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피라미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피라미드는 고대 이집트 시대에 건설된 기념비적인 건축물로, 초기 왕조 시대부터 쿠시 왕국 시대까지 다양한 시기에 걸쳐 발전했다. 최초의 피라미드는 조세르의 계단식 피라미드로, 이후 기자, 다슈르, 사카라 등지에 다양한 형태와 규모의 피라미드가 건설되었다. 피라미드는 파라오의 매장 시설이자 종교적 상징으로, 벤벤, 태양 광선 등을 나타내는 형태로 여겨진다. 건설 기술은 돌의 채석, 운반, 가공, 배치 등 고도의 기술을 요구했으며, 최근 연구를 통해 건설 과정에 대한 새로운 사실들이 밝혀지고 있다.
2. 역사적 발전
이집트 피라미드는 초기 왕조 시대부터 시작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마스타바라고 불리는 벤치 모양의 무덤이 사용되었으며, 조세르 피라미드를 시작으로 점차 계단식 피라미드 형태로 발전했다.[11][12] 임호테프가 설계한 것으로 알려진 조세르 피라미드는 파라오의 영혼이 하늘로 올라갈 수 있도록 계단 형태로 건설되었다.[14]
4왕조 시대에는 메이둠, 다슈르, 기자의 대피라미드 등 거대한 피라미드들이 건설되면서 피라미드 건축 기술이 정점에 달했다. 그러나 5왕조 이후부터는 여러 가지 이유로 피라미드의 규모가 작아지고 건설 기술도 쇠퇴했다.[17] 6왕조 말에는 피라미드 건설이 거의 중단되었고, 중왕국 시대에 다시 큰 피라미드가 건설되었지만, 이전 시대만큼 정교하지는 않았다.
이집트의 피라미드 건설 시대가 끝난 후, 쿠시 왕국이 이집트를 지배하면서 현재의 수단 지역에서 피라미드 건설이 다시 활발해졌다. 나파타와 메로에를 중심으로 이집트 양식의 영향을 받은 수많은 피라미드들이 건설되었다.
다음은 주요 피라미드들의 건설 연대기를 정리한 표이다.피라미드 (파라오) 통치 기간 위치 높이 조세르 피라미드
(조세르)기원전 2670년경 사카라 62m 붉은 피라미드
(스네프루)기원전 2612년~2589년경 다슈르 104m 메이둠 피라미드
(스네프루)기원전 2612년~2589년경 메이둠 65m (파괴됨)
원래는 91.65m이었을 것으로 추정됨.기자 대피라미드
(쿠푸)기원전 2589년~2566년경 기자 146.7m 제데프레 피라미드
(제데프레)기원전 2566년~2558년경 아부라와시 60m 카프레 피라미드
(카프레)기원전 2558년~2532년경 기자 136.4m 멘카우라 피라미드
(멘카우라)기원전 2532년~2504년경 기자 65m 우세르카프 피라미드
(우세르카프)기원전 2494년~2487년경 사카라 48m 사후레 피라미드
(사후레)기원전 2487년~2477년경 아부시르 47m 네페르카레 피라미드
(네페르카레 카카이)기원전 2477년~2467년경 아부시르 72.8m 뉴세르레 피라미드
(뉴세르레 이니)기원전 2416년~2392년경 아부시르 51.68m 아메네메하트 1세 피라미드
(아메네메하트 1세)기원전 1991년~1962년경 리슈트 55m 세누세르트 1세 피라미드
(세누세르트 1세)기원전 1971년~1926년경 리슈트 61.25m 세누세르트 2세 피라미드
(세누세르트 2세)기원전 1897년~1878년경 엘라훈 48.65m 검은 피라미드
(아메네메하트 3세)기원전 1860년~1814년경 다슈르 75m 헨저 피라미드
