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제12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제12왕조는 기원전 1991년부터 기원전 1782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왕조로, 중왕국의 절정기로 여겨진다. 아멘엠하트 1세가 쿠데타를 통해 건국했으며, 수도를 테베에서 이티타위로 옮겼다. 이 왕조는 누비아와 레반트 지역으로의 원정을 통해 국경을 확장하고, 파이윰 지역의 농업 개발을 이루었다. 세누스레트 3세는 행정 권력을 집중시키고 누비아 원정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으며, 아메넴헤트 3세 치세에는 파이윰 간척 사업이 완성되었다. 아메넴헤트 4세 이후 왕조는 쇠퇴하여 소베크네페루를 마지막으로 제13왕조에 의해 멸망했다. 이 시대에는 문학 작품과 피라미드 건축이 부활했으며, 여러 군사 요새가 건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제12왕조 - 아메넴헤트 1세
아메넴헤트 1세는 이집트 제12왕조의 창건자이자 초대 파라오로, 왕위 찬탈 의혹 속에서 즉위 후 반대 세력 진압, 수도 건설, 중앙집권화 개혁을 추진했으며, 공동 통치 시스템 도입으로 왕위 계승 안정화를 꾀했으나 암살당했다. - 이집트 제12왕조 - 세누스레트 1세
세누스레트 1세는 이집트 제12왕조의 파라오로, 아버지 아메넴헤트 1세와 공동 통치를 시작하여 리비아인과의 전투 중 암살당한 아버지를 대신해 파라오가 되었으며, 누비아 영토 확장, 건축 사업 시행, 아들 아메넴헤트 2세와 공동 통치를 거쳐 45년간 통치했다. - 기원전 19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13왕조
이집트 제13왕조는 기원전 1803년부터 1649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했으나 권력 약화와 힉소스 침입으로 멸망한 왕조로, 짧은 통치의 왕들이 많아 혼란스러운 시기로 여겨지나 중앙 정부는 유지되었던 시기이다. - 기원전 19세기 이집트 - 도자기 하마 윌리엄
도자기 하마 윌리엄은 고대 이집트 파이앙스 기법으로 만들어져 나일강의 풍요를 상징하는 장식으로 꾸며졌으며, 사후 세계에서 보호를 위해 다리가 부러진 채 발견되어 현재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상징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 기원전 20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11왕조
이집트 제11왕조는 기원전 21세기 초 테베를 중심으로 성장하여 이집트 제1중간기를 종식시키고 중왕국 시대를 열었으며, 멘투호테프 2세의 통치 하에 이집트를 재통일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며 활발한 대외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문화적 번영을 이룩했으나, 멘투호테프 4세 이후 아멘엠하트 1세에 의해 멸망하고 제12왕조로 이어졌다. - 기원전 20세기 이집트 - 멘투호테프 3세
멘투호테프 3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로 12년간 통치하며 푼트 원정과 건축 사업을 진행했으나 무덤은 발견되지 않았고 '상카레'라는 왕명을 사용했다.
