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로는 고통을 겪는 사람들에게 달래기, 격려, 도움을 주는 행위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라틴어 'consolor'와 독일어 'trösten'에서 유래되었으며, 공감 능력을 바탕으로 영장류에게서 본능적으로 나타난다. 사회적 관행으로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존재해 왔으며, 죽음뿐만 아니라 망명, 빈곤 등 다양한 상황에서 이루어졌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위로 연설'이 의례적인 연설의 한 유형으로 사용되었고, 예술 작품의 주제가 되기도 한다. 일부 경쟁에서는 패배한 참가자에게 위로의 의미로 상을 수여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 관계 - 동성애
    동성애는 동성 간의 성적 매력, 행위, 애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LGBT와 같은 포괄적인 용어가 사용되며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동성애자 권리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인간 관계 - 연인
    연인은 서로 사랑하는 관계를 뜻하며, 일본어의 '이모세', '오모히비토', '애인'과 영어의 'boyfriend', 'girlfriend', 'steady' 등 다양한 표현이 존재하지만, '아베크'는 점차 사용되지 않는 추세이다.
위로
위로
정의고통, 슬픔, 또는 불행을 겪고 있는 사람에게 제공되는 공감과 지지
목적괴로움을 덜어줌
정서적 안정 제공
희망을 불어넣어 줌
형태
언어적 위로격려의 말
공감 표현
경청
비언어적 위로신체적 접촉 (예: 포옹)
선물
함께 시간 보내기
위로의 효과
심리적 효과스트레스 감소
불안 완화
자존감 향상
사회적 효과유대감 강화
고립감 해소
사회적 지지 네트워크 형성
위로의 한계
개인차사람마다 위로를 받아들이는 방식과 효과가 다름
상황특정 상황에서는 위로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음
진정성진정성이 없는 위로는 오히려 상처를 줄 수 있음
위로와 관련된 개념
공감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함께 느끼는 능력
연민고통받는 사람에 대한 깊은 슬픔과 동정심
지지어려운 시기에 누군가를 도와주는 행위
애도상실에 대한 슬픔을 표현하고 극복하는 과정

2. 유래

'위로'라는 말은 라틴어 'consolor', 독일어 'trösten'에서 유래했으며, 적극적인 격려, 도움, 편안하게 해주기, 고통을 경감하고 누그러뜨려주는 것을 포괄한다.[18]

2. 1. 어원

위로라는 말은 라틴어 'consolor', 독일어 'trösten'에서 유래하였으며, 이 말은 적극적인 달래기, 격려, 도움 주기, 편안하게 해주기, 고통을 경감하고 누그러뜨려주는 것을 포괄하고 있다. 따라서 “위로하다"라는 개념에서는 그에 따른 고통을 가진 사람들에게 그 고통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인간들의 모든 행동들은 물론 고통의 공유와 공감 등을 말한다.[18]

3. 역사

위로는 공감의 표현이며, 영장류에게서도 나타나는 본능적인 행위이다. 사회적 관행으로서 위로는 고대부터 존재해 왔다. 네덜란드의 영장류학자 프란스 드 발침팬지와 같은 인간이 아닌 영장류 사이에서도 위로하는 행위가 관찰된다고 말했다.[3]

3. 1. 고대 사회

위로하려는 욕구는 공감의 표현이며, 본능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네덜란드의 영장류학자 프란스 드 발침팬지와 같은 인간이 아닌 영장류 사이에서도 위로하는 행위가 관찰된다고 말했다.[3]

고대 로마 시대의 편지를 살펴보면, 유족을 위로하는 것은 중요한 책임이었다. 위로를 제공하는 사람과 유족 모두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고 특정한 말을 할 것으로 기대되었으며, 위로하는 사람은 정서적, 실질적인 지원을 모두 제공해야 했다.[4] "위로가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상황은 죽음"이었지만,[5] 망명, 빈곤, 정치적 실패, 질병, 난파, 노년 등 다른 상황에서도 위로가 이루어졌다.[5] 당시 파피루스 편지에는 "죽음은 모든 사람에게 공통"이라는 표준적인 위로의 내용이 담겨 있었으며, 식량을 보내는 내용이 자주 언급되었다.[4] 식량은 유족에게 또 다른 위로로 제공되었거나 종교적인 목적을 가졌을 수도 있다고 한다.[4]