(헨저)기원전 1764년~1759년경 사카라 약 37m (현재 완전히 파괴됨) 피예의 피라미드
(피예)기원전 721년경 엘쿠루 20m 또는 30m 타하르카의 피라미드
(타하르카)기원전 664년경 누리 40m 또는 50m
2. 1. 초기 발전
동부 사하라의 초기 유적이라고 추정되는 곳들에 이어, 거석 기념물이 있는 고분(tumuli)은 기원전 4700년경 니제르 사하라 지역에서 발달했다.[10] 페크리 하산(Fekri Hassan)은 니제르와 동부 사하라 지역의 거석 기념물이 고대 이집트의 마스타바와 피라미드의 선행 요소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10] 전이집트 시대에는 나카다(Naqada), 헬완(Helwan) 등 여러 지역에 고분이 있었다.[10]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3150~2686년경)부터, 충분한 자산을 가진 이집트인들은 마스타바라고 알려진 벤치 모양의 구조물에 매장되었다.[11][12] 사카라에서는 1왕조 후기에 건설된 마스타바 3808에서 외부 궁전 정면 마스타바 안에 독립적으로 건설된 큰 계단 피라미드 모양의 구조물이 발견되었다. 고고학적 유물과 비문은 이 시대에 이와 유사한 다른 구조물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3]
역사적으로 기록된 최초의 이집트 피라미드는 이집트학자들에 의해 3왕조 파라오 조세르(Djoser)의 것으로 여겨진다. 이집트학자들은 종종 그의 재상 임호테프(Imhotep)를 건축가로 지목하지만, 당대 또는 그 이후의 많은 왕조 문서에서 이집트인들은 그에게 조세르의 피라미드 설계나 석조 건축의 발명을 기여한 것으로 언급하지 않았다.[14] 조세르 피라미드는 처음에는 정사각형 마스타바 모양의 구조물(일반적으로 직사각형으로 알려져 있음)로 건설되었으며, 일련의 추가 층을 통해 여러 차례 확장되어 오늘날 우리가 보는 계단식 피라미드 구조를 만들었다.[15] 이집트학자들은 이 디자인이 사망한 파라오의 영혼이 하늘로 올라갈 수 있는 거대한 계단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믿는다.[16]
조세르 이후 3왕조에서 다른 피라미드가 시도되었지만, 계단식 피라미드에서 진정한 피라미드 형태로 전환된 4왕조는 메이둠, 다슈르, 기자의 대피라미드를 탄생시켰다. 4왕조의 마지막 파라오 셉세스카프는 피라미드를 건설하지 않았고, 5왕조부터 여러 가지 이유로 건설 규모와 정밀도가 크게 감소하여 후대의 피라미드는 더 작고, 건설 상태가 좋지 않고, 종종 서둘러 건설되었다. 6왕조 말까지 피라미드 건설은 대부분 끝났고, 중왕국이 되어서야 다시 큰 피라미드가 건설되었지만, 돌 대신 진흙 벽돌이 주요 건축 자재였다.[17]
이집트의 피라미드 건설 시대가 끝난 오래 후, 이집트의 대부분이 나파타를 중심으로 한 쿠시 왕국의 지배를 받게 된 후, 현재 수단에서 피라미드 건설이 급증했다. 25왕조로 알려진 나파타 통치는 기원전 750년부터 기원전 664년까지 지속되었다. 왕국이 메로에를 중심으로 했던 쿠시 역사의 메로이틱 시대(기원전 300년경부터 기원후 300년경까지)에는 이집트에서 영감을 받은 약 180개의 토착 왕족 피라미드 무덤이 왕국의 수도 주변에 건설된 본격적인 피라미드 건설 부흥이 있었다.
