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 (하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는 중국 신화 및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로, 하나라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그는 요 임금 시대에 홍수 치수 사업에 실패한 아버지 곤의 뒤를 이어 순 임금에게 천거되어 황하의 치수를 담당했다. 우는 13년 동안 노력하여 홍수를 성공적으로 다스렸고, 그 공로로 순 임금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아 하나라를 건국했다. 우는 이상적인 통치자로 숭배받았으며, 그의 치수 사업은 중국 문명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공 - 공자
    공자는 기원전 551년에 태어난 유교의 창시자이며, 덕치주의와 사회 질서를 중시하고 인과 예를 통해 사회적 조화를 추구했으며,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사공 - 담계 재
    주나라 문왕의 아들이자 무왕의 동복 형인 담계 재는 주나라 초기에 심에 봉해졌고, 삼감의 난 평정 후 사공이 되었으며, 그의 후손들이 심씨를 칭하게 되었다.
  • 하나라의 왕 - 망 (하나라)
    망은 하나라의 왕으로 회왕의 아들이며 상나라 신하 자해가 수도를 옮기고 동중국해에서 큰 물고기를 잡았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 하나라의 왕 - 공갑
    폭군으로 알려진 공갑은 미신 숭배와 기괴한 행동으로 제후들의 이반을 초래했으며, 용을 기르려다 실패한 일화와 함께 그의 시대부터 하나라의 세력이 쇠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기원전 22세기 통치자 - 나람신
    나람신은 기원전 23세기 아카드 제국의 왕으로, 정복 활동을 통해 제국 최대 영토를 건설하고 중앙 집권 정책과 신격화를 추진했으나 반란에 직면했으며, 그의 치세는 제국의 번영과 멸망에 대한 전설로 남았다.
  • 기원전 22세기 통치자 - 계 (하나라)
    계는 하나라의 창시자 우의 아들로, 우의 사후 신하들의 추대로 왕위에 올라 16년 동안 재위했으며, 폭력으로 왕권을 장악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우 (하나라)
기본 정보
유왕의 송나라 시대 묘사
유왕의 송나라 시대 묘사
왕조하나라
이름
중국어 간체大禹
병음Dà Yǔ
웨이드-자일스Ta⁴ Yü³
민난어 병음Tai-í, Tai-ú
광둥어 예일Daaih Yúh
중고음'*lˤat-s ɢʷraʔ'
재위
직위하나라의 왕
전임
후임
개인 정보
배우자도산씨 부인
자녀
아버지
어머니여지
사망 장소콰이 지 산

2. 이름 및 기원

설문해자》는 '禹'에 대해 "벌레", "파충류"를 뜻하는 상형 문자라고 설명한다.[6] 역사 언어학자 악셀 슈슐러는 '禹'의 상고 한어 발음을 *''waʔ''로 재구성하고, 이를 원시 티베트-버마어 *''was'' ('벌', '꿀') 또는 와어군 *''wak'' ('곤충')과 비교한다.[7][8]

전해지는 기록에 따르면 우는 신화적인 물고기 군의 아들이라고 한다.[9] 우의 아버지는 오늘날 쓰촨성베이촨현 웬산(汶山중국어)의 스니우에 봉토를 받았으며, 우는 그곳에서 태어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해진다.[16] 하지만 스팡에서 태어났다는 주장도 있다.[17]

우는 믿음직하고 근면하며 재치 있고 도덕적인 사람으로 묘사되었다.[22] 그는 투산(塗山중국어) 산의 여인 투산시와 결혼했다.[23] 투산의 위치는 안후이성의 투산과 충칭의 투 봉우리 중 하나로 추정된다.

발굴된 필사본에는 우의 탄생에 대한 또 다른 전설이 기록되어 있는데, 우의 어머니가 율무 곡물을 섭취한 후 임신하여 3년의 임신 기간을 거쳐 등을 통해 그를 낳았다고 한다.[24]

「우」 자는 본래 「虫(벌레 훼)」과 같은 형태로, 독사를 본뜬 상형 문자이다.[57]설문해자』에서는 「厹 (우)」라는 글자를 따른다고 설명하지만, 이는 잘못된 분석이다. 「禸(우)」 부분은 초기 형태에는 없으며, 후대에 추가된 의미가 없는 장식적인 필획이다.[58]

2. 1. 가계

우의 가계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이 전해진다. 우는 일종의 신화적인 물고기인 군의 아들이라고 알려져 있다.[9]

