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율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율씨는 거란족의 성씨로, 요나라 황실의 성씨로 널리 알려져 있다. 872년 야율아보기의 출생과 함께 야오롄씨가 거란족을 이끌었고, 916년 야율아보기가 만주에 요나라를 건국하면서 야율씨는 요나라의 모든 군주를 배출했다. 요나라는 1125년 금나라에 의해 멸망했으나, 야율씨의 후손들은 서요(카라 키타이)를 건국하여 존속했다. 이후 몽골 제국 시기에는 야율초재와 같은 인물이 몽골 제국에 협력하여 활약하기도 했다. 현재 야율씨는 중국, 대만, 몽골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나라 - 연운십육주
연운십육주는 당나라 시대에 설치된 16개의 주로, 중국 중부 농업 평원과 북쪽 유목민 초원 지대를 나누는 산맥을 따라 위치하며 만리장성이 있던 곳으로, 요나라의 지배를 거쳐 명나라 때 한족 영토로 회복되었다. - 요나라 - 조복 (민족)
조부는 924년 거란에 정복되어 요나라에 조공을 바치던 몽골 부족으로,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요나라의 압력에 시달리며 지배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 야율씨 - 요 태종
요 태종 야율덕광은 군사적 재능으로 요나라 영토를 확장하고 후진을 멸망시켜 중원 지역을 장악했으나, 한족에 대한 가혹한 통치로 사회적 불안과 민족 갈등을 심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 요나라의 제2대 황제이다. - 야율씨 - 요 세종
요 세종은 요 태조의 손자이자 요나라의 제3대 황제로, 개혁을 통해 중앙 집권 체제를 다졌으나 사촌의 쿠데타로 암살당했다.
야율씨 | |
---|---|
기본 정보 | |
성씨 | 야율 (耶律) |
다른 성씨 | 이라 (移剌) |
영어 | Yarud |
국가 | 요나라 북요 서요 동요 후요 |
영지 | 린황 궁궐 발라사군 |
역사 | |
창건자 | 야율아보기 |
창건 연도 | 907년 (아보기가 카간 칭호를 받음) |
마지막 통치자 | 야율직로고 |
폐지 | 1211년 (쿠츨루크에 의한 서요 왕위 찬탈) |
가문 | |
칭호 | 대요 황제 |
관련 부족 | 거란족 |
2. 요나라의 건국과 발전
916년, 야율아보기가 만주에 요(거란)를 건국했다. 초기에는 송을 군사적으로 압도하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요나라 왕조의 문화는 점차 사치스러워졌고, 지배 아래에 있던 주변 민족과 부족에 대한 수탈이 심해졌다. 이에 원한을 품은 여진족 완안씨 족장 완안아골타의 군대에 의해 수도가 함락되었고, 제9대 황제 천조제 (야율연희)는 운중 (현재의 산서성 대동시) 음산에 숨었지만, 금나라 군대에 포위되어 항복하면서 요나라는 멸망했다.
2. 1. 야율아보기의 등장과 요나라 건국
아바오지는 872년에 이라 부족장의 아들로 태어났다. 당시 야오롄씨는 8세기 중반부터 거란족을 이끌었고, 성씨를 채택한 유일한 거란 가문이었다. 이는 한족 문화의 표식으로 여겨졌고, 초원의 사람들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다.901년, 아바오지는 이라 부족의 족장으로 선출되었고, 905년에는 사타 리커용과 관계를 맺었다. 907년, 그는 거란족의 지도자로 선택되었는데, 이는 1세기 반 이상 야오롄 혈통 밖에서 처음으로 선택된 것이었다. 이로부터 아바오지와 그의 후계자들은 만주 전체, 십육주로 알려진 중원 북부 변두리, 북부 한반도, 동부 몽골 고원, 극동 시베리아 일부를 정복한 요나라를 발전시켰다.
