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중 공감 문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중 공감 문제(Double empathy problem)는 자폐인과 비자폐인 간의 상호 작용에서 발생하는 이해의 어려움을 설명하는 용어이다. 초기 자폐 연구에서는 자폐인의 사회성 부족을 마음 이론(ToM)의 결함으로 설명했지만, 21세기 초에는 자폐인과 비자폐인 사이의 신경학적 차이가 상호 이해를 어렵게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다미안 밀턴은 2012년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으며, 자폐인과 비자폐인 간의 상호 오해를 '두 개의 서로 다른 사회적 행위자 간의 상호성의 단절'로 정의했다. 최근 연구에서는 자폐인 간의 관계가 더 원활하고 공감적이라는 결과가 나타나며, 자폐인에 대한 비인간화와 차별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삼중 공감 문제, 사중 공감 문제와 같은 개념이 제기되며, 신경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폐성 장애 - 반향어
    반향어는 타인의 말이나 소리를 반복하는 현상으로, 직접 반향어와 지연 반향어로 나뉘며, 발달 장애 아동에게서 흔히 관찰되지만 다양한 신경학적 장애에서도 나타날 수 있고, 의사소통 기능 및 언어 학습 촉진의 긍정적 기능도 가진다.
  • 자폐성 장애 - 자폐 스펙트럼
    자폐 스펙트럼은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양상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 장애로,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증상 완화와 삶의 질 개선에 중점을 둔 치료가 이루어진다.
  • 심리학 이론 - 인지주의
    인지주의는 인간의 인지 과정을 정보 처리 모델로 설명하며 지식 획득, 기억, 문제 해결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의미있는 학습을 위한 능동적 참여와 메타인지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계산적 설명에 대한 비판과 철학적 한계 또한 존재하며, 상황인지, 분산 인지 등의 새로운 이론으로 다각적인 이해를 시도한다.
  • 심리학 이론 - 성별 불일치의 원인
    성별 불일치의 원인은 유전적, 호르몬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며, 뇌 구조의 차이, 블랜차드의 유형학 등이 관련 연구로 제시된다.
이중 공감 문제
이중 공감 문제
개요
설명이중 공감 문제는 자폐 스펙트럼에 속한 사람들과 비자폐인 간의 상호 이해 부족을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이다.
주요 내용이 이론은 자폐인이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전통적인 관점에 도전하며, 오히려 비자폐인 역시 자폐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강조한다.
핵심 주장자폐인과 비자폐인 간의 의사소통 단절은 **단방향적인 공감 능력 결핍이 아닌, 상호적인 이해 부족**에서 비롯된다.
자폐인은 다른 자폐인과 소통할 때 비자폐인과 소통할 때보다 더 큰 편안함과 유대감을 느낄 수 있다.
비자폐인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자신의 규범과 기대를 강요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자폐인의 관점을 간과하게 만든다.
이론적 배경
제안자데미안 밀턴
기원자폐인 커뮤니티의 경험과 연구에서 비롯됨
대안 이론마음 이론 (Theory of Mind)에 대한 비판적 대안으로 제시됨.
연구 결과
주요 연구자폐인과 비자폐인 간의 상호작용 연구에서, 양측 모두 서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남.
자폐인-자폐인 그룹 간의 정보 전달 효율성이 자폐인-비자폐인 그룹보다 높게 나타남.
신경형 일치(Neurotype-Matching)가 상호 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시사점
사회적 상호작용자폐인과 비자폐인 간의 오해와 갈등을 줄이기 위해 상호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교육 및 치료자폐인에 대한 교육 및 치료 접근 방식에 대한 재고를 촉구하며, 자폐인의 관점을 존중하고 반영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제시한다.
사회적 포용신경다양성(Neurodiversity) 관점에서 자폐인을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 포용하기 위한 노력을 강조한다.
비판 및 논쟁
연구 방법론이중 공감 문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연구 방법론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개념의 모호성"공감" 개념의 정의와 측정 방식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이는 이론의 명확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지나친 일반화자폐인 집단 내의 다양성을 간과하고 지나치게 일반화한다는 비판이 있다.
참고 문헌
주요 연구자캐서린 J. 크롬프턴
데미안 밀턴
노아 J. 사손
관련 자료The ASHA Leader에 게재된 이중 공감 문제
사이먼 배런-코헨의 '패턴을 찾는 사람들'에 대한 대화

2. 역사

초기 자폐 연구는 마음이론(ToM)과 공감 이론을 바탕으로 자폐의 주된 원인을 ToM의 부재로 보았다. 사이먼 바론코헨 교수는 1980~90년대 연구에서 자폐인의 상태를 mindblindness|마음맹영어이라고 칭했다.[199][200] 그의 이론은 2005년 《마음맹》으로 출간되었다.[201]

21세기 초, 학계에서는 ToM 기반 자폐 연구들이 자폐인과 신경전형인 간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자폐인의 사회성 부족 탓으로 오해하게 할 수 있다는 의문이 제기되었다. 대안으로 자폐인과 신경전형인 간 신경학적 차이가 서로를 이해하기 어렵게 한다는 가설이 제시되었다.[202][203]

'이중 공감 문제'라는 용어는 2012년 자폐 연구가 다미안 밀턴이 처음 사용했다.[202]

2. 1. 마음맹 이론의 발전과 확산

사이먼 배런코언 교수의 초기 연구들은 자폐인의 상태를 '마음맹(mindblindness|마인드블라인드니스영어)'이라 칭하며, 자폐의 주요 원인을 마음이론(ToM)의 부재로 지목했다.[199][200] 그의 이론은 2005년 《마음맹》이라는 저서로 출간되었다.[201]

초기 자폐 연구들은 자폐를 '마음이론' 결함으로 규정하고, 자폐인의 사회성 부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 배런코언은 자폐인이 눈 맞춤을 피하는 경향을 설명하기 위해 "마음이론 결함"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29][30][31] 그는 자폐증을 마음이론의 결함이나 유아기의 마음이론 발달 지연으로 인한 현상으로 설명했다.[32] 일부는 자폐인에게 나타나는 사회적 손상을 "타인에 대한 배려 부족으로 인한 극단적인 형태의 자기중심주의"로 묘사하기도 했다.[33]

마음이론 결함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능력, 지식, 믿음, 욕구, 감정, 의도와 같은 정신 상태를 자신과 다른 사람에게 귀속시키는 능력의 부족을 의미한다.[34][35]

그러나 21세기 초, 이러한 자폐 관련 실험들이 자폐인과 신경전형인(자폐인이 아닌 사람) 사이의 상호작용 어려움을 자폐인의 내재적 사회성 부재 탓으로 오독하게 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대안으로 자폐인과 신경전형인 사이의 신경학적 차이가 서로의 이해를 어렵게 한다는 가설이 제시되었다.[202][203]

2. 2. 초기 마음이론 연구의 문제점

마음-눈멂 가설은 발표 직후부터 의문이 제기되었을 뿐만 아니라,[14] 자폐인과 비자폐인 참가자 간에 허위-믿음 과제를 포함한 마음 이론에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내지 못한 복제 연구[54][55][56]와 신경생물학적 수준에서 자폐인의 뇌에 나타나는 높은 이질성에 대한 증거가 증가하면서[57][58][59] 수년 동안 과학계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20][53]

일부 연구자들은 기존의 마음 이론 척도가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새로운 마음 이론 척도를 개발했다.[20] 프리드–해피 애니메이션 테스트,[60] 배런-코언의 "눈으로 마음 읽기" 과제,[61][62] 그리고 자기 보고 공감 설문지와 같은 일부 척도에서 마음 이론과 공감의 차이를 보여주는 성공적인 복제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척도들은 모호하고 부정확하며, 사회적 상호 작용 상황, 참조 집단, 그리고 자폐인의 현저히 낮은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다.[63] 또한, 여러 독립적인 연구팀이 샐리-앤 테스트와 같은 그림 시퀀싱 과제와 허위-믿음 과제로 널리 인용되고 가르쳐진 결과를 반복적으로 재현하는 데 실패했다.[20] 이러한 서로 엇갈리고 일관성이 없는 결과는 자폐증의 마음-눈멂 이론의 일반화 가능성과 타당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20][64]

