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모토 쇼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마모토 쇼고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였다. 세이료 고등학교, 게이오기주쿠 대학을 졸업하고 2000년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에 입단했다. 이후 오릭스 버펄로스,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를 거쳐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2008년에는 올스타전에 출전했으며, 2013년 은퇴 후에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스카우터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시카와현 출신 야구 선수 - 교다 요타
교다 요타는 주니치 드래곤즈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에서 활약한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 빠른 발과 뛰어난 수비력을 가졌으나 타격 부진으로 여러 포지션을 소화하며 2017년 신인왕 수상 및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우승에 기여했다. - 이시카와현 출신 야구 선수 - 마쓰이 히데키
마쓰이 히데키는 일본과 미국 프로 야구에서 외야수 및 지명타자로 활약하며 NPB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 센트럴 리그 MVP를 3회 수상하고 MLB 뉴욕 양키스 소속으로 월드 시리즈 MVP를 수상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친 전직 프로 야구 선수이다. -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선수 - 나카무라 노리히로
나카무라 노리히로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로 입단하여 타자로 전향, 여러 팀에서 활약하며 홈런왕, 타점왕 등을 수상했고, 메이저 리그에도 도전했으며, 일본 시리즈 MVP를 수상하고 NPB/MLB 통산 2000안타를 달성한 후 은퇴하여 야구 교실을 운영하고 타격 코치를 역임했다. -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선수 - 마이크 존슨 (야구 선수)
마이크 존슨은 캐나다 출신의 야구 선수로, 투수로서 다양한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2008년 대만 CPBL에서 다승왕과 MVP를 수상했고, 캐나다 야구 국가대표팀으로도 활약했으며, 은퇴 후에는 코치로 활동한다. - 이시카와현 출신 - 아베 노부유키
아베 노부유키는 러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 제국의 육군 대장이자 정치인으로, 제39대 내각총리대신으로서 중일 전쟁 종식과 일본의 중립 유지를 시도했으나 실패했으며, 이후 조선총독을 지내며 전쟁 말기 조선에서의 압제적 통치를 담당했다. - 이시카와현 출신 - 나카무라 고타로
나카무라 고타로는 일본 제국의 군인으로 육군대신과 조선군 사령관을 지냈으며, 육군사관학교와 육군대학교를 졸업 후 참모본부에서 근무, 중국 주둔군 사령관 등을 역임하고 조선군 사령관으로 재임하며 한국인들에게 고통을 안겨준 인물이다.
야마모토 쇼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포지션 | 투수 |
투구 | 좌 |
타석 | 좌 |
출생일 | 1978년 5월 28일 () |
출생지 | 일본, 이시카와현 나나오시 |
프로 경력 | |
데뷔 리그 | NPB |
데뷔일 | 2001년 5월 28일 |
데뷔 팀 |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
최종 리그 | NPB |
최종일 | 2013년 4월 3일 |
최종 팀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팀 |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2001년~2004년) 오릭스 버펄로스 (2005년~2010년)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011년~2012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3년) |
드래프트 순위 | 2000년 드래프트 1위 (역지명) |
기록 | |
통산 성적 (2013년 시즌) | NPB |
승패 기록 | 40승 42패 |
평균 자책점 | 4.41 |
탈삼진 | 501 |
세이브 | 2 |
홀드 | 11 |
수상 | |
주요 수상 | 1x NPB 올스타 (2008년) |
신체 정보 | |
신장 | 177cm |
체중 | 77kg |
학력 | |
출신 학교 | 세이료 고등학교 게이오기주쿠 대학 |
2. 프로 입단 전
야마모토 쇼고는 1978년 이시카와현 나나오시에서 태어났다. 세이료 중학교 시절 전일본 소년 연식 야구 대회와 전국 중학교 연식 야구 대회에 출전했고, 3학년 때인 제15회 전국 중학교 연식 야구 대회에서 우승했다.[1]
