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레만니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레만니아는 3세기부터 13세기까지 라인강 유역에 존재했던 게르만 부족 연맹이다. 처음에는 여러 부족의 느슨한 연맹이었으나 3세기부터 5세기 사이에 왕이 통치하는 왕국으로 발전했다. 496년 프랑크 왕국에 정복된 이후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후 신성 로마 제국 내 슈바벤 공국에 속하게 되었다. 알레만니아는 지리적으로 슈바벤, 바덴, 알자스, 스위스 지역으로 나뉘었으며, 각 지역은 고유한 '파기' 또는 '고비에'로 구성되었다. 알레만니아의 유산은 현대 독일어 방언, 지명, 유럽 여러 언어에서 독일을 지칭하는 명칭에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알레만니아
지도
일반 정보
공식 명칭 (라틴어)Regnum Alamanniae
일반 명칭알레만니아
스에비아 (라틴어)Suebia
역사
시대민족 대이동
초기 중세 시대
시작 년도213년
종료 년도911년
주요 사건알레만니족,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침공
사건 날짜해당 없음
사건 1프랑크 제국의 종주권 하에 들어감
날짜 1496년
사건 2카롤링거 왕조의 직접 통치
날짜 2746년
사건 3동프랑크 왕국의 부족 공국
날짜 3843년
종료 사건콘라트 1세 선출, 신성 로마 제국 형성
종료 날짜해당 없음
정치
정치 체제군주국
이전
이전 국가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이전 이미지[[파일:No image.svg|20px|alt=|link=]]
이후
이후 국가슈바벤 공국
이후 이미지[[파일:Arms of Swabia.svg|20px|alt=|link=슈바벤 공국]]
기타
프랑크 제국의 일부496년, 539년–843년
동고트 왕국의 일부496년–539년
동프랑크 왕국의 일부843년–911년
위치
10세기 알레만니아와 상부 부르군트
10세기 알레만니아 (주황색)와 상부 부르군트 (녹색)

2. 지리

알레만니아는 라인강, 도나우강, 마인강, 네카어강 등 주요 강을 따라 영역이 형성되었다. 오늘날의 바덴뷔르템베르크, 바이에른, 스위스, 알자스 지역을 포괄하며, 시대에 따라 영역이 변동되었다. 알레만니아는 여러 개의 '파기'(pagi) 또는 '고비에'(gobioe)로 구성되었으며, 각 지역은 지리적 특징이나 주요 강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2. 1. 주요 지역

알레만니아는 여러 개의 '파기'(pagi) 또는 '고비에'(gobioe)로 구성되었으며, 각 지역은 지리적 특징이나 주요 강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지역설명
알베고베겔트나흐와 베르타흐강 사이에 위치.
켈틴슈타인바이에른과의 경계를 형성.
아우게스티고베레흐강을 따라 아우크스부르크를 수도로 함.
레지아도나우 강 좌측의 북동쪽 모퉁이에 위치(리스). 수도는 뇌르틀링겐.
린츠고베콘스탄스 호수 북쪽에 위치.
아르군고베아르겐 강을 따서 이름 지어짐.
에리트가우도나우 강 우측에 위치.
폴홀츠파라도나우 강 우측에 위치(폴홀츠바르).
람메고베람마흐가우.
일라르고베일러를 따서 이름 지어졌으며, 수도는 멤밍겐.



라에티아 쿠리엔시스는 10세기 초에 알레마니아에 흡수되었다. 이 지역은 ''링고베''(라인강을 따서 이름) 및 ''레티아''로 구성되었다.

2. 1. 1. 슈바벤

헤고베(헤가우)는 콘스탄스 호수, 상부 도나우 강, 슈바벤 유라 사이에 위치하였다. 페라톨타스파라(베르히톨츠바르)는 상부 네카어 강 유역, 상부 도나우 강 좌측, 울름까지, 도나우 강의 원류를 포함하였다. 네카르고베는 네카어를 따서 이름지어졌으며 수도는 칸슈타트였다. 스비거스탈(현대 에름스탈), 필리위가베(필스가우, 필스강을 따서 이름), 트라히고베(드라흐가우, 슈바비슈 그뷘트 근처) 및 알바(알부흐)는 네카어 강과 도나우 강 사이에 위치하였다. 두리아(두리아가우)는 울름과 아우크스부르크 사이에 위치하였다.

