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연도별 반도체 기업 순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 문서는 연도별 반도체 기업 순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2010년대에는 인텔이 2019년 매출 1위를 기록했고, 삼성전자가 2위를 차지했다. 2017년에는 삼성전자가 인텔을 제치고 1위에 올랐으며, SK하이닉스가 3위를 기록했다. 2000년대에는 인텔이 2009년, 2008년, 2007년, 2006년, 2005년, 2004년, 2003년, 2002년, 2001년, 2000년에도 1위를 차지했다. 1990년대에는 인텔이 1999년, 1998년, 1997년, 1996년, 1995년, 1994년, 1993년에 1위를 차지했다. 1992년에는 인텔이 1위, 1991년에는 NEC, 1990년에는 NEC, 1989년에는 NEC, 1988년에는 NEC, 1987년에는 NEC가 1위를 차지했다.

2. 2010년대

2. 1. 2019년

2019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인텔이 1위를 기록했으며, 삼성전자는 2위로 하락했다. TSMC는 3위, SK하이닉스는 4위,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5위를 차지했다.

순위기업국가매출 (1백만 달러)2019/2018 변화율
1인텔69,8320%
2삼성전자55,610-29%
3TSMC34,5031%
4SK하이닉스22,886-38%
5마이크론 테크놀로지19,960-35%
6브로드컴17,706-3%
7퀄컴14,300-13%
8텍사스 인스트루먼트13,547-9%
9도시바11,276-18%
10엔비디아10,514-12%
11소니9,55224%
12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9,456-2%
13인피니온 테크놀로지스8,946-3%
14NXP반도체8,857-6%
15미디어텍7,9481%


2. 2. 2017년

2017년에는 삼성전자인텔을 제치고 처음으로 1위를 차지했다. SK하이닉스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3위에 올랐다.

순위기업명국가매출액2017/2016 변화시장 점유율
1삼성전자대한민국62,031+53.6%14.5%
2인텔미국61,406+11.7%14.3%
3SK하이닉스대한민국26,638+81.2%6.2%
4마이크론 테크놀로지미국22,843+79.7%5.3%
5브로드컴싱가포르미국17,375+16.0%4.0%
6퀄컴미국16,872+9.5%3.9%
7텍사스 인스트루먼트미국14,525+13.2%3.4%
8도시바 메모리(1)일본11,864+19.8%2.8%
9NXP 반도체네덜란드8,864-4.7%2.1%
10엔비디아미국8,578+42.3%2.0%
상위 10개사 합계250,996+31.2%58.5%
기타 기업 합계178,112+10.4%41.5%
전체 반도체 기업 합계429,108+21.7%100.0%



주석:


  • (1) 도시바 메모리는 도시바 반도체(도시바의 반도체 부문)의 사업을 승계했다. 2019년 10월, 도시바 메모리는 키옥시아로 사명을 변경했다.

2. 3. 2016년

인텔은 2016년에 549억 81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시장 점유율 15.6%로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삼성전자로, 403억 2300만 달러의 매출과 11.4%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퀄컴은 154억 500만 달러의 매출로 3위(4.4%), 브로드컴은 149억 7900만 달러로 4위(4.2%), SK하이닉스는 146억 9900만 달러로 5위(4.2%)를 기록했다.

아바고 테크놀로지스가 브로드컴을 인수하여 사명을 브로드컴으로 변경했다.

2016년 상위 10개 반도체 기업의 총 매출액은 1943억 3300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55.1%를 차지했다. 나머지 기업들의 매출액 합계는 1581억 1600만 달러(44.9%)였다. 전체 반도체 시장 규모는 3524억 4900만 달러로, 2015년 대비 2.0% 성장했다.

순위기업명국가매출액 (백만 달러)시장 점유율
1인텔미국54,98115.6%
2삼성전자대한민국40,32311.4%
3퀄컴미국15,4054.4%
4브로드컴싱가포르 미국14,9794.2%
5SK하이닉스대한민국14,6994.2%
6마이크론 테크놀로지미국12,9633.7%
7텍사스 인스트루먼츠미국12,6863.6%
8도시바 반도체일본10,2582.9%
9NXP 반도체네덜란드9,3062.6%
10미디어텍대만8,7332.5%


2. 4. 2015년

2015년 반도체 시장에서 인텔은 493억 1900만 달러의 매출로 1위를 차지했으며, 시장 점유율은 14.0%였다. 삼성전자는 407억 2200만 달러의 매출로 2위를 기록했고, 시장 점유율은 11.6%였다. SK하이닉스는 169억 4400만 달러의 매출로 3위, 퀄컴은 162억 500만 달러의 매출로 4위를 차지했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147억 5900만 달러의 매출로 5위에 올랐다.

NXP 반도체는 프리스케일 반도체를 인수하여 101억 4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7위로 순위가 크게 상승했다. 애플은 123.2%의 높은 매출 성장률을 보이며 13위로 도약했다. 반면, AMD는 매출이 27.4% 감소하여 19위로 하락했다.

순위기업명국가매출액 (백만 달러)시장 점유율
1인텔 미국49,31914.0%
2삼성전자 대한민국40,72211.6%
3SK하이닉스 대한민국16,9444.8%
4퀄컴 미국16,2054.6%
5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미국14,7594.2%
6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미국12,2853.5%
7NXP 반도체 네덜란드10,1042.9%
8도시바 반도체 일본9,2032.6%
9브로드컴 미국8,4142.4%
10아바고 테크놀로지스 싱가포르 미국6,9512.0%
11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프랑스 이탈리아6,8872.0%
12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독일6,8702.0%
13애플 미국6,6641.9%
14미디어텍 대만6,5711.9%
15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일본5,7311.6%
16소니 일본5,2501.5%
17샌디스크 미국4,7961.4%
18엔비디아 미국4,2961.2%
19AMD 미국3,9141.1%
20온세미컨덕터 미국3,5281.0%


2. 5. 2014년

2014년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은 2013년 대비 큰 성장세를 보였다. 1위는 인텔로, 499억 6,4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14.1%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382억 7,300만 달러의 매출로 2위를 기록, 10.8%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퀄컴은 192억 6,600만 달러(5.5%),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163억 8,900만 달러(4.6%), SK하이닉스는 157억 3,700만 달러(4.5%)로 각각 3, 4, 5위를 차지했다.

미디어텍은 MStar를, 아바고 테크놀로지스는 LSI와 PLX를 인수했다.

