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카어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카어강은 켈트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독일 남서부를 흐르는 강이다. 슈바르츠발트에서 발원하여 라인강과 합류하며, 주요 지류로는 엔츠강, 코허강, 야크스트강 등이 있다. 네카어강은 역사적으로 목재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20세기 초 갑문 건설을 통해 수운이 발달했다. 현재는 하일브론, 만하임 등 주요 항만을 연결하는 중요한 내륙 수로로 활용되고 있으며, 주변 경관은 포도원, 성, 산업 시설 등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생태계 복원을 위한 노력과 함께, 자전거 여행과 주거 지역으로도 인기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센주의 강 - 마인강
    마인강은 독일의 라인강 주요 지류로서, 레드 마인강과 화이트 마인강이 합류하여 시작되어 주요 도시들을 거쳐 라인강과 합류하며, 라인-마인-도나우 운하로 도나우강과 연결되고 댐과 갑문이 설치되어 수운이 발달하였다.
  • 헤센주의 강 - 풀다강
    풀다강은 독일 중부의 베사어쿠페 산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다 베라강과 합류하여 베저강을 이루는 강으로, 뤼더뮌트, 슈리츠, 바트 헤르스펠트 등의 도시를 지나며, 1890년부터 운하화가 시작되어 카셀과 한뮌덴 구간에서 선박 항행이 가능하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강 - 라인강
    라인강은 스위스 알프스에서 발원하여 북해로 흐르는 1,036.20km의 유럽 주요 강으로, 6개국을 지나며 군사적·문화적 요충지이자 수운로로서 기능해 왔으나, 수질 오염과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 문제 또한 안고 있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강 - 다뉴브강
    다뉴브강은 독일에서 발원하여 흑해로 흘러드는 유럽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여러 나라의 수도를 지나며 수운 및 문화적 경계 역할을 하고, 풍부한 생물다양성과 역사적 유산을 지닌 국제적인 강이다.
  • 라인강 수계 - 보덴호
    보덴호는 플라이스토세 빙하기에 라인 빙하에 의해 형성된 빙퇴석호로,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3개국에 걸쳐 있으며, 알프스 라인 강이 주요 지류이고 라인 강이 유출되며, 관광, 레저, 스포츠 활동이 활발하다.
  • 라인강 수계 - 로테르담 항
    로테르담 항은 네덜란드 로테르담에 위치한 유럽 최대의 항구로, 오랜 역사와 지리적 이점, 적극적인 개발을 통해 유럽의 주요 물류 허브이자 석유화학 및 컨테이너 화물 환적의 중심지로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네카어강
지도 정보
슈투트가르트 근처의 네카어강
슈투트가르트 근처의 네카어강
일반 정보
위치독일
수원지흑림 (Black Forest)
하구라인강
길이362.4 km
수원지 고도706 m
수문 정보
평균 방류량145 m³/s
유역 면적13,928 km²
기타 정보
언어별 명칭독일어: Neckar (네카어)
알레만어: Negger (네거)
흐르는 지역바덴뷔르템베르크주
특징362 km 길이
706 m 높이 수원
145 m³/s 평균 방류량
95 m 높이
200 km 항해 가능
명소구텐베르크 성

2. 명칭의 유래

"네카어"라는 이름은 켈트어의 "니크로스"(Nikros)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거친 물" 또는 "거친 녀석"을 의미한다. 독일어에서 이 이름의 문법적 성은 남성형(der Neckar)이다.[1] "거친"을 뜻하는 "nik"이 어원이 되어 기원전부터 "Nikros"라고 불렸지만, "Nicarus", "Neccarus"를 거쳐 "Necker"가 된 후, 현재의 "Neckar"가 되었다.[1]

3. 지리

네카어강은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슈바르츠발트-바르군의 필링겐-슈베닝겐 근처 슈베닝겐 무스에서 발원하여, 만하임에서 라인강과 합류하는 총 길이 367km의 강이다. 주로 바덴-뷔르템베르크 주를 흐르지만, 하류에서는 헤센주와의 경계를 이루기도 한다.

구교, 하이델베르크, 1788년 건설


하이델베르크에서 비블링겐 운하의 잠금 장치 및 슈바벤하임의 개방된 강


네카어강은 프로힝겐까지 배가 다닐 수 있어, 라인강, 마인강과 함께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주요 수로 역할을 한다. 슈투트가르트, 하일브론, 만하임 등 주요 도시들이 네카어강을 통해 수운 혜택을 받고 있다.

네카어강 유역 면적은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중앙부의 약 14,000km2에 달하며, 공업 용수, 수운, 수력 발전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 하천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네카어강은 발원지부터 하구까지 다음과 같은 군(郡)과 도시를 지난다.

군/도시주요 도시 및 지역
슈바르츠발트-바르군필링겐-슈베닝겐, 다우칭겐
로트바일군다이슬링겐, 필링겐도르프, 로트바일, 에프펜도르프, 오버른도르프 암 네카어, 술츠 암 네카어
프로이덴슈타트군호르프 암 네카어, 오이팅겐 임 가우 (바이팅거 뮬레)
튀빙겐군슈타르차흐, 로텐부르크 암 네카어, 튀빙겐, 키르헨텔린스푸르트
로이트lingen군로이트lingen, 플리츠하우젠
에슬링겐군네카르텐즐링겐, 네카르타일핑겐, 뉘르팅겐, 오버보이힝겐, 운터엔징겐, 벤들링겐 암 네카어, 쾨겐, 베르나우 (네카어), 플로힝겐, 다이치자우, 알트바흐, 에슬링겐 암 네카어
슈투트가르트오버튀르크하임, 헤델핑겐, 방겐, 운터튀르크하임, 슈투트가르트-오스트, 바트 칸슈타트, 뮌스터, 호펜, 뮬하우젠
렘스-무르군펠바흐 (오핑겐 자치구; 오른쪽 해안)
루트비히스부르크군렘제크 암 네카어, 루트비히스부르크, 마르바흐 암 네카어, 베닝겐 암 네카어, 프라이베르크 암 네카어, 프라이델스하임, 잉거스하임, 문델스하임, 헤시히하임, 베지히하임, 발하임, 겜그리히하임, 키르히하임 암 네카어
하일브론군네카르베스트하임, 라우펜 암 네카어, 탈하임, 노르트하임
하일브론
하일브론군네카르줄름, 운터아이제스하임, 바트프리드리히스할, 바트빔펜, 오페나우, 바트라페나우, 군델스하임
네카어-오덴발트군하스머스하임, 네카르짐머른, 모스바흐, 오브리그하임, 비나우, 네카어게라흐, 칭겐베르크
라인-네카어군에버바흐, 쇤브룬 (바덴)
베르크슈트라세군 (헤센)히르슈호른, 네카어슈타이나흐
라인-네카어군네카어게뮌트
하이델베르크슐리어바흐, 지겔하우젠, 노이엔하임, 알트슈타트, 베르크하임, 비블링겐
라인-네카어군도센하임, 에딩겐-네카어하우젠, 라덴부르크, 일페스하임
만하임제켄하임, 포이덴하임, 노이오스트하임, 오스트슈타트, 네카어슈타트-오스트, 인넨슈타트/융부슈, 네카어슈타트-베스트



네카어강은 상류에서는 좁고 숲으로 둘러싸인 계곡을 흐르다가, 로텐부르크부터 튀빙겐 분지를 지나 플로힝겐에서 필스 강과 합류하면서 수량이 풍부해져 배가 다닐 수 있게 된다. 슈투트가르트부터는 산업 기업과 와인 밭이 나타나며, 렘스 강, 무르 강, 엔츠 강 등 큰 지류들이 합류하면서 큰 강이 된다. 하일브론 부근에서는 다시 트인 지형을 흐르다가 오덴발트의 구릉지를 지나 하이델베르크에서 라인 평야에 이르고, 만하임에서 라인강과 합류한다.

