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민중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란 민중당은 1941년 창당된 이란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으로, 이란 공산주의 운동의 역사적 맥락에서 등장했다. 1920년에 창당된 이란 공산당의 후신으로, 초창기에는 자유주의적 성향을 보였으나 급격히 좌경화되었다. 한때 이란에서 가장 큰 대중 조직으로 성장했으나, 1949년 국왕 암살 미수 사건 연루 혐의로 활동이 금지되었다. 이후 지하 활동을 이어갔으며, 1953년 모사데크 정권 몰락 이후 대대적인 탄압을 받았다.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잠시 합법적인 활동을 하였으나, 이슬람 공화국 수립 후 다시 탄압받아 현재는 불법 정당으로 지하 또는 국외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 당은 친소련 노선을 유지했으며, 현재는 사유화 반대, 반노동 입법 비판 등의 입장을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의 금지된 정당 - 이란 인민무자헤딘기구
1965년 이란에서 설립된 이란 인민무자헤딘기구는 초기 이슬람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팔레비 정권에 대한 무장 반란을 목표로 했으나, 이후 이란 이슬람 공화국과의 갈등, 테러 단체 지정, 이라크와 알바니아로의 이전 등 논란 속에서 이란 정부 전복을 추구하고 있다. - 이란의 금지된 정당 - 쿠르디스탄 자유생명당
쿠르디스탄 자유생명당(PJAK)은 이란, 터키, 시리아, 이라크 쿠르드족의 권익 신장을 목표로 2004년 설립되었으며, 쿠르드 민족주의와 민주적 연맹주의를 이념으로 군사 및 사회 활동을 병행하는 단체로, 테러 단체로 지정된 바 있다. - 이란 혁명 - 백색 혁명
백색 혁명은 1963년 이란의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샤가 추진한 경제, 사회 개혁 정책으로, 경제 성장과 여성 권리 신장에 기여했으나, 이란 혁명의 배경이 되어 팔레비 왕조 붕괴를 초래했다. - 이란 혁명 - 이란 인민무자헤딘기구
1965년 이란에서 설립된 이란 인민무자헤딘기구는 초기 이슬람 사회주의를 표방하며 팔레비 정권에 대한 무장 반란을 목표로 했으나, 이후 이란 이슬람 공화국과의 갈등, 테러 단체 지정, 이라크와 알바니아로의 이전 등 논란 속에서 이란 정부 전복을 추구하고 있다.
이란 민중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란 민중당 |
원어 이름 | (헤즈브에 투데예 이란) |
약칭 | 없음 |
![]() | |
창립일 | 1941년 10월 2일 |
창립자 | 오십삼인 |
해산일 | 해당사항 없음 |
중앙 당사 | 베를린, 독일 런던, 잉글랜드 라이프치히, 동독 (1949년–1979년) 테헤란, 이란 (1943년–1983년) |
당보 | 라흐바르 (1942년-1945년) 카바르에 노(1943년-1945년) 나메예 마르돔 마르돔 |
국제 조직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
이전 소속 | 코민테른 |
이념 | 공산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반수정주의 좌익 민족주의 |
정치 성향 | 극좌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군사 조직 | 장교 조직 |
청년 조직 | SJT |
여성 조직 | 이란 여성 민주 조직 |
의회 조직 | 민중당 분파 |
노동자 조직 | CCUTU |
지도부 | |
국제 서기 | 나비드 쇼말리 |
대변인 | 모하마드 오미드바르 |
참여 연합 | |
과거 참여 연합 | 진보정당통일전선 (1946년–1948년) |
금지 | |