고대 이집트 왕조 초기부터, 마스타바라 불리는 벤치 모양의 구조물은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36][37] 기록상 최초의 이집트 피라미드는 임호테프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제1왕조의 파라오인 조세르를 위해 계획된 것으로 여겨진다. 임호테프는 여러 개의 마스타바를 쌓아 올려 정점까지 여러 단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구조물을 최초로 구상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 결과물이 조세르의 계단식 피라미드이며, 사망한 파라오의 영혼이 계단을 올라 천국으로 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것이 후대 이집트인들에게 임호텝을 신성시하게 만든 중요한 업적이었다.[38]
피라미드가 가장 많이 건설된 시대는 파라오의 권위가 절대적이었던 시대와 일치한다. 기자 피라미드 근처에 있는 많은 유명한 피라미드들도 이 시대에 건설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권위는 분산되었고, 피라미드 건설에 필요한 자원과 열정은 사라져 피라미드의 규모는 작고 초라해졌다.
피라미드 건설 시대가 종식된 후에도 그 영향은 주변 국가들에 미쳤다. 특히 현재의 수단에 거주하던 누비아인들에게 그 영향이 현저하다. 누비아인들은 북쪽으로 진격하여 이집트를 지배하고 제25왕조를 건설했지만, 이후 아시리아에 밀려 남쪽으로 이동하여 나파타를 수도로 하는 쿠시 왕국을 세우고 그 수도와 인근 게벨 바르칼에 많은 피라미드를 건설했다. 기원전 661년 나파타를 수도로 하는 시대가 끝나고 기원전 300년경부터 300년경 메로에를 수도로 하는 시대가 되자 피라미드 재건의 열기가 다시 높아져 200개 이상의 피라미드가 건설되었다.
아래 표는 이집트 주요 피라미드를 건설 연대순으로 정리한 것이다. 각 피라미드는 건설을 의뢰한 파라오의 이름으로 표기되며, 대략적인 연대와 위치가 기록되어 있다.
피라미드/파라오 | 재위 기간 | 위치 |
---|---|---|
조세르 | 기원전 2630년경 ~ 2612년경 | 사카라 |
스네프루 | 기원전 2612년경 ~ 2589년경 | 다슈르 |
스네프루 | 기원전 2612년경 ~ 2589년경 | 다슈르 |
스네프루 | 기원전 2612년경 ~ 2589년경 | 메이둠 |
쿠푸 | 기원전 2589년경 ~ 2566년경 | 기자 |
제데프라 | 기원전 2566년경 ~ 2558년경 | 아부시르 |
카프라 | 기원전 2558년경 ~ 2532년경 | 기자 |
멘카우라 | 기원전 2532년경 ~ 2504년경 | 기자 |
사후라 | 기원전 2487년경 ~ 2477년경 | 아부시르 |
네페르카레 | 기원전 2477년경 ~ 2467년경 | 아부시르 |
니우세라 | 기원전 2416년경 ~ 2392년경 | 아부시르 |
아멘엠하트 1세 | 기원전 1991년경 ~ 1962년경 | 리슈트 |
센우세르트 1세 | 기원전 1971년경 ~ 1926년경 | 리슈트 |
센우세르트 2세 | 기원전 1897년경 ~ 1878년경 | 엘라훈 |
아멘엠하트 3세 | 기원전 1860년경 ~ 1814년경 | 하와라 |
2. 2. 전성기 (고왕국 시대)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3150~2686년경)부터 재력이 충분한 이집트인들은 마스타바라고 알려진 벤치 모양의 구조물에 매장되었다.[11][12] 역사적으로 기록된 최초의 이집트 피라미드는 제3왕조 파라오 조세르의 것으로 여겨진다. 이집트학자들은 종종 그의 재상 임호테프를 건축가로 지목하지만, 당대 또는 그 이후의 많은 왕조 문서에서 이집트인들은 그에게 조세르 피라미드의 설계나 석조 건축의 발명을 기여한 것으로 언급하지 않았다.[14] 조세르 피라미드는 처음에는 정사각형 마스타바 모양의 구조물로 건설되었으며, 일련의 추가 층을 통해 여러 차례 확장되어 오늘날 우리가 보는 계단식 피라미드 구조를 만들었다.[15] 이집트학자들은 이 디자인이 사망한 파라오의 영혼이 하늘로 올라갈 수 있는 거대한 계단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믿는다.[16]조세르 이후 제3왕조에서 다른 피라미드가 시도되었지만, 계단식 피라미드에서 진정한 피라미드 형태로 전환된 제4왕조는 메이둠, 다슈르, 기자 대피라미드를 탄생시켰다. 제4왕조의 마지막 파라오 셉세스카프는 피라미드를 건설하지 않았고, 제5왕조부터 여러 가지 이유로 건설 규모와 정밀도가 크게 감소하여 후대의 피라미드는 더 작고, 건설 상태가 좋지 않고, 종종 서둘러 건설되었다. 제6왕조 말까지 피라미드 건설은 대부분 끝났다.[17]
다음 표는 주요 피라미드 대부분의 건설 연대기를 보여준다. 각 피라미드는 건설을 명령한 파라오, 그의 대략적인 통치 기간 및 위치를 통해 식별된다.
