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갈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갈퉁은 노르웨이 출신의 사회학자이자 평화 연구의 선구자로, 1930년에 태어나 2024년에 사망했다. 그는 오슬로 대학교에서 수학과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오슬로 국제 평화 연구소(PRIO)를 설립하고 학술지 《평화연구 저널》을 창간하여 유럽의 평화 연구를 주도했다. 갈퉁은 폭력, 평화, 평화 구축에 대한 독창적인 이론을 제시했으며, 특히 '구조적 폭력'과 '적극적 평화' 개념을 통해 평화의 의미를 확장했다. 그는 세계 여러 분쟁 지역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했으며, 100권이 넘는 저서를 출판했다. 갈퉁은 미국, 유대인, 이스라엘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와 공산주의 정권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로 논란을 겪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저술가 - 바르그 비케르네스
노르웨이의 음악가, 작가, 블로거인 바르그 비케르네스는 블랙 메탈 밴드 부르줌의 창시자이자 메이헴 기타리스트 살해 및 교회 방화 사건 연루, 극우 성향 사상 활동으로 논란이 된 인물이다.
요한 갈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요한 갈퉁 |
원어 이름 | Johan Galtung |
출생 이름 | 요한 빈센트 갈퉁 |
출생일 | 1930년 10월 24일 |
출생지 | 오슬로, 노르웨이 |
사망일 | 2024년 2월 17일 |
사망지 | 스타베크 헬세후스 오스피스, 바룸, 노르웨이 |
배우자 | 잉리드 에이데 (1956년 결혼, 1968년 이혼) 후미코 니시무라 (1969년 결혼) |
자녀 | 4명 |
학문 분야 | |
분야 | 사회학, 평화 및 갈등 연구 |
출신 학교 | 오슬로 대학교 |
연구 기관 | 컬럼비아 대학교 오슬로 대학교 오슬로 국제평화연구소 |
주요 업적 | 평화 및 갈등 연구의 주요 창시자 |
특기 개념 | 구조적 폭력, 적극적 평화, Conflict triangle |
수상 | |
수상 | 라이트 라이블리후드 상 (1987년) |
직위 | |
직위 | 오슬로 국제평화연구소 설립자 겸 소장 |
임기 시작 | 1959년 |
임기 종료 | 1969년 |
후임 | 아스비외른 에이데 |
2. 생애
요한 갈퉁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출생했다. 그의 아버지와 외할아버지는 모두 의사였으며, 갈퉁 성은 외할아버지가 태어난 호르달란에서 유래했다.[6] 바이킹 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귀족 가문 출신으로, 아버지는 의사이자 육군 소위, 오슬로 부시장을 역임한 인물이다.[51]
그는 오슬로 대학교에서 1956년 수학으로 cand. real.[3] 학위를, 1957년에는 사회학으로 mag. art.(PhD)[3][4] 학위를 받았다.[52] 20대 중반 무렵에는 양심적 병역 거부자로서 12개월간 단순 노동에 종사했다.[51] 이후 노동 기간 연장을 거부하여 6개월간 노역형 감옥에 수감되었다.[51] 1951년 그는 이미 헌신적인 평화 중재자였으며, 의무 군 복무 대신 18개월의 사회 봉사를 선택했다. 12개월 후, 갈퉁은 남은 사회 봉사 기간을 평화와 관련된 활동에 쏟겠다고 주장했다.[8]
갈퉁은 제2차 세계 대전을 겪었고, 12살 때 아버지가 나치에 체포되는 것을 목격했다. 그는 두 번 결혼했으며, 첫 번째 부인인 잉그리드 아이데와는 하랄드 갈퉁과 안드레아스 갈퉁 두 자녀를, 두 번째 부인인 후미코 니시무라와는 이렌 갈퉁과 프레드릭 갈퉁 두 자녀를 두었다.[6]
1964년 세계 평화학회를 발족하고 1970년대 이후 남북한을 수십 회 방문하여 남북한의 평화 통일을 위해 노력했다. 또 한국의 여러 대학을 찾아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평화에 대한 강연활동을 했다. 1975년 최초로 13개의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5]
갈퉁은 2024년 2월 17일 노르웨이 베룸의 스타베크 헬세후스 앤드 호스피스에서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 그의 딸 이렌 갈퉁은 부검을 요구했고, 최종 부검 보고서(2024년 9월)는 사망 원인이 폐렴이라고 밝혔다. 스타베크 헬세후스는 그가 폐렴에 걸린 것을 알지 못했고, 확인하지도 않았으며, 치료하지도 않았다. 2024년 10월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갈퉁은 2024년 2월 2일부터 17일까지 스타베크 헬세후스에서 살고 싶다는 의사를 여러 번 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치료도 받지 못했다. 2024년 2월 6일, 스타베크 헬세후스 의사는 요한이 죽어가고 있는 것이 아니며, 수주,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살 수 있다고 확인했다. 갈퉁은 위험하다고 말했기 때문에 원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스타베크 헬세후스에서 모르핀을 투여받았다. 그가 모르핀이 필요한 수준의 통증을 겪고 있었다는 징후는 없었다. 갈퉁은 사망하기 전날들에 모르핀 투여량이 증가했다. 2024년 2월 17일 오전 6시, 사망하기 직전에 모르핀을 투여받았다.
