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의 병역 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라엘의 병역 제도는 1949년 국방복무법 제정 이후 만 18세 이상의 시민 또는 영주권자를 대상으로 이스라엘 방위군(IDF) 징집을 의무화했다. 남성은 30개월, 여성은 24개월 복무가 기본이었으나, 복무 기간은 변동되어 왔다. 징집은 의무이나, 건강, 종교적 이유 등으로 면제될 수 있으며, 면제자 외에도 다양한 이유로 병역을 기피하는 인구가 존재한다. IDF는 예비군 제도를 운영하며, 경제적 제약 속에서 전문 민병대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특정 집단에 대한 정책 및 징병 과정, 학술 프로그램, 병역 부적합 사유, 대체 복무 제도 등이 존재하며, 향후 징병제 폐지 및 모병제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라엘 방위군 - 이스라엘 민정청
이스라엘 민정청은 1981년 이스라엘 군령에 의해 설립되어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의 민간 행정 업무를 담당하지만, 실질적으로 이스라엘 군과 신베트의 통제 하에 운영되며 팔레스타인 주민 억압 정책 시행 비판과 오슬로 협정 이후에도 서안 지구 내 주요 업무를 수행하며 논란이 되고 있다. - 이스라엘 방위군 - 이스라엘 군정청
이스라엘 군정청은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점령한 지역에 실시한 군정 체제로, 1982년 시나이 반도 철수와 함께 사실상 해체되었으나 서안 지구에서는 현재까지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스라엘의 병역 제도 | |
---|---|
개요 | |
정식 명칭 | 이스라엘의 징병제 |
관할 국가 | 이스라엘 |
역사 | |
시행 시점 | 1949년 |
징병 대상 및 기간 | |
대상 | 18세 이상의 이스라엘 시민권자 (일부 예외 존재) 유대인, 드루즈인, 체르케스인 남녀 |
남성 복무 기간 | 32개월 (2년 8개월) |
여성 복무 기간 | 24개월 (2년) |
면제 및 연기 | |
면제 사유 | 건강 문제 정신 질환 결혼 임신 종교적 신념 (엄격한 기준 적용) |
연기 사유 | 학업 해외 거주 |
특별 고려 대상 | |
초정통파 유대교 (하레디) | 징병 유예 혜택 (논란 중) 최근 고등법원, 초정통파 유대교 남성 징집 명령 3,000명 대상 징집 시작 (3차례 진행) |
아랍 시민 | 대다수 징병 면제 자원 시 복무 가능 |
대체 복무 | |
제도 명칭 | 셰루트 레우미 (국가 봉사) |
내용 | 병역 의무 대신 사회 봉사 활동 수행 병원, 학교, 사회 복지 기관 등에서 활동 |
논란 및 이슈 | |
징병 거부 | 양심적 징병 거부 인정 여부 논쟁 징병 거부자 처벌 사례 존재 |
형평성 문제 | 특정 집단 (초정통파 유대교)의 징병 면제에 대한 비판 징병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불이익 문제 제기 |
추가 정보 | |
관련 법률 | 병역법 |
2. 역사
1949년 이스라엘 건국 직후, 국가 안보를 위해 크네세트는 국방복무법을 제정하여 IDF에 병력 징집 권한을 부여했다.[4] 이 법에 따라 만 18세가 된 모든 이스라엘 시민과 영주권자는 병역 의무를 지게 되었으며, 징집 대상자는 군의 결정에 따라 복무해야 했다. 초기 복무 기간은 남성 30개월, 여성 18개월로 시작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스라엘의 안보 상황과 사회적 요구에 따라 병역 제도는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복무 기간이 조정되기도 했으며[5], 병역 면제 기준[9][23] 역시 법률에 따라 규정되어 왔다. 의무 복무를 마친 이들 중 다수는 예비군으로 편성되어 국가 방위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의무를 가진다.
