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울산급 호위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산급 호위함은 1970년대 대한민국 자주국방 정책에 따라 개발된 대한민국 해군의 호위함이다. 1980년 초 북한과 대등한 군사력 확보를 목표로 하는 전력 증강 계획의 일환으로, 1975년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구축함 개발이 검토되었다. 현대중공업에서 설계를 담당했으며, 1980년 초도함 울산함이 진수되어 1981년 취역했다. 울산급은 1992년까지 총 9척이 건조되었으며, 연안 방어 및 해상 교통로 보호 임무를 수행했다. 주포로 76mm 함포를 장착하고, 하푼 대함 미사일 등을 추가하여 성능을 개선했다. 2014년부터 퇴역이 시작되어 현재는 일부 함정이 운용 중이며, 훈련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위함 - 프리깃
    프리깃은 대항해시대의 빠른 범선 군함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대잠전, 대공 방어, 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유도 미사일과 헬리콥터 등을 탑재하여 각국 해군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호위함 - FFG-826 천안
    FFG-826 천안은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으로 침몰한 함명을 계승하여 2023년 취역한 대한민국 해군의 호위함이며, 5인치 함포, 해궁 미사일 등을 탑재하여 대잠 및 대공 능력을 강화했다.
  • 울산급 호위함 - FF-958 제주
    FF-958 제주는 대한민국 해군에서 연안 방어 임무를 수행하다 2022년 퇴역한 초계함이다.
  • 울산급 호위함 - FF-953 충남
    대한민국 해군의 울산급 호위함 3번함인 충남함(FF-953)은 1986년 취역하여 1991년 해군 최초로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고 1992년 해군 최초의 세계 일주를 완수하는 등 활약 후 2017년 퇴역하여 훈련함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 호위함 함급 - 인천급 호위함
    인천급 호위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호위함으로, 대잠 및 대공 능력 강화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국산 장비를 탑재하고 스텔스 설계를 적용하여 127mm 함포, 팰렁스 CIWS, 해성 대함 미사일 등을 탑재한다.
  • 호위함 함급 - 라파예트급 호위함
    라파예트급 호위함은 프랑스 해군이 운용하는 스텔스 호위함으로, 스텔스 기술을 적용해 레이더 단면적을 최소화했으며, 프랑스 해군 외에 여러 국가에 수출되어 각국의 요구사항에 맞춰modified 되었다.
울산급 호위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샌디에이고 근처에서 촬영된 대한민국 해군 경북함 (FF-956)
경북함 (FF-956),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
함종프리깃함
건조현대중공업
한국조선공사
한국 타코마 조선소
대우 조선소
운용 국가
이전 함급해당사항 없음
이후 함급인천급
건조 기간1980년 - 1993년
취역 기간1981년 - 현재
총 건조 척수9척
현재 운용 척수2척
퇴역 척수5척
보존 척수3척
하위 함급해당사항 없음
제원
배수량경하: 1,500톤
만재: 2,180톤 (1차 배치)
만재: 2,215톤 (2-3차 배치)
길이103.7m
12.5m
흘수3.8m
추진 방식CODOG (Combined Diesel Or Gas)
엔진2 × GE LM2500 가스 터빈 엔진
2 × MTU 12V 956 TB82 디젤 엔진
속력35노트
항속 거리16노트에서 8,000해리
승조원186명 (장교 16명 포함)
무장 및 센서
사격 통제 시스템Signaal SEWACO ZK (1-2차 배치)
삼성/Ferranti WSA-423 (3차 배치)
레이더AN/SPS-10C 항해 레이더
사격 통제 레이더ST-1802 사격 통제 레이더
소나Signaal PHS-32 함수 장착 소나
TB-261K 예인 소나
전자전 장비ULQ-11K ESM/ECM 스위트
2 × Mark 36 SRBOC 6연장 채프/플레어 발사기
2 × 15연장 SLQ-261 어뢰 음향 대항책
주포2 × 오토멜라라 76mm/62 함포
부포4 × Emerson EMERLEC 30 트윈 욀리콘 30mm/75 KCB 함포 (1차 배치)
3 × Breda DARDO CIWS 트윈 보포스 40mm/70 함포 (2-3차 배치)
대함 미사일2 × 4 RGM-84C 하푼 SSM
대잠 무기2 × 3연장 Mark 32 SVTT
K745 청상어 ASW 어뢰 (2006년 이후) 또는 Mark 46 ASW 어뢰 탑재
12 × Mk 9 또는 KMk 9 폭뢰