순위기업국가매출액 (백만 미국 달러)2014/2013 변화시장 점유율
1인텔49,964+6.3%14.1%
2삼성전자38,273+15.6%10.8%
3퀄컴19,266+11.9%5.5%
4마이크론 테크놀로지16,389+16.1%4.6%
5SK하이닉스15,737+22.9%4.5%
6텍사스 인스트루먼트11,420+6.8%3.5%
7도시바 반도체8,496-9.6%2.4%
8브로드컴8,387+2.5%2.4%
9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7,395-8.5%2.1%
10미디어텍7,194+57.5%2.0%
11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6,910-13.3%2.0%
12샌디스크6,116+5.6%1.7%
13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6,071+17.4%1.7%
14NXP 반도체5,457+16.7%1.5%
15아바고 테크놀로지스 5,423+107.9%1.5%
16AMD5,388+4.6%1.5%
17프리스케일 반도체4,560+15.0%1.3%
18소니4,528+1.5%1.3%
19엔비디아4,007+9.4%1.1%
20마벨 테크놀로지 그룹3,812+12.0%1.1%


2. 6. 2013년

2013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인텔이 1위를 차지했으며, 삼성전자가 2위, 퀄컴이 3위를 기록했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엘피다 메모리 인수를 통해 전년 대비 109.2%의 높은 매출 성장률을 보이며 4위로 도약했다. SK하이닉스는 48.7% 성장하여 5위를 차지했다.

순위기업나라매출 (1백만 달러)점유율
1인텔46,96014.8%
2삼성전자33,45610.5%
3퀄컴17,3415.5%
4마이크론 테크놀로지14,1684.5%
5SK하이닉스13,3354.2%
6도시바12,4593.9%
7텍사스 인스트루먼트11,3793.6%
8브로드컴8,1212.6%
9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8,0762.5%
10르네사스 테크놀로지7,8222.5%
11인피니온 테크놀로지스5,0961.6%
12AMD5,0761.6%
13NXP반도체4,6581.5%
14미디어텍4,4341.4%
15소니4,3941.4%
16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3,9581.2%
17엔비디아3,6121.1%
18마벨 테크놀로지 그룹3,2811.0%
19온 세미컨덕터2,7400.9%
20아날로그 디바이스2,6770.8%



TSMC, 글로벌파운드리스, UMC, 삼성전자, SMIC, Ruselectronics영어, 파워칩 반도체는 파운드리 기업으로 위 표에 포함되지 않았다. 특히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부분에서 3,950백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2. 7. 2012년

2012년, 인텔은 475억 4300만 달러의 매출로 15.7%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를 유지했다. 하지만, 매출은 전년 대비 2.4%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304억 7400만 달러의 매출과 10.1%의 시장 점유율로 2위를 기록했으며, 전년 대비 6.7% 성장했다. 퀄컴은 129억 7600만 달러의 매출로 27.2%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3위로 뛰어올랐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120억 800만 달러의 매출로 4위를 기록했지만, 전년 대비 14.0% 감소했다. 도시바는 109억 9600만 달러의 매출로 5위를 차지했으며, 매출은 전년 대비 13.6% 감소했다.

SK하이닉스는 84억 6200만 달러의 매출로 7위를 기록했다. 일본 기업 중에서는 소니가 60억 2500만 달러의 매출로 11위를 기록하며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

순위기업국가매출 (백만 달러)시장 점유율
1인텔 미국47,54315.7%
2삼성전자 대한민국30,47410.1%
3퀄컴 미국12,9764.3%
4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미국12,0084.0%
5도시바 일본10,9963.6%
6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일본9,4303.1%
7SK하이닉스 대한민국8,4622.8%
8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프랑스 이탈리아8,4532.8%
9브로드컴 미국7,8402.6%
10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미국6,9552.3%
11소니 일본6,0252.0%
12AMD 미국5,3001.7%
13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독일4,8261.6%
14NXP 반도체 네덜란드4,0961.4%
15엔비디아 미국3,9231.3%
16프리스케일 반도체 미국3,7751.2%
17미디어텍 대만3,4721.1%
18엘피다 메모리 일본3,4141.1%
19로옴 일본3,1701.0%
20마벨 테크놀로지 그룹 미국3,1131.0%



2. 8. 2011년

2011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IHS 아이서플라이(IHS iSuppli)에서 제공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다. 이 해의 순위는 파운드리 공장을 제외하고 집계되었다.

순위
2011
순위
2010
기업명국가매출액
(백만 미국 달러)
2011/2010 변화시장 점유율
11인텔(1)미국49,685+23.0%15.9%
22삼성전자대한민국29,242+3.0%9.3%
34텍사스 인스트루먼트(2)미국14,081+8.4%4.5%
43도시바 반도체일본13,362+2.7%4.3%
55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일본11,153-6.2%3.6%
69퀄컴(3)미국10,080+39.9%3.2%
77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프랑스이탈리아9,792-5.4%3.1%
86SK하이닉스대한민국8,911-14.2%2.8%
98마이크론 테크놀로지미국7,344-17.3%2.3%
1010브로드컴미국7,153+7.0%2.3%
1112AMD미국6,483+2.2%2.1%
1213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독일5,403-14.5%1.7%
1314소니일본5,153-1.4%1.6%
1416프리스케일 반도체미국4,465+2.5%1.4%
1511엘피다 메모리일본3,854-40.2%1.2%
1617NXP 반도체네덜란드3,838-4.7%1.2%
1720엔비디아미국3,672+14.9%1.2%
1818마벨 테크놀로지 그룹미국3,448-4.4%1.1%
1926온 세미컨덕터(4)미국3,423+49.4%1.1%
2015파나소닉일본3,365-32.0%1.1%
2121로옴 반도체일본3,187+2.2%1.0%
2219미디어텍대만2,952-16.9%0.9%
2328니치아 화학일본2,936+34.1%0.9%
2423아날로그 디바이스미국2,846-0.6%0.9%
2522후지쯔 반도체일본2,742-0.5%0.9%
기타95,610-0.5%30.7%
합계311,3601.3%100.0%



2011년 주요 기업들의 인수 합병 사례는 다음과 같다:

2. 9. 2010년

2010년 반도체 시장은 2009년 대비 উল্লেখযোগ্য 성장을 기록했다. 인텔은 40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며 13.2%의 시장 점유율로 1위를 고수했다.[13] 삼성전자는 60.8%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281억 3700만 달러의 매출로 2위를 차지했다.[13] 도시바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각각 130억 8100만 달러, 129억 6600만 달러의 매출로 3, 4위를 기록했다.[13]

르네사스 테크놀로지와 NEC의 반도체 부문 합병으로 탄생한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13] 118억 4000만 달러의 매출로 5위에 올랐다.[13] 하이닉스는 105억 7700만 달러로 6위,[13]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102억 9000만 달러로 7위를 기록했다.[13]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뉴모닉스를 인수하여[13] 88억 5300만 달러로 8위, 퀄컴은 72억 달러로 9위, 엘피다 메모리는 66억 7800만 달러로 10위를 차지했다.[13]

