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하네스 슈타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하네스 슈타르크는 1874년 독일에서 태어난 물리학자이다. 그는 뮌헨 공과 대학을 졸업하고, 아헨 공과대학,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 뷔르츠부르크 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국립 물리 기술 연구소 소장으로도 활동했다. 1905년 도플러 효과를 발견하고, 1913년 슈타르크 효과를 발견하여 양자 이론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191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나치 정권 하에서 유대인 물리학자들을 비판하며 '도이치 물리학'을 주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후 나치 협력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1957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대학 교수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대학 교수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는 행렬역학과 불확정성 원리를 발표하여 양자역학 확립에 크게 기여한 독일의 이론물리학자로, 나치 독일의 핵무기 개발 계획에 참여했으나 전후 독일 과학 연구 발전에 기여했으며 193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분광학자 - 피터 디바이
피터 디바이는 분자 구조 및 물질의 물리적 성질 연구에 기여한 네덜란드 출신의 물리화학자로, 노벨 화학상 수상, 데바이 단위, 데바이 모델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나치 독일 시대 행적 논란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연구를 지속하며 현대 화학 및 물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분광학자 - 로버트 컬
로버트 컬은 풀러렌 발견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화학자로서, 라이스 대학교에서 분광학, 자유 라디칼, 양자 캐스케이드 레이저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며 교수로 재직했고, 은퇴 후 명예교수가 되었다. - 독일의 물리학자 -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은 브라운관과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를 개발하고 무선 전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1909년 무선 전신 개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독일의 물리학자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외교관, 법학자, 도서관학자이자 언어학자로,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며 모나드론과 예정조화설을 주장했고, 미적분학을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이진법을 체계화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했다.
요하네스 슈타르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요하네스 슈타르크 |
출생 | 1874년 4월 15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바이에른 왕국 시켄호프 |
사망 | 1957년 6월 21일 |
사망지 | 서독 바이에른주 트라운슈타인 |
국적 | 독일 |
학력 | |
모교 | 뮌헨 대학교 (박사) |
박사 지도 교수 | 오이겐 폰 롬멜(가상 링크) |
경력 | |
주요 근무 기관 | 괴팅겐 대학교 하노버 대학교 아헨 공과대학교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가상 링크) 뷔르츠부르크 대학교(가상 링크) |
업적 | |
주요 업적 | 슈타르크 효과 슈타르크-아인슈타인 법칙 |
수상 | |
수상 내역 | 마테우치 메달 (1915년) 노벨 물리학상 (1919년) 카날선의 도플러 효과 발견 전기장 내에서 스펙트럼 선 분리 발견 |
학문 분야 | |
분야 | 물리학 |
2. 생애
1874년 4월 15일 바이에른주 프라이훙(Freihung)에서 태어나 뮌헨 공과 대학을 졸업했다. 그는 아헨 공과대학, 그라이프스발트, 뷔르츠부르크 대학 교수 등을 역임하며 물리학 연구와 교육에 힘썼다.
주요 업적으로는 1905년 양극선에서 도플러 효과를 발견한 것과, 1913년 전기장 속에서 스펙트럼선이 갈라지는 현상인 '슈타르크 효과'를 발견한 것이 있다. 이러한 발견은 양자 이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이 공로로 191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나치 당이 집권한 이후, 슈타르크는 동료 노벨상 수상자인 필리프 레나르트와 함께 인종차별적인 유사과학 운동인 도이치 물리학을 주도했다. 그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비롯한 유대인 물리학자들을 "유대인 물리학"이라며 맹렬히 비판하고 공격하는 등, 과학자로서의 명성에 오점을 남기는 행보를 보였다. 또한, 1933년부터 1939년까지 나치 정권 하에서 국립 물리 기술 연구소 소장을 지내며 정권에 적극 협력했다.
