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칼라데에나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칼라데에나레스는 스페인 마드리드 자치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왔다. 로마 시대에는 콤플루툼으로 불리며 중요한 도시였으며, 서고트족, 무어인의 지배를 거쳐 1118년 카스티야 왕국에 정복되었다. 15세기 말, 시스네로스 추기경의 주도로 대학 도시로 발전하여, 1499년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알칼라 대학교, 알칼라 대성당, 세르반테스 생가 박물관 등 역사적인 건축물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역사 지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매년 세르반테스 상을 수여하고, 세르반테스 축제를 개최하는 '세르반테스의 도시'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드리드주의 도시 - 아랑후에스
    아랑후에스는 스페인 중부의 도시로, 아랑후에스 왕궁과 주변 경관으로 유명하며 왕실 영지로 발전, 폐쇄 도시 운영, 마드리드 근교 도시 성장, 유네스코 세계 유산 지정, 다양한 축제 개최, 지역 특산물 생산지로 알려져 있다.
  • 마드리드주의 도시 - 레가네스
    레가네스는 스페인 중부 마드리드 지방에 있는 도시로, 13세기 정착지 형성 후 마드리드의 베드타운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대학교, 병원, 박물관, AC/DC 거리 등 주요 시설과 문화 명소가 있다.
  • 스페인의 로마 유적 - 카디스
    카디스는 기원전 1100년경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 도시로, 대항해시대 주요 기항지, 자유주의 운동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해상 무역과 관광, 역사적 건축물, 해변, 카니발 축제, 해산물 요리로 유명하다.
  • 스페인의 로마 유적 - 알리칸테
    알리칸테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의 지중해 연안 도시로, 7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지중해성 기후를 띠며 관광 및 서비스업 기반 경제를 갖춘 33만 명 이상 거주하는 도시이며, 산타 바르바라 성, 알리칸테 항구 등의 관광 명소와 축구 클럽, 볼보 오션 레이스 본부 도시로서의 특징을 가진다.
  • 마드리드주의 자치체 - 아랑후에스
    아랑후에스는 스페인 중부의 도시로, 아랑후에스 왕궁과 주변 경관으로 유명하며 왕실 영지로 발전, 폐쇄 도시 운영, 마드리드 근교 도시 성장, 유네스코 세계 유산 지정, 다양한 축제 개최, 지역 특산물 생산지로 알려져 있다.
  • 마드리드주의 자치체 - 레가네스
    레가네스는 스페인 중부 마드리드 지방에 있는 도시로, 13세기 정착지 형성 후 마드리드의 베드타운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대학교, 병원, 박물관, AC/DC 거리 등 주요 시설과 문화 명소가 있다.
알칼라데에나레스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알칼라 대학교
알칼라 대학교
알칼라데에나레스 대성당
주교좌 성당
라레도 궁전
라레도 궁전
세르반테스 광장
세르반테스 광장
알칼라데에나레스 대주교 궁전
대주교 궁전
알칼라데에나레스 성 토마스 데 비야누에바 안뜰
성 토마스 데 비야누에바 안뜰
공식 명칭Alcalá de Henares
별칭알칼라이노 -아, 콤플루텐세
일반 정보
국가스페인
자치 지방마드리드 지방
면적87.72 km²
고도594 m
설립기원전 1세기
인구 통계
인구 (2018년 기준)203,645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행정
시장Judith Piquet Flores(es)
소속 정당PP
주소 및 연락처
시간대CET (+1)
하계 시간 (DST)CEST (+2)
우편 번호28801-28807
지역 번호(+34) 91
웹사이트알칼라데에나레스 공식 웹사이트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
공식 명칭대학교와 알칼라데에나레스 역사 지구
ID876
등재 연도1998년
분류 기준문화 (ii, iv, vi)

2. 역사

알칼라데에나레스는 지역적으로 알칼라es로 알려져 있으며, 헤나레스 강을 뜻하는 데 헤나레스es('헤나레스 강(Henares)의')라는 표현이 덧붙여지기도 한다. 이는 알칼라라는 이름을 공유하는 다른 스페인 도시들과 구분하기 위함이다. 알칼라라는 이름은 요새 또는 성채를 의미하는 아랍어 단어 القلعة|알칼라ar에서 유래한다. 라틴어 이름은 Complutum|콤플루툼la인데, 이는 "합류"를 의미한다.[2][3]