사마천의 ''사기(史記)''에 따르면, 우의 아버지는 군, 할아버지는 전욱, 증조할아버지는 창의, 고조할아버지는 황제였다. 창의와 군은 황제가 아닌 관료였다.[10][11][12] [13] ''한서(漢書)''는 우군(Lord Yu)의 황실 계보를 인용하여 우의 아버지 군이 전욱의 5대손이라고 기록했다.[14] ''산해경(山海കള്‍)''은 우의 아버지 군(白馬|Báimǎ|백마중국어)이 황제의 아들 루오밍의 아들이라고 전한다.[15]

우의 어머니는 유신(有莘氏|yǒushēnhuò|유신씨중국어) 씨족 출신으로, 이름은 누즈(女志|nǚzhì|여지중국어) 또는 누시(女嬉|nǚxī|여희중국어)였다. 그의 성은 사였고, 이후 봉토를 받은 국가 이름을 따서 하(夏)라고 불렀으며, 개인적인 이름은 ''사기''에 따르면 원명(文命|wénmìng|원명중국어)이었다.[18][19][20]

우는 황하 바로 남쪽에 있는 쑹산의 비탈에서 자란 것으로 여겨진다.[21] 그는 나중에 투산(塗山|túshān|투산중국어) 산의 여인과 결혼했다.[23] 그들은 기(启)라는 아들을 두었다.[23]

한나라 시대에 그려진 우, 오량사에서


다음은 우의 가계에 대한 여러 기록을 정리한 표이다.

출처아버지할아버지증조할아버지고조할아버지비고
사기(史記)전욱창의황제창의와 군은 황제가 아닌 관료
한서(漢書)---군은 전욱의 5대손
산해경(山海經)군(白馬|Báimǎ|백마중국어)루오밍-황제-


3. 우의 치수 사업

요 시대에 우는 치수 사업에 실패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순에게 천거되어 황하의 치수를 맡았다. 『열자』 양주 제7에 따르면, 이때 우는 일에 너무 몰두하여 아이도 기르지 않고 가정도 돌보지 않았으며, 몸은 반신불수가 되고 손발은 갈라지고 튼 채로 헐었다고 한다.[49]

우는 아버지의 실패 원인을 배우기 위해 강 시스템을 면밀히 연구했다. 반신화적인 농업 전문가인 후직과 협력하여, 홍수를 밭으로 흘려보내는 관개 수로 시스템을 만들고 강바닥을 준설하는 방식으로 홍수를 통제했다.[12] 이 치수 사업은 성공적이었고, 고대 중국 문명이 황하, 위수 등 중국 중심 지역의 수로를 따라 번성할 수 있게 했다. 이 프로젝트는 중국 역사에서 "우가 물을 다스리다"(大禹治水)라고 불리며 우에게 명성을 안겨주었다.

왕가의 『십유기』(서기 4세기)에 따르면, 우는 노란 용과 검은 거북(반드시 현무와 관련되지 않음)의 도움을 받았다.[26] 또 다른 지역 신화에 따르면, 우는 신성한 전투 도끼로 산등성이를 잘라 홍수를 통제하여 황하에 삼문협을 만들었다고 한다.

전통적인 이야기에 따르면 우는 홍수를 통제하기 위해 자신의 몸을 크게 희생했다. 그의 손발은 굳은살로 덮여 있었고, 결혼한 지 4일 만에 홍수와 싸우라는 임무를 받고 13년 동안 세 번이나 집 문 앞을 지나갔지만, 집 안으로 들어가지 않았다고 한다.[23][27]

우는 공공의 신하인 아홉 개의 머리를 가진 뱀 괴물 상류를 죽였다고도 전해진다.

『태평광기』에는 "신(요희)은 우에게 귀신을 소환하는 책을 증정한다"[50]라는 기록이 있으며, 『산해경광주』에는 우가 무지기(손오공의 원형)와 교전할 때 응룡의 도움을 받아 사로잡았다는 묘사가 있다.[51]

3. 1. 치수 방법

요의 시대에 우는 치수(治水) 사업에 실패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순에게 천거되는 형태로 황하의 치수를 맡았다. 아버지 곤은 강둑을 고정하고, 고지를 깎아 저지를 메우는 '인'이라는 방법을 사용했으나[49] 9년이 지나도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43] 아들 우는 배수로를 만들어 배수를 하는 '도'와 '소'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황허의 치수에 성공했다고 한다.[49]

