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말기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말기 왕조는 이집트의 제26왕조부터 제31왕조까지를 아우르며, 기원전 664년부터 기원전 332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시기를 말한다. 이 시기에는 이집트의 독립과 페르시아의 지배가 반복되었으며, 제26왕조는 사이스 왕조라고도 불리며, 프삼티크 1세에 의해 통일되었다. 이후 근동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그리스와 교류하는 등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기도 했지만, 이집트의 토착 왕조가 부활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으로 페르시아의 지배가 끝나고 헬레니즘 시대가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31왕조
이집트 제31왕조는 아케메네스 제국의 이집트 재지배 시기로, 기원전 343년부터 기원전 332년까지 존속했으며, 페르시아의 지배와 이집트인들의 반란, 문화 혼합을 특징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정복당하며 멸망했다. - 기원전 4세기 이집트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이집트를 지배한 마케도니아계 왕조로, 헬레니즘 문화를 발전시키고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통해 학문을 장려했으나, 왕실 내분과 로마의 간섭으로 쇠퇴하여 클레오파트라 7세 시대에 멸망했다. - 기원전 5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28왕조
이집트 제28왕조는 아미르타이오스가 다리우스 2세에 반기를 들고 파라오를 선포하며 시작되었으나, 네페리테스 1세에게 전복되어 막을 내렸다. - 기원전 5세기 이집트 - 아미르타이오스
아미르타이오스는 다리우스 2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스파르타와 동맹을 맺는 외교 전략을 통해 페르시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이집트 독립을 유지하려 노력한, 기원전 404년부터 399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파라오이다. - 기원전 6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26왕조
이집트 제26왕조는 프삼티크 1세가 건국하여 사이스 르네상스라 불리는 문화적 부흥을 이루었으나 아케메네스 제국에 의해 멸망한 기원전 664년부터 기원전 525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왕조이다. - 기원전 6세기 이집트 - 네카우 2세
네카우 2세는 이집트 제26왕조의 파라오로, 아시리아 지원과 유다 왕국 조공국화, 카르케미시 전투 패배, 무역 장려, 그리스 관계 강화, 운하 건설 시도, 아프리카 일주 명령 등의 활동을 했다.
이집트 말기왕조 | |
---|---|
개요 | |
시기 | 기원전 664년 ~ 기원전 332년 |
정치 체제 | 군주제 |
수도 | 사이스 멘데스 세벤니토스 |
공용어 | 이집트어 |
종교 | 고대 이집트 종교 |
역사 | |
이전 | 제3 중간기 |
이후 | 마케도니아 제국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
통치자 | |
칭호 | 파라오 |
최초 통치자 | 프삼티크 1세 (기원전 664년 ~ 610년경) |
마지막 통치자 | 다리우스 3세 (기원전 336년 ~ 332년) |
지도 | |
![]() |
2. 이집트 제26왕조 (기원전 664년 ~ 기원전 525년)
이집트 제26왕조는 사이스를 권력의 중심지로 삼았기 때문에 '''사이스 왕조'''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기원전 664년부터 기원전 525년까지 지속된 것으로 본다. 이 왕조는 프삼티크 1세가 아시리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분열된 이집트를 기원전 656년경 통일하면서 실질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기원전 663년 아시리아에 의한 테베 약탈 이후 혼란을 수습하고 이집트의 독립을 회복하는 과정이었다.
제26왕조의 파라오들은 다음과 같다.
파라오 | 재위 기간 |
---|---|
네카우 1세 | 기원전 665년 ~ 기원전 664년 |
프삼티크 1세 | 기원전 664년 ~ 기원전 610년 |
네카우 2세 | 기원전 610년 ~ 기원전 595년 |
프삼티크 2세 | 기원전 595년 ~ 기원전 589년 |
와히브레 | 기원전 589년 ~ 기원전 570년 |
아흐모세 2세 | 기원전 570년 ~ 기원전 526년 |
프삼티크 3세 | 기원전 526년 ~ 기원전 525년 |
사이스 왕조 시대에는 나일강과 홍해를 잇는 운하 건설이 시작되었다. 또한 이집트는 근동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려는 시도를 보였다. 프삼티크 1세 시대에는 아스돗을 정복하고 레반트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으며,[1][2] 그 영향력은 한때 유프라테스 유역까지 미치기도 했다. 그러나 카르케미쉬 전투에서의 패배 이후 근동 지역에서의 주도권은 약화되었다.[3] 아흐모세 2세는 그리스 세계와의 교류에 주목하고 키프로스를 병합하기도 했다.[4] 남쪽으로는 프삼티크 2세가 누비아 북부 지역에 대한 대규모 군사 원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5] 아흐모세 2세 시대에도 소규모 누비아 원정이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이 시기 하부 누비아의 도르기나르티에는 이집트 수비대가 주둔했던 고고학적 증거도 발견되었다.[6]
이 시대의 중요한 문화적 유산으로는 브루클린 파피루스가 있다. 이는 뱀 물림에 대한 의학적, 주술적 치료법을 집대성한 의학 파피루스이다. 예술 분야에서는 동물 숭배와 동물 미라 제작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풍뎅이를 머리에 쓰고 사람 머리를 한 새 두 마리를 어깨에 얹고 양손에 뱀을 든 채 악어 위에 서 있는 모습의 신 파타이코스 조각상이 이 시대의 예술 경향을 보여준다.