2. 2. 요나라의 통치 체제와 한화 정책
요나라의 모든 군주는 야율 씨 출신이었으며, 이들은 아바오지(태조)의 사망 이후 930년대에 성씨를 채택했다.[1] 야율 씨는 제국의 남쪽 절반을 직접 통치했으며, 소씨 황후 씨족은 북쪽을 통치했다.[1] 남면관은 제국의 정주 인구를 다스리는 책임을 맡았으며, 이들은 주로 한과 발해 정복 왕국의 거주민이었다.[1] 따라서 야율 씨가 적어도 제한적인 한화를 했다는 증거가 있다.[1]1074년에도 요나라 황제에게 제국 전체에서 성씨를 채택하자는 제안이 올라왔으나, 이는 전통적인 거란족 사회 질서를 훼손할 것이라는 이유로 거부되었다.[2]
3. 요나라의 멸망과 후계 정권
요나라는 왕조 문화가 점차 사치스러워지고, 지배 아래의 주변 민족과 부족으로부터 수탈이 심해졌다. 이에 원한을 품은 여진족 완안씨 족장 아골타가 세운 금나라 군대에 의해 9대 황제 천조제 (야율연희)가 운중(현재의 산서성 대동시)에서 항복하여 1125년에 멸망했다.
1122년 3월, 연경에서 요나라 천조제의 종부인 남경 유수 진진왕 야율순(천석제)이 야율대석과 이처온 등에 의해 북요의 황제로 옹립되었다.[2]
요나라 황족 야율대석은 요나라 멸망 후, 고토를 버리고 현재의 투르키스탄 일대에 서요(카라 키타이)를 건국했다.
3. 1. 요나라의 멸망
요나라는 왕조 문화가 점차 사치스러워지고, 지배 하의 주변 민족과 부족으로부터 수탈이 심해졌다. 이에 원한을 품은 여진족 완안씨 족장 아골타가 세운 금나라 군대에 의해 9대 황제 천조제 (야율연희)가 운중 (현재의 산서성 대동시)에서 항복하여 1125년에 멸망했다. 그러나 야율 황족의 일부는 서역으로 달아나 서요(카라 키타이)를 건국했다.3. 2. 북요
1122년 3월, 연경에서 요나라 천조제의 종부인 남경 유수 진진왕 야율순(천석제)이 야율대석과 이처온 등에 의해 북요의 황제로 옹립되었다.[2] 6월에 천석제가 붕어하고, 천조제의 다섯째 아들이자 황태자인 진왕 야율정이 옹립되었다(섭정은 천석제의 미망인 덕비 소보현녀).[2] 1123년 5월에는 아버지로부터 자립한 차남 양왕 야율야리가 옹립되었으나 10월에 붕어했다.[2] 이후 소덕렬 등에 의해 천석제의 종제 야율술렬이 옹립되었다.[2] 11월에 남경이 금나라에 포위되어 고립된 상태가 된 야율술렬은 내분으로 가신에게 시해당했고, 곧 북요는 멸망했다.[2]3. 3. 서요 (카라 키타이)
요나라 황족 야율대석은 요나라 멸망 후, 고토를 버리고 현재의 투르키스탄 일대에 서요(카라 키타이)를 건국했다. 서요에서는 야율씨가 5대에 걸쳐 왕통으로 존속했으나, 야율직로고 때 몽골에 멸망한 나이만의 왕자 쿠출루크를 사위로 삼아 보호하다가 쿠출루크에게 왕위를 찬탈당하고 멸망했다. 쿠출루크 또한 칭기즈 칸이 이끄는 몽골 제국의 군세에 멸망했고, 야율씨가 지배하는 국가는 완전히 멸망했다.4. 금나라와 몽골 제국 시대의 야율씨
야율씨 일족은 금나라와 몽골 제국 시대에 여러 방면으로 활동했다. 일부는 금나라에 투항하여 신하가 되었고, 일부는 몽골 제국에 협력하여 새로운 시대를 열기도 했다.