필라델피아 미술관에 소장된 앨범 ''명사 초상'' 에 묘사된 우


요 임금 치세 동안, 중국의 중심 지역은 빈번한 홍수로 고통받았고, 이는 경제 및 사회 발전을 저해했다.[25] 우의 아버지 곤은 홍수를 통제할 시스템을 고안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강둑을 따라 일련의 제방과 댐을 건설하는 데 9년 이상을 보냈지만, 엄청난 수와 크기의 제방과 특별한 자체 팽창 토양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이 모든 것은 효과가 없었다. 우는 성인이 되어서 아버지의 사업을 이어받아 아버지의 엄청난 노력이 실패한 이유를 배우기 위해 강 시스템을 면밀히 연구했다.

반신화적인 농업 전문가인 후직과 협력하여 우는 중국 중심 지역의 번영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홍수 통제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고안했다. 우는 강의 흐름을 직접 막는 대신, 홍수를 밭으로 흘려보내는 관개 수로 시스템을 만들었으며, 강바닥을 준설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12] 우는 일반 노동자들과 함께 먹고 자며, 13년 동안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동안 강물의 진흙 바닥을 준설하는 작업을 직접 돕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준설 및 관개는 성공적이었으며 고대 중국 문명이 황하, 위수, 그리고 중국 중심 지역의 다른 수로를 따라 번성할 수 있게 했다. 이 프로젝트는 중국 역사 전반에 걸쳐 우에게 명성을 안겨주었으며, 중국 역사에서 "우가 물을 다스리다"라고 불린다. 특히, 황하를 따라 위치한 용문산은 물이 동쪽으로 바다를 향해 자유롭게 흐르는 것을 막는 매우 좁은 수로를 가지고 있었다. 우는 많은 수의 노동자들을 데려와 이 수로를 열었다고 하며, 그 이후로 "우의 관문"(禹門口|우문구중국어)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2]

왕가의 ''십유기''(서기 4세기)에 제시된 이 이야기의 재구성된 버전에서, 우는 노란 용과 검은 거북(반드시 현무와 관련되지 않음)의 도움을 받는다.[26] 또 다른 지역 신화에 따르면, 우는 신성한 전투 도끼로 산등성이를 잘라 홍수를 통제하여 황하에 삼문협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것은 아마도 운석석, 즉 용문산의 단단한 기반암을 침식할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한 돌을 가리키는 것일 것이다.

전통적인 이야기에 따르면 우는 홍수를 통제하기 위해 자신의 몸을 크게 희생했다. 예를 들어, 그의 손은 굳은살이 두껍게 박혔고, 그의 발은 완전히 굳은살로 덮여 있었다고 한다. 한 일반적인 이야기에서 우는 결혼한 지 4일 만에 홍수와 싸우라는 임무를 받았다. 그는 아내에게 작별 인사를 하며 언제 돌아올지 모른다고 말했다. 13년 동안 홍수가 진행되는 동안 그는 세 번이나 자기 집 문 앞을 지나갔지만, 매번 집 안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처음 지나갔을 때, 그는 아내가 해산할 예정이라는 소식을 들었다. 두 번째로 지나갔을 때, 그의 아들은 이미 아버지를 부를 수 있었다. 그의 가족은 그에게 집으로 돌아오라고 간청했지만, 그는 홍수가 아직 진행 중이기에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우가 세 번째로 지나갈 때, 그의 아들은 열 살이 넘었다. 매번, 우는 홍수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집을 잃었기에 쉴 수 없다며 문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거부했다.[23][27]

열자』 양주 제7에 따르면, 이때 일에 너무 몰두하여 몸이 반신불수가 되고, 손발은 갈라지고 튼 채로 헐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전설은 원래 존재했던 "우는 편고(偏枯)였다"라는 묘사를 후세에 합리적으로 해석한 결과 생겨난 이야기라고 여겨진다. 『장자』 도척편 제29에는 "요는 자애롭지 못하고, 순은 효성이 없으며, 우는 편고하다"고 하며, 『순자』 권3 비상편 제5에는 "우는 뛰고, 탕은 치우쳤다"고 한다. 시라카와 시즈카는 『산해경』에 보이는 물고기에 "편고"라는 표현이 사용된 것으로부터, 우는 당초 물고기의 모습을 한 신격이었다는 가설을 세웠다.

