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서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서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전국 시대 연나라가 북방 이민족을 방어하기 위해 설치한 요서군과 요동군에서 시작되었다. 진나라, 전한 시대에 걸쳐 유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신나라 시기에는 잠시 명칭이 변경되기도 했다. 후한 시대에는 오환족의 남하로 인해 일부 현이 폐지되거나 요동속국으로 이관되었으며, 위진 시대에는 선비족의 근거지가 되기도 했다. 북위 시대에는 평주에 속했으며, 수나라 시기에는 요서군이 재설치되어 유성현을 관할했다. 당나라 시대에는 연주총관부로 개칭되면서 군명으로서의 요서군은 소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랴오닝성의 군 - 현도군
    현도군은 기원전 107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예맥 땅에 설치한 한사군 중 하나로, 초기 함흥시 부근에 치소를 두었으나 예맥족 침입과 한나라 전략 변화로 요동군 내부로 이동, 고구려와 밀접한 관계를 맺다 319년 고구려에 정복되었으며, 위치에 대해서는 한반도 내 위치 여부 등 학계에서 논쟁이 있다.
  • 랴오닝성의 군 - 우북평군
    우북평군은 연나라가 설치한 군으로, 허베이성 북부와 랴오닝성 서부를 관할했으며, 시대에 따라 북순군, 북평군으로 불리다가 어양군, 평주 등으로 통합, 변경되었다.
  • 허베이성의 군 - 탁군
    탁군은 중국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의 바오딩 시, 창저우 시, 헝수이 시 일대에 해당한다.
  • 허베이성의 군 - 중산군
    중산군은 전한부터 수나라까지 존속하며 현재 허베이성 중남부에 위치했던 중국의 옛 군으로, 시대에 따라 행정구역과 소속 현에 변화가 있었고, 후한 말 흑산적의 주요 거점, 조위와 서진 시대 제후국, 오호십육국 시대 여러 나라의 영역으로 편입, 북위 시대 정주 소속 등의 변화를 겪다가 수나라 때 폐지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요서군
개요
위치현재의 허베이성 북동부, 랴오닝성 서부
존속 시기전국시대 ~ 당나라
폐지 시기당나라
역사
설치 시기전국시대
설치 국가연나라
주요 사건진나라에 의해 합병, 이후 한나라에 의해 재설치
변화시대에 따라 관할 구역의 변화가 있었음
최종 변화당나라 시기에 연주로 개편
행정 구역
관할 구역시대에 따라 다름 (현재의 허베이성 북동부, 랴오닝성 서부 일대)
정치
속한 국가연나라
진나라
한나라
위나라
서진
전연
후연
북연
북위
북제
수나라
당나라
기타
관련 지명요서 지방
비고요서군은 중국의 옛 군으로, 전국시대부터 당나라에 이르기까지 존재했다.

2. 역사

전국 시대, 연나라는 북방 이민족을 방어하기 위해 상곡군, 어양군, 우북평군과 함께 '''요서군''' 및 요동군을 처음 설치했다.[1]

기원전 222년, 진이 연나라를 멸망시키면서 연나라의 옛 땅에 상곡군, 어양군, 우북평군, 요서군, 요동군이 설치되었다.[2]

전한 시기 요서군은 유주자사부에 속했으며,[6] 원시 2년(2년) 기준 72,654호, 352,325명이 거주했다.[7][6]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에는 총 14개의 현을 관할했다. 치소는 고제의 사당이 있는 저려현일 가능성이 높고, 이후 후한 시기 치소인 양락현으로 옮겨졌을 수도 있다.

왕망을 건국한 후 9년(시건국 원년)에 일부 현의 명칭을 변경하였다.

후한 건국 후 만리장성 이남으로 오환이 남하하면서 요서군 지역에 변화가 생겼다. 해양현, 영지현, 비려현, 임유현, 양락현을 제외한 모든 현이 폐지되거나 진저우시 일대에 신설된 요동속국으로 이관되었다.[8] 후한 시기 교려현은 '창려현(昌黎縣)'으로 개칭되었다. 남은 5개 현은 14,150호 81,714명을 거느렸다.[8]

후한 말, 유성현 옛 땅에 오환이 거점을 세워 조조에게 대항하기도 했다. 49년(건무 25년), 오환족 대인(부족장) 학단(郝旦) 등이 후한에 조공하자 광무제는 그들을 유주 각 군에 거주하게 했고, 이에 따라 요서군에도 오환족이 살게 되었다.