세이료 고등학교 진학 후 제76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 제67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 제77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제77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이시카와현 지역 고등학교 최초로 결승에 진출하여 준우승했다.[1]
게이오기주쿠 대학 종합 정책 학부(SFC) 진학 후 1학년 봄부터 등판하여 팀의 전일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 준결승 진출에 기여했으며, 4학년 가을에는 메이지 진구 야구 대회에서 우승했다. 도쿄 6대학 리그 통산 55경기에 등판하여 21승 14패, 평균자책점 2.23, 307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1]
2. 1. 유소년 시절
1978년 이시카와현 나나오시에서 태어났다. 세이료 중학교 1학년 때 전일본 소년 연식 야구 대회에 출전했고, 2, 3학년 때는 2년 연속으로 전국 중학교 연식 야구 대회에 출전, 3학년 때인 제15회 대회에서는 우승을 차지했다.[1]2. 2. 고교 시절
세이료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1학년 때 제76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 두 번째 투수로 출전했다.[1] 2학년 때는 에이스로서 제67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와 제77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1] 봄에는 베스트 8, 여름에는 3회전에서 요시토시 타키노리가 소속된 칸세이 고교를, 준결승에서 쇼다 다카히로가 소속된 지벤 학원 고교를 꺾고 이시카와현 지역 고등학교로서는 처음으로 결승 진출에 성공하여 준우승을 기록했다.[1]2. 3. 대학 시절
게이오기주쿠 대학 종합 정책 학부(SFC)에 진학하여 1학년 봄부터 등판했다. 주장 다카하시 요시노부의 활약으로 팀은 우승을 차지했고, 전일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 준결승에 선발 등판했지만 우승팀 킨키대에게 패했다.[1] 4학년 가을에는 메이지 진구 야구 대회에서 우승했다. 와세다 대학과 게이오기주쿠 대학 간의 친선 경기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는 등 큰 경기에서도 기대 이상의 성적을 남겼다. 도쿄 6대학 리그 통산 55경기에 등판하여 21승 14패, 평균자책점 2.23, 307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1]3. 프로 선수 시절
2012년 11월 5일, 칸나이 야스시, 타무라 히토시, 요시카와 테루아키와의 3대3 트레이드로 요시무라 히로키, 에지리 신타로와 함께 소프트뱅크로 이적했다.[6] 등번호는 '''38'''번이었다.
2013년 시범 경기에서 좋은 투구를 보여주며 개막을 1군에서 맞이했지만, 4월 3일 세이부전 (세이부 돔)에서 1이닝 동안 홈런 2개를 맞고 1군 등록이 말소되었다. 이후 왼쪽 팔꿈치 부상으로 7월 4일 가나가와현 내 병원에서 왼쪽 팔꿈치 관절경하 골극·활막 절제술을 받았다.[7] 10월 9일 구단으로부터 방출 통보를 받고,[8] 11월 10일 제1회 합동 트라이아웃에 참가했으나 영입 제안은 없었다. 결국 은퇴를 결정했다.
3. 1.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시절 (2001~2004)
2001년에는 7경기에 등판했지만 기대 이하의 성적으로 시즌 대부분을 2군에서 보냈다.[1] 이듬해 2002년에는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승리 투수가 된 것을 포함해 4승을 올리면서 56경기에 등판, 평균자책점 2.52를 기록하며 좌완 중간 계투로서 맹활약했다.[1] 2003년에는 선발 투수로 전향했지만 25경기에 등판하여 평균자책점 5.49를 기록, 단 한 번도 승리하지 못했다.[1]2004년에는 전년보다 적은 14경기에 등판했지만 3승 1패, 평균자책점 2.78의 성적을 남겼다.[1] 9월 15일 지바 롯데 마린스전(지바 마린 스타디움)에서는 긴테쓰 구단의 간토 지역 최종 경기였는데, 이 경기에서 선발로 등판해 8이닝 도중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3승을 기록, 긴테쓰의 간토 지역 최종전 승리 투수가 되었다.[1] 같은 해 오프 시즌에는 구단 합병에 따르는 선수 분배 드래프트로 오릭스 버펄로스에 이적했다.[1]
3. 2. 오릭스 버펄로스 시절 (2005~2010)
2005년 봄에 선발 등판했지만, 주로 중간 계투로 기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2006년 봄에는 성적 부진으로 2군으로 내려갔지만, 시즌 종반에 프로 데뷔 후 처음으로 세이브를 올린 것을 포함한 2세이브를 기록하는 등 35경기에 등판하여 평균자책점 3.99를 기록했다.2007년에는 7월에 1군으로 승격하면서 주로 구원 투수로 19경기에 등판해 평균자책점 1.62의 좋은 성적을 남겼다. 9월 17일 지바 롯데전에서는 연장 12회말 1사 만루 상황에서 3루 주자 기타가와 히로토시의 대주자로 출전했는데, 2아웃이 되면서 이후 기모토 구니유키의 결승 적시타로 첫 득점이 되는 홈을 밟았다.
