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할보르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할보르센은 노르웨이의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작곡가, 지휘자였다. 드람멘에서 태어나 바이올린 연주자로 두각을 나타냈고, 베르겐 국립극장과 베르겐 필하모니 관현악단의 지휘자를 역임했다. 1899년 크리스티아니아 국립극장의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임명되어 1929년 은퇴할 때까지 30년간 재직했다. 그의 작품은 에드바르트 그리그의 국민 낭만주의 전통을 따르면서도 독창적인 관현악법을 사용했으며, "보야르의 입장 행진곡", "베르겐시아나", "파사칼리아와 사라반드" 등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지휘자 - 요한 스벤젠
요한 스벤젠은 19세기 후반 노르웨이 출신으로 낭만주의 시대의 특징을 보여주는 섬세하고 서정적인 선율과 풍부한 관현악 기법, 민족주의적 색채를 가진 작품을 작곡했으며 유럽 각지에서 오케스트라 지휘와 코펜하겐 왕립 극장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를 맡아 덴마크 음악 발전에 기여한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 노르웨이의 클래식 작곡가 - 에드바르 그리그
에드바르 그리그는 노르웨이 민족주의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지휘자로, 《페르 귄트》 부수 음악과 《피아노 협주곡 A단조》 등 서정적이고 민족색 짙은 작품으로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고 있다. - 노르웨이의 클래식 작곡가 - 요한 스벤젠
요한 스벤젠은 19세기 후반 노르웨이 출신으로 낭만주의 시대의 특징을 보여주는 섬세하고 서정적인 선율과 풍부한 관현악 기법, 민족주의적 색채를 가진 작품을 작곡했으며 유럽 각지에서 오케스트라 지휘와 코펜하겐 왕립 극장 오케스트라의 수석 지휘를 맡아 덴마크 음악 발전에 기여한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 1935년 사망 - 김철주 (군인)
김철주는 김형직과 강반석의 아들이자 김일성의 동생으로, 일제강점기 항일유격대에서 항일운동을 하다 1935년 전사한 항일운동가이다. - 1935년 사망 - 윌 로저스
윌 로저스는 1879년에 태어나 1935년에 사망한 체로키족 혈통의 미국의 배우, 유머 작가, 칼럼니스트, 사회 평론가로, 로프 기술을 시작으로 영화, 라디오, 신문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동하며 미국적 가치관을 대변하고 사회와 정치 문제를 풍자하며 큰 인기를 얻었으며, 비행 중 사고로 사망했다.
요한 할보르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요한 할보르센 |
원어 이름 | Johan Halvorsen |
출생일 | 1864년 3월 15일 |
출생지 | 드람멘, 노르웨이 |
사망일 | 1935년 12월 4일 |
사망지 | 오슬로, 노르웨이 |
국적 | 노르웨이 |
활동 분야 | 클래식 음악 |
직업 | 지휘자 교육자 바이올린 연주자 |
관련 단체 | 오슬로 필하모니 관현악단 |
장르 | 낭만주의 음악 근대 음악 |
악기 | 바이올린 |
경력 | |
소속 악단 | 오슬로-필하모니 |
2. 생애
요한 할보르센은 노르웨이의 작곡가, 지휘자, 바이올리니스트이다. 그의 음악은 에드바르트 그리그가 보여준 국민 낭만주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혁신적인 관현악법을 특징으로 하는 독자적인 스타일을 보여준다. 할보르센은 그리그의 조카와 결혼했으며, 그리그의 피아노 작품 일부를 관현악으로 편곡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예로 리카르트 노르드라크 추모 행진곡은 그리그의 장례식에서 연주되었다. 할보르센이 사망하고 5일 뒤, 그리그의 사촌이자 미망인이었던 니나 그리그 역시 세상을 떠났다.
오늘날 할보르센의 작품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곡으로는 "보야르의 입장 행진곡"과 "베르겐시아나", 그리고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주제를 바탕으로 작곡한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위한 이중주인 파사칼리아와 사라반드가 있다.
2016년 초,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도서관에서 오랫동안 분실된 것으로 여겨졌던 할보르센의 바이올린 협주곡 악보 원고가 발견되었다. 이 협주곡은 1909년 단 세 차례만 연주된 후 행방이 묘연했으나, 발견된 해인 2016년에 107년 만에 네 번째로 연주되었다.[3]
2. 1. 초기 생애와 교육 ( ~ 1893)
드람멘에서 태어난 할보르센은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였으며, 노르웨이 음악계에서 중요한 인물로 성장했다. 그는 크리스티아니아(현 오슬로)와 스톡홀름에서 음악 교육을 받았다.