조위 말부터 선비족이 난하 유역에 정착하였다. 선비족 중 우문부, 단부선비는 요서군 일대에, 모용부창려군 일대에 정착했다. 영가의 난 이후 모용부가 유성현의 고성 북쪽에 도성을 쌓고 이를 '용성'으로 삼았다.[9]

북위 때 요서군은 3현 537호 1,905명을 거느렸다. 처음에는 평주에 속했다가 나중에 영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1]

수나라581년부터 618년까지 존속했던 중국의 통일 왕조였다. 수나라 개황 초에 요서군에 총관부를 두었다가 대업 초에 폐지했다. 요서군은 1현 751호를 거느렸다.[10]

2. 1. 전국시대 ~ 진나라

전국 시대 때, 연나라는 북방 이민족을 방어할 목적으로 상곡군, 어양군, 우북평군과 함께 '''요서군''' 및 요동군을 처음 설치했다.[1]

기원전 222년, 진이 연나라를 멸망시키자, 잇따라 연나라의 옛 땅에 상곡군, 어양군, 우북평군, 요서군, 요동군이 설치되었다.[2]

2. 2. 전한

전한 시기 요서군은 유주자사부에 속했다.[6] 원시 2년(2년) 기준 72,654호, 352,325명이 거주했다.[7][6]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에는 총 14개의 현을 관할했다. 치소는 고제의 사당이 있는 저려현일 가능성이 높고, 이후 후한 시기 치소인 양락현으로 옮겨졌을 수도 있다.

왕망을 건국한 후 9년(시건국 원년)에 일부 현의 명칭을 변경하였다.

2. 2. 1. 속현 목록 (전한)

前漢|전한중국어 시기 요서군의 속현 목록은 다음과 같다. 원시 2년(2년) 기준 72,654호, 352,325명이 있었다.[6][7] 한서 지리지에 따르면 총 14개의 현이 있었다.[6]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저려현且慮縣진저우시 이현 북부 일대고제의 사당이 있다.
해양현海陽縣탕산시 롼현 남서부용선수가 동으로 봉대수로 들어가고, 봉대수와 수허수가 모두 남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염관이 있다.
신안평현新安平縣탕산시 롼현 북서부이수가 동으로 새외로 들어간다.
유성현柳城縣차오양시 남서부마수산이 남서에 있고, 참류수가 북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서부도위의 치소가 있다.
영지현令支縣탕산시 첸안시 서부고죽성이 있다. 응소에 따르면 옛 백이의 나라다.
비여현肥如縣친황다오시 루룽현 북부현수가 동으로 난수로 들어가고, 난수가 남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또 노수가 있어 남으로 현수로 들어간다. 응소에 따르면 옛 비나라 임금이 연나라로 망명한 후 연나라에서 받은 땅이라 한다.
빈종현賓從縣진저우시 북부
교려현交黎縣진저우시 이현유수가 새외에서 갈라져 나와 남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동부도위의 치소가 있다.
양락현陽樂縣진저우시 이현 서부
호소현狐蘇縣차오양시 남동부당취수가 도하현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도하현徒河縣진저우시
문성현文成縣후루다오시 젠창현 동부
임유현臨渝縣차오양시 동부유수가 백랑에서 갈려져나와 동으로 새외로 들어간다. 또 후수가 있어 북으로 유수로 들어간다.
누현絫縣친황다오시 창리현 남부하관수가 남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또 갈석수와 빈수가 있어 모두 남으로 관수로 들어간다.



왕망을 건국한 후 9년(시건국 원년)에 현의 명칭이 아래와 같이 바뀌었다.

변경 전변경 후
저려현(且慮縣)서려현(鉏慮縣)
영지현(令支縣)영씨정(令氏亭)
비여현(肥如縣)비이현(肥而縣)
빈종현(賓從縣)면무현(勉武縣)
교려현(交黎縣)금로현(禽虜縣)
도하현(徒河縣)하복현(河福縣)
문성현(文成縣)언로현(言虜縣)
임유현(臨渝縣)봉덕현(馮徳縣)
누현(絫縣)선무현(選武縣)


2. 3. 신나라

왕망이 세운 신나라전한의 현(縣) 이름을 일부 변경하였다. 이후 후한이 성립되자 신나라에서 고쳤던 현의 이름은 다시 전한의 명칭으로 되돌려졌다.

2. 3. 1. 속현 이름 변경 (신나라)

전한
저려서려(鉏慮)
영지영지정(令氏亭)
비려비이(肥而)
빈종면무(勉武)
교려금로(禽虜)
도하하복(河福)
문성언로(言虜)
임유빙덕(馮德)
선무(選武)



후한이 성립되자 신나라에서 고쳤던 현의 이름이 전한의 명칭으로 되돌려졌다.