1957년 6월 21일 트라운슈타인에서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
1874년 4월 15일 바이에른 왕국 (현재 프라이훙)의 쉬켄호프에서 태어났다. 바이로이트 김나지움과 레겐스부르크에서 중등 교육을 받았다. 이후 뮌헨 대학교에 1894년 입학하여 물리학, 수학, 화학, 결정학을 공부했으며, 1897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의 박사 학위 논문 제목은 ''Untersuchung über einige physikalische, vorzüglich optische Eigenschaften des Rußes|운터주훙 위버 아이니게 피지칼리셰, 포어취글리히 옵티셰 아이겐샤프텐 데스 루세스deu''(매연의 물리적, 특히 광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였다.2. 2. 학문적 경력
뮌헨 공과 대학을 졸업한 후, 슈타르크는 1900년까지 자신의 모교 물리학 연구소에서 여러 직책을 맡았다. 이후 게팅겐 대학교에서 무보수 강사로 활동하다가 1906년에는 하노버 라이프니츠 대학교의 특별 교수가 되었고, 1908년에는 아헨 공과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다.그는 연구 활동을 통해 중요한 과학적 발견을 이루었다. 1905년에는 양극선(채널선)에서 도플러 효과를 발견했으며, 1913년에는 전기장 속에서 스펙트럼선이 갈라지는 현상인 '슈타르크 효과'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업적은 양자 이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슈타르크는 아헨 공과대학교 교수를 시작으로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1917-1920), 뷔르츠부르크 대학교(1920-1922) 등 여러 대학의 물리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와 교육 활동을 이어갔다. 그는 주로 전기 및 관련 분야에 대해 30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러한 학문적 공헌을 인정받아 슈타르크는 여러 상을 수상했으며, 특히 "채널선에서의 도플러 효과 발견과 전기장에서 스펙트럼 선이 분리되는 현상 발견"의 공로로 191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주요 수상 내역'''
연도 | 상 이름 | 수여 기관 |
---|---|---|
1910 | 바움가르트너 상 | 비엔나 과학 아카데미 |
1914 | 발브루흐 상 | 게팅겐 과학 아카데미 |
1919 | 노벨 물리학상 |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 |
(연도 미상) | 마테우치 메달 | 로마 아카데미 |
한편, 슈타르크는 '방사능 및 전자공학 연감'(Jahrbuch der Radioaktivität und Elektronik|야르부흐 데어 라디오악티비테트 운트 엘렉트로니크de) 편집인으로 활동하며, 1907년 당시에는 비교적 덜 알려졌던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게 상대성 원리에 대한 검토 논문을 의뢰하기도 했다. 슈타르크는 초기에는 아인슈타인의 연구에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자신의 논문에서 로렌츠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원리 및 플랑크의 질량-에너지 등가성(''E''0 = ''m''0''c''2)을 인용하기도 했다.[2] 그러나 이후 나치당이 집권하자, 슈타르크는 필리프 레나르트와 함께 인종차별적인 도이치 물리학 운동을 주도하며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같은 유대인 물리학자들을 공공연히 비판하는 모순적인 행보를 보였다.[4]
1933년부터 1939년 은퇴할 때까지 슈타르크는 독일 물리 기술 연구소(Physikalisch-Technische Bundesanstalt) 소장과 독일 연구 협회(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회장을 역임하며 나치 정권 하에서 과학계의 주요 직책을 맡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노벨상 상금으로 마련한 개인 연구소에서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7] 1970년 국제 천문 연맹은 그의 나치 활동 전력을 인지하지 못한 채 달 뒷면의 분화구 이름을 '슈타르크'로 명명했으나,[5] 이 이름은 2020년 8월 12일 공식적으로 삭제되었다.[6]
2. 3. 나치와의 관계
1924년부터 슈타르크는 히틀러를 지지했다.[8] 나치 당이 독일 정권을 장악하자, 슈타르크는 동료 노벨상 수상자인 필리프 레나르트와 함께 '도이치 물리학' 운동을 이끌었다. 이는 1930년대 나치 독일에서 나타난 인종차별적인 물리학 흐름으로, 슈타르크는 이를 통해 독일 물리학계의 지도자가 되려 했다. 그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같은 유대인 물리학자들을 비판하며 그들의 연구를 "유대인 물리학"이라고 폄하했다.[8]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옹호하자, 슈타르크는 공식 SS 신문인 ''다스 슈바르체 코르프스''에 격분한 기사를 기고하며, 유대인이 아니었던 하이젠베르크를 "백인 유대인"이라고 비난했다.[8]
1934년 8월 21일, 슈타르크는 동료 물리학자이자 노벨상 수상자인 막스 폰 라우에에게 편지를 보내 나치당의 방침을 따르지 않으면 불이익을 당할 것이라고 협박했다. 이 편지는 "Heil Hitler"라는 인사말로 끝맺었다.[9]