2. 1. 2. 바덴

알레만니는 5세기와 6세기에 라인강 양쪽에 새로운 영토를 정착시켰다.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던 알레마니아는 7세기부터 13세기까지 거의 논쟁의 여지가 없는 영토를 차지했으며, 이는 군 또는 ''파기''로 조직되었다.[1]

바덴 지역은 상부 라인강을 따라 위치하며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1]

파기(Pagi)설명
브리지고베(브라이스가우)상부 라인강을 따라 숭가우 맞은편에 위치.
모르토노바상부 라인강을 따라 노르트가우 맞은편에 위치. 나중에 오르테나우가 됨.
알페고베(알브가우)성 블레이즈 수도원을 중심으로 함.


2. 1. 3. 알자스

알레만니는 원래 정착지였던 마인강 유역에서 남쪽으로 이동했고, 5세기와 6세기에 라인강 양쪽에 새로운 영토를 정착시켰다. 현대 프랑스의 알자스 지역은 숭가우 및 노르트가우로 구성되었다.

2. 1. 4. 스위스

아우구스트 주변 지역인 ''아우게스티고베''와 투어강을 따서 이름 지어진 ''투르고베''(현대 투르가우)가 있었다. 취리히가우는 8세기에 투르가우에서 분리되었다. 알레마니아와 상부 부르군디 사이의 영토는 ''아르고베''(현대 아르가우, 아레 강을 따서 이름)로 알려졌는데, 이 영토가 알레마니아 소속인지 상부 부르군디 소속인지는 논쟁의 대상이었다.

3. 역사

알레만니족은 원래 여러 부족들의 느슨한 연합체였으나, 3세기에 통합 과정을 겪었다. 이들은 4세기와 5세기에는 왕의 통치를 받았으며, 496년 톨비악 전투에서 프랑크 왕국의 클로비스 1세에게 패배할 때까지 왕정을 유지했다.

알레마니아는 타불라 페우팅게리아나에서 ''실바 마르시아나''(검은 숲) 너머에 표시되어 있다. ''수에비''는 라인강 하류, ''실바 보사구스'' 너머, ''아르젠토라테''(스트라스부르)와 ''모군티아쿰''(마인츠) 사이에 별도로 표시되어 있다.


로마 제국 시대 알레만니족은 여러 개의 ''고비에''라는 촌락으로 나뉘었고, 각 촌락은 부족 왕의 통치를 받았다. 그러나 군사 원정 시에는 개별 왕들이 단일 왕의 지휘 아래 연합하는 관습이 있었다.

최초로 알려진 알레만니 왕은 크로쿠스 (306년 사망)이며, 그는 3세기 동안 리메스를 넘어 습격을 조직한 군사 지도자였다. 크노도마리우스 (350년 활동)는 마그넨티우스의 반란에서 콘스탄티우스 2세를 지원했으며, 357년 스트라스부르 전투에서 알레만니 군대를 이끌었다.

마크리안, 하리오바우데스, 우리우스, 우르시시누스, 바도마리우스, 베스트랄푸스는 359년 율리아누스 황제와 조약을 맺었다. 마크리안은 370년 발렌티니아누스 1세의 원정으로 폐위되었지만, 로마에 대항하는 대규모 부족 연합을 건설하여 ''turbarum rex artifex''(불안의 왕이자 제작자)라는 칭호를 얻었다. 이후 로마는 프라오마르를 마크리안의 후임자로 임명했으나, 부키노반테스가 그를 받아들이지 않아 추방되었고 마크리안이 복위되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프랑크와의 전쟁에서 부키노반테스를 ''포데라티''로 삼았고, 마크리안은 프랑크 왕 말로바우데스의 매복으로 사망했다.

기불드 (470년 활동)는 마지막으로 알려진 알레만니 왕이다. 그의 파사우 습격은 생 루푸스의 ''비타''에 언급되어 있다.

