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융삭은 생물학, 의학, 전기, 빙하학, 우주항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생물학에서는 생물학적 구조나 기능의 제거를 의미하며,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유전적 융삭과 세포를 파괴하는 세포 융삭이 있다. 의학에서는 수술을 통한 생체 조직 제거를 의미하며, 피부 융삭, 고주파 융삭, 회전 융삭술, 마이크로파 융삭, 고강도 집속 초음파 융삭, 골수 융삭, 뇌 조직 융삭 등이 존재한다. 전기 융삭은 금속 가공물에서 재료를 제거하여 표면 거칠기를 줄이는 공정이다. 빙하학에서는 빙하나 설원에서 눈, 얼음, 또는 물을 제거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하며, 융해, 증발, 승화, 칼빙, 침식 등이 포함된다. 우주항공에서는 우주선의 열 차폐 또는 로켓 엔진 노즐 냉각에 사용되어 고온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질열화 - 마모
마모는 재료 표면이 마찰, 충격, 부식 등으로 손상되거나 제거되는 현상으로, 여러 마모 메커니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마모량은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고, 윤활제 사용 등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표준 시험법으로 저항성을 평가하며, 여러 방법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 플라스마 물리학 - 이온 빔
이온 빔은 전하를 띤 입자들의 좁은 흐름으로, 전류 밀도와 에너지로 측정되며, 격자형 또는 격자 없는 이온 소스를 통해 생성되어 다양한 과학 및 기술 분야에서 활용된다. - 플라스마 물리학 - 형광등
형광등은 저압 기체 방전을 이용해 빛을 내는 조명 기구이며, 수은 증기 방전으로 자외선을 발생시켜 형광 물질을 통해 가시광선으로 변환하는 원리를 사용하고, 백열등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지만 수은 사용 등의 단점이 있으며, LED 조명으로의 전환으로 생산 및 사용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 융삭 |
|---|
2. 생물학
'''생물학적 융삭'''은 생물학적 구조나 기능의 제거를 의미한다. 주요 유형으로는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유전적 융삭과 특정 세포를 파괴하거나 제거하는 세포 융삭이 있다.[2]
2. 1. 유전적 융삭
유전적 융삭은 유전자 침묵의 다른 용어이다. 이는 유전자 발현이 유전 서열 정보의 변형 또는 삭제를 통해 폐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유전적 융삭은 기능 상실 실험과 같이 실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2]2. 2. 세포 융삭
세포 융삭은 특정 개체군이나 배양액 안에 있는 개별 세포를 파괴하거나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유전자 침묵을 의미하는 유전적 융삭과 함께 기능 상실 실험과 같은 연구에서 실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2]3. 의학
의학 분야에서 융삭은 일반적으로 수술을 통해 생체 조직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목적과 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의 융삭 시술이 시행되고 있다.
피부 융삭은 피부 표면의 조직을 제거하여 미용 목적으로 주름이나 반점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며, 고주파 융삭(RFA)은 부정맥과 같은 심장 질환 치료에, 회전 융삭술은 동맥 내 침전물 제거에 활용된다. 이 외에도 마이크로파 융삭(MWA), 고강도 집속 초음파(HIFU) 융삭, 골수 융삭, 뇌 조직 융삭 등 특정 질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융삭 기술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유전자 수준에서 특정 세포를 제거하는 유전자 융삭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이는 특정 세포가 없는 동물을 만들어 연구하거나, 종양 세포와 같은 원치 않는 세포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컬럼비아 대학 연구팀은 ''C. elegans''와 인간 세포에서 특정 단백질(재구성된 카스파제)을 이용한 유전자 융삭 기술을 보고했으며, 이는 암 치료 연구 등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
3. 1. 피부 융삭
피부 표면의 생체 조직 일부를 제거하는 시술을 피부 융삭이라고 한다. 이는 피부 연마술이라고도 하며, 재생을 유도하기 때문에 재표면 처리라고도 불린다. 피부 융삭은 주로 피부의 반점, 노화된 피부, 주름 등을 제거하여 회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피부 융삭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행될 수 있다.
