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만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레만어는 스위스,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프랑스, 이탈리아 등 여러 국가에서 약 천만 명이 사용하는 방언이다. 알레만어는 크게 최고지 알레만어, 고지 알레만어, 저지 알레만어의 세 가지 대분류로 나뉘며, 슈바벤어를 포함하기도 한다. 알레만어는 축소형 접미사, 'ch' 발음, 'sein' 동사의 과거 분사, 무성음, 'l'의 변화 등 다른 독일어 방언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ISO 639-2 언어 코드는 "gsw"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히텐슈타인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알레만어 - 알자스어
알자스어는 프랑스 알자스 지방의 알레만어 방언으로, 독일어 및 스위스 독일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아 사용이 줄어들고 있지만 지역 문화 보존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 알레만어 - 스위스 독일어
스위스 독일어는 스위스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알레만어 방언들을 묶어 부르는 명칭으로, 언어적 통일체라기보다는 지역적, 정치적 포괄 용어에 가까우며, 일상생활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지역, 칸톤, 국가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진다. - 서게르만어군 - 아프리칸스어
아프리칸스어는 17세기 네덜란드 케이프 식민지에서 네덜란드어 방언을 기반으로 발전하여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나미비아에서 사용되며 네덜란드어와 상호 이해도가 높지만 간소화된 문법과 어휘를 가진 언어이다. - 서게르만어군 - 저지 독일어
저지 독일어는 독일 북부와 네덜란드 북동부에서 사용되는 고지 독일어 자음 변화를 겪지 않은 서게르만어족의 언어 변종으로, 언어적 특징, 역사, 방언, 법적 지위 등 복잡한 쟁점을 가진다.
알레만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알레만어 |
다른 이름 | 알레만 독일어 |
자기 이름 | Alemannisch |
사용 지역 | |
국가 | 스위스: 독일어권 전체 (사姆나운 마을 제외)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대부분과 바이에른 주 바이에른 슈바벤 오스트리아: 포어아를베르크주와 일부 티롤주 리히텐슈타인: 전체 프랑스: 알자스 대부분 이탈리아: 일부 발레다오스타주와 북부 피에몬테주 미국: 인디애나주 앨런, 스위스, 데이비스 카운티의 아미시 베네수엘라: 알레만 콜로네이로 |
인구 | |
사용 인구 | 약 7,162,280명 (2004–2012년) |
언어 분류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게르만어파 |
어군 | 서게르만어군 |
분파 | 고지 독일어 |
세부 분파 | 상부 독일어 |
문자 | |
문자 체계 | 라틴 문자, 역사적으로 룬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2 | gsw |
Glottolog | alem1243 |
Glottolog 이름 | 알레만어 |
언어 하위 코드 | lc1: gct ld1: 콜로니아 토바르 lc2: gsw ld2: 알자스어 & 스위스 독일어 lc3: swg ld3: 슈바벤 lc4: wae ld4: 발저 |
지도 정보 | |
![]() | |
2. 분포
알레만어는 여러 국가에서 약 천만 명이 사용하는 방언이다.[1] 알레만어 사용 지역은 게르만족의 한 갈래인 알레만족(수에비족의 한 갈래)이 거주하던 지역으로, 원래 알레만어는 알레만인의 언어를 의미한다. 이 언어가 언어인지 방언인지에 대해서는 언어학자들마다 견해가 다르지만, 에스놀로그는 "표준 독일어 화자가 이해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하며, 유네스코는 명확히 다른 언어라고 지적하고 있다.[1]
프랑스어에서 "독일어"를 "알망(Allemand)"이라고 하는 것은 알레만어를 사용하는 알레만인(Allemands프랑스어)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지지만, "알레만어"는 "알레마니크(Alémanique)"라는 다른 단어를 사용하여 구별한다.[1]
2. 1. 유럽
알레만어는 여러 국가에서 약 천만 명이 사용한다.[1]지역 | 상세 |
---|---|
스위스 | 잠나운을 제외한 스위스 내 모든 독일어 사용 지역 |
독일 | 바덴-뷔르템베르크 중부 및 남부, 슈바벤, 바이에른의 특정 지역 |
오스트리아 | 포어알베르크, 티롤의 로이테구 |
리히텐슈타인 | |
프랑스 | 알자스 지역(알자스어) 및 로렌의 팔스부르 일부 마을 |
이탈리아 | 그레소네이라트리니테, 그레소네생장, 이시메, 알라냐발세시아, 리멜라 및 포르마차를 비롯한 몇몇 마을 (사용 인구 거의 소멸) |
2. 2. 유럽 외 지역
3. 방언
알레만어는 남쪽의 고지대에서 북쪽의 저지대로 갈수록 서서히 언어의 모습이 달라지는 방언 연속체를 이루며, 크게 최고지 알레만어, 고지 알레만어, 저지 알레만어의 3가지로 분류된다. 더 넓은 의미에서는 저지 알레만어와 사용 지역이 접하고 표준 독일어와도 유사한 슈바벤어를 알레만 방언에 포함하기도 한다.