2. 역사

1970년대 박정희 정부는 자주국방 정책을 추진하면서, 1975년 베트남의 공산화로 인한 안보 위기가 고조되었다.[12] 이에 따라 1980년 초까지 북한과 대등한 군사력을 육성,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전력증강계획이 마련되었다.[12] 해군은 이 계획에 따라 방어해역 내에서 완벽한 해상 통제권을 확보하고, 점차적으로 작전해역을 확대해 한반도 전 해역에 대한 해상 우세를 확보하는 것을 전략목표로 설정했다.[12]

1975년 7월 9일, 박정희 대통령은 변화하는 안보환경에 대응하고 자주국방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해군참모총장에게 구축함 개발 검토를 지시했다.[12] 당시 대한민국 해군은 소형 함정 건조 및 고속정 설계 기술은 보유하고 있었지만, 대형 전투함의 설계 경험은 전무했다.[12]

1976년 12월 현대조선과 설계계약을 체결했으나, 설계 관련 계획 및 자료구입이 어려워 현대조선은 미국의 JJMA사와 상호기술협력계약을 체결하여 기술 지원을 받았다.[12] 1978년 기본설계가 완료되었고, 같은 해 11월 현대조선과 해군 사이에 시제함 상세설계 및 건조계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한국형 구축함 건조에 착수했다.[12] 계획 초기에는 "한국형 구축함"으로 불렸지만, 함의 크기를 고려하여, 후에 계획명은 "호위함"으로 변경되었다.

1980년 4월 8일 초도함 '''‘울산함’'''의 진수식을 거행하고, 1981년 1월 1일 1번함 울산함이 취역했다.[12]

2. 1. 개발 배경

1970년대 박정희 정부는 자주국방 정책을 추진하면서, 1975년 베트남의 공산화로 인한 안보 위기가 고조되었다.[12] 이에 따라 1980년 초까지 북한과 대등한 군사력을 육성,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전력증강계획이 마련되었다.[12] 해군은 이 계획에 따라 방어해역 내에서 완벽한 해상 통제권을 확보하고, 점차적으로 작전해역을 확대해 한반도 전 해역에 대한 해상 우세를 확보하는 것을 전략목표로 설정했다.[12]

1975년 7월 9일, 박정희 대통령은 변화하는 안보환경에 대응하고 자주국방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해군참모총장에게 구축함 개발 검토를 지시했다.[12] 당시 대한민국 해군은 소형 함정 건조 및 고속정 설계 기술은 보유하고 있었지만, 대형 전투함의 설계 경험은 전무했다.[12]

1976년 12월 현대조선과 설계계약을 체결했으나, 설계 관련 계획 및 자료구입이 어려워 현대조선은 미국의 JJMA사와 상호기술협력계약을 체결하여 기술 지원을 받았다.[12] 1978년 기본설계가 완료되었고, 같은 해 11월 현대조선과 해군 사이에 시제함 상세설계 및 건조계약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한국형 구축함 건조에 착수했다.[12]

1980년 4월 8일 초도함 '''‘울산함’'''의 진수식을 거행하고, 1981년 1월 1일 1번함 울산함이 취역했다.[12]

2. 2. 개발 과정

1975년 베트남의 공산화는 대한민국의 자주국방 노력을 더욱 자극했다. 이에 따라 해군은 방어해역 내에서 완벽한 해상 통제권을 확보하고, 점차 작전해역을 확대해 한반도 전 해역에 대한 해상 우세를 장악하는 것을 전략목표로 설정했다.[12]