더욱이, 마음 이론에 기반한 자폐 중재 연구는 효과가 거의 없었으며,[65][66] 마음 이론 실험은 자폐인이 비자폐인과 다른 감각적 경험을 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감각적 경험은 자폐인마다 다르다.[67] 학자들은 또한 많은 자폐 아동과 성인이 일부 마음 이론 과제를 통과하지만, 다양한 과제와 자폐인 간에 수행 능력이 상당히 다르다는 점에 주목했다. 따라서 배런-코언이 이전에 마음-눈멂이 자폐증의 보편적인 특징이라고 반복적으로 주장했던 것은[68][69][70] 1990년대 이후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의문을 제기받았다.[13][71][72][73][74][75] 배런-코언은 자신의 이해를 수정했지만, 그의 강력하고 대규모 표본 연구는 자폐인 사이의 공감과 마음 이론에 상당한 이질성이 있음을 발견했다. 평균적으로 자폐인에게서 마음 이론과 공감 과제 수행 능력이나 점수가 낮게 나타났지만, 일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마음 이론과 공감 척도에서 "손상되지 않은" 또는 심지어 평균 이상의 수행 능력을 보이는 자폐인이 상당한 비율(약 40~60%)을 차지했다.[76][77][78] 다른 연구팀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일관되게 나타났다.[79][80][81]

또한 많은 전문가와 마찬가지로 부모가 상호성의 상호적이고 대칭적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간과하는 것으로 보인다.[92] 예를 들어, 존 콘스탄티노의 사회 반응성 척도[82]는 2002년에 개발된 아동의 사회적 상호 작용에 대한 정량적 척도로, 이후 자폐 연구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는데,[83][84][85][86][87] 아동에게 "다른 아이들이 이상하거나 괴상하다고 생각하나요?"라고 묻는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보는 사람의 사회적 또는 정서적 상호 작용의 부족을 나타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대신 대상 아동의 사회적 또는 정서적 상호 작용의 부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92] 설문지의 다른 여러 항목, 예를 들어 아동이 "신체 활동에 잘 협응하지 못한다"와 같은 항목은 상호 작용과 전혀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92][82]

2. 3. 마음맹 이론에 대한 대안 이론

2010년대 초반, 학계에서는 기존의 마음이론(ToM) 기반 자폐 연구들이 자폐인과 비자폐인(신경전형인) 간의 상호작용 어려움을 자폐인 개인의 사회성 부족 탓으로 오해하게 만들 수 있다는 문제 제기가 있었다.[202][203] 이러한 비판 속에서, 자폐인과 신경전형인 사이의 신경학적 차이가 서로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대안 가설이 제시되었다.[2][88][89]

이러한 맥락에서, 2012년 자폐 연구가 다미안 밀턴은 '이중 공감 문제'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며, 마음맹 이론에 대한 반대 이론을 제시했다.[202] 이중 공감 문제 이론은 자폐인과 비자폐인, 두 집단 간의 경험과 사회적 인지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상호 오해 현상을 설명한다.[2] 밀턴은 이중 공감 문제를 "두 개의 서로 다른 사회적 행위자 간의 상호성의 단절"로 정의하며, 생활 세계에 대한 기질적 인식의 차이가 클수록 이러한 단절이 더욱 두드러진다고 보았다. 이러한 인식 차이는 비자폐인에게는 사회적 현실을 구성하는 '자연적 태도'의 위반으로 인식되는 반면, 자폐인에게는 일상적이고 고통스러운 경험이 된다.[2]

3. 이중 공감과 양방향 의사소통 연구

최근 연구들은 자폐인과 비자폐인 간의 상호작용에서 자폐인들이 같은 자폐인과 있을 때 더 나은 관계를 맺고 의사소통이 원활하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자폐인들은 비자폐인보다 서로를 더 잘 이해하고 상대의 의도를 정확하게 추측하며, 이는 자폐인의 친족에게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204]

비자폐인이 자폐인을 이해하는 것은 자폐인이 비자폐인을 이해하는 것만큼 어렵다.[202] 하지만 자폐인들은 비자폐인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비자폐인을 이해해야 하므로, 비자폐인이 자폐인을 이해하는 것보다 자폐인이 비자폐인을 이해하는 정도가 더 높다.[202] 많은 자폐인들은 청소년기에 왕따나 괴롭힘을 피하고자 비자폐인을 이해하는 법을 배운다.[205]

자폐인의 마음이론은 논리와 규칙 기반으로 구성되어 비자폐인과 다르다.[206] 자폐인이 선천적으로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이 부족하다면 자폐인 간 의사소통에도 문제가 있어야 하지만, 연구 결과는 그렇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는 자폐인의 사회적 능력이 낮게 평가된 원인이 신경전형인 중심 사회에서 다른 자폐인을 만나기 어렵기 때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2018년 연구는 자폐인들이 무생물을 의인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결과를 제시했다.[207] 이는 자폐인들의 공감 방식이 비자폐인보다 복잡하고 포괄적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3. 1. 대인 관계, 공감, 의사소통 효율성

자폐인들은 같은 자폐인들과 더 원활한 관계를 형성하고, 의사소통 효율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자폐인들은 자폐인-신경전형인(비자폐인) 관계보다 자폐인-자폐인 관계에서 더 친밀함을 느끼며, 서로를 더 잘 이해하고 상대방의 생각과 의도를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자폐인의 친족들에게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204]

자폐인이 비자폐인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처럼, 비자폐인 역시 자폐인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202] 하지만, 자폐인들은 비자폐인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비자폐인을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크기 때문에, 비자폐인이 자폐인을 이해하는 것보다 자폐인이 비자폐인을 이해하는 정도가 더 높다.[202] 많은 자폐인들은 청소년기에 왕따나 괴롭힘을 피하는 과정에서 비자폐인을 이해하는 방법을 습득하기도 한다.[205]

자폐인의 마음이론(ToM) 기관은 보통 논리와 규칙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어, 비자폐인과 차이를 보인다.[206] 만약 자폐인이 선천적으로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이 부족하다면, 자폐인 간의 의사소통에서도 어려움이 발생해야 한다. 하지만 연구 결과는 자폐인들이 서로 더 잘 소통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자폐인의 사회적 능력이 낮게 평가된 이유가 신경전형인 중심의 사회에서 다른 자폐인을 만나고 교류하기 어렵기 때문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2018년 연구에서는 자폐인들이 무생물을 의인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207] 이는 자폐인들의 공감 방식이 비자폐인보다 복잡하고 포괄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비자폐인들은 자폐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자폐인에 대한 감정적 공감 능력이 떨어진다는 주장이 있으며, 이는 자폐인들이 비자폐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과 마찬가지이다.[2][95][143][110] 비자폐인들은 자폐적 차이에 대한 고정관념이나 편견을 가지고 있어 자폐인의 의사소통, 감정, 의도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이러한 "이중 공감 문제"를 심화시킨다.[95][158]

2010년대와 2020년대의 연구들은 자폐인-자폐인 쌍을 대상으로 관계, 공감, 의사소통 효율성을 실험했다. 그 결과, 자폐인들은 다른 자폐인과 함께할 때 더 나은 공감, 관계, 의사소통 효율성을 보였으며,[4][7][97][143] 자폐인 간의 관계가 자폐인-비자폐인 관계보다 더 강할 수 있고,[9][94][101] 서로의 사고동기를 더 잘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9][111] 자폐인과 가까운 친척의 경우에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112]