이집트 제12왕조 | |
---|---|
개요 | |
![]() | |
국명 (통칭) | 이집트 제12왕조 |
존속 기간 | 기원전 1991년 ~ 기원전 1802년 |
시대 | 이집트 중왕국 |
정치 체제 | 절대 군주제 |
수도 | 테베, 이티타위 |
공용어 | 이집트어 |
종교 | 고대 이집트 종교 |
역사 | |
이전 | 이집트 제11왕조 |
이후 | 이집트 제13왕조 |
2. 역사
신왕국 이전 시대 중에서 제12왕조의 연대기는 가장 안정적이다. 토리노 왕실 정경은 213년 (기원전 1991–1778년)으로 기록하고 있다. 마네토는 제12왕조가 테베에 기반을 두었다고 했지만, 동시대 기록에 따르면 이 왕조의 첫 번째 파라오인 아멘엠하트 1세가 수도를 "아멘엠하트-이티타위"("두 땅을 장악한 아멘엠하트")라는 새로운 도시, 더 간단히 이티타위로 옮겼다.[1] 이티타위의 위치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지만, 파이윰 근처, 아마도 엘 리쉬트의 왕실 묘지 근처로 추정된다.[2]
제12왕조의 통치자 순서는 아비도스와 사카라에 있는 사원에서 기록된 두 개의 목록과 마네토의 저작에서 파생된 목록 등 여러 출처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세누스레트 3세 치세 동안 기록된 한 날짜는 소티스 주기와 연관될 수 있으며,[3] 결과적으로 이 왕조 시대의 많은 사건들이 특정 연도로 지정될 수 있다. 그러나 학자들은 소티스 주기의 관측에 위치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 때문에, 언급된 날짜의 유용성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4]
이집트는 제12왕조 시대에 왕국 행정의 재조직과 파이윰 지역의 농업 개발 등 다양한 발전을 겪었다. 또한 누비아와 레반트 지역으로의 원정을 통해 이집트 국경을 크게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제12왕조는 종종 이집트 중왕국의 절정기로 여겨진다. 중왕국은 11왕조, 13왕조, 14왕조를 포함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11왕조와 12왕조만을 중왕국의 일부로 간주한다.
아멘엠하트 1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인 멘투호테프 4세의 재상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쿠데타를 통해 왕위를 찬탈했을 것으로 여겨진다.[32][33][34] 그는 누비아에 여러 군사 요새를 건설하고,[6] 비블로스 및 에게해의 헬레니즘 통치자들과 외교 관계를 재개했다. 세누스레트 1세는 아버지의 누비아 원정을 이어받아 이집트의 지배력을 나일강의 제3 여울까지 확장했다.[6]
세누스레트 3세는 각지의 주후(州侯)들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전국토를 북, 남, 최남의 셋으로 분할하여 각 지역에 고관 회의를 설치하여 주후를 통제하는 제도를 구축하여 내정을 안정시켰다.[54]
아메넴하트 3세는 전임자의 외교 정책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아메넴하트 3세 이후 왕조의 에너지는 대부분 소진되었고, 증가하는 정부의 문제들은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 소베크네페루가 해결해야 했다.
소베크네페루는 아메넴하트 3세의 딸로, 이집트의 왕이 된 최초의 여성으로 알려져 있다.[4] 그녀는 비교적 짧은 4년의 통치를 했으며, 다음 왕조는 아메넴하트 4세와 관련이 없는 후계자들에게로 왕위가 넘어가면서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0]
2. 1. 건국