- 화학 융삭: 화학 물질을 이용한다.
- 레이저 융삭: 레이저를 이용한다.
- 냉동 융삭: 냉동 기술을 이용한다.
- 전기 융삭: 전기를 이용한다. (소작법)
피부 미용 외에도, 이비인후과에서는 코골이 수술과 같은 일부 수술에 표면 융삭 기술을 사용하기도 한다.
레이저 융삭의 경우, 레이저가 재료의 공유 결합을 용해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레이저가 조직을 효과적으로 융삭하려면 출력 밀도 또는 플루언스가 충분히 높아야 한다. 만약 출력 밀도가 낮으면 조직이 융삭되지 않고 열에 의해 증발하는 열 응고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3. 2. 고주파 융삭 (RFA)
고주파 융삭 (Radiofrequency Ablation, RFA)은 최소 침습 시술을 통해 신체 내부의 비정상적인 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 시술은 특히 다양한 심장 부정맥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심실성 빈맥, Wolff-Parkinson-White 증후군 (WPW), 심실 빈맥 등을 치료하는 데 쓰이며, 최근에는 심방 세동 관리에도 활용되고 있다.3. 3. 회전 융삭술
회전 융삭술은 작은 다이아몬드 팁이 달린 드릴과 유사한 장치를 사용하여 동맥 내의 지방 침전물이나 플라크를 제거하는 동맥 청소 방법의 하나이다. 이 시술은 영향을 받은 동맥에 장치를 삽입하여 진행하며, 주로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을 치료하고 혈류를 회복시키는 데 사용된다.3. 4. 마이크로파 융삭 (MWA)
마이크로파 융삭 (MWA)은 고주파 융삭 (RFA)과 유사하지만, 전자기 방사선의 주파수가 더 높다.3. 5. 고강도 집속 초음파 (HIFU) 융삭
고강도 집속 초음파 (HIFU) 융삭은 비침습적으로 신체 내부의 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이다.3. 6. 골수 융삭
골수 융삭은 골수 이식을 준비하기 위해 환자의 골수 세포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이는 주로 고강도의 화학 요법 및 전신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여 시행된다. 따라서 다른 종류의 융삭에서 사용되는 증발 기술과는 구별된다.3. 7. 뇌 조직 융삭
뇌 조직 융삭은 특정 신경 질환, 특히 파킨슨병 치료에 사용되며, 때로는 정신 질환 치료에도 사용된다.4. 전기 융삭
'''전기 융삭'''은 금속 가공물에서 재료를 제거하여 표면 거칠기를 줄이는 공정이다.
전기 융삭은 티타늄 및 기타 특수 금속 및 합금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이 저항이 높은 산화물 표면을 파괴하며, 기본 비산화 금속 또는 합금을 녹이지 않는다. 이를 통해 매우 빠른 표면 마감이 가능하다.
이 공정은 티타늄, 스테인리스강, 니오븀, 크롬-코발트, 인코넬, 알루미늄 및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강철 및 합금을 포함하여 다양한 특수 및 널리 사용되는 금속 및 합금에 표면 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전기 융삭은 금속 가공물(부품)의 구멍, 골짜기 및 숨겨진 표면 또는 내부 표면에서 높은 수준의 표면 마감을 달성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이 공정은 3D 프린팅 금속과 같은 적층 제조 공정으로 생산된 부품에 특히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품은 일반적으로 5um–20um보다 훨씬 높은 거칠기 수준으로 생산된다. 전기 융삭은 표면 거칠기를 0.8um 미만으로 빠르게 줄여 후처리 공정을 대량 생산 표면 마감에 사용할 수 있게 한다.