같은 해 출간한 저서 ''국가 사회주의와 과학''(Nationalsozialismus und Wissenschaft)에서 슈타르크는 과학자의 최우선 임무는 국가에 봉사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독일의 무기 생산과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 분야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이론 물리학을 "유대적"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나치 독일의 과학 관련 직책은 오직 순수 혈통의 독일인만이 맡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슈타르크는 ''다스 슈바르체 코르프스''에 기고한 글에서, 인종적 반유대주의가 성공하더라도 "유대 정신" 자체를 뿌리 뽑지 못하면 이는 '부분적인 승리'에 불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또한 그 전달자가 아름다운 아리아인 통행증을 소지하고 있다면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아무런 방해 없이 피가 흐를 수 있는 유대 정신을 근절해야 한다"고 썼다.[10]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인 1947년, 슈타르크는 나치 청산 법정에서 "중범죄자"로 분류되어 4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이 형은 후에 집행 유예되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슈타르크는 83세가 되던 1957년 6월 21일 트라운슈타인에서 사망하였다. 사망할 때까지 오버바이에른의 트라운슈타인 근처에 있는 구트 에펜슈타트에서 여생을 보냈으며, 쾨니히스 호반의 쇤아우에 있는 산악 묘지에 묻혔다.[11]3. 연구 업적
요하네스 슈타르크는 주로 전기 및 관련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3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주요 연구 업적으로는 1905년 카날선에서 도플러 효과를 발견한 것과 1913년 전기장 속에서 스펙트럼선이 갈라지는 슈타르크 효과를 발견한 것이 있다. 이러한 발견들은 양자 이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19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으로 이어졌다.
그는 노벨상 외에도 비엔나 과학 아카데미의 바움가르트너 상(1910년), 게팅겐 과학 아카데미의 발브루흐 상(1914년), 로마 아카데미의 마테우치 메달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4]
3. 1. 도플러 효과 발견
요하네스 슈타르크는 1905년 카날선에서 도플러 효과를 발견했다. 이 발견은 1913년에 발견한 슈타르크 효과와 함께 그의 주요 과학적 업적으로 꼽히며, 이러한 공로로 191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3. 2. 슈타르크 효과 발견
슈타르크 효과는 전기장 안에 놓인 원자나 분자가 방출하는 발광 스펙트럼 선이 여러 개의 선으로 갈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요하네스 슈타르크는 1913년 양극선(카날선)을 이용하여 수소의 스펙트럼선에서 이 효과를 처음으로 발견하였으며[4], 이는 그의 가장 중요한 과학적 업적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슈타르크는 이 발견과 더불어 1905년 카날선에서 도플러 효과를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1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4]
3. 3. 기타 연구
슈타르크는 '방사능 및 전자공학 연감'의 편집자로서 활동하며, 1907년 당시에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던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게 상대성 원리에 대한 검토 논문을 써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아인슈타인의 초기 연구와 상대성 원리에 깊은 인상을 받았던 것으로 보이며, 1907년 물리 저널에 발표한 자신의 논문에서 "H. A. 로렌츠와 A. 아인슈타인에 의해 공식화된 상대성 원리"와 "플랑크의 관계식 ''M''0 = ''E''0/''c''2"를 인용하기도 했다.[2] 이 논문에서 슈타르크는 ''e''0 = ''m''0''c''2 방정식을 사용하여 "기본적인 에너지 양자", 즉 정지 상태에 있는 전자의 질량에 해당하는 에너지의 양을 계산했다.슈타르크의 요청으로 아인슈타인이 해당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3] 훗날 일반 상대성 이론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게 되었고, 이는 아인슈타인이 세계적인 명성을 얻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슈타르크가 이후 나치즘에 동조하며 독일 물리학 운동을 이끌고 아인슈타인과 상대성 이론을 격렬하게 비판하는 인물로 변모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아이러니한 부분이다.[4]
슈타르크는 주로 전기 및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300편이 넘는 방대한 양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노벨 물리학상 외에도 비엔나 과학 아카데미의 바움가르트너 상(1910년), 게팅겐 과학 아카데미의 발브루흐 상(1914년), 그리고 로마 아카데미의 마테우치 메달 등 여러 상을 수상했다. 물리학 분야에서 그의 가장 널리 알려진 업적은 1913년에 발견한 슈타르크 효과이다.
