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리엄 오슬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오슬러는 캐나다 출신의 의사이자 의학 교육자이다. 그는 맥길 대학교에서 의학 학위를 취득하고, 존스 홉킨스 병원의 초대 주치의와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의 교수를 역임하며 의학 교육 개혁에 기여했다. 환자 중심의 임상 실습과 레지던트 제도를 도입했으며, 저서 '의학의 원리와 실천'은 널리 사용되었다. 옥스퍼드 대학교의 레지우스 의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윌리엄 오슬러의 이름은 여러 의학 용어와 건물, 기관에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존스 홉킨스 병원 - 벤 카슨
    벤 카슨은 미국의 소아 신경외과 의사이자 정치인으로, 존스 홉킨스 병원 소아 신경외과 과장으로 재직하며 샴쌍둥이 분리 수술을 성공적으로 집도했으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주택도시개발부 장관을 역임했다.
  • 존스 홉킨스 병원 - 하비 쿠싱
    하비 쿠싱은 20세기 초 뇌 수술 기법 발전에 기여하고 쿠싱 증후군을 발견한 미국의 신경외과 의사이자 의학 교육자이다.
  • 캐나다의 의학자 - 랠프 스타인먼
    랠프 스타인먼은 수지상 세포 연구에 기여하여 201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캐나다 출신 면역학자이다.
  • 캐나다의 의학자 - 모드 멘텐
    모드 멘텐은 캐나다 출신의 생화학자이자 의사로, 효소 반응 속도론 연구와 미카엘리스-멘텐 식 유도, 세균 독소 연구 등에 기여했으며, 사후 캐나다 의학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영국의 준남작 - 찰스 라이엘
    영국의 지질학자이자 변호사였던 찰스 라이엘은 제임스 허턴의 동일과정설을 발전시키고 대중화했으며, 대표 저서 《지질학 원리》를 통해 지구가 오랜 시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변화했다는 이론을 제시하여 지질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층서학, 고생물학, 빙하학 등 다양한 지질학 분야에 기여했다.
  • 영국의 준남작 - 월터 스콧
    월터 스콧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소아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스코틀랜드 민속과 전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소설 장르를 개척하여 19세기 문학계와 스코틀랜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재정적 파탄과 아내의 죽음을 겪었다.
윌리엄 오슬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윌리엄 오슬러, 1912년경
윌리엄 오슬러, 1912년경
본명윌리엄 오슬러
출생1849년 7월 12일
출생지본드 헤드, 캐나다 웨스트
사망1919년 12월 29일
사망지옥스퍼드, 잉글랜드
국적캐나다
배우자그레이스 리비어 오슬러
자녀아들 2명
학력
모교맥길 대학교 (MDCM)
경력
직업내과 의사, 병리학자, 교육자, 서지학자, 작가, 역사가
근무지맥길 대학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의과대학
존스 홉킨스 병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업적
주요 업적존스 홉킨스 병원 공동 설립 의사
서훈
작위준남작
수상
수상 내역남작 (Bt)
왕립학회 회원 (FRS)
왕립 내과의사 칼리지 회원 (FRCP)

2. 생애

윌리엄 오슬러는 1849년 7월 12일, 본드 헤드에 있는 성 삼위일체 교회 목사의 여덟 번째 자녀로 태어났으며, 부모는 모두 영국인이었다. 오슬러는 토론토 대학교에서 성직자를 지망했으나, 제임스 보벨 교수의 권유로 의학으로 전향했다. 토론토 대학교 의과대학을 거쳐 맥길 대학교 의학부로 옮겨 1872년 의학사 학위를 받았다.[73] 졸업 후에는 영국, 독일, 오스트리아 등지로 유학하며 루돌프 피르호에게 지도를 받는 등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여 훗날 경력의 기초를 다졌다.

1875년, 25세의 젊은 나이로 맥길 대학교 생리학 교수가 되었고, 1878년에는 몬트리올 종합병원 의사로 취임했다. 1882년 캐나다 왕립 학회 설립에 참여했고, 1884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1888년 존스 홉킨스 대학교 교수를 거쳐, 1889년 존스 홉킨스 병원 초대 내과 부장을 맡았다. 1898년 왕립 학회 회원에 선출되었고, 1905년 옥스퍼드 대학교 흠정 교수로 취임했다. 1911년 준남작 작위를 받았다.(1st Baronet Osler of Norham Gardens in the city of Oxford영어)[77]

존스 홉킨스 병원의 "빅 포"라고 불린 의사들, 웰치, 헐스테드, 오슬러, 켈리 (by John Singer Sargent)


1917년, 외아들 리비아가 제1차 세계 대전 서부 전선에서 전사했다.[74] 1919년, 오슬러는 흉막염에 의한 폐농양으로 사망했다.