요한 갈퉁은 1930년 10월 24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출생했다.[55] 오슬로 대학교에서 수학과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52] 그는 1959년 오슬로 국제 평화 연구소(PRIO)를 설립하고 1970년까지 소장을 역임했다.[53] 1964년에는 학술지 ''평화연구 저널''(Journal of Peace Research)을 창간하여 편집장으로서 유럽의 평화 연구를 주도했다.[9][53]
갈퉁은 뉴욕시의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사회학과 조교수로 5학기 동안 강의한 후,[8] 1969년 PRIO를 떠나 오슬로 대학교에서 평화 및 갈등 연구 교수직을 맡았고, 1978년까지 그 직책을 유지했다.[9] 그는 두브로브니크 국제대학교 센터의 사무총장이었으며 세계 미래 연구 연맹의 설립과 운영을 도왔다.[11][12] 칠레 산티아고, 제네바의 국제연합대학교, 독일의 비텐/헤르데케 대학교[13]를 포함한 다른 대학들에서 방문 교수직을 역임했으며, 미국에서는 컬럼비아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및 하와이 대학교에서도 활동했다.[14] 2014년에는 말레이시아 국제 이슬람 대학교의 최초의 투안 마하티르 글로벌 평화 교수로 임명되었다.[15]
1993년, 평화적인 수단을 통한 분쟁 해결을 위한 국제 NGO인 TRANSCEND International(트랜센드 인터내셔널)을 설립했다.[18][19][54] 1987년 올바른 생계상을 수상했다.[53] 경제학자이자 동료 평화 연구자인 케네스 볼딩은 갈퉁에 대해 "그의 연구 성과는 방대하고 다양하여 인간이 한 일이라고 믿기 어렵다"고 말했다.[16] 그는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 회원이었다.[17]
갈퉁은 20대 중반 무렵에는 양심적 병역 거부자로서 12개월간 단순 노동에 종사했다. 이후 노동 기간 연장을 거부하여 6개월간 노역형 감옥에 수감되었다.[51]
요한 갈퉁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출생하여 오슬로 대학교에서 수학과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52] 1959년 오슬로 국제 평화 연구소(PRIO)를 설립하고 1970년까지 소장을 역임했다.[9][53] 1964년에는 세계 평화학회를 발족하고, 학술지 ''평화연구 저널''을 창간하여 편집장으로서 유럽의 평화 연구를 주도했다.[9][10][53] 1970년대 이후 남북한을 수십 회 방문하여 남북한의 평화 통일을 위해 노력했으며, 한국의 여러 대학에서 평화에 대한 강연활동을 했다.
갈퉁은 뉴욕시의 컬럼비아 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로 5학기 동안 강의했으며,[8] 1969년 오슬로 대학교에서 평화 및 갈등 연구 교수직을 맡아 1978년까지 재직했다.[9] 두브로브니크 국제대학교 센터의 사무총장, 세계 미래 연구 연맹의 설립과 운영을 도왔으며,[11][12] 칠레 산티아고, 제네바의 국제연합대학교, 독일의 비텐/헤르데케 대학교[13], 미국의 컬럼비아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하와이 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방문 교수로 활동했다.[14] 2014년에는 말레이시아 국제 이슬람 대학교의 최초의 투안 마하티르 글로벌 평화 교수로 임명되었다.[15]
케네스 볼딩은 갈퉁의 연구 성과에 대해 "방대하고 다양하여 인간이 한 일이라고 믿기 어렵다"고 평가했다.[16] 갈퉁은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 회원이었다.[17]
1993년 평화적인 수단을 통한 분쟁 해결을 위한 국제 NGO인 TRANSCEND International(트랜센드 인터내셔널)을 설립했고,[18][19][54] 1987년 올바른 생계상을 수상했다.[53] 20대 중반 무렵에는 양심적 병역 거부자로서 12개월간 단순 노동에 종사했으며, 이후 노동 기간 연장을 거부하여 6개월간 노역형 감옥에 수감되었다.[51] 2024년 2월 17일 베르움의 보건기관에서 향년 93세로 사망했다.[55]
요한 갈퉁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출생했다. 노르웨이 국제평화연구소 창설자이며 오슬로 대학교에서 평화와 분쟁 연구 교수로 재직하였다. 1964년 세계 평화학회를 발족하고 1970년대 이후 남북한을 수십 회 방문하여 남북한의 평화 통일을 위해 노력했다. 또 한국의 여러 대학을 찾아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평화에 대한 강연활동을 했다.
요한 갈퉁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출생했다.[7] 오슬로 대학교에서 수학과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3][4] 1970년대 이후 남북한을 수십 회 방문하여 남북한의 평화 통일을 위해 노력했으며, 한국의 여러 대학을 찾아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평화에 대한 강연활동을 했다. 1951년, 그는 의무 군 복무 대신 18개월의 사회 봉사를 선택했고, 12개월 후 남은 기간을 평화 관련 활동에 전념하겠다고 주장했다.[8]
2024년 2월 17일, 갈퉁은 노르웨이 베룸의 스타베크 헬세후스 앤드 호스피스에서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55] 그의 딸 이렌 갈퉁은 부검을 요구했으며, 최종 부검 보고서(2024년 9월)는 사망 원인이 폐렴이라고 밝혔다. 스타베크 헬세후스는 그가 폐렴에 걸린 것을 인지하지 못했고, 확인 및 치료를 하지 않았다. 갈퉁은 사망 전날들에 모르핀 투여량이 증가했으며, 사망 직전인 2024년 2월 17일 오전 6시에도 모르핀을 투여받았다.
2. 1. 출생과 성장 배경
요한 갈퉁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출생했다. 그의 아버지와 외할아버지는 모두 의사였으며, 갈퉁 성은 외할아버지가 태어난 호르달란에서 유래했다.[6] 바이킹 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귀족 가문 출신으로, 아버지는 의사이자 육군 소위, 오슬로 부시장을 역임한 인물이다.[51]
그는 오슬로 대학교에서 1956년 수학으로 cand. real.[3] 학위를, 1957년에는 사회학으로 mag. art.(PhD)[3][4] 학위를 받았다.[52] 20대 중반 무렵에는 양심적 병역 거부자로서 12개월간 단순 노동에 종사했다.[51] 이후 노동 기간 연장을 거부하여 6개월간 노역형 감옥에 수감되었다.[51] 1951년 그는 이미 헌신적인 평화 중재자였으며, 의무 군 복무 대신 18개월의 사회 봉사를 선택했다. 12개월 후, 갈퉁은 남은 사회 봉사 기간을 평화와 관련된 활동에 쏟겠다고 주장했다.[8]
갈퉁은 제2차 세계 대전을 겪었고, 12살 때 아버지가 나치에 체포되는 것을 목격했다. 그는 두 번 결혼했으며, 첫 번째 부인인 잉그리드 아이데와는 하랄드 갈퉁과 안드레아스 갈퉁 두 자녀를, 두 번째 부인인 후미코 니시무라와는 이렌 갈퉁과 프레드릭 갈퉁 두 자녀를 두었다.[6]
1964년 세계 평화학회를 발족하고 1970년대 이후 남북한을 수십 회 방문하여 남북한의 평화 통일을 위해 노력했다. 또 한국의 여러 대학을 찾아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평화에 대한 강연활동을 했다. 1975년 최초로 13개의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5]
갈퉁은 2024년 2월 17일 노르웨이 베룸의 스타베크 헬세후스 앤드 호스피스에서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 그의 딸 이렌 갈퉁은 부검을 요구했고, 최종 부검 보고서(2024년 9월)는 사망 원인이 폐렴이라고 밝혔다. 스타베크 헬세후스는 그가 폐렴에 걸린 것을 알지 못했고, 확인하지도 않았으며, 치료하지도 않았다. 2024년 10월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갈퉁은 2024년 2월 2일부터 17일까지 스타베크 헬세후스에서 살고 싶다는 의사를 여러 번 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치료도 받지 못했다. 2024년 2월 6일, 스타베크 헬세후스 의사는 요한이 죽어가고 있는 것이 아니며, 수주,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살 수 있다고 확인했다. 갈퉁은 위험하다고 말했기 때문에 원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스타베크 헬세후스에서 모르핀을 투여받았다. 그가 모르핀이 필요한 수준의 통증을 겪고 있었다는 징후는 없었다. 갈퉁은 사망하기 전날들에 모르핀 투여량이 증가했다. 2024년 2월 17일 오전 6시, 사망하기 직전에 모르핀을 투여받았다.