피라미드 (파라오) | 통치 기간 | 위치 | 높이 |
---|---|---|---|
조세르 피라미드 (조세르) | 기원전 2670년경 | 사카라 | 62m |
붉은 피라미드 (스네프루) | 기원전 2612년~2589년경 | 다슈르 | 104m |
메이둠 피라미드 (스네프루) | 기원전 2612년~2589년경 | 메이둠 | 65m (파괴됨) 원래는 91.65m이었을 것으로 추정됨. |
기자 대피라미드 (쿠푸) | 기원전 2589년~2566년경 | 기자 | 146.7m |
제데프레 피라미드 (제데프레) | 기원전 2566년~2558년경 | 아부라와시 | 60m |
카프레 피라미드 (카프레) | 기원전 2558년~2532년경 | 기자 | 136.4m |
멘카우라 피라미드 (멘카우라) | 기원전 2532년~2504년경 | 기자 | 65m |
우세르카프 피라미드 (우세르카프) | 기원전 2494년~2487년경 | 사카라 | 48m |
사후레 피라미드 (사후레) | 기원전 2487년~2477년경 | 아부시르 | 47m |
네페르카레 피라미드 (네페르카레 카카이) | 기원전 2477년~2467년경 | 아부시르 | 72.8m |
뉴세르레 피라미드 (뉴세르레 이니) | 기원전 2416년~2392년경 | 아부시르 | 51.68m |
아메네메하트 1세 피라미드 (아메네메하트 1세) | 기원전 1991년~1962년경 | 리슈트 | 55m |
세누세르트 1세 피라미드 (세누세르트 1세) | 기원전 1971년~1926년경 | 리슈트 | 61.25m |
세누세르트 2세 피라미드 (세누세르트 2세) | 기원전 1897년~1878년경 | 엘라훈 | 48.65m |
검은 피라미드 (아메네메하트 3세) | 기원전 1860년~1814년경 | 다슈르 | 75m |
헨저 피라미드 (헨저) | 기원전 1764년~1759년경 | 사카라 | 약 37m (현재 완전히 파괴됨) |
피예의 피라미드 (피예) | 기원전 721년경 | 엘쿠루 | 20m 또는 30m |
타하르카의 피라미드 (타하르카) | 기원전 664년경 | 누리 | 40m 또는 50m |
2. 3. 쇠퇴기 (중왕국 시대 이후)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3150~2686년경)부터, 재력이 충분한 이집트인들은 마스타바라고 알려진 벤치 모양의 구조물에 매장되었다.[11][12]4왕조는 메이둠 피라미드, 다슈르의 붉은 피라미드, 기자 대피라미드를 건설했다. 5왕조부터 여러 가지 이유로 건설 규모와 정밀도가 크게 감소하여 후대의 피라미드는 더 작고, 건설 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종종 서둘러 건설되었다. 6왕조 말까지 피라미드 건설은 대부분 끝났고, 중왕국 시대에 들어서야 다시 큰 피라미드가 건설되었지만, 돌 대신 진흙 벽돌이 주요 건축 자재였다.[17]
이집트의 피라미드 건설 시대가 끝난 후, 이집트의 대부분이 나파타를 중심으로 한 쿠시 왕국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현재의 수단 지역에서 피라미드 건설이 급증했다. 25왕조로 알려진 나파타 통치는 기원전 750년부터 기원전 664년까지 지속되었다. 이후 왕국이 메로에를 중심으로 했던 쿠시 역사의 메로이틱 시대(기원전 300년경부터 기원후 300년경까지)에는 이집트에서 영감을 받은 약 180개의 토착 왕족 피라미드 무덤이 왕국의 수도 주변에 건설되는 등 본격적인 피라미드 건설 부흥이 일어났다.