이후 베르겐에서 콘서트마스터를 지냈고, 독일 라이프치히로 건너가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에 합류했다. 그는 약 8년간 해외에서 음악 활동과 학업을 이어갔는데, 스코틀랜드 애버딘에서 콘서트마스터로 활동했으며, 핀란드 헬싱키에서는 음악 교수로 재직했다. 다시 학생 신분으로 돌아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독일 라이프치히(아돌프 브로츠키 사사), 베를린(아돌프 베커 사사), 벨기에 리에주(세자르 톰슨 사사) 등지에서 유학하며 음악적 깊이를 더했다.
2. 2. 베르겐 시절 (1893 ~ 1899)
1893년 노르웨이로 돌아온 할보르센은 베르겐에 정착하여 덴 나시오날레 셰네 극장 오케스트라와 베르겐 필하모니 관현악단의 지휘자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그는 이미 1885년에 베르겐 필하모니 관현악단의 콘서트마스터를 역임한 바 있었으며, 1893년에는 이 악단의 수석 지휘자로 발탁되었다.
베르겐에서의 활동은 1899년까지 이어졌으며, 그 해에 새로 문을 연 크리스티아니아(현 오슬로)의 국립극장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임명되면서 베르겐 시대를 마무리했다.[2]
2. 3. 크리스티아니아 국립극장 시절 (1899 ~ 1929)
1899년 새로 문을 연 크리스티아니아 (현 오슬로) 크리스티아니아 국립극장의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임명되어[2] 1929년 은퇴할 때까지 30년 동안 자리를 지켰다. 이 기간 동안 극장 음악 외에도 30개가 넘는 오페라 공연을 지휘했으며, 30편 이상의 연극을 위한 부수 음악을 작곡하기도 했다.2. 4. 은퇴 이후 (1929 ~ 1935)
1929년 크리스티아니아 국립극장 오케스트라 지휘자 자리에서 은퇴한 후, 할보르센은 이전까지 충분히 갖지 못했던 작곡에 집중할 시간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그는 세 개의 교향곡과 두 개의 잘 알려진 노르웨이 랩소디를 작곡하는 데 힘썼다.3. 작품 세계
요한 할보르센의 작품 세계는 에드바르트 그리그로 대표되는 노르웨이 낭만주의 민족주의 음악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혁신적이고 화려한 관현악법을 특징으로 하는 독자적인 스타일을 보여준다.[1] 그는 그리그의 조카와 결혼했으며, 그리그의 피아노 작품 일부를 관현악으로 편곡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리카르트 노르드라크를 추모하는 행진곡을 편곡하여 그리그의 장례식에서 연주되도록 했다.
할보르센은 크리스티아니아 국립극장의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30년간 활동하며 극장 음악에 큰 기여를 했다. 이 기간 동안 30편 이상의 오페라 공연을 지휘했으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포함한 30편 이상의 연극을 위한 부수음악을 작곡했다.[2]
1929년 극장에서 은퇴한 후에는 본격적으로 작곡에 몰두하여 세 개의 교향곡과 두 개의 노르웨이 랩소디 등 규모 있는 관현악 작품들을 남겼다. 그의 작품 중 오늘날 가장 널리 알려진 곡으로는 '보야르의 입장 행진곡'(Bojarenes inntogsmarsjno)과 로코코 풍의 변주곡 '베르겐시아나'(Bergensianano), 그리고 헨델의 주제를 바탕으로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위해 작곡한 '파사칼리아와 사라반드'가 있다.
또한, 1909년에 작곡되어 단 세 번 연주된 후 악보가 분실되었던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이 2016년 토론토 대학교 도서관에서 발견되어 107년 만에 다시 연주되는 등, 그의 작품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고 있다.[3][6] 할보르센의 다양한 작품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3. 1. 주요 작품
요한 할보르센은 오페라 지휘자로서 약 30개의 오페라 공연을 이끌었으며, 동시에 30편 이상의 연극을 위한 부수음악을 작곡했다. 극장 지휘자 자리에서 은퇴한 후에는 작곡에 더욱 집중하여 3개의 교향곡과 2개의 노르웨이 랩소디 등 규모가 큰 작품들을 남겼다.할보르센의 작품은 화려한 관현악법이 두드러지며, 에드바르트 그리그로 대표되는 노르웨이 낭만주의 민족주의 음악의 전통을 이어받아 발전시켰다. 그는 그리그의 조카사위이기도 했으며, 그리그의 피아노 작품 여러 곡을 오케스트라로 편곡했다. 대표적으로 1886년 페르귄트 재연 시 추가된 '신부 행렬의 통과'가 있으며, 할보르센이 편곡한 리카르도 노르드뢰크 추도의 장송 행진곡은 그리그의 장례식에서 연주되기도 했다.