금지 시기 | 팔라비 왕조에 의해 1949년 2월 5일 금지됨 이슬람 공화국에 의해 1983년 2월 금지됨 |
2. 역사
이란 민중당(투데당)은 19세기 말 이란에 마르크스주의가 소개되면서 시작된 이란 공산주의 운동의 역사를 계승한다. 1920년 길란주 반다르-에 안잘리에서 이란 사회 민주주의자들의 첫 번째 의회 결과로 페르시아 공산당이 창설되었고, 하이다르 칸 아모-오글리가 초대 전국 사무총장을 맡았다.[15][16][17] 같은 시기 미르자 쿠치크 칸은 정글 운동을 이끌며 길란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을 수립했으나, 곧 패배했다.[15][16][17]
1920년대 카자르 왕조가 붕괴하고 레자 샤가 팔라비 왕조를 세우면서 공산주의 활동은 다시 지하로 들어갔다. 레자 샤는 시아파 성직자의 권한을 제한하는 등 개혁을 추진했지만, 권위주의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1941년, 연합군의 침공으로 레자 샤가 실각하고, 그의 아들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가 즉위하면서 많은 정치범들이 사면되었다.[19] 이들 중에는 "53인 그룹"이라 불리는 마르크스주의 단체 구성원들도 있었다.[19] 이들은 소련의 지원을 받아 1941년 투데당을 창당하고 솔레이만 에스칸다리를 당 의장으로 선출했다.[20][21]
초기 투데당은 자유주의적 성향을 보였으나, 곧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으로 급격히 좌경화되었다.[22] 1944년 마즐리스 선거에서 8명의 후보를 당선시켰고, 군 장교들로 구성된 비밀 조직인 투데 당 군사 조직(TPMO)을 설립했다.[34] 투데당은 여성의 권리를 옹호하며, 1945년에는 이란 역사상 최초의 대중 조직으로 성장했다.[23][24]
그러나 소련의 석유 채굴권 요구와 쿠르디스탄 및 아제르바이잔에서의 민족 반란 지원은 투데당의 이미지를 손상시켰다.[27] 1946년 이란 위기 이후, 투데당은 친소련 노선을 강화하며 크렘린의 지시를 따랐다.[8][9]
1951년 영국-이란 석유 회사(AIOC) 국유화 과정에서 투데당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처음에는 모하마드 모사데크 총리를 비판했지만, 1952년 7월 봉기 이후에는 그를 일부 지지했다.[36][44] 1953년 8월 15일, 모사데크에 대한 쿠데타 시도는 투데당 군사 조직(TPMO)의 정보 제공으로 저지되었으나,[36][54] 8월 19일 미국 중앙정보국(CIA) 주도의 쿠데타로 모사데크가 실각하고 파즐롤라 자헤디 장군이 총리가 되었다.[59]
쿠데타 이후 투데당은 대대적인 탄압을 받아 조직이 파괴되고 지도자들이 처형되었다.[10] 1953년에서 1957년 사이에 CIA의 지원을 받은 이란 보안군은 투데당 지하조직 전체와 당원의 절반 이상을 체포했다.[62] 1960년대 초 중소 분쟁으로 당내 분열이 발생했고,[67] 1966년에는 중앙위원회 간부들이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국제적인 항의로 감형되었다.[68]
1979년 이란 혁명 초기, 투데당은 정치에 참여했으나, 이슬람 공화당에 밀려 배제되었다.[70] 1982년, 이란 정부는 투데당을 다시 탄압하기 시작했고,[72] 1983년 투데당은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73] 투데당 지도부는 강요된 공개 자백을 했으며,[76] 많은 당원들이 망명했다. 1988년 1988년 이란 정치범 처형 당시 수백 명의 투데당 수감자들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84]
이란 혁명 이후 이란에서 투데당은 공식적으로 금지되었지만, 활동적인 당원들은 지하에서 정치 조직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당 지도부는 주로 망명 중에 있다.