기원전 5세기에 소피스트 안티폰은 공공 광장에 부스를 설치하고 유족들에게 위로를 제공했다고 한다.[5] 또한 "고대 시대의 위로는 대중적인 수준으로까지 확대"되었으며, 침략에 직면한 마을을 위로하기 위한 철학자들의 방문도 포함되었다.[6]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Consolatio'' 또는 '''위로 연설'''은 장례식에서 조문객을 위로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사학의 한 유형이었다. 그것은 가장 인기 있는 고전 수사학 주제 중 하나가 되었다.[7][8] 플라톤주의 철학자 크란토르는 이 전통의 에세이 집필을 개척했다. 그의 에세이는 단편만 남아 있지만, 키케로의 ''투스쿨룸 담론''과 플루타르코스의 ''아폴로니우스에게 보내는 위로'' 등 후대 작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9] 소(小) 세네카는 ''세네카의 위로''(''마르키아에게'', ''폴리비우스에게'', ''헬비아 어머니에게'')에서 세 편의 ''Consolatio''를 통해 가장 뚜렷한 예를 보여주었다. 가짜 오비디우스의 ''리비아에게 보내는 위로''는 시 형식의 ''Consolatio''의 가장 잘 알려진 예이다.[10] 플루타르코스의 작품에는 ''망명에 관하여'', ''아내에게 보내는 위로'', ''아폴로니우스에게 보내는 위로''와 같이 ''Consolatio'' 전통에 따라 구성된 세 작품이 포함되어 있다.[9]

3. 2. 철학 및 종교

프란스 드 발침팬지와 같은 인간이 아닌 영장류에게서도 위로 행동이 나타난다고 말했다.[3]

역사적, 철학적으로 위로는 6세기 저서인 철학의 위안에서 중요한 상징적 역할을 한다. 보에티우스는 국가에 대한 범죄 혐의로 사형 선고를 받은 후 "철학 부인" (철학의 의인화)으로부터 위로를 받았다고 묘사한다.[11] 보에티우스는 철학적 사색으로 자신의 죽음이 결정되었다는 것을 알고 괴로워하는 자신을 위로한다.

종교에서 슬픔의 시기에 신도들에게 위로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마하바라타에서 힌두교의 화신 크리슈나는 그의 형제 발라라마와 공주 사티야 바마가 자만심 때문에 굴욕을 겪은 후 그들을 위로한다.[12] 바가바드 기타에서 아르주나가 크리슈나가 부상으로 죽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자, 크리슈나는 감동적인 철학으로 그를 위로했다.[13] 기독교에서, 십자가의 길 중 하나는 "예수께서 예루살렘의 딸들을 위로하신다"라고 불린다.[14] 신자들이 삶에서 겪는 다양한 고통에 대해 신앙 안에서 위로를 얻도록 권고하는 기독교 문헌이 많다. 기독교의 한 분파인 카타리파는 콘솔라멘툼이라는 성사를 행했는데, 이는 신에게 더 가까이 가거나 천국에 가기 위해 삶의 불가피한 후회에 대한 위로가 필요했다.[15]

4. 예술에서의 위로

위로는 예술에서 고전적인 주제로 다루어져 왔다.[16]

4. 1. 문학

의 한 형태인 애가는 "분리된 화자가 청중과 소통하여 일종의 정화적 위안을 얻으려는 의도로 감정을 언어적으로 표현하거나 연출하는 것"으로 묘사되어 왔다.[16] 위안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문학적 기법의 예로는 작가나 화자가 죽은 사람의 지속적인 생각이나 의견을 나타내는 의인법이 있다.[16]

5. 경쟁에서의 위로

일부 경쟁에서는 패배한 참가자에게 위로의 의미로 상이나 인정을 수여하기도 한다. 준우승자에게 주어지는 위로상이나, 스포츠 토너먼트에서 상위 두 팀이 1, 2위를 다투는 동안, 다음 두 팀이 3위 입상을 위한 상을 놓고 경쟁하는 3위 결정전 등이 그 예이다.[17]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는 아킬레우스파트로클로스의 장례식에서 그리스인들 사이에 열린 스포츠 대회를 심판하는 내용이 나온다. 전차 경주에서 뛰어난 전차 운전사로 알려진 에우멜로스가 충돌하여 꼴찌로 들어왔다. 아킬레우스는 에우멜레스에게 2위 상을 주어 패배한 그의 공적을 인정하는 위로상으로 삼고자 했다. 그러나 실제로 2위를 차지한 안틸로코스는 상은 자격 있는 경쟁자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의를 제기했고, 결국 위로상은 무산되었다.[17]