3. 1. 유로

평균 유량은 145m3/s로, 독일에서 10번째로 큰 강이다.

3. 2. 지류

네카어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순서이름합류 지점방향길이(km)
1에샤흐로트바일-뷔링겐왼쪽38.1
2프림로트바일오른쪽21.1
3슐리켐에프펜도르프오른쪽34.4
4글라트호르-네카어하우젠왼쪽34.2
5아이아흐아이아흐역 (오이팅겐임가우 시)오른쪽50.4
6슈타르첼로텐부르크-비어링겐오른쪽42.8
7슈타인라흐튀빙겐오른쪽25.1
8암머튀빙겐-루스트나우왼쪽22.5
9에카츠키르헨텔린스푸르트오른쪽22.8
10에름스네카르텐츨링겐오른쪽32.7
11아이히뉘르팅겐-오버렌징겐왼쪽30.4
12라우터벤들링겐오른쪽25.7
13필스플로힝겐오른쪽62.8
14쾨르쉬자이차우 서쪽왼쪽26.3
15렘스렘제크오른쪽78.4
16무르마르바흐오른쪽51.5
17엔츠베지히엠왼쪽105.5
18자버라우펜왼쪽22.4
19쇼자흐하일브론-존트하임오른쪽25.6
20라인하일브론-네카르가르타흐왼쪽27.3
21술름네카르줄름오른쪽26.2
22코허바트 프리드리히샬-코헨도르프오른쪽168.7
23야크스트바트 프리드리히샬-야크스트펠트오른쪽190.2
24엘츠모스바흐-네카렐츠오른쪽39.8
25이터에버바흐오른쪽28.0
26락스바흐히르슈호른오른쪽30.0
27슈타이나흐네카어슈타이나흐오른쪽21.9
28엘젠츠네카르젬뮌트왼쪽53.4



유역 면적이 가장 넓은 지류는 엔츠강, 평균 수량 방출량이 가장 많은 지류는 코허강, 그리고 가장 긴 지류는 야크스트강이다. 코허강의 지류인 라인강은 코허강보다 길 뿐만 아니라 물의 양도 더 많아, 수문학적으로는 라인강을 코허강 수계의 주 하천으로 간주해야 하며, 이 경우 201km로 네카어강의 가장 긴 지류가 된다.

로트바일에서 에샤흐강 하구


비어링겐에서 슈타르첼강 하구


튀빙겐에서 슈타인라흐강 하구


뉘르팅겐-오버렌징겐에서 아이히강 하구


자이차우 근처 오른쪽에서 쾨르쉬강 하구


바트 프리드리히샬-야크스트펠트 근처의 야크스트강 하구

4. 역사

초기 네카어 강은 검은 숲의 융기와 남부 독일 단층지대의 침식 작용으로 인해 절벽 강으로 시작되었다. 오랫동안 네카어 강은 가우 고원의 고지대에서 흘렀으며, 호르브에서 슈바벤 선상의 단층 구조로 인해 북동쪽으로 방향이 바뀌었다. 이후 네카어 강은 로트바일과 로텐부르크 사이의 고원과 북동쪽의 더 젊은 지층을 파고들어 좁은 협곡을 만들었다.

강어귀에서 네카어의 역사적인 경로


오늘날의 네카어 강어귀


강의 깊이 증가는 검은 숲의 융기와 더 젊은 네카어 경로의 침식으로 인해 발생했다. 이 젊은 네카어 경로는 플로칭겐에서 초기 네카어 시스템을 활용했는데, 이는 초기 도나우 강으로 흘러갔다. 슈르발트는 필더 단층의 쿠에스타로 강 가이드라인 역할을 했다.

오늘날 하류는 초기 엔츠 강의 것이었다. 베지히임 근처의 초기 엔츠의 지류가 침식되면서 네카어 강 네트워크가 연결되었고, 엔츠 강은 네카어 강의 지류가 되었다.[1] 이전 도나우 강 네트워크의 북서쪽 확장의 또 다른 흔적은 에스하흐이며, 절벽이 후퇴하면서 네카어 지류에 의해 연결되어 동쪽으로 방향이 바뀌었다.

2000년 전까지 네카어 강은 오버라인 평원의 목초지를 따라 흐르며 다름슈타트 북쪽의 트레부르에서 라인 강으로 합류했다. 13세기에는 합류 지점이 만하임 남쪽에 있었으나, 1275년경 큰 홍수로 인해 경로가 바뀌어 도시 북쪽의 라인 강으로 합류하게 되었다. 마지막 변화는 라인 강 직선화와 관련하여 발생했으며, 1869년에 옛 네카어 강이 끊어진 후 1880년까지 새로운 네카어 강 돌파구의 경로를 따르게 되었다.[2]

1세기 로마 시대부터 네카어 강에서의 항해가 존재했다는 결론이 나왔으며, 주로 하류 네카어 강에서 리메스(국경 방어선) 건설 자재와 물품 운송이 목적이었다. 이후 프랑크족에 의해 항해가 재개되었을 것이다.

1100년부터 밧줄배와 뗏목을 이용한 네카어 강의 수로 사용이 확인되었다. 중세 후기에 여러 도시 주변의 강은 보로 막혀 있었고, 1333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트비히 4세가 부여한 네카어 특권으로 자유 제국 도시가 보를 건설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보 건설 후 강의 통행이 막혔고, 뗏목꾼의 통행 허가는 계약으로 결정되어야 했다. 1342년 뷔르템베르크, 바덴 변경백령 및 자유 제국 도시는 베지하임과 하일브론 사이의 뗏목 운송을 위해 네카어 강을 개방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1476년 자유 제국 도시 에슬링겐, 뷔르템베르크, 오스트리아 간의 조약은 자유 뗏목 무역을 확정했다. 마지막 뗏목은 1899년 10월 26일 튀빙겐을 통과하여 네카어 강으로 내려갔다.[5]

북부 슈바르츠발트 동부의 목재는 네카어 강과 라인 강을 통해 네덜란드까지 운송되었다. 슈르발트의 장작은 플로힝겐에서 최대 260미터 길이의 뗏목으로 묶였다.

16세기 중반부터 네카어 강은 수로로서 중요성을 얻게 되었다. 항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강은 위험한 급류와 얕은 여울 때문에 작은 바지선만 항해가 가능했다.

뷔르템베르크 공작 크리스토프는 상부 네카어 강을 항해 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추진했으며, 1553년 황제 카를 5세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16세기 후반, 뷔르템베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1세는 항해 통로에 대한 계획을 세웠지만 1598년에 폐기하고 코헨도르프에 무역항을 건설할 계획을 세웠다.

''노이부르크 수도원과 네카어 계곡'', 에른스트 프리즈, 1830년경


1622년 이후, 만하임의 포이덴하임과 현재 프리드리히-에베르트 다리 사이의 네카어 강 루프 뒤에서 작은 수정이 이루어졌다. 1784년과 1789년에 홍수가 발생하여 도시에 위협을 가했고, 강바닥을 직선화하고 요새와 댐을 건설하여 상황을 완화했다.[6]

18세기에 팔라티네이트 선제후 시장 선박은 정기적으로 하부 네카어 강을 운행했다. 상부 네카어 강에서는 1720년경 몇 년 동안 하일브론과 칸슈타트 사이를 정기적으로 보트가 운행했다. 하부 네카어 강의 팔라티네이트 선제후 해운은 성공했지만, 상부 네카어 강의 해운은 곧 중단되었다. 1782년, 이전 두 곳과 하일브론의 자유 제국 도시는 네카어 강 무역의 편의를 위해 합의했지만, 네카어 강은 여전히 하일브론의 보에서 막혀 있었다.