2. 1. 이란 공산주의 운동의 기원 (19세기 말 ~ 1920년대)
이란 공산주의 운동의 역사는 19세기 말, 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이란 경제의 봉건제에서 자본주의로의 전환으로 마르크스주의가 이란의 지식인과 노동자 계급에 소개되면서 시작되었다. 소련과 코카서스에 가까운 이란 북부는 마르크스주의 및 사회 민주주의 정치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고, 여러 단체가 생겨났다.페르시아 공산당은 1920년 6월 길란주 반다르-에 안잘리에서 이란 사회 민주주의자들의 첫 번째 의회 결과로 창설되었다. 이란 입헌 혁명의 지도자 중 한 명인 하이다르 칸 아모-오글리가 초대 전국 사무총장을 맡았다. 동시에, 입헌 혁명의 또 다른 주요 지도자이자 혁명적인 정글 "장갈리" 운동(산림 운동)의 지도자인 미르자 쿠치크 칸은 소련 적군의 지원을 받아 길란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을 수립했다.[15][16][17]
길란 소비에트 공화국과 공산당이 패배하면서 공산주의 및 사회 민주주의 활동은 다시 지하로 들어갔다. 1920년대 초 카자르 왕조는 붕괴되었고, 레자 샤는 1925년에 왕위에 올라 팔라비 왕조를 세웠다. 레자 샤는 시아파 성직자의 권한 제한과 같은 개혁을 도입했지만, 권위주의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2. 2. 투데당 창당과 초기 활동 (1941년 ~ 1949년)
1941년, 연합군이었던 영국과 소련의 침공으로 레자 샤의 통치가 막을 내리고, 레자 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추방되었다. 레자 샤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는 많은 정치범들을 사면했다.[19] 이러한 새로운 분위기 속에서 민족주의 단체들과 사회주의 단체들이 다시 활발하게 활동하기 시작했다. "53인 그룹"이라 불리는 마르크스주의 단체 구성원들도 이 정치범들 중 일부였다.[19] 레자 샤 이후 시대의 이란에서 이들은 소련의 전략, 이익, 계획의 일부가 되었다.[19] 석방된 후, 이레지 에스칸다리를 포함한 "53인 그룹" 중 일부는 솔레이만 에스칸다리의 저택에서 소련 대표와 만나 폭넓은 대중에게 다가갈 수 있는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인 ''Hezb-e Tudeh-ye Iran''("이란 민중당", 이하 투데당)을 결성하기로 했다.[20] 1941년 9월 29일, 이들은 투데당을 창당하고 솔레이만 에스칸다리를 당 의장으로 선출했다.[21]초기에 투데당은 "급진적인 정당이라기보다는 자유주의적인 정당"을 지향하며, "헌법"과 "개인의 권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파시즘, 제국주의, 군국주의로부터 "민주주의"와 "사법부의 무결성"을 수호하는 강령을 내세웠다. 솔레이만 에스칸다리의 권고에 따라, 투데당은 처음에는 여성을 회원으로 받지 않았고, 무하람 행렬을 조직했으며, "주요 클럽하우스에 특별 기도실"을 설치하여 비세속적인 대중에게 다가가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은 오래 지속되지 않았고, 투데당은 창당 몇 달 만에 "급격히 좌경화"되었다.[22]
2. 3. 투데당의 전성기와 몰락 (1944년 ~ 1953년)
1944년, 이란 민중당(투데당)은 제14대 마즐리스 선거에서 8명의 후보를 당선시켰다. 또한 군 장교들로 구성된 비밀 조직인 투데 당 군사 조직(TPMO)을 설립했다. TPMO는 당에 정보와 군사 정보를 제공하고 보안군으로부터 당을 보호하며 군사력을 제공했지만, 역사가들은 당시 당이 TPMO를 사용하여 쿠데타를 일으킬 계획은 없었다고 본다.[34]투데당은 1943년부터 동일 노동에 대한 동일 임금, 여성 노동자를 위한 2개월의 출산 휴가, 기타 여성의 사회적 권리를 옹호하는 등 여성의 권리를 강력하게 지지했다.[23] 그러나 생식, 성(sexuality), 가족 생활 내의 다른 요소에 대한 문제는 논의되지 않았다.
