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제27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제27왕조는 기원전 525년부터 기원전 404년까지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제국이 이집트를 지배하던 시기를 일컫는다. 프삼티크 3세가 펠루시움 전투에서 캄비세스 2세에게 패배하면서 시작되었으며, 페르시아의 왕이 이집트의 파라오를 겸했다. 캄비세스 2세, 다리우스 1세, 크세르크세스 1세 등이 이 시기의 주요 통치자이며, 이집트는 페르시아 제국의 사트라피로 편입되었다. 다리우스 1세는 이집트 내정에 힘썼지만, 크세르크세스 1세 시대에 이집트의 반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기원전 405년 아미르타이우스가 파라오를 선언하면서 제27왕조는 종말을 맞이하고, 이후 이집트는 독립 왕조 시대를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28왕조
이집트 제28왕조는 아미르타이오스가 다리우스 2세에 반기를 들고 파라오를 선포하며 시작되었으나, 네페리테스 1세에게 전복되어 막을 내렸다. - 기원전 5세기 이집트 - 아미르타이오스
아미르타이오스는 다리우스 2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스파르타와 동맹을 맺는 외교 전략을 통해 페르시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이집트 독립을 유지하려 노력한, 기원전 404년부터 399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파라오이다. - 기원전 6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26왕조
이집트 제26왕조는 프삼티크 1세가 건국하여 사이스 르네상스라 불리는 문화적 부흥을 이루었으나 아케메네스 제국에 의해 멸망한 기원전 664년부터 기원전 525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왕조이다. - 기원전 6세기 이집트 - 네카우 2세
네카우 2세는 이집트 제26왕조의 파라오로, 아시리아 지원과 유다 왕국 조공국화, 카르케미시 전투 패배, 무역 장려, 그리스 관계 강화, 운하 건설 시도, 아프리카 일주 명령 등의 활동을 했다. - 아케메네스 제국 - 고대 페르시아어
고대 페르시아어는 기원전 6세기부터 4세기까지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사용된 인도유럽어족의 이란어파 언어로, 비문 등을 통해 전해지며 아케메네스 제국의 공식 언어였고, 독자적인 설형문자로 기록되었으며, 현대 페르시아어의 언어적 기원이다. - 아케메네스 제국 - 사르디스
사르디스는 터키 서부의 고대 도시로, 뤼디아 왕국의 수도로서 번성했으나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되었고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를 거치며 재건되었지만 지진과 침략으로 쇠퇴했으며,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는 중요성이 감소했으나 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존재했고 현재는 다양한 시대의 유물이 발굴되는 고고학적 유적지이다.
이집트 제27왕조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시대 |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 |
구분 | 속주 |
국가 | 아케메네스 제국 |
수도 | 멤피스 |
시작 연도 | 기원전 525년 |
종료 연도 | 기원전 404년 |
역사 | |
사건 시작 | 펠루시움 전투 |
사건 종료 | 아미르타에우스의 반란 |
이전 국가 | 이집트 제26왕조 |
계승 국가 | 이집트 제28왕조 |
정치 | |
통치자 | 파라오 |
첫 번째 통치자 | 캄비세스 2세 (기원전 525년–522년) |
마지막 통치자 | 다리우스 2세 (기원전 423년–404년) |
2. 역사
기원전 525년 펠루시움 전투에서 프삼티크 3세가 캄비세스 2세에게 패배하면서 이집트는 아케메네스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이를 이집트 제27왕조라고 부른다. 캄비세스 2세는 이집트 전통 신전들의 재정을 축소시켰고, 멤피스, 헬리오폴리스, 웬켐을 제외한 모든 신전의 자산을 제한했다.
캄비세스 2세 사후, 다리우스 1세는 이집트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고 이집트의 법을 성문화하는 등 내정에 힘썼다. 또한 수에즈 운하를 건설하여 교역을 활성화하고 이집트의 숙련된 노동자와 장인을 페르시아로 데려가 궁전을 건설하기도 했다.
크세르크세스 1세는 이집트의 반란을 진압하고 조로아스터교 신앙을 강요하며 이집트의 특권을 박탈했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시대에도 아테네의 지원을 받은 이날로스 2세의 반란이 일어났지만 진압되었다.