5. 빙하학
빙하학 및 기상학에서 융삭(融削, ablationeng)은 축적의 반대 개념으로, 빙하나 설원에서 눈, 얼음 또는 물이 제거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4]
5. 1. 융삭의 요인
빙하학 및 기상학에서 융삭은 축적의 반대 개념으로, 빙하나 설원에서 눈, 얼음 또는 물을 제거하는 모든 과정을 포괄한다.[4] 구체적으로는 빙하에서 흘러내리는 눈이나 얼음의 융해, 증발, 승화, 칼빙, 또는 바람에 의한 눈의 침식 등이 융삭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융삭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강수는 부차적인 영향을 미친다. 온대 기후에서는 융삭이 활발한 계절 동안 융삭률이 보통 시간당 약 2mm 정도이다.[5] 만약 태양 복사가 눈 융삭의 주된 원인이라면(예: 맑은 하늘 아래 기온이 낮은 경우), 눈 표면에는 설컵이나 참회하는 자와 같은 독특한 융삭 지형이 나타날 수 있다.[6] 융삭은 빙하 표면에서의 질량 손실뿐만 아니라, 빙하 말단부가 바다와 만나 녹거나 빙산으로 떨어져 나가는 현상(칼빙)까지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7]융삭이라는 용어는 얼음과 눈이 제거되는 '과정'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고, 그 결과로 제거된 얼음과 눈의 '양'을 나타내기도 한다.
빙하 표면을 덮고 있는 파편(debris) 또한 융삭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빙하 위에 얇게 쌓인 파편층은 그 아래 얼음의 융삭 속도를 빠르게 만들 수 있다. 과학자들은 파편으로 덮인 융삭 지역을 얼음 절벽, 연못, 그리고 파편 자체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연구한다. 이를 통해 각 지역에서 흡수되는 열량을 측정하고 계산하여, 파편으로 덮인 전체 지역의 열 흡수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계산은 다양한 빙하에 적용되어 미래의 융해 패턴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8]
퇴석(빙하 파편)은 빙하 자체의 자연적인 과정을 통해 빙하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빙하의 경사가 급하면 파편은 빙하를 따라 더 멀리 이동하게 된다. 전 세계적으로 빙하의 크기와 위치가 다양하기 때문에, 기후와 지형에 따라 퇴석의 종류도 달라진다. 퇴석의 크기는 빙하의 면적에 따라 먼지 크기부터 집채만 한 바위까지 매우 다양하다.[9]
파편이 빙하 표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여러 실험이 진행되었다. 국립 극지 연구소의 후지이 요시유키 교수는 실험을 통해 얇은 파편층 아래에서는 융삭률이 증가하고, 두꺼운 파편층 아래에서는 파편이 없는 눈 표면에 비해 융삭률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밝혔다.[10] 이러한 연구는 장기적인 수자원 확보의 중요성과 기후 변화에 대한 빙하의 반응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이다.[11] 실제로 수자원과 같은 자연 자원의 가용성 확보는 융삭 과정 및 빙하 전반에 대한 연구의 중요한 동기이다.
5. 2. 파편 덮인 빙하
파편으로 덮인 빙하는 융삭 과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빙하 표면에 쌓인 얇은 파편층은 그 아래 얼음의 융삭을 가속하는 반면, 두꺼운 파편층은 오히려 융삭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인다.[8][10]융삭이 진행 중인 빙하에서 파편으로 덮인 부분은 주로 얼음 절벽, 연못, 그리고 파편 자체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이 세 부분을 분석하여 파편 덮인 지역에서 흡수되는 열의 양을 측정하고 계산한다. 이 계산은 전체 파편 지역 면적 대비 각 부분의 면적과 순 흡수 열량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의 계산은 여러 빙하에 적용되어 미래의 융해 패턴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활용된다.[8]
빙하 위의 파편, 즉 퇴석은 자연적인 과정을 통해 빙하의 경사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한다.[9] 빙하의 경사가 가파르면 파편은 더 멀리까지 이동하게 된다. 전 세계적으로 빙하의 크기와 위치가 다양하기 때문에, 기후나 지형 조건에 따라 퇴석의 종류도 달라질 수 있다. 파편의 크기 역시 빙하의 면적 등에 따라 먼지처럼 작은 것부터 집채만 한 거대한 암석 덩어리까지 매우 다양하다.[9]
파편이 빙하 표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여러 실험 연구가 진행되었다. 예를 들어, 국립 극지 연구소의 후지이 요시유키 교수는 실험을 통해 얇은 파편층 아래에서는 융삭 속도가 빨라지고, 두꺼운 파편층 아래에서는 자연 상태의 눈 표면보다 융삭 속도가 느려진다는 사실을 입증했다.[10] 이러한 연구는 장기적인 수자원 확보 문제와 기후 변화에 대한 빙하의 반응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11] 실제로 수자원과 같은 자연 자원의 가용성 문제는 융삭 과정 및 빙하 전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주요 동기가 된다.
