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성은 한 국가의 지배 왕조가 사용하는 성씨를 의미한다. 한국, 중국, 몽골, 베트남, 일본 등 다양한 국가의 국성이 존재하며, 각 국가의 역사와 왕조의 변화에 따라 국성 또한 달라졌다. 한국의 경우 부여는 해씨, 고구려는 고씨, 백제는 부여씨, 신라는 박씨, 석씨, 김씨, 가야는 김해 김씨, 함창 김씨, 고성 김씨, 탐라는 제주 고씨, 제주 양씨, 제주 부씨, 남평 문씨, 발해는 밀양 대씨, 태씨, 후백제는 황간 견씨, 고려는 개성 왕씨, 조선은 전주 이씨가 국성이었다. 중국은 상나라는 자씨, 주나라는 희씨, 진나라는 영씨, 전한, 후한, 촉한은 유씨, 조위는 조씨, 동오는 손씨, 서진, 동진은 사마씨, 북위는 탁발씨에서 원씨로 변경되었으며, 수나라는 양씨, 당나라는 이씨, 송나라는 조씨, 요나라는 야율씨, 금나라는 완안씨, 명나라는 주씨, 청나라는 아이신 교로씨가 국성이었다. 몽골 제국은 보르지긴, 베트남은 리, 쩐, 호, 레, 막, 떠이선, 응우옌 왕조가, 류큐 왕국은 쇼씨, 흉노는 연제씨, 돌궐은 아사나씨, 유연은 욱구려씨, 북주 우문씨, 북연은 모용씨가 국성이었다. 일본은 황실이 성을 가지지 않는 독특한 형태를 보이며, 국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성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국가 | 중화민국 |
| 현 | 난터우 현 |
| 면적 | 175.4171km² |
| 인구 (2023년 12월) | 17,399명 |
| 행정 구역 | |
| 리 | 13개 리 |
| 정치 | |
| 향장 | 츄궈성 (邱궈성) |
| 교통 | |
| 철도 | 없음 |
| 주요 도로 | 국도 제21호 현도 제131호 |
| 버스 | 위안린 자동차 운수 |
| 관광 | |
| 관광지 | 치싱 폭포 국성 석굴 가오산 커피 젠다오산 |
| 기타 | |
| 우편 번호 | 544 |
2. 한국의 국성
유교 문화권 사회에서 당대 천하를 다스리는 천자와 같은 성을 가진다는 것은 특별한 의미를 지녔다. 그렇기에 국성은 종종 은전으로서 신하에게 하사되기도 했으며, 동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는 신하에게 매우 영예로운 일로 여겨졌다. 이러한 풍습을 사성이라고 한다. 성 이외에 이름을 하사하는 것은 휘를 피하는 관습이 있던 지역에서는 극히 드문 일이었다.
2. 1. 고대 국가
| 국가 | 국성 |
|---|---|
| 부여 | 해씨(解氏) |
| 고구려 | 고씨(高氏) |
| 백제 | 부여씨 |
| 신라 | 박씨(朴氏), 석씨(昔氏), 김씨(金氏) |
| 가야 | 김해 김씨(金海金氏), 함창 김씨(咸昌金氏), 고성 김씨(固城金氏) |
| 탐라 | 제주 고씨(濟州高氏), 제주 양씨(濟州梁氏), 제주 부씨(濟州夫氏), 남평 문씨(南平文氏) |
| 발해 | 밀양 대씨(密陽大氏), 백주 태씨(白州 太氏) |
| 후백제 | 황간 견씨(黃磵甄氏) |
| 고려 | 개성 왕씨(開城王氏) |
| 조선 | 전주 이씨(全州李氏) |
몽골 제국과 그 산하 국가(원, 킵차크 칸국, 우구데이 칸국, 차가타이 칸국, 일 칸국) 및 원의 국성은 보르지긴이다.