아멘엠하트 1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인 멘투호테프 4세의 재상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쿠데타를 통해 왕위를 찬탈했을 것으로 여겨진다.[32][33][34] 다만, 11왕조의 재상 아멘엠하트와 12왕조의 초대 아멘엠헤트 1세가 동일 인물이라는 확증은 없으며, 신중한 입장을 취하는 학자도 있다.[35]『네페르티의 예언』에 따르면, 아멘엠하트 1세는 상 이집트 제1주의 출신이었다고 한다. 엘레판티네를 수도로 하는 이 주의 정확한 경계는 불분명하지만, 남쪽은 누비아이기 때문에 아멘엠하트 1세에게 누비아인의 피가 섞여 있다는 설도 있다.[36]
혼란이 계속된 제1중간기의 종말은 사람들에게 "구세주"에 의해 구원받았다는 관념을 낳았다. 이러한 풍조를 이용하여 제12왕조의 파라오들은 문학 작품을 통해 통일자이자 구원자는 아멘엠하트 1세라고 하는 정치 선전을 펼쳤다.[37]
『네페르티의 예언』은 이집트 제4왕조를 배경으로 신관 네페르티가 스네페루 파라오에게 예언을 들려주는 형식의 문서이다. 이 문서에서 네페르티는 전국토가 혼란에 빠지고 하 이집트에 아시아인이 침입할 것을 예언한다. 그리고 그 혼란을 구제할 자로서 아멘엠하트 1세가 등장한다고 하며, 그것을 수백 년 전에 예언되었다고 함으로써 신뢰성을 얻으려고 시도하고 있다.[37][38]
150px가 건설한 소 성당. 세소스트리스 1세가 세운 건조물로 현존하는 예는 적다. 이 건물은 해체되어 다른 건물로 전용되었지만, 그것을 회수하여 재건되었다[39]。]]
아멘엠하트 1세는 정통성을 확보하고 전략적인 이유로 수도를 테베(현재의 룩소르)에서 고왕국 시대의 수도 멤피스 근처에 건설된 이치타위로 옮겼다.[41][43][42] '두 땅의 정복자'라는 의미를 가진 이 신수도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불명확하다. 그는 근교의 엘 리슈트에 피라미드 단지 건설을 실시하여 구 질서의 부활자로서의 입장을 명확하게 했다.[43]
아멘엠하트 1세는 제11왕조 시대에 임명된 주후를 파면하고 왕실에 적대적인 유력자의 지위를 부활시켰다. 이는 그의 즉위가 제11왕조의 정책에 불만을 가진 유력자의 지지를 배경으로 한 것이었기 때문이다.[44] 그러나 가신이 강력한 권력을 가지는 것은 왕권 측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았기에, 제12왕조의 역대 파라오는 장기적으로 주후 등의 권력을 삭감해가는 방향으로 통치했다.[44] 그는 아들 세누스레트 1세를 공동 통치자로 임명하여 왕위 계승을 확실하게 하려고 했다.[44]
2. 2. 초기 파라오들의 통치 (아메넴헤트 1세 ~ 세누스레트 2세)
아메넴헤트 1세는 제11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인 멘투호테프 4세의 재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군대를 이끌고 남쪽으로는 나일강의 두 번째 폭포까지, 북쪽으로는 남부 가나안까지 진출했다. 그는 누비아에 여러 군사 요새를 건설하고,[6] 비블로스 및 에게해의 헬레니즘 통치자들과 외교 관계를 재개했다.세누스레트 1세는 재위 초기 10년 동안 아버지 아메넴헤트 1세와 공동 통치했다. 그는 아버지의 누비아 원정을 이어받아 이집트의 지배력을 나일강의 제3 여울까지 확장했다.[6] 또한 리쉬트에 피라미드, 카르나크에 사원 등 이집트 전역에서 상당한 양의 건축 사업을 시작하고, 왕국의 주요 사원 개축을 감독했다.[4]

아메넴헤트 2세는 전임자들과 달리 평화로운 시기에 왕위에 올랐으며, 그의 통치 하에 아시아, 지중해, 아프리카의 다른 국가들과의 무역이 번성했다. 그는 멤피스 근처 다슈르에 자신의 장례 단지를 건설했다.[6]