사회적 상호성은 의사소통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1980년대와 1990년대의 연구에 따르면, 자폐 아동에게 상호적으로 행동하도록 가르치면 비자폐 아동이 자폐 아동에게 더 상호작용을 할 가능성이 높아져 자폐 아동의 반응성을 향상시킨다.[113][114] 비자폐 아동은 모방을 통해 상호성을 보일 수 있으며, 이는 모든 아동의 사회적 반응성을 높인다. 자폐 아동이 사물 조작을 하는 것을 다른 사람이 모방하면, 자폐 아동은 그 사람과 더 길고 자주 눈을 맞춘다.[115][116] 어머니가 자폐 아동의 장난감 조작을 모방하면, 아동은 어머니를 더 오래, 자주 쳐다볼 뿐만 아니라 장난감으로 더 탐구적이고 창의적인 행동을 하고, 더 긍정적인 정동을 보인다.[117]

반면, 1992년 연구에서는 비자폐 미취학 아동을 "또래 튜터"로 칭하고 자폐 아동에게 장난감 이름을 요구하도록 가르쳤다. 또래 튜터는 자폐 아동이 장난감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고, 이름을 묻고, 말하면 장난감을 주고, 정답을 칭찬하도록 지시받았다.[118] 훈련 후에도 자폐 아동들은 또래 튜터와의 상호작용을 유지하지 못했는데, 이는 상호작용이 상호적이지 않고 대칭적이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92][118] 자폐 아동과 비자폐 또래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상호적이지 않고 대칭적이지 않으면 이중 공감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전문가, 동료, 부모가 상호성의 상호적인 본질을 무시함으로써 악화될 수 있다.[92]

3. 2. 사회적 상호성의 중요성

사회적 상호성은 의사소통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1980년대와 1990년대의 연구에 따르면, 전문가, 동료 및 부모가 자폐 아동에게 상호적으로 행동하도록 가르치면 비자폐 아동이 자폐 아동에게 더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결국 자폐 아동 또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다.[113][114] 비자폐 아동은 모방을 통해 상호성을 보일 수 있는데, 이는 자폐 아동을 포함한 모든 아동의 사회적 반응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무작위적인 사람이 자폐 아동의 사물 조작을 모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복제된 물체를 조작하면, 자폐 아동은 그 사람과 더 길고 빈번하게 눈을 맞춘다.[115][116] 마찬가지로, 어머니가 자폐 아동의 장난감 조작을 모방하면 아동은 어머니를 더 오래, 더 자주 쳐다볼 뿐만 아니라 장난감으로 더 탐구적이고 창의적인 행동을 하며, 훨씬 더 긍정적인 정동을 보인다.[117]

반면, 1992년의 한 상호작용 연구에서는 비자폐 미취학 아동을 "또래 튜터"로 칭하고, 자폐 대상 아동에게서 원하는 장난감의 이름을 말하도록 가르쳤다. 또래 튜터에게는 "대상 아동이 장난감을 요청할 때까지 기다리고", "대상 아동에게 장난감의 명칭을 묻고", "대상 아동이 명칭을 말하면 장난감을 주고", "정답을 칭찬하라"고 지시했다.[118] 훈련이 끝난 후에도 자폐 아동 중 누구도 또래 튜터와의 상호작용을 유지하지 못했는데, 이는 아마도 그들의 상호작용이 상호적이지도 대칭적이지도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92][118] 이처럼 자폐 아동과 비자폐 또래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상호적이지도 대칭적이지도 않으면 이중 공감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전문가, 동료 및 부모가 상호성의 본질을 간과함으로써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92]

3. 3. 자폐인의 왕따, 괴롭힘과 신경전형인 따라하기

자폐인들은 비자폐인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신경전형인(비자폐인)을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202] 특히, 많은 자폐인들은 청소년기에 겪는 왕따나 괴롭힘을 피하기 위해 신경전형인의 행동을 따라하는 '가면'을 사용하게 된다.[205] 이는 대처 전략의 일환으로, 괴롭힘과 따돌림을 피하기 위해 어린 나이에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121][122][123] 자폐 아동과 성인에게서 높은 수준의 또래 괴롭힘이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128][129]

일부 연구자들은 자폐인이 신경전형인으로 인식되기 위해 자폐적 행동을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억누르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보상하는 '가면'을 사용하기 때문에, 오히려 비자폐인보다 비자폐인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2][119][120]

~~이는 더불어민주당이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학교폭력은 피해 학생에게 심각한 정신적, 신체적 피해를 입힐 뿐만 아니라, 사회 적응에도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 > 삭제 (주어진 source에 없는 내용)

3. 4. 의인화와 동물에 대한 이해

2018년 연구에 따르면 자폐인들은 사물 의인화를 더 잘하는 경향이 있다.[134] 이는 자폐적 공감이, 자폐인이 공감 능력이 부족하다는 통념과는 달리, 더 복잡하고 포괄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207] 비자폐인은 2001년 배런-코언이 설계한 눈으로 마음 읽기 테스트에서 자폐인보다 더 나은 성과를 보였지만,[61] 2022년 연구에서는 자폐인이 해당 테스트의 만화 버전에서 비자폐인보다 더 나은 성과를 보였다.[135] 이는 자폐 인구 집단에서 결손이 아닌 사회 인지적 차이를 뒷받침한다.

일부 자폐인은 동물에 대한 이해, 공감, 민감성이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133][136][137][138] 이는 다시 한번 자폐인에게서 사회 인지적 차이를 시사하지만, 전반적인 결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4. 자폐인들의 관점과 비인간화 연구

많은 자폐인 활동가들과 자폐증 연구자들이 이중 공감 문제 개념을 지지한다. 이들은 마음 이론과 자폐증에서의 공감에 관한 일부 과거 연구, 특히 1980년대부터 2011년까지 배런-코언의 보편적 핵심 결함 버전이 자폐인에게 낙인을 찍고,[11][53][142] 자폐인과 비자폐인 간의 오해에 대한 책임을 자폐인에게만 돌리며,[143] 자폐인을 비공감적인 존재로 묘사하여 비인간화하는 데 기여했다고 주장한다.[131]

다미안 밀턴은 자폐적 마음 이론은 인지 자원의 방출을 촉진하며, 일반적으로 규칙과 논리를 사용하고 사고의 차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139][140] 만약 자폐인이 본질적으로 마음 이론과 사회적 의사소통에 서툴다면, 두 명의 자폐인 간의 상호 작용은 자폐인과 비자폐인 간의 상호 작용보다 논리적으로 더 어려워야 한다.[4][9]

연구에 따르면 자폐인은 비자폐인에 의해 비인간화될 가능성이 더 높다.[131][147] 자기민족지를 포함한 자폐증 연구에 대한 직접적인 설명,[130] 블로그,[148][149] 논평,[150]사설[44][151] 들은 자폐증 연구가 종종 자폐인을 비인간적으로 묘사한다고 지적한다. 또한, 자폐인은 형태학적, 생리학적 및 행동 수준에서 "덜 길들여졌다"고 하며, 비인간 동물과 동등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123] 자폐증은 유행병으로 묘사되었으며,[152] 일부 경우에는 공감 부족이 자폐증을 테러리즘과 연결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63] 자폐인은 또한 경제적 부담으로 여겨지며, 우생학의 자폐증 사용을 지지하는 광범위한 논쟁이 발표되었으며, 경제적으로 생산적이고 다른 사람들을 불편하게 하지 않을 만큼 규범적인 사람들에게만 예외가 적용된다.[123]