1800년경 나폴레옹 시대는 네카어 강 항해에 몰락을 가져왔다. 대륙 봉쇄 기간 동안 항해는 제한되었고 선박과 자재는 압수되었다. 1813년 독일 전역 동안 작은 선박들만이 네카어 강을 운행했으며, 주로 군사 수송선이었다. 빈 회의는 1814/1815년에 네카어 강과 라인 강의 통행의 자유를 요구했다.

하일브론 빌헬름 운하(오른쪽)가 하일브론(옛 네카어)의 측면인 하일브론(왼쪽)으로 흘러드는 입구. 이 운하는 1821년에 네카어 강의 연속적인 항해를 가능하게 했다. 다리가 있는 갑문은 1884년의 것이다.


550미터 길이의 빌헬름 운하는 1819년부터 1821년까지 하일브론에서 건설되었다. 이는 보 지역과 많은 제분소를 우회하기 위함이었다. 추가적인 하천 건설 조치 이후, 네카어 강은 라인 강과 칸슈타트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항해가 가능해졌다. 1827년에는 만하임 슈타펠이 해제되어 네카어 강의 항해사들이 라인 강으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1831년의 라인선박운항조약과 1832년의 ("네카어 강 항해 규칙")은 규정과 관세를 간소화하여 항해를 크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강의 얕은 수심과 급류로 인해 독일에서 가장 위험한 강 중 하나로 여겨졌다. 1842년 의 비준으로 모든 길드가 해산되었고, 이로 인해 경제적 자유가 창출되었다.

체인 보트 (Chain Boat) - 하일브론의 네카어 강


1841/42년부터 하일브론에 기반을 둔 네카어 강-증기선박 회사는 하일브론에서 만하임까지 정기적인 여객 및 일반 화물 운송을 시작했다. 현대적인 증기선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은 여전히 밧줄길에서 무거운 바지선을 상류로 끌었다.

철도 운송과의 경쟁은 19세기 후반에 증기선과 예인 바지선을 점차 비경제적으로 만들었다. 뗏목 운송은 그 중요성을 유지했지만 철도 시대에 적응했다. 에슬링겐 위로는 뗏목 운송이 거의 중요하지 않았다.

네카어 강 항해의 새로운 회복은 1878년에 시작된 체인 보트 항해와 함께 이루어졌다. 만하임과 하일브론 사이에서 증기 예인선은 강에 설치된 115 km 길이의 체인을 사용하여 상류로 끌어올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만하임과 하일브론 사이의 여행은 2~3일로 단축되었다. 마지막 체인 보트 항해는 1933~1935년 네카게라흐와 코헨도르프 댐 사이에서 이루어졌다.

고틀리프 다임러빌헬름 마이바흐가 1886년 여름에 제작한 세계 최초의 모터보트는 바트 칸슈타트 근처 강에서 가솔린 엔진을 테스트했을 때 "네카어 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1925년에는 네카어 강에서 동력 화물선 항해가 시작되었다. 강에서 최초의 모터 화물선은 1924년에 안데르센 조선소에서 형제 루드비히와 야콥 괴츠에 의해 주문되었다. 이 배는 1925년에 운행되었고 "게브뤼더 괴츠"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었다.[7][8] 이 모터 화물선은 1920년에 설립된 해운 회사 루드비히 운트 야콥 괴츠를 위해 운행되었다. 네카어 강에서 가장 유명한 해운 회사 중 하나로,[9] 이 회사는 강을 대형 해운 수로로 업그레이드하는 데에도 참여했다.[10]

1946년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네카어 강에서 석탄에 대한 첫 번째 운송 주문이 이루어졌으며, 요한 프리드리히 보슬러가 그의 모터 화물선 엘리자베스를 통해 운송했다.[11]

네카어 강의 댐과 이중 방호벽이 있는 히르슈호른


슈투트가르트 주변의 산업 지역이 증가함에 따라, 1904년부터 만하임과 플로힝겐 사이의 네카어 강 수로 건설 계획이 시작되었다. 1910년의 각서에 따르면 1000톤급 선박까지 운송이 가능했으며, 1919년의 계획에 따르면 1200톤급 선박 운송이 계획되었다.

1919년 바이마르 헌법에서 네카어 강이 제국 수로(Reichswasserstraße)로 지정됨에 따라, 1920년 네카어 건설 부서(Neckarbaudirektion)가 설립되었으며 오토 콘츠가 그 수장이 되었다. 1921년 독일 제국, 네카어 강 인접 주(州)인 뷔르템베르크, 바덴, 헤센은 네카어 강을 대형 선박 운송 수로로 개조하는 주(州) 조약에 합의했다. 건설 프로젝트 자금 조달을 위해, 이들은 독일 제국, 세 주(州) 및 여러 지방 자치 단체로부터 건설 대출을 받아 같은 해 네카어 AG를 설립했다. 네카어 AG의 회장으로는 뷔르템베르크 내무부의 오토 히르쉬와 오토 콘츠가 선출되었다. 건축가 파울 보나츠(1877–1956)가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건설은 1921년 전 구간에 걸쳐 즉시 시작되었다. 만하임과 하일브론의 새로운 운하 항구 사이의 113km 구간에서 첫 11개의 댐이 1935년에 완공되었다.

1988년 바트 빔펜 근처 네카어 강의 항해, 여객선 Neckarbummler, Personenschifffahrt Stumpf


네카어 강을 대형 선박 운송 수로로 확장하면서 강에서 여객 운송을 위한 조선 산업이 독점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12] 1926년에 형제 게오르크와 안드레아스 보슬러는 Personenschiffahrt Gebr. Bossler를 설립했으며, 이는 네카어 강의 여객 항해 개척자가 되었다.[13][12]

강이 개조되고 댐이 건설되는 동안, 서쪽에서 접근하는 적에 대한 방어 시설인 네카어-엔츠-스텔링이 1935년부터 1938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이는 에버바흐 (바덴)과 베지히하임 사이, 거기에서 엔츠 강을 따라 엔츠바이힝겐까지 이어졌다.

개조 작업은 플로힝겐 근처에서 시작되었으며, 플로힝겐과 괴핑겐 사이의 필스 강을 항해 가능하게 만들 계획이 있었다. 괴핑겐의 항구 부지는 1978년까지 공간 계획에서 보류되었다. 건설 책임자인 콘츠는 또한 1921년 주(州) 조약에서 계획했던 대로, 상부 라인과 상부 도나우 사이의 수로를 만들기 위해 슈바벤 유라를 통과하는 수로 울름 터널을 계획하도록 명령했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은 1968년부터 중단되었다.

1935년 이후 개조 작업은 둔화되었다. 1943년까지 하일브론 위의 6개의 댐만 건설되었지만, 갑문은 설치되지 않았다. 히르쉬는 강제로 퇴임당했으며 1941년 마우트하우젠 강제 수용소에서 살해당했다. 콘츠는 국가 사회주의의 탄압으로 인해 임시 은퇴했다. 건설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대부분 중단되었다. 1948년에야 하일브론 위의 댐 건설이 재개되었으며, 1952년까지 오토 콘츠가 다시 이끌었다. 슈투트가르트까지의 구간은 1958년에 완공되었으며, 슈투트가르트 항구는 테오도어 호이스 대통령과 오토 콘츠에 의해 개항되었다. 1968년 플로힝겐 항구의 개항으로 네카어 강 확장 목표는 건설 47년 만에 달성되었다. 강은 27개의 갑문에서 댐으로 막혀 만하임에서 플로힝겐까지 대형 선박 운송 수로가 되었다.

각 댐은 보, 이중 갑문 및 서로 인접한 원격 제어 수력 발전소로 구성된다. 더 큰 댐을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했던 7개의 댐에서는 평행 댐과 수력 발전 운하가 건설되었다. 추가로 2개의 댐에는 강 굽이를 잘라내는 돌파구가 있다. 경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수량이 적은 상류 지역인 수로의 마지막 32km에서는 거의 전체 강바닥을 인공적으로 건설해야 했다.