세누스레트 2세 또한 평화로운 시기에 통치했다. 그는 파이윰 분지를 농업 생산을 위해 개발한 최초의 왕이었다. 그는 여러 운하를 파고 호수의 물을 빼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파이윰의 농업 생산량을 극대화했다. 중왕국 시대에 파이윰 개발은 이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로마 시대의 노력을 위한 기반이 되었고, 이 지역을 지중해의 곡창 지대로 만들었다.[6]
2. 3. 국가 제도의 완성 (세누스레트 3세)
세누스레트 3세는 기원전 1878년경 즉위했다. 세누스레트 3세 시대에는 각지의 주후(州侯)들의 세력이 다시 왕권을 능가할 정도로 강해졌지만, 그는 이에 대항하기 위해 전국토를 북, 남, 최남의 셋으로 분할하고, 각 지역에 고관 회의를 설치하여 주후를 통제하는 제도를 구축하여 내정의 안정을 실현했다.[54] 그의 치세 동안 각지의 주후가 건설하는 묘 등은 눈에 띄게 축소, 감소하여 쇠퇴가 분명했다.[55] 또한 특정 관료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하나의 사항을 결정할 때 반드시 복수 부문이 관여하는 방식을 취했다.[55]
남방의 누비아에 대한 지배를 더욱 넓히기 위해 여러 차례 누비아 원정이 행해졌으며, 이 원정들은 성공적으로 끝났다. 세누스레트 3세는 자신의 승리를 비문에 높이 칭송했다.[57] 그의 남방에 대한 관심은 건축 면에서도 나타나, 과거 고왕국 시대에 만들어진 운하의 개수 공사를 실시하고, 정복지의 경계를 나타내기 위한 기념비를 세웠다. 또한 자신의 자손들에게 정복한 영토를 지키도록 훈고를 남겼다.[58]
2. 4. 번영의 절정 (아메넴헤트 3세)
아메넴헤트 3세는 그의 전임자의 외교 정책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아메넴헤트 3세 이후 이 왕조의 에너지는 대부분 소진되었고, 증가하는 정부의 문제들은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 소베크네페루가 해결해야 했다. 아메넴헤트 3세는 그가 건설한 하와라의 장제전으로 기억되었다.[1]제12왕조 시대에는 고왕국 시대 이래의 피라미드 건설이 부활했다. 수도가 된 이티타위 근교 엘 리쉬트(El-Lisht)를 중심으로 피라미드 건설이 이루어졌다. 이를 건설하기 위한 건재로서 기자, 사카라, 다슈르 등의 기존 건조물의 건재가 대량으로 재이용되었다.
제12왕조에서 건설된 피라미드 중에는 고왕국 시대 말기의 것보다 큰 것도 있었지만, 건조물로서의 구조는 예전의 피라미드 군과 비교했을 때 조잡했다. 피라미드는 잘 다듬어진 돌로 만든 격벽 사이에 거친 돌이나 일광 건조 벽돌로 채우고, 외장을 석회암으로 덮는 형식으로 지어졌다. 아이러니하게도 피라미드의 외장용 석회암은 후세에 다른 건조물을 만들기 위해 도난당했다. 그리고 내부 구조의 조잡함 때문에 외장을 잃은 피라미드는 순식간에 붕괴했다. 이 때문에 제12왕조 시대의 피라미드는 지금은 거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지 않으며, 멀리서 보면 단순한 흙산으로밖에 보이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대형 왕묘도 조영되었지만, 대부분 도굴되었다. 세누스레트 2세와 세누스레트 3세는 도굴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왕묘 입구를 숨겼다. 아메넴헤트 3세의 묘에는 미로와 함정, 슬라이드식 패널, 숨겨진 방 등이 설치되었고, 매장 후에는 묘가 묻혔다. 그러나 그 거대함 때문에 묘 도굴 방지책도 헛된 노력이었다. 다만 왕비 등의 묘 중에는 일부 부장품이 남아있는 것도 발견되었으며, 금과 보석으로 장식된 아름다운 액세서리가 발견되었다. 대표적인 것은 세누스레트 3세의 왕비 메리레트의 묘와 그의 여동생 사트하토르의 묘이다. 수없이 만들어진 요새의 유적이 여러 개 발견되었으며, 당시의 군사 기술 등을 알 수 있다.