이러한 비인간화의 결과로, 자폐인이 사회적 환경에서 느끼는 이해 부족과 그로 인한 낙인과 소외는 정신 건강, 고용, 교육 및 서비스 접근성, 그리고 형사 사법 제도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21][153][154][155][156] 자폐인은 조기 사망률이 증가하며,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는 자살인데,[157] 이는 이러한 낙인과 소외로 인해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130] 많은 자폐인은 비자폐인 중심적인 사회가 자폐증에 대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에 갇혀 있다고 느끼며,[158] 그러한 고정관념의 결과로 자신의 행동을 바꾸었다(즉, 가면을 썼다)고 보고했다.[123] 마음 이론의 부족이 자폐인의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를 손상시킨다고 믿어지기 때문에, 자폐인이 마음 이론이 부족하다는 주장은 그들의 자율성을 부정하고, 자기 결정을 폄하하며, 그들의 신뢰성을 훼손하는 것으로 간주된다.[159]

4. 1. 자폐인 차별 문제

많은 자폐 활동가들은 이중 공감 문제 관점을 지지하며, 과거의 마음이론(ToM) 연구들이 자폐인에게 부정적인 낙인을 찍는 데 기여했다고 비판한다.[208] 이들은 자폐인과 신경전형인(자폐인이 아닌 사람) 사이의 상호 이해 부족을 자폐인만의 문제로 돌리고, 자폐인을 공감 능력 없는 비인간적인 존재로 묘사했다고 지적한다.[209]

다미안 밀턴은 기존의 마음이론을 백신 자폐 유발설만큼이나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비판했다.[210]

과거의 마음이론 연구들은 자폐인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주장하며, 이를 자폐증의 주요 증상 중 하나로 보았다. 특히 사이먼 배런-코언은 자폐인이 눈 맞춤을 피하는 이유를 '마음이론 결함'으로 설명했다.[29][30][31] 이러한 관점은 자폐인을 타인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극단적인 자기중심주의자로 묘사하기도 했다.[33]

이러한 주장은 심리학 교과서와 학술 논문에 널리 퍼져 자폐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강화했다.[36][37][38][39][40][41][42]

그러나 많은 자폐인 활동가들과 연구자들은 이러한 과거 연구들이 자폐인을 비인간화하고 차별하는 데 기여했다고 비판한다.[11][53][142] 이들은 자폐인에 대한 연구에 자폐인 당사자들의 참여를 옹호하며, "우리 없는 우리에 대한 것은 없다"라는 슬로건을 내세운다.[141][144][145]

연구에 따르면 자폐인은 실제로 비자폐인에 의해 비인간적으로 취급될 가능성이 더 높다.[131][147] 자폐인들은 자신의 경험을 담은 자기민족지,[130] 블로그,[148][149] 논평,[150] 사설[44][151] 등을 통해 자폐증 연구가 자폐인을 비인간적으로 묘사한다고 비판해왔다.

이러한 비인간화는 자폐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소외로 이어져 정신 건강, 고용, 교육, 사회 서비스 접근성, 그리고 형사 사법 제도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21][153][154][155][156] 또한, 자폐인의 자살률 증가는 이러한 차별과 소외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157]

4. 2. 자폐인 포용 슬로건

많은 자폐인 활동가들은 자폐증 연구에 자폐인의 포함을 옹호하며, "우리 없는 우리에 대한 것은 없다"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있다.[141][144][145] 이는 자폐인들이 자폐증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5. 한계와 향후 방향

이중 공감 문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며, 지적 장애나 언어 장애를 가진 자폐인, 비서구 문화권의 자폐인 등 자폐인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4][160]

밀턴(Milton)은 이중 공감 문제 연구에 큰 격차가 있음에 동의하며,[22] 자폐인의 역량 강화, 세계관 존중, 비자폐인 대상 교육, 신경다양성 이해를 통해 이중 공감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1][22][95][170][171][172] 또한, 자폐증을 결핍으로만 보는 자폐증의 의학적 모델은 에이블리즘, 편견, 낙인을 유발하여 이중 공감 격차를 심화시킨다고 비판한다.[174][131][175][176]

5. 1. 추가 연구의 필요성

이중 공감에 대한 문헌은 아직 비교적 초기 단계이며, 이중 공감과 양방향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은 어린 자폐 아동, 지적 장애, 언어 장애 및/또는 높은 지원 요구가 있는 자폐인에게 매우 불확실하며, 혼란스러울 수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4][160] 또 다른 한계는 이중 공감과 양방향 사회적 상호 작용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서구 표본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비서구 표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치가 있을 것이다.

밀턴(Milton)은 현재 이 연구 분야에 큰 격차가 남아 있다는 데 동의한다.[22] 지금까지 이중 공감, 양방향 소통 및 사회화에 대한 대다수의 연구는 비언어적이거나 지적 장애가 있는 자폐 아동과 자폐인을 포함하지 않았다.[1][4] 자폐증과 지적 장애 사이에는 높은 수준의 병존 질환이 존재한다. 자폐인의 약 30%가 지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반면,[161][162][163][164] 전 세계 인구의 약 1~3% 또는 그 이하가 지적 장애를 가지고 있다.[165][166] 또한, 자폐 아동의 약 20~30%는 비언어적이거나 최소한의 언어 구사 능력을 보인다.[167] Glass & Yuill (2023)[102]는 특정 조건에서 비자폐인 집단에 비해 자폐인 집단 간에 유사하거나 더 높은 수준의 사회적 동기화가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 연구에는 비언어적이거나 최소한의 언어 구사 능력을 가진 자폐 아동과 자폐인이 포함되었다.

더욱이, 이중 공감 및 양방향 소통 연구는 자폐증의 광범위한 차이와 자폐인이 서로 소통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방해할 수 있는 마스킹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자폐인과 비자폐인 집단 내 및 집단 간의 소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러한 차이점을 인정하면서, Gillespie-Smith et al. (2024)[168]는 이중 공감 문제를 이해와 오해의 양극 사이에 위치한 신경 소통 학습의 연속체라는 맥락에서 이중 공감을 보는 "이해 스펙트럼"으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해 스펙트럼은 개인이 직접적인 상호 작용을 통해 서로에 대해 더 많이 배우면서 관계가 깊어지고, 서로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며, 서로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자폐인의 형제자매, 자폐 아동이 있는 학교의 비자폐 학생, 늦게 진단된 자폐 성인, 자폐 아동의 부모 및 자폐 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한 다양한 집단에서 이중 공감에 대한 개념적 반복 및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160][169]

공감과 상호주의가 "쌍방향"임을 강조하면서,[2][92] 밀턴(Milton)과 다른 많은 연구자들은 추가적인 자폐증 연구가 자폐인의 역량 강화, 그들의 세계관에 대한 이해와 존중 구축, 비자폐인에게 자폐인이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교육하고, 신경다양성에 대한 더 지속적인 이해를 향해 나아감으로써 이중 공감 격차를 해소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제안한다.[21][22][95][170][171][172] 또한 자폐증의 의학적 모델 - 자폐증을 장애와 결핍으로 간주하는 전통적이고 지배적인 자폐증 모델[173] - 은 접근 방식이 너무 편협하고, 개인주의적이며, 결핍 기반적이기 때문에 문제가 있으며,[174] 그 메시지가 자폐인에 대한 에이블리즘, 편견 및 낙인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174][131][175][176] 이러한 이중 공감 격차를 더욱 확대한다.