오늘날 할보르센의 작품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곡으로는 '보야르의 입장 행진곡'(Bojarenes inntogsmarsjno)과 '베르겐시아나'(Bergensianano), 그리고 헨델의 주제를 바탕으로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위해 작곡한 '파사칼리아와 사라반드'가 있다. 그의 다양한 장르의 작품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3. 1. 1. 극음악
=== 오페레타 ===- '''북극의 모드'''(Mod Nordpolen), 3막 (1911); 대본 빌헬름 뒬바드
=== 부수 음악 ===
- '''구레'''(Gurre), 작품번호 17; 홀거 드라흐만의 희곡을 위한 음악
- '''노르드라크-아나'''(Nordraak-ana)
- '''아스켈라덴'''(Askeladden)
- '''크리스마스 별까지의 여정'''(Reisen til Julestjernen); 스베레 브란트의 희곡을 위한 음악
- '''토르덴스콜드'''(Tordenskjold), 작품번호 18; 야곱 브레다 불의 역사극을 위한 음악
- '''콩겐'''(Kongen, 왕), 작품번호 19; 뵨스테르네 뵨손의 희곡을 위한 음악
- '''포세그리멘'''(Fossegrimen), 작품번호 21; 시구르드 엘데가르드의 희곡을 위한 음악[4]
- '''바산타세나'''(Vasantasena); 고대 인도 희곡을 위한 음악
- '''베니스의 상인'''; 윌리엄 셰익스피어 희곡을 위한 음악
- '''헛소동'''(Much Ado about Nothing) (1915); 윌리엄 셰익스피어 희곡을 위한 음악
- '''숲속의 삶'''(Livet i skogen), 작품번호 33;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당신이 좋아하는 대로'''(As You Like It)를 위한 음악
- '''드로닝 타마라'''(Dronning Tamara); 크누트 함순의 희곡을 위한 음악
- '''맥베스'''(Macbeth) (1920); 윌리엄 셰익스피어 희곡을 위한 음악
3. 1. 2. 관현악곡
- '''보야르의 입장 행진곡(Bojarenes inntogsmarsj)''' 관현악(또는 콘서트 밴드)을 위한 (1895)[5]
- '''축제 서곡(Festovertyre)'', 작품번호 16 (1899)
- '''야경열차(Nächtlicher Zug)''' '''미니어처(Miniatures)''' 중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번호 29 2번 (1910); 작곡가 편곡
- '''뵤른스테르네 뵤른손 추모곡(Bjørnstjerne Bjørnson in Memoriam)'', 작품번호 30 (1910)
- '''테오도어 루즈벨트에게 보내는 노르웨이의 인사(Norway's Greeting to Theodore Roosevelt)'', 작품번호 31 (1910)
- '''고풍 스위트(Suite ancienne)''' 루드비히 홀베르크(Ludvig Holberg)의 추모를 위해, 작품번호 31 (1911)
- '''축제 행진곡(Festmarsj)'', 작품번호 32
- '''장송곡(Scène funèbre)'''
- '''세레나데(Sérénade)'', 작품번호 33 (1913)
- '''베르겐시아나(Bergensiana)'', 베르겐의 옛 노래 "나는 내 새로 조율된 시타르를 들었다(Jeg tog min nystemte Cithar i Hænde)"'를 바탕으로 한 로코코 변주곡 (1913)
- '''노르웨이 랩소디 1번(Norske rapsodie No. 1)''' A장조 (1919–1920)
: # 스프링가르(Springar)
: # 나는 얼마 전 침대로 갔다 (I went so lately to my bed)
: # 홀링(Halling) - 스프링가르(Springar)
- '''노르웨이 랩소디 2번(Norske rapsodie No. 2)''' G장조 (1919–1920)
: # 아모트의 춤곡(Dance tune from Åmot)
: # 한 올레(Han Ole)
: # 스프링가르(Springar)
- 교향곡 1번 C단조 (1923)
- 교향곡 2번 '''파툼(Fatum)''' D단조 (1924, 1928년 개정)
- 교향곡 3번 C장조 (1929)
- '''노르웨이 동화 그림(Norske eventyrbylleder)'', 작품번호 37 (1933); 1925년 부수 음악의 재작업
: # 페이크, 공주 그리고 큰 트롤(Peik, prinsessen og stortrollet)
: # 공주는 곰을 타고 온다(Prinsessen kommer ridende på bjørnen)
: # 트롤들의 청사 입장(Trollenes inntog i berget det blå)
: # 작은 트롤들의 춤(Dans av småtroll)
- '''축제 서곡(Festovertyre)'', 작품번호 38
-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엘레기(Elegi)'''
- '''흰 반지의 전주곡(Forspill til den hvite Ring)'''
- '''크라크얄룬드의 랍나 결혼식(Rabnabryllaup uti Kraakjalund)'',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노르웨이 민요 편곡
3. 1. 3. 협주곡
할보르센은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여러 협주곡풍의 작품을 남겼다. 특히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 G단조(작품번호 28)는 1909년 작곡되어 캐슬린 펄로에게 헌정되었으나, 단 세 번의 연주 후 악보가 분실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2016년, 토론토 대학교 도서관에서 악보 원고가 발견되어 107년 만인 2016년에 다시 연주될 수 있었다.[3][6]- 노르웨이 에어(fr)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번호 7 (1896/1903).
