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븀(Erbium)은 원자 번호 68번의 화학 원소로, 기호는 Er이다. 이트리아 광석의 산지인 이테르비(Ytterby)에서 유래된 이름을 가지며, 희토류 원소에 속한다. 순수한 어븀 금속은 전성을 가지며, 공기 중에서 안정적이고, 19K 이하에서는 강자성, 19K에서 80K 사이에서는 반강자성, 80K 이상에서는 상자성을 나타낸다. 어븀은 유리 착색제, 레이저, 광섬유 증폭기, 극저온 냉각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븀 - 어븀 동위 원소
    어븀 동위 원소는 어븀 원자 내 중성자 수에 따라 달라지며, 6개의 안정 동위 원소와 143Er부터 177Er까지의 방사성 동위 원소를 가진다.
  • 강자성 물질 - 가돌리늄
    가돌리늄은 은백색의 연성과 전성을 가진 희토류 원소로, 특정 온도에서 강자성 또는 강한 상자성을 띠어 MRI 조영제, 중성자 차폐물, 합금, 형광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핀란드 화학자의 이름을 딴 원소이다.
  • 강자성 물질 - 캘리포늄
    캘리포늄은 원자 번호 98번의 악티늄족 방사성 원소로, 은백색 금속이며, 20가지 방사성 동위원소 중 캘리포늄-252는 강력한 중성자 방출원으로 활용되고, 1950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합성되어 이름 붙여졌다.
  • 란타넘족 - 가돌리늄
    가돌리늄은 은백색의 연성과 전성을 가진 희토류 원소로, 특정 온도에서 강자성 또는 강한 상자성을 띠어 MRI 조영제, 중성자 차폐물, 합금, 형광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핀란드 화학자의 이름을 딴 원소이다.
  • 란타넘족 - 루테튬
    루테튬은 원소 기호 Lu, 원자 번호 71을 갖는 희토류 원소로, 란타넘족 중 밀도, 녹는점, 경도가 가장 높고, 주로 +3의 산화 상태를 가지며, 안정 동위원소와 방사성 동위원소 형태로 존재하고, 제한적인 상업적 용도에도 불구하고 촉매, LED, PET, 연대 측정, 암 치료 등에 사용된다.
어븀
기본 정보
은백색의 어븀
은백색의 어븀
원자 번호68
원소 기호Er
이름어븀
영어 이름Erbium
일본어 이름エルビウム (Erubiumu)
발음 (영어)/ˈɜrbiəm/
왼쪽 원소홀뮴
오른쪽 원소툴륨
위쪽 원소해당 없음
아래쪽 원소페르뮴
주기6
3
블록f
원소 종류란타넘족
겉모습은백색
CAS 등록번호7440-52-0
물리적 성질
원자 질량167.259
전자 배치[Xe] 4f12 6s2
껍질 당 전자 수2, 8, 18, 30, 8, 2
상태고체
밀도 (상온)9.066 g/cm3
밀도 (융점)8.86 g/cm3
융점1802 K (1529 °C)
비점3141 K (2868 °C)
융해열19.90 kJ/mol
기화열280 kJ/mol
몰 비열28.12 J/(mol·K)
증기압 (Pa)1: 1504
10: 1663
100: (1885)
1 k: (2163)
10 k: (2552)
100 k: (3132)
결정 구조육방정계
자기 정렬상자성 (300 K)
전기 저항(r.t.) (poly) 0.860 µΩ·m
열 전도율14.5 W/(m·K)
열팽창 계수(r.t.) (poly) 12.2 µm/(m·K)
음속 (얇은 막대)2830 m/s
영률69.9 GPa
전단 탄성 계수28.3 GPa
부피 탄성 계수44.4 GPa
푸아송 비0.237
비커스 경도589 MPa
브리넬 경도814 MPa
원자 정보
산화 상태3 (약한 염기성 산화물)
전기 음성도1.24 (폴링 척도)
이온화 에너지1차: 589.3 kJ/mol
2차: 1150 kJ/mol
3차: 2194 kJ/mol
원자 반지름176 pm
공유 반지름189 ± 6 pm
동위 원소
동위 원소 정보질량수: 160
기호: Er
존재비: 인공
반감기: 28.58 시간
붕괴 방식: 전자 포획
붕괴 에너지: 0.330 MeV
붕괴 생성 원소: 홀뮴 (Ho)
질량수: 162
기호: Er
존재비: 0.139%
반감기: >1.4×1014
붕괴 방식: 알파 붕괴/이중 베타 붕괴
붕괴 에너지: 1.6460 MeV (알파), 1.8445 MeV (이중 베타)
붕괴 생성 원소: 디스프로슘 (Dy)
질량수: 164
기호: Er
존재비: 1.601 %
중성자 수: 96
질량수: 165
기호: Er
존재비: 인공
반감기: 10.36 시간
붕괴 방식: 전자 포획
붕괴 에너지: 0.376 MeV
붕괴 생성 원소: 홀뮴 (Ho)
질량수: 166
기호: Er
존재비: 33.503 %
중성자 수: 98
질량수: 167
기호: Er
존재비: 22.869 %
중성자 수: 99
질량수: 168
기호: Er
존재비: 26.978 %
중성자 수: 100
질량수: 169
기호: Er
존재비: 인공
반감기: 9.4 일
붕괴 방식: 베타 붕괴
붕괴 에너지: 0.351 MeV
붕괴 생성 원소: 툴륨 (Tm)
질량수: 170
기호: Er
존재비: 14.910%
반감기: >3.2×1017
붕괴 방식: 알파 붕괴/이중 베타 붕괴
붕괴 에너지: 0.0502 MeV (알파), 0.6536 MeV (이중 베타)
붕괴 생성 원소: 디스프로슘 (Dy)/이테르븀 (Yb)
질량수: 171
기호: Er
존재비: 인공
반감기: 7.516 시간
붕괴 방식: 베타 붕괴
붕괴 에너지: 1.490 MeV
붕괴 생성 원소: 툴륨 (Tm)
질량수: 172
기호: Er
존재비: 인공
반감기: 49.3 시간
붕괴 방식: 베타 붕괴
붕괴 에너지: 0.891 MeV
붕괴 생성 원소: 툴륨 (Tm)
광학적 특성
파장1480 nm
1530 nm
1550 nm
2940 nm