5. 1. 위로상

일부 경쟁에서는 패배한 참가자에게 위로의 의미로 어떤 형태의 상이나 인정을 수여한다. 이는 준우승자에게 수여되는 위로상의 형태이거나, 스포츠 토너먼트에서 상위 두 팀이 1위와 2위를 놓고 경쟁하는 반면, 다음 두 팀이 3위 입상을 위한 상을 놓고 경쟁하는 3위 결정전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일리아스''에서 나타나는데, 호메로스아킬레우스파트로클로스의 장례식 동안 그리스인들 사이에서 열린 스포츠 대회를 심판하는 사건에 대해 쓰고 있다. 전차 경주에서 뛰어난 전차 운전사로 알려진 에우멜로스가 충돌하여 꼴찌로 들어오게 된다. 아킬레우스는 에우멜레스에게 2위 상을 주어 전차 운전사로서 패배한 참가자의 공적을 인정하는 위로상으로 삼고 싶어 했다. 그러나 이러한 위로상 수여 시도는 실제로 2위를 차지한 안틸로코스에 의해 좌절되는데, 그는 상이 상을 받을 자격이 있는 경쟁자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이의를 제기한다.[17]

5. 2. 3·4위전

일부 경쟁에서는 패배한 참가자에게 패배에 대한 위로의 의미로 어떤 형태의 상이나 인정을 수여한다. 이는 준우승자에게 수여되는 위로상의 형태이거나, 스포츠 토너먼트에서 상위 두 팀이 1위와 2위를 놓고 경쟁하는 반면, 다음 두 팀이 3위 입상을 위한 상을 놓고 경쟁하는 3위 결정전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일리아스''에서 나타나는데, 호메로스아킬레우스파트로클로스의 장례식 동안 그리스인들 사이에서 열린 스포츠 대회를 심판하는 사건에 대해 쓰고 있다. 전차 경주에서 뛰어난 전차 운전사로 알려진 에우멜로스가 충돌하여 꼴찌로 들어오게 된다. 아킬레우스는 에우멜레스에게 2위 상을 주어 전차 운전사로서 패배한 참가자의 공적을 인정하는 위로상으로 삼고 싶어 했다. 그러나 이러한 위로상 수여 시도는 실제로 2위를 차지한 안틸로코스에 의해 좌절되는데, 그는 상이 상을 받을 자격이 있는 경쟁자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성공적으로 이의를 제기한다.[17]

5. 3.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는 아킬레우스파트로클로스의 장례식에서 그리스인들 사이에 열린 스포츠 대회를 심판하는 내용이 나온다. 전차 경주에서 뛰어난 전차 운전사로 알려진 에우멜로스가 충돌하여 꼴찌로 들어왔다. 아킬레우스는 에우멜레스에게 2위 상을 주어 패배한 그의 공적을 인정하는 위로상으로 삼고자 했다. 그러나 실제로 2위를 차지한 안틸로코스는 상은 자격 있는 경쟁자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의를 제기했고, 결국 위로상은 무산되었다.[17]

6. 한국 사회에서의 위로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상호부조공동체 의식을 중시하여,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 대한 위로와 지원이 강조되어 왔다.

참조

[1] 서적 The Renewal of Generosity: Illness, Medicine, and How to Live 2009
[2] 서적 Encyclopedia of Psychology and Religion 2010
[3] 서적 The Age of Empathy: Nature's Lessons for a Kinder Society 2009
[4] 서적 Death in Ancient Rome: A Sourcebook 2007
[5]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and Rome 2010
[6] 서적 Comfort One Another: Reconstructing the Rhetoric and Audience of 1 Thessalonians 1995
[7] 서적 European Literature and the Latin Middle Ages Princeton 1953
[8] 논문 A Rhetorical Topic in 'Tristram Shandy' https://www.jstor.or[...] 1970-04
[9] 논문 Personal grief and public mourning in Plutarch's consolation to his wife 2009-07
[10] 서적 Consoling Heliodorus: a commentary on Jerome https://books.google[...] Oxford UP 2009-07-19
[11]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Boethius 2009
[12] 서적 Tales of Krishna from Mahabharatha 2004
[13] 서적 50 Flowers From Bhagavad Gita 1998
[14] 서적 The Synoptics: On the Gospels of Matthew, Mark, Luke 2005
[15] 서적 Montaillou: The Promised Land of Error Random House/editions Gilmard 1975
[16] 서적 Figuring Grief: Gallant, Munro, and the Poetics of Elegy 1992
[17] 서적 The Victor's Crown: A History of Ancient Sport from Homer to Byzantium 2011
[18] 논문 위로의 의미 읽기와 문학 치료 영화, 〈그녀에게 Hable con ella〉를 중심으로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