다음 표는 언급된 주요 피라미드 대부분의 건설 연대기를 보여준다. 각 피라미드는 건설을 명령한 파라오, 그의 대략적인 통치 기간 및 위치를 통해 식별된다.
피라미드 (파라오) | 통치 기간 | 위치 | 높이 |
---|---|---|---|
조세르 피라미드 (조세르) | 기원전 2670년경 | 사카라 | 62m |
붉은 피라미드 (스네프루) | 기원전 2612년~2589년경 | 다슈르 | 104m |
메이둠 피라미드 (스네프루) | 기원전 2612년~2589년경 | 메이둠 | 65m (파괴됨) 원래는 91.65m이었을 것으로 추정됨. |
기자 대피라미드 (쿠푸) | 기원전 2589년~2566년경 | 기자 | 146.7m |
제데프레 피라미드 (제데프레) | 기원전 2566년~2558년경 | 아부라와시 | 60m |
카프레 피라미드 (카프레) | 기원전 2558년~2532년경 | 기자 | 136.4m |
멘카우라 피라미드 (멘카우라) | 기원전 2532년~2504년경 | 기자 | 65m |
우세르카프 피라미드 (우세르카프) | 기원전 2494년~2487년경 | 사카라 | 48m |
사후레 피라미드 (사후레) | 기원전 2487년~2477년경 | 아부시르 | 47m |
네페르카레 피라미드 (네페르카레 카카이) | 기원전 2477년~2467년경 | 아부시르 | 72.8m |
뉴세르레 피라미드 (뉴세르레 이니) | 기원전 2416년~2392년경 | 아부시르 | 51.68m |
아메네메하트 1세 피라미드 (아메네메하트 1세) | 기원전 1991년~1962년경 | 리슈트 | 55m |
세누세르트 1세 피라미드 (세누세르트 1세) | 기원전 1971년~1926년경 | 리슈트 | 61.25m |
세누세르트 2세 피라미드 (세누세르트 2세) | 기원전 1897년~1878년경 | 엘라훈 | 48.65m |
검은 피라미드 (아메네메하트 3세) | 기원전 1860년~1814년경 | 다슈르 | 75m |
헨저 피라미드 (헨저) | 기원전 1764년~1759년경 | 사카라 | 약 37m, 현재 완전히 파괴됨 |
피예의 피라미드 (피예) | 기원전 721년경 | 엘쿠루 | 20m 또는 30m |
타하르카의 피라미드 (타하르카) | 기원전 664년경 | 누리 | 40m 또는 50m |
이집트어로 피라미드를 뜻하는 단어는 ''myr''이며, O24 기호(𓉴)로 표기된다. ''myr''의 정확한 의미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건축물 자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myr''은 이집트 창조 신화에서 심연에서 발생한 존재의 언덕인 ''벤벤''과 관련이 있으며, 피라미드와 오벨리스크의 정상부 건축 요소인 ''벤베넷''(benbenet)과도 연관된다.