순위
2010
순위
2009
기업나라총매출
(1백만 달러)
2010/2009 변화율시장 점유율
11인텔40,020+24.3%13.2%
22삼성전자28,137+60.8%9.3%
33도시바13,081+26.8%4.3%
44텍사스 인스트루먼트12,966+34.1%4.3%
59르네사스 테크놀로지11,840+129.8%3.9%
67하이닉스10,577+69.3%3.5%
75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10,290+20.9%3.4%
813마이크론 테크놀로지8,853+106.2%2.9%
96퀄컴7,200+12.3%2.4%
1015엘피다 메모리6,678+74.2%2.3%


3. 2000년대

3. 1. 2009년

2009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인텔이 1위를 차지했으며, 삼성전자가 2위, 도시바 반도체가 3위를 기록했다.[13] 인텔은 324억 1,000만 달러의 매출로 14.1%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고, 삼성전자는 174억 9,600만 달러의 매출과 7.6%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도시바는 103억 1,900만 달러의 매출로 4.5%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다.[13]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96억 1,700만 달러의 매출로 4위(4.2%),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85억 1,000만 달러의 매출로 5위(3.7%)를 기록했다.[13] 6위는 퀄컴(64억 900만 달러, 2.8%), 7위는 하이닉스(62억 4,600만 달러, 2.7%)였다.[13]

이 외에도 AMD(8위), 르네사스 테크놀로지(9위), 소니(10위) 등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순위기업국가매출 (백만 달러)시장 점유율
1인텔32,41014.1%
2삼성전자17,4967.6%
3도시바 반도체10,3194.5%
4텍사스 인스트루먼트9,6174.2%
5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8,5103.7%
6퀄컴6,4092.8%
7하이닉스6,2462.7%
8AMD5,2072.3%
9르네사스 테크놀로지5,1532.2%
10소니4,4681.9%


3. 2. 2008년

2008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인텔이 33,973백만 달러의 매출로 1위를 차지했으며, 시장 점유율은 12.5%였다.[4] 삼성전자는 20,137백만 달러의 매출로 2위를 기록했고, 시장 점유율은 7.4%였다.[4] 도시바는 12,590백만 달러(4.6%),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12,172백만 달러(4.5%),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9,991백만 달러(3.7%)로 각각 3, 4, 5위를 차지했다.[4]

순위기업국가매출 (백만 달러)시장 점유율
1인텔33,97312.5%
2삼성전자20,1377.4%
3도시바12,5904.6%
4텍사스 인스트루먼트12,1724.5%
5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9,9913.7%
6하이닉스9,1643.5%
7르네사스 테크놀로지8,1373.0%
8소니8,0403.0%
9NXP반도체6,0382.2%
10인피니온 테크놀로지스5,8642.2%



상위 10개 기업 외에도 AMD/ATI,[5] 퀄컴, 니폰 전기,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등이 순위에 포함되었다.

3. 3. 2007년

2007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인텔이 33,973백만 달러(시장 점유율 12.5%)[4] 혹은 33,995백만 달러(시장 점유율 12.6%)의 매출로 1위를 기록했다.[4] 2위는 삼성전자로 20,137백만 달러(시장 점유율 7.4%)[4] 혹은 19,691백만 달러(시장 점유율 7.3%)의 매출을 기록했다.[4] 3위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4위는 도시바, 5위는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차지했다.

2006년 대비 매출액 성장률이 가장 높은 기업은 소니로 56.8%의 성장률을 기록했다.[4] 하이닉스는 22.2%[4] 혹은 15.0% 성장하여 6위를 기록했다. 반면, AMD/ATI는 매출이 22.8% 감소하여 순위가 하락했다.[4]

순위기업국가매출액 (백만 달러)시장 점유율
1인텔33,973[4]
2삼성전자20,137[4]
3텍사스 인스트루먼트12,172[4]
4도시바12,590[4]
5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9,991[4]
6하이닉스9,164[4]
7르네사스 테크놀로지8,137[4]
8소니8,040[4]
9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5,864[4]
10AMD5,792[4]
11NXP반도체6,038[4]
12NEC 반도체5,555[4]
13퀄컴5,603[4]
14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5,349[4]
15마이크론 테크놀로지4,943[4]
16키몬다4,186[4]
17엘피다 메모리3,836[4]
18마쓰시타 전기산업3,946[4]
19브로드컴3,731[4]
20엔비디아-[4]



상위 20대 기업의 총 매출액은 173,081백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63.9%를 차지했다.[4]

3. 4. 2006년

2006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iSuppli Corporation에서 제공한 자료를 기준으로 한다. 이 순위에는 파운드리 공장은 제외되었다. 1위는 인텔로, 매출액은 315억 4,200만 달러, 시장 점유율은 12.1%를 기록했지만, 2005년에 비해 매출이 11.1% 감소했다. 2위는 삼성전자로, 매출액 198억 4,200만 달러, 시장 점유율 7.6%를 기록하며 2005년 대비 12.0% 성장했다. 3위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로, 매출액 126억 달러, 시장 점유율 4.8%를 기록하며 17.3% 성장했다. 4위는 도시바 반도체로 101억 4,100만 달러의 매출과 3.9%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5위는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로, 98억 5,400만 달러의 매출과 3.8%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르네사스 테크놀로지는 미쓰비시 전기히타치 제작소의 반도체 사업부가 합병하여 설립된 기업으로, 2006년 79억 달러의 매출(시장 점유율 3.0%)을 기록하며 6위에 올랐으나, 2005년 대비 매출은 2.6% 감소했다. 하이닉스는 41.5%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78억 6,500만 달러의 매출(시장 점유율 3.0%)로 7위를 기록했다. AMD는 2006년 10월 ATI 테크놀로지스 인수를 완료하여 매출이 91.6% 증가, 75억 600만 달러(시장 점유율 2.9%)로 8위를 차지했다. 9위는 프리스케일 반도체로, 2006년 투자자 집단에 인수되었으며, 59억 8,800만 달러의 매출(시장 점유율 2.3%)을 기록했다. 10위는 NXP 반도체로, 필립스 반도체에서 분사되어 설립되었으며, 58억 7,400만 달러의 매출(시장 점유율 2.3%)을 기록했다.

인피니언에서 분사된 키몬다는 54억 1,300만 달러의 매출(시장 점유율 2.1%)로 12위에 올랐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51억 1,900만 달러의 매출(시장 점유율 2.0%)을 기록하여 14위를 기록했다.

AMD후지쯔의 합작 사업으로 발족한 스팬션은 25억 7,900만 달러의 매출(시장 점유율 1.0%)을 기록하며 24위에 랭크되었다. 2006년 전체 반도체 시장 규모는 2,601억 9,400만 달러로, 2005년 대비 9.3% 성장했다.