2. 1. 네카우 1세 (기원전 672년 ~ 기원전 664년)
네카우 1세는 이집트 제26왕조의 파라오로, 재위 기간은 기원전 665년부터 기원전 664년까지이다.2. 2. 프삼티크 1세 (기원전 664년 ~ 기원전 610년)
프삼티크 1세는 이집트 제26왕조의 파라오로, 기원전 664년부터 기원전 610년까지 이집트를 다스렸다. 그는 기원전 663년 아시리아 제국에 의한 테베 약탈 이후 혼란했던 이집트의 상황을 수습하고, 기원전 656년경 분열된 이집트를 통일하였다. 이를 통해 아시리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이집트의 독립을 확고히 하고 사이스를 중심으로 한 제26왕조 시대를 열었다.통일 이후 프삼티크 1세는 적극적인 대외 정책을 펼쳐 근동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기원전 655년경에는 팔레스타인 지역의 아스돗을 정복했으며, 레반트 전역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이집트 유물, 세금 징수 기록(오스트라카와 문서), 그리고 메자드 하샤비야후 요새 유적 등은 당시 이집트가 이 지역을 점령하고 통치했음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증거이다.[1][2] 이집트의 군사적, 정치적 영향력은 유프라테스 유역까지 미쳐 키무후와 쿠라마티 등지에서 군사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비록 훗날 카르케미쉬 전투에서 패배하여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의 영향력은 약화되었지만, 프삼티크 1세 시대에 다져진 근동 지역에 대한 이집트의 개입과 영향력은 이후에도 상당 기간 지속된 것으로 평가된다.[3]
또한, 나일강과 홍해를 연결하는 운하 건설이 이 시기에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이집트의 해상 무역과 교통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 3. 네카우 2세 (기원전 610년 ~ 기원전 595년)
이집트 제26왕조(사이스 왕조)의 파라오인 네카우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나일강과 홍해를 잇는 운하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 시기 이집트는 레반트 등 근동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려 했으며,[1][2] 유프라테스강 유역까지 진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기원전 605년경 벌어진 카르케미쉬 전투에서의 패배로 인해 근동 지역에서의 영향력 확대는 좌절되었다.[3]2. 4. 프삼티크 2세 (기원전 595년 ~ 기원전 589년)
프삼티크 2세는 기원전 595년부터 기원전 589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했다. 그는 남쪽으로 누비아 북부 깊숙한 곳까지 이르는 대규모 군사 원정을 이끌었으며, 이 원정에서 누비아 군대에 큰 패배를 안겼다.[5]2. 5. 와히브레 (기원전 589년 ~ 기원전 570년)
이집트 제26왕조의 파라오 중 한 명으로, 기원전 589년부터 기원전 570년까지 통치했다.2. 6. 아흐모세 2세 (기원전 570년 ~ 기원전 526년)
아흐모세 2세는 이전 파라오들과 다른 새로운 정책을 펼쳤으며, 특히 그리스 세계와의 관계에 주목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는 키프로스를 병합하여 영토를 확장했다.[4] 또한, 그의 통치 시기에 작성된 데모틱 문자 파피루스에는 누비아 지역으로 소규모 원정을 떠났다는 기록이 남아 있지만, 그 구체적인 성격은 명확하지 않다.2. 7. 프삼티크 3세 (기원전 526년 ~ 기원전 525년)
프삼티크 3세는 이집트 제26왕조의 마지막 파라오로, 기원전 526년부터 기원전 525년까지 통치하였다. 그의 통치를 끝으로 제26왕조는 막을 내렸다.3. 이집트 제27왕조 (기원전 525년 ~ 기원전 404년)
아케메네스 제국의 첫 번째 이집트 지배 시기(기원전 525년 ~ 기원전 404년)이다. 이 시기는 제1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라고도 불린다.