맥길 대학교 도서관에는 그의 이름을 딴 오슬러 의학 역사 도서관이 있는데, 이곳은 캐나다 최대 의학 역사 도서관이자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규모이다. 사후인 1926년, 하비 윌리엄스 쿠싱이 쓴 『의학자 윌리엄 오슬러의 전기』가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2. 1. 가족

윌리엄 오슬러의 증조부인 에드워드 오슬러는 상선 선원 또는 해적으로 묘사되었다.[5] 윌리엄의 삼촌 중 한 명인 에드워드 오슬러 (1798–1863)는 영국 해군의 군의관이었으며, ''엑스마우스 경의 생애''와 시 ''항해''를 저술했다.[6]

윌리엄 오슬러의 아버지인 페더스톤 레이크 오슬러 목사(1805–1895)는 콘월주, 팔머스의 선박 소유주의 아들이자 영국 해군 중위였다. 1831년, 페더스톤 오슬러는 찰스 다윈갈라파고스 제도로의 역사적인 항해에 과학 장교로 초청받았지만, 그의 아버지가 임종을 앞두고 있어 이를 거절했다. 1833년, 페더스톤 오슬러는 성공회 목사가 되기를 원한다고 발표했다.[7]

십 대 시절, 페더스톤 오슬러는 대서양 폭풍으로 거의 파괴되어 몇 주 동안 표류했던 배에 탑승했었다. 해군에서 복무하면서, 그는 바베이도스 해안에서 난파되었다. 1837년, 페더스톤 오슬러는 해군에서 은퇴하고 캐나다로 이주하여, 어퍼 캐나다의 시골에서 "안장 가방 목사"가 되었다. 페더스톤과 그의 신부 엘렌 프리 픽턴이 캐나다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세인트로렌스 만의 에그 섬에서 다시 난파될 뻔했다. 그들의 자녀들로는 윌리엄, 브리튼 배스 오슬러, 에드먼드 보이드 오슬러 경이 있었다.

1849년 7월 12일, 오슬러는 본드 헤드에 있는 성 삼위일체 교회 목사의 여덟 번째 자녀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영국인이다. 1917년, 오슬러의 외아들 리비아가 서부 전선에서 전사했다.[74]

2. 2. 유년 시절과 교육

윌리엄 오슬러는 1849년 7월 12일 본드 헤드(캐나다 서부, 온타리오)에서 태어났으며, 1857년 이후 던다스에서 성장했다. 그는 1690년 7월 12일 보인 전투에서 승리한 오렌지 공 윌리엄의 이름을 따서 윌리엄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매우 독실했던 오슬러의 어머니는 그가 사제가 되기를 기도했다.[8] 오슬러는 트리니티 칼리지 스쿨(당시 웨스턴, 온타리오에 위치)에서 교육을 받았다.

1867년, 오슬러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목사가 되겠다고 발표하고 가을에 토론토 대학교의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했다. 그러나 제임스 보벨과 윌리엄 아서 존슨 목사의 영향으로 의학에 점점 더 관심을 갖게 되었고, 직업을 바꾸도록 권유받았다.[9][10][11]

1868년, 오슬러는 토론토 대학교 의과대학의 일부가 아닌 사립 기관인 토론토 의학 학교에 입학했다.[12] 오슬러는 한동안 제임스 보벨과 함께 살았으며, 존슨을 통해 토마스 브라운 경의 저작을 접하게 되었고, 그의 ''의사의 종교(Religio Medici)''는 그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13] 오슬러는 몬트리올에 있는 맥길 대학교 의과대학의 MDCM 프로그램에 합격한 후 토론토 의학 학교를 떠났고, 1872년에 의학 학위(MDCM)를 받았다.

2. 3. 경력

독일에서 루돌프 피르초 아래에서 박사 후 과정을 마친 오슬러는 1874년 맥길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복귀했다. 그곳에서 그는 최초의 정식 저널 클럽을 만들고 비교 병리학에 관심을 보였으며, 질병 발병 기전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의 일환으로 북미 최초로 수의 병리학을 가르친 사람으로 여겨진다.[77] 1884년, 그는 필라델피아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임상 의학 과장으로 임명되었고, 1885년에는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의학 발전을 위해 헌신하는" 미국 의사 협회의 창립 멤버 7인 중 한 명이 되었다. 그가 1889년 필라델피아를 떠났을 때, 그의 고별 연설 "''Aequanimitas''"는[14] 의사에게 필요한 평정심(폭풍 속의 침착함)과 평정심 (절제된 감정, 관용)에 관한 것이었다.[15]

1909년 옥스퍼드의 보들리안 도서관에서 베살리우스의 ''해부학 도판''의 윌리엄 스털링 맥스웰 경의 사본을 들고 있는 오슬러


1889년, 그는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 있는 새로운 존스 홉킨스 병원의 초대 주치의가 되었다. 1893년, 오슬러는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의과대학 최초의 의학 교수 중 한 명이 되었다. 오슬러는 임상의, 인도주의자, 교사로서 빠르게 명성을 높였다. 그는 병상이 220개였고 총 15,000일 이상 치료를 받은 788명의 환자를 진료한 병원의 첫 해 운영을 주재했다. 16년 후, 오슬러가 옥스퍼드로 떠났을 때, 4,200명 이상의 환자가 총 110,000일 가까이 치료를 받았다.[16]

1905년,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레지우스 의학 교수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그 직책을 유지했다. 그는 또한 크라이스트 처치 칼리지의 학생 (펠로우)이기도 했다.