1975년 7월 9일 박정희 대통령은 변화하는 안보환경에 대응하고, 자주국방체제를 확립하기 위한 조치로 해군참모총장에게 구축함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여 보고하라는 지시를 내렸다.[12] 해군은 중무장, 고속, 장기간 항해가 가능한 최신예 플랫폼을 구상했으나, 당시 대한민국 해군은 고속정 설계 기술은 보유했지만 대형 전투함 설계 경험은 전무했다.[12]

1976년 12월 현대조선과 설계 계약을 체결했으나,[12] 설계 관련 계획 및 자료 구입이 어려워 현대조선은 미국의 JJMA사와 기술협력계약을 체결했다.[12] 1978년 기본설계가 완료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현대조선과 해군 사이에 시제함 상세설계 및 건조 계약이 체결되어 본격적인 한국형 구축함 건조가 시작되었다.[12]

1980년 4월 8일 초도함 '''울산함'''의 진수식이 거행되었으며, 최규하 대통령이 기념 연설을 했다.[12] 1981년 1월 1일 1번함 울산함이 취역했고, 이후 운용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보완해나가면서 1992년 3월 20일 마지막 함인 청주함까지 총 9척이 배치되었다.[12]

3. 설계

울산급은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에서 건조한 경호위함이다. 선형은 평갑판형으로, 비교적 건현이 낮은 선체 위에 4층 높이의 상부 구조물이 설치되었다。복원성 확보를 위해 상부 구조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되었지만,그럼에도 부족하여 취역 후에 고정 바스트를 추가 탑재했다。또한 함내 장비에 목재가 다용되는 등, 손상 통제 측면에서 문제가 지적되었다。

초도함의 해상 시험 당시, 동함의 안전성을 의심한 외국인 기술자가 출항을 거부하자, 함장이 그들을 함내로 안내하는 틈을 타 출항해버렸다는 일화도 있다。이는 당시 대한민국 조선 기술의 부족과, 군사독재 정권의 무리한 사업 추진이 빚어낸 촌극으로 평가받는다.

3. 1. 추진 체계

울산급 호위함은 순항 시 독일 MTU 프리드리히스하펜사의 MTU 12V956 TB82 디젤 엔진(3,600마력) 2기와, 고속 시 미국 제너럴 일렉트릭사의 LM2500 가스터빈 엔진(27,200마력) 2기를 사용하는 CODOG(Combined Diesel or Gas turbine) 방식을 채택했다. 이 엔진들은 감속기를 거쳐 2축 가변 피치 프로펠러를 구동한다.

4. 제원

울산급 호위함은 경하 1,500톤, 만재 2,300톤이다. 전장은 102m이고, 선폭은 11.5m, 흘수는 3.5m이다. 추진 방식은 CODOG이며, 최대 속력은 34노트, 15노트 순항 속도로 8,000해리(16노트 기준)를 항해할 수 있다. 승조원은 150명이다.

대수상/대공 탐지장비로는 탐지거리 135km의 DA-05 레이더를 탑재하고 있다. 항법 시스템은 AN/SPS-10C이며, 사격 통제 장치로는 시그널 WM-28, 삼성탈레스 WSA-423/ST-1802(3차선)를 사용한다. 소나는 시그널 PHS-32(함수)를 장착하고 있고, 전자전 시스템으로는 ULQ-11K를 탑재했다.

무장으로는 하푼 대함미사일 4발 x2, 대공 미사일 미스트랄을 장착했다.