다리우스 2세 말기에 아미르타이우스가 반란을 일으켜 기원전 404년에 페르시아인을 몰아내고 파라오로 즉위하면서 이집트 제27왕조는 막을 내렸다.
2. 1. 페르시아의 이집트 정복
기원전 525년, 캄비세스 2세가 이끄는 아케메네스 제국 군대는 펠루시움 전투에서 프삼티크 3세의 이집트 제26왕조 군대를 격파하고 이집트를 점령했다. 캄비세스 2세는 그해 여름 파라오로 즉위하여 이집트 제27왕조를 열었다. 이집트는 키프로스, 페니키아와 함께 아케메네스 제국의 제6 사트라피(총독령)를 형성했으며, 아리안데스가 총독을 맡았다.[35]캄비세스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 전통 신전들의 재정은 크게 감소했다. 데모틱 문자로 파피루스에 기록된 포고령은 멤피스, 헬리오폴리스, 웬켐(아부시르 근처)을 제외한 모든 이집트 신전에 대한 자원 제한을 명령했다.
기원전 522년, 캄비세스 2세는 이집트를 떠났으나 페르시아로 돌아가던 중 사망했다. 공식적으로는 그의 동생 바르디야가 왕위를 계승했지만, 다리우스 1세는 베히스툰 비문에서 바르디야가 실제로는 가우마타라는 찬탈자이며, 진짜 바르디야는 캄비세스 2세에 의해 몇 년 전 살해되었다고 주장했다.[36] 다리우스 1세는 쿠데타를 일으켜 가우마타를 제거하고 다음 날 아침 왕이자 파라오로 즉위했다.
2. 2. 다리우스 1세의 통치와 이집트의 저항

다리우스 1세는 캄비세스 2세가 급작스럽게 사망한 후, 그의 동생 바르디야를 사칭한 가우마타를 제거하고 페르시아 제국의 왕위에 올랐다.[36] 다리우스 1세는 즉위 직후 제국 전역에서 발생한 반란을 진압해야 했으며, 이집트에서도 페투바스티스 3세가 파라오를 자칭하며 반란을 일으켰다.[37]
폴리아에누스의 기록에 따르면, 이 반란은 사트라프(총독) 아리안데스가 부과한 가혹한 세금 때문이었다.[37] 다리우스 1세는 이집트로 직접 진군하여 신성한 황소 아피스가 죽은 것을 애도하는 기간에 도착했다. 그는 다음 아피스를 찾아내는 사람에게 100 탈렌트를 주겠다고 선언하여 이집트인들의 지지를 얻고 반란을 종식시켰다.[37]
다리우스 1세는 캄비세스 2세보다 이집트 내정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이집트의 법을 성문화하고,[38] 수에즈에서 비터 호수를 거쳐 홍해까지 연결하는 운하 건설을 완료하여 교역을 활성화했다.[39] 이 운하 건설로 다리우스 1세는 숙련된 이집트 노동자와 장인을 페르시아로 데려가 궁전을 건설하는 데 활용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이집트에서는 인재 유출이 발생하여 건축과 예술의 질이 저하되기도 했다.[40]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리우스 1세는 캄비세스 2세보다 이집트 사원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종교적 관용 정책을 펼쳤다.[40] 기원전 497년, 다리우스 1세의 이집트 방문 중에 아리안데스가 반역죄로 처형되었는데, 이는 그가 자신의 화폐를 주조하여 페르시아로부터 독립하려 했다는 의혹 때문이었다.[41][42]
2. 3. 크세르크세스 1세와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시대
크세르크세스 1세가 즉위하자 이집트에서 다시 반란이 일어났는데, 프삼티크 4세가 주도했을 가능성이 있다. 크세르크세스 1세는 신속하게 반란을 진압하고 그의 형제 아케메네스를 사트라프(총독)로 임명했다.[40] 크세르크세스 1세는 다리우스 1세 시대에 이집트가 누리던 특권을 박탈하고, 그리스 침공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이집트에 대한 세금을 늘렸다. 또한 크세르크세스 1세는 이집트의 전통 신앙 대신 조로아스터교 신 아후라 마즈다를 숭배하게 하였고, 이집트 기념물에 대한 자금 지원을 영구 중단했다.[40]
기원전 465년, 크세르크세스 1세는 아르타바누스에게 암살당했고,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기원전 460년, 리비아인 추장 이날로스 2세가 주도하고 아테네가 지원하는 또 다른 이집트 반란이 일어났다.[43] 이들은 아케메네스가 이끄는 페르시아 군대를 격파하고 멤피스를 점령하여 이집트 대부분을 지배했다. 그러나 기원전 454년, 이나로스와 아테네 동맹군은 메가비주스가 이끄는 페르시아 군대에 패배했다. 메가비주스는 이나로스에게 항복을 조건으로 목숨을 보장했지만,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는 결국 이나로스를 처형했다.[44]