영국에서 그는 1907년 의사 협회 창립을 시작했고,[17] 사망할 때까지 협회의 출판물인 ''분기별 의학 저널''의 창립 선임 편집자였다.[18]

1911년, 그는 대학원 의학 협회를 설립하고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19] 같은 해, 오슬러는 의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로 준남작에 서임되었다.[20]1st Baronet Osler of Norham Gardens in the city of Oxford영어[77]

1919년 1월 그는 의학 펠로우십 회장으로 임명되었고,[21] 10월에는 의학 펠로우십 및 대학원 의학 협회의 합병을 통해 초대 회장으로 임명되어 대학원 의학 펠로우십이 되었다.[22]

오슬러의 편지와 논문의 가장 큰 컬렉션은 몬트리올의 맥길 대학교 오슬러 도서관에 있으며, 메릴랜드주, 베데스다의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에도 컬렉션이 보관되어 있다.[23][24]

오슬러는 토론토 대학교에서 성직자를 목표로 했으나, 이후 자연과학에 강한 관심을 갖게 되었고, 제임스 보벨 교수의 권유로 의학으로 전향했다. 토론토 대학교 의과대학에 입학 후 맥길 대학교 의학부로 전학하여 졸업 후 영국, 독일, 오스트리아 등으로 유학하면서 매우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이후 경력의 기초를 다졌다. 루돌프 피르호의 지도를 받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1872년, 맥길 대학교에서 의학사 학위를 취득[73]했다.

1875년, 25세의 젊은 나이에 맥길 대학교의 생리학 교수로 취임했다. 1878년, 몬트리올 종합병원의 의사로 취임했다. 1882년, 캐나다 왕립 학회에 설립 멤버로 참여했다. 1884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교수로 취임했다. 1888년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교수, 이듬해 1889년에는 존스 홉킨스 병원의 초대 내과 부장을 맡았다. 1898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905년, 옥스퍼드 대학교의 흠정 교수로 취임했다. 1911년, 준남작에 서임되었다.

2. 4. 개인적인 삶

오슬러는 "Egerton Yorrick Davis"라는 필명으로 유머러스한 글을 많이 썼다. 1884년 12월 13일에는 매우 희귀한 현상인 ''성기 결박''(penis captivus)에 관한 보고서를 ''필라델피아 의학 뉴스''에 게재하기도 했다.[43] 이 보고서는 오슬러의 동료인 테오필루스 파빈이 ''필라델피아 의학 뉴스''에 보고한 질경련증에 대한 응답으로 보인다.[44] Davis는 퀘벡의 Caughnawaga(현재 카나와케)에 거주하는 은퇴한 미 육군 외과 의사로 알려졌으며,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의 산부인과 습관에 관한 가짜 논문의 저자로 알려져 있었다. 오슬러는 Davis의 이름을 호텔 투숙 기록과 학술 회의 참석자 명단에 서명하여 신빙성을 더했고, 결국 Davis는 1884년 라신 급류에서 익사한 것으로 알려졌다.[44]

오슬러는 평생 동안 17세기 의사이자 철학자인 토마스 브라운 경을 존경했다.

스페인 독감 유행 기간 중이던 1919년 12월 29일, 오슬러는 옥스퍼드에서 7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인은 기관지 확장증 합병증으로 추정된다.[45] 그의 아내 그레이스는 9년을 더 살았지만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윌리엄 경과 오슬러 부인의 유해는 맥길 대학교의 오슬러 도서관에 안치되어 있다. 두 사람 사이에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한 명은 출생 직후 사망했고, 다른 아들인 에드워드 리버 오슬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이프르의 제3차 전투(일명 파스샹달 전투)에서 21세의 나이로 전사했다.[46] 오슬러 중위의 묘는 벨기에 서플란데른의 도징헴 군 묘지에 있다.[47] 한 전기 작가에 따르면, 오슬러는 아들의 죽음으로 큰 충격을 받았으며, 시력이 좋지 않은 아들을 위해 군 임관을 얻는 데 자신의 영향력이 사용되었다는 사실에 괴로워했다고 한다.[48] 오슬러 부인(그레이스 리버)은 1854년 보스턴에서 태어났으며, 그녀의 증조부는 폴 리비어였다.[49] 1876년, 그녀는 필라델피아 제퍼슨 의과대학 외과 과장이었던 새뮤얼 W. 그로스와 결혼했으며, 그는 새뮤얼 D. 그로스 박사의 아들이었다. 그로스는 1889년에 사망했고, 1892년에 그녀는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였던 윌리엄 오슬러와 결혼했다.

오슬러는 미국 인류 측정 학회의 창립 기부자로, 사후 자신의 뇌를 과학적 연구를 위해 기증했다.[50] 그의 뇌는 위스타 연구소에 보관되어 있으며, 1927년 연구 결과 고도로 지능적인 사람과 일반적인 뇌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51] 1987년 4월에는 필라델피아 체스넛 근처 22번가에 있는 뮤터 박물관으로 옮겨져, 미국 오슬러 학회 연례 회의에서 전시되었다.[52][53]

2. 5. 죽음

스페인 독감 유행 기간 동안 70세의 나이로 1919년 12월 29일 옥스퍼드에서 사망했으며, 미진단된 기관지 확장증 합병증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45] 그의 아내 그레이스는 9년을 더 살았지만 일련의 뇌졸중에 굴복했다. 윌리엄 경과 오슬러 부인의 유해는 현재 맥길 대학교의 오슬러 도서관에 안치되어 있다. 그들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한 명은 출생 직후 사망했다. 다른 아들인 에드워드 리버 오슬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이프르의 제3차 전투(일명 파스샹달 전투)에서 21세의 나이로 전투에서 치명상을 입었다. 1917년 8월 사망 당시 그는 (영국) 왕립 야전 포병소위였다.[46] 오슬러 중위의 묘는 벨기에 서플란데른의 도징헴 군 묘지에 있다.[47] 한 전기 작가에 따르면, 오슬러는 그 손실에 감정적으로 무너졌으며, 시력이 좋지 않은 아들을 위해 군 임관을 얻는 데 자신의 영향력이 사용되었다는 사실에 특히 고통스러워했다고 한다.[48]