그리고 이 "편고"라는 특징을 본뜬 것으로 여겨지는 보행 방법이 우보이며, 반신불수로 비틀거리듯이, 또는 한 다리로 뛰듯이 걷는 신체 기법을 말한다. 우보는 도교나 중국의 민간 신앙의 의식에서 무당이 실천한 방법이며, 이것으로 비를 내릴 수 있다거나 바위를 움직일 수 있다고 전해진다. 일본의 주술적인 신체 기법인 반배(헨바이)도 『하학집』 등의 중세의 사전에서는 우보와 동일시되고 있지만, 반드시 같았던 것은 아닌 듯하다.

우는 공공의 신하인 아홉 개의 머리를 가진 뱀 괴물 상류를 죽였다고 한다.

『태평광기』에 기재된 "신(요희)은 우에게 귀신을 소환하는 책을 증정한다"[50]라는 기록이 있다.

『산해경광주』에 기록된 우에 의한 '''무지기''' (손오공의 원형)와의 교전 묘사에는 구체적인 용으로서는 응룡이 우를 돕고 있으며, 마지막에 사로잡혔다.[51]

그 후에도 우는, 사람들의 생활을 위협했던 희대의 악수 상류를 퇴치하고, 사람들에게 그 위업을 칭송받았다.

3. 2. 신화적 요소

요 임금 시대에 우는 치수 사업에 실패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순에게 추천받아 황하의 치수를 맡았다. 『열자』 양주 제7에 따르면, 이때 우는 일에 너무 몰두하여 아이도 기르지 않고 가정도 돌보지 않았으며, 몸은 반신불수가 되고 손발은 갈라지고 튼 채로 헐었다고 한다.[49] 그러나 이 전설은 원래 "우는 편고(偏枯)였다"라는 묘사를 후세에 합리적으로 해석한 결과 생겨난 이야기라고 여겨진다. 『장자』 도척편 제29에는 "요는 자애롭지 못하고, 순은 효성이 없으며, 우는 편고하다"고 하며, 『순자』 권3 비상편 제5에는 "우는 뛰고, 탕은 치우쳤다"고 한다. 시라카와 시즈카는 『산해경』에 보이는 물고기에 "편고"라는 표현이 사용된 것으로부터, 우는 당초 물고기의 모습을 한 신격이었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 "편고"라는 특징을 본뜬 것으로 여겨지는 보행 방법이 '''禹步'''|우보중국어이며, 반신불수로 비틀거리듯이, 또는 한 다리로 뛰듯이 걷는 신체 기법을 말한다. 우보는 도교나 중국의 민간 신앙 의식에서 무당이 실천한 방법이며, 이것으로 비를 내릴 수 있다거나 바위를 움직일 수 있다고 전해진다. 일본의 주술적인 신체 기법인 반배 (헨바이)도 『하학집』 등의 중세의 사전에서는 우보와 동일시되고 있지만, 반드시 같았던 것은 아닌 듯하다.

전해지는 자료들은 일관되게 우가 일종의 신화적인 물고기인 군의 아들이라고 주장하지만,[9] 군의 기원에 대해서는 의견이 달랐다. 사마천의 ''사기(史記)''()에 따르면, 우의 아버지는 군이며, 할아버지는 전욱, 증조할아버지는 창의, 고조할아버지는 황제였다. 창의와 군은 단지 관료였을 뿐 황제가 아니었다.[10][11][12] [13] ''한서(漢書)''는 우군(Lord Yu)의 황실 계보를 인용하여 우의 아버지 군이 전욱의 5대손이라고 진술했다.[14] ''산해경(山海經)''은 우의 아버지 군()이 황제의 아들 루오밍의 아들이라고 진술했다.[15]

우의 아버지 군은 오늘날 쓰촨성베이촨현의 웬산(汶山중국어)의 스니우에 봉토되었으며, 우는 그곳에서 태어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해진다.[16] 하지만 대신 스팡에서 태어났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17] 우의 어머니는 유신(有莘氏중국어) 씨족 출신으로, 이름은 누즈(女志중국어) 또는 누시(女嬉중국어)였다. 그의 성은 사였고, 이후 봉토를 받은 국가 이름을 따서 하(夏)라고 불렀으며, 개인적인 이름은 ''사기''에 따르면 원명(文命중국어)이었다.[18][19][20]

우가 어렸을 때, 요 황제는 군을 숭(崇)의 영주로 봉했는데, 숭은 일반적으로 쑹산의 중앙 봉우리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는 황하 바로 남쪽에 있는 쑹산의 비탈에서 자란 것으로 여겨진다.[21] 우는 믿음직하고, 근면하며, 재치가 뛰어나고 도덕적인 사람으로 묘사되었다.[22] 그는 나중에 투산(塗山중국어) 산의 여인과 결혼했는데, 그녀는 일반적으로 투산시()로 불린다.[23] 그들은 "계시"를 뜻하는 기(启)라는 아들을 두었다.[23] 투산의 위치는 항상 논쟁의 대상이었다. 가장 유력한 두 곳은 안후이성의 투산과 충칭의 투 봉우리이다.