2. 4. 이집트 독립과 제27왕조의 종말
다리우스 2세 통치 말기, 아미르타이우스가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는 빠르면 기원전 411년에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45] 기원전 405년, 아미르타이우스는 크레타 용병들의 도움을 받아 페르시아인들을 멤피스에서 몰아냈고, 이듬해 스스로 파라오임을 선언하면서 이집트 제27왕조를 종식시켰다.[45] 다리우스 2세의 후계자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는 이집트를 되찾기 위한 원정을 시도했지만, 그의 형제 키루스 2세와의 정치적 어려움으로 인해 그 노력을 포기해야 했다.[45]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는 기원전 401년까지 이집트 일부 지역에서 정당한 파라오로 인정받았지만, 상황에 대한 그의 느린 대응으로 이집트는 독립을 굳건히 할 수 있었다.[45]3. 역대 파라오
파라오 이름 | 사진 | 재위 기간 | 왕좌 이름 | 비고 |
---|---|---|---|---|
캄비세스 2세 | ![]() | 기원전 525년–522년 | 메수티레 | 기원전 525년 펠루시움 전투에서 프삼티크 3세를 격파[34] |
바르디야 / 가우마타 | ![]() | 기원전 522년 | 가짜일 가능성 있음[36] | |
페투바스티스 3세 | 기원전 522/521년–520년 | 세헤루이브레 | 아케메네스 왕조 파라오에 반항[37] | |
다리우스 1세 대왕 | ![]() | 기원전 522년–486년 | 세투투레 | 이집트의 법을 성문화하고[38] 수에즈 운하 건설[39] |
프삼티크 4세 | 기원전 480년대 | 아케메네스 왕조 파라오에 반항한 것으로 추정 | ||
크세르크세스 1세 대왕 | ![]() | 기원전 486년–465년 | ||
아르타바누스 | 기원전 465년–464년 | 크세르크세스 1세를 암살, 이후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에게 살해됨 |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 ![]() | 기원전 465년–424년 | ||
크세르크세스 2세 | 기원전 425년–424년 | 왕위 주장자 | ||
소그디아누스 | 기원전 424년–423년 | 왕위 주장자 | ||
다리우스 2세 | ![]() | 기원전 423년–404년 | 제27왕조의 마지막 파라오 |
4. 역대 사트라프
아리안데스는 캄비세스 2세에 의해 아케메네스 제국의 사트라프(총독)로 임명되어 이집트를 통치했다.[1] 그는 기원전 522년 페투바스티스 3세의 반란으로 잠시 축출되었다가 기원전 518년에 복위되었다.[1] 그러나 다리우스 1세는 그가 자신의 화폐를 주조하여 페르시아 제국에서 분리하려 했다고 의심하여 기원전 496년에 처형했다.[1]
다리우스 1세는 캄비세스 2세보다 이집트 내부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1] 그는 이집트의 법을 성문화하고 수에즈 운하 건설을 완료하여 쓴 호수에서 홍해까지의 통행을 가능하게 했다.[1] 또한 이집트의 숙련된 노동자와 장인을 페르시아로 데려가 궁전을 건설하게 하여 이집트의 인재 유출을 야기하기도 했다.[1]
크세르크세스 1세는 이집트의 특권을 축소하고 공급 요구량을 늘렸으며, 조로아스터교 신 아후라 마즈다를 숭배하고 이집트 기념물 건설을 중단했다.[1] 이로 인해 이집트에서 프삼티크 4세가 주도하는 반란이 일어났지만, 크세르크세스는 그의 형제 아케메네스를 사트라프로 임명하여 반란을 진압했다.[1]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시기에는 리비아 추장 이노로스 2세가 아테네의 지원을 받아 반란을 일으켰다.[1] 이들은 아케메네스를 죽이고 멤피스를 점령했지만, 결국 페르시아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1]
다리우스 2세 통치 말기에는 아미르타이우스가 반란을 일으켜 기원전 404년에 페르시아인들을 몰아내고 파라오로 즉위하면서 제27왕조가 종식되었다.[1]
사트라프 이름 | 재위 기간 | 재위 군주 | 비고 |
---|---|---|---|