3. 업적

오슬러


윌리엄 오슬러는 1911년 준남작에 서임되었다.[77]

3. 1. 의학 교육 개혁

오슬러가 의학에 가장 크게 기여한 점은 학생들이 환자를 직접 보고 대화하며 배우도록 한 것과, 의학 레지던트 제도를 확립한 것이다. 영어권 국가로 퍼져나간 레지던트 제도는 오늘날 대부분의 교육 병원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수련 중인 의사들이 교육 병원 의료진의 대부분을 구성하게 되었다. 오슬러의 레지던트 제도는 많은 인턴, 소수의 레지던트 조교, 그리고 수년간 그 자리에 있던 단 한 명의 수석 레지던트로 구성된 피라미드 구조였다. 존스 홉킨스에서 오슬러는 스태프 의사들이 병원 행정 건물에서 거주하는 전일제 기숙 레지던트 제도를 확립했는데,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아 장기 재직이 일반적이었다. 의사들은 최대 7, 8년 동안 레지던트로 지내면서 제한적이고 거의 수도원적인 삶을 살았다.[25]

그는 "책 없이 의학을 공부하는 자는 지도에 없는 바다를 항해하는 것과 같고, 환자 없이 의학을 공부하는 자는 아예 바다로 나가지 않는 것과 같다"라고 썼다.[25] 또한 "환자의 말을 들어라, 그는 당신에게 진단을 말해주고 있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는데, 이는 훌륭한 병력 청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이다.[3]

오슬러는 3~4학년 학생들이 병동에서 환자를 진료하도록 한 임상 실습을 의학 교육에 도입했다. 그는 침상 교육을 개척하여 소수의 학생들과 함께 회진하며, 한 학생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철저한 신체 검사"라고 표현한 자신의 방법을 시연했다. 볼티모어에 도착한 직후, 오슬러는 의대생들이 훈련 초기에 침상에 참여하도록 했다. 3학년이 되면 환자 병력을 청취하고, 신체 검사를 수행하고, 분비물, 혈액 및 배설물을 검사하는 실험실 검사를 수행했다.

그는 교훈적 강의의 역할을 줄였으며, 자신의 묘비에는 "그는 의대생들을 침상 교육을 위해 병동으로 데려왔다"라는 말만 적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나는 이보다 더한 묘비를 바라지 않는다... 이는 내가 해야 할 가장 유용하고 중요한 일로 여기기 때문에, 내가 병동에서 의대생들을 가르쳤다는 진술뿐이다"라고 말했다. 오슬러는 북미 의학 교육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고, 이 영향력은 네덜란드 내과 의사 P. K. 펠과 같은 몇몇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전 세계 의과대학으로 퍼져나갔다.

오슬러는 의학사와 관련된 책과 기타 자료를 수집하는 데 뛰어났다. 그는 자신의 도서관을 맥길 대학교 의과대학에 유증했으며, 현재 맥길 대학교의 오슬러 의학사 도서관의 핵심을 이룬다.[26] 오슬러는 도서관의 강력한 지지자였으며, 그가 가르쳤던 대부분의 대학의 도서관 위원회에서 활동했고, 옥스퍼드 보들리안 도서관의 큐레이터 위원회 위원이었다. 그는 직원 겸 멘티인 마르시아 크로커 노이에스와 함께[27] 북미 의학 도서관 협회를 창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901년부터 1904년까지 두 번째 회장을 역임했다. 영국에서는 영국 및 아일랜드 의학 도서관 협회의 초대(이자 유일한) 회장이었으며,[28] 런던 서지학회 회장(1913)이기도 했다.[29]

오슬러는 다작의 저술가이자 대중 연설가였으며, 그의 대중 연설과 글은 명확하고 명료한 스타일로 이루어졌다. 그의 가장 유명한 저서인 ''의학의 원리와 실천''은 학생들과 임상의들에게 빠르게 중요한 교과서가 되었다. 이 책은 2001년까지 여러 판으로 출판되었으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30][31] 이 책은 1923년까지 사혈 사용을 지지한 것으로도 유명하다.[32] 오슬러는 아비센나를 "지금까지 쓰여진 가장 유명한 의학 교과서의 저자"라고 묘사했다. 그는 아비센나의 ''의학 카논''이 "다른 어떤 작품보다 더 오랫동안 의학의 바이블로 남아 있었다"고 언급했다.[33] 오슬러의 에세이는 의사들에게 중요한 지침이 되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에세이인 "''평정심(Aequanimitas)''"의 제목은 평정심의 중요성을 옹호하며, 오슬러 가문의 문장이며, 존스 홉킨스에서 오슬러 하우스 스태프 넥타이와 스카프에 사용된다.