기원전 525년 펠루시움 전투에서 아케메네스 제국의 캄비세스 2세가 승리하여 이집트(𐎸𐎭𐎼𐎠𐎹|무드라야peo)를 정복하고 총독령으로 삼으면서 시작되었다. 아케메네스 제국의 황제들은 이집트의 파라오 칭호를 사용하며 사트라프(총독)를 통해 이집트를 다스렸다. 기원전 485년에 일어난 반란 이후 이집트는 페르시아의 속주가 되었다.
페르시아의 지배 기간 동안 이집트인들은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다. 대표적으로 페투바스티스 3세(기원전 522년 ~ 520년)와 이나로스 2세(기원전 460년 ~ 454년)가 주도한 반란이 있었으나 모두 실패로 끝났다. 특히 이나로스 2세의 반란은 델로스 동맹 전쟁의 일환으로 아테네의 지원을 받기도 했다.
제27왕조 시대의 주요 파라오(아케메네스 황제)는 다음과 같다.
파라오 (아케메네스 황제) | 재위 기간 (이집트 기준) |
---|---|
캄비세스 2세 | 기원전 525년 ~ 기원전 522년 |
다리우스 1세 | 기원전 521년 ~ 기원전 486년 |
크세르크세스 1세 | 기원전 485년 ~ 기원전 465년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 기원전 465년 ~ 기원전 424년 |
다리우스 2세 | 기원전 423년 ~ 기원전 405년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 | 기원전 405년 ~ 기원전 404년 (제27왕조 종결) |
3. 1. 캄비세스 2세 (기원전 525년 ~ 기원전 522년)
아케메네스 제국의 캄비세스 2세는 기원전 525년 펠루시움 전투에서 승리하여 이집트( 𐎸𐎭𐎼𐎠𐎹|무드라야peo )를 정복하였다. 이 정복으로 이집트는 아케메네스 제국의 총독령이 되었으며, 이 시기부터를 '''제1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기원전 525년 - 기원전 404년) 또는 이집트 제27왕조라고 부른다. 캄비세스 2세는 스스로 파라오로 즉위하여 기원전 522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하였다.3. 2. 다리우스 1세 (기원전 522년 ~ 기원전 486년)
다리우스 1세는 기원전 522년부터 기원전 486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아케메네스 제국의 황제이자 이집트 제27왕조의 파라오이다. 그는 사트라프(총독)를 통해 이집트를 다스렸다. 그의 통치 초기에는 이집트인 페투바스티스 3세(기원전 522년 ~ 520년)가 반란을 일으켜 아리아데스 사트라프의 통치가 잠시 중단되기도 했다. 다리우스 1세 시대의 이집트 사트라프는 아리아데스(기원전 518년경 ~ 기원전 496년경)와 페렌다테스(기원전 496년경 ~ 기원전 486년경)가 있었다.3. 3. 크세르크세스 1세 (기원전 486년 ~ 기원전 465년)
크세르크세스 1세는 기원전 485년부터 기원전 465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아케메네스 제국의 황제이자 이집트 제27왕조의 파라오이다. 기원전 485년, 그의 통치 초기에 이집트에서 반란이 있었으며, 이 반란 이후 이집트는 페르시아의 속주가 되었다. 이 기간 동안 이집트는 사트라프(총독)를 통해 관리되었으며, 크세르크세스 1세의 형제인 아케메네스가 기원전 486년경부터 기원전 459년까지 사트라프로 재임하며 이집트를 다스렸다.3. 4.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기원전 465년 ~ 기원전 424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는 이집트 제27왕조(아케메네스 제국의 첫 번째 이집트 점령기)의 파라오 중 한 명으로, 기원전 465년부터 기원전 424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에서는 페르시아의 지배에 저항하는 중요한 반란이 일어났다.기원전 460년부터 기원전 454년까지 이나로스 2세가 주도한 반란이 발생했다. 이 반란은 델로스 동맹 전쟁의 일환으로 아테네인들의 지원을 받았으나 결국 실패로 끝났다.