2008년에는 팀의 중간 계투로 시즌 개막을 맞이했지만, 4월 1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전에서 미쓰하라 아쓰히로가 아웃 카운트를 한 개도 처리하지 못한 채 강판당하면서 두 번째 투수로 등판, 5이닝 무실점으로 처리하였고 그 사이 팀 타선의 도움으로 첫 승리 투수가 되었다. 그 후에도 선발진들의 연이은 전력 이탈로 4월 8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전에서는 선발 투수로 전향, 4월 23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전에서는 데뷔 후 처음으로 완투승과 완봉승을 동시에 거둬[2] 선발 로테이션에 유일한 좌완 투수로서 맹활약했다. 8월 이후에는 성적이 좋지 않았지만, 최종적으로 10승 6패와 평균자책점 3.38의 성적을 올려 처음으로 규정 투구 이닝을 채우는 등 두 자릿수 승리 기록을 달성했다. 규정 투구 횟수를 채운 투수 중에서는 스기우치 도시야, 나루세 요시히사와 함께 리그 최저 기록인 38개의 사사구로 제구력을 보였다. 홈구장인 교세라 돔 오사카와 스카이마크 스타디움에서는 4승씩을 올려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을 놓고 경쟁한 닛폰햄으로부터 4승, 지바 롯데로부터 3승을 기록하는 등 팀으로서는 9년 만에 A클래스(1위 ~ 3위) 진입에 기여했다. 같은 해 긴테쓰에 입단할 당시의 감독이었던 나시다 마사타카의 감독 추천으로 올스타전에도 첫 출전을 하여 2이닝을 무안타와 무실점으로 처리해 베스트 피처상을 수상했다.
2009년 개막 이후부터 작년과 마찬가지로 팀 내에서 유일한 선발 좌완 투수로서 1년 동안 선발 로테이션을 지켰지만, 승리 투수의 권리를 보장받아 강판당한 이후 중간 계투진이 실점하는 경우가 있어 구원승을 거두는 경기도 있었다. 9월 1일에 시즌 9승째를 올린 이후에는 5경기에서 7.80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는 등 컨디션 난조로 2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 기록을 올리지 못했다.
2010년 시범 경기에서부터 부진이 계속되어 개막 이후 3경기째의 선발 투수를 맡았지만 3이닝 3실점과 7개의 피안타를 기록하는 등 개막 이후에도 피안타 개수가 늘어날 정도의 불안정한 투구가 계속되었다. 5월 4일 소프트뱅크전에서는 첫 회에 5실점을 허용하면서 2회 도중 강판당해[3] 다음날에는 2군으로 내려갔다. 5월 18일에 다시 1군으로 복귀했지만 오카다 아키노부 감독은 교류전에서의 예고 선발 제도가 없는 점을 역이용하여, 그 주에 대전 상대인 히로시마 도요 카프, 한신 타이거스의 타순을 교란시키는 역할을 했다. 실제로 5월 23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에서 선발 등판해 7이닝 도중 1실점의 호투로 승리 투수가 되었고,[4] 교류전에서는 4전 4승, 평균자책점 1.82의 성적을 올려 팀의 교류전 첫 우승에 기여했다. 그러나 정규 경기에서는 불안정한 투구가 계속되면서 결국은 8승 10패와 평균자책점 5.47의 성적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퍼시픽 리그 팀과 상대하면서 4승 10패, 평균자책점 6.55라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해 특히 소프트뱅크전과 라쿠텐전에서는 평균자책점 8점대, 세이부전에서는 10.54의 평균자책점을 남겼다.
3. 3. 요코하마·DeNA 베이스타스 시절 (2011~2012)
2010년 12월 5일, 데라하라 하야토, 다카미야 가즈야와의 맞트레이드로 기다 고와 함께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에 이적했고 등번호는 15번으로 배정되었다.[5] 2011년 4월 12일 주니치 드래건스전에서 이적 후 첫 개막전 선발 투수를 맡았다. 그러나 여러 경기에서 초반에 조기 강판되는 등 부진하여, 7월 13일 11패를 기록한 이후 중간 계투로 등판하였지만 뚜렷한 결과를 내지 못했다. 결국 2승 11패, 평균자책점 5.92로 시즌을 마감했다.2012년 시범 경기에서부터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여, 4월 11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전에서 구단명이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로 바뀐 후 구단 최초의 완봉승을 거뒀다.[5] 이 경기는 우천 콜드게임(6회초 도중)이었고, 9이닝 완봉승은 다음날 4월 12일에 미우라 다이스케가 달성했다. 야마모토 쇼고에게는 3년 만의 완봉승이었으며, 3년 전 완봉승 상대팀은 당시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였고, 이 역시 우천 콜드게임이었다. 이후 1군과 2군을 오가며 침체에 빠졌고, 7월 14일 경기에서 7이닝 6실점으로 부진하여 1군 등록이 말소된 채 시즌을 마쳤다.