전기형
(FF-951〜956)
후기형
(FF-957〜961)
병장76mm 컴팩트 함포 × 2문
30mm 연장 기총 × 4문40mm 연장 기총 × 3문
하푼SSM 4연장 발사관 × 2기
Mk.32 3연장 단어뢰 발사관 × 2기
Mk.9 폭뢰 투하 궤조 × 2조 (폭뢰 × 총 12발)
레이더DA-05 대공 수색용
ZW-06 대수상 수색용S-1810 대공・대수상 수색용
WM-28 포 사격 지휘용S-1802 포 사격 지휘용
소나DE-1167 선저 장착식
전자전
대항 수단
ULQ-11K 전파 탐지 장치
Mk.137 채프・플레어 발사기 × 4기
AN/SLQ-25 대어뢰 디코이 장치


5. 무장

(FF-951〜956)후기형
(FF-957〜961)병장76mm 컴팩트 함포 × 2문30mm 연장 기총 × 4문40mm 연장 기총 × 3문하푼SSM 4연장 발사관 × 2기Mk.32 3연장 단어뢰 발사관 × 2기Mk.9 폭뢰 투하 궤조 × 2조 (폭뢰 × 총 12발)레이더DA-05 대공 수색용ZW-06 대수상 수색용S-1810 대공・대수상 수색용WM-28 포 사격 지휘용S-1802 포 사격 지휘용소나DE-1167 선저 장착식전자전
대항 수단ULQ-11K 전파 탐지 장치Mk.137 채프・플레어 발사기 × 4기AN/SLQ-25 대어뢰 디코이 장치


5. 1. 주포

76mm 컴팩트 함포 2문이 함교 앞 01 레벨과 함미 갑판 위에 각각 1문씩 설치되었다. 초기형에는 에르리콘 KCB 30mm 기관포를 연장으로 배치한 미국 에머슨사(Emerson Electric Co.)제 유인 포탑인 EX-74를 함교 바로 앞 02 레벨에 1기, 함교 구조물 바로 뒤 같은 레벨 양현에 각 1기, 함교 뒤 01 레벨에 1기 등 총 4기를 탑재했다. 후기형에서는 40mm 연장 기관포로 변경되었으며, 함교 바로 앞 02 레벨 외에 함교 뒤에 대형 갑판실을 설치하여 그 윗면 양 끝 02 레벨에 1기씩 총 3기를 탑재했다.

울산급 호위함은 기본적으로 함포를 주체로 하는 함포형 호위함이며, 취역 시점부터 이미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기형
(FF-951〜956)
후기형
(FF-957〜961)
주포76mm 컴팩트 함포 × 2문
30mm 연장 기총 × 4문40mm 연장 기총 × 3문


5. 2. 부포

주포인 76mm 컴팩트 함포 2문을 보완하는 중구경 기총으로, 초기형에는 에르리콘 KCB 30mm 기관포를 연장으로 배치한 미국 에머슨사(Emerson Electric Co.)제 유인 포탑인 EX-74를 탑재했으며, 함교 바로 앞 02 레벨에 1기, 함교 구조물 바로 뒤 같은 레벨 양현에 각 1기, 함교 뒤 01 레벨에 1기 등 총 4기를 탑재했다. 후기형에서는 보포스 40mm 연장 기관포로 변경되었으며, 함교 바로 앞 02 레벨 외에 함교 뒤에 대형 갑판실을 설치하여 그 윗면 양 끝 02 레벨에 1기씩 총 3기를 탑재했다.

5. 3. 미사일

울산급 호위함은 기본적으로 함포를 주체로 하는 함포형 호위함으로 건조되었으나, 1980년대 후반 함대함 미사일인 하푼 4연장 발사관 2기를 연돌 바로 뒤 01 레벨 양현에 추가 탑재했다. 일부 함정에는 대공 미사일로 미스트랄이 장착되기도 하였다.

5. 4. 어뢰

Mk.32 3연장 어뢰발사관 2기가 설치되었다.

5. 5. 폭뢰

Mk.9 폭뢰 투하 궤조 2조 (폭뢰 총 12발)가 설치되었다.

6. 전자 장비

함교 구조물 후부에는 탑 형태의 전마스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 정점에는 전기형에서는 포 사격 지휘와 저고도 경계 겸용의 탈레스 네덜란드nl사제 X밴드 레이더인 WM-28의 난형 레돔이 설치되어 있었다. 후기형에서는 역시 X밴드로 동작하는 마르코니사제 S-1810 대공·대수상 수색용 레이더로 변경되었으며, 포 사격 지휘용으로는 동사의 S-1802가 함교 구조물 위에 설치되었다. 또한 후마스트 상에는 S밴드 대공 수색 레이더인 DA-05가 설치되어 있었다.