2. 2. 학문적 여정
요한 갈퉁은 1930년 10월 24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출생했다.[55] 오슬로 대학교에서 수학과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52] 그는 1959년 오슬로 국제 평화 연구소(PRIO)를 설립하고 1970년까지 소장을 역임했다.[53] 1964년에는 학술지 ''평화연구 저널''(Journal of Peace Research)을 창간하여 편집장으로서 유럽의 평화 연구를 주도했다.[9][53]갈퉁은 뉴욕시의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사회학과 조교수로 5학기 동안 강의한 후,[8] 1969년 PRIO를 떠나 오슬로 대학교에서 평화 및 갈등 연구 교수직을 맡았고, 1978년까지 그 직책을 유지했다.[9] 그는 두브로브니크 국제대학교 센터의 사무총장이었으며 세계 미래 연구 연맹의 설립과 운영을 도왔다.[11][12] 칠레 산티아고, 제네바의 국제연합대학교, 독일의 비텐/헤르데케 대학교[13]를 포함한 다른 대학들에서 방문 교수직을 역임했으며, 미국에서는 컬럼비아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및 하와이 대학교에서도 활동했다.[14] 2014년에는 말레이시아 국제 이슬람 대학교의 최초의 투안 마하티르 글로벌 평화 교수로 임명되었다.[15]
1993년, 평화적인 수단을 통한 분쟁 해결을 위한 국제 NGO인 TRANSCEND International(트랜센드 인터내셔널)을 설립했다.[18][19][54] 1987년 올바른 생계상을 수상했다.[53] 경제학자이자 동료 평화 연구자인 케네스 볼딩은 갈퉁에 대해 "그의 연구 성과는 방대하고 다양하여 인간이 한 일이라고 믿기 어렵다"고 말했다.[16] 그는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 회원이었다.[17]
갈퉁은 20대 중반 무렵에는 양심적 병역 거부자로서 12개월간 단순 노동에 종사했다. 이후 노동 기간 연장을 거부하여 6개월간 노역형 감옥에 수감되었다.[51]
2. 3. 평화 연구와 활동
요한 갈퉁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출생하여 오슬로 대학교에서 수학과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52] 1959년 오슬로 국제 평화 연구소(PRIO)를 설립하고 1970년까지 소장을 역임했다.[9][53] 1964년에는 세계 평화학회를 발족하고, 학술지 ''평화연구 저널''을 창간하여 편집장으로서 유럽의 평화 연구를 주도했다.[9][10][53] 1970년대 이후 남북한을 수십 회 방문하여 남북한의 평화 통일을 위해 노력했으며, 한국의 여러 대학에서 평화에 대한 강연활동을 했다.갈퉁은 뉴욕시의 컬럼비아 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로 5학기 동안 강의했으며,[8] 1969년 오슬로 대학교에서 평화 및 갈등 연구 교수직을 맡아 1978년까지 재직했다.[9] 두브로브니크 국제대학교 센터의 사무총장, 세계 미래 연구 연맹의 설립과 운영을 도왔으며,[11][12] 칠레 산티아고, 제네바의 국제연합대학교, 독일의 비텐/헤르데케 대학교[13], 미국의 컬럼비아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하와이 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방문 교수로 활동했다.[14] 2014년에는 말레이시아 국제 이슬람 대학교의 최초의 투안 마하티르 글로벌 평화 교수로 임명되었다.[15]
케네스 볼딩은 갈퉁의 연구 성과에 대해 "방대하고 다양하여 인간이 한 일이라고 믿기 어렵다"고 평가했다.[16] 갈퉁은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 회원이었다.[17]
1993년 평화적인 수단을 통한 분쟁 해결을 위한 국제 NGO인 TRANSCEND International(트랜센드 인터내셔널)을 설립했고,[18][19][54] 1987년 올바른 생계상을 수상했다.[53] 20대 중반 무렵에는 양심적 병역 거부자로서 12개월간 단순 노동에 종사했으며, 이후 노동 기간 연장을 거부하여 6개월간 노역형 감옥에 수감되었다.[51] 2024년 2월 17일 베르움의 보건기관에서 향년 93세로 사망했다.[55]
2. 4. 한국과의 인연
요한 갈퉁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출생했다. 노르웨이 국제평화연구소 창설자이며 오슬로 대학교에서 평화와 분쟁 연구 교수로 재직하였다. 1964년 세계 평화학회를 발족하고 1970년대 이후 남북한을 수십 회 방문하여 남북한의 평화 통일을 위해 노력했다. 또 한국의 여러 대학을 찾아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평화에 대한 강연활동을 했다.2. 5. 말년과 사망
요한 갈퉁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출생했다.[7] 오슬로 대학교에서 수학과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3][4] 1970년대 이후 남북한을 수십 회 방문하여 남북한의 평화 통일을 위해 노력했으며, 한국의 여러 대학을 찾아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평화에 대한 강연활동을 했다. 1951년, 그는 의무 군 복무 대신 18개월의 사회 봉사를 선택했고, 12개월 후 남은 기간을 평화 관련 활동에 전념하겠다고 주장했다.[8]2024년 2월 17일, 갈퉁은 노르웨이 베룸의 스타베크 헬세후스 앤드 호스피스에서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55] 그의 딸 이렌 갈퉁은 부검을 요구했으며, 최종 부검 보고서(2024년 9월)는 사망 원인이 폐렴이라고 밝혔다. 스타베크 헬세후스는 그가 폐렴에 걸린 것을 인지하지 못했고, 확인 및 치료를 하지 않았다. 갈퉁은 사망 전날들에 모르핀 투여량이 증가했으며, 사망 직전인 2024년 2월 17일 오전 6시에도 모르핀을 투여받았다.