우의 탄생에 대한 또 다른 전설이 발굴된 필사본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임시적으로 전국 시대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전설에 따르면 우의 어머니는 율무 곡물을 섭취한 후 임신하여 3년의 임신 기간을 거쳐 등을 통해 그를 낳았다.[24]

요 임금 치세 동안, 중국의 중심 지역은 빈번한 홍수로 고통받았고, 이는 경제 및 사회 발전을 저해했다.[25] 우의 아버지 곤은 홍수를 통제할 시스템을 고안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강둑을 따라 일련의 제방과 댐을 건설하는 데 9년 이상을 보냈지만, 엄청난 수와 크기의 제방과 특별한 자체 팽창 토양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이 모든 것은 효과가 없었다. 우는 성인이 되어서 아버지의 사업을 이어받아 아버지의 엄청난 노력이 실패한 이유를 배우기 위해 강 시스템을 면밀히 연구했다.

반신화적인 농업 전문가인 후직과 협력하여 우는 중국 중심 지역의 번영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홍수 통제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고안했다. 우는 강의 흐름을 직접 막는 대신, 홍수를 밭으로 흘려보내는 관개 수로 시스템을 만들었으며, 강바닥을 준설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12] 우는 일반 노동자들과 함께 먹고 자며, 13년 동안 프로젝트를 완성하는 동안 강물의 진흙 바닥을 준설하는 작업을 직접 돕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준설 및 관개는 성공적이었으며 고대 중국 문명이 황하, 위수, 그리고 중국 중심 지역의 다른 수로를 따라 번성할 수 있게 했다. 이 프로젝트는 중국 역사 전반에 걸쳐 우에게 명성을 안겨주었으며, 중국 역사에서 "우가 물을 다스리다" ()라고 불린다. 특히, 황하를 따라 위치한 용문산은 물이 동쪽으로 바다를 향해 자유롭게 흐르는 것을 막는 매우 좁은 수로를 가지고 있었다. 우는 많은 수의 노동자들을 데려와 이 수로를 열었다고 하며, 그 이후로 "우의 관문" (禹門口중국어)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2]

왕가의 ''십유기'' (서기 4세기)에 제시된 이 이야기의 재구성된 버전에서, 우는 노란 용과 검은 거북 (반드시 현무와 관련되지 않음)의 도움을 받는다.[26] 또 다른 지역 신화에 따르면, 우는 신성한 전투 도끼로 산등성이를 잘라 홍수를 통제하여 황하에 삼문협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것은 아마도 운석석, 즉 용문산의 단단한 기반암을 침식할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한 돌을 가리키는 것일 것이다.

전통적인 이야기에 따르면 우는 홍수를 통제하기 위해 자신의 몸을 크게 희생했다. 예를 들어, 그의 손은 굳은살이 두껍게 박혔고, 그의 발은 완전히 굳은살로 덮여 있었다고 한다. 한 일반적인 이야기에서 우는 결혼한 지 4일 만에 홍수와 싸우라는 임무를 받았다. 그는 아내에게 작별 인사를 하며 언제 돌아올지 모른다고 말했다. 13년 동안 홍수가 진행되는 동안 그는 세 번이나 자기 집 문 앞을 지나갔지만, 매번 집 안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처음 지나갔을 때, 그는 아내가 해산할 예정이라는 소식을 들었다. 두 번째로 지나갔을 때, 그의 아들은 이미 아버지를 부를 수 있었다. 그의 가족은 그에게 집으로 돌아오라고 간청했지만, 그는 홍수가 아직 진행 중이기에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우가 세 번째로 지나갈 때, 그의 아들은 열 살이 넘었다. 매번, 우는 홍수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집을 잃었기에 쉴 수 없다며 문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거부했다.[23][27]

우는 공공의 신하인 아홉 개의 머리를 가진 뱀 괴물 상류를 죽였다고 한다.

