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티리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티리누스는 1998년 데이비드 B. 노먼에 의해 명명된, 몽골에서 발견된 백악기 전기의 초식 공룡이다. 알티리누스는 몽골 동고비 주의 후렌 두크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이구아노돈의 일종으로 분류되었으나, 뚜렷한 특징으로 인해 별도의 속으로 분류되었다. "높은 코"를 의미하는 이름처럼, 주둥이 위에 높이 솟은 아치형 구조가 특징이며, 이 구조는 혈액 냉각, 수분 보존, 후각 향상, 또는 성적 과시와 같은 기능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알티리누스는 두 발로 걷고 네 발로 식물을 섭취했으며, 초식성이었고, 이구아노돈류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수코미무스
수코미무스는 1997년 니제르에서 발견된 스피노사우루스과의 수각류 공룡으로, 악어를 닮은 머리 모양에서 유래되었으며, 긴 주둥이와 튼튼한 앞다리를 가지고 어식성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 1998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에올람비아
에올람비아는 백악기 후기에 살았던 조각류 공룡의 한 속으로, 하드로사우루스상과에 속하며 프로박트로사우루스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갖는 기저적인 공룡이다. - 백악기 전기 아시아의 공룡 - 시노사우롭테릭스
시노사우롭테릭스는 초기 백악기 압트절에 살았던 작은 이족 보행 수각류 공룡으로, 깃털 화석이 발견된 최초의 공룡이며, 꼬리의 띠 색깔과 콤프소그나투스와 유사한 구조, 긴 꼬리가 특징이다. - 백악기 전기 아시아의 공룡 - 프시타코사우루스
프시타코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 아시아에 살았던 앵무새 부리 모양의 특징을 가진 조반류 공룡 속으로, 다양한 종과 풍부한 화석 자료를 통해 생태 및 진화 연구에 기여한다. - 조반목 - 헤테로돈토사우루스
헤테로돈토사우루스는 전기 쥐라기에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서식한 몸길이 1m 남짓의 소형 조반류 공룡 속으로, 앞니, 엄니, 어금니 등 다양한 형태의 이빨을 가진 독특한 치아 구조가 특징이다. - 조반목 - 신조반류
신조반류는 1985년 쿠퍼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2021년 공식적으로 정의된 조반목 공룡의 분지군으로, 두꺼운 에나멜층을 가진 아래턱 치아와 장갑류와의 자매군 형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알티리누스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ltirhinus kurzanovi |
명명자 | Norman, 1998 |
속 | 알티리누스속 |
분류 | |
상목 | 공룡 |
목 | 조반목 |
아목 | 조각아목 |
계통군 | 이구아노돈티아 |
상과 | 하드로사우루스상과 |
시대 | |
시기 | 전기 백악기(바렘세 ~ 알비세), |
2. 역사
알티리누스는 1981년 소련-몽골 공동 조사단이 몽골 동고비 주의 후흐체크 지층(en)에서 발견했다. 후흐체크 지층은 백악기 전기, 압트절에서 알브절에 걸쳐 형성되었으며, 약 1억 2500만 년 전에서 1억 년 전 지층이다. 이 지층에서는 프시타코사우루스와 원시적인 곡룡류인 샤모사우루스 화석도 발견되었다.
알티리누스 화석은 다양한 연령과 크기의 여러 표본이 알려져 있다. 모식표본 '''PIN 3386/8'''는 왼쪽 두개골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손, 견갑대, 골반 등의 몸통 뼈 일부도 포함한다. 다른 표본으로는 갈비뼈, 척추뼈 조각, 완전한 뒷다리 등이 있는 단편적인 두개골이 있다. 세 번째 표본은 소형 개체의 다리 뼈와 34개의 연속된 미추를 포함한다. 인근에서 발견된 두 개의 작고 단편적인 골격은 어린 개체로 추정된다.