슈투트가르트-운터튀르크하임 인근의 네카어 강, 고도로 산업화된 지역을 통과함


네카어 강은 슈투트가르트-운터튀르크하임을 지나 고도로 산업화된 지역을 통과한다.

네카어 강(Ne)은 1970년부터 만하임에서 플로힝겐까지 연방 수로로 슈투트가르트하이델베르크의 수자원 및 항해 사무소에서 관리하고 있다. 연방 공화국은 수로의 소유주이다. 159개의 취수 지점과 628개의 취수구는 심각한 수자원 경제적 사용을 보여준다.

현재 플로힝겐의 201.5km 지점에서 하구(0km)까지 "Wasserstraße des Typs Va"(수로 유형 Va)로 분류되는 네카어 강에서는 2012년에 7,332척의 강 배가 750만 톤을 운송했다. 이 톤의 가장 큰 부분은 건설 자재(190만 톤), 석탄(160만 톤) 및 소금(130만 톤)으로 구성되었다. 21,000개의 TEU 컨테이너가 운송되었다.[14] 다양한 회사가 운영하는 레저 선박이 관광객을 위해 강을 따라 운행한다. 상류 네카어 강에서는 여객 운송이 네카어-캡튼 회사에서 처리한다.

슈투트가르트의 네카어 항


운송 회사 Gebr. Krieger의 화물 동력선 ''Wolfgang Krieger''와 ''Heiner Krieger''가 있는 하일브론 운하 항


독일 군델스하임의 호르넥 성 아래에 있는 오래된 네카어 제분소
네카어 강의 수력은 수많은 제분소를 가동시켰으며, 그중 일부는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 로트바일에는 15세기부터 화약 공장이 있었으며, 1863년 로트바일 화약 공장으로 합병되었다.
  • 군델스하임에 있는 ''알텐 네카어뮐레''(오래된 네카어 제분소) 건물은 160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네카어 강 규제에 따라 제분은 중단되었다. 마지막 제분업자는 1935/36년경 마이스터 바츠였다. 더 이상 장비는 없으며 한동안 식당으로 사용되었다. 문장이 새겨진 큰 돌과 오래된 비문이 볼 가치가 있다.[28]

적어도 20세기 초부터 발전소는 역사적인 제분소를 대체했다. 그 이후로 네카어 강은 수력 발전을 통해 상업적인 전력 생산에 사용되어 왔다. 여러 지역적으로 유명한 수력 발전소가 네카어 강에서 발견될 수 있다.

  • 호르브에서는 2010년 2월 쉴러슈트라세 수준의 섬 앞부분에 수력 발전소 건설이 시작되었다. 2011년 4월 13일에 전력 생산을 시작했다. 수력 발전소는 향후 연간 2.3kWh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약 600가구의 4인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기에 충분하다. 이미 존재하는 개조된 시설과 함께 평균 총 전력은 437kW이다. 총 투자액은 약 550만 유로였다.[29]
  • 바트 니데르나우의 로텐부르크 지역에서는 바서크라프트베르크 바트 니데르나우를 찾을 수 있다.
  • 로텐부르크 암 네카어에는 두 개의 발전소인 베임 프루이시센과 튀빙거 슈트라세가 있다.


키빙겐의 조합형 수력 – 석탄 화력 발전소 1910

  • 키빙겐에서는 로텐부르크 시계 공장인 융한스가 1903년부터 자체 발전소를 운영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도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시계 공장에게는 물과 증기로 가동되는 이 발전소가 과도하게 설계되었기 때문에 과잉 생산분을 판매했다. 오늘날 이 역사적인 발전소는 기념물 보호를 받고 있다. 발전소는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세 가지 특징을 가진 매우 현대적인 발전소이다. 터빈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개발된 혁신적인 국자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특수 Thordon-Turbine 베어링과 공기 주입식 고무 댐을 사용한다. 물고기 통로는 현대화 이후 어류의 이동을 위한 침투성을 다시 만들어냈다.[30]
  • 수력 발전소 튀빙겐-히르샤우는 히르샤우와 튀빙겐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1930년에 건설된 ''바서크라프트베르크 라펜베르갈데''도 있다. 1999년에 개조되었으며, 오늘날 두 개의 카플란 터빈은 히르샤우 상류의 제방에 있는 잔류 수력 터빈과 함께 연간 700만 kWh의 전기를 생산한다. 초당 22입방 미터 이상의 물이 1.7km 길이의 공급수로를 통해 발전소로 흐릅니다. 이 발전소는 네카어 강의 7.5미터 경사를 이용한다.[31]

튀빙겐

  • 튀빙겐의 바서크라프트베르크 네카르베르크는 1910/1911년 독일 최초의 롤러 댐 중 하나로서 네카어 강 규제의 틀 안에서 제방과 함께 건설되었다. 이는 전력 생산뿐만 아니라 강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제방을 통해 튀빙겐 중심의 네카어 강 수위가 관리된다. 제방 건설 전에는 네카어 강이 자갈 둑으로 가득했고 매우 평평한 해안가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당시 뵈르드에 있던 몇 채의 건물에 홍수를 일으키고 때로는 네카교를 위협했던 홍수는 이 제방과 다른 제방으로 제거되었다. 물고기를 위해 물고기 사다리가 나중에 건설되었다. 제방 위의 보행자 다리는 루스트나우와 중앙 에버하르트 또는 네카교 사이의 두 해안가를 연결하는 중요한 연결 고리이다. 또한 네카어 강, 역사적인 시내 중심지, 수도원 교회 및 성의 멋진 전망을 제공한다.[32]


오버에슬링겐 발전소

  • 크라프트베르크 오버에슬링겐은 오버에슬링겐의 강 킬로미터 195.6 지점에서 두 개의 네카어 강 섬 사이에 있는 발전수력발전 발전소이다. 이 발전소는 건축가 파울 보나츠의 디자인에 따라 중수로 업그레이드의 틀 안에서 1929년에 건설되었다. 용량은 2.1MW이며 연간 약 12.3GWh의 에너지를 공급한다. 평균 유량은 초당 45입방 미터이다.
  • 에슬링겐에서는 새로운 발전수력발전 발전소가 헤흐트코프에 건설되었다. 1.25MW의 전력과 연간 7.1GWh의 전력 생산으로 4000명에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새로운 발전소의 건설로 네카어 강의 마지막 댐이 터빈을 갖추게 되었다. 이는 한쪽의 네카어 강의 제방과 반대쪽의 함메르카날(해머 운하) 위의 역사적인 다리 건물로 둘러싸여 있다.[30]


1891년 라우펜 암 네카어 발전소

  • 드레슈트롬위버트라궁 라우펜–프랑크푸르트는 1891년 8월 25일에 세계 최초의 고전압 교류 삼상 전류를 사용한 전력 전송이었다. 국제 전기 기술 전시회 1891를 기념하여 라우펜 암 네카어의 뮐그라벤에 있는 수력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가 15kV로 승압되어 175km 떨어진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으로 전송되어 인공 폭포를 가동했다. 이 발전소는 네카어 강 업그레이드 중에 상류로 이동했다. 원래 발전기는 현재 도이체스 박물관 (독일 박물관)에 있다.
  • 수력 발전소 하일브론은 운하가 아닌 시내 중심의 옛 네카어 강에 있다. 따라서 여기에는 락이 없다.


하이델베르크 비블링겐 제방의 네카어 강 횡단 제방 다리 (1925년 건설)

  • 하이델베르크 칼스토어에는 락이 있는 또 다른 제방이 있다. 해당 발전소는 네카어 강의 유일한 수중 수력 발전소이다. 네카르 AG가 1994년에 받은 건설 허가는 여러 가지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었다. 기념물 보호를 받고 있는 제방의 눈에 보이는 변경 사항은 없었으며, 새로운 발전소는 하이델베르크의 역사적인 도시 경관을 변경해서도 안 되었다. 기술적 해결책은 강바닥 아래에 보이지 않게 매립된 발전소였다.[30]
  • 하이델베르크의 제방에는 비블링겐과 노이엔하임을 연결하는 제방 다리가 있다.