3. 중국의 국성
왕조 국성 상나라 자씨(子氏) 주나라 희씨(姬氏) 진나라 영씨(嬴氏) 전한, 후한, 촉한 유씨(劉氏) 조위 조씨(曹氏) 동오 손씨(孫氏) 서진, 동진 사마씨(司馬氏) 북위 탁발씨(拓跋氏, 한화정책 이전) -> 원씨(元氏, 한화정책 이후) 수나라 양씨(楊氏) 당나라 농서 이씨(隴西李氏) 송나라 조씨(趙氏) 요나라 아율씨(耶律氏) 금나라 완안씨(完顔氏) 명나라 강서 주씨(姜徐朱氏) 청나라 아이신기오로
중국 진나라의 영씨나 청나라의 아이신기오로 등이 국성의 예이다. 성을 공유하는 혈족 집단은 유교 문화권 사회에서 중요한 사회 구성 단위로 이어져 왔으며, 당대 천하를 다스리는 천자의 성과 같은 성을 가진다는 것은 특별한 의미를 지녔다. 그렇기에 국성은 종종 은전으로서 신하에게 하사되기도 했으며, 동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는 신하에게 매우 영예로운 일로 여겨졌다. 이러한 풍습을 사성이라고 한다.
중국 명나라 말기의 무장 정성공은 명으로부터 국성인 주씨 성을 하사받았지만, 이를 꺼려하여 '''국성야'''라고 불렸다.
4. 몽골의 국성
5. 베트남의 국성
6. 일본의 국성
일본에서는 성(氏)이 신적에 속한 자의 신분을 나타내는 것이라는 생각이 있었기 때문에, 종실인 황실은 성을 가지지 않았다. 그래서 일본 전체를 지배하는 종실의 성, 즉 국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에서는 황통이 한 번도 바뀌지 않았다고 일반적으로 믿어진다(만세일계).
6. 1. 일본의 특수성
일본에서는 성이 신적에 속한 자의 신분을 나타내는 것이라는 생각이 역사를 통해 스며든 결과, 종실에 해당하는 황실은 성을 가지지 않았으며, 일본 전체를 지배하는 종실의 성으로서 국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일본에서는 황통이 한 번도 바뀌지 않았다고 일반적으로 믿어진다(만세일계).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중국과 달리, 영전으로서 새롭게 성을 창설하여 부여한 예는 있어도(도요토미 씨 등), "국성"이 하사되는 풍습은 존재하지 않았고, 이름의 일부를 부여하는 풍습만 존재했다(편휘). 일본 역사상에도 사성(賜姓)이라는 말이 등장하지만, 신하에 대한 은전이 아니라, 혈연이 먼 황족이 신적강하할 때 신하로서의 성을 하사하는 데서 유래한 말이다. 이처럼 본성은 조정과의 군신 관계에 기반한 것이었지만, 근세에 이르러 천하인이 무가 사회를 편성하는 과정에서 무가 영주의 신분 표상으로서의 묘자(씨)를 하사하고 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나 도쿠가와 막부가 시마즈 씨나 마에다 씨와 같은 유력 다이묘에게 "하시바", "마쓰다이라"(모두 도요토미 히데요시·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젊은 시절에 사용했던 '''씨''')를 주어 유사 가족으로 취급한 것이 이에 해당한다.7. 기타 국가의 국성
- 쇼씨 - 류큐 왕국
- 아이신 교로 씨 - 청
- 아사나 씨 - 돌궐
- 왕씨 - 고려 (개성 왕씨)
- 희씨 - 주
- 김씨 - 가야 (김해 김씨), 신라 (경주 김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주 김씨)
- 고씨 - 고구려
- 공손씨 - 연 (삼국 시대)
- : 주나라 시대에 제후(공)의 일족이 공손씨를 칭했지만, 이것은 국성이 아니다.
- 사마씨 - 진 (위진남북조)
- 조씨 - 위 (삼국)
- 주씨 - 명
- 석씨 - 후조
- 손씨 - 오 (삼국)
- 탁발씨, 이후 원씨 - 대, 북위, 동위, 서위
- 조씨 - 송
- 부여씨 - 백제
- 보르지긴 씨 - 원
- 야율씨 - 요, 및 그 후계로 칭하는 왕조
- 이씨 - 당, 및 그 후계로 칭하는 왕조, 조선 왕조 (전주 이씨)
- 유씨 - 한, 및 그 후계로 칭하는 왕조, 요 (한풍 성), 및 그 후계로 칭하는 왕조
- 연제씨 - 흉노
- 완안씨 - 금
- 양씨 - 수
- 모용씨 - 북연
- 우문씨 - 북주
- 소씨 - 양, 제
- 영 - 진
- 욱구려씨 - 유연
8. 명나라와 국성야
정성공은 명나라 말기의 무장으로, 명으로부터 국성인 주씨 성의 사용을 허락받았지만 이를 꺼려하여 '''국성야'''라고 불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