2. 명칭

이트리아 광석의 산지인 이트르비가 어원이다. 이트르비에서는 에르븀 외에도 이트륨, 이트븀, 터븀 등 총 네 가지의 신원소가 발견되었다. 이들 원소는 모두 이트르비에서 명칭의 일부를 따서 명명되었다.

3. 특성

어븀은 주기율표란타넘족에 속하는 희토류 원소로, 여러 독특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부드러운 금속 상태와 장미색 화합물이 특징이며, 온도에 따라 자기적 성질이 변한다. 화학적으로는 주로 +3가 양이온을 형성하며 공기, 물, 할로젠 등과 반응한다. 자연에는 여러 안정 동위 원소가 존재하며,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방사성 동위 원소들도 연구되고 있다.

3. 1. 물리적 특성

3가(價) 원소인 순수 에르븀 금속(Erbium)은 전성이 있으며(즉, 쉽게 모양을 만들 수 있다), 부드러우면서도 공기 중에서 안정적이고, 다른 희토류 금속처럼 빠르게 산화되지 않는다. 그 염(鹽)은 장미색을 띠며, 이 원소는 가시광선, 자외선 및 근적외선 영역에서 특징적인 날카로운 흡수 스펙트럼 띠를 가지고 있다.[1] 그 외에는 다른 희토류 원소와 매우 유사하게 보인다. 그 세스퀴옥사이드(sesquioxide)는 에르비아(erbia)라고 불린다. 에르븀의 특성은 어느 정도 함유된 불순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달라진다. 에르븀은 알려진 생물학적 역할을 하지는 않지만,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2]

에르븀은 19,000 이하에서는 강자성(Ferromagnetism), 19,000에서 80,000 사이에서는 반강자성(Antiferromagnetism), 80,000 이상에서는 상자성(Paramagnetism)을 나타낸다.[3]

에르븀은 에르븀 원자 간의 거리가 0.35nm인 프로펠러 모양의 원자 클러스터 Er₃N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클러스터는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확인된 바와 같이 풀러렌(fullerene) 분자에 캡슐화하여 분리할 수 있다.[4]