또한 네카어 강은 석탄 및 원자력 발전소의 냉각수 공급원으로 사용되어 왔다. 에슬링겐-첼 근처의 네카어 강은 유럽에서 가장 현대적인 역청탄 화력 발전소 중 하나인 알트바흐 발전소를 냉각한다. 이 발전소는 두 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알트바흐와 다이치자우의 두 지자체 지역에 위치해 있다. 가스 터빈과 조합 블록 4를 포함하여 최대 약 1270MW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하이츠크라프트베르크 슈투트가르트-가이스부르크, 크라프트베르크 슈투트가르트-뮌스터의 소각 시설, 크라프트베르크 마르바흐, 크라프트베르크 발하임, 네카르베스트하임 원자력 발전소, 크라프트베르크 하일브론 및 가동 중단된 오브리히하임 원자력 발전소도 네카어 강에서 냉각 또는 증발수를 공급받는다.

유명한 다리로는 호르암네카어 인근의 넥카 계곡 다리 바이팅겐과 하이델베르크의 구 다리가 있다.

사다리 다리는 가장 잘 알려진 역사적인 다리 중 하나이다. 이 다리는 이미 중세 시대에 존재했으며, 오늘날의 형태로 1788년에 세워졌다. 그 외의 역사적인 네카어 다리로는 1532년에 건설된 넥카어브뤼케 in 라우펜암네카어, 1742년에 건설된 술츠의 넥카어 다리, 플린자우브뤼케, 알테 아그네스브뤼케 (구 아그네스 다리) 및 쾨겐의 울리히스브뤼케가 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네카어 다리는 에슬링겐암네카어의 내부 다리이다. 230m 길이의 이 구조물은 13세기에 건설되었으며 11개의 석조 아치로 이루어져 있다.[33]

넥카탈브뤼케 하일브론은 길이 1,348m로 가장 긴 넥카어 다리이다. 1967년에 건설된 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노후화되어 2018년 초부터 새로운 다리로 교체되고 있다.[34]

네카어그뢰닝겐에는 1990년에 85미터 길이의 가장 긴 자유 경간 목재 보행자 다리가 건설되었다. 이 독특한 구조물은 삼각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35]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강철 콘크리트 철도 다리는 1957년에 건설된 하일브론에 있다.[36]

1905년에는 이미 네카어 강에 119개의 다리가 있었는데, 그 중 가장 긴 다리는 총 길이 230m의 넥카어가르타허 넥카어브뤼케로 1903년에서 1905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1985년에는 159개의 철도, 도로 및 보행자 다리와 126개의 가공 전력선, 67개의 뒤커가 이 수로를 가로질렀다. 현재 네카어 강에는 다양한 크기의 약 400개의 다리가 있으며, 그 중 절반은 상류에, 나머지 절반은 중류와 하류에 위치해 있다.

네카어 강의 이용은 1100년경에 시작되었다. 그 이후 약 800년 동안 네카어 강은 주로 목재 수송에 사용되었다. 1476년, 네카어 강 전 유역의 자유 무역에 관한 협정이 체결되어 슈바르츠발트의 목재는 이 강을 통해 네덜란드까지 운반되었다. 대항해 시대에 들어서 더 많은 목재가 필요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프로힝겐에서는 슈바르츠발트에서 벌채된 연료용 목재가 260m나 되는 뗏목이 되어 강 표면을 뒤덮었다. 점차 뗏목 떼는 철도에 완전히 대체되었고, 1899년 마지막 뗏목이 에슬링겐을 흘러 내려갔다.

1713년까지 대형 선박은 하일브론까지밖에 항해할 수 없었다. 그 후, 슈투트가르트-칸슈타트까지 개수가 이루어졌고, 더욱이 에슬링겐 부근의 개수로 프로힝겐까지의 항해가 가능하게 되었다. 1873년의 네카어 강 항행 규제로 규제가 단순화됨에 따라, 다른 물품의 수상 수송이 활발해졌고, 그 후 15년 동안 네카어 강을 항행하는 선박 수는 3배로 늘었다. 당시 배는 강을 거슬러 올라갈 때 견인로에서 말에 이끌려 소상했지만, 19세기 후반의 철도와 경쟁하는 데 있어서는 이것은 효율적인 방법이 아니었다. 네카어 강의 수운이 다시 융성해진 것은 1878년의 Kettenschlepperei (「사슬에 의한 견인의 시대」)의 시작에 의해서이다. 만하임과 하일브론 사이 115km를 증기선이 소형 선박을 견인하여 거슬러 올라감으로써, 말에 이끌려 5일에서 8일 걸리던 여정을 2, 3일로 단축할 수 있었다.

그러나 홍수나 유빙, 갈수 등으로 항해가 중지되는 등 수운은 불안정한 상태를 피할 수 없었고, 1921년 갑문을 건설하여 대규모 항로를 개발하는 시도가 시작되었다. 독일 제국, 바덴, 헤센, 뷔르템베르크가 여기에 참여하고, 더욱이 출자자를 모집하여, 네카어 주식회사가 창설되었다. 초대 책임자에는 오토 힐쉬가 취임하여, 네카어 강의 갑문 건설, 수력 발전 사업 등을 하게 되었다. 1935년, 만하임-하일브론 간의 11개의 갑문이 먼저 완성되어, 네카어 강의 Kettenschlepperei는 종언을 고하고, 200에서 300t의 소형 선박은 1,500t 클래스의 선박으로 대체되었다.

만하임-프로힝겐 간의 계획의 상류부에서도 개발이 진행되었다. 프로힝겐

5. 수운 및 항만



네카어 강에서의 항해는 이미 1세기에 로마 시대부터 존재했다. 특히 하류 네카어 강에서 리메스(국경 방어선) 건설 자재와 물품 운송이 주 목적이었다. 이후 프랑크족에 의해 항해가 재개되었다.

1100년부터 밧줄배와 뗏목을 이용한 네카어 강의 수로 사용이 확인되었다. 1333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트비히 4세가 부여한 네카어 특권은 자유 제국 도시가 보를 건설하는 것을 허용하여 강에서의 지속적인 통행이 막혔다. 1342년 뷔르템베르크, 마르크그라프샤프트 바덴 및 자유 제국 도시는 베지하임과 하일브론 사이의 뗏목 운송을 위해 네카어 강을 개방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1476년 자유 제국 도시 에슬링겐, 뷔르템베르크, 오스트리아 간의 조약은 자유 뗏목 무역을 확정했다. 마지막 뗏목은 1899년 10월 26일 튀빙겐을 통과하여 네카어 강으로 내려갔다.[5]

북부 슈바르츠발트 동부의 목재는 네카어 강과 라인강을 통해 네덜란드까지 운송되었다. 16세기 중반부터 네카어 강은 상부 독일 무역의 시작으로 인해 수로로서 중요성을 얻게 되었다. 항해를 개선하기 위한 강줄기에 대한 많은 개입에도 불구하고, 견인로를 갖춘 이 강은 위험한 급류와 얕은 여울 때문에 작은 바지선만 항해가 가능했고, 이는 대부분 하일브론까지였다.

뷔르템베르크 공작 크리스토프는 상부 네카어 강을 항해 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추진했으며, 1553년 황제 카를 5세로부터 필요한 허가를 받았다. 18세기에 상황이 안정된 후, 팔라티네이트 선제후 시장 선박은 정기적으로 하부 네카어 강을 운행했다. 상부 네카어 강에서는 1720년경 몇 년 동안 하일브론과 칸슈타트 사이를 정기적으로 보트가 운행했다.

1800년경 나폴레옹 시대는 네카어 강 항해에 몰락을 가져왔다. 빈 회의1814년/1815년에 네카어 강과 라인 강의 통행의 자유를 요구했다. 1831년의 라인선박운항조약과 1832년의 네카어 강 항해 규칙은 규정과 관세를 간소화하여 항해를 크게 증가시켰다.