1874년, 혈소판의 형태와 기능을 처음으로 기술했다. 그 전까지는 혈소판을 백혈구 또는 적혈구의 전구체로 생각했다.[75]

폐렴이나 급성 골수염에 부항 요법 사용을 권장했다.[76]

3. 2. 주요 저술

오슬러는 다작의 저술가이자 대중 연설가였으며, 명료하고 명확한 스타일로 글을 썼다. 그의 가장 유명한 저서인 ''의학의 원리와 실천''은 학생과 임상의 모두에게 빠르게 중요한 교과서가 되었다. 이 책은 2001년까지 여러 판으로 출판되었으며,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다.[30][31] 1923년까지 사혈 사용을 옹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2] 오슬러는 자신의 교과서가 오랫동안 의학에 큰 영향을 미쳤음에도 불구하고, 아비센나를 "지금까지 쓰여진 가장 유명한 의학 교과서의 저자"라고 묘사했다. 그는 아비센나의 ''의학 카논''이 "다른 어떤 작품보다 더 오랫동안 의학의 바이블로 남아 있었다"고 언급했다.[33] 그의 에세이는 의사들에게 중요한 지침이 되었는데, 가장 유명한 에세이인 "''평정심(Aequanimitas)''"의 제목은 평정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오슬러 가문의 문장이자 존스 홉킨스에서 오슬러 하우스 스태프 넥타이와 스카프에 사용된다.

그는 에세이 "책과 사람들"에서 "책 없이 의학을 공부하는 자는 지도에 없는 바다를 항해하는 것과 같고, 환자 없이 의학을 공부하는 자는 아예 바다로 나가지 않는 것과 같다"라고 썼다.[25]

1874년, 혈소판의 형태와 기능을 처음으로 기술했다. 그 전까지는 혈소판을 백혈구 또는 적혈구의 전구체로 생각했다.[75]

폐렴이나 급성 골수염에 부항 요법 사용을 권장했다.[76]

3. 3. 의학사 연구

오슬러는 의학사 관련 서적 및 자료 수집에 뛰어난 인물이었다. 그는 자신의 도서관을 맥길 대학교 의과대학에 기증했으며, 이는 현재 맥길 대학교 오슬러 의학사 도서관의 핵심을 이룬다.[26] 오슬러는 도서관을 적극적으로 지지했으며, 자신이 가르쳤던 대부분의 대학에서 도서관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또한 옥스퍼드 보들리안 도서관의 큐레이터 위원회 위원이기도 했다. 그는 직원 겸 멘티였던 마르시아 크로커 노이에스와 함께[27] 북미 의학 도서관 협회 창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1901년부터 1904년까지 협회의 두 번째 회장을 역임했다. 영국에서는 영국 및 아일랜드 의학 도서관 협회의 초대(이자 유일한) 회장이었으며,[28] 1913년에는 런던 서지학회 회장을 역임했다.[29]

3. 4. 기타 업적

오슬러는 의학 교육에 큰 공헌을 했는데, 특히 학생들이 환자를 직접 보고 배우는 임상 실습을 강조했다. 그는 의학 레지던트 제도를 확립하여 수련 중인 의사들이 병원에서 생활하며 교육받는 시스템을 만들었는데, 이 제도는 현재 대부분의 교육 병원에서 시행되고 있다.[77] 그는 "책 없이 의학을 공부하는 것은 지도 없이 항해하는 것과 같고, 환자 없이 의학을 공부하는 것은 아예 바다로 나가지 않는 것과 같다"라는 말을 남겼다.[25] 또한 "환자의 말을 들어라, 그는 당신에게 진단을 말해주고 있다"라며 환자의 병력 청취를 중요하게 생각했다.[3]

오슬러는 3~4학년 학생들이 병동에서 환자를 직접 진료하는 임상 실습을 도입하고, 침상 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철저한 신체 검사 방법을 가르쳤다. 그는 교훈적인 강의보다는 침상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자신의 묘비에 "그는 의대생들을 침상 교육을 위해 병동으로 데려왔다"라고 적어달라고 할 정도였다.[3]

그는 맥길 대학교에 자신의 의학사 관련 도서들을 기증했는데, 이는 현재 오슬러 의학사 도서관의 핵심 자료가 되었다.[26] 그는 북미 의학 도서관 협회 창립에 기여했고, 영국 및 아일랜드 의학 도서관 협회 초대 회장, 런던 서지학회 회장을 역임했다.[28][29]

오슬러는 ''의학의 원리와 실천''이라는 유명한 의학 교과서를 저술했는데, 이 책은 오랫동안 학생들과 임상의들에게 중요한 교과서로 사용되었다.[30][31] 그는 아비센나의 ''의학 카논''을 "다른 어떤 작품보다 더 오랫동안 의학의 바이블로 남아 있었다"고 평가했다.[33] 그의 에세이 "''평정심(Aequanimitas)''"은 의사들에게 평정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오슬러 가문의 문장으로 사용된다.

1874년에는 혈소판의 형태와 기능을 처음으로 기술했다.[75] 또한, 폐렴이나 급성 골수염에 부항 요법 사용을 권장했다.[76] 1911년에는 준남작 작위를 받았다.[77]

4. 논란

윌리엄 오슬러는 인종 차별 및 노인 안락사와 관련된 발언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34][35][36][37][38][39][40][41][42]

4. 1. 인종 차별 논란

오슬러는 1914년 연설에서 캐나다가 "백인의 나라"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는데, 이 연설은 인도의 이민과 관련된 코마가타마루호 사건 즈음에 이루어졌다.[34][35]

오슬러는 헨리 바이닝 오그덴에게 보낸 편지에서 "나는 라틴 아메리카 사람들을 혐오한다"고 썼다.[36][37]

"에거턴 요릭 데이비스"라는 필명으로 오슬러는 원주민들을 조롱했다. "모든 원시 부족은 아직 종족의 상승 행진에서 제거되지 않은 사악한 동물적 습관을 유지하고 있다."[38]