496년 톨비악 전투에서 패배한 후, 알레만니족은 프랑크족의 지배에 반항하여 동고트 왕국의 테오도리크 대왕의 보호를 받았다.[2] 그러나 테오도리크 대왕 사후, 536년 테우데베르트 1세 치하의 프랑크족에게 다시 정복되었다.[3] 그 후 알레마니아는 프랑키아 내의 명목상의 공국이 되었다. 6세기와 7세기에는 자체 공작에 의해 통치되었지만, 한 명의 공작 아래에서 자주 통일되지는 않았다. 알레만니족은 프랑크족의 이탈리아 원정에 종종 지원군으로 참여했다. 알자스 공국은 알레만니족의 영토였지만 프랑크족 공작 가문이 통치했고, 도나우강 상류와 네카어강 주변 지역은 아할롤핑 가문이, 콘스탄스 호 주변의 중앙 알레마니아는 별도의 공작 가문이 통치했다. 라에티아는 쿠어 교구와 함께 빅토리드 가문이 통치했다.

알레마니아는 7세기 동안 기독교화되었지만, 서쪽의 프랑키아나 동쪽의 바이에른 공국만큼 철저하게 기독교화되지는 않았다. 최초의 알레마니 법전인 ''파크투스 알레마노룸''은 이 시기에 작성되었다. 스트라스부르 교구와 바젤 교구는 알자스를, 쿠어 교구는 라에티아를 관할했다. 알레마니아 자체는 동쪽에 아우크스부르크 교구 (7세기 초)에만 교구를 가지고 있었다. 빈디슈와 옥토두룸의 두 로마 주교령은 초기에 아벤슈와 시튼으로 이전되었다. 서부 알레마니아는 7세기에 쿠어 주교와 메로빙거 왕조의 협력을 통해 콘스탄스 교구를 설치했다. 콘스탄스 교구는 메로빙거 왕조와 초기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 독일에서 가장 큰 교구였다. 밀라노 대교구 관할이었던 쿠어를 포함한 알레마니아의 교구는 카롤링거 왕조에 의해 마인츠 대교구 관할로 변경되었다.

638년 다고베르트 1세 사후, 알레마니아는 바이에른, 아키텐 공국, 브르타뉴 공국과 마찬가지로 프랑크 왕국으로부터 독립하려 했다. 8세기 초까지 대체로 성공적이었으나, 아르눌핑 궁재의 원정으로 알레마니아는 다시 프랑키아의 지방으로 전락했다. 그러나 이 ''사실상'' 독립 기간 동안 알레만니족은 하나의 공작에 의해 통치되기 시작했고, 알자스와 라에티아는 알레마니아의 범위 밖에 남아 있었다. 709년과 712년 사이, 헤르스탈의 피핀은 알레마니족의 ''dux''로 나타나 ''렉스 알레마노룸''을 기록한 란트프리트와 싸웠다. 743년, 짧은 피핀과 카를로만은 알레마니아를 제압하기 위한 원정을 벌였고, 746년 카를로만은 칸슈타트 혈법정에서 수천 명의 알레마니 귀족을 처형했다.

경건왕 루이 통치 기간 동안 알레만니아에서 독립하려는 경향이 있었으며, 830년대는 알레만니아와 레티아 귀족 간의 불화로 특징지어졌다. 843년 베르됭 조약 이후, 알레만니아는 동프랑크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이는 독일 왕국의 전신인 루트비히 2세의 왕국이 되었다. 동시대 기록에서는 이를 "regnum"이라고 불렀지만, 이것이 반드시 왕국 또는 하위 왕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829년 대머리 카를에게 주어졌지만, 그가 공작으로 인정받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876년 동프랑크 왕국 분할에서 뚱보 카를에게 주어졌을 때, 알자스와 레티아를 포함하는 왕국이었음은 분명하다. 카를 통치 하에 알레만니아는 제국의 중심이 되었지만, 그의 폐위 이후에는 그렇지 못했다. 민족적으로는 단일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레티아-알레만니아의 불화와 알레만니아 교회의 지배권을 놓고 싸움에 시달렸다.

9세기 말 알레만니아는 바이에른, 작센 공국, 프랑켄 공국과 마찬가지로 한 명의 공작 아래 통일되기를 원했지만, 작센이나 바이에른보다 덜 성공적이었다. 알레만니아는 9세기 말과 10세기 초 카롤링거 왕조의 붕괴 이후 동프랑크 왕국의 정치적 조직의 기초를 형성한 "젊은" 부족 공국 중 하나인 ''줄게레스 슈탐메스헤르초툼'' 중 하나였다.