고틀리프 다임러빌헬름 마이바흐1886년 여름에 제작한 세계 최초의 모터보트는 바트 칸슈타트 근처 강에서 그들의 ''Standuhr''(할아버지 시계) 가솔린 엔진을 테스트했을 때 "네카어 강"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1919년 바이마르 헌법에서 네카어 강이 제국 수로(Reichswasserstraße)로 지정됨에 따라, 1921년 독일 제국, 네카어 강 인접 주(州)인 뷔르템베르크, 바덴, 헤센은 네카어 강을 대형 선박 운송 수로로 개조하는 주(州) 조약에 합의했다.

1935년 이후 개조 작업은 둔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건설은 대부분 중단되었다. 1968년 플로힝겐 항구의 개항으로 네카어 강 확장 목표는 건설 47년 만에 달성되었다. 강은 27개의 갑문에서 댐으로 막혀 만하임에서 플로힝겐까지 대형 선박 운송 수로가 되었다.

네카어 강은 1970년부터 만하임에서 플로힝겐까지 연방 수로로 슈투트가르트하이델베르크의 수자원 및 항해 사무소에서 관리하고 있다.

5. 1. 갑문

Wilhelmskanalde(빌헬름스 운하)은 1819년부터 1821년까지 하일브론에 건설되었는데, 이는 전체 보 지역과 많은 제분소를 우회하기 위해서였다. 추가적인 하천 건설 조치 이후, 네카어강은 라인강과 칸슈타트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항해가 가능해졌다. 운하 상단에 있는 갑문은 홍수 시 피난 항구가 되었고, 1829년에는 환적 항구로 확장되었다. 1841/42년부터 하일브론에 기반을 둔 네카강-증기선박 회사는 하일브론에서 만하임까지 정기적인 여객 및 일반 화물 운송을 시작했다. 현대적인 증기선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은 여전히 밧줄길에서 무거운 바지선을 상류로 끌었는데, 그 이유는 증기선이 아직 그럴 만큼 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1878년에는 체인 보트 항해가 시작되면서 네카강 항해는 새로운 회복을 맞았다. 만하임과 하일브론 사이에서 증기 예인선은 강에 설치된 115 km 길이의 체인을 사용하여 스스로 상류로 끌어올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만하임과 하일브론 사이의 여행은 2~3일로 단축되었다. 그러나 종종 수심이 충분하지 않았다. 마지막 체인 보트 항해는 1933~1935년 네카게라흐와 코헨도르프 댐 사이에서 이루어졌다.

1925년에는 네카강에서 동력 화물선 항해가 시작되었다. 강에서 최초의 모터 화물선은 1924년에 이미 안데르센 조선소에서 형제 루드비히와 야콥 괴츠에 의해 주문되었다. 이 배는 1925년에 운행되었고 "게브뤼더 괴츠"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었다.[7][8]

1946년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네카강에서 석탄에 대한 첫 번째 운송 주문이 이루어졌으며, 요한 프리드리히 보슬러가 그의 모터 화물선 엘리자베스를 통해 운송했다.[11]

네카어 강을 운행하는 강선의 최대 크기는 27개의 보의 갑문으로 제한된다. 일반적으로 길이는 110m, 폭은 12m이며, 허용되는 크기는 105m x 11.45m이다. 1952년 이후 거의 모든 보에 두 번째 갑문이 설치되었다. 이 갑문 중 23개는 물을 절약하기 위해 한 챔버의 물의 거의 50%를 다른 빈 챔버를 채우는 데 사용한다 (소위 이중 갑문). 네카어 강 입구에서의 혼잡을 방지하기 위해 첫 번째 보인 Feudenheim에는 1973년에 추가 갑문 (190m × 12m)이 설치되었다. 보들은 서로 평균 7 km (0.9에서 13.7 km 사이) 떨어져 있으며 저수위에서 라인 강까지의 160.70 m의 고도 차이를 커버하는 데 사용된다. 수로 깊이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3.80m이다. 이는 슈투트가르트 항구까지 흘수 2.6m, 적재 용량 2200t의 라인 강의 대형 모터 선박이 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향후 몇 년 동안 갑문을 개조하고 부분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연방 정부는 이 프로젝트에 총 5.75억유로를 투자한다. 만하임과 하일브론 사이에 있는 보는 2026년까지 연장될 예정이다.[17] 군델스하임 갑문은 2012년에 "가장 수상 스포츠 친화적인 갑문"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네카어 강 갑문'''[18]

강 킬로미터NN 위의 목표 저장 높이(미터)레벨 차이 (de)(미터)
0.086.50라인강 저수위
6.296.5010.00도펠슐로이세/슐로이세 포이덴하임
17.7105.208.70도펠슐로이세 슈바벤하임
26.1107.802.60도펠슐로이세 하이델베르크
30.9111.703.90도펠슐로이세 네카르게뮌트
39.3116.404.70도펠슐로이세 네카르슈타이나흐
47.7121.705.30도펠슐로이세 히르슈호른
61.4127.706.00도펠슐로이세 로케나우
72.2133.005.30도펠슐로이세 구텐바흐
85.9138.605.60도펠슐로이세 네카르침메른
93.9142.804.20도펠슐로이세 군델스하임
103.9150.808.00도펠슐로이세 코헨도르프
113.6154.003.20도펠슐로이세 하일브론
117.5161.307.30도펠슐로이세 호르크하임
125.2169.708.40도펠슐로이세 라우펜
136.2176.006.30도펠슐로이세 베지히하임
143.0182.206.20도펠슐로이세 헤시히하임
150.1190.208.00도펠슐로이세 플라이델스하임
157.6196.206.00도펠슐로이세 마르바흐
165.0203.207.00도펠슐로이세 포펜바일러
172.0206.803.60도펠슐로이세 알딩겐
176.3213.606.80도펠슐로이세 호펜
182.7219.005.40도펠슐로이세 칸슈타트
186.5222.653.65도펠슐로이세 운터튀르크하임
189.5231.008.35슐로이세 오버튀르크하임
194.0236.205.20도펠슐로이세 에슬링겐
194.8242.105.90슐로이세 오버에슬링겐
199.6247.205.10슐로이세 다이치자우



칸슈타트 이중 갑문


호펜 보


알딩겐 보


포펜바일러 보


포이덴하임 갑문


2004년부터 슈투트가르트-오버튀르크하임의 원격 제어 센터 (Fernbedienzentrale, FBZ)는 데이치자우에서 슈투트가르트-호펜까지의 상부 네카어 강의 모든 갑문을 제어한다.

5. 2. 주요 항만


  • '''플로힝엔 항'''


1954년 12월 8일 네카어 항 플로힝엔 유한회사가 설립되었다. 1960년부터 1963년까지 다이치자우 근처에 마지막 보(barrage)가 건설되었다. 1964년 4월 29일, 네카어 항 플로힝엔 건설이 시작되었다. 1968년 7월 12일, 첫 번째 배가 플로힝엔에 도착했다. 2004년 항만 내 15개 회사가 연간 약 5억유로에서 6억유로의 매출을 올렸다.

  • '''슈투트가르트 항'''


네카어 항 슈투트가르트는 1954년부터 1958년까지, 그리고 1966년부터 1968년까지 두 단계에 걸쳐 건설되었다. 항만 지역은 총 100ha의 면적을 차지한다. 연방 수로를 포함한 세 개의 선창은 30.7ha의 수면을 가지고 있다.