저널리스트 데이비드 브루저와 마르쿠스 그릴, 그리고 기록 보관관 닐스 제탈러는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밝혀내어 오슬러가 캐나다에서 독일로 원주민 두개골을 여러 개 선적한 것을 재구성했는데, 이는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베를린 국립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었다.[39]

4. 2. 노인 안락사 관련 논란

오슬러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레기우스 의학 교수가 되기 위해 존스 홉킨스를 떠날 때 한 연설로 노인학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1905년 2월 22일에 행해진 "고정 기간"이라는 연설은 노년에 대한 몇 가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40] 오슬러는 유머 감각이 뛰어난 인물이었으며, 연설 당시 50대 중반이었다. 그는 이 연설에서 67세에 은퇴하여 1년 동안 개인적인 문제를 정리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평화롭게 소멸"되는 남성들을 위한 대학을 그린 앤서니 트롤로프의 ''고정 기간''(1882)을 언급했다. 그는 "세상의 효과적이고, 역동적이며, 활력을 불어넣는 일은 25세에서 40세 사이에 이루어진다"며 그 이후부터는 쇠퇴한다고 주장했다.[40]

오슬러의 연설은 대중 언론에 보도되었으며, 그들은 "오슬러, 60세에 클로로포름 권고"라는 헤드라인을 달았다.[41] "고정 기간"(대개 60년) 이후의 인간에 대한 의무적인 안락사의 개념은 20세기 과학 소설에서 반복되는 주제가 되었다. 예를 들어, 아이작 아시모프의 1950년 소설 ''하늘의 조약돌''과 스타 트렉: 더 넥스트 제너레이션의 에피소드 하프 어 라이프 등이 있다.

그의 교과서 제3판에서 그는 또한 폐렴을 "노인의 친구"라고 묘사했는데, 이는 노인들에게 빠르고 비교적 고통 없는 죽음을 허용했기 때문이다. "급성적이고 짧으며, 고통스럽지 않은 질병으로 사망하면, 노인은 자신과 친구들을 괴롭히는 '차가운 쇠퇴의 단계'를 피할 수 있다."[42] 우연히도 오슬러 자신도 폐렴으로 사망했다.

5. 오슬러의 이름을 딴 것들 (Eponyms)

오슬러는 자신의 이름을 여러 질병, 징후, 증상뿐만 아니라 그를 기리기 위해 명명된 여러 건물에도 사용했다.[57][58]

5. 1. 질병 및 증상

오슬러는 자신의 이름을 여러 질병, 징후 및 증상뿐만 아니라 그를 기리기 위해 명명된 여러 건물에도 사용했다.[57][58]

  • 오슬러 징후는 동맥 경화증에 의한 동맥의 석회화로 인해 인위적으로 높은 수축기 혈압 수치이다.
  • 오슬러 결절은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펄프에 생기는 융기된 압통성 결절로, 아급성 세균성 심내막염을 시사한다. 오슬러는 이를 "주로 손과 발의 피부에 나타나는 고통스러운 결절성 홍반의 일시적인 반점"이라고 묘사했다. 오슬러 결절은 일반적으로 고통스러운 반면, 제네이 병변은 색전증으로 인해 발생하며 통증이 없다.
  • 오슬러-웨버-렌두 증후군(유전성 출혈성 모세 혈관 확장증)은 피부, 비강 및 구강 점막, 폐 및 기타 부위에 나타나는 다발성 혈관 기형 증후군이다.
  • 오슬러-바케즈병(진성 적혈구 증가증)
  • 오슬러-립만-삭스 증후군은 비전형적이고 사마귀 모양의 비세균성 판막 및 벽측 심내막염이다. 전신성 루푸스 홍반의 최종 단계이다.
  • 오슬러 조작법: 가성 고혈압에서 혈압계로 측정한 혈압은 동맥벽 석회화로 인해 인위적으로 높다. 오슬러 조작법은 수축기 혈압 이상으로 혈압 커프를 부풀린 상태에서 맥박은 없지만 촉진 가능한 요골 동맥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오슬러 징후"가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 오슬러 규칙: Hickam의 격언과 달리, 신경학적 결함이 여러 병변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고 명시하는 반면, 신경학적 결함은 특정 병변과 관련이 있어야 한다고 명시한다.
  • 오슬러 증후군은 복통이 재발하는 증후군으로, 전형적으로 등, 오한 및 발열로 방사된다. 이는 구멍보다 큰 자유롭게 움직이는 담석이 바터 팽대부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 오슬러 삼징 (일명 오스트리아 증후군): 폐렴, 심내막염, 수막염의 연관성.
  • Sphryanura osleri는 도롱뇽의 아가미에서 발견되는 흡충이다.
  • Oslerus osleri는 야생 및 가축 개과의 기생충인 폐선충이다. 오슬러는 맥길에서 비교 병리학을 가르치면서 이 기생충을 발견했다.