3. 폭력과 평화에 대한 이론
그는 폭력을 특정한 인간이나 세력이 다른 사람의 현실을 저해하는 직접적 폭력과 문화적 폭력으로 구분하였다. 그는 법률과 제도들에 의해 가해지는 피해(구조적 폭력)까지 포함해서 폭력을 정의했다.[58]
요한 갈퉁은 그의 저서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59]에서 평화를 직접적인 폭력이 없는 상태인 소극적 평화와 갈등을 비폭력적 방식으로 해결하는 적극적 평화로 구분하였다.
전쟁이 없는 상태를 평화로 보는 “소극적 평화”에 반해, 빈곤, 억압, 차별 등 '''구조적 폭력'''이 없는 상태를 “적극적 평화”로 하는 개념을 제시했다. 지금까지 스리랑카, 아프가니스탄, 북 코카서스, 에콰도르 등 세계 40여 곳 이상의 분쟁에서 중재자 역할을 했다. 일본에서도 중앙대학교, 국제기독교대학(ICU), 관서학원대학, 릿쿄대학, 소카대학 등에서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아베 신조가 주장한 “적극적 평화주의”에 대해서는 자신이 주장하는 적극적 평화와는 정반대라고 말했다.[56]
센카쿠 열도(尖閣諸島) 영유권을 둘러싸고 일본과 중국이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중국과 일본이 각각 40%의 권익을 나누고 나머지 20%를 동북아시아 공동체를 위해 사용한다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57]
3. 1. 폭력의 정의
그는 폭력을 특정한 인간이나 세력이 다른 사람의 현실을 저해하는 직접적 폭력과 문화적 폭력으로 구분하였다. 그는 법률과 제도들에 의해 가해지는 피해(구조적 폭력)까지 포함해서 폭력을 정의했다.[58]요한 갈퉁은 1969년 논문 "'''폭력, 평화, 그리고 평화 연구'''"[20]에서 평화와 갈등 연구에 사용되는 갈등 삼각형 이론을 제시했다. 이 이론은 이 "삼각형"을 구성하는 폭력의 세 가지 핵심 요소를 정의하기 위한 틀이다.
- '''직접적 폭력''': 신체적 또는 언어적으로 발생하는 가장 눈에 띄는 폭력이며, 피해자와 가해자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직접적 폭력은 폭력을 행하는 행위자를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행위자로서 개인에게 추적될 수 있다. 직접적 폭력은 개인의 선호 집합에 따라 달라지므로 안정성이 낮고, 따라서 더 쉽게 인식된다. 직접적 폭력은 구조적 폭력과 문화적 폭력과 매우 상호 의존적이다.
- '''구조적 폭력''':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구조에서 비롯되어 주로 억압과 착취로 나타나는 간접적인 폭력 형태를 가리킨다.[21] 이러한 간접적인 폭력 형태는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이익의 분배에서 불공정을 초래한다.[21] 구조적 폭력은 신체적인 이미지를 전달하기보다는 기본적인 인간의 욕구의 회피 가능한 저해를 의미한다. 저소득 개인이 교육, 건강, 권력이라는 차원에서도 고통받는 상황에서 구조적 폭력은 증가한다.
- '''문화적 폭력''': 직접적 폭력이나 구조적 폭력을 정당화하거나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사상, 의식, 언어, 예술 또는 과학으로 정의한다.[21] 만연하거나 두드러진 사회적 규범의 존재는 직접적이고 구조적인 폭력을 자연스럽거나 적어도 받아들일 수 있는 것으로 보이게 만들며, 두드러진 신념이 주어진 문화에 깊이 뿌리내려 절대적이고 불가피한 것으로 기능하고 여러 세대에 걸쳐 비판 없이 재생산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데 기여한다.
갈퉁의 이론에 따르면, 평화는 널리 수용되는 사회적 목표에 의해 정의되어야 하며, 어떤 평화 상태든 폭력의 부재를 특징으로 한다는 원리에 기반한다. 갈등이 세 가지 폭력 영역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을 때, 그 결과는 사회 시스템(갈등이나 국가를 포함할 수 있음)에서 더욱 통합되고 정적인 폭력 상태가 된다. 반대로 이 세 가지 유형의 폭력이 없으면 평화가 이루어진다.
갈퉁의 갈등 삼각형과 평화 연구 논문은 평화 및 갈등 연구 내 이론의 기초적 구성 요소로 널리 인용된다.[32] 그러나 비판 없이는 아니다. 갈퉁은 폭력, 갈등 및 평화에 대해 매우 광범위한 정의를 사용하며,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부정적이고 긍정적인 의미를 모두 포함하고, 행위자나 피해자를 구분할 수 없는 폭력을 의미하는 용어를 적용하여 모델 자체의 직접적인 적용을 제한한다.
3. 1. 1. 갈등 삼각형
그는 폭력을 특정한 인간이나 세력이 다른 사람의 현실을 저해하는 직접적 폭력과 문화적 폭력으로 구분하였다. 그는 법률과 제도들에 의해 가해지는 피해(구조적 폭력)까지 포함해서 폭력을 정의했다.[58]요한 갈퉁은 1969년 논문 "'''폭력, 평화, 그리고 평화 연구'''"[20]에서 평화와 갈등 연구에 사용되는 갈등 삼각형 이론을 제시했다. 이 이론은 이 "삼각형"을 구성하는 폭력의 세 가지 핵심 요소를 정의하기 위한 틀이다.