대부분의 희토류 원소와 마찬가지로 에르븀은 일반적으로 +3의 산화 상태로 발견된다. 그러나 에르븀은 0, +1, +2[5]의 산화 상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3. 2. 화학적 특성

에르븀 금속은 건조한 공기 중에서는 광택을 유지하지만, 습한 공기 중에서는 서서히 변색되며, 쉽게 연소되어 산화에르븀(III)을 형성한다.[2]

:4 Er + 3 O2 → 2 Er2O3

에르븀은 상당히 전기양성이며, 차가운 물과는 느리게, 뜨거운 물과는 상당히 빠르게 반응하여 수산화에르븀을 형성한다.[6]

:2 Er (s) + 6 H2O (l) → 2 Er(OH)3 (aq) + 3 H2 (g)

에르븀 금속은 모든 할로겐과 반응한다.[7]

:2 Er (s) + 3 F2 (g) → 2 ErF3 (s) [분홍색]

:2 Er (s) + 3 Cl2 (g) → 2 ErCl3 (s) [보라색]

:2 Er (s) + 3 Br2 (g) → 2 ErBr3 (s) [보라색]

:2 Er (s) + 3 I2 (g) → 2 ErI3 (s) [보라색]

에르븀은 묽은 황산에 쉽게 용해되어 수화된 Er(III)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형성하며, 이는 장미색의 [Er(OH2)9]3+ 수화 착물로 존재한다.[7]

:2 Er (s) + 3 H2SO4 (aq) → 2 Er3+ (aq) + 3 SO42- (aq) + 3 H2 (g)

3. 3. 동위 원소

자연 상태의 어븀(Er)은 6가지 안정 동위 원소162Er, 164Er, 166Er, 167Er, 168Er, 170Er으로 구성된다. 이 중 166Er이 33.503%의 존재비로 가장 풍부하다.

지금까지 32가지의 방사성 동위 원소가 확인되었다. 이들 중 가장 안정한 것은 반감기가 9.392일인 169Er이며, 그 외에 비교적 안정한 동위 원소로는 172Er(반감기 49.3시간), 160Er(반감기 28.58시간), 165Er(반감기 10.36시간), 171Er(반감기 7.516시간) 등이 있다. 나머지 방사성 동위 원소들은 모두 반감기가 3.5시간 미만이고, 대부분은 4분 미만이다. 어븀에는 26가지의 준안정핵도 존재하며, 가장 안정한 것은 반감기가 8.9초인 149mEr이다.

어븀의 동위 원소는 원자량 143에서 180까지 (143Er ~ 180Er) 존재한다. 가장 풍부한 안정 동위 원소인 166Er보다 가벼운 동위 원소들은 주로 전자 포획을 통해 붕괴하며, 더 무거운 동위 원소들은 주로 베타 붕괴를 한다. 전자 포획의 주된 붕괴 생성물은 홀뮴(Ho)의 동위 원소이고, 베타 붕괴의 주된 붕괴 생성물은 툴륨(Tm)의 동위 원소이다.165Er은 전자 포획으로 붕괴하며 감마선을 방출하지 않아 오거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또한 항체펩타이드에 표지하는 방사성 추적자로 사용될 수 있으나, 영상 기법으로는 검출할 수 없다. 이 동위 원소는 166Er에 165Tm 또는 165Ho를 충돌시켜 생산할 수 있는데, 165Ho가 안정적인 원시 동위 원소이므로 후자의 방법이 더 편리하지만, 초기 165Er 공급이 필요하다.[8]

4. 화합물

에르븀은 다양한 화합물을 형성한다. 주요 화합물로는 산화물, 플루오르화물, 염화물, 브롬화물, 아이오딘화물 등의 할로겐화물, 그리고 유기 에르븀 화합물 등이 있다.

에르븀 화합물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에르븀 화합물 문서를 참고하라.