5. 2. 건물 및 기관

오슬러는 자신의 이름을 여러 질병, 징후 및 증상뿐만 아니라 그를 기리기 위해 명명된 여러 건물에도 사용했다.[57][58]

국제 평화 정원(캐나다 매니토바주와 미국 노스다코타주) 평화 채플 내 석벽에 새겨진 윌리엄 오슬러 경의 인용문


이름위치설명
존스 홉킨스 병원 오슬러 빌딩존스 홉킨스 병원현재 존스 홉킨스 병원 인적 자원부. 2012년까지 7층에 의료 집중 치료실(MICU) 위치.
윌리엄 오슬러 경 초등학교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초등학교
에콜 윌리엄 오슬러 학교매니토바주 위니펙초등학교
윌리엄 오슬러 경 초등학교온타리오주 던다스HWDSB 소속 초등학교
윌리엄 오슬러 고등학교[61]온타리오주 토론토 에이진코트고등학교
윌리엄 오슬러 공립학교[62]온타리오주 브래드퍼드 웨스트 길림버리심코 카운티 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오슬러 경의 출생지인 본드 헤드에서 3km 거리.
오슬러 의학사 도서관맥길 대학교 (퀘벡주 몬트리올)오슬러 경이 의학사 관련 8,000권 기증. 현재 10만 권 이상 소장, 캐나다 국립 의학사 도서관 역할.
Promenade Sir-William-Osler맥길 대학교 캠퍼스 인접 (퀘벡주 몬트리올)(구) 드럼몬드 가 상단부. 오슬러 의학사 도서관이 있는 매킨타이어 의학 과학 빌딩으로 연결.
윌리엄 오슬러 헬스 시스템온타리오주 브램턴 인근1998년 설립
오슬러 하우스옥스퍼드 대학교 존 래드클리프 병원임상 의학 전공 학생 식당
오슬러 병동존 래드클리프 병원호흡기 내과 병동
오슬러 하우스그린 템플턴 칼리지, 옥스퍼드 래드클리프 천문대오래된 옵저버 하우스, 영국 문화재 1등급 건물[63]
오슬러 하우스푸두체리 JIPMER의과대학 학부 기숙사 2개 중 하나
오슬러 교과서실존스 홉킨스 병원 빌링스 빌딩 내1999년 설립, "의학의 원리와 실천" 집필 장소. 오슬러 경 기념품 소장.[64]
오슬러 임상 우수성 센터2002년 설립,[65] "건전한 의사-환자 관계 기본 요소" 교육 전념
오슬러 홀볼티모어 캐시드럴 스트리트메릴랜드 주 의학 협회 "Med Chi" 메인 홀.[66] Med Chi 하원 의원 회의 및 심의 장소. 오슬러 경 대형 초상화 등 유명 메릴랜드 의사 초상화 소장.
오슬러 하우스호주 퀸즐랜드주 타운즈빌의학 기숙사. 오슬러 경 이름 추정.[67]
[https://www.thespec.com/local-dundas/news/2022/11/24/dundas-osler-house-added-to-city-s-heritage-designation-work-plan.html/ 오슬러 하우스]온타리오주 던다스오슬러 경 어린 시절 집


5. 3. 기타

오슬러는 자신의 이름을 여러 질병, 징후 및 증상뿐만 아니라 그를 기리기 위해 명명된 여러 건물에도 사용했다.[57][58]

종류명칭비고
메달미국 의사학회 윌리엄 오슬러 메달[68][69]
도서관맥길 대학교 오슬러 도서관팸 앤 롤란도 델 마에스트로 윌리엄 오슬러 의대생 에세이 상[70]
강연약제사 협회 오슬러 강연[71]
오슬러 의학 학생상[72]