4. 1. 금나라에 투항한 야율씨
야율씨 일족의 일부는 시국에 따라 완안씨가 세운 금나라에 항복하여 신하가 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외척의 무고로 천조제에게 모반을 의심받아 가족이 주살된 야율여저는 금나라에 항복하여 요나라 잔당의 야율 일족을 상대로 금나라 측 장군으로 싸웠다. 금나라에 항복한 야율씨 일족 중에는 세습되는 조정 신하로 중용된 가계도 있었으며, 해릉왕을 살해한 야율원의처럼 국성인 완안성을 사성받은 자도 있었다.4. 2. 몽골 제국에 협력한 야율씨
야율아해와 야율특화 형제는 요나라 황족과 연관된 금나라 고관 가문 출신이었으나, 야율아해가 어느 날 테무진과 안면을 트게 된 것을 계기로 형제는 테무진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테무진의 몽골 통일전과 서하 원정에 참모로 종군했다.[1] 케레이트와의 전투에서 테무진 일행이 몽골 고원 북쪽으로 퇴각했을 때 함께 발주나 호수의 탁한 물을 마신 19인의 공신에 이 형제도 이름을 올렸다.[1] 테무진이 칭기즈 칸으로서 몽골 황제(카안)로 즉위한 후의 금나라 정복 사업에서 야율아해·야율특화 형제는 통역 및 장군으로서 활약하는 한편, 금나라 지배 하의 거란족에게 여진족으로부터의 이반과 몽골부에 의한 지배에 대한 내응을 유도하는 역할을 맡았다.[1] 칭기스 칸으로부터 야율아해 등에 대한 신뢰는 두터워 1214년 시점에서 야율아해는 태사에 봉해졌고, 이후 야율아해 등의 자손은 원나라 지배 하에서 대대로 번영했다.[1]금나라가 허베이에서 개봉으로 천도한 후, 야율아해가 동족 중에서 유능한 인물로 칭기스 칸에게 추천한 인물 중에 야율초재가 있다.[1] 과거 금나라의 조정 신하로서 몽골의 침공에 항거했던 야율초재는 이후 칭기스 칸의 신하가 되어, 칭기스 칸과 오고타이 두 대에 걸쳐 중서령에 임명되었으며, 몽골 제국 내 북중국 방면의 내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 만년에는 오고타이의 총애를 잃어 일시적으로 가세가 쇠퇴한 것처럼 보였지만, 야율초재 사후 쿠빌라이 때 야율초재의 아들인 야율주와 손자 야율희량이 쿠빌라이를 섬기며 중서좌승상이 되자 야율초재도 재평가가 진행되었다.[1] 야율초재에게는 태사 관직 추증과 광녕왕의 작위 추봉이 이루어졌고, 야율초재의 자손은 원나라의 중신으로 대우받게 되었다.[1]
4. 3. 동요 정권
야율류가는 1212년 융안(현재 지린성 눙안현) 및 한주(현재 지린성 리수현) 일대에서 금나라의 거란족 통제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그는 동족인 야율야적의 군대와 합류하여 수개월 만에 십수만 명의 세력으로 성장한 뒤, 칭기즈 칸의 비호를 받아 금나라로부터 자립했다.[1] 1213년 3월, 야율류가는 왕을 칭하고 국호를 요로 정했으며, 원통으로 개원한 뒤, 칭기즈 칸으로부터 요왕으로 책봉되었다.[1] 야율류가가 죽은 후에도 이 정권은 그의 아내인 도리씨에 의해 통치되었고, 1227년까지 존속했다.[1]현재는 다른 동명의 정권과 구별하기 위해, 이 정권은 '''동요'''라고 불린다.[1]
5. 현대의 야율씨
야율은 음역이며, 거란어로는 '야루(트)', '야류(트)', '이루(트)' 등으로 발음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글자를 사용하여 '''이랄(移剌)'''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었다.
요나라 멸망 후, 다른 거란인 씨족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서서히 여진족에 동화되었지만, 야율의 성은 '''이랄(移剌)''' 등으로 표기를 바꾸어 존속했다는 것이 『금사』 등에서 밝혀졌다. 후대에는 '''이랄(伊剌)''', '''이라리(伊拉里)''' 등으로 칭하게 되었고, 청나라 시대에 만주 팔기를 구성하는 만주족의 씨족으로서 요인을 배출한 후에도 현재까지 혈통을 유지하고 있다.