4. 1. 산화물

에르븀(III) 산화물 분말


에르븀(III) 산화물(Erbium(III) oxide, Er₂O₃)은 에르븀의 유일하게 알려진 산화물이며, '에르비아'(erbia)라고도 불린다. 1843년 칼 구스타프 모산데르가 처음 분리했으며, 1905년에 조르주 우르뱅과 찰스 제임스가 순수한 형태로 얻었다.[9] 이 산화물은 입방 결정계 구조를 가지며 비스바이트 구조와 유사하다. Er3+ 중심은 팔면체 구조를 이룬다.[10] 에르븀 산화물은 에르븀 금속,[2] 에르븀 옥살산염 또는 다른 에르븀의 옥시산 염을 태워서 만든다.[11]

에르븀 산화물은 물에는 녹지 않지만, 가열된 무기산에는 약간 녹는다. 이 분홍색 화합물은 인광체 활성제로 사용되며 적외선을 흡수하는 유리를 만드는 데 쓰인다.[11] 또한 유리의 착색제로 사용되어 아름다운 분홍색을 내게 한다. 광섬유에 첨가(도핑)되어 광신호를 증폭하는 데 사용되거나, YAG 레이저에 첨가되어 Er:YAG 레이저로 의료 분야 등에서 활용된다.

4. 2. 할로겐화물

에르븀(III) 플루오르화물은 분홍빛 가루[12]로, 에르븀(III) 질산염과 플루오르화암모늄을 반응시켜 생성할 수 있다.[13] 적외선 투과 물질[14]과 상향 변환 발광 물질[15]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칼슘으로 환원하기 전 에르븀 금속 생산의 중간체이다.[11] 에르븀(III) 염화물은 보라색 화합물로, 에르븀(III) 산화물과 염화암모늄을 먼저 가열하여 오염화물의 암모늄 염([NH4]2ErCl5)을 생성한 다음, 350-400 °C의 진공에서 가열하여 생성할 수 있다.[16][17][18] AlCl3형의 결정을 형성하며, 단사정계 결정과 점군 ''C''2/m을 갖는다.[19] 에르븀(III) 염화물 육수화물 또한 ''P''2/''n''(''P''2/''c'') - ''C''42h 점군의 단사정계 결정을 형성한다. 이 화합물에서 에르븀은 [Er(H2O)6Cl2]+ 이온을 형성하도록 팔면체 배위되며, 분리된 Cl이 구조를 완성한다.[20]

에르븀(III) 브롬화물은 보라색 고체이다. 다른 금속 브롬화물 화합물과 마찬가지로 수처리, 화학 분석 및 특정 결정 성장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21] 에르븀(III) 아이오딘화물[22]은 물에 녹지 않는 약간 분홍색 화합물이다. 에르븀과 요오드를 직접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23]

4. 3. 유기 에르븀 화합물

유기 에르븀 화합물은 다른 란타넘족 원소의 유기금속 화합물과 매우 유사하며, 모두 π 역결합을 할 수 없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따라서 대부분 이온성 사이클로펜타디에닐 화합물(란타넘의 것과 등구조)과 σ-결합을 하는 단순 알킬 및 아릴 화합물로 제한되며, 이 중 일부는 중합체일 수 있다.[24]

5. 역사

칼 구스타프 모산데르, 에르븀, 란타넘, 테르븀을 발견한 과학자


에르븀(Erbium)은 스웨덴의 이테르비(Ytterby) 마을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1843년 칼 구스타프 모산데르(Carl Gustaf Mosander)가 발견했다.[25] 모산데르는 광물 가돌리나이트(gadolinite)에서 얻은 이트리아(yttria) 샘플을 연구하던 중, 이 샘플이 순수한 이트리아 외에 최소 두 가지 다른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는 이 산화물들을 가돌리나이트가 발견된 이테르비 마을의 이름을 따서 "에르비아(erbia)"와 "테르비아(terbia)"라고 명명했다. 하지만 모산데르는 자신이 분리한 산화물의 순도를 확신하지 못했고, 이후 연구를 통해 그의 생각이 옳았음이 증명되었다. 당시 "이트리아"로 알려진 물질에는 이트륨, 에르븀, 테르븀뿐만 아니라, 이후 몇 년간 화학자, 지질학자, 분광학자들이 추가로 발견한 이터븀(ytterbium), 스칸듐(scandium), 툴륨(thulium), 홀뮴(holmium), 가돌리늄(gadolinium) 등 다섯 가지 원소가 더 포함되어 있었다.[26][27][28][29][30][31]

발견 초기 에르비아와 테르비아라는 이름은 혼동되어 사용되었다. 스위스의 분광학자 마르크 델라퐁텐(Marc Delafontaine)은 두 산화물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이름을 서로 바꿔 불렀다. 이로 인해 1860년 이후에는 원래 테르비아로 불리던 것이 에르비아로, 1877년 이후에는 원래 에르비아로 알려졌던 것이 테르비아로 이름이 바뀌게 되었다.[32]