6. 레이저 융삭
레이저를 이용하여 재료의 공유 결합을 용해시키는 과정을 레이저 융삭이라고 한다. 이는 피부의 표면을 깎아내어 피부 반점, 노화된 피부, 주름 등을 제거하고 회춘시키는 피부 연마술과 같은 의료 시술에도 사용된다.
레이저가 조직이나 재료를 효과적으로 융삭하기 위해서는 출력 밀도 또는 플루언스가 충분히 높아야 한다. 만약 이 값이 낮으면 재료가 융삭되지 않고 단순히 열에 의해 증발하는 열 응고 현상이 발생한다. 레이저 융삭 과정은 대상 재료의 고유한 특성과 에너지 흡수 능력에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사용하는 레이저의 파장은 대상 재료가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흡수 깊이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레이저 융삭과 관련된 주요 물리량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레이저는 평균적으로 낮은 출력을 가질 수 있지만, 짧은 시간 동안 매우 높은 최대 강도와 플루언스를 전달할 수 있다.
:
여기서 최대 출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6. 1. 레이저 굴절 수술
눈의 굴절 이상을 교정하는 여러 굴절 수술에서 각막 표면을 깎아내는 융삭 방식이 흔히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하는 LASIK이나 LASEK 수술이 있다. 각막은 한번 깎아내면 재생되지 않는 조직이므로, 레이저를 이용해 각막의 형태를 정밀하게 변화시켜 굴절 특성을 조절한다. 이를 통해 난시, 근시, 원시와 같은 시력 문제를 교정할 수 있다.6. 2. 자궁 내막 융삭술
레이저 융삭은 월경 문제나 자궁선근증을 겪는 여성의 자궁 내벽 일부를 제거하는 자궁 내막 융삭술에도 사용된다.6. 3. 종양 제거
융삭 기술은 종양과 같은 비정상적인 조직을 제거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특히 레이저 융삭은 종양 치료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초단 펄스 다이오드 레이저 광원을 사용하여 주변의 건강한 조직에 최소한의 열 손상을 주면서 지하 종양을 융삭하는 기술을 성공적으로 시연했다.[12]
또한, 유전자 융삭 기술은 특정 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종양 세포와 같은 원치 않는 세포를 제거하는 데 효율적인 방법이 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전자 융삭 기술은 암과의 싸움에 유용할 수 있다.
7. 해양 표면 코팅
방오 페인트 및 기타 관련 코팅은 레크리에이션용, 상업용, 군사용 해상 선박의 하단 선체 표면에 미생물이나 따개비와 같은 동물이 달라붙는 것을 막기 위해 흔히 사용된다. 융삭 페인트는 방오제의 희석이나 비활성화를 막기 위해 이러한 목적으로 자주 사용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페인트는 물속에서 천천히 분해되어 표면에 새로운 방오 화합물을 노출시킨다. 방오제와 융삭 속도를 조절하여 설계하면 생물 부착으로 인한 해로운 영향으로부터 오랫동안 선체를 보호할 수 있다.
8. 수동 화재 방지
방화 및 내화 제품 중 일부는 융삭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물질이 흡열 반응을 일으키거나, 화재에 노출되었을 때 점차 소모되어 사라지는 것을 의미하며, 실리콘 방화 제품이 대표적인 예시다.