- '''직접적 폭력''': 신체적 또는 언어적으로 발생하는 가장 눈에 띄는 폭력이며, 피해자와 가해자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직접적 폭력은 폭력을 행하는 행위자를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행위자로서 개인에게 추적될 수 있다. 직접적 폭력은 개인의 선호 집합에 따라 달라지므로 안정성이 낮고, 따라서 더 쉽게 인식된다. 직접적 폭력은 구조적 폭력과 문화적 폭력과 매우 상호 의존적이다.
- '''구조적 폭력''':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구조에서 비롯되어 주로 억압과 착취로 나타나는 간접적인 폭력 형태를 가리킨다.[21] 이러한 간접적인 폭력 형태는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이익의 분배에서 불공정을 초래한다.[21] 구조적 폭력은 신체적인 이미지를 전달하기보다는 기본적인 인간의 욕구의 회피 가능한 저해를 의미한다. 저소득 개인이 교육, 건강, 권력이라는 차원에서도 고통받는 상황에서 구조적 폭력은 증가한다.
- '''문화적 폭력''': 직접적 폭력이나 구조적 폭력을 정당화하거나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사상, 의식, 언어, 예술 또는 과학으로 정의한다.[21] 만연하거나 두드러진 사회적 규범의 존재는 직접적이고 구조적인 폭력을 자연스럽거나 적어도 받아들일 수 있는 것으로 보이게 만들며, 두드러진 신념이 주어진 문화에 깊이 뿌리내려 절대적이고 불가피한 것으로 기능하고 여러 세대에 걸쳐 비판 없이 재생산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데 기여한다.
갈퉁의 이론에 따르면, 평화는 널리 수용되는 사회적 목표에 의해 정의되어야 하며, 어떤 평화 상태든 폭력의 부재를 특징으로 한다는 원리에 기반한다. 갈등이 세 가지 폭력 영역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을 때, 그 결과는 사회 시스템(갈등이나 국가를 포함할 수 있음)에서 더욱 통합되고 정적인 폭력 상태가 된다. 반대로 이 세 가지 유형의 폭력이 없으면 평화가 이루어진다.
갈퉁의 갈등 삼각형과 평화 연구 논문은 평화 및 갈등 연구 내 이론의 기초적 구성 요소로 널리 인용된다.[32] 그러나 비판 없이는 아니다. 갈퉁은 폭력, 갈등 및 평화에 대해 매우 광범위한 정의를 사용하며,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부정적이고 긍정적인 의미를 모두 포함하고, 행위자나 피해자를 구분할 수 없는 폭력을 의미하는 용어를 적용하여 모델 자체의 직접적인 적용을 제한한다.
3. 2. 평화의 정의
요한 갈퉁은 그의 저서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59]에서 평화를 직접적인 폭력이 없는 상태인 소극적 평화와 갈등을 비폭력적 방식으로 해결하는 적극적 평화로 구분하였다. 갈퉁은 평화유지, 평화구축, 그리고 평화구축을 통해 갈등을 해결할 것을 제안한다.[21] 평화유지와 평화구축은 주로 폭력을 제거하고 즉각적인 평화를 가져오는 것을 포함한다.[21] 갈퉁의 견해에 따르면, 폭력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려면 직접적인 폭력 종식을 넘어 구조적 폭력과 문화적 폭력을 종식시키는 평화구축이 필요하다.[21]갈등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고 평화 관리 및 갈등 해결을 위한 지역 역량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평화구축 구조이다.[34] 갈퉁은 여러 국제 연구 위원회에서 중요한 직책을 역임했으며 여러 국제기구의 고문을 역임했다. 2004년부터 그는 민주적 UN을 위한 위원회의 자문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갈퉁은 구조적 폭력, 소극적 평화 대 적극적 평화 등의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쟁이 없는 상태를 평화로 보는 “소극적 평화”에 반해, 빈곤, 억압, 차별 등 '''구조적 폭력'''이 없는 상태를 “적극적 평화”로 하는 개념을 제시했다. 지금까지 스리랑카, 아프가니스탄, 북 코카서스, 에콰도르 등 세계 40여 곳 이상의 분쟁에서 중재자 역할을 했다. 일본에서도 중앙대학교, 국제기독교대학(ICU), 관서학원대학, 릿쿄대학, 소카대학 등에서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아베 신조가 주장한 “적극적 평화주의”에 대해서는 자신이 주장하는 적극적 평화와는 정반대라고 말했다.[56]
센카쿠 열도 영유권을 둘러싸고 일본과 중국이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중국과 일본이 각각 40%의 권익을 나누고 나머지 20%를 동북아시아 공동체를 위해 사용한다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57]
3. 2. 1. 소극적 평화
요한 갈퉁은 그의 저서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59]에서 평화를 직접적인 폭력이 없는 상태인 소극적 평화와 갈등을 비폭력적 방식으로 해결하는 적극적 평화로 구분하였다. 전쟁이 없는 상태를 평화로 보는 “소극적 평화”에 반해, 빈곤, 억압, 차별 등 '''구조적 폭력'''이 없는 상태를 “적극적 평화”로 하는 개념을 제시했다.[56]3. 2. 2. 적극적 평화