16세기 성서 연구 부흥기에 제작된 콤플루텐세 다국어 성경은 시스네로스 추기경의 관리 하에 알칼라에서 인쇄되었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이 도시는 스페인에서 최초로 설립된 교구 중 하나였다. 1885년 3월 7일 교황 칙서는 알칼라를 마드리드 교구와 통합하여 톨레도 대주교 관할구의 관할 구역인 마드리드 시민 관할 구역을 포함시켰다. 주교 관저는 이후 역사 기록 보존에 사용되었으며, 이 건물은 알론소 베루게테가 설계했고 유명한 계단이 있다.

무슬림 통치 기간 동안, 도시의 유대인 공동체는 기독교인과 동등한 권리를 부여받았다. 14세기 페로 페루스는 마라노 유대인을 언급했다. 15세기 도시의 유대인 회중은 카스티야 왕국에서 가장 큰 규모 중 하나였으며, 약 200가구의 유대인이 있었다. 16세기, 시스네로스 추기경은 알칼라 대학교에서 히브리어 연구를 장려하여, 몇몇 유대인과 마라노 히브리어 학자들이 도시에서 일하게 되었다.[10] 1492년 알함브라 칙령 이후, 유대인들은 카스티야와 아라곤에 계속 거주하기 위해 기독교도가 되어야 했다.

미겔 데 세르반테스 가문의 기원은 유대인으로 추정되나, 확실하지 않다.

1836년, 재상 멘디사발에 의해 영구 소유 재산 해방령이 발표되자, 대학은 마드리드로 이전하여 마드리드 중앙 대학교라고 불리게 되었다. 알칼라 시민은 공동 소유자 조합을 만들어, 대학이었던 건물을 구입하여 보존에 힘썼다.

1977년에는 콤플루텐세 대학교와는 다른 독립된 대학으로 알칼라 대학교가 개교했다.

도심은 중세 시대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구불구불한 자갈길과 많은 역사적인 건물들이 남아있다. 도시 중심부는 '세르반테스 광장'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긴 보행자 전용 도로인 '마요르 거리'가 이곳을 통과한다. 알칼라는 무어인 지구, 유대인 지구, 기독교인 지구로 나뉘어 "세 문화의 도시"라는 명성을 얻었다.

구시가지 중심부는 교외와 달리 잘 보존되어 있다. 도시 의원들의 도시 확장 계획은 뚜렷하지 않았으며, 1970년대 스타일의 고층 건물들이 여러 곳에 추가되어 광대한 교외 지역은 불규칙하게 건설되었다.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거리 중 하나는 '카르데날 시스네로스 거리'이다. 알칼라의 주요 공원인 오도넬 시립 공원은 도시 주민들의 주요 휴식 공간이며, 알칼라의 주요 도로인 비아 콤플루텐세에 접해 있다.

최근 고고학 발굴을 통해 도시의 로마 포럼이 공개되었고, 마드리드 자치 지역 고고학 박물관(MAR)은 매우 가치 있는 모자이크를 소장하고 있다.

이 도시에는 대학교, 특히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스페인어 및 문학 프로그램으로 인해 많은 수의 유학생이 있다. 알칼라 대학교의 분교인 알칼링구아는 해외 유학생을 위한 주요 외국어 학습 센터 중 하나이다.

2. 1. 고대와 중세

4계절을 묘사한 로마 모자이크, 바쿠스 저택, Complutum


도시 경계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다. 로마인은 기원전 1세기에 이 지역을 정복하고 이전 카르페타니 정착지인 이플라케아 근처에 ''Complutum''이라는 도시를 건설했다. 인구 1만 명으로 ''municipium'' 지위를 획득하여 자체적인 통치 기관을 갖게 되었다. Emerita Augusta와 Caesaraugusta를 연결하는 로마 도로에 위치하여 중요한 역할을 했다.[6]

로마 제국 멸망 후 서고트족 치하에서 쇠퇴했지만, 성 유스토와 파스토르를 기리는 순례지가 되기도 했다.