10세기에는 오토 왕조가 작센에서, 리우트폴딩 왕가가 바이에른에서 그랬던 것처럼 알레만니아의 귀족 가문 중 어떤 가문도 공작 왕조를 세우는 데 성공하지 못했지만, 훈프리딩 가문이 가장 근접했다.

공국은 콘스탄스 호 주변 지역, 검은 숲, 라인강의 좌우 강둑(알자스와 스위스 고원 일부 포함), 상부 부르고뉴와 인접한 지역을 포함했다. 843년에 정해진 부르고뉴와의 경계는 하부 아레강을 따라 뻗어 있었고, 라인강에서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루체른 서쪽을 지나 알프스 산맥을 넘어 상부 론강을 따라 생고타르 고개로 이어졌다. 북쪽 경계는 무르 강(북부 검은 숲) (Karlsruhe|카를스루에de에서 남쪽으로 약 30km)에서 하일브론과 뇌르틀링거 리스로 이어졌다. 동쪽 경계는 레흐 강에 있었다. 아르가우는 알레만니아와 부르고뉴 공작 사이의 분쟁 지역이었다.

부르차르트 2세는 슈바벤 공작이라는 칭호를 얻었고,[4] 919년 새로 선출된 왕 사냥꾼 하인리히에게 공작으로 인정받았다.

3. 1. 부족 왕국 시대 (3세기 - 5세기)

알레만니족은 원래 느슨한 부족 연맹이었으나, 3세기에 통합되어 4세기와 5세기에는 왕이 통치했다. 톨비악 전투에서 클로비스 1세가 이끄는 프랑크 왕국에게 패배하기 전까지 왕정 통치가 이어졌다.

로마 제국 시대에 알레만니족은 여러 개의 ''고비에''라는 촌락으로 나뉘어 있었고, 각 촌락은 부족 왕의 통치를 받았다. 하지만 군사 원정 시에는 개별 왕들이 단일 왕의 지휘 아래 연합하는 관습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3세기부터 6세기까지 알레만니가 정착한 지역; 3세기에서 4세기의 주목할 만한 습격이나 전투도 표시되어 있다.


4세기와 5세기에 걸쳐 여러 알레만니 왕의 이름이 알려져 있다. 최초로 알려진 왕은 크로쿠스 (306년 사망)로, 3세기에 리메스를 넘어 습격을 조직한 군사 지도자였다. 크노도마리우스 (350년 활동)는 마그넨티우스의 반란 때 콘스탄티우스 2세를 지원했다. 크노도마리우스는 357년 스트라스부르 전투에서 알레만니 군대를 이끌었다.

마크리안, 하리오바우데스, 우리우스, 우르시시누스, 바도마리우스, 베스트랄푸스는 359년 율리아누스 황제와 조약을 맺은 알레만니 왕이었다. 마크리안은 370년 발렌티니아누스 1세의 명령에 따른 원정으로 폐위되었다. 마크리안은 로마에 대항하는 대규모 알레만니 부족 연합을 건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로 인해 ''turbarum rex artifex''(불안의 왕이자 제작자)라는 칭호를 얻었다.

로마인들은 프라오마르를 마르키안의 후임자로 임명했지만, 부키노반테스는 그를 받아들이지 않아 추방되었고, 마크리안이 복위되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프랑크와의 전쟁에서 부키노반테스를 자신의 ''포데라티''로 삼았다. 마크리안은 프랑크 왕 말로바우데스가 매복한 프랑크와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기불드 (470년 활동)는 마지막으로 알려진 알레만니 왕이다. 그의 파사우 습격은 생 루푸스의 ''비타''에 언급되어 있다. 톨비악 전투에서 패배한 기불드의 후계자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다.

3. 2. 메로빙거 왕조 시대 (5세기 - 8세기)

496년 톨비악 전투에서 프랑크 왕국에 패배한 후, 알레마니족은 프랑크족의 지배에 저항하며 동고트 왕국의 테오도리크 대왕에게 의탁했다.[2] 그러나 테오도리크 대왕 사후, 536년 테우데베르트 1세 치하의 프랑크족에게 다시 정복당했다.[3] 이후 알레마니아는 프랑키아 내에서 명목상 공국으로 존속했다.

