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천역은 경상북도 영천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이다. 1918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37년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현재는 KTX-이음,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열차가 정차하며, 중앙선, 대구선, 동해선이 지나는 역이다. 주변 시설로는 영천경찰서 역전파출소, 영천우체국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칠곡 왜관성당
독일인 신부 알빈 슈미트가 설계한 칠곡 왜관성당은 당시 주류 양식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공간 구성이 특징이며, 설계 도면과 함께 보존되어 건축사적 가치를 지니지만 습기로 인해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 경상북도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안동역
안동역은 1931년 경북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차례 역명 변경과 역사 이전을 거쳤으며, 현재 KTX-이음 등 열차가 운행되고 안동버스터미널과 인접해 있으며, 1940년에 설치된 급수탑은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영천시의 문화유산 - 영천 조양각
영천 조양각은 금호강 벼랑 위에 있는 누각으로, 고려 공민왕 때 처음 세워졌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재건되었으며, 영천지방 문화의 상징이자 영남 7대 누각 중 하나이다. - 영천시의 문화유산 - 삼휴정
조선 시대 정호신이 지은 삼휴정은 마음, 말, 몸의 휴식을 의미하는 정자로, 영천댐 건설로 위치가 바뀌었으며 팔작지붕 형태에 대청마루와 방으로 구성된 조선 시대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 대구선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선 - 가천역
가천역은 경부선과 대구선이 지나는 경상북도 경산시의 철도역으로, 화물 운송에 집중하다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후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지상역이 되었다.
영천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언어 정보 | mlanguage: |- |
주소 |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 |
국가 | 대한민국 |
운영 정보 | |
노선 | 중앙선, 대구선 |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1918년 11월 1일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역 등급 | 2급 |
노선 정보 (중앙선) | |
영업 거리 | 청량리 기점 296.7 km |
이전 역 | 북영천 |
이전 역 간 거리 | 2.5 km |
다음 역 | 아화 |
다음 역 간 거리 | 15.1 km |
노선 정보 (대구선) | |
영업 거리 | 가천 기점 26.1 km |
이전 역 | 금호 |
이전 역 간 거리 | 7.4 km |
기타 정보 |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문화재 정보 | |
문화재 명칭 | 영천역 급수탑 |
![]() | |
지정 번호 | 50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 891 |
제작 시기 | 1937년 |
지정일 | 2003년 1월 28일 |
2. 연혁
- 1918년 11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2]
- 1938년 7월 1일: 표준궤로 개량[3]
- 1941년 3월 1일: 역사 준공
- 1971년 9월 10일: 무연탄 화물 도착역 지정[4]
- 1985년 6월 1일: 북영천, 송포신호장 통합 관리
- 1995년 11월 27일: 현재의 역사 준공
-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 중지
- 2009년 10월 31일: 화물 취급 중지[5]
- 2018년 11월 1일: 개업 100주년
- 2019년 12월: 대구선 금호~영천 구간 복선화 완료
- 2021년 7월: 대구선 전철화 완료
- 2021년 12월 28일: 중앙선 영천~경주 구간, 동해선 포항~태화강 구간 복선 전철화 완료
- 2023년 12월 18일: ITX-마음 운행 개시
- 2024년 12월 20일: KTX-이음 운행 개시 및 중앙선 도담~영천 구간 복선 전철화 완료
2. 1. 일제 강점기
1918년 11월 1일, 조선중앙철도 경동선 (협궤선)의 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당시 구 영천역은 현재 위치에서 약 3km 남쪽에 있었다.[1] 1937년 12월, 현재의 위치로 역을 이전하였다.1938년 7월 1일 대구-영천 구간이 표준궤로 변경되었고, 같은 해 12월 1일에는 영천-우보 구간이 개통되었다. 1939년 6월 1일에는 경주-영천 구간이 표준궤로 변경되었다.
2. 2. 해방 이후
1937년 12월 현재 위치로 이전하여 영업을 재개하였다.[1] 1938년 7월 1일 대구-영천 구간이 표준궤로 개궤되었고, 같은 해 12월 1일 영천-우보 구간이 개통되었다.[1] 1939년 6월 1일에는 경주-영천 구간이 표준궤로 개궤되었다.[1]3. 역 구조
영천역은 쌍섬식 승강장 구조로, 1번 승강장이 역 방면에 위치한다. 고상홈과 저상홈이 함께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1·2 승강장 | 대구선, 동해선, 중앙선, 영동선 | 무궁화호, 누리로, ITX-마음, KTX-이음 | 부전, 포항, 태화강 방면 |
---|---|---|---|
3·4 승강장 | 대구선, 동해선, 중앙선, 영동선 | 무궁화호, 누리로, ITX-마음, KTX-이음 | 영주, 청량리, 동해, 동대구 방면 |
영천역은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이다.
4. 운행 열차
영천역에는 KTX-이음,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가 정차한다. 대부분의 열차는 동대구역을 기점으로 운행하며, 일부 열차는 서울, 청량리, 부전, 포항, 태화강, 동해까지 운행한다.[1]
5. 인접한 역
동해선
동해선
동해선
중앙선
영동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