『태평광기』에 기재된 "신(요희)은 우에게 귀신을 소환하는 책을 증정한다"[50]라는 기록이 있다.

『산해경광주』에 기록된 우에 의한 '''무지기''' (손오공의 원형)와의 교전 묘사에는 구체적인 용으로서는 응룡이 우를 돕고 있으며, 마지막에 사로잡혔다.[51]

그 후에도 우는, 사람들의 생활을 위협했던 희대의 악수 상류를 퇴치하고, 사람들에게 그 위업을 칭송받았다.

4. 하 왕조 창시

순 임금은 요 임금 이후 재위했으며, 우(禹)의 토목 공사와 근면에 깊은 인상을 받아 자신의 아들이 아닌 우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우는 처음에는 왕위를 거절했다고 전해지지만, 다른 지방 영주들과 족장들에게 너무나 인기가 많아 53세의 나이에 새로운 황제가 되는 데 동의했다. 그는 수도를 안읍(安邑)으로 정했는데, 그 유적은 현재 산시성 남부 샤현에 있으며, 전통적으로 중국 최초의 왕조로 여겨지는 하나라를 건국했다.[28]

우는 즉위 후 얼마 동안 무기 생산을 중단하고, 밭에서는 수확량에 주의를 기울여 농민을 괴롭히지 않았으며, 궁궐의 대규모 증축은 당분간 미루고, 관문이나 시장에 걸리는 여러 세금을 면제하고, 지방에 도시를 건설하고, 번잡한 제도를 폐지하여 행정을 간략화했다. 그 결과, 중국 내는 물론, 밖에서까지 조공을 요구하게 되었다. 더욱이 우는 하천을 의도적으로 인도하는 등 다양한 하천을 정비하고, 주변 토지를 개간하여 초목을 육성했으며, 중앙과 동서남북의 차이를 깃발로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옛 방식을 답습하여 전국을 나누어 구주를 두었다. 우는 검약 정책을 펼쳤으며, 스스로 솔선수범했다.

우(禹)는 순(舜)으로부터 제위(帝位)를 선양(禪讓)받아 하(夏) 왕조를 열었다.[49] 사마천사기(史記)에 따르면, 10년간 제위에 있었다고 한다.[52]

5. 역사성 논쟁

20세기 초, 고대 의혹학파는 우가 가장 초기의 전설 속 인물이 아니라, 물과 관련된 신 또는 신화 속 동물이며, 아마도 신화 속 용왕들과 그들의 물에 대한 지배와 관련이 있다는 이론을 제기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우는 초기 하나라 사람들에 의해 의례용 청동기에 묘사되었으며, 주나라 초기에 전설적인 인물은 물을 다스릴 수 있는 최초의 인간으로 변모했다. 우보다 앞선 전설적인 인물들이 정통 전설 계보에 추가된 것은 주나라 시대에 이르러서였다고 한다. 중국 전설에 따르면, 대우(大禹)는 신과 같은 인간이었다.[39]

지스 협곡에서 일어난 대규모 홍수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기원전 192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는 황하를 따라 나타난 새로운 문화와 일치한다. 최초의 홍수 이후 물 관리 문제는 약 20년 동안 지속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우와 공동 저자들은 이것이 대우에 대한 이야기가 역사적 인물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는 생각을 뒷받침한다고 주장한다.[40]

6. 우왕 신앙

우는 오랫동안 고대 중국인들에게 이상적인 통치자이자 일종의 철인 정치로 여겨졌다. 베이촨, 원촨, 쓰촨의 두장옌 모두 그의 출생지라고 주장했다.[41]

중국의 신화적인 대홍수에 관여했기 때문에, 우는 도교와 중국 민간 신앙에서 수신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는 운송 중인 배를 보호하는 자로서 마조 사당에서 숭배되는 "물의 불멸의 다섯 왕"의 수장이다.[42]

타이난의 안핑 천후궁 사당에 있는 우와 그의 동료 물의 불멸의 왕들


그의 개인 이름은 오늘날 산둥에 있는 우(鄅중국어)라는 작은 정권의 간략화된 형태로, 중국 성씨와 동일하게 표기된다. 우가 춘추 시대 동안 노나라(국가)에 정복된 후, 그 백성들은 이 문중명을 계속 사용했다.