상당히 순수한 형태의 에르븀 산화물(Er2O3)은 1905년에 이르러 조르주 위르뱅(Georges Urbain)과 찰스 제임스(Charles James)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순수한 금속 형태의 에르븀은 그보다 더 늦은 1934년에야 빌헬름 클렘(Wilhelm Klemm)과 하인리히 보머(Heinrich Bommer)가 무수 염화 에르븀을 포타슘 증기로 환원시키는 방법을 통해 처음으로 얻을 수 있었다.[33][2]

6. 분포

모나자이트 모래


지구 지각에서 어븀의 농도는 약 2.8 mg/kg이며, 해수에서는 0.9 ng/L 수준이다.[34] (다만, 덜 풍부한 원소의 농도는 위치에 따라 수십 배까지 달라질 수 있어[35] 상대적 풍부도 비교는 신뢰하기 어렵다.) 다른 희토류 원소와 마찬가지로 어븀은 자연 상태에서 순수한 원소 형태로는 발견되지 않으며, 주로 모나자이트와 바스트네사이트 같은 광석에서 찾을 수 있다.[2] 역사적으로 희토류 원소를 광석에서 분리하는 과정은 매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었으나, 20세기 후반에 개발된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방법[36] 덕분에 모든 희토류 금속과 그 화합물의 생산 비용이 크게 줄어들었다.

어븀의 주요 상업적 공급원은 크세노타임과 옥세나이트 광물이며, 최근에는 중국 남부의 이온 흡착 점토도 중요한 공급원으로 추가되었다. 이로 인해 중국은 현재 어븀의 주요 생산국이 되었다.[37] 이러한 광석 농축물 중 이트륨 함량이 높은 것들은 무게 기준으로 약 3분의 2가 이트륨이며, 어븀은 약 4~5%를 차지한다. 농축물을 산에 녹이면 어븀 이온이 충분히 용출되어 용액이 뚜렷하고 특징적인 분홍색을 띠게 된다. 이는 과거 모산데르를 비롯한 초기 란타넘 원소 연구자들이 이터비(Ytterby) 지역의 가돌리나이트 광물 추출물에서 관찰했던 색상 변화와 유사하다.

7. 생산

분쇄된 광물은 염산 또는 황산으로 처리하여 불용성 희토류 산화물을 가용성 염화물 또는 황산염으로 변환시킨다. 이 산성 여과액을 수산화나트륨(가성소다)으로 pH 3~4까지 부분적으로 중화시키면, 토륨이 수산화물 형태로 용액에서 침전되어 제거된다. 그 후, 용액을 옥살산암모늄으로 처리하여 희토류를 불용성 옥살산염으로 변환시킨다. 이 옥살산염을 어닐링(annealing, 열처리)하여 산화물로 만든다. 산화물을 질산에 용해시키면, 주요 성분 중 하나인 세륨의 산화물은 질산에 잘 녹지 않으므로 분리된다. 남은 용액에 질산마그네슘을 처리하여 희토류 금속의 복염 결정 혼합물을 생성한다. 이 염들은 이온 교환 방식으로 분리하는데, 희토류 이온을 적절한 이온 교환 수지에 흡착시킨 후, 특정 착화제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씻어내는 과정을 거친다.[34] 최종적으로 에르븀 금속은 이렇게 얻어진 산화물 또는 염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1450°C에서 칼슘으로 가열하여 얻는다.[34]

8. 응용

어븀 색 유리


어븀(III) 산화물(Er₂O₃)은 유리를 아름다운 분홍색으로 착색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광섬유에 첨가(도핑)되어 광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YAG 레이저에 첨가되어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Er:YAG 레이저를 만드는 데에도 활용된다.