2. 5. 쇠퇴와 멸망 (아메넴헤트 4세 ~ 소베크네페루)
아메넴하트 4세는 아버지 아메넴하트 3세의 뒤를 이어 약 9년 동안 통치했다. 아메넴하트 4세가 사망했을 때, 그는 명백한 후계자가 없었기 때문에 소베크네페루가 왕위에 올랐다.[9]소베크네페루는 아메넴하트 3세의 딸로, 이집트의 왕이 된 최초의 여성으로 알려져 있다.[4] 그녀는 아버지의 재위 기간 동안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해결되지 않은 정부 문제들을 안고 있었으며, 아메넴하트 4세의 뒤를 이었다. 아메넴하트 4세는 그녀의 형제, 이복 형제 또는 의붓 형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9] 아메넴하트 4세의 죽음 이후, 소베크네페루는 왕위 계승자가 되었는데, 이는 차기 통치자가 될 뻔했던 그녀의 언니 네페루프타가 어린 나이에 사망했기 때문이다. 소베크네페루는 제12왕조의 마지막 왕이었으며, 그녀에게 후계자가 있었다는 기록은 없다. 그녀는 또한 비교적 짧은 4년의 통치를 했으며, 다음 왕조는 계승의 변화와 함께 시작되었는데, 이는 아마도 아메넴하트 4세와 관련이 없는 후계자들에게로의 변화였을 것이다.[10]
3. 역대 파라오
호루스 이름 | 즉위명 | 탄생명 | 마네토에 의한 왕명 | 재위[69] | 비고 |
---|---|---|---|---|---|
세헤테푸이부타위 | 세헤테푸이부라 | 아메넴헤트 1세 | 안메네메스 | 기원전 1991년-기원전 1962년 | 제11왕조 시대의 재상 아멘엠하트와 동일 인물이라는 견해가 있다.[28][29][30] |
앙크메스트 | 케페르카라 | 세누스레트 1세 | 세손코시스 | 기원전 1971년-기원전 1926년 | |
헤케네므마트 | 네브카우라 | 아메넴헤트 2세 | 안마네메스 | 기원전 1929년-기원전 1895년 | |
세셤타위 | 카케페르라 | 세누스레트 2세 | 세소스트리스 | 기원전 1897년-기원전 1878년 | |
네체르케페르 | 카카우라 | 세누스레트 3세 | 라카레스 | 기원전 1878년-기원전 1841년 | |
아바우 | 니마트라 | 아메넴헤트 3세 | 아메레스 | 기원전 1842년-기원전 1797년 | |
케페르케페르우 | 마아케르우라 | 아메넴헤트 4세 | 안메네메스 | 기원전 1798년-기원전 1786년 | |
메리트라 | 세베크카라 | 소베크네프루 | 스케미오프리스 | 기원전 1785년-기원전 1782년 | 여왕. 아메넴헤트 3세의 딸[34] |
제12왕조에서는 전왕 생존 중에 공동 통치자로서 후계자를 즉위시키는 것이 관례였다. 위에 나타내는 왕의 재위 연도는 공동 통치자로서 즉위한 해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연대가 중복된다.[5]
3. 1. 아메넴헤트 1세
아메넴헤트 1세는 기원전 1991년부터 기원전 1962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파라오로, 이집트 제12왕조의 창시자이자 이집트 중왕국을 연 인물이다. 제11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인 멘투호테프 4세의 재상이었을 가능성이 있다.[5]아메넴헤트 1세는 군대를 이끌고 나일강의 두 번째 폭포까지 남쪽으로 진군하였고, 남부 가나안 지역까지 진출하여 이집트의 국경을 확장하였다. 이러한 군사적 확장의 일환으로 누비아 지역에 여러 군사 요새를 건설하도록 명령했다.[6] 또한, 비블로스의 가나안 국가 및 에게해의 헬레니즘 통치자들과 외교 관계를 재개했다.[6] 그는 세누스레트 1세의 아버지였다.