5. 2. 자폐 스펙트럼의 다양성

2010년대 초반, 학자들은 자폐인이 신경전형인을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것을 사회적 결함으로 오해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는 자폐인과 신경전형인 간의 경험과 사회적 인지 차이 때문일 수 있다.[2][88][89] 데이미언 밀턴(Damian Milton)은 이러한 상호 오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2012년 '이중 공감 문제' 이론을 제시했다.[2]

자폐증이 사회적 상호 작용 부족으로 특징지어진다는 주장은 학계에서 진부한 표현이 되었다. 예를 들어, 2004년 한 연구에서는 자폐증 감수성 유전자를 조사하면서 "손상된 상호 사회적 상호 작용은 자폐증의 핵심 특징 중 하나이다"라고 언급했다.[92][90] 그러나 이중 공감 이론과 관련된 연구들은 자폐인에 대한 일반적인 가정을 반박하고 있다.[20][92][91]

밀턴은 이전에도 존재했던 이중 공감 개념에 이름을 붙이고 내용을 확장했다.[44][92][2][21][22][93] 2015년 이후, 비판적 자폐 연구 및 신경다양성 패러다임 관련 연구가 증가하면서 이중 공감 문제 이론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4][5][6][7][8][9][10][94][95][96][97][98][99][100][143][101][102]

이 이론은 캐서린 크롬프턴(Catherine Crompton),[4][9][94][98] 모튼 앤 건스배처(Morton Ann Gernsbacher),[20] 배런-코헨(Baron-Cohen),[25][26][27] 엘리자베스 펠리카노(Elizabeth Pellicano),[103][104][174] 수 플레처-왓슨(Sue Fletcher-Watson) 등 다양한 자폐 연구자들에게 지지받고 있다.[4][9][63][94][98] 또한 심리학, 사회학,[105] 철학,[106] 신경과학,[107] 언어학,[99] 영화 연구,[108] 디자인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109]

이중 공감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며, 지적 장애나 언어 장애가 있는 자폐인 등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은 불확실하다.[4][160] 또한, 대부분의 연구가 서구 표본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비서구 표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밀턴은 이 연구 분야에 큰 격차가 남아 있다는 데 동의한다.[22] 지금까지 대다수의 연구는 비언어적이거나 지적 장애가 있는 자폐인을 포함하지 않았다.[1][4] 자폐인의 약 30%가 지적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161][162][163][164] 전 세계 인구의 약 1~3% 이하가 지적 장애를 가지고 있다.[165][166] 또한, 자폐 아동의 약 20~30%는 비언어적이거나 최소한의 언어 구사 능력을 보인다.[167] Glass & Yuill (2023)은 특정 조건에서 자폐인 집단 간에 더 높은 수준의 사회적 동기화가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 연구에는 비언어적이거나 최소한의 언어 구사 능력을 가진 자폐인이 포함되었다.[102]

Gillespie-Smith et al. (2024)는 자폐 스펙트럼의 광범위한 차이와 '가면'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이중 공감 문제를 '이해 스펙트럼'으로 재구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168] '이해 스펙트럼'은 개인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서로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이 향상됨을 보여준다.

자폐인의 형제자매, 자폐 아동이 있는 학교의 비자폐 학생, 늦게 진단된 자폐 성인, 자폐 아동의 부모 및 자폐 서비스 제공자 등 다양한 집단에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160][169]

밀턴과 여러 연구자들은 자폐인 역량 강화, 자폐인의 세계관 존중, 비자폐인에게 자폐인이 된다는 것의 의미 교육, 신경다양성 이해를 통해 이중 공감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고 제안한다.[21][22][95][170][171][172] 또한 자폐증의 의학적 모델은 너무 편협하고 결핍 기반적이기 때문에 문제가 있으며,[174] 자폐인에 대한 편견과 낙인을 강화하여 이중 공감 격차를 확대한다.[174][131][175][176]

5. 3. 신경 다양성 존중 사회

공감과 상호주의는 "쌍방향"이라는 점을 강조하며,[2][92] 밀턴(Milton)을 비롯한 여러 연구자들은 자폐인 역량 강화, 자폐인의 세계관에 대한 이해와 존중, 비자폐인에게 자폐인이 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교육, 신경다양성에 대한 더 지속적인 이해를 통해 이중 공감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고 제안한다.[21][22][95][170][171][172] 또한 자폐증의 의학적 모델은 접근 방식이 너무 편협하고, 개인주의적이며, 결핍 기반적이기 때문에 문제가 있으며,[174] 그 메시지가 자폐인에 대한 에이블리즘, 편견 및 낙인에 기여하여[174][131][175][176] 이중 공감 격차를 더욱 확대시킨다.

6. 삼중, 사중 공감 문제

Shaw et al. (2023)은 의료 접근 장벽이 자폐인의 건강 결과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식을 설명하는 모델을 구축했다. 이 연구는 의료 관련 논의에서 자폐인의 목소리를 증폭시킬 필요성을 강조하고, 의료 환경 내에서 이중 공감 문제의 관련성을 강조하며 "삼중 공감 문제" 개념을 제안한다.[179]

Josefson (2024)은 이 확장된 프레임워크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181]


  • 신경전형인(일반적인 사람)이 신경다양성을 가진 사람들의 요구에 공감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것.
  • 신경다양성을 가진 사람들이 신경전형인의 요구에 공감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것.
  • 도시 계획가 및 기타 디자이너가 제품, 서비스, 기술, 장소, 시스템 또는 프로세스 등 모든 지역 사회 구성원의 요구를 공정하게 조화시키는 솔루션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


삼중 공감은 모든 사람이 신경 유형에 관계없이 접근 가능하고 유익한 환경과 서비스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 및 원칙과 관련이 있다.[181] 신경 포용적 디자인을 장려하는 것은 모든 개인의 다양한 관점과 경험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포용한다.[181]

폐경기를 겪는 것은 자폐인에게 특히 어려울 수 있으며,[182][183] 기존의 의사소통 장벽과 의료 환경에서의 오해 경험을 악화시킨다. Brady et al.(2024)의 연구[184]에 참여한 사람들은 사춘기초경 동안 겪었던 이전의 경험과 유사한 심각한 의사소통 문제를 묘사했는데, 이 시기에도 신경다양성적 관점 때문에 자신의 필요와 경험을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Brady et al.(2024)[184]는 자폐인이 자신의 필요를 전달하는 데 직면하는 어려움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의료 여성 혐오의 영향을 강조하기 위해 "사중 공감 문제"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이는 적절한 수준의 지원과 이해가 부족한 의료 환경을 탐색하게 되어 절망감과 자기 옹호의 필요성을 느끼게 될 수 있는 신경다양성 여성들의 경험을 무시하거나 폄하하는 의료 시스템의 편견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기 옹호는 의료진에게 사립 의료 서비스를 찾거나 자신의 독특한 경험에 대해 교육하는 것과 같은 행위를 포함한다. 이 연구는 의료 전문가가 자폐인의 독특한 의사소통 방식을 존중하고 폐경과 관련된 오해받기 쉬운 증상을 인정하는 환자 중심 치료를 기반으로 한 자폐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접근 방식을 채택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184]