6. 역대 군주
국가 | 묘호 | 시호 | 휘 | 재위 기간 | 연호 및 해당 연도 | |
---|---|---|---|---|---|---|
요나라 | 요 숭조 (肅祖) | 숭조 (추존) | 소렬황제 | 노리사 (耨里思) | ||
요 의조 (懿祖) | 의조 (추존) | 장경황제 | 살라덕 (薩剌德) | |||
요 현조 (玄祖) | 현조 (추존) | 간헌황제 | 윤덕실 (勻德實) | |||
요 덕조 (德祖) | 덕조 (추존) | 선간황제 | 살라디 (撒剌的) | |||
태조 (太祖) | 승천황제, 대성대명천황제, 대성대명신열천황제 | 억 (億) | 916년 ~ 926년 | 신책 (神冊) 916년 ~ 922년 천찬 (天贊) 922년 ~ 926년 천현 (天顯) 926년 | ||
태종 (太宗) | 사성황제, 효무황제, 효무혜문황제 | 덕광 (德光) | 926년 ~ 947년 | 천현 (天顯) 927년 ~ 938년 회동 (會同) 938년 ~ 947년 대동 (大同) 947년 | ||
세종 (世宗) | 효화황제, 효화장헌황제 | 완 (阮) | 947년 ~ 951년 | 천록 (天祿) 947년 ~ 951년 | ||
목종 (穆宗) | 천순황제, 효안경정황제 | 경 (璟) | 951년 ~ 969년 | 응력 (應曆) 951년 ~ 969년 | ||
경종 (景宗) | 효성황제, 효성강정황제 | 현 (賢) | 969년 ~ 982년 | 보녕 (保寧) 969년 ~ 979년 건형 (乾亨) 979년 ~ 982년 | ||
성종 (聖宗) | 문무대효선황제 | 륭서 (隆緒) | 982년 ~ 1031년 | 건형 (乾亨) 982년 통화 (統和) 983년 ~ 1012년 개태 (開泰) 1012년 ~ 1021년 태평 (太平) 1021년 ~ 1031년 | ||
흥종 (興宗) | 신성효장황제 | 종진 (宗眞) | 1031년 ~ 1055년 | 경복 (景福) 1031년 ~ 1032년 중희 (重熙) 1032년 ~ 1055년 | ||
도종 (道宗) | 인성대효문황제 | 홍기 (洪基) | 1055년 ~ 1101년 | 청녕 (清寧) 1055년 ~ 1064년 함옹 (咸雍) 1065년 ~ 1074년 태강 (太康) or 대강 (大康) 1075년 ~ 1084년 대안 (大安) 1085년 ~ 1094년 수창 (壽昌) or 수륭 (壽隆) 1095년 ~ 1101년 | ||
천조제 (天祚帝) 1 | 연희 (延禧) | 1101년 ~ 1125년 | 건통 (乾統) 1101년 ~ 1110년 천경 (天慶) 1111년 ~ 1120년 보대 (保大) 1121년 ~ 1125년 | |||
1 연호. 시호 아님. |
요나라 황족인 야율대석은 요나라 멸망 후, 현재의 투르키스탄 일대에 서요를 건국했다.