알레마니아는 자체적인 공작이 다스렸으나, 6세기와 7세기에는 단일 공작 아래 통합되는 경우가 드물었다. 알레마니족은 프랑크족의 이탈리아 원정에 종종 지원군으로 참여했다. 알자스 공국은 알레마니족의 영토였으나 프랑크족 공작 가문이 통치했고, 상부 도나우강과 네카어강 주변 지역은 아할롤핑 가문이 다스렸다. 콘스탄스 호 주변의 중앙 알레마니아는 별도의 공작 가문이 통치했으며, 라에티아는 쿠어 교구와 함께 빅토리드 가문이 통치했다.

7세기 동안 알레마니아는 기독교화되었지만, 서쪽의 프랑키아나 동쪽의 바이에른 공국만큼 철저하지는 않았다. 이 시기에 최초의 알레마니 법전인 ''파크투스 알레마노룸''이 편찬되었다. 스트라스부르 교구와 바젤 교구는 알자스를, 쿠어 교구는 라에티아를 관할했다. 알레마니아 자체에는 동쪽에 아우크스부르크 교구 (7세기 초)만이 존재했다. 빈디슈와 옥토두룸의 두 로마 주교령은 초기에는 다른 지역 (아벤슈와 시튼)으로 이전되었다.

서부 알레마니아는 7세기에 쿠어 주교와 메로빙거 왕조의 협력을 통해 콘스탄스 교구를 설치했다. 콘스탄스 교구는 메로빙거 왕조와 초기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 독일에서 가장 큰 교구였다. 밀라노 대교구 관할이었던 쿠어를 포함한 알레마니아의 교구들은 카롤링거 왕조에 의해 마인츠 대교구 관할로 변경되었다.

638년 다고베르트 1세 사후, 알레마니아는 바이에른, 아키텐 공국, 브르타뉴 공국과 함께 프랑크 왕국으로부터 독립하려 했다. 8세기 초까지는 대체로 성공적이었으나, 아르눌핑 궁재의 원정으로 알레마니아는 다시 프랑키아의 지방으로 전락했다.

이 ''사실상'' 독립 기간 동안 알레마니족은 단일 공작의 통치를 받기 시작했고, 알자스와 라에티아는 알레마니아의 영역에서 제외되었다.

709년과 712년 사이, 헤르스탈의 피핀은 알레마니족의 ''dux''로 나타나 두 번째 알레마니 법전인 ''렉스 알레마노룸''을 기록한 란트프리트와 대립했다. 743년, 짧은 피핀과 카를로만은 알레마니아 정복 원정을 벌였고, 746년 카를로만은 알레마니 귀족을 진압하기 위한 최종 공세를 시작했다. 칸슈타트 혈법정에서 수천 명의 알레마니 귀족들이 반역죄로 즉결 체포, 재판, 처형되었다.

3. 3. 카롤링거 왕조 시대 (8세기 - 10세기)

경건왕 루이 통치 기간 동안 알레만니아에서는 독립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으며, 830년대에는 이 지역을 지배하려는 알레만니아와 레티아 귀족들 간의 갈등이 있었다. 843년 베르됭 조약 이후, 알레만니아는 동프랑크 왕국에 속하게 되었고, 이는 독일 왕국의 전신인 루트비히 2세의 왕국이었다. 동시대 기록에서는 "regnum"이라고 불렀지만, 이것이 반드시 왕국 또는 하위 왕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때로는 왕국이기도 했다.

829년 대머리 카를에게 주어졌지만, 그가 공작으로 인정받았는지 왕으로 인정받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876년 동프랑크 왕국 분할에서 뚱보 카를에게 주어졌을 때, 알자스와 레티아를 포함하는 왕국이었음은 분명하다. 카를 통치 하에 알레만니아는 제국의 중심이 되었지만, 그의 폐위 이후에는 그렇지 못했다. 민족적으로는 단일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레티아-알레만니아의 불화와 알레만니아 교회의 지배권을 놓고 싸움에 시달렸다.

9세기 말 알레만니아는 바이에른, 작센 공국, 프랑켄 공국과 마찬가지로 한 명의 공작 아래 통일되기를 원했지만, 작센이나 바이에른보다 덜 성공적이었다. 알레만니아는 9세기 말과 10세기 초 카롤링거 왕조의 붕괴 이후 동프랑크 왕국의 정치적 조직의 기초를 형성한 "젊은" 부족 공국 중 하나인 ''줄게레스 슈탐메스헤르초툼'' 중 하나였다.