무어인들이 711년에 침공했을 때 서고트족 도시를 정복하고 다른 지역을 건설하여 아랍어로 "성채"를 의미하는 القلعة|al-qalʿaar를 오늘날 Alcalá la Viejaes(올드 알칼라)로 알려진 인근 언덕에 건설했다. 1118년 5월 3일, 톨레도 대주교 베르나르 드 세디락이 카스티야 왕국의 명령에 따라 이 지역을 재정복했다.

그 직후인 1129년 2월 10일, 알폰소 7세는 알칼라를 톨레도 대주교인 레이몬드 드 소베탓에게 넘겨주어 수세기 동안 대주교의 재산이 되었다. 레이몬드는 1135년에 도시에 오래된 ''fuero''(헌장)를 부여했다.

기독교인들은 원래 로마 부지에 있는 ''Burgo de Santiuste''("성 유스토의 자치구")를 선호했고, 이슬람교 부지는 버려졌다.

기독교 통치 하에, 레콩키스타가 끝날 때까지, 이 도시에는 유대인과 무어인 구역이 모두 있었고 유명한 시장도 있었다. 도시의 중심 위치는 남쪽으로 여행할 때 카스티야 왕들이 자주 거주할 수 있게 해주었다.

1480년대 어느 시점에,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그곳에서 처음으로 ''가톨릭 군주'',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 국왕과 그의 아내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 여왕을 만나 ''아메리카 발견''을 위한 여행 자금을 지원받았다.

시스네로스 추기경은 1509년에 도시에 새로운 ''fuero''를 부여했다.

2. 2. 르네상스와 근대

알폰소 7세는 1129년 2월 10일에 알칼라를 톨레도 대주교인 레이몬드 드 소베탓에게 넘겨주어 수세기 동안 대주교의 재산이 되었다. 레이몬드는 1135년에 도시에 오래된 ''fuero''(헌장)을 부여했다.[1]

기독교 통치 아래, 레콩키스타가 끝날 때까지, 이 도시에는 유대인과 무어인 구역이 모두 있었고 유명한 시장도 있었다. 도시의 중심 위치는 남쪽으로 여행할 때 카스티야 왕들이 자주 거주하는 장소가 되었다.

1480년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톨릭 군주인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와 카스티야의 이사벨 1세를 처음 만나 아메리카 발견을 위한 여행 자금을 지원받았다.

시스네로스 추기경은 1509년에 도시에 새로운 ''fuero''를 부여했다.[2]

1293년, 카스티야의 산초 4세는 알칼라데에나레스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인 콤플루텐세 대학교를 Studium Generale로 설립했다. 프란시스코 히메네스 데 시스네로스 추기경의 후원을 받아 1499년 교황 칙서로 인정받았으며, 1517년에 콤플루텐세 다국어 성경이 제작되면서 르네상스의 주요 학습 중심지로 빠르게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15세기 말부터 16세기 초, 시스네로스 추기경의 발의로 대학 도시 건설이 시작되었고, 1499년에 산 일데폰소 학교 (현재의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가 창설되었다. 알칼라 데 에나레스는 유럽의 다른 대학 도시와는 달리 처음부터 도시 전체가 대학 도시로서 계획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이후에도 대학 시설이 확충되어 학술·문화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에라스무스 등의 저명한 인문주의자도 이 도시에 초청되었다. 인쇄 기술이 도입되어 알칼라 데 에나레스판 다국어 대역 성경(히브리어, 그리스어, 라틴어, 아람어, en 참조)이 발간되었다.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 마테오 알레만, 가스파르 멜초르 데 호베야노스 등 많은 저명한 교수들이 알칼라 대학교에서 가르쳤으며, 이 대학교는 스페인에서 가장 중요한 대학교 중 하나가 되었다.

안톤 반 덴 위나르데의 도시 전경 (1565)


오랫동안 협상 끝에, 도시가 대부분 폐허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687년에 도시 지위를 획득했다.[3]

2. 3. 현대

18세기 중반부터 쇠퇴해 온 알칼라 데 에나레스는 군사 전초 기지라는 새로운 지위를 바탕으로 19세기 후반에 상대적으로 인구 및 경제가 부활했는데, 여기에 초기 산업 중심지도 추가되었다.[6]