스위스 지역의 알레만 방언들은 흔히 통틀어 스위스 독일어라고 불린다.[8] 알레만어는 산악 지역 남부에서 사용되는 최고지 알레만어에서 비교적 평평한 북부의 슈바벤어에 이르기까지, 북쪽으로 갈수록 표준 독일어의 특징을 더 많이 보이는 방언 연속체를 이룬다.
독일 및 기타 유럽 국가에서는 Abstand 언어 및 ausbau 언어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언어와 방언을 구분한다. 이 프레임워크에 따르면 알레만어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며 분명한 방언이다. 언어학자들과 언어와 방언을 구분하는 일부 기관들은 주로 상호 이해 가능성을 근거로 삼아, SIL 인터내셔널과 유네스코와 같은 단체에서 알레만어를 여러 독립적인 언어 중 하나로 묘사한다. ISO 639-2는 방언을 구분하지 않지만, ISO 639-3은 알레만 콜로네이로어(gct), 스위스 독일어 및 알자스 방언(gsw), 슈바벤 독일어(swg), 왈저 독일어(wae) 네 가지 방언을 구분한다.
표준 독일어는 알레만어 사용 지역 전체에서 공식적인 맥락에서 구두로 사용되며, 문어에서도 사용된다. (단, 알자스에서는 프랑스어 또는 알레만어의 알자스 방언이 대신 사용된다.)
광의의 알레만어는 다음 변종을 포함한다.
- 슈바벤어
- 협의의 알레만어:
- 저지 알레만어: 상라인 알레만어, 알자스 방언, 알레만 콜로니에로, 바젤 독일어
- 콘스탄스 호수 알레만어
- 고지 알레만어: 베른 독일어, 취리히 독일어, 포어아를베르기쉬, 리히텐슈타인어
- 최고지 알레만어: 발리제르 독일어, 발저 독일어
3. 1. 주요 방언군
알레만어는 남쪽의 고지대에서 북쪽의 저지대로 갈수록 서서히 언어의 모습이 달라지는 방언 연속체를 이루며, 크게 최고지 알레만어, 고지 알레만어, 저지 알레만어의 3가지로 분류된다. 넓은 의미에서는 슈바벤어를 포함하기도 한다.분류 | 하위 방언 | 사용 지역 |
---|---|---|
저지 알레만어 | 라인 상류 알레만어 | 바덴 남서부 |
알자스어 | 프랑스 알자스 | |
바젤 독일어 | 스위스 바젤 | |
알레만 콜로네이로어 | 베네수엘라 | |
고지 알레만어 | 베른 독일어 | |
취리히 독일어 | ||
포어아를베르크 방언 | ||
리히텐슈타인 방언 | ||
최고지 알레만어 | 발리스 독일어 | 스위스 발레(독일어명 발리스) |
발저 독일어 | 중세에 발리스에서 그라우뷘덴 등으로 이주한 사람들의 방언 | |
슈바벤어 | 독일 슈바벤 지역(뷔르템베르크 및 바이에른 슈바벤) |
스위스 지역의 알레만 방언들은 흔히 스위스 독일어라고 통칭한다.