1945년 초, 투데당은 이란 역사상 최초의 대중 조직으로 성장했다. 경찰 기록에 따르면, 당에는 약 2,200명의 핵심 구성원(그 중 700명이 테헤란에 있었다)과 수만 명의 지지자가 있었다.[24] 당의 주요 신문인 ''라흐바르''는 10만 부 이상을 발행했다.[25] 리더 불라드 영국 대사는 이 당을 이란의 유일한 일관성 있는 정치 세력이라고 불렀고, ''뉴욕 타임스''는 이 당과 동맹 세력이 공정한 선거에서 40%의 득표율을 얻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25]
이 시기는 소련의 명성과 선전에 힘입어 당의 지적 영향력이 정점에 달했던 시기였다. 그러나 유명 작가 잘랄 알-에 아흐마드가 투데당의 친소련 정책에 항의하여 사회주의자 분파인 제3세력을 결성하기 위해 당에서 탈당하면서, 이란 지식 사회에 대한 당의 영향력은 약화되기 시작했다.[26]
1944-46년, 소련의 이란 북부 석유 채굴권 요구와 쿠르디스탄과 아제르바이잔에서 소련의 민족 반란 지원은 투데당의 이미지를 손상시켰다. 마즐리스의 투데당 대의원들이 이전에 전체 석유 산업의 국유화를 강력하게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투데당은 "사회주의 연대", "국제주의", "반제국주의"를 이유로 소련의 석유 산업에 대한 요구를 지지했다.[27]
1946년 이란 위기 이후, 투데당은 친소련 노선을 걷게 되었고, 때로는 이란의 정치적 독립과 주권을 희생하더라도 크렘린의 지시를 따를 준비를 했다.[8][9]
2. 4. 모사데크 시대와 쿠데타 (1951년 ~ 1953년)
이란 민중당(투데당)은 1951년 영국-이란 석유 회사(AIOC)의 국유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초기에는 모하마드 모사데크 총리를 "미국 제국주의의 대리인"이라고 비판했으나,[36] 1952년 7월 봉기 이후에는 그를 일부 지지했다.[36] 이 봉기에서 투데당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44]1953년 8월 15일, 모사데크에 대한 쿠데타 시도는 투데당 군사 조직(TPMO)의 정보 제공으로 저지되었다.[36] TPMO는 테헤란 군정부의 핵심 인물인 모하마드 알리 모바셰리 대령과 샤의 제국 근위대 소속 메흐디 호마우니 소령을 통해 쿠데타 계획을 탐지했다.[54]
그러나 1953년 8월 19일, 미국 중앙정보국(CIA) 주도의 쿠데타로 모사데크가 실각하고 파즐롤라 자헤디 장군이 총리가 되었다.[59] 이 쿠데타는 제3세계와 20세기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59] 쿠데타 이후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는 독재 권력을 잡고 투데당을 포함한 대부분의 정치 단체를 금지했다.[61]
2. 5. 1953년 쿠데타 이후 (1953년 ~ 1979년)
쿠데타 이후, 투데당은 대대적인 체포, 조직 파괴, 지도자 40~50명 처형으로 인해 큰 타격을 입었다.[10] 1953년에서 1957년 사이에 이란 보안군은 CIA의 지원을 받아 투데당 지하조직 전체와 당원의 절반 이상에 해당하는 4,121명의 당원을 체포했다.[62] 군대에 침투한 투데당 군사조직(TPMO)은 총 477명으로, 대령 22명, 소령 69명, 대위 100명, 중위 193명, 부사관 19명, 사관생도 63명으로 구성되었다.[62] TPMO가 와해되면서 투데당 네트워크는 훼손되었고, 많은 투데당 고위 및 중간 간부들이 체포되거나 국외로 도피해야 했다.[65]1960년대 초, 중소 분쟁으로 인해 당내 분열이 발생하여 마오주의 그룹이 떨어져 나갔다.[67] 1965년에는 정부에 대한 폭력 투쟁을 옹호하는 분파가 발생하여 당에 큰 피해를 입혔고, 당의 통일이 회복되기까지 3년이 걸렸다.
1966년, 알리 카바리와 파르비즈 헤크마트주를 비롯한 중앙위원회 간부 여러 명이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68] 그러나 이는 국제적인 항의와 유럽에서의 단식 투쟁을 촉발했고, 이란 정부는 형량을 무기징역으로 감형해야 했다. 이 사건은 이란 노동자들의 투쟁에 대한 국제적인 공감을 불러일으켰고, 분열 이후 당의 통합에 기여했다.