3. 2. 세누스레트 1세
아메넴헤트 1세의 아들이자 후계자로, 재위 초기 10년 동안 아버지와 공동으로 통치했다. 그는 아버지의 누비아 원정을 이어받아 이집트의 지배력을 나일강의 제3 여울까지 확장했다.[6] 군사적 확장 외에도, 세누스레트 1세는 이집트 내부의 성장을 책임졌다. 그는 왕으로서 리쉬트에 피라미드, 카르나크에 사원 등 이집트 전역에서 상당한 양의 건축 사업을 시작했으며, 왕국의 주요 사원 개축을 감독했다.[4]노멘(개인 이름) | 프레노멘(왕위명) | 호루스-이름 | 이미지 | 재위 기간 | 피라미드 | 왕비 |
---|---|---|---|---|---|---|
세누스레트 1세(세소스토리스 1세) | 케페르카레 | 앙크메수트 | ![]() | 기원전 1971년 – 기원전 1926년 | 세누스레트 1세의 피라미드 | 네페루 3세 |
3. 3. 아메넴헤트 2세
아메넴헤트 2세는 이집트 제12왕조의 세 번째 파라오로, 기원전 1929년부터 기원전 1895년까지 이집트를 통치했다. 그의 통치는 전임자들과 달리 평화로웠으며, 아시아, 지중해,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무역이 번성했다.[6] 그는 멤피스 근처 다슈르에 백색 피라미드를 건설하여 자신의 장례 단지로 삼았다.[6]노멘(개인 이름) | 프레노멘(왕위명) | 호루스-이름 | 이미지 | 재위 기간 | 피라미드 | 왕비 |
---|---|---|---|---|---|---|
아멘엠하트 2세 | 누브카우레 | 헤케네마아트 | ![]() | 기원전 1929년 – 기원전 1895년 | 백색 피라미드 | 카네페루 케미누브? |
3. 4. 세누스레트 2세
세누스레트 2세는 기원전 1897년부터 기원전 1878년까지 이집트 제12왕조를 다스렸다. 그는 파이윰 분지를 농업 생산을 위해 개발한 최초의 왕이었다. 파이윰 개발은 여러 운하를 파고 호수의 물을 빼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농업 생산량을 극대화하는 것이었다.[6] 이 개발은 이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로마 시대의 노력을 위한 기반이 되었고, 이 지역을 지중해의 곡창 지대로 만들었다.[6]3. 5. 세누스레트 3세
세누스레트 3세는 기원전 1878년경 즉위한 강력한 군주였다.[54] 그는 이전 통치자들 아래에서 불안정해진 누비아를 정복하기 위해 징벌 원정을 보냈고, 여러 개의 새로운 요새를 건설하고 기존 요새를 확장하도록 명령했다.[8] 또한 레반트로도 원정을 보냈다.[4] 이러한 군사적 업적은 그가 전사 왕으로 추앙받고 누비아에서 신으로 숭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4]
세누스레트 3세는 행정 개혁을 통해 중앙집권 체제를 확립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는 왕국 내 행정 권력을 집중화하여 이집트 전체를 세 개의 큰 행정 구역으로 나누고, 각 지역에 고관 회의를 설치하여 지방 세력(주후)을 통제했다.[6][54] 이로 인해 각지의 주후들이 건설하는 묘는 눈에 띄게 축소, 감소하여 쇠퇴가 분명해졌다.[55] 또한, 특정 관료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해 여러 부문이 협력하는 통치 방식을 도입했다.[55]
그는 남쪽 누비아에 대한 지배를 넓히기 위해 여러 차례 원정을 실시했고, 이는 성공적이었다.[57] 과거 고왕국 시대에 만들어진 운하를 개수하고, 정복지의 경계를 표시하는 기념비를 세웠으며, 후손들에게 정복한 영토를 지키도록 훈고를 남겼다.[58]
세누스레트 3세는 기원전 1841년에 사망했으며,[61] 그의 피라미드는 다슈르에 있다.[5]
3. 6. 아메넴헤트 3세
아메넴헤트 3세는 세누스레트 3세의 뒤를 이어 이집트 제12왕조를 다스렸으며, 선왕의 외교 정책을 계승했다. 그는 하와라에 장제전을 건설한 것으로 유명하다.[5]노멘(개인 이름) | 프레노멘(왕위명) | 호루스-이름 | 이미지 | 재위 기간 | 피라미드 | 왕비 |
---|---|---|---|---|---|---|
아메넴헤트 3세 | 니마아트레 | 아아바우 | 기원전 1860년 – 기원전 1814년 | 흑색 피라미드, 하와라의 피라미드 | 아아트, 헤테피, 케네메트네페르헤제트 3세 |
3. 7. 아메넴헤트 4세
아메넴헤트 4세는 아메넴헤트 3세의 뒤를 이어 약 9년 동안 이집트 제12왕조를 다스렸다.[5] 그의 사후에는 뚜렷한 왕위 계승자가 없어 소베크네프루가 왕위에 올랐다.[5]노멘(개인 이름) | 프레노멘(왕위명) | 호루스-이름 | 이미지 | 재위 기간 | 피라미드 | 왕비 |