아리안데스 | 기원전 525년–기원전 522년, 기원전 518년–기원전 496년경 | 캄비세스 2세, 다리우스 1세 | 기원전 522년 반란으로 폐위되었다가 기원전 518년에 복위되었지만, 이후 다리우스 1세에 의해 다시 폐위됨 |
페렌다테스 | 기원전 496년경–기원전 486년경 | 다리우스 1세 | 반란 중 사망했을 가능성 있음 |
아케메네스 | 기원전 486년경–기원전 459년경 | 크세르크세스 1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 크세르크세스 1세의 형제. 반란군 이나로스 2세에게 살해됨 |
아르사메스 | 기원전 454년경–기원전 406년경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크세르크세스 2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 | 이집트에서 가장 오랫동안 재위한 사트라프 |
5. 문화와 종교
다리우스 1세는 캄비세스 2세보다 이집트 내부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이집트의 법을 성문화했으며,[38] 특히 수에즈에서 비터 호수와 홍해를 잇는 운하 굴착을 완료했다.[39] 이 운하는 험난한 사막 육로보다 훨씬 선호되었다. 이 업적 덕분에 다리우스는 숙련된 이집트 노동자와 장인을 페르시아의 궁전 건설에 투입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이집트에서 소규모 인재 유출이 발생하여 이 시기 이집트 건축과 예술의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리우스는 캄비세스보다 이집트 사원을 지원하는 데 더 헌신하여 이 지역에서 종교적 관용에 대한 명성을 얻었다.[40]
크세르크세스 1세는 다리우스 시대에 이집트가 누리던 특권적인 지위를 종식시키고, 아마도 그의 그리스 침공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이집트에 대한 공물 요구량을 늘렸다. 또한 크세르크세스는 전통적인 이집트 신들을 희생시키면서 조로아스터교 신 아후라 마즈다를 숭배했으며, 이집트 기념물에 대한 자금 지원을 영구적으로 중단했다.
6. 역사적 사료
이집트 제27왕조 연구에 중요한 역사적 사료는 다음과 같다:
- 헤로도토스의 ''역사'':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가 저술한 책으로, 페르시아 전쟁을 중심으로 당시의 여러 지역과 민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집트 제27왕조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 크테시아스의 ''페르시아지'' 단편: 크테시아스는 페르시아 궁정에서 활동한 그리스인 의사로, 페르시아의 역사를 다룬 ''페르시아지''를 저술했다. 현재는 단편만이 남아있지만, 이집트 제27왕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투키디데스의 ''전사'': 투키디데스는 아테네의 역사가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경과를 기록한 ''전사''를 저술했다. 이 책에는 이집트 제27왕조와 관련된 사건도 언급되어 있다.
-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의 ''역사총서'': 디오도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로, 세계사를 다룬 ''역사총서''를 저술했다. 이집트 제27왕조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 마네토의 ''이집트지'' 단편: 마네토는 이집트의 신관이자 역사가로, 이집트의 역사를 다룬 ''이집트지''를 저술했다. 현재는 단편만이 남아있지만, 이집트 제27왕조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유대 고대사'': 요세푸스는 유대인 출신의 로마 역사가로, 유대인의 역사를 다룬 ''유대 고대사''를 저술했다. 이 책에는 이집트 제27왕조와 관련된 내용도 언급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Atlas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
서적
Philip's Atlas of World History
http://users.rowan.e[...]