순위 (2006)기업명국적매출 (US달러 백만)시장 점유율
1인텔미국31,54212.1%
2삼성전자대한민국19,8427.6%
3텍사스 인스트루먼트미국12,6004.8%
4도시바 반도체일본10,1413.9%
5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프랑스 이탈리아9,8543.8%
6르네사스 테크놀로지일본7,9003.0%
7하이닉스대한민국7,8653.0%
8AMD미국7,5062.9%
9프리스케일미국5,9882.3%
10NXP네덜란드5,8742.3%
11NEC 반도체일본5,6792.2%
12키몬다독일5,4132.1%
13마이크론 테크놀로지미국5,2102.0%
14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독일5,1192.0%
15소니일본4,8521.9%
16퀄컴미국4,5291.7%
17마쓰시타 전기일본4,0221.5%
18브로드컴미국3,6681.4%
19엘피다 메모리일본3,5271.4%
20샤프 일렉트로닉스일본3,3411.3%
21IBM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미국3,1721.2%
22로옴일본2,8821.1%
23아날로그 디바이스미국2,6031.0%
24스팬션일본 미국2,5791.0%
25엔비디아미국2,5741.0%
기타 기업81,91231.5%
총액260,194100.0%


3. 5. 2005년

2005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아이서플라이에서 제공했다. 파운드리 공장은 제외되었다.

순위
2005
순위
2004
기업명국적매출
(US$(백만 달러))
11인텔(Intel Corporation)35,466
22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17,210
33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10,745
47도시바 세미컨덕터(Toshiba Semiconductor)9,077
56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8,881
64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Infineon Technologies) (지멘스에서 반도체 사업이 분사)8,266
75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Renesas Electronics) (미쓰비시 전기히타치의 반도체 사업이 통합)8,310
88NEC(NEC) 세미컨덕터즈5,710
99필립스(Philips) 세미컨덕터즈5,646
1010프리스케일(Freescale) (모토로라 세미컨덕터즈가 분사)5,598
1114SK하이닉스(SK Hynix)5,560
1213마이크론 테크놀로지(Micron Technology)4,775
1315소니(Sony) 세미컨덕터즈4,574
1412마쓰시타 전기 세미컨덕터즈4,131
1511AMD(Advanced Micro Devices) (1)3,917
1617퀄컴(Qualcomm) (3) (팹리스)3,457
1716샤프(Sharp) 세미컨덕터즈3,266
1819로옴(ROHM)2,909
1920IBM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2)2,792
2022브로드컴(Broadcom) (3) (팹리스)2,671
기타 기업84,191
총 매출액237,139



주석:


  • (1) : 2005년에 AMD후지쯔의 두 회사는 양사가 주식을 보유하고 있고, 이전에는 AMD가 경영하던 합작 사업인 스팬션을 포기했다. 합산한 매출은 2005년에 59억 7천만 달러였으며, 만약 AMD가 스팬션의 플래시 메모리 부문을 포기하지 않았다면 AMD/스팬션은 세계 8위가 되었을 것이다. 분할로 인해, 2005년 AMD는 15위였고, 스팬션은 24위였다.
  • (2) : IBM의 파운드리 활동은 이 매출액에서 제외된다.

3. 6. 2004년

2004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인텔이 313억 4,600만 달러의 매출로 1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157억 5,900만 달러로 2위,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107억 4,500만 달러로 3위를 기록했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와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는 각각 91억 8,000만 달러와 9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4위와 5위에 올랐다.

순위
2004
순위
2003
기업명국적매출액
($백만 US달러)
11인텔미국31,346
22삼성전자대한민국15,759
34텍사스 인스트루먼트미국10,745
47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독일9,180
53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일본9,000
66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프랑스이탈리아8,760
75도시바 반도체일본8,752
88NEC(NEC) 반도체일본8,752
910필립스(Philips) 반도체네덜란드5,692
109프리스케일 반도체미국5,519
1112AMD / 스팬션미국5,108
1213소니(Sony) 반도체일본4,794
1311마쓰시타 전기 반도체일본4,669
1414마이크론 테크놀로지미국4,649
1516SK하이닉스대한민국4,606
1615샤프(Sharp) 반도체일본3,488
1719퀄컴미국3,211
1817후지쯔(Fujitsu) 반도체일본2,840
1920로옴일본2,824
2022아날로그 디바이스미국2,606
기타 기업77,715
총 매출액227,246



이 순위는 파운드리 공장은 제외하고 집계되었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지멘스에서,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미쓰비시 전기히타치 제작소의 반도체 사업부 통합으로, 프리스케일 반도체는 모토로라의 반도체 사업부에서 분사되어 설립되었다.

3. 7. 2003년

2003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인텔(Intel)이 매출액 270억 3600만 달러로 1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는 96억 7500만 달러로 2위를 기록했다.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Renesas Electronics)는 2002년 미쓰비시 전기(Mitsubishi Electric)와 히타치 제작소(Hitachi)의 반도체 사업 부문이 통합되어 설립되었으며, 79억 71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3위에 올랐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는 78억 5000만 달러, 도시바(Toshiba) 반도체는 75억 7100만 달러로 각각 4위와 5위를 차지했다.

2003년에는 모토로라(Motorola)의 반도체 사업 부문이 분사되어 프리스케일(Freescale)이 설립되었고, AMD후지쯔(Fujitsu)는 플래시 메모리 전문 합작 회사인 스팬션(Spansion)을 설립했다.

순위기업명국적매출액
($백만 US달러)
1인텔(Intel)미국/United States영어27,036
2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9,675
3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Renesas Electronics)일본/日本일본어7,971
4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미국/United States영어7,850
5도시바(Toshiba)일본/日本일본어7,571
6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프랑스/France프랑스어, 이탈리아/Italyit7,238
7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Infineon Technologies)독일/Deutschlandde7,109
8NEC(NEC)일본/日本일본어5,250
9프리스케일(Freescale)미국/United States영어4,629
10필립스(Philips)네덜란드/Nederlandnl4,512
11파나소닉(Panasonic)일본/日本일본어4,016
12AMD/스팬션(Spansion)미국/United States영어3,939
13소니(Sony)일본/日本일본어3,508
14마이크론 테크놀로지(Micron Technology)미국/United States영어3,418
15샤프(Sharp)일본/日本일본어3,075
16SK하이닉스(SK hynix)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3,071
17후지쯔(Fujitsu)일본/日本일본어2,650
18IBM미국/United States영어2,515
19퀄컴(Qualcomm)미국/United States영어2,398
20로옴(ROHM)일본/日本일본어2,398
기타 기업61,408
총 매출액181,760


3. 8. 2002년

2002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인텔이 1위를 차지했으며, 삼성전자가 2위, 도시바 반도체가 3위를 기록했다.[13]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각각 4위와 5위를 차지했다.[13]

순위
2002
순위
2001
기업명국적매출액
($백만 US달러)
11인텔미국23,700
25삼성전자대한민국8,750
33도시바 반도체일본6,420
42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프랑스이탈리아6,380
54텍사스 인스트루먼트미국6,350
68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지멘스에서 반도체 사업이 분사됨)독일5,370
77NEC 반도체일본5,320
86모토로라 반도체 부문미국4,810
99필립스 반도체네덜란드4,360
1012히타치 반도체일본4,210
1111미쓰비시 전기 반도체일본3,540
1216마쓰시타 전기 반도체일본3,280
1313후지쯔 반도체일본3,130
1418마이크론 테크놀로지미국2,870
1514IBM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11]미국2,810
1617소니 반도체일본2,790
1710AMD미국2,660
1819하이닉스대한민국2,390
1920로옴일본2,390
2022샤프 반도체일본2,270
기타 기업-- ---
총 매출액156,360