---|---|---|---|---|---|---|
아메넴헤트 4세 | 마아케루레 | 케페르케페루 | ![]() | 기원전 1815년 – 기원전 1806년 | 남 마즈구나 피라미드 (추정) |
3. 8. 소베크네페루
소베크네페루는 아메넴하트 3세의 딸로, 이집트 역사상 최초의 여성 파라오로 알려져 있다.[4] 아메넴하트 4세의 뒤를 이어 파라오가 되었으며, 제12왕조의 마지막 통치자였다.[5]소베크네페루는 아버지의 재위 기간 동안 발생한 해결되지 않은 정부 문제들을 안고 통치를 시작했다.[9] 그녀는 원래 왕위 계승자였던 언니 네페루프타가 어린 나이에 사망하면서 왕위를 계승받았다.[9]
소베크네페루의 재위 기간은 약 4년으로 비교적 짧았으며, 후계자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10] 그녀의 통치 이후, 제12왕조는 막을 내리고 새로운 왕조가 시작되었다.[10]
노멘(개인 이름) | 프레노멘(왕위명) | 호루스-이름 | 이미지 | 재위 기간 | 피라미드 | 왕비 |
---|---|---|---|---|---|---|
소베크네페루 | 소베크카레 | 메리트레 | ![]() | 기원전 1806년 – 기원전 1802년 | 북 마즈구나 피라미드 (추정) |
4. 문화
이집트 제12왕조 시대는 이집트 중왕국의 절정기로 여겨지며, 왕국 행정 재조직, 파이윰 지역 농업 개발, 누비아와 레반트 지역으로의 원정 등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다. 특히 문학과 건축 분야에서 두드러진 발전을 보였다.
4. 1. 문학
이집트 제12왕조 시대는 문학이 크게 발전한 시기로, 이집트 문학의 황금기로 여겨진다. 이 시기에는 여러 유명한 문학 작품들이 등장했는데, 그중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시누헤 이야기이다.[11] 이 작품의 파피루스 사본은 신왕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오랫동안 사랑받았다.제12왕조와 관련된 문학 작품 중 일부는 정치적인 선전의 성격을 띠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네페르티의 예언이 있다.[11] 이 작품은 아멘엠하트 1세의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역사적 사실을 각색하여 작성되었다. 작품은 제4왕조의 스네페루 왕에게 현자 네페르티가 혼란스러운 내전을 예언하고, '아메니'(아멘엠하트 1세)라는 위대한 왕이 나타나 이집트를 통일하고 평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1] 이를 통해 아멘엠하트 1세의 등장을 오래전부터 예견된 일로 묘사하여 그의 왕권의 정당성을 강조하려 했다.[37][38] 네페르티의 예언의 거의 완전한 사본은 제18왕조의 투트모세 3세 시대의 것이지만, 아멘엠하트 1세 즉위 직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38][36]
제12왕조 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문학 작품들도 창작되었다.
4. 2. 건축
아멘엠하트 1세는 엘 리쉬트에 피라미드를 건설하였고, 다른 왕들도 엘 리쉬트와 다슈르 등지에 피라미드를 건설하면서 피라미드 건설이 다시 활발해졌다.[1][2]세누스레트 3세는 누비아와의 국경을 따라 여러 개의 새로운 요새를 건설하고 기존 요새를 확장하도록 명령했다.[8]
참조
[1]
논문
Amenemhat I and the Early Twelfth Dynasty at Thebes
https://www.academia[...]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
간행물
The Sothic Dating of the Twelfth and Eighteenth Dynasties
http://caeno.org/_Na[...]
1977
[4]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Wiley-Blackwell
2011
[5]
서적
The Complete Royal Families of Ancient Egypt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6]
서적
History of Ancient Egypt: Translated by David Lorton
http://www.jstor.org[...]