1999
[3]
서적
Atlas of Empires: The World's Great Powers from Ancient Times to Today
https://books.google[...]
i5 Publishing LLC
2018
[4]
서적
The Times Atlas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Times Books
1989
[5]
서적
The Archaeology of Power and Politics in Eurasia: Regimes and Revolu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6]
서적
The king and kingship in Achaemenid art: essays on the creation of an iconography of empire
https://books.google[...]
Diffusion, E.J. Brill
1979
[7]
서적
From Cyrus to Alexander: A History of the Persian Empire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2002
[8]
웹사이트
ACHAEMENID SATRAPIES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7-09-30
[9]
웹사이트
Polyaenus: Stratagems - Book 7
http://www.attalus.o[...]
2017-02-25
[10]
서적
Ars orientalis; the arts of Islam and the East
https://archive.org/[...]
Freer Gallery of Art
1954
[11]
웹사이트
Museum item, accession number: 36.106.2
https://www.metmuseu[...]
Metropolitan Museum of Art
[12]
간행물
Egyptian Hieroglyphs on Achaemenid Period Cylinder Seals
Iran, vol. 44
2006
[13]
웹사이트
DARIUS iii. Darius I the Great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7-02-25
[14]
간행물
UCLA Encyclopedia of Egyptology - Persian Period
http://escholarship.[...]
2017-02-25
[1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https://en.wikisourc[...]
[16]
웹사이트
Photius' excerpt of Ctesias' Persica (2)
https://www.livius.o[...]
2017-02-25
[17]
문서
"S. Zawadzki, \"The Circumstances of Darius II's Accession\" in Jaarbericht Ex Oriente Lux 34 (1995-1996) 45-49"
[18]
서적
Archaeology of Empire in Achaemenid Egypt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20
[19]
학위논문
The Archaeology of Achaemenid Rule in Egypt
2014
[20]
간행물
A Stone Jar with Inscriptions of Darius I in Four Languages
http://www.achemenet[...]
2002
[21]
웹사이트
Alabastres royaux d'époque achéménide
https://antiquitebnf[...]
2020
[22]
문서
Rulers with names in italics are considered fictional.
[23]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24]
웹사이트
Rulers of Mesopotamia
http://cdli.ox.ac.uk[...]
University of Oxford, CNRS
[25]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
[26]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1992
[27]
문서
Per [[Sumerian King List]]
[28]
서적
Israel and the Aramaeans of Damascus: A Study in Archaeological Illumination of Bible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
[29]
서적
Atlas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0]
서적
Philip's Atlas of World History
http://users.rowan.e[...]
1999
[31]
서적
Atlas of Empires: The World's Great Powers from Ancient Times to Today
https://books.google[...]
i5 Publishing LLC
2018
[32]
서적
The Times Atlas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Times Books
1989
[33]
문서
"[[英語|英]]:First Egyptian Satrapy。訳語は[[山花京子]]『古代エジプトの歴史』[[慶應義塾大学]]出版会、2010年 に用いられているものに依った。"
[34]
서적
山花京子『古代エジプトの歴史』慶應義塾大学出版会、2010年 142p、及び[[ピーター・クレイトン]]著、[[吉村作治]]訳『ファラオ歴代誌』[[創元社]]、1999年
[35]
서적
『[[歴史 (ヘロドトス)|歴史]]』巻3、91
[36]
서적
古代ペルシア
岩波書店
1974
[37]
웹사이트
Polyaenus: Stratagems - Book 7
http://www.attalus.o[...]
2017-02-25
[38]
서적
考古学から見た古代オリエント史
三笠宮崇仁
1983
[39]
서적
古代ペルシア
岩波書店
1974
[40]
역사기록
역사
[41]
웹사이트
DARIUS iii. Darius I the Great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7-02-25
[42]
웹사이트
UCLA Encyclopedia of Egyptology - Persian Period
http://escholarship.[...]
2015-09-19
[43]
서적
History of the Peloponnesian War
https://en.wikisourc[...]
[44]
웹사이트
Photius' excerpt of Ctesias' Persica (2)
http://www.livius.or[...]
2017-02-25
[45]
간행물
The Circumstances of Darius II's Accession
1995-1996
[46]
문서
혼란기로 통일왕조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