또한 IDF는 경제적 제약과 변화하는 안보 환경에 대응하여 조직 구조를 재검토하고 현대적인 군대로 발전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다. 이 과정에서 군의 전문성을 강화하고[6], 동성애자[7][24]나 장애인[8][25] 등 다양한 배경의 시민들을 포용하려는 사회적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2. 1. 징병제의 변화
1949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크네세트는 국방복무법을 제정하여 IDF에 병력 징집 권한을 부여했다.[4] 이 법에 따라 18세가 된 모든 이스라엘 시민과 영주권자는 징집 대상이 되었으며, 징집 통보를 받으면 병역 의무를 이행해야 했다.초기 복무 기간은 남성 30개월, 여성 18개월이었으나, 1968년 1월 10일 임시 명령으로 각각 6개월씩 연장되어 남성은 36개월, 여성은 24개월로 늘어났다. 이후 남성의 복무 기간은 2015년에 32개월로 단축되었다. 2016년에는 2020년부터 30개월로 추가 단축하기로 결정되었으나, 이 계획은 2021년에 철회되었고 단축 시행은 2024년으로 연기되었다.[5]
법적으로 병역 면제 대상이 되는 경우도 있다. 장애, 건강 문제, 군의 인력 상황 등 다양한 이유로 면제가 가능하다.[23] 2013년 통계를 보면, 징집 대상자 중 약 26%가 면제되었는데, 주요 사유로는 종교적 이유(13.5%), 심리적 문제(4%), 신체 건강 문제(2%), 범죄 기록(3%), 해외 거주(3%) 등이 있었다.[9] 의무 복무를 마친 많은 이들은 이후 군의 필요에 따라 예비군으로 복무할 의무를 진다.
한편, IDF는 경제적 제약 등으로 인해 조직 구조를 재검토하고 점차 현대적인 군대로 변화하고 있다. 전문적인 민병대 형태로 나아가면서 직업 군인의 성격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징집병 선발 과정도 이전보다 더 신중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과거 IDF가 수행했던 "역할 확장"보다는 "국가 건설"에 더 집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6]
최근에는 사회적 포용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동성애자[7][24]나 장애인 시민[8][25]의 군 복무 기회를 확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3. 징병 대상 및 면제
1949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제정된 국방복무법에 따라, IDF는 만 18세가 된 모든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를 징집할 권한을 갖는다.[4] 징집 대상자는 군의 결정에 따라 징병대에 출석해야 한다. 초기 법에 따르면 남성은 30개월, 여성은 18개월 복무해야 했으나, 1968년 임시 명령으로 남성은 36개월, 여성은 24개월로 각각 6개월씩 연장되었다. 이후 남성의 복무 기간은 2015년에 32개월로 줄었고, 2020년에는 30개월로 추가 단축될 예정이었으나, 이 계획은 2024년으로 연기되었다.[5] 의무 복무를 마친 후에도 많은 병사들은 군의 필요에 따라 예비군으로 복무할 의무가 있다.
IDF는 각 징집병에게 신체 등급(Medical profile, פרופיל רפואיhe)을 부여하며, 이 등급에 따라 복무할 부대가 결정된다. 가장 높은 등급(97)을 받은 징집병은 주로 보병 여단, 야전 정보 부대, 전투 공병 등 최전선 부대에 배치된다. 다음 등급의 징집병은 기갑, 포병, 헌병, 국경 경찰, 아만 등에 배치된다. 신체 등급이 낮은 징집병은 병참, 군수 등 전투 지원 부대에서 복무하게 된다. 특정 등급(신체 등급 21, פרופיל 21he) 이하로 판정받거나 '군 복무 부적격' 진단을 받은 사람은 병역 의무가 완전히 면제된다.