IBM의 파운드리 활동은 이 매출액에서 제외되었다.[11]

3. 9. 2001년

2001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인텔이 235억 4천만 달러의 매출로 1위를 기록했다.[13]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63억 6천만 달러, 도시바 반도체는 60억 7천만 달러,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60억 5천만 달러, 삼성전자는 52억 4천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각각 2, 3, 4, 5위를 차지했다.[13] 모토로라 세미컨덕터, 니폰 전기, 인피니온 테크놀로지스, 필립스 세미컨덕터, 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 등이 그 뒤를 이었다.[13]

순위기업국가매출액 (백만 미국 달러)
1인텔23,540
2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6,360
3도시바 반도체6,070
4텍사스 인스트루먼트6,050
5삼성전자5,240
6모토로라 세미컨덕터4,830
7니폰 전기4,800
8인피니온 테크놀로지스4,560
9필립스 세미컨덕터4,410
10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3,890
11미츠비시 반도체3,870
12히타치 반도체3,750
13후지쯔 반도체3,730
14IBM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11]3,560
15어기어 시스템스3,140
16마쓰시타 전기산업3,010
17소니 반도체2,730
18마이크론 테크놀로지2,450
19하이닉스2,370
20로옴2,210
나머지 기업-- ---
매출 합계150,470


3. 10. 2000년

2000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인텔이 302억 1000만 달러의 매출로 1위를 기록했다.[13] 도시바 반도체는 104억 3000만 달러로 2위,[13]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92억 달러로 3위를 차지했다.[13] 삼성전자는 89억 4000만 달러로 4위,[13] 니폰 전기(NEC)는 82억 달러로 5위에 올랐다.[13]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78억 9000만 달러,[13] 모토로라 세미컨덕터는 77억 1000만 달러,[13] 인피니온 테크놀로지스는 67억 4000만 달러,[13] 필립스 세미컨덕터는 62억 7000만 달러,[13]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62억 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13]

미츠비시 반도체는 57억 9000만 달러,[13] 히타치 반도체는 56억 9000만 달러,[13] 어기어 시스템스[19]와 현대전자는 각각 51억 달러,[13] 후지쯔 반도체는 50억 1000만 달러,[13] 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는 43억 8000만 달러,[13] 마쓰시타 전기산업은 43억 3000만 달러,[13] IBM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11]는 39억 9000만 달러,[13] 샤프 반도체는 33억 3000만 달러,[13] 소니 반도체는 32억 9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13] 나머지 기업들의 매출 합계는 2204억 6000만 달러였다.[13]

순위기업국가매출액 (100만 달러)
1인텔30,210
2도시바 반도체10,430
3텍사스 인스트루먼트9,200
4삼성전자8,940
5니폰 전기8,200
6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7,890
7모토로라 세미컨덕터7,710
8인피니온 테크놀로지스6,740
9필립스 세미컨덕터6,270
10마이크론 테크놀로지6,260
11미츠비시 반도체5,790
12히타치 반도체5,690
13어기어 시스템스5,100
14현대전자5,100
15후지쯔 반도체5,010
16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4,380
17마쓰시타 전기산업4,330
18IBM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3,990
19샤프 반도체3,330
20소니 반도체3,290
나머지 기업-- ---
매출 합계220,460


4. 1990년대

4. 1. 1999년

1999년, 인텔은 26,806백만 달러의 매출로 1위를 차지했다.[20] 니폰 전기(NEC)가 9,210백만 달러로 2위,[20] 도시바 반도체가 7,618백만 달러로 3위를 기록했다.[20] 삼성전자는 7,125백만 달러로 4위,[20]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7,120백만 달러로 5위를 차지했다.[20]

모토로라 세미컨덕터는 6,394백만 달러,[20] 히타치 반도체는 5,554백만 달러,[20] 인피니온 테크놀로지스는 5,223백만 달러,[20][21]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5,077백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20]

1999년 4월, 지멘스의 반도체 부문이 분사되어 인피니온 테크놀로지스가 설립되었다.

올해 순위지난해 순위기업나라총매출[20] (1백만 달러)
11인텔미국26,806
22니폰 전기일본9,210
34도시바 반도체일본7,618
47삼성전자대한민국7,125
55텍사스 인스트루먼트미국7,120
63모토로라 세미컨덕터미국6,394
76히타치 반도체일본5,554
811인피니온 테크놀로지스[21]독일5,223
99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탈리아-프랑스5,077
나머지 기업-- ---
매출 합계169,100


4. 2. 1998년

1998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인텔이 22,784백만 달러의 매출로 1위를 기록했다.[20] 니폰 전기(NEC)가 8,135백만 달러, 모토로라 세미컨덕터가 7,086백만 달러, 도시바 반도체가 5,869백만 달러, 텍사스 인스트루먼트가 5,820백만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20] 히타치 제작소 반도체, 삼성전자 반도체, 필립스 세미컨덕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후지쯔 반도체가 10위권 안에 들었다.[20][22] 1998년에 톰슨 SA가 철수함에 따라 SGS-톰슨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순위기업국가매출액 (백만 US달러)
1인텔22,784
2니폰 전기8,135
3모토로라 세미컨덕터7,086
4도시바 반도체5,869
5텍사스 인스트루먼트5,820
6히타치 제작소 반도체4,620
7삼성전자 반도체4,595
8필립스 세미컨덕터4,445
9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4,197
10후지쯔 반도체3,826
나머지 기업-- ---
매출 합계134,800


4. 3. 1997년

1997년, 인텔은 21,746백만 달러의 매출로 1위를 기록했다.[20] 니폰 전기(NEC)는 10,222백만 달러로 2위를 차지했고, 모토로라 세미컨덕터는 8,067백만 달러로 3위를 기록했다.[20]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도시바 반도체는 각각 7,352백만 달러와 7,253백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4위와 5위에 올랐다.[20] 히타치 제작소 반도체는 6,298백만 달러로 6위를, 삼성전자 반도체는 5,856백만 달러로 7위를 기록했다.[20] 필립스 세미컨덕터, 후지쯔 반도체,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각각 8, 9, 10위를 차지했다.[20] 이들 기업을 포함한 전체 반도체 시장 매출액은 147,200백만 달러였다.[20]