참조

[1] 논문 Double Empathy: Why Autistic People Are Often Misunderstood 2021-05-11
[2] 논문 On the ontological status of autism: the 'double empathy problem' http://kar.kent.ac.u[...] 2012-10
[3] 논문 Conform or be ostracised: restricted and repetitive behaviours in non-autistic persons https://www.tandfonl[...] 2024-01-05
[4] 논문 Autistic peer-to-peer information transfer is highly effective
[5] 논문 Mindreading beliefs in same- and cross-neurotype interactions 2023-11-18
[6] 논문 Autism and Employment Challenges: The Double Empathy Problem and Perceptions of an Autistic Employee in the Workplace https://www.liebertp[...] 2023-08-17
[7] 논문 Autistic empathy toward autistic others https://doi.org/10.1[...]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0-20
[8] 논문 Do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elp Other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 Investigation of Empathy and Helping Motivation in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2019-06-04
[9] 논문 Neurotype-Matching, but Not Being Autistic, Influences Self and Observer Ratings of Interpersonal Rapport
[10] 논문 Peer pre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same-group and cross-group social interactions among autistic and non-autistic adolescents
[11] 논문 Revealing the Double Empathy Problem 2020-03-01
[12] 논문 'A certain magic' – autistic adults' experiences of interacting with other autistic people and its relation to Quality of Life: A systematic review and thematic meta-synthesis https://journals.sag[...] 2024-06-03
[13] 논문 Putting theory of mind in its place: psychological explanations of the socio-emotional-communicative impairments in autistic spectrum disorder http://journals.sage[...] 2012
[14] 논문 The Roots of Mindblindness http://journals.sage[...] 2004-10-01
[15] 논문 Editorial: Break the stigma: autism 2024-12-04
[16] 논문 Editorial: Addressing community priorities in autism research 2022-09-27
[17] 논문 A dual design thinking – universal design approach to catalyze neurodiversity advocacy through collaboration among high-schoolers 2024-01-10
[18] 논문 A qualitative investigation into autistic adults' perspectives on intervention goals for autistic children https://journals.sag[...] 2024-08-08
[19] 논문 "Just Ask What Support We Need": Autistic Adults' Feedback on Social Skills Training https://www.liebertp[...] 2024-03-22
[20] 논문 Empirical Failures of the Claim That Autistic People Lack a Theory of Mind 2019
[21] 웹사이트 The double empathy problem https://www.autism.o[...] 2018-03-02
[22] 논문 The 'double empathy problem': Ten years on http://journals.sage[...] 2022-10
[23] 논문 'People like me don't get support': Autistic adults' experiences of support and treatment for mental health difficulties, self-injury and suicidality https://journals.sag[...] 2018-11-29
[24] 논문 A pilot study of autistic and non-autistic adults' systemizing in a learning task using observational measures of attention, misunderstanding, and reasoning https://www.reposito[...] 2022-11-30
[25] 논문 Risk markers for suicidality in autistic adults 2018-07-31
[26] 논문 Evidence of partner similarity for autistic traits, systemizing, and theory of mind via facial expressions https://doi.org/10.1[...] 2022-05-19
[27] 웹사이트 A Conversation About 'The Pattern Seekers' by Simon Baron-Cohen https://thinkingauti[...] 2020-12-19
[28] Youtube Autism and the Two Kinds of Empathy https://www.youtube.[...] 2023-06-21
[29] 논문 Does the autistic child have a "theory of mind" ? https://dx.doi.org/1[...] 1985-10-01
[30] 논문 Social and pragmatic deficits in autism: Cognitive or affective? https://www.research[...] 1988-10-01
[31] 논문 Are children with autism blind to the mentalistic significance of the eyes? https://onlinelibrar[...] 1995-11
[32] 논문 Autism: A Specific Cognitive Disorder of 'Mind-Blindness' https://doi.org/10.3[...] 1990-01-01
[33] 논문 Emanuel Miller lecture: Confusions and controversies about Asperger syndrome 2004
[34] 논문 Functional imaging of 'theory of mind' https://www.cell.com[...] 2003-02-01
[35] 서적 Mindblindness http://link.springer[...] Springer US 2011
[36] 서적 Fundamentals of cognitive psychology https://www.worldcat[...] SAGE Publications 2007
[37] 서적 Educating exceptional children https://www.worldcat[...] Houghton Mifflin 2008
[38] 서적 Myers' psychology for AP https://www.worldcat[...] Worth Publishers 2010
[39] 서적 Exploring psychology https://www.worldcat[...] Worth Publishers 2011
[40] 서적 Abnormal child psychology https://www.worldcat[...] Cengage Learning 2016
[41] 서적 Psychology : modules for active learning https://www.worldcat[...] Cengage Learning 2018
[42] 서적 Life-span human development https://www.worldcat[...] Cengage Learning 2018
[43] 논문 Critical Review of Autism and Theory and Mind: A Tech Report https://osf.io/3r2qy[...] 2018-02-25
[44] 논문 On Not Being Human 2007-02
[45] 논문 Clinically Significant Disturbance: On Theorists Who Theorize Theory of Mind http://dsq-sds.org/a[...] 2013-09-05
[46] 논문 Minding Theory of Mind: Minding Theory of Mind https://onlinelibrar[...] 2017-09-06
[47] 논문 The Mating Life of Geeks: Love, Neuroscience, and the New Autistic Subject https://www.journals[...] 2015
[48] 서적 The ethics of autism : among them, but not of them https://www.worldcat[...] Indiana University Press 2008
[49] 논문 The Neuroeconomics of Mind Reading and Empathy https://pubs.aeaweb.[...] 2005-04-01
[50] 논문 Functional origins of religious concepts: ontological and strategic selection in evolved minds https://onlinelibrar[...] 2003-03-31
[51] 논문 Theory of mind for a humanoid robot http://link.springer[...] 2002
[52] 논문 Fiction, imagination, and social cognition: Insights from autism https://linkinghub.e[...] 2012
[53] 논문 A Critical Examination of Mindblindness as a Metaphor for Autism https://onlinelibrar[...] 2013-06
[54] 논문 Executive Function Deficits in High-Functioning Autistic Individuals: Relationship to Theory of Mind https://onlinelibrar[...] 1991
[55] 논문 Role taking and social competence in autism and mental retardation http://link.springer[...] 1989
[56] 논문 A second look at second-order belief attribution in autism http://link.springer[...] 1994
[57] 논문 Clinical and anatomical heterogeneity in autistic spectrum disorder: a structural MRI study https://www.cambridg[...] 2010-07
[58] 논문 Heterogeneity within Autism Spectrum Disorders: What have We Learned from Neuroimaging Studies? 2013
[59] 논문 The reality of autism: On the metaphysics of disorder and diversity https://www.tandfonl[...] 2020-08-17
[60] 논문 Further developing the Frith–Happé animations: A quicker, more objective, and web-based test of theory of mind for autistic and neurotypical adults https://orca.cardiff[...] 2021-07-10
[61] 논문 The "Reading the Mind in the Eyes" Test Revised Version: A Study with Normal Adults, and Adults with Asperger Syndrome or High-functioning Autism https://onlinelibrar[...] 2001-02
[62] 논문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facial emotion recognition in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specificity of deficits and the role of task characteristics https://www.scienced[...] 2022-02-01
[63] 논문 Autism and empathy: What are the real links? https://ora.ox.ac.uk[...] 2019-11-01
[64] 논문 Cognitive theories of autism https://strathprints[...] 2007
[65] 논문 Interventions based on the Theory of Mind cognitive model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2014-03-21
[66] 논문 Project AIM: Autism intervention meta-analysis for studies of young children. 2020
[67] 서적 Sensory perceptual issues in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 different sensory experiences – different perceptual worlds https://www.worldcat[...]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16
[68] 논문 Theories of the autistic mind https://thepsycholog[...] 2008
[69] 논문 Autism: The Empathizing-Systemizing (E-S) Theory https://onlinelibrar[...] 2009
[70] 간행물 Empathizing, systemizing, and the extreme male brain theory of autism https://www.scienced[...] Elsevier 2010-11-20
[71] 논문 Autism: Towards an Integration of Clinical, Genetic, Neuropsychological, and Neurobiological Perspectives https://onlinelibrar[...] 1996
[72] 논문 Brief report: Theory of mind in high-functioning children with autism http://link.springer[...] 1999
[73] 논문 The effect of semantic and emotional context on written recall for verbal language in high functioning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1998-11-01
[74] 논문 Verbal Memory and Performance IQ Predict Theory of Mind and Emotion Recognition Ability in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nd in Psychiatric Control Children https://onlinelibrar[...] 1999