병역은 의무이지만, 신체적, 정신적 건강 문제, 종교적 신념, 법적 사유 등 다양한 이유로 면제가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면제 사유 참고) 최근에는 양심이나 정치적 이유로 징병 거부를 선택하는 경우도 드물게 나타나고 있다.[11] 이러한 병역 면제 제도는 사회적 공정성 문제와 전투 병력 부족에 대한 우려로 인해 이스라엘 사회 내에서 지속적인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11][26]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전체 징집 대상자의 약 26%가 다양한 사유로 병역을 면제받았다.[9] 또한 이스라엘의 아랍 시민, 예시바 학생, 종교적 여성, 이민자, 장애인, 우수 운동선수 및 예술가 등 특정 집단에 대한 별도의 정책이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특정 집단에 대한 정책 참고)
한편, IDF는 경제적 제약 등으로 인해 구조를 재고하며 현대적인 전문 군대로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IDF는 과거보다 더 선별적으로 인력을 충원하는 경향을 보이며, "국가 건설"보다는 군 본연의 역할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6][23] 최근에는 성소수자(게이)[7][24] 및 장애인 시민의 포용성을 높이는 데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8][25]
국방복무법은 예비군 복무자의 해외 출국에 관한 규정도 포함하고 있다. 국방 복무 대상자나 정규군 소속 예비역은 국방부 장관의 허가 없이 해외로 나갈 수 없으며, 복무가 연기된 경우에도 연기 기간 동안 허가 없이 출국할 수 없다. 허가는 조건부 또는 무조건부로 부여될 수 있으며, 조건을 위반할 경우 허가가 취소되고 귀국 명령을 받을 수 있다. 국방부 장관은 이러한 조치를 취하기 전에 당사자에게 소명 기회를 주어야 한다.[15] 과거에는 주변국의 위협 때문에 예비군의 해외 출국에 엄격한 제한을 두었으나, 최근 평화 조약 등으로 위협이 감소하면서[16][29] IDF 병력 수요도 다소 줄어드는 추세이다.
3. 1. 면제 사유
이스라엘의 병역은 법적으로 의무이지만, 다양한 사유로 면제가 가능하다. 국방복무법은 징병 기준을 충족하는 모든 이스라엘 시민이 18세가 되면 복무해야 한다고 규정하지만, 동시에 여러 면제 조항을 두고 있다.[4] 면제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 문제, 종교적 신념, 법적 사유 등 다양한 이유로 이루어진다.가장 일반적인 면제 사유 중 하나는 건강 문제이다. IDF는 모든 잠재적 징집병에게 신체 등급을 부여하며, 특정 등급 이하(신체 등급 21)는 '군 복무에 적합하지 않음'으로 판정되어 병역 의무가 면제된다.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전체 징집 대상자 중 약 26%가 면제되었는데, 이 중 심리적 이유(4%)와 신체적 건강 문제(2%)가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9] 또한, 범죄 기록이 있거나(3%) 해외에 거주하는 경우(3%)에도 면제될 수 있다.[9] 신체 장애가 있어 병역이 면제된 사람이라도 자원하여 입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루 4시간의 상징적 복무나 전일제 복무를 할 수 있다.
종교적 사유 또한 주요 면제 요인이다. 특히 하레디 유대인 남성 중 예시바에서 תורתו אומנותו|토라토 우마누토he(토라 공부가 직업)를 선언하는 학생들은 학업을 계속하는 한 징집을 연기할 수 있었다. 이는 과거 탈 법에 근거했으나, 이 법은 위헌 판결을 받아[12] 효력을 잃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예시바 학생들이 사실상 병역을 면제받는 상황은 계속되고 있으며, 이는 이스라엘의 종교 관계에서 매우 민감하고 논쟁적인 문제로 남아있다.[11][14] 하레디 공동체의 높은 출산율로 인해 면제자 수가 증가하면서, 병역 의무의 공정성과 전투 병력 부족 문제에 대한 사회적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11][4] 반면, 종교 시오니즘 성향의 남성들은 헤스더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탈무드 연구와 군 복무(보통 단축된 기간)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다. 종교적 신념을 이유로 병역 면제를 신청하는 여성들은 면제를 받을 수 있으며, 이들 중 다수는 쉐루트 레우미라는 대체 복무를 선택한다.
아랍계 이스라엘 시민 중 무슬림과 기독교인은 법적으로 징집 대상이 아니지만, 자원 입대하는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많은 베두인 남성들도 자발적으로 입대한다. 그러나 드루즈인과 체르케스인 남성은 유대인 남성과 마찬가지로 병역 의무가 있다.