2. 6. 이란 혁명과 이슬람 공화국 (1979년 ~ 현재)
1979년 이란 혁명 초기, 투데당은 다른 좌익 단체들과 함께 대통령 및 의회 선거에 참여했으나, 아야톨라 베헤슈티의 이슬람 공화당에 밀려 정치에서 배제되었다.[70] 1982년, 이란의 이슬람 정부는 투데 당의 신문을 폐쇄하고 정부 부처에서 투데 당원을 숙청하며 다시 탄압하기 시작했다.[72] 미트로힌 기록보관소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쿠지치킨 KGB 장교가 영국으로 망명했고, MI6는 이 정보를 CIA와 공유했으며, CIA는 다시 이 정보를 이란 정부와 공유했다.[72]이란 정부는 신속하게 투데당 지도부를 체포하여 투옥했고, 이후 10,000명 이상의 당원을 체포했다.[73] 1983년 2월, 투데당은 공식적으로 해산되었고, 이란은 사실상 일당 국가가 되었다.[73] 바람 아프잘리 제독을 포함한 여러 장교들이 체포되면서 군대 내 투데당 지지 세력의 존재가 드러났다.[74]
1983년 5월부터 1984년 5월까지 거의 모든 투데당 지도부는 비디오에 출연하여 이슬람 정부를 찬양하고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비판하는 공개 자백을 했다.[76] 에산 타바리는 자신이 지난 40년간 썼던 작품을 부인하며 이슬람의 "위대한 영적 힘"을 칭송했다.[78][79] 그러나 타키 케이마나쉬를 비롯한 투데당 중앙위원회 구성원 13명이 감옥 심문 중 사망했다는 사실은 이러한 고백이 강요된 것이라는 의혹을 불러일으켰다.[80] 누레딘 키아누리는 유엔 인권 대표에게 자신과 아내가 고문을 받았다고 증언했다.[74][81]
이러한 숙청의 결과로 많은 당원들이 망명했다. 1988년 1988년 이란 정치범 처형 당시 수백 명의 투데당 수감자들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84]
억압에도 불구하고 투데당은 존속해왔다. 이란 혁명 이후 이란에서 투데당은 공식적으로 금지되었지만, 활동적인 당원들은 지하에서 정치 조직으로 활동하고 있다. 당 지도부는 주로 망명 중에 있으며, 사유화에 반대하고 이란의 선거 제도와 "반노동" 입법을 비판하는 등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3. 이념 및 정책
투데당은 역사학자들에게 주로 "공산주의" 정당으로 묘사되지만,[13], 좀 더 우호적인 자료에서는 "좌익" 또는 "좌경향"으로 묘사되기도 한다.[14] 여러 학술 자료에서는 투데당을 "스탈린주의" 정당으로 평가하기도 한다.[2] 투데당은 소련에 우호적인 친소련 공산주의 정당이었다.[13]
4. 조직 및 활동
이란 민중당은 중앙위원회를 중심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산하에 청년 조직, 여성 조직, 노동조합 등 다양한 부문 조직을 두고 있었다. 1949년 이전까지 이란 민중당은 이란 내에서 합법적으로 활동하며, 의회 진출, 노동 운동, 여성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1] 1949년 이후, 불법화되었지만 지하 활동을 계속하며, 이란 정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1]
이란 혁명 이후 이란에서 당은 공식적으로 금지되었고, 공산주의 또는 사회주의 단체와 관련된 개인은 투옥될 위험이 있지만, 활동적인 당원들은 남아있으며, 이란에서 지하 정치 조직으로 계속 활동하고 있다. 이는 이란의 정치범에 대한 국제앰네스티 보고서에서 언급되었다.[1]
오늘날 이란 민중당 지도부는 주로 망명 중에 있으며, 1992년에 선출된 신임 중앙위원회도 마찬가지이다.[1] 이란 민중당은 사유화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이란의 선거 제도와 "반노동" 입법을 비판한다.[1] 2017년, 프랑스의 좌파 세력으로 장뤽 멜랑숑을 지지했고, 러시아 혁명을 기념했으며, 베네수엘라 공산당에 연대 의사를 표명했고, 이란 개혁주의자들이 이상을 배반했다고 비판했다.[1] 또한, 도널드 트럼프가 2017년 4월 시리아에 가한 미사일 공격을 규탄했는데, 이는 이란 야권에서 유일하게 그렇게 한 것이며, 당 웹사이트에는 광범위한 당 노래들이 있다.[1] 2020년, 트럼프 행정부의 공습으로 가셈 솔레이마니가 사망한 것을 규탄하는 동시에, 이란 정부가 이라크와 레바논에 개입하는 것을 비판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Tudeh: 75 Years Fighting For Iran's Working Class
https://www.mornings[...]