이 공룡 화석은 처음에 1952년 이구아노돈의 일종인 ''Iguanodon orientalis''[4]로 기재되었다. 그러나 ''I. orientalis''는 단편적이고 유럽 종과 구별되는 특징이 거의 없었다.[5] 1981년 발견된 표본은 ''I. orientalis''와 공유하는 특징이 없어 이구아노돈 속과 구별된다고 판단, 1998년 영국의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B. 노먼영어이 ''Altirhinus kurzanovi''로 명명했다.[2]
속명은 라틴어 "높은"(''altus'')과 고대 그리스어 "코"(''ῥίς'', rhis, 소유격 ''rhinos'')에서 유래했다. 종명 ''A. kurzanovi''는 1981년 최초 화석 발견자인 러시아 고생물학자 세르게이 쿠르자노프(Sergei Kurzanov)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2]
2. 1. 발견
알티리누스의 화석은 1981년 소련과 몽골 과학자들이 공동으로 조직한 탐사대가 몽골 동고비 주의 후렌 두크 지층에서 발견하였다.[4] 후렌 두크 지층은 백악기 전기의 압트절에서 알비절에 형성되었으며, 약 1억 2500만 년 전에서 1억 500만 년 전에 해당한다. 이 지층에서는 프시타코사우루스와 원시적인 안킬로사우루스인 샤모사우루스의 화석도 발견되었다.[4]다양한 연령과 크기의 여러 화석 표본이 알려져 있다. 모식 표본인 '''PIN 3386/8'''는 왼쪽이 잘 보존된 두개골이며, 손, 발, 어깨, 골반대의 조각으로 구성된 일부 몸통 뼈대도 포함한다. 더 조각난 두개골도 회수되었으며, 일부 갈비뼈, 조각난 척추뼈, 완전한 앞다리와 함께 발견되었다. 세 번째 표본은 많은 팔다리 뼈와 작은 개체의 34개의 꼬리 척추뼈를 보존하고 있다. 두 개의 더 작은 조각난 골격은 근처에서 발굴되었으며, 아마도 어린 개체의 것이다.[4]
이 동물의 유해는 원래 1952년에 처음 기술된 종인 ''이구아노돈 오리엔탈리스''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I. 오리엔탈리스''는 조각적이고, 진단적이지 않으며, 유럽의 ''I. 베르니사르텐시스''와 거의 구별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I. 오리엔탈리스''의 특징 중 1981년 표본과 공유되는 것은 없으며, 이는 이구아노돈과 명확히 구별되므로, 해당 표본에 대한 새로운 이름이 필요했다. 영국의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B. 노먼은 1998년에 이들을 ''알티리누스 쿠르자노비''로 명명했다.[2]
속명은 라틴어 단어인 ''altus'' ("높은")와 고대 그리스어 단어인 ῥίς, ''rhis, rhinos'' ("코" 또는 "주둥이")에서 유래되었다. 알려진 종은 하나이며 (''A. 쿠르자노비''), 1981년에 표본을 처음 발견한 영향력 있는 러시아 고생물학자인 세르게이 쿠르자노프를 기리고 있다.[2]
2. 2. 명명
이 공룡 화석은 원래 1952년에 처음 기술된 ''이구아노돈 오리엔탈리스''[4]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I. 오리엔탈리스''는 조각적이고, 진단적이지 않으며, 유럽의 ''I. 베르니사르텐시스''와 거의 구별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5]. 1981년 표본은 ''I. 오리엔탈리스''와 공유하는 특징이 없으며, 이구아노돈과 명확히 구별되므로 새로운 이름이 필요했다. 영국의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B. 노먼은 1998년에 이들을 ''알티리누스 쿠르자노비''로 명명했다[2].속명 '알티리누스'는 라틴어 ''altus'' ("높은")와 고대 그리스어 ῥίς, ''rhis, rhinos'' ("코" 또는 "주둥이")에서 유래되었다. 유일한 종인 ''A. 쿠르자노비''의 종명은 1981년에 표본을 처음 발견한 러시아 고생물학자 세르게이 쿠르자노프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2].