2. 4. 후한

후한 건국 후 만리장성 이남으로 오환이 남하하면서 요서군 지역에 변화가 생겼다. 해양현, 영지현, 비려현, 임유현, 양락현을 제외한 모든 현이 폐지되거나 진저우시 일대에 신설된 요동속국으로 이관되었다.[8] 후한 시기 교려현은 '창려현(昌黎縣)'으로 개칭되었다. 남은 5개 현은 14,150호 81,714명을 거느렸다.[8]

요서군의 변천
전한후한
요서군해양현, 영지현, 비려현, 임유현, 양락현요서군해양현, 영지현, 비려현, 임유현, 양락현
도하현, 빈종현, 교려현요동속국도하현, 빈종현, 교려현
저려현, 신안평현, 유성현, 호소현, 문성현, 누현폐지저려현, 신안평현, 유성현, 호소현, 문성현, 누현



후한 말, 유성현 옛 땅에 오환이 거점을 세워 조조에게 대항하기도 했다. 49년(건무 25년), 오환족 대인(부족장) 학단(郝旦) 등이 후한에 조공하자 광무제는 그들을 유주 각 군에 거주하게 했고, 이에 따라 요서군에도 오환족이 살게 되었다.

2. 4. 1. 속현 목록 (후한)

요서군의 속현 목록 (후한)
현명비고
양락현
해양현
영지현
비려현
임유현



후한 건국 이후 만리장성 이남으로 오환이 남하하면서 해양현, 영지현, 비려현, 임유현, 양락현의 5개 현을 제외한 모든 현들이 폐지되거나 진저우시 일대에 신설된 요동속국으로 이관되었다.[8] 이 5개 현에서 14,150호 81,714명을 거느렸다.[8]

2. 5. 위진

조위 말부터 선비족이 난하 유역에 정착하였다. 선비족 중 우문부, 단부선비는 요서군 일대에, 모용부창려군 일대에 정착했다. 영가의 난 이후 모용부가 유성현의 고성 북쪽에 도성을 쌓고 이를 '용성'으로 삼았다.[9]

2. 5. 1. 속현 목록 (위진)

요서군 속현 목록 (위진)
현명(한자)현명(한글)대략적 위치비고
陽樂縣양락현변함 없음
肥如縣비려현
海陽縣해양현



3현 2,800호를 거느렸다.[9]

2. 6. 남북조시대

북위 때 요서군은 3현 537호 1,905명을 거느렸다. 처음에는 평주에 속했다가 나중에 영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1]

2. 6. 1. 속현 목록 (북위)

북위 요서군 속현 목록
현명(한자)현명(한글)대략적 위치비고
肥如縣비려현변화 없음고죽산사(孤竹山祠), 갈석산(碣石山), 무왕사(武王祠), 영지성(令支城), 황산(黃山), 난하(濡河)가 있었다. 평주자사부가 있었고, 낙랑군 주민들이 현 서부지역에 정착하면서 서부지역에 낙랑군이 설치되었다.
陽樂縣양락현태평진군 7년(446년) 영지현, 함자현을 통폐합했다. 무력산(武歷山), 복주산(覆舟山), 임유산(林榆山), 태진산(太眞山)이 있었다.
海陽縣해양현횡산(橫山), 신부산(新婦山), 청수(淸水)가 있었다.


2. 7. 수나라

수나라581년부터 618년까지 존속했던 중국의 통일 왕조였다. 수나라는 개황 초에 요서군에 총관부를 두었다가 대업 초에 폐지했다. 요서군은 1현 751호를 거느렸다.[10]

2. 7. 1. 속현 목록 (수나라)

개황 초에 총관부를 두었다가 대업 초에 폐지했다. 1현 751호를 거느렸다.[10]

수나라 요서군 속현 목록
현명(한자)현명(한글)대략적 위치비고
柳城縣유성현차오양 시북위가 화룡성에 설치한 영주는 건덕군, 기양군, 창려군, 요동군, 낙랑군, 영구군 등의 군과 용성현(龍城縣), 대흥현(大興縣), 영락현(永樂縣), 대방현(帶方縣), 정황현(定荒縣), 석성현(石城縣), 광도현(廣都縣, 現 후루다오 시 젠창 현), 양무현(陽武縣), 양평현(襄平縣), 신창현(新昌縣), 평강현(平剛縣, 現 차오양 시 링위안 시 서), 유성현(柳城縣, 차오양), 부평현(富平縣) 등의 현을 관할했다. 북제에서 건덕군, 기양군, 영락현, 대방현, 용성현, 대흥현을 유지하고 나머지는 모두 폐지했다. 581년(수문제 개황 원년), 건덕군, 용성현을 남기고 나머지를 모두 폐지했다. 남은 건덕군이 폐지되면서 용성현은 용산현으로 격하되었다. 598년(수문제 개황 18년) 용산현을 유성현으로 개명했고 대업 초에 요서군을 신설했다. 대방산(帶方山), 독려산(禿黎山), 계명산(雞鳴山), 송산(松山), 유수(渝水), 백랑수(白狼水)가 현 경내에 있었다.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Later Han
[3] 서적 Book of Jin
[4] 서적 Book of Sui
[5] 서적 New Book of Tang
[6]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7] 서적 한서
[8] 서적 후한서-113권 https://zh.wikisourc[...]
[9] 서적 진서-권14 https://zh.wikisourc[...]
[10] 서적 수서 29권 지 제30 지리지 中 기주 요서군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