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예시
편의상 유클리드 공간 의 표준 기저를 으로 표기한다. 여기서 는 임의의 체이다.
은 자명하게 원환 다양체를 이룬다. 이는 0차원 뿔 , 에 대응된다. 의 쌍대뿔은 이며, 에 의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아핀 원환 다양체는 이다. 매끄러운 원환면은 쉽게 특징지을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사영적이며 각 꼭짓점에서 두 개의 인접한 모서리가 의 기저를 이루는 두 벡터에 의해 뻗어 있는 다각형의 법선 팬에서 유래한다.
아핀 공간은 원환 다양체의 한 예시이며, 이는 의 “2''n''분면” 에 해당한다.[12] 이 뿔은 스스로의 쌍대뿔과 같으며, 표준 기저 에 의하여 생성된다. 이에 대응하는 원환 다양체는 차원 아핀 공간 이다.
예를 들어, 아핀 평면 는 다음과 같은 부채에 대응된다.
:
모든 사영 공간은 원환 다양체이며, 차원 사영 공간에 대응되는 다면체는 차원 단체이다.[14]
구체적으로, 의 표준 기저 가 주어졌을 때,
:
을 정의하고, 개의 뿔들로 생성되는 부채를 생각할 수 있다.[12] 이 부채는 의 개의 진부분 집합에 대응되는 뿔들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차원의 뿔들은 개가 있으며, 이는 사영 공간의 크기 의 아핀 열린 덮개에 해당한다.
사영 공간의 동차 좌표를
:
이라고 한다면, 이는
:
:
에 해당한다. 각 는 아핀 공간 에 대응되며, 이들을 짜깁기하면 사영 공간 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원환 다양체가 어떤 복소 사영 공간에 매립될 수 있다면 사영 다양체가 된다. 사영 원환 다양체는 유리 다포체의 법선 팬에서 나오는 것들로 알려져 있다.[3]
예를 들어, 복소 사영 평면 는 삼각형, 즉 -단순체에서 나온다. 이것은 다음을 만족하는 세 개의 복소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
여기서 합은 사영 맵의 실수 스케일 조정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었으며, 좌표는 다음 작용에 의해 추가로 식별되어야 한다.
:
원환 기하학의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이 쓰는 것이다.
:
좌표 는 음수가 아니며, 다음 때문에 삼각형을 매개변수화한다.
:
즉,
:
이 삼각형은 복소 사영 평면의 '''원환 기저'''이다. 일반적인 올은 의 위상에 의해 매개변수화되는 두 개의 원환면이다. 의 위상은 대칭에 의해 실수이고 양수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두 개의 원환면은 삼각형의 경계, 즉 또는 또는 에서 세 개의 다른 원으로 축퇴되는데, 이는 의 위상이 각각 중요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원환면 내의 원의 정확한 방향은 일반적으로 선분(이 경우 삼각형의 변)의 기울기로 묘사된다.
이 구성은 심플렉틱 기하학과 관련이 있는데, 맵 가 심플렉틱 다양체 에 대한 의 작용에 대한 운동량 사상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코니폴드는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예시이며, 다음과 같은 속의 3차원 뿔에 의하여 정의되는 아핀 원환 다양체이다.[18]
:
:이 뿔에 대응되는 쌍대뿔은
:
:이다. 따라서, 이를 생성하는 격자점은
:(1,−1,0), (1,0,−1), (0,0,1), (0,1,0)
:이다. 이들 사이의 유일한 관계는
:(1,−1,0) + (0,1,0) = (1,0,−1) + (0,0,1)
:이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아핀 스킴(코니폴드)은
:
:이다.[18] 의 표수가 2가 아니라면,
:
:
:
:
:를 정의하여, 이를
:
:로 적을 수 있다.
오비폴드는 원환 다양체의 일반화된 형태로, 특이점을 가질 수 있다.
다음과 같은 2차원 부채는 오비폴드 를 나타낸다.[18] (2차 순환군 은 와 같이 작용한다.)
:
이 2차원 뿔 는 스스로의 쌍대뿔이며, 과 과 에 의하여 생성된다.
:
이므로, 이는 아핀 대수다양체
:
를 정의한다. 기하학적으로, 이는 2차 초곡면인 뿔이다.
사실, 아핀 공간 위에 2차 순환군의 작용
:
의 작용에 대한 몫은 기하 불변량 이론 몫으로서 다음과 같은 가환환의 스펙트럼이다.
:
여기서 는 의 작용에 대하여 불변인 원소로 구성된 부분환이다. 이는
:
로 생성되며, 이 사이의 관계는
:
밖에 없다. 따라서, 이는 스킴의 동형 사상
:
:
을 갖는다.
델 페초 곡면은 사영 평면을 부풀리기하여 얻어지는 원환 다양체의 예시이다.[18]
다음과 같은 2차원 부채는 델 페초 곡면 을 나타낸다.[18]
:
구체적으로, 이는 사영 평면에서, 세 2차원 뿔 가운데 하나를 세분한 것이다. 이는 이 점에서의 부풀리기에 해당한다.
다음과 같은 2차원 부채는 델 페초 곡면 을 나타낸다.[18]
:
다음과 같은 2차원 부채는 델 페초 곡면 을 나타낸다.
:
이것이 두 사영 직선의 곱임은 부채로부터 쉽게 확인할 수 있다.