[75] 논문 Asperger's Syndrome: Evidence of an Empirical Distinction from High-Functioning Autism https://onlinelibrar[...] 1991
[76] 논문 Social cognition in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Validation of the Edinburgh Social Cognition Test (ESCoT) 2021-10-03
[77] 논문 Testing the Empathizing–Systemizing theory of sex differences and the Extreme Male Brain theory of autism in half a million people 2018-11-27
[78] 논문 Unsupervised data-driven stratification of mentalizing heterogeneity in autism 2016-10-18
[79] 논문 Empathy and Autism: Establishing the Structure and Different Manifestations of Empathy in Autistic Individuals Using the Perth Empathy Scale https://link.springe[...] 2024-08-08
[80] 논문 Heterogeneity of social cognitive performance in autism and schizophrenia https://onlinelibrar[...] 2022-04
[81] 논문 Mixed emotions: the contribution of alexithymia to the emotional symptoms of autism 2013-07-23
[82] 서적 The social responsiveness scale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83] 논문 Autistic Traits in the General Population: A Twin Study http://archpsyc.jama[...] 2003-05
[84] 논문 The factor structure of autistic traits https://onlinelibrar[...] 2004-05
[85] 논문 Autism Spectrum Traits in Children with Mood and Anxiety Disorders https://zenodo.org/r[...] 2005-06
[86] 논문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ocial responsiveness scale to measure autism symptomology in Vietnamese children 2019-07-29
[87] 논문 The social responsiveness scale is an efficient screening tool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traits in adults with anorexia nervosa 2020-07
[88] 논문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in adults 2017-09-14
[89] 논문 Who Cares? Revisiting Empathy in Asperger Syndrome https://doi.org/10.1[...] 2007-04-01
[90] 논문 Examination of AVPR1a as an autism susceptibility gene 2004-04-06
[91] 논문 Impairment or difference? The case of Theory of Mind abilities and pragmatic competence in the Autism Spectrum 2023-02-01
[92] 논문 Toward a Behavior of Reciprocity 2006
[93] 웹사이트 Being autistic may amount to a language difference — not an impairment https://www.salon.co[...] 2021-06-06
[94] 논문 Investigating Markers of Rapport in Autistic and Nonautistic Interactions 2022-03-01
[95] 논문 Effects of an Educational Presentation About Autism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Autistic Adults 2022-09-01
[96] 논문 Interpersonal similarity of autistic traits predicts friendship quality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0-26
[97] 논문 Outcomes of real-world social interaction for autistic adults paired with autistic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partners https://journals.sag[...]
[98] 논문 'I never realised everybody felt as happy as I do when I am around autistic people': A thematic analysis of autistic adults' relationships with autistic and neurotypical friends and family
[99] 논문 Mutual (Mis)understanding: Reframing Autistic Pragmatic "Impairments" Using Relevance Theory
[100] 논문 Exploring the role of interpersonal contexts in peer relationships among autistic and non-autistic youth in integrated education 2022-07-22
[101] 논문 Atypical social communication is associated with positive initial impressions among pe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journals.sage[...] 2020-06-04
[102] 논문 Moving Together: Social Motor Synchrony in Autistic Peer Partners Depends on Partner and Activity Type 2023-06-13
[103] 논문 The Foundations of Autistic Flourishing 2023-08-08
[104] 논문 "I Knew She'd Get It, and Get Me": Participants' Perspectives of a Participatory Autism Research Project 2022-06-01
[105] 논문 Disposable dispositions: reflections upon the work of Iris Marion Young in relation to the social oppression of autistic people http://kar.kent.ac.u[...] 2016-11-25
[106] 논문 Autism as a Form of Life: Wittgenstein and the Psychological Coherence of Autism: Autism as a Form of Life https://onlinelibrar[...] 2019-07-04
[107] 논문 Enhanced neural synchronization during social communications between dyads with high autistic traits https://academic.oup[...] 2024-05-02
[108] 논문 Autism through cinema: co-creation and the unmaking of knowledge https://kar.kent.ac.[...] 2022-02-07
[109] 논문 Design and wellbeing: Bridging the empathy gap between neurotypical designers and autistic adults https://core.ac.uk/d[...] 2014-06-01
[110] 논문 Neurotypical Peers are Less Willing to Interact with Those with Autism based on Thin Slice Judgments 2017-02-01
[111] 논문 More on the ontological status of autism and double empathy http://www.tandfonli[...] 2014-11-26
[112] 논문 Empathy and emotion recognition in people with autism, first-degree relatives, and controls 2013-01-01
[113] 논문 A comparison of peer-initiation and teacher-antecedent interventions for promoting reciprocal social interaction of autistic preschoolers. 1986-01-01
[114] 논문 Promoting autistic children's peer interaction in an integrated early childhood setting using affection activities 1988-01-01
[115] 논문 Imitation and social responsiveness in autistic children http://link.springer[...] 1984-06-01
[116] 논문 Imitating the autistic child: Facilitating communicative gaze behavior http://link.springer[...] 1984-03-01
[117] 논문 Mothers' use of imitative play for facilitating social responsiveness and toy play in young autistic children https://www.cambridg[...] 1990-04-01
[118] 논문 Promoting reciprocal interactions via peer incidental teaching 1992-01-01
[119] 논문 A Conceptual Analysis of Autistic Masking: Understanding the Narrative of Stigma and the Illusion of Choice 2021-03-01
[120] 논문 Autistic camouflaging across the spectrum 2023-01-01
[121] 논문 Brief Report: Does Autistic Community Connectednes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sking and Wellbeing? 2022-09-01
[122] 웹사이트 Masking in Autism: The 'Why' Matters https://psychcentral[...] 2022-04-19
[123] 논문 "Autism is me": an investigation of how autistic individuals make sense of autism and stigma 2022-03-16
[124] 논문 Implicit and Explicit Attitudes Toward Autistic Adults 2020-06-01
[125] 논문 Bullying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conditions: a 'state of the field' review http://eprints.white[...] 2015-08-03
[126] 논문 Victimization and Perpetration Experiences of Adults With Autism 2018-05-25
[127] 논문 Shedding Light on a Pervasive Problem: A Review of Research on Bullying Experiences Amo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ttp://link.springer[...] 2014-07-01
[128] 논문 Peer Victimization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Diagnosed with Asperger's Syndrome: A Link to Depressive Symptomatology, Anxiety Symptomatology and Suicidal Ideation http://www.tandfonli[...] 2007-01-01
[129] 논문 Let's talk about it: Peer victimization experiences as reported by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2016-05-01
[130] 논문 Academic, Activist, or Advocate? Angry, Entangled, and Emerging: A Critical Reflection on Autism Knowledge Production 2021-09-28
[131] 논문 "Autism research is in crisis": A mixed method study of researcher's constructions of autistic people and autism research 2022-11-24
[132] 웹사이트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https://documents-dd[...] 2019-12-17
[133] 논문 Seeing More Than Human: Autism and Anthropomorphic Theory of Mind 2018-04-17
[134] 논문 Object personification in autism: This paper will be very sad if you don't read it https://ora.ox.ac.uk[...] 2018-01-01
[135] 논문 Autistic people outperform neurotypicals in a cartoon version of the Reading the Mind in the Eyes 2022-07-20
[136] 논문 Preference for, and Responsiveness to, People, Dogs and Objects in Children with Autism https://www.tandfonl[...] 2009-01-01
[137] 논문 "Different but connected":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using Photovoice to explore well-being in autistic young adults http://journals.sage[...] 2020-01-22
[138] 논문 Self-perceived empathic abilities of people with autism towards living beings mostly differs for humans 2022-04-15
[139] 논문 Are there alternative adaptive strategies to human pro-sociality? The role of collaborative morality in the emergence of personality variation and autistic traits http://eprints.white[...] 2016-10-01
[140] 논문 Emotional contagion for pain is intact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2014-01-14
[141] 논문 Autistic expertise: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production of knowledge in autism studies http://kar.kent.ac.u[...] 2014