2016-10-08
[2]
서적
Reformers and Revolutionaries in Modern Iran: New Perspectives on the Iranian Left
Routledge
[2]
서적
Iran: Political Culture in the Islamic Republic
https://archive.org/[...]
Routledge
[2]
서적
Enlightenment and Violence: Modernity and Nation-Making
SAGE
[2]
서적
The Left in Contemporary Iran (RLE Iran D)
Taylor & Francis
[3]
뉴스
The Nationalist-Religious Movement | Part 1: Patriots and Mosaddeghists
https://www.pbs.org/[...]
MUHAMMAD SAHIMI Tehran Bureau in Los Angeles
2011-06-28
[4]
서적
Iran Between Two Revolution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서적
Azerbaijan: Ethnicity and the Struggle for Power in Iran
I.B.Tauris
[6]
서적
Gender and Dance in Modern Iran: Biopolitics on Stage
Routledge
[7]
뉴스
Statement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Tudeh Party of Iran
https://web.archive.[...]
Tudeh News
2007
[8]
간행물
Hezbollah-e Tudeh-ye Iran and Its Struggle Against the Challenges Posed Against It by the British, 1942–1946: An Analysis Based on Soviet Documents
2023
[9]
서적
Russians in Iran: Diplomacy and power in the Qajar era and beyond
I.B. Tauris
2018
[10]
서적
A History of Modern Iran
[11]
서적
Tortured Confessions
[12]
서적
Guerrilla Odyssey: Modernization, Secularism, Democracy, and the Fadai Period of National Liberation In Iran, 1971–1979
Syracuse University Press
2010
[13]
뉴스
The Nationalist-Religious Movement | Part 1: Patriots and Mosaddeghists
https://www.pbs.org/[...]
MUHAMMAD SAHIMI Tehran Bureau in Los Angeles
2011-06-28
[14]
서적
US Foreign Policy in Perspective: Clients, enemies and empire
Routledge
[15]
서적
Averting An Iranian Geopolitical Crisis: A Tale of Power Play for Dominance Between Colonial Powers, Tribal and Government Actors in the Pre and Post World War One Era
Friesen Press
[16]
서적
Transcaucasian Banknotes
BoD – Books on Demand
[17]
문서
The British, who were a dominant influence in the Qajar court of Tehran, reportedly sent agents to infiltrate the Foresters Movement in a carefully prepared plot.
[18]
서적
Tortured Confessions: Prisons and Public Recantations in Modern Ir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
간행물
Hezbollah-e Tudeh-ye Iran and Its Struggle Against the Challenges Posed Against It by the British, 1942–1946: An Analysis Based on Soviet Documents
2023
[20]
서적
History of Modern Iran
[21]
뉴스
DOCUMENT CENTRAL COMMITTEE OF THE TUDEH PARTY OF IRAN ON THE OCCASION OF 75TH ANNIVERSARY OF THE TUDEH PARTY OF IRAN
https://translate.go[...]