3. 특징
알티리누스는 초식동물로, 두 발로 걷거나 뛰었지만, 땅에서 먹이를 먹을 때는 네 발로 다녔을 것으로 보인다. 몸길이는 약 6.5m, 무게는 1.1ton으로 추정된다.[1] 두개골 길이는 760mm이며, 넓은 입과 독특한 아치형 코가 특징인데, 이것이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3. 1. 아치형 코
알티리누스의 특징적인 아치형 주둥이는 주로 비골로 형성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의 무타부라사우루스 주둥이에서도 유사한 구조가 발견된다. 비골 아치에 대해 다양한 기능들이 제안되어 왔다. 혈액을 냉각시키거나, 수분을 보존하거나, 후각을 향상시키는 조직을 수용했을 수 있다. 또는 의사소통을 음성이나 시각적 과시를 통해 촉진했을 수도 있다. 두 개의 두개골만 발견되었기 때문에, 아치형 주둥이가 한쪽 성별에서만 발견될 가능성도 있으며, 이 경우 현대의 코끼리해표처럼 성적 과시에 사용되었을 수 있다.[8]
3. 2. 이동 방식
알티리누스는 주로 두 발로 걸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다리는 뒷다리 길이의 절반 정도였지만, 굵고 튼튼한 손목뼈와 발굽 모양의 손가락뼈를 가지고 있어 네 발로도 체중을 지탱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8] 먹이를 먹을 때는 네 발로 서서 낮은 곳에 있는 식물을 섭취했을 가능성이 있다.3. 3. 섭식 방식
알티리누스는 초식성이었으며, 입 앞쪽의 케라틴질 부리와 입 옆쪽의 씹는 이빨 사이에는 큰 틈이 있어, 부리로 식물을 자르는 동시에 이빨로 씹을 수 있었다.[8] 많은 초식 포유류도 유사한 적응을 보여, 어금니로 씹는 동안 앞니로 식물을 자를 수 있다.알티리누스는 끝부분이 넓은 주둥이를 가졌는데, 이는 하드로사우루스과와 수렴 진화의 한 예이다. 현생 소, 말, 흰코뿔소처럼 넓은 주둥이를 가진 동물들은 모두 풀을 뜯는 동물이다.[8] 풀을 뜯는 행위는 주로 지면에서 이루어지는데, 알티리누스와 기타 관련 종의 넓은 주둥이가 풀을 뜯는 것에 적응한 것이라면, 이는 머리를 지면에 더 가깝게 하기 위한 앞다리의 체중 지탱 적응을 설명할 수 있다.
앞발의 첫 번째 손가락은 이구아노돈처럼 날카로운 가시 모양으로, 방어 외에도 씨앗이나 과일 껍질을 깨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다. 다섯 번째 손가락은 다른 손가락과 마주보는 형태로, 먹이를 잡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다.[8]
4. 분류
알티리누스는 조각류 이구아노돈류에 속하며, 하드로사우루스과보다는 기저에 위치한다. 초기에는 이구아노돈, 우라노사우루스와 함께 이구아노돈과(Iguanodontidae)로 분류되었다.[2]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는 이들보다 더 파생된 것으로 밝혀졌다.[6][7][8]
에올람비아, 프로토하드로스, 프로박트로사우루스 등이 알티리누스와 가깝거나 더 기저에 있는 속으로 여겨진다. 후쿠이 사우루스는 알티리누스보다 약간 더 기저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인다.[7]
5. 고생태학
알티리누스의 해부학적 특징은 행동에 대한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참조
[1]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논문
On Asian ornithopods (Dinosauria, Ornithischia). 3. A new species of iguanodontid dinosaur
[3]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논문
"[Discovery of iguanodonts in Mongolia.]"
[5]
논문
On Asian ornithopods (Dinosauria, Ornithischia). 1. Iguanodon orientalis Rozhdestvensky, 1952
[6]
논문
A reanalysis of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Eolambia caroljonesa
[7]
논문
A new iguanodontian (Dinosauria: Ornithopoda) from the Lower Cretaceous Kitadani Formation of Fukui Prefecture, Japan
[8]
간행물
Basal Iguanodont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