묘호 | 시호 | 휘 | 통치 방식 | 재위 기간 | 연호 및 해당 연도 |
---|---|---|---|---|---|
덕종 (德宗) | 천우무열제 (天祐武烈帝) | 야율대석 (耶律大石) | 휘 사용 | 1124년 ~ 1144년 | 연경 (延慶) 1124년 또는 1125년 ~ 1134년 강국 (康國) 1134년 ~ 1144년 |
감천후 (感天后) | 탑불연 (塔不煙) | "서요" + 시호 | 1144년 ~ 1150년 | 함청 (咸清) 1144년 ~ 1150년 | |
인종 (仁宗) | 정덕황제 (正徳皇帝) | 야율이열 (耶律夷列) | "서요" + 묘호 | 1150년 ~ 1164년 | 소흥 (紹興) 1150년 ~ 1164년 |
승천후 (承天后) | 보속완 (普速完) | "서요" + 시호 | 1164년 ~ 1178년 | 숭복 (崇福) 1164년 ~ 1178년 | |
야율직로고 (耶律直魯古) | 휘 사용 | 1178년 ~ 1211년 | 천희 (天禧) 1178년 ~ 1211년 | ||
구출륙 (屈出律) | 휘 사용 | 1211년 ~ 1218년 | 천희 (天禧) 1211년 ~ 1218년 |
서요에서는 야율씨가 5대에 걸쳐 왕통으로 존속했으나, 야율직로고 때 몽골에 멸망한 나이만의 왕자 쿠출루크를 사위로 삼아 보호하다가 쿠출루크에게 왕위를 찬탈당하고 멸망했다. 쿠출루크 또한 칭기즈 칸이 이끄는 몽골 제국의 군세에 멸망했고, 야율씨가 지배하는 국가는 완전히 멸망했다.
6. 1. 요나라 황제
묘호 (廟號) | 시호 (諡號) | 휘(諱) | 재위 기간 | 연호 (年號) 및 해당 연도 | |
---|---|---|---|---|---|
관례: "요" + 묘호, 요 천조제는 "요" + 연호 사용 | |||||
요 숭조 (肅祖) | 숭조 (추존) | 소렬황제 | 노리사 (耨里思) | ||
요 의조 (懿祖) | 의조 (추존) | 장경황제 | 살라덕 (薩剌德) | ||
요 현조 (玄祖) | 현조 (추존) | 간헌황제 | 윤덕실 (勻德實) | ||
요 덕조 (德祖) | 덕조 (추존) | 선간황제 | 살라디 (撒剌的) | ||
태조 (太祖) | 승천황제, 대성대명천황제, 대성대명신열천황제 | 억 (億) | 916-926 | 신책 (神冊) 916-922 | |
의종 (義宗) | 문무원황왕, 양국황제, 문헌황제, 문헌흠의황제 | 배 (倍) | |||
태종 (太宗) | 사성황제, 효무황제, 효무혜문황제 | 덕광 (德光) | 926-947 | 천현 (天顯) 927-938 | |
세종 (世宗) | 효화황제, 효화장헌황제 | 완 (阮) | 947-951 | 천록 (天祿) 947-951 | |
목종 (穆宗) | 천순황제, 효안경정황제 | 경 (璟) | 951-969 | 응력 (應曆) 951-969 | |
경종 (景宗) | 효성황제, 효성강정황제 | 현 (賢) | 969-982 | 보녕 (保寧) 969-979 | |
성종 (聖宗) | 문무대효선황제 | 륭서 (隆緒) | 982-1031 | 건형 (乾亨) 982 | |
흥종 (興宗) | 신성효장황제 | 종진 (宗眞) | 1031-1055 | 경복 (景福) 1031-1032 | |
도종 (道宗) | 인성대효문황제 | 홍기 (洪基) | 1055-1101 | 청녕 (清寧) 1055-1064 | |
순종 (順宗) | 소회태자, 대효순성황제 | 준 (濬) | |||
공종 (恭宗) | 천조제 (天祚帝) 1 | 연희 (延禧) | 1101-1125 | 건통 (乾統) 1101-1110 | |
1 연호. 시호 아님. |
6. 2. 서요 (카라 키타이) 황제
묘호 (廟號) | 시호 (諡號) | 휘 (諱) | 통치 방식 | 재위 기간 | 연호 (年號) 및 해당 연도 |
---|---|---|---|---|---|
통치 방식: 각 군주 참조 | |||||