1868년부터 1939년까지 인구는 꾸준히 증가했다.[7] 그러나 여전히 농업에 크게 의존했으며, 문맹률과 빈곤 수준이 높았다.[8]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공화주의와 사회주의 운동이 도시에서 힘을 얻었다.[9] 특히, 1903년에 스페인 사회노동자당에서 마드리드 지방의 첫 번째 시의원이 된 안토니오 페르난데스 케르(Antonio Fernández Quer)가 사회주의 운동의 주요 인물이었다.[10] 한편, 사회주의의 발전에 대한 반작용으로 가톨릭 사회 교리 또한 1905년부터 이 도시에서 자리를 잡았고, 'Centro Católico de Acción Social Popular' 및 'Mutual Obrera Complutense'와 같은 여러 조직을 설립했다.[11]

1936년 쿠데타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쿠데타 세력은 도시 주변의 주요 요직을 장악했다.[12] 그러나 마드리드에서 쿠데타가 실패하면서, 알칼라의 반란군은 결국 7월 21일에 공화주의자 일데폰소 푸이지덴돌라스 대령과 그의 군대에 항복했다.[13] 이후 알칼라는 공화주의 정부의 통제력이 약한 "공화국 내 공화국"으로 불리며 소련의 권력 기반이 되었고, 1937년 6월에는 POUM 지도자 안드레스 닌이 NKVD 요원들에 의해 이곳으로 이송되어 고문당하고 살해되었다.[14][15]

스페인 내전 동안 도시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전쟁이 끝난 후 수천 명의 포로들이 도시의 여러 수용소에 수감되었으며,[16] 1939년 3월부터 1948년 2월까지 최소 264명이 프랑코 스페인 당국에 의해 알칼라에서 처형되었다.[17]

도심은 본질적으로 중세 시대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며, 구불구불한 자갈길과 많은 역사적인 건물들이 남아있다. 도시 중심부는 '세르반테스 광장'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긴 보행자 전용 도로인 '마요르 거리'가 이곳을 통과한다. 알칼라는 무어인 지구, 유대인 지구, 기독교인 지구로 나뉘어 "세 문화의 도시"라는 명성을 얻었다.

구시가지 중심부는 교외와 달리 대체로 잘 보존되어 있다. 도시 의원들의 도시 확장 계획은 뚜렷하지 않았으며, 1970년대 스타일의 고층 건물들이 여러 곳에 추가되어 광대한 교외 지역은 불규칙하게 건설되었다.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거리 중 하나는 도시 입구의 마드리드 문에서 구시가지 중심부와 산토스 니뇨스 광장의 대성당으로 관광객을 안내하는 '카르데날 시스네로스 거리'이다. 알칼라의 주요 공원인 오도넬 시립 공원은 도시 주민들의 주요 휴식 공간이며, 알칼라의 주요 도로인 비아 콤플루텐세에 접해 있다.

최근의 고고학 발굴을 통해 도시의 로마 포럼이 공개되었는데, 여기에는 바실리카, 공중 목욕탕, 지하 복도, 시장, 거대한 기념비적 파사드로 구성된 대규모 복합 단지가 눈에 띈다. 포럼 옆에는 로마 시대의 뛰어난 벽화 컬렉션을 소장한 도무스(Domus)가 있다. 외곽에는 오래된 학교인 히폴리투스의 집이 있다. 또한, 마드리드 자치 지역 고고학 박물관(MAR)은 매우 가치 있는 모자이크를 소장하고 있다.

이 도시에는 대학교, 특히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스페인어 및 문학 프로그램으로 인해 많은 수의 유학생이 있다. 알칼라 대학교의 분교인 알칼링구아는 해외 유학생을 위한 주요 외국어 학습 센터 중 하나이다.

3. 지리

알칼라데에나레스는 스페인 중부에 위치하여 반건조성 기후를 보인다. 겨울은 춥고 건조하며, 여름은 덥고 건조하다. 연평균 기온은 14°C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약 300mm로 주로 봄과 가을에 집중된다. 12월과 1월에는 기온이 0°C 이하로 내려가기도 하고, 7월과 8월에는 40°C 이상으로 올라가기도 한다. 여름철에는 건조한 날씨가 이어진다.

이베리아 반도 중앙부의 내륙 고원 남쪽에 위치하며, 헤나레스강 계곡에 자리 잡고 있다. 도시 중심부는 강의 오른쪽(북쪽)에 위치하며 평평한 지형을 이루고, 강의 왼쪽(남쪽)은 가파른 경사를 이루며 황무지로 이어진다. 평균 해발 654m, 면적 약 88km2인 이 도시는 오랫동안 헤나레스강과 마드리드-바르셀로나 철도 사이에 갇혀 있었으나, 인구 증가로 인해 철도와 A-2 고속도로 너머로 확장되었다.