참조

[1] 웹사이트 Johns Hopkins Medicine: The Founding Physicians https://www.hopkinsm[...] 2014-05-30
[2] 웹사이트 Listen to your patient https://web.archive.[...] 2008-11-19
[3] 서적 An Anatomy of Addiction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2012-07-03
[4] 서적 The history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Royal Society of Medicine Press
[5] 논문 Osler usque ad mare: the SS William Osler http://www.cmaj.ca/c[...]
[6] 서적 The Voyage: a poem, written at sea, and in the West Indies, and illustrated by papers on natural history Longman
[7] 서적 William Osler: a life in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William Osler: a life in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McGill Medicine: The First Half Century, 1829–1885 McGill-Queen's Press
[10] 서적 William Osler: a life in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Quotable Osler ACP Press
[12] 서적 The Quotable Osler ACP Press
[13] 서적 William Osler: a life in medicine Oxford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AEQUANIMITAS http://www.medicalar[...] 2014-05-30
[15] 논문 Aequanimitas 2007-11-17
[16] 뉴스 History of The Johns Hopkins Hospital http://www.hopkinsme[...] 2017-02-19
[17]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s://web.archive.[...] Association of Physician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2021-07-07
[18] 논문 Early history of the Association of Physician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and of the Quarterly Journal of Medicine
[19] 논문 The portraiture of Sir William Osler
[20] 논문 Honours to Medical Men: Coronation Honours
[21] 뉴스 Osler appointed President of the Inter-Allied Fellowship of Medicine The Times 1919-01-14
[22] 서적 John McAlister's other vision Radcliffe Publishing Limited
[23] 웹사이트 Sir William Osler Press Clippings 1905–1920 http://oculus.nlm.ni[...]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4] 웹사이트 Sir William Osler Collection, P100 https://archivalcoll[...] 2018-11-18
[25] 웹사이트 Aequanimitas – Books and Men http://www.medicalar[...]
[26] 웹사이트 Bibliotheca Osleriana http://mqup.mcgill.c[...] 2014-05-30
[27] 논문 Marcia Crocker Noyes, Medical Librarian: The Shaping of a Career * 1974-07
[28] 논문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2004
[29] 웹사이트 The Bibliographical Society – Past Presidents https://web.archive.[...] Bibsoc.org.uk 2008-11-18
[30] 문서 Osler Library Studies in the History of Medicine vol. 8
[31] 서적 A History of William Osler's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Osler Library, McGill University
[32] 웹사이트 Bloodletting – UCLA Biomedical Library History and Special Collections for the Sciences https://web.archive.[...] 2014-05-30
[33] 논문 Access : Avicenna (AD 980 to 1037) and the care of the newborn infant and breastfeeding Nature 2007-09-06
[34] 논문 William Osler: saint in a "White man's dominion" 2020-11-09
[35] 논문 Piety and prejudice. In his respect for the Jewish people, Osler was less a man of his time than a man of his profession 1997-06-01
[36] 서적 The Life & Letters of Dr. Henry Vining Ogden, 1857–1931 Milwaukee Academy of Medicine Press 1968
[37] 학술지 Reading between the lines: a glimpse of the Cushing files and The Life of Sir William Osler. https://www.mcgill.c[...] 1996-06-01
[38] 서적 The works of Egerton Yorrick Davis, MD: Sir William Osler's alter ego McGill University 1999
[39] 뉴스 The untold story of four Indigenous skulls given away by one of Canada’s most famous doctors, and the quest to bring them home. Toronto Star 2020-12-17
[40] 학술지 William Osler and The Fixed Period: Conflicting Medical and Popular Ideas About Old Age 2001-09-24
[41] 문서 What Did Trollope Actually Write? ''The Fixed Period'' and 'The Fixed Period' https://archive.toda[...] 1995
[42] 서적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designed for the use of practitioners and students of medicine Appleton and Company
[43] 서적 The Works of Egerton Yorrick Davis, MD: Sir William Osler's Alter Ego Osler Library, McGill University
[44] 웹사이트 Egerton Y. Davis http://lifeinthefast[...] 2008-11-16
[45] 학술지 Osler and my father
[46] 웹사이트 The Life and Death of Edward Revere Osler http://www.westernfr[...] 2021-03-31
[47] 학술지 The case of Edward Revere Osler 2003-03-01
[48] 서적 William Osler: a life in medicin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9] 학술지 Grace Revere Osler. A Brief Memoir. 1931-09-26
[50] 학술지 A Study of the Brains of Six Eminent Scientists and Scholars Belonging to the American Anthropometric Society, together with a Description of the Skull of Professor E. D. Cope https://www.jstor.or[...] 2024-01-03
[51] 웹사이트 Philadelphia Oddities: Wistar Brain Collection https://www.ushistor[...] Independence Hall Association 2023-12-31
[52] 웹사이트 They Put Their Brains To Work William Osler, Joseph Leidy, Edward Drinker Cope And William Pepper Were Among The Greatest Brains In Turn -of-the-century Philadelphia. And They Still Are https://web.archive.[...] 1991-04-03
[53] 웹사이트 Osler Library Newsletter No. 60 February 1989 https://web.archive.[...] 2013-07-05
[54]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5-21
[55] 학술지 The Life of Sir William Osler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56] 웹사이트 Sir William Osler https://web.archive.[...] Canadian Medical Hall of Fame 2010-03-24
[57] 웹사이트 William Osler and his Gulstonian Lectures on malignant endocarditis https://www.research[...] 2019-02-18
[58] 웹사이트 11 Facts About Sir William Osler https://stanfordmedi[...] 2019-02-18
[59] 학술지 Corticosteroids as adjunctive treatment in Austrian's syndrome (pneumococcal endocarditis, meningitis, and pneumonia): report of two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2003-11-01
[60] 학술지 Pneumococcal Endocarditis, Meningitis, and Rupture of the Aortic Valve 1957-04-01
[61] 웹사이트 Sir William Osler High School – Welcome to Sir William Osler High School http://www.tdsb.on.c[...] Tdsb.on.ca 2011-01-24
[62] 웹사이트 SWO.scdsb.on.ca http://swo.scdsb.on.[...] 2014-05-04
[63] NHLE 2017-02-14
[64] 웹사이트 The Osler Textbook Room http://www.medicalar[...] 2014-05-30
[65] 웹사이트 HopkinsBayview.org http://www.hopkinsba[...] 2011-06-24
[66] 웹사이트 Medchi.org http://www.medchi.or[...] 2014-04-08
[67] QHR 2014-08-01
[68] 웹사이트 William Osler Medal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History of Medicine http://www.histmed.o[...] 2017-07-28
[69] 웹사이트 Competitions Pritzker School of Medicine The University of Chicago https://pritzker.uch[...] 2017-07-28
[70] 웹사이트 Pam and Rolando Del Maestro William Osler Medical Students Essay Awards McGill Library - McGill University https://www.mcgill.c[...] 2017-07-28
[71] 웹사이트 Osler Lecture http://www.apothecar[...]
[72] 웹사이트 Student Award in Oslerian Medicine UTMB Health UTMB.edu https://www.utmb.edu[...] 2017-07-28
[73] 웹사이트 オスラー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10-13
[74]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hippo.med.hir[...] 2023-10-13
[75] 서적 血小板生物学 メディカルレビュー社
[76] 저널 Dermatoses secondary to Asian cultural practices: Dermatoses secondary to Asian cultural practices https://onlinelibrar[...] 2012-04
[77] 저널인용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The Roll of the Baronets https://www.thegazet[...] 1914-0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