8. 1. 레이저 및 광학

어븀 이온은 2940 nm 파장의 빛을 방출하며, 이는 다양한 의료 분야(예: 피부과, 치과)에서 Er:YAG 레이저로 활용된다. 이 파장의 빛은 물에 매우 잘 흡수되는 특징(흡수 계수 약 12000 cm-1)을 가지고 있다. 레이저 에너지가 조직의 얕은 깊이에만 전달되기 때문에 레이저 수술에 유용하며, 치과에서는 레이저를 이용한 에나멜 제거 시 효율적으로 수증기를 생성하는 데에도 중요하다.[38] 치과에서 어븀 레이저는 주로 세라믹 치과 미용 재료나 교정용 브라켓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기존의 회전식 치과 기구를 사용하는 것보다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39]

어븀이 도핑된 광 실리카 유리 섬유는 광통신에 널리 사용되는 에르븀 도핑 광섬유 증폭기(EDFA)의 핵심 요소이다.[40] 동일한 원리의 섬유를 사용하여 광섬유 레이저를 제작할 수도 있다. 효율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어븀 도핑 섬유에 알루미늄이나 인과 같은 유리 개질제나 균질화제를 함께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첨가물은 어븀 이온들이 서로 뭉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하는 여기 광(광 펌프)과 증폭될 신호 사이의 에너지 전달 효율을 높인다. 특히, 이터븀(Yb)과 함께 도핑된 Er/Yb 광섬유는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 제작에 사용된다. 또한 어븀은 에르븀 도핑 도파관 증폭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2]

엘비움(III) 산화물(Er₂O₃)은 유리를 아름다운 분홍색으로 착색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광섬유에 첨가(도핑)되어 광 신호를 증폭하거나, YAG 레이저에 첨가되어 의료용 Er:YAG 레이저를 만드는 데에도 활용된다.

8. 2. 기타 응용

바나듐에 합금으로 첨가되면, 어븀은 경도를 낮추고 가공성을 향상시킨다.[41] 어븀-니켈 합금 Er₃Ni는 액체 헬륨 온도에서 비정상적으로 높은 비열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극저온 냉각기에 사용된다. 65%의 Er₃코발트(Co)와 35%의 Er₀.₉이터븀(Yb)₀.₁Ni의 혼합물(체적 기준)은 비열 용량을 더욱 향상시킨다.[42][43]

산화 어븀(Er₂O₃)은 분홍색을 띠며, 유리(아름다운 분홍색을 냄), 지르코니아, 자기 등의 착색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유리는 선글라스와 보석류[2][41][44] 또는 적외선 흡수가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11]

어븀은 원자력 기술에서 중성자 흡수 제어봉[2][45] 또는 원자력 연료 설계에서 소모성 중성자 독극물로 사용된다.[46] 또한 광섬유에 첨가(도핑)되어 광신호를 증폭시키거나, YAG 레이저에 첨가되어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Er:YAG 레이저를 만드는 데 쓰인다.

9. 생물학적 역할 및 주의 사항

어븀은 명확한 생물학적 역할은 없지만, 어븀 염은 신진대사를 촉진할 수 있다. 사람은 평균적으로 1년에 1밀리그램의 어븀을 섭취한다. 인체 내에서 어븀 농도가 가장 높은 곳은 이며, 신장에도 일부 존재한다.[2]

어븀 자체는 섭취 시 약간의 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나, 어븀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독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이온화된 어븀은 이온화된 칼슘과 유사하게 작용하여 칼모듈린과 같은 단백질에 결합할 가능성이 있다. 다른 희토류 질산염처럼 어븀 질산염이 체내에 들어가면 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수치를 높이고 간 관련 효소가 혈액으로 나오게 한다. 하지만 특이하게도 (가돌리늄과 디스프로슘 질산염처럼) RNA 중합효소 II 활동을 증가시키기도 한다.[47] 어븀 및 기타 희토류에 노출되는 주된 경로는 섭취[48]와 흡입[49]이며, 손상되지 않은 피부를 통해서는 확산되지 않는다.[47]

금속 어븀 분말은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있다.[50][51][52]