3. 1. 위치 및 지형

유럽 우주국의 센티넬-2 위성에서 본 알칼라데에나레스


알칼라데에나레스는 이베리아 반도 중앙부, 내륙 고원의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타구스강의 오른쪽 지류인 하라마강의 왼쪽 지류인 헤나레스강 계곡에 자리 잡고 있다. 현재 도시 중심부가 건설된 강의 오른쪽(북쪽) 제방은 일련의 제4기 선상지를 가진 매우 평평한 지형을 보인다. 반면, 왼쪽(남쪽) 제방은 마이오세점토로 이루어진 매우 가파른 경사를 이루며 알카리아황무지로 급격히 솟아오른다.

평균 해발 654m, 면적 약 88km2인 이 도시는 오랫동안 남쪽의 헤나레스강과 북쪽의 마드리드-바르셀로나 철도 사이에 갇혀 있었다. 그러나 인구 증가로 인해 도시화된 지역이 철도와 A-2 고속도로 사이, 그리고 그 너머로 확장되었다.

3. 2. 기후

Alcalá de Henareses의 기후는 반건조 기후로, 겨울은 춥고 건조하며 여름은 덥고 건조하다. 연평균 기온은 14°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300mm이며, 주로 봄과 가을에 집중된다. 기온은 12월과 1월에는 0°C 이하로 떨어지기도 하고, 7월과 8월에는 40°C 이상으로 올라가기도 한다. 건기는 여름철 최대 더위와 일치한다.[11]

알칼라데에나레스, 1981–201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0°C)11°C13.3°C17.5°C19.1°C23.5°C29.9°C33.8°C33.1°C28.2°C21.2°C15°C11.3°C
평균 최저 기온 (0°C)0.1°C0.9°C3°C5°C8.5°C12.8°C15.2°C14.8°C11.7°C7.8°C3.5°C1.2°C
평균 강수량 (0mm)24.8mm25.1mm17.7mm35.6mm38.2mm19.6mm9.6mm8.4mm19.8mm38mm35.6mm34.2mm


4. 문화유산

1998년, "알칼라 데 에나레스의 대학과 역사 지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21] 세계 최초의 계획적인 대학 도시라는 점과 도시 계획이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의 모델이 되었다는 점이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미겔 데 세르반테스를 배출하고 다언어 대역 성경을 제작하는 등 언어학 발전에 기여하여 인류의 지적 발전에 공헌했다는 점도 인정받았다.

알칼라 대학교와 알칼라 대성당을 포함하여, 세계 유산으로 등록된 구역은 스페인의 역사 유산이기도 하며, 마드리드 자치 지방 정부와 알칼라 데 에나레스 시 정부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4. 1. 알칼라 대학교

대학교의 회랑


알칼라데에나레스 대학교의 ''교장실''


1293년, 카스티야의 산초 4세 왕은 알칼라데에나레스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중 하나인 ''콤플루텐세 대학교''를 Studium Generale로 설립했다.[12] 1499년 교황 칙서로 인정받았으며, 프란시스코 히메네스 데 시스네로스 추기경의 후원을 받아 1517년에 콤플루텐세 다국어 성경이 제작되면서 르네상스의 주요 학습 중심지로 빠르게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12]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 마테오 알레만, 가스파르 멜초르 데 호베야노스 등 많은 저명한 교수들이 이 곳에서 가르쳤다.

시스네로스 추기경은 1509년에 도시에 새로운 ''fuero''(헌장)를 부여했다.[6]

1836년 국왕 칙령에 따라 이 대학교는 마드리드로 이전되었다 (처음에는 마드리드 대학교, 나중에는 중앙 대학교로, 1970년대에 마침내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로 개명되었다).[12] 1977년에는 옛 건물에 ''알칼라 대학교''라는 새로운 대학교가 설립되었다.[12] 새로운 대학교는 도시 중심부에 있는 옛 콤플루텐세 대학교 건물, 현대적인 산 일데폰소 대학, 말라가 대학 및 기타 ''대학''을 포함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 구조는 아메리카와 다른 속령의 스페인 영토 전역의 다른 대학교의 모델 역할을 했다.

