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하"는 기독교, 티베트 불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와 문화권에서 사용되는 존칭이다. 기독교에서는 가톨릭교회의 추기경, 동방 가톨릭 교회의 총대주교, 몰타 기사단 대공 등에게 사용된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고승이나 섭정에게, 이슬람교에서는 종교 지도자들에게 비공식적으로 사용된다. 국제 외교에서도 격식을 갖춘 호칭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칭 - 성하 (호칭)
    성하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황과 동방 정교회의 총대주교를 지칭하는 존칭으로, 가톨릭에서는 교황에게만, 동방 정교회에서는 총대주교에게 사용되지만, 최근 다른 종교 지도자에게도 사용되면서 논란이 있다.
  • 호칭 - Sir
    Sir는 남성에 대한 존칭으로, 기사 작위나 준남작 작위를 받은 남성에게 사용되며, 영국을 비롯한 영연방 국가에서 훈장을 수여받은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Sir' 칭호의 사용법은 칭호 사용 자격, 여성형 칭호인 '데임(Dame)' 및 '레이디(Lady)'의 사용법과 관련되어 있다.
  • 불교의 칭호 - 부처
    부처는 '깨달은 자'를 뜻하는 말로, 불교에서는 고통의 소멸의 길을 찾고 더 이상 배울 필요가 없는 경지에 이른 존재를 가리키며, 부처의 본성과 성불 과정에 대한 견해는 불교 종파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된다.
  • 불교의 칭호 - 선사
    선사는 불교에서 수행 승려에 대한 존칭으로, 특히 선 수행을 통해 높은 경지에 이른 승려를 지칭하며, 선종의 스승이나 전법을 인정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 기독교의 칭호 - 교황
    교황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최고 지도자이자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의 영적 지도자로서, 사도 베드로의 후계자로 여겨지며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교회의 행정, 사법, 입법 등을 총괄하고, 그의 지위와 권위에 대한 해석은 가톨릭교회 내외에서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 기독교의 칭호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는 동방 정교회의 총대주교로서 역사적으로 특별한 지위를 가지며, 공의회를 통해 로마 주교 다음가는 지위를 확보하고 세계 총대주교 칭호를 사용했으나, 오스만 제국 시대 룸 밀레트의 지도자 역할을 수행한 후 권한이 축소되었고, 현재 튀르키예 정부의 제한과 정교회 내부의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예하
개요
유형경칭
사용 대상고위 성직자, 특히 추기경
약칭H. Em.
역사적 맥락
기원17세기 초
설명고위 성직자, 특히 추기경을 지칭하는 경칭

2. 기독교에서의 사용

가톨릭교회에서 추기경은 '각하'라는 호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며, 동방 가톨릭 교회의 총대주교 중 추기경은 '각하' 또는 '성하'로 불릴 수 있다. 몰타 기사단장은 '가장 존경하는 전하'라는 호칭을 사용한다.[1] 정교회에서는 총대주교 아래의 대주교교구장 주교가 '각하'로 불린다.[2]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등은 '전하'로 불리기도 한다. 오리엔트 정교회에서도 대주교 직위의 교구장 주교는 '각하'라고 불린다.

2. 1. 가톨릭 교회

가톨릭교회에서 추기경은 공식적으로 "각하" 경칭으로 불린다.[1] 더 격식을 갖춘 호칭은 "'''각하'''[또는 추기경에게 직접 말할 때는 '''귀하'''] '''존경하는 추기경'''"이다.

동방 가톨릭 교회의 총대주교로서 추기경인 경우 "각하" 또는 가톨릭 총대주교 고유의 경칭인 '''성하'''로 불릴 수 있다.

몰타 기사단의 국가 원수인 몰타 기사단장은 1630년에 교회 제후로서의 지위를 인정받아 '''가장 존경하는 전하'''(HMEH)라는 경칭을 받았다.[1] 현대 몰타 기사단제후이자 대공은 여전히 이 경칭으로 불린다.

"각하", "존경하는 은총"과 같은 다른 경칭도 사용되었지만, 일부는 교황 또는 군주와 같은 다른 권력에 의해 공식화된 것이다. 그러나 다른 많은 경칭들은 단순히 추기경의 개인적인 선호와 다른 세속적인 직책의 공로에 따른 것이었다.