3. 피라미드의 상징
상형 문자 기호 이집트어 한국어 𓉴 myr 피라미드 𓉴 benben 원시 언덕 𓉴 benbent 피라미드 꼭대기 장식 𓉴 Aaa 피라미드 무덤[9]
3. 1. 종교적 상징
이집트 피라미드의 형태는 이집트인들이 지구가 창조되었다고 믿었던 원시 언덕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피라미드의 형태는 태양의 내리쬐는 광선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여겨지며, 대부분의 피라미드는 광택이 나는 반사율이 높은 흰색 석회암으로 덮여 있어 멀리서 보았을 때 눈부신 모습을 보였다. 피라미드는 종종 태양의 광채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명명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다슈르에 있는 굽은 피라미드의 공식 명칭은 "남쪽의 빛나는 피라미드"였고, 엘라훈에 있는 세누세르트 2세의 피라미드는 "세누세르트가 빛난다"였다.
피라미드가 매장 기념물이라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동의하지만, 피라미드를 만들어낸 특정 신학적 원리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의견이 분분하다. 한 가지 제안은 피라미드가 일종의 "부활 기계"로 설계되었다는 것이다.[18]
이집트인들은 별들이 회전하는 것처럼 보이는 주변의 어두운 영역이 하늘로 들어가는 물리적 관문이라고 믿었다. 대피라미드의 주 매장실에서 피라미드 전체를 관통하여 뻗어나가는 좁은 통로 중 하나는 이 하늘 부분의 중심을 정확히 가리킨다. 이는 피라미드가 사망한 파라오의 영혼을 신들의 거처로 마법처럼 직접 보내는 수단으로 설계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18]
모든 이집트 피라미드는 나일 강 서쪽 기슭에 세워졌는데, 이곳은 해가 지는 곳으로서 이집트 신화에서 죽음의 영역과 관련이 있었다.[19]
3. 2. 배치
이집트 피라미드의 형태는 이집트인들이 지구가 창조되었다고 믿었던 원시 언덕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피라미드의 형태는 태양의 내리쬐는 광선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여겨지며, 대부분의 피라미드는 광택이 나는 반사율이 높은 흰색 석회암으로 덮여 있어 멀리서 보았을 때 눈부신 모습을 보였다. 피라미드는 종종 태양의 광채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명명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다슈르에 있는 굽은 피라미드의 공식 명칭은 "남쪽의 빛나는 피라미드"였고, 엘라훈에 있는 세누세르트 2세의 피라미드는 "세누세르트가 빛난다"였다.
피라미드가 매장 기념물이라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동의하지만, 피라미드를 만들어낸 특정 신학적 원리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의견이 분분하다. 한 가지 제안은 피라미드가 일종의 "부활 기계"로 설계되었다는 것이다.[18]
이집트인들은 별들이 회전하는 것처럼 보이는 주변의 어두운 영역이 하늘로 들어가는 물리적 관문이라고 믿었다. 대피라미드의 주 매장실에서 피라미드 전체를 관통하여 뻗어나가는 좁은 통로 중 하나는 이 하늘 부분의 중심을 정확히 가리킨다. 이는 피라미드가 사망한 파라오의 영혼을 신들의 거처로 마법처럼 직접 보내는 수단으로 설계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18]
모든 이집트 피라미드는 나일 강 서쪽 기슭에 세워졌는데, 이곳은 해가 지는 곳으로서 이집트 신화에서 죽음의 영역과 관련이 있었다.[19]
4. 주요 피라미드
이집트에는 수많은 피라미드가 있으며, 그중 주요 피라미드들은 다음과 같다.
- 초기 왕조 시대: 이집트인들은 마스타바라고 불리는 벤치 모양의 구조물에 매장되었다.[11][12]
- 제3왕조: 조세르 피라미드는 최초로 역사에 기록된 이집트 피라미드이다. 그의 재상 임호테프가 설계를 맡았다는 주장이 있지만, 당대 기록에는 언급되지 않았다.[14]
- 제4왕조: 메이둠, 다슈르, 기자에 대피라미드들이 건설되었다.