Tudeh Party
2016
[22]
서적
Tortured Confessions
[23]
서적
Women and Islam: Women's movements in Muslim societies
[24]
서적
Tortured Confessions
[25]
뉴스
Ettela'at, 24 September 1979, quoted in Abrahamian, History of Modern Iran
Ettela'at
1979-09-24
[26]
서적
The Mantle of the Prophet: Religion and Politics in Iran
One World, Oxford
[27]
서적
Tortured Confessions
[28]
문서
[29]
문서
[30]
서적
Mohammad Mosaddeq and the 1953 Coup in Iran
Syracuse University Press
[31]
서적
Mohammad Mosaddeq and the 1953 Coup in Iran
Syracuse University Press
[32]
서적
All the Shah's Men
[33]
서적
Tortured Confessions
[34]
서적
Mohammad Mosaddeq and the 1953 Coup in Iran
Syracuse University Press
[35]
서적
Party Building in the Modern Middle East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36]
서적
Mohammad Mosaddeq and the 1953 Coup in Iran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4
[37]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Shah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0
[38]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Shah
1980
[39]
문서
Abrahamian, 1982, p.266
[40]
서적
Mohammad Mosaddegh and the 1953 Coup in Iran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4
[41]
서적
Iran Between Two Revolutions
1982
[42]
서적
Mohammad Mosaddegh and the 1953 Coup in Iran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4
[43]
문서
Behrooz, p.109
[44]
서적
Iran Between Two Revolutions
1982
[45]
서적
Iran Between Two Revolutions
1982
[46]
서적
Iran Between Two Revolutio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2
[47]
서적
Mohammad Mosaddeq and the 1953 Coup in Iran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4
[48]
뉴스
Books And Arts: How to change a regime in 30 days; Iran
The Economist
2003-08-16
[49]
서적
All the Shah's Men: An American Coup and the Roots of Middle East Terror
John Wiley and Sons
2003
[50]
논문
The CIA's TPBEDAMN: Operation and the 1953 Coup in Iran
http://www.mitpressj[...]
2013-10
[51]
서적
Mohammad Mosaddegh and the 1953 Coup in Iran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4
[52]
문서
Behrooz, p. 116
[53]
뉴스
Unseen images of 1953 Iran Coup - in picture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12-16
[54]
문서
Behrooz, p. 117
[55]
웹사이트
Mohammad Mosaddegh and the 1953 Coup in Iran
http://nsarchive.gwu[...]
2004
[56]
문서
Behrooz, p. 119, 120
[57]
문서
Behrooz, p. 120
[58]
문서
Behrooz, p. 121
[59]
서적
The Shia Revival
Norton
2005
[60]
서적
The Iranians
Plume
1997
[61]
서적
Iran Between Two Revolutio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2
[62]
간행물
Black Book on Tudeh Officers Organization
http://www.epubli.de[...]
1956
[63]
서적
Tortured Confessions
1999
[64]
문서
Behrooz, p. 106
[65]
문서
Behrooz, p. 124
[66]
문서
Behrooz, p. 123
[67]
웹사이트
Iran in Revolution: The Opposition Forces
https://www.jstor.or[...]
[68]
논문
Communism and Economic Development
https://www.jstor.or[...]
1968-03
[69]
간행물
Oil from Iran and imperialist oil monopolies
http://www.iisg.nl/c[...]
Tudeh Publishing Centre
1973
[70]
논문
Harvest of Shame: Tudeh and the Bazargan Government
1993-04
[71]
서적
Party Building in the Modern Middle East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72]
서적
Report of the President's Special Review Board
https://archive.org/[...]
Bantam Books
[73]
서적
An Introduction to Shi'i Islam
Yale University Press
[74]
서적
Rebels with a Cause
https://books.google[...]
[75]
뉴스
Iran outlawed the communist Tudeh party for plotting
http://www.upi.com/A[...]
UPI
1983-05-04
[76]
서적
Tortured Confessions
[77]
뉴스
How Britain Helped Iran's Islamic Regime Destroy the Left-Wing Opposition
https://www.dailymav[...]
The Daily Maverick
2020-01-21
[78]
서적
Tortured Confessions
[79]
서적
Tortured Confessions
[80]
간행물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
[81]
서적
Tortured Confessions
[82]
뉴스
Maryam Firouz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8-03-31
[83]
간행물
Soviet presence in Iran: the case of the Tudeh Party
Foundation for Constitutional Government in Iran
[84]
웹사이트
1984: Ten Members of the Tudeh Party
http://www.executedt[...]