- 베슬레뫼의 노래(no)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1898); 캐슬린 펄로에게 헌정
- 노르웨이 노래 "늙은 어부의 노래(en)" 바이올린과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번호 31 (1901, 1913)
- 안단테 레리지오소(it)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1903)
-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G단조 협주곡, 작품번호 28 (1909); 캐슬린 펄로에게 헌정[6]
- 결혼 행진곡(no),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노르웨이 결혼 행진곡, 작품번호 32 1번
- 노르웨이 춤곡 1번(fr)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1915)
- 노르웨이 춤곡 2번(fr)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1915)
3. 1. 4. 실내악
- '''6개의 분위기 그림(6 Stimmungsbilder)'''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1890)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G단조 '''모음곡''' (1890)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노르웨이 춤곡(Danses norvégiennes)''' (1897)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엘레지(Elegie)''' (안단테) (1897)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주제에 따른 G단조 '''파사칼리아''' (G단조 하프시코드 모음곡, HWV 432에서) 바이올린과 비올라 또는 첼로를 위한 (1897)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주제에 따른 D단조 '''사라반드 변주곡''' 바이올린과 비올라 또는 첼로를 위한 (1897)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황혼(Crépuscule)''' (약 1898년)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모자이크 모음곡(Suite Mosaïque)''' (1898)
- * 오리엔탈 인터메조(Intermezzo orientale)
- * 엔트랙트(Entr'acte)
- * 스케르치노 – "참새(Spurven)"
- * 베슬레뫼의 노래(Veslemøys sang)
- * 시골 결혼식 축제(Fête nuptial rustique)
- E장조 '''현악 사중주곡''', 작품번호 10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작은 춤곡 모음곡(Little Dance Suite)''', 작품번호 22
-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슬라터(Slåtter)''', 농민 춤곡 (1903)
- 2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미니어처(Miniatures)''', 5개의 간단한 작품, 작품번호 29 (1910)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두 개의 세레나데(To serenader)'''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노르웨이 민요와 춤곡(Norske viser og danse)''', 30개의 민요 편곡
- 2바이올린을 위한 '''노르웨이 선율에 관한 콘체르토 카프리스(Concert Caprice on Norwegian Melodies)'''
3. 1. 5. 합창
- '''바르데'''(Vardenor): 남성 합창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칸타타. 작품번호 11 (1904). 작사 페르 시블레(Per Sivle).
- '''알루네'''(Alrunenor): 소프라노 독창, 여성 합창, 실내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 작품번호 20 1번.
- '''1906년 6월 22일 트론헤임 대성당 대관식을 위한 칸타타'''(Kantate ved kroningen i Trondhjems Domkirke den 22 juni 1906nor): 소프라노, 바리톤, 혼성 합창, 오케스트라, 하프, 오르간을 위한 칸타타. 작품번호 27 (1906). 작사 시그발드 스카블란(Sigvald Skavlan).
- '''베르겐시아나'''(Bergensiananor): 혼성 합창을 위한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Norske komponister ved Musikkfesten i Bergen, 1898
https://document.dk/[...]
2016-05-22
[2]
서적
Edvard Grieg in England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2006-01-01
[3]
뉴스
U of T Librarian chances upon lost 1909 concerto
2016-01-06
[4]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Norway
https://books.google[...]
ABC-CLIO
[5]
서적
Grainger on Music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
뉴스
Lost' Halvorsen violin concerto unearthed in Canada
https://www.thestrad[...]
2016-01-06
[7]
서적
Edvard Grieg in England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2006-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