소나로는, 당초에는 시그널사제, 10킬로헤르츠급의 PHS-32를 선저에 갖추었지만, 나중에 레이세온사의 동급기인 DE-1167로 교체되었다.

초기 운용 경험에서 시스템 통합의 문제가 우려되었기 때문에, 후기형에서는 삼성-페란티 WSA-423 전술 정보 처리 장치를 탑재했다.[7] 이는 사격 지휘 장치와 레이더, 전자 광학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항법 장치 및 전파 탐지 장치, 함포 및 해성 대함 미사일, 그리고 링크 14와 연결되었다[7] 또한 전기형에서도 리튼사제 전술 정보 처리 장치가 후일 탑재된 외에, 본급 중 3척에서는 구축함으로서의 행동을 고려하여 링크 11 장치도 탑재하고 있다.

6. 1. 레이더

함교 구조물 후부에는 탑 형태의 전마스트가 설치되어 있다. 그 정점에는 전기형에서는 포 사격 지휘와 저고도 경계 겸용의 탈레스 네덜란드nl사제 X밴드 레이더인 WM-28의 난형 레돔이 설치되어 있었다. 후기형에서는 역시 X밴드로 동작하는 마르코니사제 S-1810 대공·대수상 수색용 레이더로 변경되었으며, 포 사격 지휘용으로는 동사의 S-1802가 함교 구조물 위에 설치되었다. 또한 후마스트 상에는 S밴드 대공 수색 레이더인 DA-05가 설치되어 있었다.

6. 2. 소나

울산급 호위함은 당초 시그널사제 10킬로헤르츠급 PHS-32 소나를 함수에 장착했으나, 이후 레이세온사의 동급 소나인 DE-1167로 교체되었다.

6. 3. 전자전 체계

울산급 호위함은 ULQ-11K 전파 탐지 장치를 갖추고 있다. 또한, Mk.137 채프/플레어 발사기 4기와 AN/SLQ-25 대어뢰 디코이 장치를 탑재하여 적의 공격에 대응한다.

6. 4. 전술 정보 처리 장치

초기형에는 리튼사 전술 정보 처리 장치가 후일 탑재되었으며, 후기형에는 삼성-페란티 WSA-423 전술 정보 처리 장치가 탑재되었다.[7] WSA-423은 사격 지휘 장치와 레이더, 전자 광학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항법 장치 및 전파 탐지 장치, 함포 및 해성 대함 미사일, 그리고 링크 14와 연결되었다.[7] 울산급 호위함 중 3척에는 구축함으로서의 행동을 고려하여 링크 11 장비도 탑재되었다.

7. 함정 목록

울산급 호위함의 함명은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에서 따왔다.

명칭함번진수일취역일퇴역일상태
1기
울산FF-9511980년 4월 8일1981년 1월 1일2014년 12월 30일퇴역
서울FF-9521984년 4월 24일1984년 12월 18일2015년 12월 31일퇴역
충남FF-9531984년 8월 26일1985년 7월 1일2017년 12월 27일퇴역
마산FF-9551984년 10월 26일1985년 8월 7일2019년 12월 24일퇴역
2기
경북FF-9561986년 1월 15일1986년 8월 1일2019년 12월 24일퇴역
3기
전남FF-9571988년 4월 19일1989년 10월 26일2022년 12월 31일퇴역
제주FF-9581988년 5월 3일1989년 12월 2일2022년 12월 31일퇴역
부산FF-9591992년 2월 20일1992년 11월 2일-운용중
청주FF-9611992년 3월 20일1992년 12월 2일-운용중



후기형 FF-957 전남

8. 운용 및 평가

울산급 호위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 전투함으로, 연안 방어와 해상 교통로 보호 임무를 수행했다. 건조 초기에는 함포 중심 설계로 인해 시대에 뒤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이후 하푼 대함 미사일 등을 추가 장착하여 성능을 개선했다.