라레도 궁전


성 일데폰소에게 헌정된 대학교 예배당에는 이탈리아 조각가 판첼리가 제작한 대학교 설립자 시스네로스 추기경의 기념비가 있다.

현재의 대학교는 "알칼라 대학교"라는 이름을 사용하지만, 시스네로스가 설립한 옛 기관은 현재 마드리드 수도에 위치한 "콤플루텐세 대학교"라고 불린다 ("콤플루텐시스"는 "알칼라 출신"을 뜻하는 라틴어 단어이다).[12] 현대 대학교는 원래의 기관과 이름만 관련이 있지만, 콤플루텐세의 옛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알칼라데에나레스의 주요 랜드마크이자 큰 자랑거리 중 하나인 이 대학교는 도시 전역에 걸쳐 부지를 사용하지만, 두 개의 주요 캠퍼스를 가지고 있다.[12] 첫 번째는 알칼라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대부분의 과학 관련 학과와 학생 기숙사(그리고 별도의 렌페 역)가 있다. 두 번째 중앙 캠퍼스에는 법학대학을 포함한 대부분의 인문 및 사회 과학 관련 학과가 있다.[12]

이 대학교의 건축적 영향은 오늘날의 다른 학술 기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샌디에고 대학교는 스페인 대학교를 기반으로 하며, 캠퍼스와 주소는 "알칼라 공원"이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또한, 텍사스 공과대학교의 일부 건물은 러벅, 텍사스에 있으며, 알칼라데에나레스 대학교의 건축 양식을 본떠서 지어졌다.[12]

알칼라 대학교의 분교인 알칼링구아는 해외 유학생을 위한 주요 외국어 학습 센터 중 하나이다.

4. 2. 알칼라 대성당

성 니뇨스 대성당.


이 도시의 가장 중요하고 역사적인 건물 중 하나는 성 유스토와 파스토르의 대성당-마기스트랄이다. 스페인어로는 Santa e Insigne Catedral-Magistral de los Santos Justo y Pastores 또는 더 친숙하게 Catedral de los Santos Niñoses로 알려져 있다. 1497년에서 1514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4세기 초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박해 동안 도시 근처에서 순교한 두 명의 기독교 학교 소년 성 유스토와 파스토르의 유해가 안치되어 있다.

"꽃이 만발한" 또는 "이사벨 양식" 스타일의 성 니뇨스 대성당의 서쪽 파사드


414년에 유스토와 파스토르의 순교지에 예배당이 세워졌고, 히스파니아를 서고트족이 지배하던 시대에 대성당으로 개조되었다. 7세기부터 시작된 톨레도 공의회에는 알칼라의 주교들이 참석했다. 1053년, 옛 도시 알칼라(''Alcalá la Vieja'')는 레온의 페르난도 1세에게 정복되었지만, 이듬해 이베리아 반도를 차지하기 위해 전쟁을 벌이던 무어인 군대에 의해 재탈환되었고, 보복으로 대성당을 파괴했다. 그 당시 성 유스토와 파스토르의 유물은 1118년 알칼라를 재정복할 때까지 안전을 위해 우에스카로 옮겨졌다. 1122년에 그 자리에 교회가 재건되었지만, 톨레도의 대주교인 친구 레이몽 드 소베타의 영향으로 교황 우르바노 2세는 그 당시 알칼라 교구를 복원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대신 드 소베타는 1129년 알폰소 7세 국왕의 기증을 통해 알칼라를 자신의 대주교 영토에 통합할 수 있었다.

교회는 약 300년 후에 톨레도의 후임 대주교인 알폰소 카리요 데 아쿠냐에 의해 다시 재건되었고, 그는 교회를 칼리지에이트 교회의 지위로 격상시켰다. 최종적으로 대학교의 설립자인 추기경 시스네로스(1495–1517) 하에 현재의 이사벨 양식으로 재건되었다. 1528년과 1582년 사이에 탑이 추가되었고, 1618년에 현대적인 외관을 갖추게 되었다. 행렬 회랑과 성 베드로 예배당은 17세기에 건물에 통합되었다.