평화주의를 이유로 병역을 거부하는 경우, 위원회의 심사를 거쳐야 한다. 위원회가 신청자의 평화주의 신념이 진실하고 기준에 부합한다고 판단하면 면제가 승인되지만, 실제로 매년 소수의 인원만이 이 사유로 면제를 받는다. 그 외의 자칭 평화주의자들은 입대해야 한다. 최근 수십 년간 양심이나 정치적 이유로 징병 거부를 선택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매우 드물다.[11]
그 외에도 징집 연령에 이스라엘로 이민 온 이민자들은 병역과 관련하여 다양한 혜택이나 조정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국제 대회 등에서 활동하는 뛰어난 운동선수나 예술가(음악가, 무용가 등)는 경력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더 편리하고 짧은 복무 기간 등의 혜택을 받는 '우수 선수/예술가' 지위를 부여받을 수 있다.[30][13]
이러한 다양한 면제 제도는 병역 의무의 형평성 문제와 군 인력 확보의 어려움이라는 측면에서 이스라엘 사회 내에서 지속적인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11][14]
3. 2. 특정 집단에 대한 정책
징병제가 공식적으로는 의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이유로 인구의 상당수가 입대하지 않는다. 특히 최근 수십 년 동안 양심이나 정치적인 이유로 징병을 기피하는 현상이 증가했지만, 여전히 매우 드문 경우에 속한다. 병역 면제는 공정성 문제와 전투 인력 부족에 대한 우려로 인해 사회적 비판에 직면하기도 한다.[26] 2013년 기준으로 잠재적 징집병의 26%가 이스라엘 방위군 복무에서 면제되었는데, 주요 사유는 종교(13.5%), 심리적 문제(4%), 신체 건강 문제(2%), 범죄 기록(3%), 해외 거주(3%) 등이었다.[9]특정 집단에 대한 병역 정책은 다음과 같다.
- 이스라엘의 아랍 시민: 이슬람교나 기독교를 믿는 아랍 시민은 징집 대상이 아니지만, 자원하여 복무할 수 있다. 베두인 중 다수가 자원 입대하며, 드루즈와 체르케스인 남성은 의무적으로 징집된다.[17]
- 예시바 학생: "토라 공부가 직업이다"(תורתו אומנותו|토라토 우마누토heb)라고 선언하는 예시바 학생들은 과거 소위 탈 법(Tal Law)에 따라 학업을 계속하는 동안 징집을 연기할 수 있었다. 이 제도는 하레디파 유대인들이 주로 혜택을 받았으며, 이스라엘의 종교 관계에서 매우 논란이 많은 문제였다. 1999년 탈 위원회(Tal Committee)가 설립되어 2002년 탈 법이 시행되었으나, 토라토 우마누토 면제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이후 탈 법은 위헌 판결을 받아 폐지되었고[27], 예시바 학생들의 병역 문제는 여전히 사회적 쟁점으로 남아있다.
- 종교적 여성: 유대교 신앙 생활을 유지한다고 밝힌 여성 징집병은 병역이 면제된다. 이들 중 상당수는 셰루트 레우미(שירות לאומי|셰루트 레우미heb)라는 대체 국가 봉사를 선택한다.
- 종교 시오니즘 남성: 종교 시오니즘 분야의 남성들은 헤스데르(ישיבת הסדר|예시바트 헤스데르heb)라는 별도의 시스템을 통해 복무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랍비 예후다 아미탈이 개발한 개념으로, 고급 탈무드 연구와 군 복무를 결합한 5년 과정이다. 이들은 통상적인 3년 대신 1년 5개월 동안 복무하고 3년 7개월 동안 학업에 전념한다.
- 평화주의자: 자신이 평화주의자라고 주장하는 징집병은 위원회에 출석하여 주장의 신빙성을 심사받는다. 위원회가 평화주의가 진실되고 기준에 부합한다고 판단하면 면제가 부여된다. 그러나 평화주의를 이유로 면제받는 경우는 매년 소수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자칭 평화주의자는 입대해야 한다.
- 이민자: 징집 연령에 이스라엘로 이민 온 사람들은 군 복무와 관련하여 다양한 특전을 받는다.