이 시기 이집트를 다스린 페르시아 사트라프(총독)로는 아케메네스(재위 c. 기원전 486년 ~ 기원전 459년)와 그의 뒤를 이은 아르사메스(재위 c. 기원전 454년 ~ 기원전 406년)가 있었다. 아케메네스는 크세르크세스 1세의 형제였으며, 아르사메스는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통치 기간 대부분과 그 이후까지 이집트 총독으로 재임했다.
3. 5. 다리우스 2세 (기원전 424년 ~ 기원전 404년)
다리우스 2세는 아케메네스 제국이 이집트를 처음으로 지배했던 시기인 이집트 제27왕조의 파라오 중 한 명이다. 이 왕조는 기원전 525년부터 기원전 404년까지 지속되었으며, 이 시기 아케메네스 제국의 황제들은 이집트의 파라오 칭호를 사용하며 사트라프(총독)를 통해 이집트를 다스렸다.다리우스 2세는 기원전 423년부터 기원전 405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의 사트라프는 아르사메스였으며, 그는 기원전 454년경부터 기원전 406년경까지 사트라프로 재임했다. 제27왕조는 기원전 404년에 끝나는데, 이는 다리우스 2세의 통치 말기와 거의 일치한다.
3. 6.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 (기원전 404년 ~ 기원전 359년)
아케메네스 제국의 황제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는 이집트 제27왕조의 파라오로서 기원전 405년부터 기원전 359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하였다.4. 이집트 제28왕조 (기원전 404년 ~ 기원전 399년)
이집트 제26왕조의 후예인 사이스의 왕자 아미르타이오스가 페르시아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켜 세운 왕조이다. 그는 이집트가 토착 통치자 아래에서 독립을 유지했던 마지막 시대를 열었다. 이집트 제28왕조는 아미르타이오스 단 한 명의 파라오로 구성되었으며, 기원전 404년부터 기원전 398년까지 약 6년간 지속되었다. 아미르타이오스는 자신의 이름이 새겨진 기념물을 남기지 않았다.
4. 1. 아미르타이오스 (기원전 404년 ~ 기원전 399년)
이집트 제26왕조의 후예이자 사이스의 왕자였던 아미르타이오스는 페르시아의 지배에 맞서 반란을 일으켜 이집트의 독립을 되찾았다. 이는 이집트인이 직접 통치하는 마지막 독립 시대를 연 이집트 제28왕조의 시작으로, 기원전 404년에 해당한다. 제28왕조는 아미르타이오스 단 한 명의 파라오로 이루어졌으며, 그는 자신의 이름이 새겨진 기념물을 남기지 않았다. 그의 통치는 기원전 398년까지 약 6년간 이어졌으나, 멘데스 출신의 네파아루드 1세에게 패배하고 사망하면서 막을 내렸다. 이로써 제28왕조는 끝나고 이집트 제29왕조가 시작되었다.5. 이집트 제29왕조 (기원전 399년 ~ 기원전 380년)
이집트 제29왕조는 기원전 398년부터 기원전 380년까지 멘데스를 수도로 하여 이집트를 통치한 왕조이다.
파라오 | 재위 기간 |
---|---|
네파아루드 1세 | 기원전 399년 ~ 기원전 393년 |
프삼무테스 | 기원전 393년 |
하코르 | 기원전 393년 ~ 기원전 380년 |
네파아루드 2세 | 기원전 380년 |
5. 1. 네파아루드 1세 (기원전 399년 ~ 기원전 393년)
네파아루드 1세는 이집트 제29왕조의 파라오로, 기원전 399년부터 기원전 393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했다. 그가 속한 제29왕조는 멘데스를 중심으로 기원전 398년부터 기원전 380년까지 존속했다.5. 2. 프삼무테스 (기원전 393년)
프삼무테스는 이집트 제29왕조의 파라오로, 기원전 393년에 통치했다.5. 3. 하코르 (기원전 393년 ~ 기원전 380년)
하코르는 이집트 제29왕조의 파라오로, 기원전 393년부터 기원전 380년까지 통치했다. 제29왕조는 기원전 398년부터 기원전 380년까지 멘데스를 중심으로 이집트를 다스렸다.5. 4. 네파아루드 2세 (기원전 380년)
네파아루드 2세는 이집트 제29왕조의 파라오로, 기원전 380년에 통치했다. 이집트 제29왕조는 기원전 398년부터 기원전 380년까지 멘데스를 중심으로 통치했으며, 네파아루드 2세의 통치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6. 이집트 제30왕조 (기원전 380년 ~ 기원전 343년)
이집트 제30왕조는 이집트 제26왕조의 예술 양식을 계승한 왕조이다. 기원전 380년부터 기원전 343년까지 세 명의 파라오가 통치하였으며, 기원전 343년 페르시아의 재정복으로 왕조는 종결되었다.