10세기에는 오토 왕조가 작센에서, 리우트폴딩 왕가가 바이에른에서 그랬던 것처럼 알레만니아의 귀족 가문 중 어떤 가문도 공작 왕조를 세우는 데 성공하지 못했지만, 훈프리딩 가문이 가장 근접했다.

공국은 콘스탄스 호수 주변 지역, 검은 숲, 라인강의 좌우 강둑(알자스와 스위스 고원 일부 포함), 상부 부르고뉴와 인접한 지역을 포함했다. 843년에 정해진 부르고뉴와의 경계는 하부 아레강을 따라 뻗어 있었고, 라인강에서 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루체른 서쪽을 지나 알프스 산맥을 넘어 상부 론강을 따라 생고타르 고개로 이어졌다. 북쪽 경계는 무르 강(북부 검은 숲) (Karlsruhe|카를스루에de에서 남쪽으로 약 30km)에서 하일브론과 뇌르틀링거 리스로 이어졌다. 동쪽 경계는 레흐 강에 있었다. 아르가우는 알레만니아와 부르고뉴 공작 사이의 분쟁 지역이었다.

부르차르트 2세는 슈바벤 공작이라는 칭호를 얻었고,[4] 919년 새로 선출된 왕 사냥꾼 하인리히에게 공작으로 인정받았다.

4. 알레만니아의 통치자

알레만니아는 독립적인 왕과 프랑크 왕국의 지배를 받는 공작에 의해 통치되었다. 3세기경 통합된 알레마니는 4세기와 5세기에 걸쳐 왕의 통치를 받았으나, 496년 톨비악 전투에서 프랑크 왕국의 클로비스 1세에게 패배하였다.

로마 제국 시대 알레마니는 여러 촌락(고비에)으로 나뉘어 각 촌락마다 부족 왕이 있었지만, 군사 원정 시에는 단일 왕의 지도 아래 연합하는 관습이 있었다. 알려진 초기 알레마니 왕으로는 306년에 사망한 크로쿠스, 357년 스트라스부르 전투에서 알레만 군대를 이끈 크노도마리우스 등이 있다. 359년에는 마크리안, 하리오바우데스 등 여러 왕이 율리아누스 황제와 조약을 맺기도 했다.

496년 패배 이후 알레마니는 프랑크족의 지배에 저항하며 동고트 왕국의 테오도리크 대왕에게 보호를 요청하기도 했으나, 536년 프랑크족에게 다시 정복되어 프랑키아 내의 명목상 공국이 되었다.[2][3] 638년 다고베르트 1세 사후 알레마니아는 독립을 추구했으나, 8세기 초 아르눌핑 궁재의 원정으로 다시 프랑키아의 지방으로 전락했다. 746년 칸슈타트 혈법정에서는 수천 명의 알레마니 귀족이 반역죄로 처형되기도 했다.

다음은 알레만니아의 통치자 목록이다.

'''독립 왕'''

이름통치 시기
크로쿠스306년
메데릭(아게나리히의 아버지, 크노도마리우스의 형제)
크노도마리우스350년, 357년
아게나리히 (세라피오)357년
수오마리우스357년, 358년
호르타리우스357년, 359년
군도마두스354년 (바도마리우스의 공동 섭정)
베스트랄푸스, 우리우스, 우르시치누스, 마크리안, 하리오바우데스, 바도마리우스359년 율리아누스 황제와 평화 조약 체결
란도368년
비티카비우스360년–368년
프리아리우스?–378년
훈노385년
기불드 (게바불트)470년경



'''프랑크족 종주권 하의 공작'''

이름재임 기간
부틸린539년–554년
로타리 1세552년–554년 이전
하밍539년–554년
아벤체스 교구의 4명의 공작[5]548년–573년
* 란타카르~ 548년 (사망)
* 마그나카르555년–565년
* 바에파르565년–573년
* 테오데프리드573년
로이트프레트570년–587년, 힐데베르트 2세에 의해 폐위
운칠린587년–607년
군조613년
크로도베르트630년
군도인, 알자스 공작630년대 활동
로타리 2세642년
보니파스, 알자스 공작~662년
아달리히, 알자스 공작~662년–683년 이후
아달베르트, 알자스 공작683년 이후–723년
고트프리트709년까지
빌레하리709년–712년 (오르테나우에서)
란트프리트709년–730년
테우데발트, 알레만니아 공작709년–744년
류트프리트, 알자스 공작723년–742년 이후