  • '''하일브론 항'''


총 공장 면적 78ha, 부두 길이 7.2km에 달하는 하일브론 항구는 취급량 기준으로 독일에서 7번째로 큰 내륙 항구(2010년 기준)이자 네카강에서 가장 큰 항구이다. 네카강 전체 취급량의 50% 이상이 이곳에서 처리된다. 연간 총 400만 톤가량의 물동량을 처리한다. 취급량의 약 60%는 국내 무역이며, 나머지는 국제 상품 및 원자재이다. 상품 및 건설 자재(석탄, 소금) 외에도 곡물, 철, 강철 및 목재가 선적된다.

  • '''만하임 항'''


만하임 항은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내륙 항구 중 하나이자 독일에서 두 번째로 큰 항구이다. 항구는 총 267.9ha의 수역을 가지고 있으며, 추가로 863.5ha의 토지 면적이 있다. 약 500개의 기업에서 20,000명의 직원이 항구 지역에 정착했다. 1968년에는 내륙 항구 최초의 컨테이너 터미널이 이곳에 개장했다. 또한 RoRo 시설과 1991년부터 복합 운송 터미널이 있다. 2010년에는 수면에서 764만 톤의 화물이 처리되었다.[15]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은 유연탄 220만 톤, 식료품 및 사료 92만 톤, 화학 제품 159만 톤이다.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수면에서 120,568개의 유닛이 처리되었다.[16]

항만은 라인강과 네카강을 따라 네카강 입구 주변에 펼쳐져 있다. 전체 단지에는 라인강 반대편에 위치한 루트비히스하펜 라인 항구가 포함된다.

6. 환경

네카르줄름의 네카 강, 배경은 하일브론의 석탄 화력 발전소


프라이베르크 암 네카어 지역에서 규제를 받지 않는 옛 네카어강


홍수 위험으로 인해 계곡 평원은 오랫동안 정착지로 남아있지 않았지만, 영양가가 풍부하고 구조가 좋은 경작 가능한 토지는 농업에 집중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계곡 평원은 상당 부분 농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비옥한 토양은 로텐부르크와 튀빙겐 사이에서 채소나 과 같은 수익성 있는 특수 작물의 재배를 가능하게 한다.[3]

계곡 평원에서 자갈 채취는 농지를 앗아가지만, 현재 레크리에이션 목적으로 사용되는 큰 호수를 만들었다. 이러한 사토장은 조류, 양서류 및 수생 생물의 서식지가 되었다. 대형 사토장은 키르헨텔린스푸르트 근처와 프라이베르크 암 네카어와 플라이델스하임 사이에 있다. 네카 강 자갈 덩어리는 물 저장소로서의 역할을 하며, 많은 곳에서 식수 생산에 사용된다.

오덴발트 언덕의 네카 강 계곡을 따라 호른베르크 성과 하스메르샤임의 구텐베르크 성을 포함한 많은 성이 있으며, 현재 가동 중단된 오브리히하임 원자력 발전소와 가동 중인 네카르베스트하임 원자력 발전소도 있다.

평원과 대조적으로, 가파른 경사면은 종종 숲이 우거져 있고 임업에 사용된다. 햇볕에 노출된 남쪽 경사면은 자주 포도원으로 사용되며 건조한 벽으로 계단식으로 되어 있다. 그곳에서는 지역 적포도 품종 트롤링거, 슈바르츠리즈링, 렘베르거가 재배되며, 이는 전통적으로 뷔르템베르크에서 주로 소비된다. 특히 베지히하임과 라우펜 주변의 중부 네카 강은 부분적으로 매우 가파른 포도원으로 특징지어지며, 이는 손으로만 경작할 수 있다.

네카 강변의 포도원과 지류의 배수 구역은 뷔르템베르크 와인 지역의 재배 면적의 가장 큰 부분을 제공한다. 하인스하임에서 하이델베르크까지의 하류에 있는 포도원은 바덴 와인 지역의 일부이다. 19세기 말까지 네카 계곡에서는 불리한 지역을 포함하여 포도원 재배가 더 광범위했다.

원수수로의 다양한 사용과 수력 발전 생산으로 인해 강의 생태 구조에 상당한 간섭이 발생했다. 네카어강의 토지 복원, 하천 네트워크의 생태학적 강화, 수질 개선, 홍수 통제 개선 및 강변을 따라 매력적인 지역 레크리에이션 구역 조성을 위해 여러 이니셔티브가 옹호되고 있다. 최근 전국적인 캠페인인 '생기 넘치는 강'과 "Lebendiger Neckar"(생기 넘치는 네카어강) 이니셔티브의 틀 안에서 강을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콘크리트 코르셋에서 해방시키기 시작했다. 강은 부분적으로 지역 레크리에이션 구역과 동식물의 서식지로 재개발되었다. 독일에서 가장 높은 발전소 밀도를 가진 위험에 처한 자연의 상징으로 남아 있다. 산소 함량이 4 mg/L 미만일 경우 발전소 소유자는 물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터빈을 가동해야 한다. 2003년 기준으로 20년 동안 산소 부족으로 인한 물고기 대량 폐사는 발생하지 않았다.[4]

네카어 계곡은 냉기 분지 역할을 하는데, 이는 구름 한 점 없는 하늘 아래에서 초목이 드문 고원과 언덕에서 발달한 더 무겁고 차가운 밤 공기가 분지로 흘러 들어가 그곳에 집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추운 계절에는 이러한 "차가운 호수"가 안개를 생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고원 주변에서는 햇빛이 비친다. 네카어 계곡의 지형은 이러한 기온 역전 기상 조건을 촉진한다.

네카어 계곡은 와인 재배 기후로 유명하며, 트롤링거, 렘버거, 케르너, 뮐러-투르가우를 비롯한 현지에서 재배되는 포도 품종으로 유명하다. 와인 재배는 20세기에 걸쳐 쇠퇴했으며 "뷔르템베르거 와인" 재배는 네카어 계곡과 그 지류 계곡의 햇빛 흡수가 높은 남향 경사면에 주로 국한되어 있는데, 와인 재배는 노동 집약적이며 뷔르템베르크에서는 최고의 지역에서만 경쟁력이 있기 때문이다.

네카어강의 전문적 및 레크리에이션 항해에 필수적인 것은 수위 측정소이다.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홍수 보고 규정(Hochwassermeldeordnung, HMO)에 따르면, 다음의 홍수 경보 수위가 수위 측정소에서 유효하다.

측정소수위배수량전화번호
로트바일[19]230 cm77m3/s0741-8730
호르브[20]270 cm108 m3/s07451-19700
키르헨텔린스푸르트[21]330 cm07121-19700
플로힝겐[22]300 cm290 m3/s07153-19429
라우펜[23]500 cm600 m3/s07133-19429
군델스하임[24]340 cm06269-19429


  • 1824년: 네카어강 지역에서 가장 심각한 홍수가 1824년 10월에 발생했다. 추정에 따르면 HQ4000, 즉 재현 기간 4000년으로 결론지어진다.[25]
  • 1709년: 1월 18일부터 1월 28일까지, 1월 31일부터 2월 13일까지, 그리고 2월 13일 직후부터 3월 23일까지 네카어 강이 얼어붙었다.[27]


최근 네카어강의 자연을 회복하려는 새로운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그 목적은 강을 체계적으로 환경 정화하고 수질을 개선하며, 호안을 개선하여 강변에 매력적인 레크리에이션 구역을 조성하려는 것이다.