덕종 (德宗 Dézōng) | 천우무열제 (天祐武烈帝 Tiānyòuwǔlièdì) | 야율대석 (耶律大石 Yēlǜ Dàshí) | 휘 사용 | 1124-1144 | 연경 (延慶 Yánqìng) 1124 또는 1125-1134 강국 (康國 Kāngguó) 1134-1144 |
해당 없음 | 감천후 (感天后 Gǎntiānhòu) | 탑불연 (塔不煙 Tǎbùyān) | "서요" + 시호 | 1144-1150 | 함청 (咸清 Xiánqīng) 1144-1150 |
인종 (仁宗 Rénzōng) | 정덕황제 (正徳皇帝) | 야율이열 (耶律夷列 Yēlǜ Yíliè) | "서요" + 묘호 | 1150-1164 | 소흥 (紹興 Shàoxīng) 1150-1164 |
해당 없음 | 승천후 (承天后 Chéngtiānhòu) | 보속완 (普速完 Pǔsùwán) | "서요" + 시호 | 1164-1178 | 숭복 (崇福 Chóngfú) 1164-1178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야율직로고 (耶律直魯古 Yēlǜ Zhílǔgǔ) | 휘 사용 | 1178-1211 | 천희 (天禧 Tiānxī) 1178-1211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구출륙 (중국어: 屈出律 Qūchūlǜ) | 휘 사용 | 1211-1218 | 천희 (天禧 Tiānxī) 1211-1218 |
요나라 황족인 야율대석은 요나라 멸망 후, 현재의 투르키스탄 일대에 서요를 건국했다. 서요에서는 야율씨가 5대에 걸쳐 왕통으로 존속했으나, 야율직로고 때 몽골에 멸망한 나이만의 왕자 쿠출루크를 사위로 삼아 보호하다가 쿠출루크에게 왕위를 찬탈당하고 멸망했다. 쿠출루크 또한 칭기즈 칸이 이끄는 몽골 제국의 군세에 멸망했고, 야율씨가 지배하는 국가는 완전히 멸망했다.
6. 3. 주요 인물
- 야율아보기: 요나라의 태조(907년 ~ 926년 재위)이다.
- 술율평: 야율아보기의 황후이다.
- 야율덕광: 요나라의 태종(926년 ~ 947년 재위)이다.
- 야율완: 요나라의 세종(947년 ~ 951년 재위)이다.
- 야율경: 요나라의 목종(951년 ~ 969년 재위)이다.
- 야율현: 요나라의 경종(969년 ~ 982년 재위)이다.
- 야율융서: 요나라의 성종(982년 ~ 1031년 재위)이다.
- 야율종진: 요나라의 흥종(1031년 ~ 1055년 재위)이다.
- 야율홍기: 요나라의 도종(1055년 ~ 1101년 재위)이다.
- 야율연희: 요나라의 천조제(1101년 ~ 1125년 재위)이다.
- 야율순
- 야율정
- 야율야리
- 야율술렬
- 야율류가
- 야율대석: 서요의 태조(1124년 ~ 1143년)이다.
- 야율이렬: 서요의 제2대 황제(1143년 ~ 1163년)이다.
- 야율직로고: 서요의 마지막 황제(1177년 ~ 1211년)이다.
- 야율아해: 칭기스 칸의 신하. 태사에 봉해졌다.
- 야율특화: 야율아해의 동생으로, 칭기스 칸의 신하이다.
- 야율초재: 칭기스 칸과 오고타이칸을 섬긴 요나라 황족 출신의 정치가. 중서령을 역임했다.
- 야율주: 야율초재의 아들. 쿠빌라이 칸을 섬기며 중서좌승상을 역임했다.
- 야율희량: 야율초재의 손자. 쿠빌라이 칸을 섬겼다.
- 야율리|야율유상중국어
참조
[1]
서적
契丹語の歴史言語学的研究
http://worldcat.org/[...]
Kyoto University
2020-07-31
[2]
웹인용
거란족 미스터리 풀린다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
2004-08-05
[3]
웹인용
DNA Match Solves Ancient Mystery
http://www.china.org[...]
2001-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