순위기업국가매출액 (백만 달러)
1인텔미국21,746
2니폰 전기일본10,222
3모토로라 세미컨덕터미국8,067
4텍사스 인스트루먼트미국7,352
5도시바 반도체일본7,253
6히타치 제작소 반도체일본6,298
7삼성전자 반도체대한민국5,856
8필립스 세미컨덕터네덜란드4,440
9후지쯔 반도체일본4,622
10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프랑스-이탈리아4,019
기타 기업-- ---
총 매출액147,200


4. 4. 1996년

1996년 반도체 기업 순위 1위는 인텔로, 매출액은 17,781백만 달러를 기록했다.[20] 2위는 니폰 전기(NEC)로 10,428백만 달러, 3위는 모토로라로 8,076백만 달러, 4위는 도시바로 8,029백만 달러, 5위는 히타치 제작소로 7,953백만 달러를 기록했다.[20] 삼성전자는 6,464백만 달러로 7위를 기록했다.[20]

루슨트 테크놀로지스는 웨스턴 일렉트릭벨 연구소를 거느린 이전의 AT&T 테크놀로지였으며, 1996년에 AT&T에서 분사되어 2,110백만 달러의 매출로 20위를 기록했다.[23]

순위기업국가매출액 (백만 달러)
1인텔17,781
2니폰 전기10,428
3모토로라 세미컨덕터8,076
4도시바 반도체8,029
5히타치 반도체7,953
6텍사스 인스트루먼트7,064
7삼성전자6,464
8후지쯔 반도체4,293
9필립스 세미컨덕터4,179
10SGS-톰슨-4,122
11미츠비시 반도체3,913
12지멘스 세미컨덕터3,029
13마쓰시타 전기산업3,003
14IBM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2,247
15내셔널 세미컨덕터2,380
16산요 반도체2,314
17현대전자2,247
18LG전자2,243
19샤프 반도체2,124
20루슨트 테크놀로지스2,110
나머지 기업-- ---
매출 합계-- ---


4. 5. 1995년

1995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인텔이 1위를 차지했으며, 니폰 전기(NEC), 도시바 반도체, 히타치 반도체, 모토로라 세미컨덕터가 그 뒤를 이었다.[20] 삼성전자는 6위를 기록했다.[20]

순위
1995
순위
1994
기업명국적매출액
(1백만 달러)
11인텔13 172
22니폰 전기11 314
33도시바 반도체10 077
45히타치 반도체9 137
54모토로라 세미컨덕터8 732
67삼성전자8 329
76텍사스 인스트루먼트7 831
88후지쯔 반도체5 538
99미츠비시 반도체5 272
10-현대전자4 132
1110필립스 세미컨덕터3 901
1213IBM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3 522
1311마쓰시타 전기산업3 476
1412SGS-톰슨-3 554
1518지멘스 세미컨덕터3 062
1620LG전자2 863
1714산요 반도체2 714
18-마이크론 테크놀로지2 601
1915샤프 반도체2 592
2017내셔널 세미컨덕터2 408
나머지 기업-- ---
매출 합계-- ---


4. 6. 1994년

1994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인텔이 10,099백만 달러의 매출로 1위를 기록했다.[20] 니폰 전기는 7,961백만 달러, 도시바 반도체는 7,556백만 달러, 모토로라 세미컨덕터는 7,238백만 달러, 히타치 반도체는 6,644백만 달러로 각각 2, 3, 4, 5위를 차지했다.[20] 삼성전자는 4,832백만 달러로 7위를 기록했다.[20]

순위
1994
순위
1993
기업명국적매출액
($백만 US달러)
11인텔10 099
22니폰 전기7 961
34도시바 반도체7 556
43모토로라 세미컨덕터7 238
55히타치 반도체6 644
66텍사스 인스트루먼트5 552
77삼성전자4 832
88후지쯔 반도체3 869
99미츠비시 반도체3 772
1012필립스 세미컨덕터2 920
1111마쓰시타 전기산업2 896
1214SGS-톰슨-2 640
1310IBM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2 532
1415산요 반도체2 321
1516샤프 반도체2 188
1617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2 134
1718내셔널 세미컨덕터2 127
1813지멘스 세미컨덕터2 090
1919소니 반도체1 876
20-LG전자1 697
나머지 기업-- ---
매출 합계-- ---


4. 7. 1993년

1993년 반도체 시장에서 인텔은 79억 7천만 달러의 매출로 1위를 차지했다.[20] 니폰 전기(NEC)는 61억 4100만 달러로 2위,[20] 모토로라 세미컨덕터는 59억 5700만 달러로 3위,[20] 도시바 반도체는 57억 2700만 달러로 4위,[20] 히타치 반도체는 50억 1500만 달러로 5위를 기록했다.[20]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40억 8300만 달러로 6위,[20] 삼성전자는 30억 4400만 달러로 7위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4계단 상승했다.[20] 후지쯔 반도체는 29억 2800만 달러,[20] 미츠비시 반도체는 28억 2300만 달러,[20] IBM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25억 1000만 달러로 10위를 기록했다.[20]

마쓰시타 전기산업은 23억 4400만 달러,[20] 필립스 세미컨덕터는 23억 달러,[20] 지멘스 세미컨덕터는 20억 6000만 달러,[20] SGS-톰슨은 20억 3800만 달러,[20] 산요 반도체는 18억 4300만 달러,[20] 샤프 반도체는 17억 6000만 달러,[20] 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는 16억 6000만 달러,[20] 내셔널 세미컨덕터는 15억 900만 달러,[20] 소니 반도체는 13억 9800만 달러,[20] 오키 전기공업은 11억 8700만 달러를 기록했다.[20]

순위
1993
순위
1992
기업명국적매출액
($백만 US달러)
11인텔(Intel)미국7 970
22NEC 세미컨덕터즈일본6 141
34모토로라 반도체 부문미국5 957
43도시바(Toshiba)일본5 727
55히타치 제작소(Hitachi) 세미컨덕터즈일본5 015
66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미국4 083
711삼성전자 세미컨덕터즈대한민국3 044
87후지쯔(Fujitsu) 세미컨덕터즈일본2 928
98미쓰비시 전기(Mitsubishi Electric) 세미컨덕터즈일본2 823
10-IBM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미국2 510
1110파나소닉(Panasonic) 세미컨덕터즈일본2 344
129필립스(Philips) 세미컨덕터즈네덜란드2 300
1317지멘스(Siemens) 세미컨덕터즈독일2 060
1413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프랑스이탈리아2 038
1515산요 전기(Sanyo Electric) 세미컨덕터즈일본1 843
1616샤프(Sharp) 세미컨덕터즈일본1 760
1714AMD(AMD)미국1 660
1812내셔널 세미컨덕터(National Semiconductor)미국1 509
1918소니(Sony) 세미컨덕터즈일본1 398
2019오키 전기 공업(Oki Electric Industry) 반도체일본1 187
기타 기업-- ---
총 매출액-- ---