2017-02-25
[85]
논문
Did the Soviets play a role in founding the Tudehparty in Iran?
https://monderusse.r[...]
Éditions de l'EHESS
1999-04-01
[86]
서적
Iran Between Two Revolution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87]
서적
Political Thought and Political History: Studies in Memory of Elie Kedourie
Routledge
2004
[88]
서적
Social Movements in Egypt and Iran
Routledge
2016
[89]
논문
Iran Finds a Party System: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ran Novin"
Middle East Institute
1973
[90]
학위논문
Leftists as a Political Opposition in Iran
http://cdmbuntu.lib.[...]
University of Utah
2015
[91]
서적
Social Origins of the Iranian Revolution
Rutgers University Press
1989
[92]
서적
The Communist Movement in Ira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3]
서적
The Soviet Union and Revolutionary Iran
Routledge
2011
[94]
서적
Iran Under the Ayatollahs (Routledge Revivals)
Routledge
[95]
간행물
World Strength of the Communist Party Organizations, Issues 19-21, United States. Dept. of State. Intelligence report 4489 R-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Office of Intelligence Research and Analysi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Bureau of Intelligence and Research
[96]
서적
Immortal, Updated Edition: A Military History of Iran and Its Armed Forces
Georgetown University Press
[97]
보고서
Iran: Recent Tudeh Party Activity
https://www.cia.gov/[...]
1980-04-01
[98]
서적
The Soviet Union in the third world, 1980-85: an imperial burden on political asset?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99]
웹사이트
PRIVATIZATION STILL MADE DISASTER! INCREASE THE IMPACT OF DEREGULATION AND PRIVATIZATION WORK, THE BRINGING JOBS TO WORKERS
https://translate.go[...]
2017
[100]
웹사이트
TRUE FREEDOM, IN THE FACE OF ELECTORAL SHOWING GUARDIANSHIP GOVERNMENT CAN MAKE A DIFFERENCE!
https://translate.go[...]
2017
[101]
웹사이트
Anti-worker bill proposed in Iran
https://translate.go[...]
2017
[102]
웹사이트
Anti-labor forces unite in Iran
https://translate.go[...]
2017
[103]
웹사이트
FRENCH PRESIDENTIAL ELECTION: THE BRILLIANT SUCCESS OF THE COMMUNIST PARTY CAMPAIGN
https://translate.go[...]
2017
[104]
웹사이트
THE CENTENARY OF THE OCTOBER SOCIALIST REVOLUTION 2017 - 1917: "ONE STEP FORWARD, TWO STEPS BACK"
https://translate.go[...]
2017
[105]
웹사이트
Solidarity with the Venezuelan Communist Party
https://translate.go[...]
2017
[106]
웹사이트
"RECONCILIATION" WITH "REPENT" POSSIBLE! POLITICAL BANKRUPTCY AND COWARDICE "REFORMERS" DEFENDERS OF VELAYAT-E FAQIH REGIME
https://translate.go[...]
Tudeh Party
2017
[107]
웹사이트
Domestic reactions to attack America
https://translate.go[...]
Tudeh Party
2017
[108]
웹사이트
Party Hymns
https://translate.go[...]
Tudeh Party
2017
[109]
웹사이트
The urgent need to intensify efforts to preserve peace in the region and confront the adventurous and dangerous policies of US imperialism!
https://www.tudehpar[...]
Central Committee of the Tudeh Party of Iran
2020-01-04
[110]
서적
Iran Between Two Revolution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1]
서적
Iran Between Two Revolution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2]
서적
Iran Between Two Revolution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3]
서적
Rebels With A Cause: The Failure of the Left in Iran
I.B.Tauris
[114]
간행물
ESKANDARĪ, ĪRAJ
http://www.iranicaon[...]
Bibliotheca Persica Press
2017-09-12
[115]
서적
The Left in Contemporary Iran (RLE Iran D)
CRC Press
2012
[116]
서적
Iran Under the Ayatollahs (Routledge Revivals)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