[142] 논문 Editorial Perspective: The use of person-first language in scholarly writing may accentuate stigma 2017-08-06
[143] 논문 Perspective-taking is two-sided: Misunderstandings between people with Asperger's syndrome and their family members 2018
[144] 서적 Nothing about us without us : disability oppression and empowerment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145] 서적 Neurodiversity studies : a new critical paradigm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20
[146] 논문 Whose Expertise Is It? Evidence for Autistic Adults as Critical Autism Experts 2017
[147] 논문 Understanding, attitudes and dehumanisation towards autistic people http://journals.sage[...] 2019-11-21
[148] 웹사이트 What it's like to be autistic at an autism research conference https://www.spectrum[...] Simons Foundation 2023-04-11
[149] 웹사이트 Regarding the use of dehumanising rhetoric https://theautistica[...] 2023-04-11
[150] 논문 Is Being Othered a Co-Occurring Condition of Autism? 2021-06-01
[151] 웹사이트 Autism as Academic Paradigm https://www.chronicl[...] 2023-04-11
[152] 논문 Social Influence and the Autism Epidemic 2010-03
[153] 논문 'I too, need to belong': Autistic adults' perspectives on misunderstandings and well-being https://psyarxiv.com[...] 2022-05-10
[154] 서적 Don't write me off : make the system fair for people with autism National Autistic Society
[155] 논문 Employment Activities and Experiences of Adults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s Disorder http://link.springer[...] 2014-10
[156] 웹사이트 Criminal Legal System - Autistic Self Advocacy Network https://autisticadvo[...] 2023-03-26
[157] 논문 Premature mortality in autism spectrum disorder 2016-03
[158] 논문 Autistic people's perspectives on stereotypes: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https://eprints.whit[...] 2019-04
[159] 서적 Authoring autism : on rhetoric and neurological queerness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18
[160] 논문 Directions for Open Scholarship in Autism – Embracing Open Scholarship to Meaningfully Improve Lives of Autistic People Together https://psyarxiv.com[...] 2022-07-21
[161] 논문 Excess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 Follow up of the 1980s Utah/UCLA Autism Epidemiologic Study 2012-09-25
[162] 논문 Comorbidity of intellectual disability confounds ascertainment of autism: implications for genetic diagnosis https://www.biorxiv.[...] 2015-07-22
[163] 논문 IQ in Autism Spectrum Disorder: A Population-Based Birth Cohort Study https://publications[...] 2021-12-01
[164] 논문 Prevalence and Disparities in the Detection of Autism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https://publications[...] 2023-02-01
[165] 논문 Systematic Review of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Current Trends and Issues 2016-04-15
[166] 논문 Prevalence estimation of intellectual disability using national administrative and household survey data: The importance of survey question specificity https://ijpds.org/ar[...] 2021-01-28
[167] 논문 Communication interventions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in minimally verbal children 2018-11-05
[168] 논문 A Spectrum of Understanding: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Autistic Adults' Understandings and Perceptions of Friendship(s) https://www.pure.ed.[...] 2024-02-16
[169] 논문 Autism and the double empathy problem: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mental health https://nottingham-r[...]
[170] 논문 Deficit, difference, or both? Autism and neurodiversity. https://researchport[...] 2013
[171] 논문 Autism as a Natural Human Variation: Reflections on the Claim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http://link.springer[...] 2012
[172] 논문 Overcoming the Double Empathy Problem Within Pairs of Autistic and Non-autistic Adults Through the Contemplation of Serious Literature 2021-07-27
[173] 논문 Autistics speak but are they heard? https://www.research[...] 2013-06
[174] 논문 Annual Research Review: Shifting from 'normal science' to neurodiversity in autism science 2021-11
[175] 논문 Exploring how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can be re-invigorated for autism: in response to Jonathan Levitt https://openresearch[...] 2017-08-09
[176] 논문 Avoiding Ableist Language: Suggestions for Autism Researchers 2021-03-01
[177] 논문 Bridging the Gap Between Physical Health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2020-06-30
[178] 논문 Barriers to healthcare and self-reported adverse outcomes for autistic adults: a cross-sectional study 2022-02-22
[179] 논문 Barriers to healthcare and a 'triple empathy problem' may lead to adverse outcomes for autistic adults: A qualitative study 2023-10-17
[180] 논문 Comparison of Healthcare Experiences in Autistic and Non-Autistic Adults: A Cross-Sectional Online Survey Facilitated by an Academic-Community Partnership http://link.springer[...] 2012-11-21
[181] 논문 Toward a neuroinclusive culture: designing neuroinclusivity with Triple Empathy Theory https://www.tandfonl[...] 2024-11-12
[182] 논문 Menstruation and menopause in autistic adults: Periods of importance? https://journals.sag[...] 2021-11-26
[183] 논문 'When my autism broke': A qualitative study spotlighting autistic voices on menopause https://journals.sag[...] 2020-01-31
[184] 논문 "A perfect storm": Autistic experiences of menopause and midlife https://journals.sag[...] 2024-04-15
[185] 저널 On the ontological status of autism: the 'double empathy problem' http://www.tandfonli[...] 2012-10
[186] 저널 Revealing the Double Empathy Problem https://leader.pubs.[...] 2022-04-16
[187] 저널 Empirical Failures of the Claim That Autistic People Lack a Theory of Mind 2019
[188] 저널 Evidence of partner similarity for autistic traits, systemizing, and theory of mind via facial expressions https://doi.org/10.1[...] 2022-05-19
[189] 웹인용 A Conversation About 'The Pattern Seekers' by Simon Baron-Cohen https://thinkingauti[...] 2020-12-19
[190] 저널 Interpersonal similarity of autistic traits predicts friendship quality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0-26
[191] 저널 Peer pre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same-group and cross-group social interactions among autistic and non-autistic adolescents
[192] 저널 Outcomes of real-world social interaction for autistic adults paired with autistic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partners https://journals.sag[...]
[193] 저널 What do New Findings About Social Interaction in Autistic Adults Mean for Neurodevelopmental Research?
[194] 저널 Autistic peer-to-peer information transfer is highly effective
[195] 저널 Neurotype-Matching, but Not Being Autistic, Influences Self and Observer Ratings of Interpersonal Rapport
[196] 저널 "'I never realised everybody felt as happy as I do when I am around autistic people': A thematic analysis of autistic adults' relationships with autistic and neurotypical friends and family"
[197] 저널 Autism and the double empathy problem: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mental health https://bpspsychub.o[...] 2022-07-29
[198] 저널 Mutual (Mis)understanding: Reframing Autistic Pragmatic "Impairments" Using Relevance Theory
[199] 저널 Does the autistic child have a "theory of mind" ? https://dx.doi.org/1[...] 1985-10-01
[200] 저널 Social and pragmatic deficits in autism: Cognitive or affective? https://www.research[...] 1988-10-01
[201] 서적 마음맹 시그마프레스 2005
[202] 저널 On the ontological status of autism: the 'double empathy problem' http://www.tandfonli[...] 2012-10
[203] 저널 Who Cares? Revisiting Empathy in Asperger Syndrome https://doi.org/10.1[...] 2007-04-01
[204] 저널 Empathy and emotion recognition in people with autism, first-degree relatives, and controls 2013-01-01
[205] 저널 Implicit and Explicit Attitudes Toward Autistic Adults https://www.liebertp[...] 2020-06-01
[206] 저널 Are there alternative adaptive strategies to human pro-sociality? The role of collaborative morality in the emergence of personality variation and autistic traits https://doi.org/10.1[...] 2016-10-01
[207] 저널 Object personification in autism: This paper will be very sad if you don't read it http://journals.sage[...] 2018
[208] 저널 Revealing the Double Empathy Problem https://leader.pubs.[...] 2022-04-16
[209] 저널 Perspective-taking is two-sided: Misunderstandings between people with Asperger's syndrome and their family members 2018
[210] 저널 Autistic expertise: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production of knowledge in autism studies http://journals.sage[...]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