ISO 639-3은 알레만어의 방언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구분한다.
- `gct` 알레만 콜로네이로어
- `gsw` 스위스 독일어, 알자스 방언
- `swg` 슈바벤 독일어
- `wae` 왈저 독일어
3. 2. 스위스 독일어
스위스 지역의 알레만 방언들은 흔히 통틀어 스위스 독일어라고 불린다. 알레만어는 산악 지역 남부에서 사용되는 최고지 알레만어에서 비교적 평평한 북부의 슈바벤어에 이르기까지, 북쪽으로 갈수록 표준 독일어의 특징을 더 많이 보이는 방언 연속체를 이룬다.ISO 639-3은 스위스 독일어를 ISO 639-2에서 '알레만어'로 간주하는 언어로 인정한다.
4. 특징
- 모든 알레만어 방언에서 축소형이 자주 사용된다. 북부 및 동부 방언은 접미사 '-le'를 사용하고, 서부 방언(예: 북부 알자스)은 접미사 '-el'/l̩/을 사용하며, 남부 방언은 '-li'를 사용한다(표준 독일어 접미사 '-lein' 또는 '-chen'). 표준 독일어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접미사는 변모음을 유발한다. 방언에 따라 '작은 집'은 'Heisle', 'Hiisel', 'Hüüsle', 'Hüüsli' 또는 'Hiisli'일 수 있다(표준 독일어 'Häuslein' 또는 'Häuschen'). 일부 방언은 복수 축소형을 '-ler', '-la' 또는 '-lich'로 사용한다.[1]
- 알레만어의 북부 변종(슈바벤어 및 저지 알레만어)은 표준 독일어와 마찬가지로, 후설 모음('a', 'o', 'u') 뒤에서 'ch'를 연구개 또는 구개수 또는 로 발음하고 (''아흐-라우트''), 다른 위치에서는 구개수 자음 (''이히-라우트'')으로 발음한다. 고지 알레만어, 콘스탄스 호 알레만어 및 최고 알레만어 방언은 '아흐-라우트'만 사용한다.[2]
- 대부분의 알레만어 방언에서, '이다'라는 동사의 과거 분사('표준 독일어에서 'sein', 과거 분사 'gewesen')는 geseingsw ('gsi', 'gsìnn', 'gsei' 등)과 유사한 형태에서 파생된다.[3]
영어 (표준 독일어) | 저지 슈바벤어 | 알자스어 (하부 고지 알자스어) | 알고이어 | 하부 마르크그레플란트 | 상부 슈바벤어 | 동 스위스 독일어 | 서 스위스 독일어 | 센슬러 |
---|---|---|---|---|---|---|---|---|
나는 ~이다 (ich bin) | I ben | Ìch bì | I bi | Ich bi | I bee | I bi | I(g) bi | I bü/bi |
너는 ~이다(단수) (du bist) | du bisch | dü bìsch | du bisch | du bisch | d(o)u bisch | du bisch | du bisch | du büsch/bisch |
그는 ~이다 (er ist) | er isch | är ìsch | är isch | är isch | är isch | är isch | är isch | är isch |
그녀는 ~이다 (sie ist) | sia isch | sa ìsch | sia isch | sie isch | si isch | si isch | si isch | sia isch |
그것은 ~이다 (es ist) | es isch | äs ìsch | as isch | as isch | äs isch | äs isch | äs isch | as isch |
우리는 ~이다 (wir sind) | mr sen(d) | mìr sìn | mir send/sönd | mir sin | mr send | m(i)r send/sön/sinn | mir sy | wier sy |
너희는 ~이다(복수) (ihr seid) | ihr sen(d) | ìhr sìn | ihr send | ihr sin | ihr send | i(i)r sönd/sind | dir syt | ier syt |
그들은 ~이다 (sie sind) | se sen(d) | sa sìn | dia send | si sin | dia send | si sind/sönd | si sy | si sy |