- 제5왕조: 피라미드 건설 규모와 정밀도가 감소하여, 더 작고 건설 상태가 좋지 않은 피라미드들이 건설되었다.
- 제6왕조: 피라미드 건설이 대부분 끝났다.
- 중왕국 시대: 진흙 벽돌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큰 피라미드들이 다시 건설되었다.[17]
- 쿠시 왕국 시대: 현재 수단 지역에서 피라미드 건설이 급증했다. 약 180개의 왕족 피라미드 무덤이 건설되었다.
카를 리하르트 레프시우스는 1842년에 67개의 피라미드 목록(레프시우스 피라미드 목록)을 작성했다. 이후 더 많은 피라미드가 발견되어 최소 118개의 이집트 피라미드가 확인되었다.[20]
많은 피라미드는 보존 상태가 좋지 않거나 사막 모래에 묻혀 있다. 가장 최근에 발견된 피라미드는 테티의 아내인 네이트의 피라미드이다.[22]
자위엣엘마이이틴에 있는 작은 3왕조 피라미드를 제외한 이집트의 모든 피라미드는 나일 강 서쪽 기슭에 위치하며, 대부분 여러 피라미드 군에 모여 있다. 주요 피라미드들은 다음과 같다.
- 아부 라와시: 이집트 최북단에 위치한 제데프레의 피라미드가 있다. 대부분 파괴되었지만, 원래는 멘카우라의 피라미드와 거의 같은 크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자윗 엘 아리안: 미완성된 두 개의 고왕국 피라미드가 있다. 북쪽 구조물은 네브카, 남쪽 구조물은 카바의 것으로 추정된다.
- 아부시르: 이집트 제5왕조 시대 주요 왕가 묘역으로 사용되었으며, 총 14개의 피라미드가 있다. 니우세르레의 피라미드, 네페르카레의 피라미드, 사후레의 피라미드가 주요 피라미드이다.

- 마즈구나: 다슈르 남쪽에 위치하며, 후기 중왕국 시대에 건설된 여러 개의 벽돌 피라미드가 있다.
- 리슈트: 아메네엠하트 1세와 그의 아들 세누세르트 1세가 건설한 두 개의 주요 피라미드가 있다.

- 메이둠: 스네프루 왕의 통치 기간 동안 건설된 세 개의 피라미드 중 하나이며, 최초의 "진짜" 매끄러운 측면을 가진 피라미드로 개조되었다.

- 하와라: 아메네메트 3세의 피라미드가 있다.

- 엘라훈: 세누세르트 2세의 피라미드는 이집트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왕릉 피라미드 구조물이다.
- 엘 쿠루: 피예가 피라미드를 건설했다.

- 누리: 타하르카가 자신의 피라미드를 건설했다.