- 장애인: 신체적 또는 정신적 장애로 병역이 면제된 사람도 자원하여 복무할 수 있다. 복무 형태는 하루 4시간의 상징적인 근무부터 전일제 복무까지 다양하다. 최근 IDF는 성소수자[7][24] 및 장애인 시민의 포용에 초점을 맞추는 등[8][25] 변화를 보이고 있다.
- 우수 운동 선수, 무용수, 음악가: 주요 현역 운동선수는 "우수 운동 선수" 지위를 부여받아 국제 대회 참가 등 경력을 계속 이어갈 수 있도록 더 편리하고 짧은 복무를 할 수 있다. 이 지위는 주로 올림픽 종목 선수에게 부여된다.[18][30] 유사하게 "우수 무용수" 및 "우수 음악가" 지위도 있으며, 심사를 거쳐 선발된 이들은 군 복무 중에도 자신의 능력과 경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배려받는다.
이스라엘에서는 때때로 이스라엘의 병역면제 문제를 둘러싸고 공론화가 이루어진다.[28]
4. 징병 과정
이스라엘 방위군(IDF)은 잠재적인 병역 의무자에게 편지를 보내 징병 절차를 시작하는데, 이를 "첫 번째 소집" 또는 'צו ראשון|차브 리숀heb'이라고 부른다. 이 편지에는 징병 대상자가 지정된 날짜와 장소에 출석하여 하루 동안 신체검사와 면접을 받아야 한다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다.
IDF는 차브 리숀 결과를 신중하게 검토한 후, 대상자가 일정 연령에 도달하면 입대시켜 군 복무 절차와 기초군사훈련을 시작하게 한다.
4. 1. 병역 연기
징병 대상자가 징병 날짜를 연기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가 있다. 고등학교 졸업생에게는 자동 연기가 부여된다.[29] 그 외 주요 연기 사유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 단체에서 1년 동안 자원봉사 활동[29]
- 이스라엘 방위군(IDF)의 필요에 따른 연기 (일반적으로 징집 대상자에게 주어진 원래 징집일보다 늦게 시작되는 과정 때문)[29]
- 다양한 개인적인 사유[29]
- 토라 연구를 위해 1년 동안 연기[29]
- 헤스데르 협정의 일환으로 연기[29]
특히, "토라 공부는 그들의 직업"(תורתו אומנותו|토라토 우마누토heb, Torato Umanuto)이라고 선언하는 예시바 학생들은 소위 탈법(Tal Law)에 따라 공부를 계속하는 한 징집을 연기할 수 있다.[27] 실제로, 이들 중 상당수는 결국 군 복무를 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아, 이는 이스라엘 사회 내에서 매우 논란이 많은 문제이며 이스라엘의 종교 관계의 핵심 쟁점 중 하나이다.[27] 이 제도는 1999년 탈 위원회(Tal Committee)가 설립되어 2002년 탈법이 시행되면서 구체화되었으나, 토라토 우마누토 면제 자체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27] 탈법은 이후 위헌 판결을 받아 2012년 8월까지 대체 입법이 필요하게 되었다.[27] 이 연기 혜택의 수혜자는 대부분 하레디 유대인이다.[27]
반면, 종교 시오니즘(Religious Zionism) 분야의 구성원들은 헤스데르(heb, Hesder)라고 불리는 별도의 시스템 안에서 복무하는데, 이는 탈무드 연구와 이스라엘 방위군의 군 복무를 결합한 형태이다.[27]
또한 IDF는 나이가 많은 신병이나 가족이 있는 신병, 그리고 유명 운동선수나 음악가들에게 군 복무를 좀 더 용이하게 해주는 경향이 있다.[27]
5. 학술 프로그램
- 아투다( העתודה האקדמית|아투다 아카데미트he ) – 군의 필요에 중요한 학문적 배경을 가진 병사를 모집하고 훈련시키기 위해 고안된 프로그램이다.
- 탈피오트 프로그램 – 과학, 물리학, 수학 분야에서 뛰어난 학업 능력을 보여준 젊은이들을 위한 엘리트 훈련 프로그램이다. 탈피오트 프로그램 졸업생들은 군 복무를 하면서 고등 교육을 받고, 이후 IDF 연구 개발을 위해 전문 지식을 활용한다.