요한 갈퉁은 그의 저서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59]에서 평화를 직접적인 폭력이 없는 상태인 소극적 평화와 갈등을 비폭력적 방식으로 해결하는 적극적 평화로 구분하였다. 갈퉁은 평화유지, 평화구축, 그리고 평화구축을 통해 갈등을 해결할 것을 제안한다.[21] 평화유지와 평화구축은 주로 폭력을 제거하고 즉각적인 평화를 가져오는 것을 포함한다.[21] 갈퉁의 견해에 따르면, 폭력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려면 직접적인 폭력 종식을 넘어 구조적 폭력과 문화적 폭력을 종식시키는 평화구축이 필요하다.[21]갈등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고 평화 관리 및 갈등 해결을 위한 지역 역량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평화구축 구조이다.[34] 갈퉁은 여러 국제 연구 위원회에서 중요한 직책을 역임했으며 여러 국제기구의 고문을 역임했다. 2004년부터 그는 민주적 UN을 위한 위원회의 자문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전쟁이 없는 상태를 평화로 보는 “소극적 평화”에 반해, 빈곤, 억압, 차별 등 '''구조적 폭력'''이 없는 상태를 “적극적 평화”로 하는 개념을 제시했다. 지금까지 스리랑카, 아프가니스탄, 북 코카서스, 에콰도르 등 세계 40여 곳 이상의 분쟁에서 중재자 역할을 했다. 일본에서도 중앙대학교, 국제기독교대학(ICU), 관서학원대학, 릿쿄대학, 소카대학 등에서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아베 신조가 주장한 “적극적 평화주의”에 대해서는 자신이 주장하는 적극적 평화와는 정반대라고 말했다.[56]
센카쿠 열도 영유권을 둘러싸고 일본과 중국이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중국과 일본이 각각 40%의 권익을 나누고 나머지 20%를 동북아시아 공동체를 위해 사용한다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57]
4. 평화 구축
갈퉁은 평화유지, 평화만들기, 그리고 평화구축을 통해 갈등을 해결할 것을 제안한다.[21] 평화유지와 평화만들기는 주로 폭력을 제거하고 즉각적인 평화를 가져오는 것을 포함한다.[21] 갈퉁의 견해에 따르면, 폭력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려면 직접적인 폭력 종식을 넘어 구조적 폭력과 문화적 폭력을 종식시키는 평화구축이 필요하다.[21]
갈등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고 평화 관리 및 갈등 해결을 위한 지역 역량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평화구축 구조이다.[34] 갈퉁은 여러 국제 연구 위원회에서 중요한 직책을 역임했으며 여러 국제기구의 고문을 역임했다. 2004년부터 그는 민주적 UN을 위한 위원회의 자문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갈퉁은 구조적 폭력, 소극적 평화 대 적극적 평화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구조적 폭력은 체제가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도록 하는 체계적인 방식으로, 제도화된 인종차별과 성차별이 그 예이다. 전쟁이 없는 상태를 평화로 보는 “소극적 평화”에 반해, 빈곤, 억압, 차별 등 '''구조적 폭력'''이 없는 상태를 적극적 평화”로 하는 개념을 제시했다.[56] 제인 애덤스와 마틴 루터 킹 주니어도 이러한 개념을 정의하고 논의한 바 있다.
그는 스리랑카, 아프가니스탄, 북 코카서스, 에콰도르 등 세계 40여 곳 이상의 분쟁에서 중재자 역할을 했다. 일본에서도 중앙대학교, 국제기독교대학(ICU), 관서학원대학, 릿쿄대학, 소카대학 등에서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아베 신조가 주장한 “적극적 평화주의”에 대해서는 자신이 주장하는 적극적 평화와는 정반대라고 말했다.[56]
센카쿠 열도 영유권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과 일본이 각각 40%의 권익을 나누고 나머지 20%를 동북아시아 공동체를 위해 사용한다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57]
5. 비판과 논란
5. 1. 미국에 대한 비판
1973년, 갈퉁은 미국과 다른 서구 국가들의 자원과 시장 확보를 위한 전쟁을 "구조적 파시즘"이라고 비판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이러한 경제 시스템을 자본주의라고 하며, 이것이 다른 국가로 확산될 때 제국주의라고 합니다."[35][40] 그리고 1972년 피델 카스트로의 쿠바가 "제국주의의 압제에서 벗어났다"고 칭찬했습니다. 갈퉁은 미국을 "살인 국가"라고 규정하고 "신파시즘적 국가 테러리즘"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며, 1999년 NATO 유고슬라비아 폭격 당시 코소보 폭격을 이유로 미국을 나치 독일에 비유했습니다.[35][40]2004년에 발표된 기사에서 갈퉁은 미국의 제국이 2020년까지 "쇠퇴하고 몰락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그는 2009년에 출판된 저서 "미국 제국의 몰락 - 그리고 그 후? 계승자, 지역화 또는 세계화? 미국 파시즘 또는 미국의 개화?"에서 이 가설을 확장했습니다.[36][37]
2016년 도널드 트럼프의 당선 이후, 갈퉁은 트럼프의 추방 정책과 NATO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를 들어 미국의 세계적 권력 쇠퇴 이론을 수정하여 이러한 현상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38][39]
5. 2. 공산주의 정권에 대한 견해
요한 갈퉁의 주장과 견해는 냉전 중과 그 이후 서구 국가들에 대한 비판과 소비에트 연방, 쿠바, 중국 공산당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로 인해 비판을 받아왔다.[35][40] 2007년 시티 저널 기사와 2009년 내셔널 포스트 기사에서는 마오쩌둥 통치 시절 중국에 대한 갈퉁의 견해를 비판했다. 갈퉁은 중국이 "어떤 자유주의적 의미에서는 억압적"이지만, "'개방 사회'가 무엇인가에 대한 전체 이론, 아마도 '민주주의' 이론도 다시 써야 하며, 서구가 중국을 그러한 주제에 대한 스승으로 여기려면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주장했다.[35] 브루스 바워는 갈퉁을 "평생 자유의 적"이라고 비판하며, 1956년 소련의 침공에 대한 헝가리 저항을 비판하고, 1974년 알렉산드르 솔제니친과 안드레이 사하로프를 "박해받는 엘리트 인물들"이라고 묘사한 것을 비판했다.[35]5. 3. 유대인과 이스라엘에 대한 견해