3. 4.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시절 (2013)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이적한 후 시즌 개막전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하지만 1군 2경기만 출전했고 예전만큼의 실력을 내지 못했다. 결국 2013년 시즌이 끝난 후 방출되었다. 11월 10일 선수 생활 연장을 위해 12개 구단 합동 트라이아웃에 참가했지만, 원하는 팀은 나타나지 않았고, 결국 은퇴하였다.4. 은퇴 이후
2013년 12월 12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스카우터로 채용되었다.[1]
5. 플레이 스타일
낮은 스리쿼터에서 평균 구속 약 136km/h[10]의 직구, 싱커 성으로 떨어지는 포크볼[11], 2종류의 슬라이더, 슈트를 낮게 던져 쳐내게 하는 기교파 좌완 투수이다. 프로 첫 완봉승을 기록한 경기에서는 27개의 아웃 중 20개를 내야 땅볼로 처리하는 등 자신의 투구 스타일을 '''땅볼 매니아'''로 지칭하고 있다.
6. 상세 정보
야마모토 쇼고는 세이료 고등학교와 게이오기주쿠 대학을 졸업하고, 2001년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오릭스 버펄로스(2005년 ~ 2010년),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2011년 ~ 2012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2013년)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첫 등판은 2001년 5월 28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전이며, 첫 승리는 2002년 5월 4일 대 오릭스 블루웨이브 전에서 기록했다. 첫 완투 및 완봉승은 2008년 4월 23일 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전에서 달성했다.[4]
6. 1. 출신 학교
- 세이료 고등학교
- 게이오기주쿠 대학
6. 2. 선수 경력
소속 팀 |
---|
주요 기록 |
---|
6. 3. 수상 경력
올스타전 베스트 피처상 1회(2008년 제1전)6. 4. 개인 기록
투수 기록 |
---|
타격 기록 |
기타 기록 |
6. 4. 1. 투수 기록
연도 | 소속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무사구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고사구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2001년 | 긴테쓰 | 7 | 0 | 0 | 0 | 0 | 0 | 0 | 0 | 0 | -- | 32 | 5.2 | 12 | 4 | 3 | 0 | 1 | 8 | 0 | 0 | 11 | 11 | 17.47 | 2.65 |
2002년 | 56 | 0 | 0 | 0 | 0 | 4 | 1 | 0 | 0 | .800 | 160 | 39.1 | 36 | 2 | 11 | 3 | 1 | 34 | 1 | 1 | 11 | 11 | 2.52 | 1.19 | |
2003년 | 25 | 4 | 0 | 0 | 0 | 0 | 1 | 0 | 0 | .000 | 178 | 41.0 | 55 | 7 | 10 | 0 | 0 | 28 | 0 | 0 | 25 | 25 | 5.49 | 1.59 | |
2004년 | 14 | 4 | 0 | 0 | 0 | 3 | 1 | 0 | 0 | .750 | 157 | 35.2 | 39 | 5 | 13 | 0 | 1 | 27 | 0 | 1 | 11 | 11 | 2.78 | 1.46 | |
2005년 | 오릭스 | 22 | 2 | 0 | 0 | 0 | 2 | 0 | 0 | 1 | 1.000 | 131 | 28.1 | 39 | 5 | 9 | 0 | 0 | 21 | 1 | 0 | 19 | 19 | 6.04 | 1.69 |
2006년 | 35 | 0 | 0 | 0 | 0 | 0 | 0 | 2 | 2 | ---- | 128 | 29.1 | 36 | 4 | 9 | 2 | 1 | 18 | 1 | 0 | 13 | 13 | 3.99 | 1.53 | |
2007년 | 19 | 0 | 0 | 0 | 0 | 1 | 1 | 0 | 5 | .500 | 111 | 27.2 | 27 | 0 | 6 | 1 | 1 | 20 | 2 | 1 | 6 | 5 | 1.63 | 1.19 | |
2008년 | 30 | 22 | 2 | 2 | 2 | 10 | 6 | 0 | 2 | .625 | 645 | 154.2 | 166 | 11 | 30 | 0 | 8 | 90 | 1 | 1 | 60 | 58 | 3.38 | 1.27 | |
2009년 | 27 | 26 | 3 | 1 | 0 | 9 | 7 | 0 | 0 | .563 | 685 | 159.2 | 176 | 18 | 47 | 0 | 4 | 110 | 1 | 0 | 84 | 75 | 4.23 | 1.40 | |
2010년 | 23 | 22 | 0 | 0 | 0 | 8 | 10 | 0 | 1 | .444 | 478 | 107.0 | 143 | 19 | 20 | 0 | 8 | 79 | 3 | 0 | 71 | 65 | 5.47 | 1.52 | |
2011년 | 요코하마 | 21 | 14 | 0 | 0 | 0 | 2 | 11 | 0 | 0 | .154 | 362 | 79.0 | 99 | 10 | 25 | 0 | 4 | 50 | 0 | 2 | 57 | 52 | 5.92 | 1.57 |