한편, 1970년 국제 천문 연맹은 그의 과학적 업적을 기려 달 뒷면의 한 분화구에 그의 이름을 붙였으나, 이후 그의 나치 부역 행적이 논란이 되면서 2020년 8월 12일 이 이름은 공식적으로 삭제되었다.[5][6]
개인적으로 슈타르크는 루이제 위플러와 결혼하여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과수 재배와 임업을 취미로 삼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노벨상 상금으로 마련한 개인 연구소에서 전기장 내 빛의 굴절 현상 등을 연구하며 말년을 보냈다.[7]
4. 수상 경력
1919년 양극선에서 도플러 효과를 발견하고, 전기장에서 스펙트럼선이 갈라지는 현상(슈타르크 효과)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2]
그 외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수상 연도 | 상 이름 | 수여 기관 |
---|---|---|
1910년 | 바움가르트너 상 | 오스트리아 과학 아카데미 |
1914년 | 발브루흐 상 | 괴팅겐 과학 아카데미 |
연도 미상 | 마테우치 메달 | 이탈리아 국립 과학 아카데미 Accademia Nazionale delle Scienze detta dei XLit |
5. 저서
- ''갈바니 전기로 가열된 탄소로부터 희석된 기체로의 전기의 방전.'' ('Annalen der Physik und Chemie', Neue Folge, Band 68에서 발췌). 라이프치히, 1899
- ''희석된 기체를 통한 갈바니 전기로 가열된 탄소와 금속 사이의 전기 전류.'' ('Annalen der Physik und Chemie', Neue Folge, Band 68에서 발췌). 라이프치히, 1899
- ''지속적인 전기 전류에 의한 기체의 전도율 변화.'' ('Annalen der Physik', 4. Folge, Band 2에서 발췌). 라이프치히, 1900
- ''희석된 기체의 전기적 발광에 대한 가열의 영향에 관하여.'' ('Annalen der Physik', 4. Folge, Band 1에서 발췌). 라이프치히, 1900
- ''희석된 기체에서의 전기 방전 시 정전기적 효과에 관하여.'' ('Annalen der Physik', 4. Folge, Band 1에서 발췌). 라이프치히, 1900
- ''Kathodenstrahlreflexion에 관한 오스틴과 슈타르케 씨의 발표에 대한 비판적 논평.'' ('Verhandlungen der Deutschen Physikalischen Gesellschaft', Jahrgang 4, Nr. 8에서 발췌). 브라운슈바이크, 1902
- ''원자 동역학의 원리. 1부. 전기적 양자.'', 1910
- ''계열선의 방출의 경우 빛의 양자 가설의 어려움.'' ('Verhandlungen der Deutschen Physikalischen Gesellschaft', Jg. XVI, Nr 6에서 발췌). 브라운슈바이크, 1914
- ''헬륨의 아크 및 스파크 스펙트럼에 대한 고찰''. ('Verhandlungen der Deutschen Physikalischen Gesellschaft.', Jg. XVI, Nr. 10에서 발췌). 브라운슈바이크, 1914
- ''원자가설에서 비롯된 결과. III. 빛의 진동면의 자연 회전.'' ('Jahrbuch der Radioaktivität und Elektronik', Heft 2, 5월 1914에서 발췌), 라이프치히, 1914
- ''전기장과 자기장을 통해 선을 동시에 분해하는 방법.'' ('Verhandlungen der Deutschen Physikalischen Gesellschaft.', Jg. XVI, Nr. 7에서 발췌). 브라운슈바이크, 1914
- ''독일 물리학의 현재 위기'', 1922
- ''화학 원자가의 본질'', 1922
- ''히틀러 정신과 과학'', 1924, 필리프 레나르트와 함께
- ''빛 방출의 축 방향성과 원자 구조'', 베를린 1927
- ''원자 구조와 원자 결합'', A. 세이델, 베를린 1928
- ''질소 화학의 원자 구조적 기초.'', 라이프치히, 1931
- ''국가 사회주의와 가톨릭 교회'', 1931
- ''국가 사회주의와 가톨릭 교회. II부: 독일 주교의 발표에 대한 답변.'', 1931
- ''국민 교육'', 1932
- ''국가 사회주의와 과학'', 1934
- "물리학의 실용적 정신과 독단적 정신" (The Pragmatic and the Dogmatic Spirit in Physics), 네이처 141권, 3574호, 770–772쪽 (1938).