5. 1. 원환면 (Toric Surface)
은 자명하게 원환 다양체를 이룬다. 이는 0차원 뿔 , 에 대응된다. 의 쌍대뿔은 이며, 에 의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아핀 원환 다양체는 이다. 매끄러운 원환면은 쉽게 특징지을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사영적이며 각 꼭짓점에서 두 개의 인접한 모서리가 의 기저를 이루는 두 벡터에 의해 뻗어 있는 다각형의 법선 팬에서 유래한다.
5. 2. 아핀 공간 (Affine Space)
아핀 공간은 원환 다양체의 한 예시이며, 이는 의 “2''n''분면” 에 해당한다.[12] 이 뿔은 스스로의 쌍대뿔과 같으며, 표준 기저 에 의하여 생성된다. 이에 대응하는 원환 다양체는 차원 아핀 공간 이다.
예를 들어, 아핀 평면 는 다음과 같은 부채에 대응된다.
:
5. 3. 사영 공간 (Projective Space)
모든 사영 공간은 원환 다양체이며, 차원 사영 공간에 대응되는 다면체는 차원 단체이다.[14]
구체적으로, 의 표준 기저 가 주어졌을 때,
:
을 정의하고, 개의 뿔들로 생성되는 부채를 생각할 수 있다.[12] 이 부채는 의 개의 진부분 집합에 대응되는 뿔들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차원의 뿔들은 개가 있으며, 이는 사영 공간의 크기 의 아핀 열린 덮개에 해당한다.
사영 공간의 동차 좌표를
:
이라고 한다면, 이는
:
:
에 해당한다. 각 는 아핀 공간 에 대응되며, 이들을 짜깁기하면 사영 공간 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원환 다양체가 어떤 복소 사영 공간에 매립될 수 있다면 사영 다양체가 된다. 사영 원환 다양체는 유리 다포체의 법선 팬에서 나오는 것들로 알려져 있다.[3]
예를 들어, 복소 사영 평면 는 삼각형, 즉 -단순체에서 나온다. 이것은 다음을 만족하는 세 개의 복소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
여기서 합은 사영 맵의 실수 스케일 조정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었으며, 좌표는 다음 작용에 의해 추가로 식별되어야 한다.
:
원환 기하학의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이 쓰는 것이다.
:
좌표 는 음수가 아니며, 다음 때문에 삼각형을 매개변수화한다.
:
즉,
:
이 삼각형은 복소 사영 평면의 '''원환 기저'''이다. 일반적인 올은 의 위상에 의해 매개변수화되는 두 개의 원환면이다. 의 위상은 대칭에 의해 실수이고 양수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두 개의 원환면은 삼각형의 경계, 즉 또는 또는 에서 세 개의 다른 원으로 축퇴되는데, 이는 의 위상이 각각 중요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원환면 내의 원의 정확한 방향은 일반적으로 선분(이 경우 삼각형의 변)의 기울기로 묘사된다.
이 구성은 심플렉틱 기하학과 관련이 있는데, 맵 가 심플렉틱 다양체 에 대한 의 작용에 대한 운동량 사상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5. 4. 코니폴드 (Conifold)
코니폴드는 칼라비-야우 다양체의 예시이며, 다음과 같은 속의 3차원 뿔에 의하여 정의되는 아핀 원환 다양체이다.[18]
:
:이 뿔에 대응되는 쌍대뿔은
:
:이다. 따라서, 이를 생성하는 격자점은
:(1,−1,0), (1,0,−1), (0,0,1), (0,1,0)
:이다. 이들 사이의 유일한 관계는
:(1,−1,0) + (0,1,0) = (1,0,−1) + (0,0,1)
:이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아핀 스킴(코니폴드)은
:
:이다.[18] 의 표수가 2가 아니라면,
:
:
:
:
:를 정의하여, 이를
:
:로 적을 수 있다.
5. 5. 오비폴드 (Orbifold)
오비폴드는 원환 다양체의 일반화된 형태로, 특이점을 가질 수 있다.
다음과 같은 2차원 부채는 오비폴드 를 나타낸다.[18] (2차 순환군 은 와 같이 작용한다.)
:
이 2차원 뿔 는 스스로의 쌍대뿔이며, 과 과 에 의하여 생성된다.
:
이므로, 이는 아핀 대수다양체
:
를 정의한다. 기하학적으로, 이는 2차 초곡면인 뿔이다.
사실, 아핀 공간 위에 2차 순환군의 작용
:
의 작용에 대한 몫은 기하 불변량 이론 몫으로서 다음과 같은 가환환의 스펙트럼이다.
:
여기서 는 의 작용에 대하여 불변인 원소로 구성된 부분환이다. 이는
:
로 생성되며, 이 사이의 관계는
:
밖에 없다. 따라서, 이는 스킴의 동형 사상
:
:
을 갖는다.
5. 6. 델 페초 곡면 (del Pezzo Surface)
델 페초 곡면은 사영 평면을 부풀리기하여 얻어지는 원환 다양체의 예시이다.[18]
```source
다음과 같은 2차원 부채는 델 페초 곡면 을 나타낸다.[18]
:
구체적으로, 이는 사영 평면에서, 세 2차원 뿔 가운데 하나를 세분한 것이다. 이는 이 점에서의 부풀리기에 해당한다.
다음과 같은 2차원 부채는 델 페초 곡면 을 나타낸다.[18]
:
다음과 같은 2차원 부채는 델 페초 곡면 을 나타낸다.
:
이것이 두 사영 직선의 곱임은 부채로부터 쉽게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