했으며, 상 이집트에서는 흰색 왕관을, 하 이집트에서는 붉은 왕관을 착용했다. 세드 축제 이후 아멘호테프 3세는 신성한 존재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는 축제 이후 이집트 전역을 여행하며 의식을 재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2. 외교 관계
아멘호테프 3세는 미탄니, 바빌론, 아시리아, 히타이트 등 주변 강대국들과 긴밀한 외교 관계를 유지하며 국제 외교에 능숙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외교 관계는 아마르나 서한을 통해 잘 알 수 있는데, 이 서한은 당시 이집트와 주변국 간의 외교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29]특히 바빌론 왕 카다슈만-엔릴 1세는 아멘호테프 3세의 딸과 결혼하고자 하였으나 거절당했다. 이는 이집트의 강력한 국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이집트 왕실의 폐쇄적인 결혼 관습을 시사한다.
미탄니 왕 투슈라타와의 관계는 매우 중요했다. 아멘호테프 3세는 투슈라타의 딸 타두키파와 결혼하였고[29], 치유의 여신 이슈타르 상을 주고받는 등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이러한 관계는 이집트가 중동 지역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키프로스 원정을 통해 이집트의 지배권을 확립하고, 구리 등의 자원을 확보하여 경제 발전에도 기여했다.
3. 3. 건설 사업
아멘호테프 3세는 이집트 전역에 걸쳐 대규모 건설 사업을 추진하여, 이집트 건축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나일강을 따라 사원들이 건설되고 조각상들이 세워졌다. 장인과 보석상들은 보석, 장식품, 석비 등 이벤트를 기념하는 장식품을 만들었다.[3]클리블랜드 미술관이 소장한 아메노피스 3세의 조각상 머리가 그의 통치 기간에 제작되었다.
4. 후계와 사망
아멘호테프 3세와 티예 사이에는 여러 자녀가 있었다. 장남 투트모세 왕자는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하여 왕위를 계승하지 못했다. 차남 아멘호테프 4세(아크나톤)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파라오가 되었다.[16]
아멘호테프 3세의 자녀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 관계 | 설명 |
---|---|---|
투트모세 | 장남 | 프타 대사제 역임,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29] |
아멘호테프 4세(아크나톤) | 차남 | 아버지의 뒤를 이어 파라오 즉위 |
스멘크카레 | 아들 | 어머니 불명, 아크나톤의 아들이라는 설 존재, 네페르네페루아텐 다음 파라오 |
시타멘 | 장녀 | 아버지 아멘호테프 3세의 왕비 |
이세트 | 차녀 | 아버지 아멘호테프 3세의 왕비 |
헤누트타네브 | 3녀 | |
네베타흐 | 4녀 | |
베케타텐 | 5녀 |
아멘호테프 3세는 말년에 건강이 악화되어 여러 질병으로 고통받았다. 특히 단 것을 좋아하여 치아에 문제가 심각했고, 잇몸 질환을 앓았다.[17] 미라 분석 결과, 심각한 치주 질환을 앓았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관절염과 비만으로도 고생한 것으로 보인다.
아멘호테프 3세는 재위 38년 또는 39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라는 원래 왕들의 계곡 WV22 무덤에 안치되었으나, 제3중간기에 도굴을 방지하기 위해 KV35 무덤으로 옮겨졌다.[16] 2021년 4월에는 파라오의 황금 퍼레이드 행사를 통해 이집트 문명 국립 박물관으로 옮겨졌다.[18]
5. 유산과 평가
아멘호테프 3세는 38년이라는 긴 통치 기간을 누렸으며, 이는 말카타에서 발견된 와인 항아리 라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15] 39년까지 생존했을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그 해 와인 수확 전에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말년에는 누비아 솔레브 사원 벽면 부조와 케르에프의 테베 무덤 장면에 약하고 병든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학자들은 그가 관절염과 비만으로 고통받았을 것으로 추정하며, 미라에 대한 법의학 검사 결과 닳고 충치가 심한 치아 때문에 지속적인 고통을 겪었을 것으로 보인다. 해부학자 그래프턴 엘리엇 스미스는 미라 검사를 통해 그가 40세에서 50세 사이에 사망했다고 결론지었다.