화재나 고온 상태가 지속되면, 이러한 융삭 제품들은 타면서 숯으로 변하고 부스러져 결국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화재 시험을 통해 입증된 내화 등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화재 확산 경로에 충분한 양의 융삭 물질을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융삭 물질에는 일반적으로 불에 타 재가 되는 유기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실리콘의 경우, 유기 고무가 미세하게 나뉜 실리카 먼지(먼지 1g당 결합 표면적이 최대 380m2에 달함)를 둘러싸고 있는 구조다. 화재 발생 시 유기 고무가 타서 재로 변하면, 제품에 원래 포함되어 있던 실리카 먼지가 남게 된다.
9. 원시 행성계 원반 융삭
원시 행성 디스크는 새롭게 형성된 젊은 별을 둘러싼 밀도 높은 가스와 먼지로 구성된 회전하는 항성 주위 원반이다. 별 형성 직후, 별 주위에는 중력적으로 묶인 물질이 남아 각운동량 보존에 따라 별의 적도를 따라 공전하는 원반을 형성하는데, 이는 토성의 고리와 유사하다. 이 원반은 시간이 지나면서 가스, 먼지, 얼음 등으로 이루어진 원시 행성 디스크로 발전하여 행성계 형성의 기반이 된다. 원반 내 물질들은 서로 뭉쳐 먼지 입자에서 미행성체, 원시 행성을 거쳐 최종적으로 행성으로 성장한다.[13]
거대한 별들은 중력 불안정성 등을 유발하여 주변의 별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4] 이 때문에 젊고 작은 별들과 그들의 원시 행성 디스크가 거대한 별들 근처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성단, 예를 들어 사다리꼴 성단과 같은 곳에서 관측을 통해 확인되었다.[15]
거대한 별들은 생애 마지막 단계에서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는데, 이 폭발로 발생하는 충격파와 초신성 잔해(SNR)는 근처에 있는 원시 행성 디스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초신성 잔해가 원시 행성 디스크를 강타할 경우, 디스크 물질의 상당 부분이 융삭되어 제거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과정이 디스크를 완전히 파괴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16] 이러한 상호작용에서 살아남은 디스크는 초신성 잔해로부터 변형된 화학적 조성을 물려받을 수 있으며, 이는 이후 형성되는 행성계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10. 우주항공
우주선 설계에서 융삭은 극도로 높은 온도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기계 부품이나 탑재체를 냉각하고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기술이다. 주요 응용 분야는 우주에서 대기권으로 진입하는 우주선의 열 차폐와 로켓 엔진 노즐의 냉각이다.[18] 예를 들어 아폴로 계획의 아폴로 사령선 모듈은 대기권 재돌입 시 우주비행사를 보호했으며, 케스트럴 2단 로켓 엔진은 우주 진공 환경에서의 작동을 위해 융삭 냉각 방식을 사용했다.
융삭의 기본 원리는 특수 재료의 외부 표면이 열을 흡수하며 서서히 탄화되고 연소되면서 내부 구조물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고, 남은 재료는 지속적인 단열 효과를 제공한다. 융삭 층의 두께는 임무 중 예상되는 총 열량을 견디도록 설계된다.
우주 비행 연구 분야에서는 더 우수한 성능의 내화 재료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이는 우주선 탑승자와 탑재체를 과도한 열로부터 보호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17] 또한, 이 기술은 일부 수동 화재 방지 분야에도 응용된다.
10. 1. 대기권 재돌입
우주선이 대기권으로 재돌입할 때 발생하는 극심한 열로부터 우주선 내부의 기계 부품이나 탑재체를 보호하기 위해 융삭 기술이 사용된다. 이는 우주선의 열 차폐 시스템의 핵심 요소이다. 대표적인 예로, 아폴로 계획의 아폴로 사령선 모듈은 대기권 재돌입 시 발생하는 고열로부터 우주비행사를 보호하기 위해 융삭 방식을 사용했다.융삭 재료는 열이 우주선 구조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도록 설계된다. 재료의 외부 표면만 높은 열을 견디며, 이 표면은 서서히 탄화되고 연소된다. 이 과정에서 아래쪽의 새로운 보호 재료가 점차 노출된다. 융삭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열을 우주선 바깥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표면 재료가 타서 없어지는 동안에도 남은 고체 재료는 계속해서 우주선을 단열한다. 융삭 층의 두께는 임무 중 예상되는 총 열량을 견딜 수 있도록 정밀하게 계산된다.