이 건물은 1904년에 국립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페인 내전 (1936–1939) 동안 불탔고, 몇 개의 작은 유물과 성가대 좌석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내용물이 파괴되었다.

대성당의 추기경 시스네로스의 무덤


오이도르 교회


1991년에야 마침내 알칼라데에나레스 로마 가톨릭 교구가 복원되어 마드리드 대교구에서 분리되었고, 그 당시 이 건물은 현재의 대성당-마기스트랄의 지위를 부여받았다. "마기스트랄"이라는 칭호는 원래 시스네로스 추기경에 의해 부여되었지만, 건물은 여전히 기술적으로는 칼리지에이트 교회에 불과했으며, 아직 교회의 의미에서 대성당은 아니었다.

알칼라 대성당은 루벤의 성 베드로 교회 (벨기에)와 함께 "마기스트랄"이라는 특별한 칭호를 부여받은 세계 단 두 개의 교회 중 하나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칭호는 이 교회의 이전 칼리지에이트 교회로서의 지위를 반영하며, 대성당의 모든 사제가 그곳에서 봉사하기 위해 신학 박사라는 학문적 구별을 갖춰야 한다는 요구에서 유래한다.

성 유스토와 파스토르 외에도, 대성당에는 유명한 17세기 스페인 조각가 그레고리오 페르난데스의 무덤도 있다.

4. 3. 기타 문화유산

이 도시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와 페르난도 2세 국왕이 서쪽으로의 탐험을 계획한 장소이자, 헨리 8세 국왕의 첫 번째 부인이자 잉글랜드의 왕비가 된 아라곤의 카타리나의 출생지인 대주교 궁전이 있다.

알칼라의 코랄 데 코메디아스는 극장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투어가 가능한 곳으로, 스페인 역사상 가장 오래된 코랄로 기록되어 있다.

도심은 본질적으로 중세 시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구불구불한 자갈길과 많은 역사적인 건물들이 남아있다. 도시 중심부는 ''세르반테스 광장''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긴 보행자 전용의 주요 도로인 ''마요르 거리''가 통과한다. 이 도시에는 무어인 지구, 유대인 지구, 기독교인 지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독특한 지역들은 알칼라에 "세 문화의 도시"라는 명성을 부여했다.

구 시가지 중심부는 교외와 달리 대체로 잘 보존되어 있다. 도시 의원들의 도시 확장 계획은 뚜렷하지 않았으며, 1970년대 스타일의 고층 건물들이 여러 곳에 추가되어 광대한 교외 지역은 불규칙하게 건설되었다.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거리 중 하나는 도시 입구의 마드리드 문에서 구 시가지 중심부와 산토스 니뇨스 광장의 대성당으로 관광객을 안내하는 ''카르데날 시스네로스 거리''이다. 알칼라의 주요 공원인 오도넬 시립 공원은 도시 주민들의 주요 휴식 공간이며, 알칼라의 주요 도로인 비아 콤플루텐세에 접해 있다.

최근의 고고학 발굴을 통해 도시의 로마 포럼이 공개되었으며, 여기에는 바실리카, 공중 목욕탕, 지하 복도, 시장, 거대한 기념비적 파사드로 구성된 대규모 복합 단지가 눈에 띈다. 포럼 옆에는 로마 시대의 뛰어난 벽화 컬렉션을 소장한 도무스(Domus)가 있다. 외곽에는 오래된 학교인 히폴리투스의 집이 있다. 또한, 마드리드 자치 지역 고고학 박물관(MAR)은 매우 가치 있는 모자이크를 소장하고 있다.

이 도시에는 대학교, 특히 외국인 학생들을 위한 스페인어 및 문학 프로그램으로 인해 많은 수의 유학생이 있다. 알칼라 대학교의 분교인 알칼링구아는 해외 유학생을 위한 주요 외국어 학습 센터 중 하나이다.

5. 세르반테스 도시

세르반테스 생가 밖의 돈 키호테산초 판사 조각상


알칼라데에나레스는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출생지로 유명하다. 매년 10월 9일에는 세르반테스 주간(Semana Cervantina de Alcalá de Henares|Semana Cervantinaes)이 열리고, 4월 23일 세르반테스 사망 기념일에는 스페인어권에서 문학 분야 평생 업적을 기리는 가장 권위 있는 상인 미겔 데 세르반테스 상을 알칼라 대학교의 Colegio de San Ildefonso|italic=noes에서 스페인 국왕이 수여한다. 스페인어의 중요성에 대한 연설은 관례적으로 국왕, 문화부 장관, 수상자가 하며, 왕족, 총리 등 다양한 고위 인사들이 시상식에 참석한다. 이 행사 동안 알칼라 시민들은 "알칼라 데 에나레스"라는 시의 노래를 부른다.