아멘호테프 3세는 아들 아멘호테프 4세(아크나톤)를 후계자로 남겼다. 왕비 티예는 남편보다 최소 12년 이상 더 오래 살았으며, 이는 아들의 통치 시대에 쓰인 여러 아마르나 서신과 후야 무덤에 묘사된 왕실 만찬 장면을 통해 알 수 있다.[15]
외국 지도자들은 파라오의 죽음에 애도를 표했으며, 투슈라타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5. 1. 긍정적 평가
아멘호테프 3세의 치세는 이집트 역사에서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가장 번영했던 시기로 평가받는다. 그는 뛰어난 외교술과 군사적 업적을 통해 이집트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15]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만들어진 250개 이상의 조각상들은 이집트 파라오 중 가장 많은 수로, 그의 통치 기간 전체를 아우르는 초상화를 제공한다.아멘호테프 3세는 카르나크 신전에 룩소르 신전을 포함한 여러 건축물을 건설하고, 나일강 서쪽 기슭에 당시 테베에서 가장 큰 종교 단지였던 장제전을 건설하는 등 대규모 건설 사업을 통해 이집트 건축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21] 그는 또한 멤논의 거상과 무트 신전에 세크메트 여신의 조각상 600개를 세웠다.[19] 1989년에는 룩소르 신전에서 거의 손상되지 않은 약 1.83m 높이의 핑크 석영암 조각상이 발견되기도 했다.[20]
아멘호테프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는 국제 사회에서 막대한 존경을 받으며 막강한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그의 사후, 아들 아크나톤의 개혁으로 인해 이집트 사회는 큰 격변을 겪게 된다.[22]
5. 2. 부정적 평가
아멘호테프 3세는 국제적으로 큰 존경을 받으며 막강한 권력과 영향력을 가진 국가를 물려주었지만, 그의 통치 기반은 아문(Amun) 신 중심의 오래된 정치, 종교적 전통에 묶여 있었다.[15] 그의 아들 아크나톤은 이러한 전통을 뒤흔드는 개혁을 추진하여, 파라오의 권력이 아문 신앙으로 대표되는 사회의 권력보다 더 강한가 하는 중대한 질문을 던졌다. 아크나톤은 수도를 아문 숭배의 중심지인 테베에서 옮겨, 새로운 신 아톤을 섬기는 도시 아마르나를 건설하기까지 했다.[15]이러한 종교적 변화는 아크나톤 시대의 종교 개혁으로 이어져 이집트 사회에 큰 혼란을 야기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또한, 아멘호테프 3세 통치 기간 동안 지나치게 비대해진 아문 신전 세력은 왕권에 위협이 되었다는 평가도 있다.
5. 3. 유물과 유적
아멘호테프 3세 시대의 유물과 유적은 그의 업적과 당시 이집트 사회의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현재까지 250개가 넘는 그의 조각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그의 통치 기간 전체를 아우르는 초상화를 제공한다.
아멘호테프 3세의 미라는 1898년 왕가의 계곡 KV35에서 발견되었다. 원래는 KV22호 무덤에 매장되었지만, 관과 관 속의 부장품과 함께 발견되었다. 미라 상태는 보통이지만, 두개골이 몸통에서 분리되어 있다. 또한, 두개골 감정 결과 심각한 치주 질환을 앓았을 가능성이 지적되었다. 관에서는 다량의 화환이 발견되었으며, 목에 화환을 걸고 매장된 것으로 밝혀졌다.
6. 가계도
Amenhotep III|아멘호테프 3세egy의 가계도는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참조
[1]
서적
Ancient Egyptian: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2]
간행물
"From Ancient Egyptian to Coptic" in Haspelmath, Martin et al. (eds.), ''Language Typology and Language Universals''
2001
[3]
서적
Die Ägyptischen Personennamen, Bd. 1: Verzeichnis der Namen
http://gizamedia.rc.[...]
J.J. Augustin
2020-07-25
[4]
웹사이트
Pharaoh Amenhotep III and Queen Tiye
https://www.thoughtc[...]
2017
[5]
웹사이트
King Amenhotep III
https://www.egypttou[...]
2023
[6]
뉴스
Amenhotep III achieved unprecedented equality with his wife Tiye, recent study
https://www.egypttod[...]
EgyptToday
2022-08-03
[7]
서적
The rock tombs of El-Amarna, Parts III and IV
https://archive.org/[...]
The Egypt Exploration Society
1905
[8]
문서
Urk. IV 1665–66
[9]
서적
The Divine Father: Religious and Philosophical Concepts of Divine Parenthood in Antiquity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2020-05-30
[10]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Bronze Age
[11]
서적
Egypt and Eastern Mediterranean in the Bronze Age, levant,Aegean, Cyprus and Egypt
[12]
학술지
Crown Prince Djhutmose and the Royal Sons of the Eighteenth Dynasty
[13]
뉴스
Pharaoh power-sharing unearthed in Egypt
http://www.dailynews[...]
Daily News Egypt
2014-02-06
[14]
웹사이트
Proof found of Amenhotep III-Akhenaten co-regency
http://www.thehistor[...]
[15]
웹사이트
North Tombs at Amarna
http://www.amarnapro[...]
2009-05-18
[16]
웹사이트
Amenhetep III
https://thebanmappin[...]
2021-12-19
[17]
학술지
Identifications of ancient Egyptian royal mummies from the 18th Dynasty reconsidered
2016-01-25
[18]
뉴스
22 Ancient Pharaohs Have Been Carried Across Cairo in an Epic 'Golden Parade'
https://www.sciencea[...]
2021-04-05
[19]
웹사이트
The Obelisk Court of Amenhotep III
http://www.touregypt[...]
[20]
문서
Urk. IV, 1677–1678
[21]
뉴스
Amenhotep III Statues Once More Stand Before Pharaoh's Temple
http://laht.com/arti[...]
2014-12-15
[22]
뉴스
The New Secrets of Luxor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21-04-12
[23]
학술지
Untangling Neolithic and Bronze Age mitochondrial lineages in South Asia
2019
[24]
학술지
The formation of human populations in South and Central Asia
2019
[25]
학술지
Ancestry and Pathology in King Tutankhamun's Family
2010-02-17
[26]
학술지
Revisiting the harem conspiracy and death of Ramesses III: anthropological, forensic, radiological, and genetic study
https://research-rep[...]
2012
[27]
웹사이트
Ideas about "Race" in Nile Valley Histories: A Consideration of "Racial" Paradigms in Recent Presentations on Nile Valley Africa, from "Black Pharaohs" to Mummy Genomest
https://egyptianexpe[...]
2022-09
[28]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07-03
[29]
학술지
New Light on Kiya from Texts in the British Museum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