우주공학에서는 이러한 융삭 재료를 어블레이터(ablator)라고 부르기도 하며, 대기권 재돌입 시 공력 가열로부터 우주선을 보호하는 데 필수적이다.[18] 더 나은 융삭 성능을 가진 새로운 내화 재료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우주선 탑승자와 탑재체를 과도한 열로부터 보호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17]
10. 2. 로켓 엔진 노즐
우주선 설계에서 융삭은 로켓 엔진 노즐을 극도로 높은 온도로부터 냉각하고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18] 특히 대류가 불가능한 우주 진공 환경에서 독점적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된 로켓 엔진의 경우, 융삭을 통한 냉각이 중요하다. 대표적인 예로 케스트럴 2단 로켓 엔진이 있다.융삭 재료는 열이 로켓 엔진의 구조로 전달되는 것을 막도록 설계된다. 융삭 과정에서 재료의 외부 표면만 가열되어 천천히 탄화되고 연소되면서, 아래에 있는 새로운 보호 재료를 점진적으로 노출시킨다. 이 과정에서 생성된 가스는 열을 우주선 외부로 운반하며, 표면 재료를 통과하지 못하게 막는다. 따라서 보호받는 금속 및 기타 민감한 구조는 안전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표면이 연소되어 우주로 분산됨에 따라 남은 고체 재료는 지속적인 열과 과열된 가스로부터 엔진을 계속 단열한다. 융삭 층의 두께는 임무 중 예상되는 열을 견딜 수 있도록 계산된다.
우주공학에서 융삭은 열 차폐의 중요한 기술로, 로켓 노즐뿐만 아니라 대기권 재돌입 시 우주선을 공력 가열로부터 보호하는 어블레이터로도 사용된다.[18]
참조
[1]
간행물
A Tutorial on Speech Understanding Systems
Academic
[2]
웹사이트
Cell Ablation definition
http://www.changbios[...]
[3]
논문
Targeted cell killing by reconstituted caspases
2007-02
[4]
서적
Physics of Glaciers
https://books.google[...]
Butterworth-Heinemann
1994
[5]
웹사이트
'Glossary of Meteorology'
http://amsglossary.a[...]
2010-07-05
[6]
논문
Theory of structure formation in snowfields motivated by penitentes, suncups, and dirt cones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2001-04-26
[7]
논문
Ubiquitous acceleration in Greenland Ice Sheet calving from 1985 to 2022
https://www.nature.c[...]
2024-01-18
[8]
간행물
Role of supraglacial ponds in the ablation process of a debris-covered glacier in the Nepal Himalayas.
[9]
논문
Combining satellite multispectral image data and a digital elevation model for mapping debris-covered glaciers
Elsevier BV
[10]
논문
Field Experiment on Glacier Ablation under a Layer of Debris Cover
Japanese Society of Snow and Ice
[11]
간행물
Practical prediction of ice melting beneath various thickness of debris cover on Khumbu Glacier, Nepal, using a positive degree-day factor.
[12]
논문
Ablation of subsurface tumors using an ultra-short pulse laser
Elsevier BV
[13]
논문
Early onset of planet formation observed in a nascent star system
2020-10
[14]
논문
Triggered Star Formation by Massive Stars
https://iopscience.i[...]
2007-03-10
[15]
논문
Direct Imaging of Circumstellar Disks in the Orion Nebula
1996-05
[16]
논문
Hydrodynamic ablation of protoplanetary discs via supernovae
2017-07
[17]
문서
Techniques for Wind Tunnel assessment of Ablative Materials
NASA Ames Research Center
1965-08
[18]
논문
「はやぶさ」カプセルの地球大気再突入時におけるプラズマ現象とその周辺
http://www.jspf.or.j[...]
プラズマ・핵융합학회
2006-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