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원 (181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유원(1814년 ~ 1888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오성 이항복의 후손이며 이조판서 이계조의 아들이다. 헌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철종 때 좌의정을 지냈고, 고종 대에는 영의정에 이르렀다. 흥선대원군 하야 작전에 참여했으며, 최익현과 교류했다. 또한, 《임하필기》 등의 저서를 남겼으며, 독립운동가 이석영을 양자로 삼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론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소론 - 성혼
성혼은 조광조의 제자이자 이이와 도의를 맺고 이황을 사사한 조선 중기 문신으로, 사림파 서인에 속하여 정여립의 난과 임진왜란 시기에 활동했으며, 이황의 이기이원론을 지지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다. - 1814년 출생 - 홍수전
홍수전은 과거 시험에 낙방한 후 기독교적 사상을 받아들여 태평천국을 건국하고 천왕으로 즉위하여 토지 개혁과 사회 개혁을 시도했지만, 내부 갈등과 청나라의 공격으로 사망하며 태평천국을 멸망시킨 중국의 농민 반란 지도자이다. - 1814년 출생 - 새뮤얼 콜트
새뮤얼 콜트는 1836년 회전식 권총 특허를 획득하고 콜트 패터슨 리볼버를 개발하여 실용적인 리볼버 시대를 열었으며, 호환 부품을 사용한 대량 생산 방식과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총기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발명가이자 기업가이다. - 1888년 사망 - 루돌프 클라우지우스
루돌프 클라우지우스는 열역학 제2법칙을 명확히 하고 엔트로피 개념을 도입한 독일의 물리학자이자 수학자로, 열역학 기초 확립, 기체 운동론 기여,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참전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888년 사망 - 에드워드 리어
에드워드 리어는 19세기 영국의 화가이자 작가로, 넌센스 문학의 선구자이며, 앵무새 그림과 풍경화로 활동하며 『넌센스의 책』을 통해 익살시 형식을 대중화했다.
이유원 (181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이유원 정보 | |
이름 | 이유원 |
원래 이름 | 이裕元 |
출생일 | 1814년 8월 12일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남부(南部) 생민동(生民洞) |
거주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888년 9월 5일 |
형제 | 이유승(동복 아우) 이유길(이복 서제) |
별명 | 자 경춘(景春, 京春) 호 귤산(橘山), 묵농(默農) 시호 충헌(忠獻) |
학력 | 1846년(헌종 7년) 문과 급제 |
정당 | 소론 세력 |
직업 | 문관, 문필가 |
종교 | 유교(성리학) |
배우자 | 본부인 동래 정씨(東萊 鄭氏) |
자녀 | 이석영(李石榮), 이수영(李壽榮), 이호영(李虎榮), 이표영(李豹榮) |
군주 | 고종 이형 |
본관 | 경주(慶州) |
친인척 | 이석규(친조부) 박종신(외조부) |
부모 | 아버지 이계조(李啓朝) 어머니 반남 박씨 부인(潘南 朴氏 夫人) |
정치 경력 | |
임기 시작 | 1873년 11월 16일 |
임기 종료 | 1873년 12월 3일 |
국가 | 조선 |
직책 | 영의정 |
2. 생애
오성 이항복의 후손으로, 이태좌가 5대조이고 소론의 거두 이광좌는 5대 방조이며, 사도세자를 보호했던 좌의정 이종성은 그의 고조였다. 이조판서 이계조의 아들이다.
헌종 때(1846년) 문과에 급제하여 대교, 서장관, 집의를 거쳐 철종 때 의주부윤이 되고 이조참의를 거쳐 이조참의, 의주부윤, 전라도관찰사를 하고 성균관대사성에 이어 우승지가 되고 이조참판을 거쳐 다시 사헌부대사헌, 이조참판을 거쳐 이후 직제학, 이조참판, 사헌부대사헌을 거쳐 형조판서, 의정부우참찬, 한성부판윤을 하다 형조판서, 예조판서, 공조판서를 거쳐 황해도관찰사로 부임했다가 고종 때 함경도관찰사가 되고 곧 좌의정이 되고 수원부유수와 판중추부사로 있다가 서사관을 거쳐 도제조가 되고 곧 영의정이 된다. 영의정 시절에는 호조참판 최익현과 함께 흥선대원군 하야 방축 작전에 성공하였으며 그는 이후 영중추부사를 거쳐 봉조하가 된다.
