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이씨 옥산문중 전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주 이씨 옥산문중 전적은 이씨 옥산문중에 소장된 고문헌들을 칭한다. 이륜행실도(1539년), 여어편류(1542년), 대전후속록(1543년), 황화집(1546년), 구인록(1550년), 잠명(1547년경), 관서추정일기(1549-1553년), 국조유선록(1571년) 등의 고서와 퇴계선생수찰, 서애서독, 한강서독, 제현서독, 수간 등의 서간류가 있다. 이 자료들은 조선 시대의 유학 사상, 윤리관, 외교사, 국어사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주시의 보물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은 굴불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사방불 형식 석조 조각상으로, 각 면에는 아미타불, 약사여래, 석가모니불, 미륵보살이 조각되어 있으며, 창건 설화와 함께 통일신라 시대 조각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재이다. - 경주시의 보물 - 경주 불국사 대웅전
경주 불국사 대웅전은 신라 시대에 창건되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 후 조선 시대에 중창된 다포계 양식의 건축물로, 창건 당시의 기단과 석조물이 보존되어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높아 보물로 지정되었다. - 여주 이씨 - 이완구
이완구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과 충청남도지사를 지냈으며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나 성완종 리스트 사건 연루 의혹으로 사퇴 후 혈액암으로 사망했다. - 여주 이씨 - 이기백
이기백은 한국 고대사 연구에 기여하고 민족사학을 개척하며 한국사 대중화에 힘쓴 역사학자이며, 주요 저서로 《한국사신론》 등이 있고, 발해를 한국사에 편입시키는 등 한국사 연구의 지평을 넓혔다. - 조선의 문화 - 사직단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으로, 한국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중국의 명청시대까지 존재했으며, 현재는 한국의 사직단 터 일부와 중국 베이징의 사직단이 남아 각 지역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다. - 조선의 문화 - 보부상
보부상은 삼국시대부터 존재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시대의 상인 집단으로, 부상과 보상으로 나뉘어 전국적인 조직 체계를 갖추고 국가적인 역할도 수행했으나 시대적 상황에 따라 평가가 엇갈리며 관련 문화재가 남아있다.
여주 이씨 옥산문중 전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여주 이씨 옥산문중 전적 |
종류 | 전적 |
상세 정보 | |
지정 번호 | 보물 제524-2호 |
지정일 | 2006년 7월 18일 |
시대 | 조선 시대 |
소유자 | 이해철 |
수량 | 13종 15책 |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300-3, 독락당 (옥산리) |
2. 이륜행실도 (1539년)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 1539년)는 현재 알려진 국내 소장본 중 가장 빠른 본에 속하며 조선시대 유학 사상 및 윤리관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1] 또한 도판 및 언해, 권말의 판각기록은 조선시대 판화(版畵)의 변천, 국어사·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1]
조인규(趙仁奎)가 홍문관 전한으로 재직 시 사륙문(四六文)을 문체별로 분류하여 편찬한 여어편류(儷語編類)는 20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옥산문중 소장본은 조(詔: 권1)와 계(啓: 권11)가 수록된 2권 2책이다. 첫권 표지 2면에는 내사기가 있어 이 책의 인출 연대(1542년)를 알 수 있다.[1]
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 1543)은 『대전속록(大典續錄)』의 시행 후 1542년까지의 약 50년간의 수교(受敎)를 수집하여 편찬한 법전이다. 표지 뒷면에 내사기가 있다.[1]
황화집(皇華集, 1546)은 명종 1년(1546) 2월 사제부시사(賜祭賻諡使)로 조선에 입국한 명나라 사신 왕학(王鶴)을 맞이하여 사신의 시문과 관반(館伴) 정사룡 등의 화시(和詩)를 합편한 책이다.[1] 내사기가 있으며, 한중 외교사 및 한문학·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1]
구인록(求仁錄, 1550)은 이언적(晦齋 李彦迪, 1491-1553)이 강계로 유배되어 있는 동안 공자사상의 핵심인 仁에 대한 모든 說을 모으고 자신의 견해를 붙여 편집한 책으로 조선 성리학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책이다.[1]
이언적이 수양과 관련이 있는 송대 성리학자들의 잠계류 글 75편과 자신이 지은 시 16수 도합 91편을 모아 편집한 책으로, 회재의 학문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이다.[1]
관서추정일기(關西趨庭日記, 1549-1553)는 1549년 이언적의 서자 이전인(李全仁)이 유배 생활 중인 아버지를 강계로 찾아가 모시면서 배우거나 견문한 내용을 적은 것이다.[1] 유배지에서 아들을 대하는 대학자의 면모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1]
국조유선록(1571)은 이언적,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의 글을 모아 수록한 책이다. 태극문변답서 등이 수록되었다.[1]
퇴계선생수찰(退溪先生手札)은 이황(1501~1570)이 이언적가(李彦迪家)로 보낸 1566년, 1567년의 서간 2통이다.[1]
3. 여어편류 (1542년)
4. 대전후속록 (1543년)
5. 황화집 (1546년)
6. 구인록 (1550년)
7. 잠명 (1547년경)
8. 관서추정일기 (1549-1553년)
9. 국조유선록 (1571년)
10. 서간류
서애서독(西厓書牘)은 류성룡(1542~1607)의 1586년, 1587년, 1588년, 1599년, 1601년, 1604년 서간 13통이다.[1]
한강서독(寒岡書牘)은 한강 정구(1543~1620)의 1607년, 1611년, 1614~1618년 서간 35통이다.[1]
제현서독(諸賢書牘)은 박계현(朴啓賢), 노수신, 장현광, 류성룡, 김성일, 윤근수, 이안눌, 정창연, 이희수, 정경세, 이호민, 이산해, 여대노 등의 서간 21통이다.[1]
수간(手簡)은 이희조(李喜朝), 김장생, 송시열, 이정구, 윤두수, 윤근수, 이단상, 윤휘(尹暉)ㆍ윤방 등의 서간 17통이다.[1]
10. 1. 퇴계선생수찰
퇴계선생수찰(退溪先生手札)은 이황(李滉, 1501~70)이 이언적 가문으로 보낸 1566년, 1567년 서간 2통이다.[1]
10. 2. 서애서독
서애 유성룡(1542~1607)의 1586년, 1587년, 1588년, 1599년, 1601년, 1604년 서간 13통이다.[1]
10. 3. 한강서독
한강 정구(寒岡 鄭逑, 1543~1620)의 1607년, 1611년, 1614~1618년 서간 35통이다.[1]
10. 4. 제현서독
박계현(朴啓賢), 노수신(盧守愼), 장현광(張顯光), 류성룡(柳成龍), 김성일(金誠一), 윤근수(尹根壽), 이안눌(李安訥), 정창연(鄭昌衍), 이희수(李喜壽), 정경세(鄭經世), 이호민(李好閔), 이산해(李山海), 여대노(呂大老) 등의 서간 21통이다.[1]
10. 5. 수간
이희조(李喜朝), 김장생, 송시열, 이정구, 윤두수, 윤근수, 이단상, 윤휘(尹暉)ㆍ윤방 등의 서간 17통이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