나는 ~였다 (ich bin ... gewesen) | i ben gwäa | ìch bì gsìì | i bi gsi | ich bi gsi | i bee gsei | i bi gsi | i bi gsy | i bü/bi gsy |
- k, p, t는 표준 독일어와 같은 유기음이 되지 않는다.[5]
- b, d, g는 항상 무성음화되어 [p], [t], [k]가 된다.[6]
- l은 음절화되거나, u[w]의 소리가 된다.[7]
5. 문자
알레만어의 가장 오래된 텍스트는 6세기에 제작된 짧은 고대 룬 문자 비문으로, 뷜라흐 섬유고리, 프포르첸 버클, 노르덴도르프 섬유고리가 있다. 고대 고지 독일어 시대에는 최초의 일관된 텍스트가 장크트갈렌 수도원에서 기록되었으며, 그 중 8세기의 파테르노스터가 있다.[2]
카롤링거 왕조의 장크트갈렌 수도원과 라이헤나우 섬의 중요성으로 인해 고대 고지 독일어의 상당 부분이 알레만어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알레만어 중세 고지 독일어는 취리히의 요하네스 하들라우브가 편집한 마네세 코덱스에도 불구하고 덜 두드러진다. 14세기부터 구 스위스 연방의 부상은 알레만어 스위스 연대기의 제작으로 이어졌다. 울리히 츠빙글리의 1520년대 성경 번역(1531년 프로샤우어 성경)은 초기 근대 고지 독일어의 알레만어 변형으로 이루어졌다. 17세기부터 쓰여진 알레만어는 16세기 초기 근대 고지 독일어에서 등장한 표준 독일어로 대체되었으며, 특히 마르틴 루터의 1520년대 성경 번역의 영향이 컸다. 1665년 프로샤우어 성경 개정판에서는 알레만어 요소를 제거하여 루터가 사용한 언어에 접근했다. 이러한 이유로 현대 알레만어를 쓰기 위한 구속력 있는 정자법 표준이 등장하지 않았으며, 사용 중인 정자법은 일반적으로 정확한 음운 표기법과 익숙한 표준 독일어 정자법(특히 차용어의 경우) 사이에서 타협을 보고 있다.
요한 페터 헤벨은 1803년에 알레만 시|알레만어 시de를 출판했다. 스위스 작가들은 표준 독일어 내에서 헬베티즘을 의식적으로 사용하며, 특히 엠멘탈을 배경으로 한 소설의 예레미아스 고트헬프, 범죄 소설의 프리드리히 글라우저, 최근에는 그의 ''사분기 아이들''의 팀 크론 등이 있다.
시인 이다 오스펠트-아만은 파두츠 방언으로만 글을 쓰고 출판했다.[3][4]
6. 언어 코드
Alemannischde의 언어 코드는 다음과 같다.
코드 | 설명 |
---|---|
gct | 콜로니아 토바르 방언, 1843년부터 베네수엘라에서 사용되는 방언. |
gsw | ISO 639-2에서 알레만어로 간주하는 언어로, 다음을 포함한다. |
swg | 슈바벤 독일어, 주로 바덴-뷔르템베르크 중남부에서 사용. |
wae | 왈저 독일어, 주로 알프스의 스위스 발레 상부 발레에서 사용. |
참조
[1]
웹사이트
Alemannic German and other features of language
https://jordioechsle[...]
2013-11-05
[2]
웹사이트
Althochdeutsch (700–1050)
http://www.stefanjac[...]
2017-10-17
[3]
서적
Ricardo Porros Architektur in Vaduz und Havanna
https://books.google[...]
Books on Demand
2021-01-12
[4]
서적
Allmende
https://books.google[...]
J. Thorbecke
1998
[5]
문서
英語:スウェイビア語(Swabian)、フランス語:スワーブ語(Souabe)など。
[6]
서적
言語学大辞典セレクション・ヨーロッパの言語
三省堂
1998
[7]
간행물
(南部)アルザス・ドイツ語の文法記述へのアプローチ - ミュルーズ・アルザス語方言に基づいて (Ein Versuch der Grammatik des [Süd-] Elsässischen. - auf Grund des „Milhüser Ditsch)
2012
[8]
서적
-ミニ国家- リヒテンシュタイン侯国
郁文社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