박규수, 남병철, 김세균(金世均) 등과 교유하였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이유원은 이항복의 후손으로, 5대조는 이태좌이고 소론의 거두 이광좌는 5대 방조이며, 사도세자를 보호했던 좌의정 이종성은 그의 고조였다. 이조판서 이계조의 아들이다. 박규수, 남병철, 김세균(金世均) 등과 교유하였다.2. 2. 관료 생활
1837년(헌종 3년) 3월, 소과 진사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1841년(헌종 7년) 3월, 문과에 합격, 1842년(헌종 8년) 3월 규장각 대교가 되었다. 1844년(헌종 10년) 12월, 성균관 사성이 되고, 1846년(헌종 12년) 11월, 홍문관 교리가 되었다. 1847년(헌종 13년) 3월, 정3품 병조 참의가 되어 당상관에 올랐다. 1848년(헌종 14년) 9월, 의주 부윤을 거쳐 1850년(철종 1년) 7월, 이조 참의, 1852년(철종 3년) 2월, 승정원 좌승지를 거쳐 1854년(철종 5년) 11월, 승정원 도승지가 되었다. 1855년(철종 6년) 8월, 종2품 병조참판, 10월, 이조참판을 거쳐 1859년(철종 10년) 8월, 정2품 형조 판서가 되었다. 1864년(고종 1년) 6월, 정1품 의정부 좌의정이 되고, 1873년(고종 10년) 11월, 의정부 영의정이 되었다. 1888년(고종 25년) 9월, 사망하자 고종 임금이 친히 제문을 짓고 11월에 시호 충문(忠文)을 내렸다.2. 3. 정치 활동과 최익현과의 협력
2. 4. 교류
3. 경력
이유원 (1814년)은 1837년(헌종 3년) 3월, 소과 진사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1841년(헌종 7년) 3월, 문과에 합격하였고, 1842년(헌종 8년) 3월 규장각 대교, 1844년(헌종 10년) 12월 성균관 사성, 1846년(헌종 12년) 11월 홍문관 교리를 거쳐 1847년(헌종 13년) 3월, 정3품 병조 참의(당상관)가 되었다. 1848년(헌종 14년) 9월, 의주 부윤, 1850년(철종 1년) 7월, 이조 참의, 1852년(철종 3년) 2월, 승정원 좌승지, 1854년(철종 5년) 11월, 승정원 도승지를 지냈다. 1855년(철종 6년) 8월, 종2품 병조참판, 10월, 이조참판, 1859년(철종 10년) 8월, 정2품 형조 판서를 거쳐, 1864년(고종 1년) 6월, 정1품 의정부 좌의정이 되었다. 1873년(고종 10년) 11월, 의정부 영의정이 되었다. 1888년(고종 25년) 9월, 사망하자 고종 임금이 친히 제문을 짓고 11월에 시호 충문(忠文)을 내렸다.