중국에서는 치수의 영웅이자 개척의 영웅으로 여겨지며 교과서에도 실리는 존재이다.[43] 저장성 사오싱시 웨청구 지산 가도의 대우릉 우적관에는 괭이를 든 우를 새긴 '대우치수' 부조가 있다.[43] 서유기에서 손오공이 사용하는 여의봉은 원래 우가 강해의 깊이를 재는 데 사용한 추라고 한다.

우왕 신앙은 일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대우는 도교에서 '수관대제'로 여겨진다. 우(하나라)를 제사지내는 사당, 또는 우의 이나 이름(대우, 신우, 하우, 문명)을 새긴 석비묘비를 통칭하여 "우왕 유적"이라고 한다.[55]

일본에서는 가나가와현 가이세이정에 거주하는 향토사학자 오와키 요시오가 전국 조사를 한 결과, 우와 관련된 비석이나 상이 수해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107곳에서 발견되었다. 오와키 등은 2010년 이후 "우왕 서미트"를 개최하고, 2013년 "치수신·우왕 연구회"를 발족시켰다.[54] 2019년 3월 말까지 일본에는 133건이 있음이 밝혀졌다.[55]

오키나와현에는 다음과 같은 13건의 우왕 유적이 확인되었다.[56]

유적명건립 연도위치비고
국왕송덕비1522년나하시 슈리, 슈리성 석문 동쪽
우라소에성 앞의 비1597년우라소에시 나카마 2초메, 우라소에 구스크 앞
아사토 다리 비문1677년나하시 도마리 1초메
킨조 다리 비문1677년나하시 한다가와, 아사토강
우히라 다리 비1690년하에바루정 야마카와, 초도강
세리객 다리 비1691년우라소에시 세리객 2초메, 고만강
중수 이시비야 다리 비문1697년토미구스키시 토미구시, 구야강
중수 마다마 다리 비문1708년토미구스키시 마다마 다리, 고쿠바강
추잔 공자묘 비기1716년나하시 쿠메 2초메
보토쿠 다리 기1732년이토만시 테루야, 보토쿠강
대청 류큐국 부자묘 비1756년나하시 쿠메 2초메, 옛 공자묘
류큐국 신건 국학 비문1801년나하시 슈리토라자마치 1초메, 국학
개조 이케시로 다리 비문1821년기타나카구스쿠촌 기타야, 시라히강



군마현 누마타시에도 우왕비가 존재한다.

6. 1. 한국의 우왕 유적

우릉(大禹陵)은 남북조 시대(6세기)에 우를 기리기 위해 처음 지어졌다.[36] 우릉은 사오싱 시에서 남동쪽으로 4km 떨어진 곳에 있다.[36] 능묘는 무덤, 사당, 우의 기념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후대에 여러 번 재건되었다.[37] 사마천은 "회계에 가서 우의 동굴을 탐험했다"고 기록했다. 무덤은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격자형 문, 운하, 대우 능묘를 위한 정자가 있다.[38] 많은 조각상에서 우는 호미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진 시황제를 비롯한 여러 황제들이 그를 기리는 의식을 거행하기 위해 이곳을 방문했다.[35]