- ''원자 표면의 물리학'', 1940
- ''유대인 물리학과 독일 물리학'', 빌헬름 뮐러와 함께, 뮌헨 대학교에서 1941년에 집필
- ''국민 교육, 중앙 지배 및 예수회 정치''
- ''히틀러의 목표와 인격''
6. 비판과 논란
1924년부터 슈타르크는 히틀러를 지지했다.[8] 나치즘 정권 시기, 그는 동료 노벨상 수상자인 필리프 레나르트와 함께 ''도이체 피지크''(Deutsche Physik, 독일 물리학) 운동을 주도하며 독일 물리학계의 지도자가 되고자 했다. 이들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유대인이 아니었음에도)의 연구를 소위 "유대인 물리학"이라 비난했다. 특히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을 옹호하자, 슈타르크는 공식 SS 신문인 ''다스 슈바르체 코르프스''에 격분한 기사를 기고하며 하이젠베르크를 "백인 유대인"이라고 불렀다.[8]
1934년 8월 21일, 슈타르크는 물리학자이자 동료 노벨상 수상자인 막스 폰 라우에에게 편지를 보내 나치당의 방침을 따르지 않으면 그 결과를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편지는 "Heil Hitler"라는 문구로 끝맺었다.[9]
같은 해 출간한 저서 ''국가 사회주의와 과학''(Nationalsozialismus und Wissenschaft)에서 슈타르크는 과학자의 최우선 임무는 국가에 봉사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따라서 중요한 연구 분야는 독일의 무기 생산과 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응용 과학 분야라고 역설했다. 그는 이론 물리학을 "유대적"이라고 비판했으며, 나치 독일의 과학 관련 직책은 순수 혈통의 독일인만이 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슈타르크는 ''다스 슈바르체 코르프스''에 기고한 글에서, 인종적 반유대주의가 승리하더라도 소위 "유대 정신" 자체가 근절되지 않는다면 이는 '부분적인 승리'에 불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 전달자가 훌륭한 아리아인 통행증을 소지하고 있다 하더라도, 오늘날처럼 아무런 방해 없이 퍼져나갈 수 있는 유대 정신을 반드시 근절해야 한다"고 썼다.[10]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인 1947년, 슈타르크는 나치 청산 법정에서 "주요 범죄자"(Major Offender)로 분류되어 4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이 형은 나중에 집행 유예로 변경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Entry in the catalogue of the Bavarian State Library, MunIch
http://opacplus.bsb-[...]
2012-07-27
[2]
논문
Elementarquantum der Energie, Modell der negativen und der positiven Elekrizitat
https://archive.org/[...]
1907
[3]
논문
Ueber das Relativitatprinzip und die aus demselb gezogenen Folgerungen
1907
[4]
서적
Einstein and Nordström: Some Lesser-Known Thought Experiments in Gravitation
Birkhäuser
[5]
웹사이트
Astronomers unknowingly dedicated moon craters to Nazis
https://www.prospect[...]
2020-06-26
[6]
웹사이트
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
https://planetarynam[...]
[7]
웹사이트
Johannes Stark – Biography
http://nobelprize.or[...]
2012-07-27
[8]
서적
Serving the Reich: The Struggle for the Soul of Physics under Hitler
https://www.scientif[...]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
웹사이트
Turkey's Modernization: Refugees from Nazism and Atatürk's Vision
http://www.newacadem[...]
2007-01-03
[10]
간행물
Nazi Race Ideologues
[11]
뉴스
Ausflug in die Vergangenheit
https://www.berchtes[...]
Berchtesgadener Anzeiger
2013-07-09
[12]
문서
高橋(2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