4. 8. 1992년

1992년 반도체 시장에서는 인텔이 50억 9100만 달러의 매출로 1위를 차지하며, 전년도 3위에서 크게 상승했다.[20] 니폰 전기(NEC)는 48억 6900만 달러로 2위, 도시바 반도체는 46억 7500만 달러로 3위를 기록했다.[20] 모토로라 세미컨덕터히타치 반도체는 각각 36억 3400만 달러와 38억 5100만 달러로 4위와 5위를 차지했다.[20]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후지쯔 반도체, 미츠비시 반도체, 필립스 세미컨덕터, 마쓰시타 전기산업 등이 그 뒤를 이었다.[20] 삼성전자는 19억 달러의 매출로 11위를 기록했다.[20]

순위기업국가매출액 (1백만 달러)
1인텔5,091
2니폰 전기4,869
3도시바 반도체4,675
4모토로라 세미컨덕터3,634
5히타치 반도체3,851
6텍사스 인스트루먼트3,087
7후지쯔 반도체2,553
8미츠비시 반도체2,213
9필립스 세미컨덕터2,113
10마쓰시타 전기산업1,942
11삼성전자1,900
12내셔널 세미컨덕터1,797
13SGS-톰슨-1,605
14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1,514
15산요 반도체1,385
16샤프 반도체1,354
17지멘스 세미컨덕터1,245
18소니 반도체1,103
19오키 전기공업956
20AT&T 테크놀로지스911


4. 9. 1991년

1991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니폰 전기(NEC), 도시바, 인텔, 모토로라, 히타치 제작소 순이었다.[20] 각 기업의 매출액(단위: 백만 미국 달러)은 니폰 전기 4,774, 도시바 4,579, 인텔 4,019, 모토로라 3,802, 히타치 제작소 3,765 이었다.[20] 삼성전자는 1,473 백만 달러의 매출로 12위를 기록했다.[20]

순위
1991
순위
1990
기업명국적매출액
($백만 US달러)
11니폰 전기 반도체일본4 774
22도시바 반도체일본4 579
35인텔(Intel)미국4 019
43모토로라(Motorola) 반도체 부문미국3 802
54히타치 제작소(Hitachi) 반도체일본3 765
67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미국2 738
76후지쯔 반도체일본2 705
88미쓰비시 전기 반도체일본2 303
910파나소닉(Panasonic) 반도체일본2 037
109필립스(Philips) 반도체네덜란드2 022
1111내셔널 세미컨덕터(National Semiconductor)미국1 602
1213삼성전자 반도체대한민국1 473
1312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프랑스이탈리아1 362
1415산요 전기 반도체일본1 462
1516샤프 반도체일본1 218
1614지멘스 반도체독일1 263
1717AMD(Advanced Micro Devices)미국1 226
1818소니 반도체일본1 196
1919오키 전기 공업(OKI) 반도체일본981
20-로옴(ROHM)일본934
기타 기업-- ---
총 매출액-- ---


4. 10. 1990년

순위지난해
순위기업나라총매출[20](1백만 달러)11니폰 전기4 32222도시바 반도체4 20234모토로라 세미컨덕터3 53943히타치 반도체3 51658인텔3 17166후지쯔 반도체2 59975텍사스 인스트루먼트2 57487미츠비시 반도체2 108910필립스 세미컨덕터1 955109마쓰시타 전기산업1 8261111내셔널 세미컨덕터1 6531212SGS-톰슨-1 4411313삼성전자1 3151415지멘스 세미컨덕터1 2041514산요 반도체1 1961616샤프 반도체1 1941717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1 0531819소니 반도체1 0101918오키 전기공업9542020해리스 세미컨덕터800나머지 기업-- ---매출 합계-- ---



1990년, 니폰 전기가 43억 2200만 달러의 매출로 1위를 기록했고, 도시바 반도체가 42억 200만 달러로 2위를 차지했다.[20] 모토로라 세미컨덕터는 35억 3900만 달러, 히타치 반도체는 35억 1600만 달러, 인텔은 31억 7100만 달러를 기록하며 각각 3, 4, 5위를 차지했다.[20]

5. 1980년대

5. 1. 1989년

1989년, 니폰 전기(NEC)는 44억 8,900만 달러의 매출로 1위를 기록했고, 도시바 반도체가 43억 1,000만 달러로 2위, 히타치 제작소 반도체가 36억 2,200만 달러로 3위를 기록했다.[20] 모토로라 세미컨덕터는 31억 8,300만 달러,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27억 8,700만 달러로 각각 4위와 5위를 차지했다.[20]

후지쯔 반도체는 27억 7,000만 달러, 미쓰비시 전기 반도체는 25억 달러, 인텔은 24억 3,000만 달러, 마쓰시타 전기산업은 18억 400만 달러, 필립스 세미컨덕터는 16억 4,300만 달러를 기록하며 각각 6위에서 10위 사이에 랭크되었다.[20]

내셔널 세미컨덕터는 15억 5,200만 달러, SGS-톰슨은 12억 7,100만 달러, 삼성전자 반도체는 12억 6,000만 달러, 산요 반도체와 지멘스 세미컨덕터는 각각 11억 5,400만 달러를 기록했다.[20] 샤프 반도체는 11억 700만 달러, 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는 11억 달러, 오키 전기공업은 10억 8,300만 달러, 소니 반도체는 9억 9,600만 달러, 해리스 세미컨덕터는 8억 3,0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20]

순위
1989
순위
1988
기업명국적매출액
($백만 US달러)
11니폰 전기 반도체일본4 489
22도시바 반도체일본4 310
33히타치 제작소 반도체일본3 622
44모토로라 반도체 부문미국3 183
55텍사스 인스트루먼트미국2 787
66후지쯔 반도체일본2 770
78미쓰비시 전기 반도체일본2 500
87인텔미국2 430
99마쓰시타 전기 반도체일본1 804
1010필립스 반도체네덜란드1 643
1111내셔널 세미컨덕터미국1 552
1212SGS-톰슨프랑스이탈리아1 271
1318삼성전자 반도체대한민국1 260
1414산요 전기 반도체일본1 154
1520지멘스 반도체독일1 154
1615샤프 반도체일본1 107
1713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스미국1 100
1817오키 전기 반도체일본1 083
1916소니 반도체일본996
20-해리스 세미컨덕터미국830
기타 기업-- ---
총 매출액-- ---


5. 2. 1988년

1988년 반도체 기업 순위는 니폰 전기(NEC)가 4,543백만 달러의 매출로 1위를 기록했다.[20] 도시바는 4,395백만 달러로 2위, 히타치 제작소는 3,506백만 달러로 3위를 차지했다.[20] 모토로라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각각 3,035백만 달러와 2,741백만 달러로 4위와 5위에 올랐다.[20] 후지쯔는 2,607백만 달러로 6위, 인텔은 2,350백만 달러로 7위를 기록했다.[20] 8위는 미쓰비시 전기 (2,312백만 달러), 9위는 마쓰시타 전기 (1,883백만 달러), 10위는 필립스 (1,738백만 달러)였다.[20] 삼성전자는 905백만 달러의 매출로 18위에 올랐다.[20]