- 조종사 과정 역시 대학 학위를 제공한다.
- 이스라엘 해군사관학교( קורס חובלים|쿠르스 호블림he )는 과정 중에 하이파 대학교 학위를 취득한다.
6. 병역 부적합 및 적응 문제
이스라엘 방위군(IDF)은 징병 대상자의 신체 등급이나 범죄 기록, 복무 의욕 등 다양한 요인을 평가하여 병역 적합 여부를 결정한다. 이 과정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거나, 입대 후 군 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병역 의무가 면제되거나 보직이 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부적합 사유와 신체 등급 기준 등은 하위 문단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공식적으로 군 복무에 부적합 판정을 받은 사람이라도 본인이 희망하면 자원하여 입대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 징집병과 동일한 지위를 인정받지만, 일단 자원 입대를 하면 복무 기간 중 조기 전역은 허용되지 않는다.[19]
6. 1. 부적합 사유
이스라엘 방위군(IDF)은 각 병사의 신체 등급(Medical profile)을 결정하며, 이 등급에 따라 징병 대상자의 배치 위치가 정해진다. 신체 등급은 병역 이행 가능 여부 및 적합한 보직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신체 등급 | 주요 배치 부대 |
---|---|
가장 높음 (97) | 5개 보병 여단, 야전/전투 정보 부대, 전투공병 |
두 번째로 높음 | 기갑군단, 포병, 헌병, 국경 경찰, 아만(AMAN) |
허용 가능한 가장 낮음 | 헌병, 군수 병과, 병기 병과(이스라엘) 등 전투 지원 및 전투 근무 지원 부대 |
21 | 병역 완전 면제 |
가장 낮은 허용 등급인 21등급을 받거나 기타 사유로 '군 복무 부적합' 판정을 받은 징병 대상자는 병역 의무가 완전히 면제된다. 가장 높은 신체 등급은 97이다.
징병 과정이나 복무 중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병역 부적합 판정을 받아 면제되거나 군에서 제대될 수 있다.
- 범죄 기록 또는 약물 사용 이력
- 낮은 복무 의욕
또한, IDF는 징집 대상자가 군 생활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군인은 전투병으로 복무하지 않게 된다.
신병 자원이 과잉될 경우, 군 당국은 징집 기준을 높여 부적합 판정을 받는 인원을 늘리기도 한다. 특히 신체 등급이 상대적으로 낮거나 복무 의욕이 부족한 여성 지원자에게 '여성 신병 과잉'이라는 사유로 병역 면제를 부여하는 경우가 있다.
7. 민간 국민복무 (대체 복무)
이스라엘 방위군(IDF)에서 복무할 수 없거나 복무하기를 원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한 대체적인 민간 국가 복무 제도가 있다. 이는 셰루트 레우미(Sherut Leumi)라고 불리며, 자원하여 참여하는 방식이다. 참가자의 대부분은 종교 시오니즘 분야의 유대인 여성들이다.[26][27][28]
8. 미래 전망
이스라엘 방위군(IDF)은 미래의 어느 시점에는 징병제를 폐지하고 완전한 모병제로 전환해야 할 수도 있다는 내부 결론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32] 이러한 검토 배경에는 이스라엘 젊은이들 사이에서 병역기피 현상이 증가하는 추세와 더불어, 설령 병역기피 문제가 없더라도 예산 제약으로 인해 IDF가 모든 자격 있는 인원을 징집하기 어려워지는 현실적인 문제가 지적된다.[32] 이에 따라 이스라엘은 미국과 유럽 국가들이 징병제를 폐지하고 완전 모병제로 전환한 사례를 연구하며 미래의 변화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32]
한편, IDF는 경제적 제약에 따라 군 구조를 재검토하며 점진적으로 현대적인 군대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23] 이러한 과정에서 IDF는 과거보다 더 전문화되고 선별적인 방식으로 인력을 운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23] 또한 최근에는 동성애자[24] 및 장애인 시민의 군 복무에 대한 포용성을 높이는 데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25]
참조
[1]
웹사이트
Israel's high court orders the army to draft ultra-Orthodox men, rattling Netanyahu's government
https://apnews.com/a[...]