통산: 11년 | 279 | 94 | 5 | 3 | 2 | 39 | 38 | 2 | 11 | .506 | 3067 | 707.1 | 828 | 85 | 183 | 6 | 29 | 485 | 10 | 6 | 368 | 345 | 4.39 | 1.43 |
6. 4. 2. 타격 기록
기록 종류 | 내용 |
---|---|
첫 등판 | 2001년 5월 28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9차전(도쿄 돔), 6회말 2사에 3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3이닝 무실점 |
첫 탈삼진 | 2001년 5월 29일, 대 닛폰햄 파이터스 10차전(도쿄 돔), 8회말에 가타오카 아쓰시로부터 |
첫 승리 | 2002년 5월 4일, 대 오릭스 블루웨이브 6차전(그린 스타디움 고베), 7회말 2사에 5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과 1/3이닝 무실점 |
첫 선발 | 2003년 6월 9일, 대 오릭스 블루웨이브 12차전(오사카 돔), 5이닝 1실점 |
첫 선발 승리 | 2004년 7월 24일, 대 세이부 라이온스 18차전(세이부 돔), 5이닝 3실점 |
첫 홀드 | 2005년 4월 25일, 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5차전(야마가타 현 야구장), 6회말에 3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1과 1/3이닝 무실점 |
첫 세이브 | 2006년 9월 23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19차전(후쿠오카 Yahoo! JAPAN 돔), 9회말 2사에 4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마무리, 1/3이닝 무실점 |
첫 완투 승리·첫 완봉 승리 | 2008년 4월 23일, 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5차전(삿포로 돔) |
첫 득점 | 2007년 9월 17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22차전(교세라 돔 오사카), 12회말에 기모토 구니유키의 중전 끝내기 적시타로 기록 |
첫 안타 | 2009년 5월 27일,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1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3회초에 요시노리로부터 좌전 안타 |
6. 5. 등번호
山本 省吾|야마모토 쇼고일본어는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시절 2001년부터 2004년까지 등번호 '''18'''번을 사용했다.[4] 오릭스 버펄로스로 이적한 후 2005년부터 2010년까지는 등번호 '''20'''번을 사용했다.[4] 2011년부터 2012년까지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에서 등번호 '''15'''번을,[4] 2013년에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등번호 '''38'''번을 사용했다.[4]참조
[1]
cite
慶應大学(東京都)出身のプロ野球選手一覧
https://toshisuzuki.[...]
[2]
뉴스
ヒーロー復活!8年目山本プロ初完封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08-04-24
[3]
뉴스
山本1回1/3で降板…岡田監督「ローテから外す」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0-05-04
[4]
뉴스
先発・山本 持ち味発揮で指揮官納得の好投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0-05-24
[5]
문서
2009년의 완봉은 4회말 2사 1, 3루의 사에키 타카히로의 타석에서 야마모토가 와일드피치한 공이 우연히 포수 히다카 고의 눈앞에 튀어 올라와서 3루 주자가 터치 아웃되는 행운도 있었다.
[6]
웹사이트
横浜DeNAベイスターズとの複数トレードについて|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
https://www.softbank[...]
2022-04-27
[7]
웹사이트
【ソフトB】山本が左肘を手術
https://www.nikkansp[...]
nikkansports.com
2013-07-01
[8]
웹사이트
来季契約について
http://www.softbankh[...]
2013-10-09
[9]
웹사이트
スカウトの入団について
http://www.softbankh[...]
2013-12-12
[10]
간행물
気になるあの投手たちの持ち球CHECK!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1-06-20
[11]
간행물
2008-09-15
[12]
문서
2009년 당시 완봉승은 4회말 2사 주자 1, 3루 상황에 사에키 타카히로의 타석에서 야마모토가 폭투한 공이 우연히 포수 히다카 타케시의 눈앞에 튀어 올라와서 3루 주자가 터치 아웃되는 행운도 따랐다고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