순위
1988
순위
1987
기업명국적매출액
($백만 US달러)
11니폰 전기일본4,543
22도시바일본4,395
33히타치 제작소일본3,506
44모토로라미국3,035
55텍사스 인스트루먼트미국2,741
66후지쯔일본2,607
710인텔미국2,350
89미쓰비시 전기일본2,312
911마쓰시타 전기일본1,883
107필립스네덜란드1,738
118내셔널 세미컨덕터미국1,650
1214SGS-톰슨프랑스이탈리아1,087
1312AMD미국1,084
1413산요 전기일본1,083
1518샤프일본1,036
1619소니일본950
1717오키 전기일본947
18-삼성전자대한민국905
1915AT&T미국859
2016지멘스독일784
기타 기업-- ---
총 매출액-- ---


5. 3. 1987년

1987년, 니폰 전기(NEC)는 33억 6800만 달러의 매출로 세계 반도체 시장 1위를 차지했다.[20] 도시바 반도체는 30억 2900만 달러, 히타치 반도체는 26억 1800만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20] 모토로라 세미컨덕터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각각 24억 3400만 달러와 21억 270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4위와 5위를 차지했다.[20]

1987년 6월에는 이탈리아 기업인 SGS 마이크로일렉트로니카(Società Generale Semiconduttori)와 프랑스의 톰슨 반도체 사업부가 합병하여 SGS-톰슨이 발족했다.[24]

순위기업국적매출액
(백만 미국 달러)
1니폰 전기일본/日本일본어3,368
2도시바 반도체일본/日本일본어3,029
3히타치 반도체일본/日本일본어2,618
4모토로라 세미컨덕터미국2,434
5텍사스 인스트루먼트미국2,127
6후지쯔 반도체일본/日本일본어1,801
7필립스 세미컨덕터네덜란드1,602
8내셔널 세미컨덕터미국1,506
9미쓰비시 반도체일본/日本일본어1,492
10인텔미국1,491
11마쓰시타 전기 반도체일본/日本일본어1,457
12AMD미국986
13산요 반도체일본/日本일본어852
14SGS-톰슨프랑스 이탈리아851
15AT&T미국802
16지멘스 반도체독일657
17오키 전기 반도체일본/日本일본어651
18샤프 반도체일본/日本일본어590
19소니 반도체일본/日本일본어571
20제너럴 일렉트릭미국520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xbitlabs.[...]
[2] 웹사이트 http://www.icinsight[...]
[3] 웹사이트 http://itar-tass.com[...]
[4] 웹사이트 2007년 반도체 기업의 총매출 통계 (파운드리 제외), 아이서플라이 http://www.isuppli.c[...]
[5] 문서 AMD는 ATI의 경영권을 확보했기 때문에, AMD의 총매출은 ATI의 총매출을 포함한다.
[6] 웹인용 2006년 반도체 기업의 총매출 통계 (파운드리 제외), 아이서플라이 https://archive.toda[...] 2007-11-19
[7] 문서 "[[2005년]] [[12월]]에, AMD는 플래시 메모리 사업부를 매각하였고, 프로세서와 논리 사업에 집중하였다. 그래서 AMD의 기업 순위는 몇단계 하락하였다. 하지만, 2006년 6월에 ATI를 매수한다고 발표하였고, 2006년 12월에 매수를 완료하였다. 이로인하여 AMD의 기업 순위는 다시 상승하였다."
[8] 문서 "[[2006년]]에,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는 모기업 필립스가 개인회사에 반도체 사업부를 매각하여 설립되었다. 개인회사에 매각된 기술기업중 최고금액을 기록하였다."
[9] 문서 "[[2006년]]에, NXP반도체는 모기업 필립스가 개인회사에 반도체 사업부를 매각하여 설립되었다."
[10] 문서 "[[2006년]]에, 키몬다는 메모리 모기업 인피니온 테크놀로지스에서 스핀오프하여 독립하였다. 디램부분에서 키몬다의 매출은 세계에서 4위를 달성하였다."
[11] 문서 IBM의 총매출은 파운드리 매출을 제외하였다.
[12] 웹인용 2006년 반도체 기업의 총매출 통계 (파운드리 포함), 아이서플라이 http://i.cmpnet.com/[...] 2007-11-19
[13] 웹사이트 "[[2000년]]부터 [[2005년]]까지 반도체 기업의 총매출은 아이서플라이의 통계를 참조하였다." http://www.isuppli.c[...]
[14] 문서 "[[2005년]]에, AMD와 후지쯔는 합작하여 설립한 스팬션의 지분을 매각하였다. 매각되기 전까지는 AMD가 경영권을 유지하였다. 2005년에 AMD/스팬션의 총매출은 59.7 억 달러이다. 만약 AMD가 스팬션 플래시 사업부를 스핀오프하지 않았다면 기업의 순위는 8위로 상승했을 것이다. 당시에 스팬션은 총매출 규모로 24위를 기록하였다."
[15] 문서 AMD는 스팬션 지분의 60%를 소유했기 때문에, AMD의 총매출은 스팬션의 총매출을 포함한다.
[16] 문서 "[[2003년]] [[4월 1일]]에, 르네사스 테크놀로지는 일본 반도체 기업 히타치와 미쓰비시가 합작하여 설립하였다."
[17] 문서 "[[2004년]] [[7월 16일]]에, 프리스케일 세미컨덕터는 반도체 모기업 모토로라에서 스핀오프하여 독립하였다."
[18] 문서 "[[2003년]]에, 스팬션은 AMD와 후지쯔가 합작하여 설립하였다."
[19] 문서 "[[2000년]]에, 어기어 시스템스는 반도체 모기업 루슨트 테크놀로지스에서 스핀오프하여 독립하였다."
[20] 웹사이트 "[[1999년]]까지 반도체 기업의 총매출은 가트너 데이터퀘스트의 통계를 참조하였다." http://www.gartner.c[...]
[21] 문서 "[[1999년]] [[4월]]에, 인피니온 테크놀로지스는 반도체 모기업 지멘스 AG에서 스핀오프하여 독립하였다."
[22] 문서 "[[1998년]]에, 톰슨 SA가 퇴출되면서, SGS-톰슨은 상호를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로 변경하였다."
[23] 문서 루슨트 테크놀로지스는 웨스턴 일렉트릭과 벨 연구소를 포함하는 초반의 AT&T 테크놀로지스에서 신설되었다. 루슨트 테크놀로지스는 [[1996년]]에 AT&T에서 스핀오프하여 독립하였다.
[24] 문서 "[[1987년]] [[6월]]에, SGS-톰슨은 이탈리아 기업 SGS마이크로일레트로니카 (Società Generale Semiconduttori)와 프랑스의 반도체 기업 톰슨 SA가 합병되어 설립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