참조

[1] 서적 Readings in Classical Chinese Philosophy Hackett
[2] 서적 The Great Encounter of China and the West, 1500–1800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3] 간행물
[4] 간행물
[5] 서적 A Companion to Chinese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6] 백과사전 Shuowen Jiezi 2009
[7] 문서 ABC Etymological Dictionary of Old Chinese University of Hawai'i Press
[8] 문서 The Palaungic Languages: Classification, Reconstruction and Comparative Lexicon München: Lincom Europa
[9] 웹사이트 Kangxi Dictionary https://ctext.org/ka[...] 2021-12-06
[10] 웹사이트 Annals of Xia https://ctext.org/sh[...] 2021-07-09
[11] 웹사이트 Book of Generations' Origins https://zh.wikisourc[...] 2020-11-11
[12] 간행물
[13] 웹사이트 Zynews.com http://guoxue.zynews[...] Xia dynasty brief history 2011-07-18
[14] 서적
[15] 웹사이트 https://zh.wikisourc[...]
[16] 웹사이트 Jiangsu.gov.cn http://www.jiangsu.g[...] 四川省汶川縣情及人文地理 2011-07-18
[17] 웹사이트 Scta.gov.cn http://www.scta.gov.[...] 2011-07-07
[18] 웹사이트 Annals of Xis https://ctext.org/sh[...] 2021-07-09
[19] 웹사이트 Sima Qian's discussion https://zh.wikisourc[...] Annals of Xia in the Shiji 2021-12-27
[20] 웹사이트 Annals of the Five Emperors https://ctext.org/sh[...] 2022-05-10
[21] 웹사이트 Hubeiwater.gov.cn http://www.hubeiwate[...] 大禹三过家门而不入与洪湖抗洪十字歌的精神浅谈 2011-07-07
[22] 간행물
[23] 간행물
[24] 논문 Not the Lun Yu: The Chu Script Bamboo Slip Manuscript, Zigao, and the Nature of Early Confucian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서적 Rhetoric in ancient China, fifth to third century BCE: a comparison with classical Greek rhetoric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26] 서적 The flood myths of early China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7] 간행물
[28] 간행물
[29] 문서 Zong-guok Man-faa Bui-ging Bat-cin Ci Seong Mou Jan Syu Gwun
[30] 문서 Chinese art: a guide to motifs and visual imagery Tuttle Publishing
[31] 문서 中國早期國家性質. 知書房出版集團
[32] 서적 The Most Venerable Book (Shang Shu) https://books.google[...] Penguin
[33] 문서 中國上古史專題研究. 五南圖書出版股份有限公司
[34] 문서 Bamboo Annals Xia chapter
[35] 웹사이트 http://www.chinacult[...] 2010-09-26
[36] 웹사이트 Yu Mausoleum http://www.china.org[...] 2010-09-26
[37] 웹사이트 zh:治水英雄大禹的葬地:大禹陵 http://lvyou.eco.gov[...] 2009-11-19
[38] 웹사이트 Yu mausoleum https://www.zj.gov.c[...] 2022-12-06
[39] 논문 Sage King Yu 禹 and the Bin Gong ''xu'' 豳公盪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논문 Outburst flood at 1920 BCE supports historicity of China's Great Flood and the Xia dynasty
[41] 뉴스 Scol.com.cn http://sichuan.scol.[...] Sichuan.scol.com.cn 2010-09-26
[42] 간행물 Official site http://www.tainanmaz[...] Grand Matsu Temple 2016-12-05
[43] 서적 禹王と治水の地域史 古今書院
[44] 문서 『漢書・律暦志』「顓頊五代而生鯀」
[45] 문서 『世本四種』「昌意生顓頊,顓頊生鯀」
[46] 문서 『五礼通考』「禹者,黄帝之玄孫而顓頊之孫也」
[47] 문서 『軒轅黄帝伝』「舜有虞氏,黄帝九代孫......夏禹亦黄帝之玄孫也......殷湯,黄帝十七代孫」
[48] 문서 『四川通志』「夏大禹黄帝五世孫【黄帝生昌意,昌意生顓頊,顓頊生鯀,鯀生禹】」
[49] 서적 禹王と治水の地域史 古今書院
[50] 문서 『太平広記』「有巫山焉,峰岩挺抜,林壑幽麗,巨石如壇,留連久之。時大禹理水,駐山下。大風卒至,崖振谷隕,不可制。因与夫人相値,拝而求助。即勅侍女,授禹策召鬼神之書,因命其神狂章、虞余、黄麾、大翳、庚辰([[応竜]])、童律、巨霊等助禹,斫石疏波,決塞導阨,以循其流」
[51] 문서 『山海経広注』「『岳瀆経』曰:堯九年,無支祁為孽,応竜駆之淮陽亀山足下,其後水平」
[52] 문서 『史記』「十年,帝禹東巡狩,至于会稽而崩」
[53] 서적 『夏王朝は幻では無かった』岳南著、朱権栄、加藤優子訳、柏書房2005
[54] 뉴스 大脇良夫「海を渡った治水神107の碑◇防災祈念し日本各地で古代中国の名君まつ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6-11-01
[55] 서적 禹王と治水の地域史 古今書院
[56] 문서 植村善博「沖縄における禹王遺跡とその歴史的意義」『鷹陵史学 第43号』佛教大学鷹陵史学会(2017年)
[57] 서적 金文形義通解 中文出版社
[57] 서적 説文新証 芸文印書館
[57] 서적 《文源》評注 中国社会科学出版社
[58] 서적 古文字構形学 福建人民出版社
[59] 문서 http://book.naver.co[...]
[60] 웹인용 씨성과 보첩(譜牒)에 대한 변증설(고전간행회본 권 33) https://web.archive.[...] 2018-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