이 용어는 다른 신앙 또는 기독교 교파의 많은 개인들에게서 기피되지만, 이 호칭은 그 교리, 철학신학적 기원과 관계없이 국제 외교에서 공식적으로 유지된다.

2. 2. 정교회

정교회에서 총대주교 아래의 대주교교구장 주교는 "각하"라는 호칭을 사용한다.[2] 독립 교회의 대주교는 "전하(Beatitude)"라는 호칭을 사용한다. 명목상의 대교구장은 "각하(Excellency)"라는 호칭을 사용한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테살로니키교구장 주교(관할 구역 내에 있을 때)는 "전하(His All-Holiness)"라고 칭한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예루살렘총대주교, 그리고 세르비아 정교회, 불가리아 정교회러시아 정교회 총대주교는 "전하(His Holiness)"라고 불리며, 루마니아 정교회 총대주교는 "전하(His Beatitude)"라고 불린다. 조지아 정교회 총대주교는 "전하(His Holiness)이자 전하(His Beatitude)"라고 불리며, 유일하게 예외적으로 칭호를 사용한다.

2. 3. 오리엔트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에서 대주교 직위를 가진 교구장은 "각하"라고 불린다.

시리아 정교회에서 동방 가톨리코스이자 동방의 마프리안이며 인도 가톨리코스의 교회를 맡고 있는 주교는 "성하 가톨리코스"라고 불린다.

2. 4. 기타 기독교 교파

필리핀 독립 교회는 앵글로-가톨릭 성향의 독립 가톨릭 교단으로,[3] 교회의 수장인 최고 주교는 공식 칭호에서 "각하"라고 불린다.

3. 비기독교 종교에서의 사용

필리핀 독립 교회는 앵글로-가톨릭 성향의 독립 가톨릭 교단으로[3], 교회의 수장인 최고 주교는 공식 칭호에서 "각하"라고 불린다. 나이지리아의 풀라니족, 하우사족, 누페족 및 카누리족지방 전통 통치자들은 HRH 칭호 대신 이 칭호를 사용하며, 이는 그들의 지위가 정신적 지도자일 뿐만 아니라 세속적 지도자임을 강조한다. 라술 왕조의 군주는 '''각하'''로 불린다(약칭 '''HMERH''').[5]

3. 1. 티베트 불교

티베트 불교와 본교에서 "각하"는 여러 티베트 칭호(예: ''켄틴'')의 영어 번역으로, 연관된 계승자 및 계통의 섭정을 의미한다. 특정 계통의 계승자가 영어로 성하로 불리는 경우, 그 직속 스승은 일반적으로 "각하"라는 영어 칭호를 받는다. 예를 들어, 카르마 카규에서 제16대 걀와 카르마파 성하께서는 제17대 카르마파의 즉위 전까지 4명의 수제자를 두셨고, 이 4명의 고위 라마들은 "각하"라는 칭호를 사용했다/사용한다. 부탄의 남부 드룩파 카규에서는 쭝 드라창의 5명의 로폰이 "각하"로 불린다.

3. 2. 이슬람교

"각하"라는 칭호는 이슬람교에서 매우 존경받는 종교 지도자들에게 비공식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아마도 동양식 표현으로 번역된 것일 수 있다).[5] 예를 들어, 시아파아야톨라 또는 마르자, 바렐위 수니파의 이맘, 무르지테 교단의 대사부인 물라나 사이드 마다니 미아, 모리셔스의 물라나 쿠슈타르 시디키와 같은 개인들이 이 칭호로 불린다.[5] 그러나 이러한 칭호는 본질적으로 비공식적이다.[5]

4. 한국에서의 사용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단계의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지침에 따라 수정하여 출력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Order 1099–1999 http://www.orderofma[...] Sovereign Military Order of Malta, Grand Priory of England 2007-05-06
[2] 웹사이트 Forms of Addresses and Salutations for Orthodox Clergy https://www.goarch.o[...] 2019-02-19
[3] 뉴스 ‘Women are called’: Photo of female church leaders breaks religious stereotypes https://coconuts.co/[...] Coconuts Manila 2022-12-20
[4] 웹사이트 Murjite Order https://murjite.org/ 2021-05-24
[5] 웹사이트 Royal House of Tahir Buruj https://tahirburuj.c[...] 2021-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