알칼라데에나레스는 세르반테스 도시 네트워크 (Red de Ciudades Cervantinas)의 회원이자 홍보자이다.

5. 1. 세르반테스 상

Premio Cervanteses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이름을 따서 제정된 스페인어권에서 가장 권위 있는 문학상이다. 알칼라데에나레스는 세르반테스와 관련된 여러 인물 및 사건과 관련이 깊다.

5. 2. 세르반테스 주간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출생지인 알칼라데에나레스에서는 매년 10월 9일 그의 생일을 기념하는 연례 축제인 세르반테스 주간(Semana Cervantina de Alcalá de Henares|Semana Cervantinaes)이 열린다.

6. 자매 도시



알칼라데에나레스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결연을 맺고 있다.

국가도시
-- 프랑스탈랑스
-- 영국피터버러
-- 멕시코구아나후아토
-- 미국샌디에이고
-- 미국포트콜린스
-- 쿠바플라사 데 라 레볼루시온
-- 폴란드루블린
-- 루마니아알바율리아
-- 아르헨티나아술



성 디다쿠스는 스페인어로 산 디에고(San Diego)라고 불리며, 알칼라데에나레스에서 태어났고, 이는 미국 샌디에이고 시의 지명이 되었다. 알칼라데에나레스는 아라곤의 캐서린이 태어난 곳이기도 하며, 그녀가 마지막으로 안식한 곳인 영국의 피터버러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atos un municipio https://web.archive.[...] 2016-03-04
[2] 서적 The Orient in Spain: Converted Muslims https://books.google[...] Brill 2013
[3] 서적 Bulletin of the New York Public Library https://books.google[...]
[4] 서적 Grand dictionnaire de la langue latine https://books.google[...] Firmin-Didot
[5] 서적 The Spanish Reformers Their Memories and Dwelling-places https://books.google[...] Religious Tract Society
[6] 서적 La ciudad romana de Complutum. Guía arqueológica http://www.madrid.or[...] Consejería de las Artes de la Comunidad de Madrid
[7] 간행물 El asesinato de Andreu Nin, más datos para la polémica http://diposit.ub.ed[...]
[8] 웹사이트 El cadáver de Andreu Nin acusa https://www.lne.es/s[...] 2008-03-18
[9] 뉴스 La fosa estaba bajo el campo de concentración https://elpais.com/d[...] 2008-03-24
[10] 웹사이트 Alcalá de Henares https://www.jewishvi[...] 2015-11-14
[11]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Alcala de Henares https://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2-11-12
[12] 서적 Texas Tech... The Unobserved Heritage Texas Tech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Las cigüeñas de Alcalá'' at The City of Alcalá's official web site (in Spanish)" http://www.ayto-alca[...] 2008-12-08
[14] 웹사이트 La Red de Ciudades Cervantinas inaugura su página web https://www.abc.es/c[...] 2017-06-01
[15] 웹사이트 Plan Municipal de Cooperación al Desarrollo y Derechos Humanos (2019-2023) http://www.ayto-alca[...] Ayuntamiento de Alcalá de Henares
[16] 웹사이트 Miasta Partnerskie Lublina http://www.lublin.eu[...] 2013-08-07
[17] 웹사이트 Población, superficie y densidad por municipios http://www.ine.es/ja[...] INE(スペイン国立統計局) 2014-06-19
[18] 웹사이트 Cifras oficiales de población resultantes de la revisión del Padrón municipal a 1 de enero de 2013 http://www.ine.es/ja[...] INE(スペイン国立統計局) 2014-06-19
[19] 문서 Consorcio Turístico de Madrid http://www.conturmad[...] マドリード州観光局
[20] 문서 Henaresは第2音節にアクセントがあるため、アルカラ・デ・エナーレスのように発音される。
[21] 문서 University and Historic Precinct of Alcalá de Henares http://whc.unesco.or[...] ICOMO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