2024-03-04
[7]
웹사이트
Guardian Figure
https://www.metmuseu[...]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22-02-09
[8]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Egypt
Wiley Blackwell
2014
[9]
서적
The Complete Royal Families of Egypt
[10]
서적
The Political Situation in Egypt during the Second Intermediate Period
[11]
서적
Ancient Egyptian Literature
https://doi.org/10.2[...]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4-03-18
[12]
논문
"Then a king will come from the South, Ameny, the justified, by name, son of a woman of Ta-seti, child of Upper Egypt"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13]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Wiley-Blackwell (July 19, 1994)
[14]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e Reign-by-Reign Record of the Rulers and Dynasti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15]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Facts on File Library of World History)
Facts on File
[16]
논문
Amenemhat I and the Early Twelfth Dynasty at Thebes
[17]
논문
A Forgotten Governor Of Elephantine During The Twelfth Dynasty: Ameny
The Egypt Exploration Society
[18]
서적
Offerings to the Discerning Eye
Brill
[19]
서적
The Middle Kingdom in Egypt. Internal History from the Rise of the Heracleopolitans to the Death of Ammenemes II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백과사전
Amenemhet I
https://www.encyclop[...]
[21]
서적
General History of Africa Volume II - Ancient civilizations of Africa (ed. G Moktar)
UNESCO
[22]
논문
Critique of the "Black Pharaohs" Theme: Racist Perspectives of Egyptian and Kushite/Nubian Interactions in Popular Media
2021-12-01
[2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cient Nub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1-04-10
[24]
서적
Ancient Egyptian Imperialism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8-08-06
[25]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Wiley
2021
[26]
서적
The story of Egypt : the civilization that shaped the world
Pegasus Books
2017
[27]
논문
Ethnicity: Constructions of Self and Other in Ancient Egypt
https://brill.com/vi[...]
2018-10-08
[28]
문서
フィネガン 1983
[29]
문서
屋形ら 1998
[30]
문서
クレイトン 1999
[31]
문서
スペンサー 2009
[32]
문서
フィネガン 1983
[33]
문서
クレイトン 1998
[34]
문서
ドドソン, ヒルトン 2012
[35]
문서
スペンサー 2009
[36]
서적
フィネガン 1983
[37]
서적
屋形ら 1998
[38]
서적
屋形訳 1978
[39]
서적
クレイトン 1999
[40]
문서
紀元前3世紀のエジプトの歴史家マネトの記録ではディオスポリスマグナと呼ばれている。これはゼウスの大都市の意であり、この都市がネウト・アメン(アメンの都市)と呼ばれたことに対応したものである。この都市は古くはヌエと呼ばれ、旧約聖書ではノと呼ばれている。ヌエとは大都市の意である。エジプト新王国時代にはワス、ワセト、ウェセ(権杖)とも呼ばれた。
[41]
서적
フィネガン 1983
[42]
서적
ウィルキンソン 2015
[43]
서적
屋形ら 1998
[44]
서적
屋形ら 1998
[45]
웹사이트
西村洋子による全訳と解説
https://web.archive.[...]
[46]
서적
屋形ら 1998
[47]
서적
クレイトン 1999
[48]
서적
クレイトン 1999
[49]
서적
屋形ら 1998
[50]
서적
フィネガン 1983
[51]
서적
ヘロドトス 1971
ヘロドトス
[52]
서적
フィネガン 1983
[53]
서적
屋形ら 1998
[54]
서적
クレイトン 1999
[55]
서적
屋形ら 1998
[56]
서적
ドドソン, ヒルトン 2012
[57]
서적
クレイトン 1999
[58]
서적
クレイトン 1999
[59]
서적
ヘロドトス 1971
ヘロドトス
[60]
서적
フィネガン 1983
[61]
서적
クレイトン 1999
[62]
서적
屋形ら 1998
[63]
서적
クレイトン 1999
[64]
서적
クレイトン 1999
[65]
서적
屋形ら 1998
[66]
서적
スペンサー 2009
[67]
서적
ドドソン, ヒルトン 2012
[68]
서적
クレイトン 1999
[69]
서적
クレイトン 1999
[70]
문서
혼란기로 통일왕조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