4. 가족 관계
- 고조부 : 이종주(李宗周, 1691년 1월 30일 ~ 1710년 5월 24일)
- 고조모 : 해주(海州) 오씨(吳氏, 1690년 7월 24일 ~ 1743년 2월 14일), 판서 오명준(吳命峻, 1662년 ~ 1723년)의 딸
- 증조부 : 이경관(李敬寬, 1732년 1월 29일 ~ 1758년? 7월 25일), 양자. 군수 이종철(李宗喆, 1709년 ~ 1752년)의 아들
- 증조모 : 대구(大邱) 서씨(徐氏, 1731년 11월 2일 ~ 1789년 11월 21일), 목사 서종벽(徐宗璧, 1696년 ~ 1751년)의 딸
- 조부 : 이조판서 이석규(李錫奎, 1758년 11월 3일 ~ 1837년 3월 29일), 시호 효정(孝貞)
- 조모 : 양주(楊州) 조씨(趙氏, 1760 1월 4일 ~ 1805 7월 11일), 판관 조태현(趙台鉉)의 딸
- 조부 측실 : 김해(金海) 김씨(金氏, 1783년 1월 4일 ~ 1864년 4월 27일), 김백련(金百鍊)의 딸
- 서숙부 : 현감 이계홍(李啓弘), 서자
- 서숙모 : 첨지중추부사 한통유(韓通裕)의 딸
- 서종형제 : 검서관 이유길(李裕吉)
- 서종형수 : 진사 심노현(沈魯獻, 1802년 ~ ?)의 딸
- 서종형제 : 이유선(李裕先)
- 서종형수 : 학관(學官) 안영(安泳)의 딸
- 부 : 이조판서 이계조(李啓朝, 1792년 윤4월 29일 ~ 1855년 10월 16일), 시호 문정(文貞)
- 모 : 반남(潘南) 박씨(朴氏), 부사 박종신(朴宗臣, 1754년 ~ ?)의 딸
- 본인 : '''이유원'''(李裕元, 1814년 ~ 1888년 9월 5일)
- 부인 : 동래(東萊) 정씨(鄭氏), 공조판서 정헌용(鄭憲容, 1795년 ~ 1879년)의 딸
- 양아들 : 참판 이석영(李石榮, 1855년 ~ 1934년), 이유원의 12촌 동생인 우찬성 이유승(李裕承)의 둘째 아들
- 며느리 : 군수 정기철(鄭基轍)의 딸
- 며느리(계) : 박인진(朴麟鎭, 1846년 ~ 1895년)의 딸
- 친아들[1] : 참의 이수영(李壽榮, ? ~ 1880년)
- 첫째딸 : 경주 이씨
- 첫째사위 : 검열 조연빈(趙然斌, 1832년 ~ 1859년)
- 둘째딸 : 경주 이씨
- 둘째사위 : 참판 조정희(趙定熙)
- 측실
- 첫째서자 : 군수 이호영(李虎榮)
- 며느리 : 금위대장 이장렴(李章濂)의 딸
- 둘째서자 : 의관(議官) 이표영(李豹榮)
- 며느리 : 판윤 김세호(金世鎬)의 딸
- 며느리(계) : 별효사(別驍士) 이재오(李載五)의 딸
- 누이 : 경주 이씨
- 매부 : 동부승지 정헌조(鄭憲朝)
4. 1. 양자 이석영과 독립운동
이유원은 친아들이 1880년에 사망하자 1885년에 이석영을 양자로 삼았다.[2] 이석영은 이유승(李裕承, 1835년 10월 15일 ~ 1907년 3월 12일)의 둘째 아들인데, 이유승의 아들 일곱 명은 각각 이건영(李健榮, 1853년 ~ 1940년), 이석영, 이철영(李哲榮, 1863년 10월 16일 ~ 1925년), 이회영(李會榮, 1867년 ~ 1932년), 이시영(李始榮, 1869년 1월 15일 ~ 1953년 4월 17일), 이소영(李韶榮, 1875년 ~ 1905년), 이호영(李護榮, 1875년 ~ 1933년)이다.[2] 이유원의 양자인 이석영이 친형제였던 이회영, 이시영과 더불어 모든 재산을 처분하고 만주로 이주하여 독립운동에 매진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2] 이석영에게는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2]5. 저서
- 《임하필기(林下筆記)》
- 《가오고략(嘉梧藁略)》
참조
[1]
문서
공조판서동리정공묘지
[2]
문서
이석영 이복형제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