4. 1. 독립 왕

원래 관련 없는 부족들의 느슨한 연맹이었던 알레마니는 3세기에 통합 또는 민족 기원을 겪었고, 496년 톨비악 전투에서 프랑크의 클로비스 1세에게 패배할 때까지 4세기와 5세기에 걸쳐 왕에 의해 통치되었다.

로마 제국 시대의 알레마니는 여러 촌락 또는 ''고비에''로 나뉘었고, 각 촌락에는 부족의 왕이 있었다. 하지만 군사 원정에서 개별 왕들이 단일 왕의 지도력 아래 연합하는 관습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4세기와 5세기의 알레마니 왕 중 일부는 이름이 알려져 있는데, 가장 먼저 알려진 왕은 3세기 동안 리메스를 넘어 습격을 조직한 군사 지도자 크로쿠스 (306년 사망)였다. 크노도마리우스 (350년 활동)는 마그넨티우스의 반란에서 콘스탄티우스 2세를 지원했다. 크노도마리우스는 357년 스트라스부르 전투에서 알레만 군대의 지도자였다.

마크리안, 하리오바우데스, 우리우스, 우르시시누스, 바도마리우스, 베스트랄푸스는 359년 율리아누스 황제와 조약을 맺은 알레만 왕이었다. 마크리안은 370년 발렌티니아누스 1세가 명령한 원정에서 폐위되었다. 마크리안은 로마에 대항하는 대규모 알레만 부족 연합을 건설하는 데 관여한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그는 ''turbarum rex artifex''(불안의 왕이자 제작자)라는 칭호를 얻었다.

로마인들은 프라오마르를 마르키안의 후임자로 임명했지만, 부키노반테스는 그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그는 추방되었으며 마크리안이 복원되었고 발렌티니아누스는 프랑크와의 전쟁에서 부키노반테스를 그의 ''포데라티''로 만들었다. 마크리안은 프랑크 왕 말로바우데스가 매복한 프랑크와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기불드 (470년 활동)는 마지막으로 알려진 알레마니의 왕이다. 그의 파사우 습격은 생 루푸스의 ''비타''에 언급되어 있다. 톨비악에서 패배한 기불드의 후계자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

다음은 초기 알레만니아 왕들의 알려진 이름들이다. 그들이 반드시 알레만니아 전체를 통치한 것은 아니며, 더 작은 부족이나 칸톤을 다스리는 소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예: 마크리안 (370년경), 부키노반테스 부족의 알레만니 왕.

이름통치 시기
크로쿠스306년
메데릭(아게나리히의 아버지, 크노도마리우스의 형제)
크노도마리우스350년, 357년
아게나리히 (세라피오)357년
수오마리우스357년, 358년
호르타리우스357년, 359년
군도마두스354년 (바도마리우스의 공동 섭정)
베스트랄푸스, 우리우스, 우르시치누스, 마크리안, 하리오바우데스, 바도마리우스359년 율리아누스 황제와 평화 조약 체결
란도368년
비티카비우스360년–368년
프리아리우스?–378년
훈노385년
기불드 (게바불트)470년경


4. 2. 프랑크족 종주권 하의 공작

496년 패배 이후 알레마니족은 프랑크족의 지배에 반항하여 동고트 왕국의 테오도리크 대왕의 보호를 받게 되었지만[2], 그의 죽음 이후 536년 테우데베르트 1세 치하의 프랑크족에게 다시 정복되었다.[3] 그 후 알레마니아는 프랑키아 내의 명목상의 공국이 되었다.

자체 공작에 의해 통치되었지만, 6세기7세기에는 한 명의 공작 아래에서 자주 통일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알레마니족은 이탈리아 원정에서 종종 지원군으로 등장한다. 알자스 공국은 알레마니족의 영토였지만, 프랑크족 공작 가문에 의해 통치되었으며, 상부 도나우강과 네카어강 주변 지역은 아할롤핑 가문에 의해 통치되었고, 콘스탄스 호 주변의 중앙 알레마니아를 통치하는 공작 가문에 의해 통치되지 않았다. 라에티아 역시 알레마니족의 영토였지만, 쿠어 교구와 함께 빅토리드 가문에 의해 통치되었다.