울산급 호위함은 1981년 1번 함인 울산함이 취역한 이후, 1992년까지 총 9척이 건조되었다. 초기형(배치 I)인 울산, 서울, 충남, 마산함은 퇴역하여, 일부는 박물관선으로 활용되고 있다. 충남함과 경북함은 해군 제8전투훈련단에서 예비 및 훈련함으로 활용되고 있다. 후기형(배치 III)인 부산함과 청주함은 현재 대한민국 해군에서 운용 중이다.

그러나 시스템 통합 문제, 복원성 부족, 손상 통제 취약성 등 일부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9. 사고

2018년 6월 19일 12시 30분경, 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도 남쪽 25마일(약 40킬로미터) 해상에서 훈련 중이던 마산함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21세의 하사관 1명이 부상하여 헬리콥터로 국립부산대학교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사망했다. 대한민국 해군은 사격 훈련을 위해 30mm 기관포의 탄약을 제거하는 작업 중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0. 수출

1983년, 대만은 '광화 2호 계획'이라는 호위함 도입 사업을 통해 울산급 도입을 추진하였다. 1988년 울산급 호위함이 수출 직전까지 갔으나, 프랑스의 로비로 캉딩급 호위함이 도입되었다.[13]

2001년 6월, 방글라데시 해군은 울산급을 기반으로 설계가 대폭 수정된 호위함 1척을 "방가반두"로 취역시켰다. 이 함선은 방글라데시 해군 함대에서 가장 현대적인 함선이다.[8][9]

BNS ''방가반두''


하지만 구매와 관련하여 대우그룹에 굳이 발주하고 리베이트를 받았다는 혐의로 방글라데시 국내에서 발주 당시 수상까지 연루되는 부패 사건이 발생했다. 또한 기관 및 장비에 다수의 불량이 발견되어 2002년 2월에 퇴역하여 대규모 수리 및 개수를 거쳐 2007년에 "할리드 빈 왈리드"로 재취역했다.

참조

[1] 웹사이트 울산급 호위함(FF) 1번함 울산함 퇴역식 http://www.defenseto[...] 2021-12-13
[2] 뉴스 '노병, 고향에 안식'…퇴역 울산함, 고래특구 장생포 전시 https://www.yna.co.k[...] 2022-05-22
[3] 웹사이트 3척의 해군 퇴역함정 한강공원 망원정에 서울함 공원으로 개장 http://www.defenseto[...] 2021-12-13
[4] 뉴스 Seoul Battleship Park opens Wednesday https://www.koreatim[...] 2017-11-23
[5] 웹사이트 충남함 전역식 https://blog.naver.c[...] 2021-12-13
[6] 뉴스 국산 1세대 전투함 '충남함' 32년 임무 완수하고 전역 https://www.yna.co.k[...] 2021-12-13
[7] 웹사이트 Defense - Naval Combat System https://www.hanwhasy[...] Hanwha Systems Co., Ltd. 2024-09-28
[8] 뉴스 Another graft case against Hasina http://www.tribunein[...] The Tribune 2002-08-09
[9] 뉴스 Ex-Bangladesh PM, navy chief charged with graft over Korean frigate deal http://www.spacewar.[...] SPACEWAR 2003-08-04
[10] 웹사이트 総合検索 {{!}} 聯合ニュース http://japanese.yonh[...] 2018-06-28
[11] 뉴스 해군 마산함서 탄약 해체 중 폭발…부사관 1명 사망(종합) http://www.yonhapnew[...] 2018-06-28
[12] 뉴스 최신예 국산호위함 청주함 진수식 https://news.kbs.co.[...] 1992-03-20
[13] 뉴스 한국산 프리킷함 구매에 반발...대만정계-언론 국민감정자극 https://www.hankyung[...] 1988-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