참조

[1] 논문 XIV.—On erbium and yttrium https://pubs.rsc.org[...] 1879-01-01
[2]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An A-Z Guide to the Elemen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3] 논문 Magnetism of Rare Earth http://www.irm.umn.e[...] 2000
[4] 논문 Structures of ''D''5''d''-C80 and ''I''h''-Er''3N@C80 Fullerenes and Their Rotation Inside Carbon Nanotubes Demonstrated by Aberration-Corrected Electron Microscopy 2007
[5] 논문 Expanding Rare-Earth Oxidation State Chemistry to Molecular Complexes of Holmium(II) and Erbium(II) https://pubs.acs.org[...] 2012-05-23
[6] 논문 Synthesis of erbium hydroxide microflowers and nanostructures in subcritical water https://iopscience.i[...]
[7] 웹사이트 Chemical reactions of Erbium https://www.webeleme[...] Webelements
[8] 서적 Alternative Radionuclide Production with a Cyclotron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2021
[9] 서적 The development of modern chemistry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10] 논문 The Binary Rare Earth Oxides
[11] 서적 Hawley's Condensed Chemical Dictionary, Sixteenth Edition https://onlinelibrar[...] Wiley 2016-09-01
[12] 웹사이트 Erbium Fluoride https://www.american[...]
[13] 논문 Facile synthesis and enhancement upconversion luminescence of ErF3 nano/microstructures via Li+ doping http://xlink.rsc.org[...] 2014
[14] 논문 Crystallization and surface morphology evolution of erbium fluoride films on different substrates https://linkinghub.e[...] 2007-05-15
[15] 논문 Understanding differences in Er 3+ –Yb 3+ codoped glass and glass ceramic based on upconversion luminescence for optical thermometry 2018
[16] 서적 Handbook of Preparative Inorganic Chemistry Academic Press
[17] 서적 The Ammonium Chloride Route to Anhydrous Rare Earth Chlorides-The Example of YCl3
[18] 서적 Synthetic Methods of Organometallic and Inorganic Chemistry Georg Thieme Verlag
[19]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Yttrium Trichloride and Similar Compounds
[20] 논문 Crystallographic data for solvated rare earth chlorides
[21] 웹사이트 Erbium Bromide https://www.american[...]
[22] 서적 Handbook of Inorganic Compound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1
[23] 웹사이트 Erbium Iodide https://www.american[...]
[24] 서적 Greenwood and Earnshaw
[25] 논문 On the new metals, Lanthanium and Didymium, which are associated with Cerium; and on Erbium and Terbium, new metals associated with Yttria https://books.google[...] 1843
[26] 서적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https://archive.org/[...]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56
[27] 논문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XVI. The rare earth elements
[28] 논문 Rediscovery of the elements: The Rare Earths–The Beginnings http://www.chem.unt.[...] 2015
[29] 논문 Rediscovery of the elements: The Rare Earths–The Confusing Years http://www.chem.unt.[...] 2015
[30] 논문 Extricating erbium
[31] 웹사이트 Erbium https://www.rsc.org/[...] 2020
[32] 서적 The Rare Earth Elements: An Introduction Cham :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33] 웹사이트 Facts About Erbium https://www.livescie[...] 2013-07-23
[34] 서적 Handbook of Inorganic Chemical Compound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03
[35] 서적 Abundance of elements in the earth’s crust and in the sea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2016
[36] 논문 A practical separation of yttrium group rare earths from gadolinite by ion-exchange 1954
[37] 논문 Optical Properties of Dye Sensitized Zinc Oxide Thin Film Deposited by Sol-gel Method Universiti Teknologi Malaysia 2010
[38] 서적 5 - Solid-state lasers for medical applications https://www.scienced[...] Woodhead Publishing 2022-04-28
[39] 논문 Erbium laser-assisted ceramic debonding: a scoping review 2022-12
[40] 서적 Erbium-doped fiber amplifiers fundamentals and techn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999
[41] 서적 The Elements, in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000
[42] 서적 Advances in Cryogenic Engineering
[43] 서적 Cryogenic Regenerative Heat Exchang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7
[44] 서적 A Guide to the E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45] 서적 Safety issues associated with Plutonium involvement in the nuclear fuel cycle Kluwer 1999
[46] 웹사이트 Development of improved burnable poisons for commercial nuclear power reactors https://digital.libr[...] 2003-09
[47] 논문 Exposure, metabolism, and toxicity of rare earths and related compounds 1996-03
[48] 논문 Dietary Exposure Assessment of Rare Earth Elements in the Chinese Population 2022-11-24
[49] 논문 Human exposures to rare earth elements: Present knowledge and research prospects https://linkinghub.e[...] 2019-04-01
[50] 논문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dysprosium, holmium, and erbium chlorides 1966
[51] 논문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the rare earth elements 1965
[52] 논문 The acute mammalian toxicity of rare earth nitrates and oxides 196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