7. 경관

네카어강의 흐름을 따라 좁고 넓은 계곡이 번갈아 나타난다. 좁은 곳은 대부분 분트산트슈타인 아래의 무셸칼크 고원으로 깊어진 곳이다. 넓은 곳은 형태학적으로 부드러운 점토와 마르 지역에서 발달했다. 넓은 계곡의 초원은 신석기 시대 정착과 그에 따른 산림 벌채 및 토양 침식 이후 아우에 점토로 강하게 메워지면서 발달했다. 좁은 지역에서는 곡류와 절단된 곡류 하천의 곶이 두드러진다. 곡류 하천은 거의 평평한 무셸칼크 고원을 느리게 흐르는 원시적인 네카어강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깊어지는 단계에서 기본 구조를 형성하고 단단한 무셸칼크를 침식했다. 가장 잘 알려진 절단된 곡류 하천의 곶은 라우펜에 있는 곳이다. 이곳은 역사 시대에 절단되어 폭포(역사: ''Laufen'')를 만들었다. 절벽에서는 상부 무셸칼크의 석회암으로 형성된 바위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헤시히하임의 암석 정원이 있다. 이들은 중간 무셸칼크의 마르와 점토 위에 놓여 있으며, 소위 ''Schollen''이라고 불리는 전체 돌 덩어리로 네카어강 쪽으로 가라앉을 수 있다. 오덴발트의 좁은 협곡협곡은 양쪽에서 네카어강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볼프슐루흐트와 마르가레텐슐루흐트가 있다.

만하임에서 하이델베르크를 거쳐 에버바흐, 모스바흐를 지나 하일브론까지 이어지는 고성 가도는 네카어강과 거의 평행하게 달리며, 네카어강 하류의 약 100km 구간에 걸쳐 수많은 성과 궁전을 지난다. 특히 하이델베르크 성이 유명하다. 네카어강의 성으로는 넥카슈타이나흐의 4개 성, 딜스베르크 성, 에버바흐 성, 히르슈호른 성, 츠빙겐베르크 성, 슈톨체넥 성, 민네부르크, 다우흐슈타인 성, 노이부르크 성(바덴), 호른베르크 성 (괴츠 폰 베를리힝겐의 성), 구텐베르크 성(도이체 그라이펜바르테), 호르넥 성, 에렌베르크 성이 있다.[1]

슈투트가르트까지 상류로 더 올라가면, 상부 네카어강에는 호르크하임 성과 나이퍼르크 성 클링겐베르크, 리히텐에크 성, 에슬링거 성, 렘제크 성, 리벤슈타인 성, 바일러 성, 헤렌짐머른 유적, 호헨튀빙겐 성, 바일텐부르크 성, 알베크 유적 (술츠 암 네카어 근처), 베어슈타인과 넥카부르크 유적이 있다.[1]

호엔촐레른 성


네카어 계곡에는 하이델베르크 성, 호른베르크 성, 구텐베르크 성(도이체 그라이펜바르테) 외에도 많은 성과 저택이 있다. 에버바흐 성, 에슬링거 성, 히르슈호른 성, 슈톨체넥 성, 민네부르크, 렘제크 성, 바일러 성, 딜스베르크 성, 노이부르크 성(바덴), 하인스하임 성, 호르크하임 성, 리벤슈타인 성, 츠빙겐부르크 성이 그 예이다.[2]

네카어 강 우안에서 약간 떨어진 헤힝겐 근처의 산 (호엔촐레른 산 해발 855m)에는 제1차 세계 대전까지의 독일 제국 황제였던 호엔촐레른 가문의 호엔촐레른 성이 우뚝 솟아 있다.[2]

만하임에서 하이델베르크, 에버바흐, 모스바흐를 경유하여 하일브론까지 네카어 강을 따라 고성 가도가 정비되어 있다.[2]

참조

[1] 웹사이트 Abteilung 2: Geologie und Bodenkunde http://www.lgrb.uni-[...] Landesamt für Geologie, Rohstoffe und Bergbau 2017-03-20
[2] 웹사이트 Die Flußkorrektion bei Mannheim und deren Einwirkung auf die Entwicklung der Stadt http://digbib.ubka.u[...] 2015-05-04
[3] 문서 A Case Study. Lake Water Quality Management in Germany https://earsc.org/se[...]
[4] 간행물 Gütezustand der Fließgewässer im Neckar-Einzugsgebiet https://web.archive.[...]
[5] 문서 Das ''Jockele'' der Narrenzunft ''Ammerdaal Hexa Tübingen e.V.'' http://www.tuepedia.[...]
[6] 웹사이트 Die Flußkorrektion bei Mannheim und deren Einwirkung auf die Entwicklung der Stadt http://digbib.ubka.u[...] 2015-08-22
[7] 서적 Historisches vom Strom – Die Neckarschiffahrt vom Treidelkahn zum Groß-Motorschiff Krüpfganz 1989
[8] 서적 Neckarsteinach 850 Jahre Schiffahrt im Wandel der Zeit Wartberg Verlag 2003
[9] 서적 Die Binnenschiffahrt. Fliessende Strassen – Lebendige Ströme BeRing Verlag 1992
[10] 서적 Historisches vom Strom – Die Neckarschiffahrt vom Treidelkahn zum Groß-Motorschiff Krüpfganz 1989
[11] 서적 Neckarsteinach 850 Jahre Schiffahrt im Wandel der Zeit Wartberg Verlag 2003
[12] 서적 Historisches vom Strom – Die Neckarschiffahrt vom Treidelkahn zum Groß-Motorschiff Krüpfganz 1989
[13] 서적 Neckarsteinach 850 Jahre Schiffahrt im Wandel der Zeit Wartberg Verlag 2003
[14] 문서 Wasser- und Schifffahrtsamt Heidelberg 4. Februar 2013 http://www.wsv.de/ft[...]
[15] 문서 Hafen Mannheim Wasserseitiger Güterumschlag http://www.hafen-man[...]
[16] 문서 Hafen Mannheim Pressemitteilung http://www.hafen-man[...]
[17] 문서 Planung des Schleusenausbaus, Amt für Neckarausbau Heidelberg http://www.anh.wsv.d[...]
[18] 문서 Großschifffahrtsstraße Neckar, 50-jähriges Jubiläum 1935–1985 Teilstrecke Mannheim-Heilbronn Neckar AG und Wasser- und Schifffahrtsdirektion Südwest
[19] 문서 Pegel Rottweil http://www.hvz.baden[...]
[20] 문서 Pegel Horb http://www.hvz.baden[...]
[21] 문서 Pegel Kirchentellinsfurt http://www.hvz.baden[...]
[22] 문서 Pegel Plochingen http://www.hvz.baden[...]
[23] 문서 Pegel Lauffen http://www.hvz.baden[...]
[24] 문서 Pegel Gundelsheim http://www.hvz.baden[...]
[25] 논문 "Hydrometeorological reconstruction of the 1824 flood event in the Neckar River basin (southwest Germany)" http://www.researchg[...] 2006-10
[26] 논문 Clustering Simultaneous Occurrences of the Extreme Floods in the Neckar Catchment 2021-02
[27] 서적 „Kaltluftwalze an Dreikönig 1709“ Verlag Rhein-Neckar-Zeitung GmbH 2015
[28] 웹사이트 Toaster Internet UG (hb) & Co. KG: Startseite https://www.toaserve[...] 2021-03-26
[29] 뉴스 Wasserkraftwerk in Horb am Neckar gestartet http://www.swtue.de/[...] Pressemitteilung der Stadtwerke Tübingen 2011-04-13
[30] 웹사이트 Wasserkraft Standorte http://www.enbw.com/[...] EnBw
[31] 문서 Wasserkraftwerk Rappenhalde http://www.fische-fr[...] Projekt „Von Fischen und Frachtern“
[32] 문서 Tübinger Stauwehr http://www.tuepedia.[...] Tüpedia
[33] 서적 Neckarbrücken Sutton Verlag 2013
[34] 웹사이트 Neue A6-Neckartalbrücke bei Neckarsulm: Startschuss für ein Meilenstein-Projekt https://www.swr.de/s[...] 2018-01-15
[35] 웹사이트 Neckar- und Remssteg, DE - Remseck http://www.hess.eu/d[...] Hess GmbH 2018-06-04
[36] 서적 Neckarbrücken Sutton Verlag 2013
[37] 웹사이트 Literatur im Volltext: Friedrich Hölderlin: Sämtliche Werke. 6 Bände, Band 2, Stuttgart 1953 http://www.zeno.org/[...] 2019-12-16
[38]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Lie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