요한 갈퉁은 유대인의 세계 지배 계획을 묘사하는 것으로 알려진 반유대주의 문헌인 『시온 장로 의정서』를 읽어야 한다고 주장했다.[41] 그는 유대인들이 미국의 미디어 회사들을 통제한다는 주장을 옹호하며 신나치 조직인 국가전위대가 발행한 기사를 인용했다.[41] 이러한 갈퉁의 발언은 오슬로의 홀로코스트 및 종교 소수자 연구 센터의 테르예 엠버랜드와 오슬로 대학교 역사가 외이스테인 쇠렌센의 비판을 받았다.[41] NRK의 질문에 갈퉁은 『시온 장로 의정서』를 읽어야 한다는 자신의 권고를 반복했지만, 자신이 반유대주의자라는 것은 부인했다.[41]이스라엘 신문 ''하아레츠(Haaretz)''는 2012년 5월 갈퉁이 2011년 노르웨이 테러와 이스라엘 정보기관 모사드(Mossad) 간의 연관 가능성을 시사하고, "6개의 유대인 기업"이 세계 미디어의 96%를 통제한다고 주장하며, 골드만삭스(Goldman Sachs)와 『시온 장로 의정서』 사이의 유사점을 지적하고, 바이마르 공화국의 반유대주의가 독일 유대인들의 영향력 있는 지위 때문이라는 이론을 제기했다는 이유로 그를 반유대주의로 비난했다.[42] 이로 인해 갈퉁이 공동 설립한 TRANSCEND International은 그의 의견을 명확히 하려는 성명을 발표했다.[43] 2012년 8월, 스위스 바젤(Basel)의 세계 평화 아카데미는 유대인들에게 민감한 질문에 대한 그의 "무모하고 공격적인 발언"을 이유로 그를 조직에서 정지시켰다.[44] 갈퉁은 이러한 주장이 "중상과 명예훼손"이라고 말했다.[45][46]
6. 주요 저서
요한 갈퉁은 1,000편이 넘는 논문과 100권이 넘는 책을 출판했다.[49]
- ''Statistisk hypotesepröving'' (''통계적 가설 검정'', 1953)
- ''Gandhis politiske etikk'' (''간디의 정치 윤리'', 1955, 철학자 아르네 네스(Arne Næss)와 공저)
- ''[https://archive.org/details/theorymethodsofs0000galt_w0y5 사회 연구의 이론과 방법]'' (1967)
- ''폭력, 평화 그리고 평화 연구'' (1969)
- ''두 세계의 구성원'' (1971)
- ''Fred, vold og imperialisme'' (''평화, 폭력 그리고 제국주의'', 1974)
- ''평화: 연구 – 교육 – 행동'' (1975)
- ''중국으로부터의 학습?'' (1977, 니시무라 후미코(Fumiko Nishimura)와 공저)
- ''구축 중인 유럽'' (1989)
- ''세계적 글라스노스트: 새로운 세계 정보 및 통신 질서를 향하여?'' (1992, 리처드 C. 빈센트(Richard C. Vincent)와 공저)
- [http://activity.scar.gmu.edu/sites/default/files/ICAR%20occasional%20paper%2011.pdf ''깊이 뿌리박힌 미국의 병리 현상에 대한 세계적 예측''] (1996)
- ''평화로운 수단에 의한 평화: 평화와 갈등, 개발과 문명'' (1996)
- ''요한, 국적 없는 사람. 세계를 통과하는 평화의 길 위에서'' (''Johan uten land. På fredsveien gjennom verden'', 2000, 자서전. 이 책으로 브라게 상(Brage Prize)을 수상함)
- ''50년: 100가지 평화와 갈등의 관점'' (2008)
- ''민주주의 – 평화 – 개발'' (2008, 폴 D. 스콧(Paul D. Scott)과 공저)
- ''50년: 탐구된 25가지 지적 풍경'' (2008)
- ''세계화된 신: 종교, 영성 그리고 평화'' (2008, 그레이엄 맥퀸(Graeme MacQueen)과 공저)[50]
- 『평화를 향한 선택――대담』(이케다 다이사쿠(池田大作)), 마이니치신문사(毎日新聞社), 1995년
- 『일본은 위기인가』(안자이 이쿠로(安斎育郎)), 카모가와출판(かもがわ出版), 1999년
- 『갈퉁 평화학 입문』(요한 갈퉁(ヨハン・ガルトゥング)+후지타 아키후미(藤田明史) 공저, 안자이 이쿠로(安斎育郎), 오쿠모토 케이코(奥本京子), 니시야마 토시히코(西山俊彦), 이토 타케히코(伊藤武彦), 나카노 카츠히코(中野克彦)), 법률문화사(法律文化社), 2003년
7. 수상 경력
요한 갈퉁은 탐페레 대학교(1975년, 평화학), 클루지 대학교(1976년, 미래학), 웁살라 대학교(1987년, 사회과학부)[47], 소카 대학교(1990년, 평화학/불교), 오스나브뤼크 대학교(1995년, 평화학), 토리노 대학교(1998년, 법 사회학), 하겐 원격대학교(2000년, 철학), 알리칸테 대학교(2002년, 사회학), 푸에블라 자치대학교(2006년, 법학), 콤플루텐세 대학교(2017년, 정치학 및 사회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또한 알리칸테 대학교(1981년), 베를린 자유대학교(1984년-1993년), 쓰촨 대학교(1986년), 비텐/헤르데케 대학교(1993년)에서 명예 교수로 재직했으며, 1993년부터 하와이 대학교 평화학 명예 교수로, 2005년부터 존 퍼킨스 대학교 방문 명예 교수로 활동했다.
1987년 라이트 라이브리후드 상, 1988년 노르웨이 인본주의 협회 인본주의 상, 1993년 잠날랄 바자이 국제상(간디 정신 증진 부문)[48], 2000년 브라게 상, 2001년 모튼 도이치 분쟁 해결 상, 2001년 노르웨이 사회학회 명예상, 2005년 프리미오 이달고, 2006년 아우크스부르크 평화 황금 기록을 수상했다. 그는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 회원이자, 2009년 노르웨이 녹색당 명예 회원이며, 2011년 에릭 바이 추모 상을 수상했다.
참조
[1]
서적
Peace processes: a sociological approach
Polity Press
2010
[2]
웹사이트
Public Lecture: "Seeking Peace from Resolving Conflict between Buddhists and Muslims in Myanmar and Sri Lanka" by Prof. Dr. Johan Galtung
https://web.archive.[...]
2015-06-02
[3]
웹사이트
CV_Galtung
http://www.coe.int/T[...]
Coe.int
2013-11-18
[4]
웹사이트
Johan Galtung
https://web.archive.[...]
2012-09-26
[5]
웹사이트
Johan Galtung
https://www.galtung-[...]
2017-04-04
[6]
웹사이트
Genealogical data for Johan Galtung
https://web.archive.[...]