2024-06-25
[2]
뉴스
IDF to begin drafting 3,000 Haredi men starting Sunday, in three waves
https://www.timesofi[...]
2024-07-18
[3]
웹사이트
Military Service, 7th Edition
http://archive.moia.[...]
Ministry of Aliyah and Integration
2019-07-22
[4]
웹사이트
The Haredi Exemption I Israel Policy Forum
https://israelpolicy[...]
2024-06-30
[5]
뉴스
עכשיו זה רשמי: קיצור השירות של חיילים בחודשיים יידחה עד ליולי 2024
https://www.calcalis[...]
[6]
저널
The Israel Defense Forces (IDF): From a "People's Army" to a "Professional Military"-Causes and Implications
[7]
웹사이트
New group defends integrated Israel military
http://www.washingto[...]
2017-04-20
[8]
웹사이트
11 soldiers with disabilities sworn into IDF
http://www.jpost.com[...]
[9]
뉴스
Number of IDF recruits to hit 20-year low in 2013
http://www.ynetnews.[...]
[10]
문서
Israel Defense Forces (IDF)—An Introduction
https://www.jewishvi[...]
'Jewish Virtual Library'
[11]
뉴스
IDF facing shortage of new soldiers
http://www.haaretz.c[...]
2012-02-24
[12]
뉴스
Israel's High Court rules Tal Law unconstitutional, says Knesset cannot extend it in present form
http://www.haaretz.c[...]
2012-02-21
[13]
뉴스
IDF decides models are not artists, are not eligible for perks during service
https://www.israelha[...]
2021-02-19
[14]
웹사이트
Ultra-Orthodox Jews stage mass protest against Israeli draft law
https://www.reuters.[...]
Thomson Reuters
2014-03-02
[15]
웹사이트
Israel Defense Service Law (1986)
https://www.jewishvi[...]
Jewish Virtual Library
2016-08-31
[16]
저널
The Israel Defense Forces (IDF): From a "People's Army" to a "Professional Military"-Causes and Implications
http://afs.sagepub.c[...]
[17]
뉴스
Israeli Coalition Divided on Military Conscription
https://www.nytimes.[...]
2012-06-29
[18]
웹사이트
קריטריוניםלספורטאיםמצטיינים.doc
http://www.mcs.gov.i[...]
[19]
웹사이트
פסק-דין בתיק בג"ץ 7350/08
http://elyon1.court.[...]
2011-08-12
[20]
웹사이트
Morale: Israel Considers Cancelling Conscription
http://www.strategyp[...]
Strategypage.com
2015-01-15
[21]
웹인용
Military Service, 7th Edition
http://archive.moia.[...]
Ministry of Aliyah and Integration
2019-07-22
[22]
웹인용
Number of IDF recruits to hit 20-year low in 2013
http://www.ynetnews.[...]
[23]
저널
The Israel Defense Forces (IDF): From a "People's Army" to a "Professional Military"-Causes and Implications
https://archive.org/[...]
[24]
웹인용
New group defends integrated Israel military
http://www.washingto[...]
2017-04-20
[25]
웹인용
11 soldiers with disabilities sworn into IDF
http://www.jpost.com[...]
[26]
뉴스
IDF facing shortage of new soldiers
http://www.haaretz.c[...]
2012-02-24
[27]
뉴스
Israel's High Court rules Tal Law unconstitutional, says Knesset cannot extend it in present form
http://www.haaretz.c[...]
2012-02-21
[28]
웹인용
Ultra-Orthodox Jews stage mass protest against Israeli draft law
https://www.reuters.[...]
Thomson Reuters
2014-03-02
[29]
저널
The Israel Defense Forces (IDF): From a "People's Army" to a "Professional Military"-Causes and Implications
http://afs.sagepub.c[...]
2021-12-04
[3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mcs.gov.i[...]
2022-04-04
[31]
웹인용
פסק-דין בתיק בג"ץ 7350/08
http://elyon1.court.[...]
2011-08-12
[32]
웹인용
Morale: Israel Considers Cancelling Conscription
http://www.strategyp[...]
Strategypage.com
2015-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