6. 1. 넥타네보 1세 (기원전 380년 ~ 기원전 362년)
넥타네보 1세는 기원전 380년부터 기원전 362년까지 이집트를 다스린 이집트 제30왕조의 첫 파라오이다. 제30왕조는 이집트 제26왕조의 예술 양식을 다시 도입하는 특징을 보였다.6. 2. 테오스 (기원전 362년 ~ 기원전 360년)
테오스는 이집트 제30왕조의 파라오로, 기원전 362년부터 기원전 360년까지 재위했다.6. 3. 넥타네보 2세 (기원전 360년 ~ 기원전 343년)
넥타네보 2세는 이집트 제30왕조의 파라오로, 기원전 360년부터 기원전 343년까지 통치했다. 그는 이집트 원주민 출신의 마지막 파라오로 알려져 있다. 그의 통치 기간 중인 기원전 343년, 이집트는 페르시아에 의해 다시 정복되었고, 이로 인해 제30왕조는 종결되었다.7. 이집트 제31왕조 (기원전 343년 ~ 기원전 332년)
이집트 제31왕조는 기원전 343년부터 기원전 332년까지 이어진 시기로,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제국이 이집트를 다시 통치했던 '''제2차 아케메네스 시대'''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는 세 명의 페르시아 황제가 이집트의 파라오로 통치했다.
파라오 | 재위 기간 |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 기원전 343년 ~ 기원전 338년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4세 | 기원전 338년 ~ 기원전 336년 |
다리우스 3세 | 기원전 336년 ~ 기원전 332년 |
이집트에서의 페르시아 통치는 카바바시가 기원전 338년부터 기원전 335년까지 반란을 일으켜 잠시 중단되기도 했다. 결국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아케메네스 제국을 정복하면서 페르시아의 이집트 지배는 종식되었다. 기원전 332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이집트의 페르시아 총독 마자케스의 항복을 받아들였으며, 이는 이집트 헬레니즘 시대의 시작이자 이후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이 들어서는 계기가 되었다.
7. 1.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기원전 343년 ~ 기원전 338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기원전 343년부터 기원전 338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아케메네스 제국의 황제이다. 그의 통치 시작과 함께 이집트는 다시 페르시아 제국의 속주로 편입되었으며, 이 시기를 '''제2차 아케메네스 시대''' 또는 이집트 제31왕조(기원전 343년 ~ 기원전 332년)라고 부른다. 제31왕조는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를 시작으로 아르타크세르크세스 4세, 다리우스 3세로 이어졌다.7. 2. 아르타크세르크세스 4세 (기원전 338년 ~ 기원전 336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4세는 이집트 제31왕조의 파라오로, 기원전 338년부터 기원전 336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했다. 이 시기는 이집트가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제국의 속주로 재통합된 제2차 아케메네스 시대에 해당한다. 그는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의 뒤를 이어 파라오가 되었으며, 그의 통치 기간 중 이집트에서는 카바바시가 기원전 338년부터 기원전 335년까지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4세 이후에는 다리우스 3세가 파라오 자리를 계승했다.7. 3. 다리우스 3세 (기원전 336년 ~ 기원전 332년)
다리우스 3세는 이집트 제31왕조(제2차 아케메네스 시대)의 마지막 파라오로, 기원전 336년부터 기원전 332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했다. 이 시기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아케메네스 제국을 정복하던 때와 겹친다. 결국 아케메네스 제국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패배하였고, 이로 인해 이집트에서의 페르시아 통치도 종식되었다. 기원전 332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당시 이집트의 페르시아 총독이었던 마자케스의 항복을 받아들였다. 이는 이집트 헬레니즘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으며, 이후 알렉산드로스 사후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이 들어서게 된다.참조
[1]
서적
Egypt, Canaan and Israel: History, Imperialism, Ideology and Literature (Culture and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BRILL
[2]
간행물
Some Preliminary Remarks on the Neo-Assyrian City Wall in the Outer Town at Karkemish
[3]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A History of Cyprus, Vol.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Psamtik II
https://www.britanni[...]
[6]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7]
문서
혼란기로 통일왕조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