638년 다고베르트 1세가 죽은 후 알레마니아는 바이에른, 아키텐 공국, 브르타뉴 공국과 마찬가지로 프랑크족 군주와의 관계를 끊고 독립을 위해 투쟁했다. 이는 8세기 초까지 대체로 성공적이었으나, 아르눌핑 궁재의 일련의 원정으로 알레마니아는 다시 프랑키아의 한 지방으로 전락했다.

그러나 이 ''사실상'' 독립 기간 동안 알레마니족은 하나의 공작에 의해 통치되기 시작했고, 알자스와 라에티아는 알레마니아의 범위 밖에 남아 있었다.

709년712년 사이, 헤르스탈의 피핀은 알레마니족의 ''dux''로 나타나 두 번째 알레마니 법전인 ''렉스 알레마노룸''을 기록한 란트프리트와 싸웠다. 743년, 짧은 피핀과 카를로만은 알레마니아를 제압하기 위한 원정을 벌였고, 746년 카를로만은 알레마니 귀족을 정복하기 위한 마지막 공세를 시작했다. 수천 명의 알레마니 귀족이 칸슈타트 혈법정에서 반역죄로 즉결 체포, 재판, 처형되었다.

다음은 프랑크족 종주권 하의 알레마니아 공작 목록이다.

이름재임 기간
부틸린539년–554년
로타리 1세552년–554년 이전
하밍539년–554년
아벤체스 교구의 4명의 공작[5]548년–573년
* 란타카르~ 548년 (사망)
* 마그나카르555년–565년
* 바에파르565년–573년
* 테오데프리드573년
로이트프레트570년–587년, 힐데베르트 2세에 의해 폐위
운칠린587년–607년
군조613년
크로도베르트630년
군도인, 알자스 공작630년대 활동
로타리 2세642년
보니파스, 알자스 공작~662년
아달리히, 알자스 공작~662년–683년 이후
아달베르트, 알자스 공작683년 이후–723년
고트프리트709년까지
빌레하리709년–712년 (오르테나우에서)
란트프리트709년–730년
테우데발트, 알레만니아 공작709년–744년
류트프리트, 알자스 공작723년–742년 이후


5. 유산

알레만어고지 독일어 내에서 별개의 독일어 방언군으로 남아 있다. 저지 알레만어와 고지 알레만어 하위 그룹의 분포는 대체로 역사적 알레만니아의 범위와 일치하며, 최고 알레만어 방언은 중세 고기에 그 한계를 넘어 확산되었다. 브뤼니히-나프-로이스 선은 고지 알레만어 내의 문화적 경계로, 알레만니아 본토와 알레만니아와 부르군디 사이의 아르가우 변경 지역을 구분한다.

현대 아랍어(ألمانيا|알마니아ar), 카탈루냐어(Alemanya|알레마냐ca), 웨일스어(Yr Almaen|이르 알마인cy), 코르니시어(Almayn|알마인kw), 프랑스어(Allemagne|알레마뉴프랑스어), 페르시아어(ألمان|알만fa), 갈리시아어-포르투갈어(Alemanha|알레마냐pt), 스페인어(Alemania|알레마니아es), 터키어(Almanya|알마냐tr)에서 독일을 지칭하는 명칭은 모두 알라만니아에서 유래되었다. "독일어"는 언어와 "독일"의 형용사 형태 모두에 대해 유사한 대응 관계가 존재한다.

참조

[1] 문서 Alamannia S. Hirzel, Forschungen zur Deutschen Landeskunde 1888
[2] 서적 A Companion to Ostrogothic Italy https://books.google[...] BRILL
[3] 서적 Franks and Alamanni in the Merovingian Period: An Ethnographic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The Boydell Press
[4] 간행물 Die Welfen. Herrschaft und Erinnerung (819–1252). Kohlhammer Verlag
[5] 문서 Chronicon Verlag Kohlhammer
[6] 문서 Alamannia S. Hirzel, Forschungen zur Deutschen Landeskunde 18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