2007-11-18
[7]
뉴스
Johan Galtung er død
https://www.dagblade[...]
Dagbladet
2024-02-17
[8]
웹사이트
Life of Johan Galtung (in Danish)
http://www.visdomsne[...]
2007-11-27
[9]
웹사이트
PRIO biography for Johan Galtung
https://web.archive.[...]
2007-11-17
[1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IPRA
https://web.archive.[...]
2011-12-03
[11]
서적
1982
[12]
서적
The future of the world: Futurology, futurists, and the struggle for the post-Cold War imagin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13]
웹사이트
Friedensforscher Prof. Dr. Dr. h.c. mult. Johan Galtung wird verabschiedet - Nach dreizehn Jahren Lehre verabschiedet sich Prof. Galtung aus Witten/Herdecke
https://idw-online.d[...]
1999-06-29
[14]
웹사이트
Dagens Nyheter 2003-01-15.
https://web.archive.[...]
2007-09-27
[15]
웹사이트
Tun Mahathir Perdana Global Peace Foundation (PGPF) Chair for Global Peace
https://web.archive.[...]
2017-08-02
[16]
서적
1977
[17]
웹사이트
Gruppe 7: Samfunnsfag (herunder sosiologi, statsvitenskap og økonomi)
https://web.archive.[...]
Norwegian Academy of Science and Letters
2009-10-26
[18]
웹사이트
Transcend.org
http://www.transcend[...]
2003-12-10
[19]
웹사이트
Interview - Johan Galtung
http://www.e-ir.info[...]
2014-05-27
[20]
학술지
Violence, Peace and Peace Research
1969
[21]
서적
Developmental Peace: Theorizing China's Approach to International Peacebuild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4
[22]
서적
Red Tape: Bureaucracy, Structural Violence and Poverty in India
Duke University Press
2012
[23]
학술지
Keeping the Fires Burning: Militarization and the Politics of Gender in South Africa
1989
[24]
학술지
Sweet Battlefields: Youth and the Liberian Civil War
2003
[25]
학술지
Cultural Violence
1990
[26]
서적
Addictions and Healing in Aboriginal Country
2003
[27]
서적
Enduring Violence
2011
[28]
웹사이트
The Culture of Violence Scale 2023
http://dx.doi.org/10[...]
2023
[29]
웹사이트
Solutions to End Child Marriage
https://www.icrw.org[...]
[30]
학술지
When armed combatants employ nonviolent action: A case study of Hezbollah
2009
[31]
학술지
Violent Peacekeeping: The Rise and Rise of Repressive Techniques and Technologies
http://eprints.leeds[...]
2005
[32]
서적
Peace processes: a Sociological Approach
Polity Press
2010
[33]
서적
A Question of Values: Johan Galtung's Peace Research
Lynne Rienner
1995
[34]
웹사이트
PEACEBUILDING & THE UNITED NATIONS
https://web.archive.[...]
2018-05-14
[35]
웹사이트
The Peace Racket
https://web.archive.[...]
2007-06-28
[36]
Youtube
Prof. J. Galtung: 'US empire will fall by 2020'
https://www.youtube.[...]
Russia Today
[37]
웹사이트
On the Coming Decline and Fall of the US Empire
http://www.oldsite.t[...]
Transnational Foundation and Peace and Research (TFF)
2004-01-28
[38]
뉴스
Donald Trump will cause US power to collapse, says man who correctly predicted fall of USSR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16-12-07
[39]
뉴스
Nobel Nominee Who Correctly Predicted Fall of U.S.S.R. Predicts Same Fate for U.S. Under Trump
https://www.pastemag[...]
Paste
2016-12-08
[40]
뉴스
Barbarians within the gate
https://nationalpost[...]
National Post
2009-02-18
[41]
웹사이트
– En trist sorti for Galtung
https://www.nrk.no/n[...]
NRK
2012-04-24
[42]
뉴스
Pioneer of global peace studies hints at link between Norway massacre and Mossad
http://www.haaretz.c[...]
Haaretz
2012-04-30
[43]
웹사이트
TRANSCEND International's Statement Concerning the Label of anti-Semitism Against Johan Galtung
https://www.transcen[...]
TRANSCEND International
[44]
뉴스
Swiss group suspends 'anti-Semitic' Norway scholar
http://www.jpost.com[...]
The Jerusalem Post
2012-08-09
[45]
웹사이트
STELLUNGNAHME/035: Professor Galtung zu den Vorwürfen des Antisemitismus (Johan Galtung)
http://www.schattenb[...]
Schattenblick
2012-12-14
[46]
웹사이트
Grenzach-Wyhlen: Zwei Vorträge mit Johan Galtung
http://www.suedkurie[...]
Südkurier
2012-12-06
[47]
웹사이트
Honorary doctorates - Uppsala University, Sweden
http://www.uu.se/en/[...]
[48]
웹사이트
Jamnalal Bajaj Awards Archive
http://www.jamnalalb[...]
Jamnalal Bajaj Foundation
[49]
웹사이트
TRANSCEND biography on Johan Galtung
http://www.transcend[...]
[50]
웹사이트
Johan Galtung's Publications 1948-2010
http://www.transcend[...]
[51]
웹사이트
「紛争調停人」の仕事とは何か?--キーワードで読み解くガルトゥング平和論<4> 人物・行動・思想編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22-07-24
[52]
백과사전
ガルトゥング
2022-07-24
[53]
웹사이트
Journal of Peace Research 公式ウェブサイト
http://jpr.sagepub.c[...]
[54]
웹사이트
Transcend International(平和的手段による紛争転換)公式ウェブサイト
http://www.transcend[...]
[55]
웹사이트
Johan Galtung er død
https://www.dagblade[...]
dagbladet.no
2024-02-17
[56]
뉴스
首相は積極的平和の言葉「盗用」 平和学の父・ガルトゥング氏
http://ryukyushimpo.[...]
琉球新報
2015-08-23
[57]
뉴스
「安保法案では平和にはならない」“平和学の父”ガルトゥング博士インタビュー
https://nikkan-spa.j[...]
日刊SPA!
2015-09-17
[58]
서적
종교,폭력,평화
[59]
서적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들녘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