피라미드 (파라오) | 통치 기간 | 위치 | 높이 |
---|---|---|---|
조세르 피라미드 (조세르) | 기원전 2670년경 | 사카라 | 62m |
붉은 피라미드 (스네프루) | 기원전 2612년~2589년경 | 다슈르 | 104m |
메이둠 피라미드 (스네프루) | 기원전 2612년~2589년경 | 메이둠 | 65m (파괴됨) |
기자 대피라미드 (쿠푸) | 기원전 2589년~2566년경 | 기자 | 146.7m |
제데프레 피라미드 (제데프레) | 기원전 2566년~2558년경 | 아부 라와시 | 60m |
카프레 피라미드 (카프레) | 기원전 2558년~2532년경 | 기자 | 136.4m |
멘카우라 피라미드 (멘카우라) | 기원전 2532년~2504년경 | 기자 | 65m |
우세르카프 피라미드 (우세르카프) | 기원전 2494년~2487년경 | 사카라 | 48m |
사후레 피라미드 (사후레) | 기원전 2487년~2477년경 | 아부시르 | 47m |
네페르카레 피라미드 (네페르카레 카카이) | 기원전 2477년~2467년경 | 아부시르 | 72.8m |
뉴세르레 피라미드 (뉴세르레 이니) | 기원전 2416년~2392년경 | 아부시르 | 51.68m |
아메네메하트 1세 피라미드 (아메네메하트 1세) | 기원전 1991년~1962년경 | 리슈트 | 55m |
세누세르트 1세 피라미드 (세누세르트 1세) | 기원전 1971년~1926년경 | 리슈트 | 61.25m |
세누세르트 2세 피라미드 (세누세르트 2세) | 기원전 1897년~1878년경 | 엘라훈 | 48.65m |
검은 피라미드 (아메네메하트 3세) | 기원전 1860년~1814년경 | 다슈르 | 75m |
헨저 피라미드 (헨저) | 기원전 1764년~1759년경 | 사카라 | 약 37m, 현재 완전히 파괴됨 |
피예의 피라미드 (피예) | 기원전 721년경 | 엘 쿠루 | 20m 또는 30m |
타하르카의 피라미드 (타하르카) | 기원전 664년경 | 누리 | 40m 또는 50m |
4. 1. 기자 피라미드 단지
기자 고원에는 쿠푸왕 피라미드(기자의 대피라미드, 케옵스 피라미드로도 알려짐), 약간 작은 카프레왕 피라미드(케프렌 피라미드), 비교적 규모가 작은 멘카우라왕 피라미드(미케리누스 피라미드)와 함께 "왕비의 피라미드"로 알려진 여러 개의 작은 위성 건축물 그리고 기자의 대스핑크스가 있다. 세 개의 피라미드 중 카프레왕 피라미드만이 정상 부근에 원래의 연마된 석회암 외피 일부가 남아 있다. 이 피라미드는 더 높은 위치와 더 가파른 경사각 때문에 인접한 쿠푸왕 피라미드보다 더 커 보이지만, 실제로는 높이와 부피 모두 더 작다.
기자 피라미드 단지는 고대부터 인기 있는 관광지였으며, 기자의 대피라미드가 시돈의 안티파테르에 의해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기록되면서 헬레니즘 시대에 더욱 유명해졌다. 오늘날 그 불가사의들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유적이다.[46]
4. 2. 사카라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석조 건축물인 조세르 피라미드가 이곳에 있다. 그 외에도 우세르카프, 테티, 우나스 피라미드가 있다. 우나스 피라미드는 람세스 2세의 아들에 의한 최초의 복원 대상 중 하나이기도 했다. 사카라에는 세켐케트의 미완성 계단식 피라미드도 있으며, "매장된 피라미드"로 알려져 있다. 고고학자들은 이 피라미드가 완성되었다면 조세르의 것보다 더 컸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사카라의 주요 피라미드 군의 남쪽에는 후대의 작은 피라미드 군이 있으며, 페피 1세와 페피 2세의 피라미드가 있다. 그 대부분은 보존 상태가 좋지 않다.
제4왕조의 파라오 셉세스카프는 피라미드 건설에 대한 관심이나 능력이 없었다. 사카라 남쪽에 있는 그의 무덤은 큰 마스타바로, 사원이 부속되어 있으며 "마스타바트 알-피르아운"로 알려져 있다.[24]
2008년 말 사카라 북부에서 매장자 불명의 피라미드가 발견되었다. 테티의 어머니의 무덤으로 여겨지고 있다. 높이 약 5m이지만, 건설 당시에는 약 14m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4. 3. 다슈르

기자와 사카라를 제외하면 이집트에서 가장 중요한 피라미드 군으로 여겨지는 곳이지만, 1996년까지는 군 기지 내에 위치해 접근이 불가능했고 고고학계 외부에서는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스네페루의 남쪽 피라미드, 일반적으로 굽은 피라미드로 알려진 이 피라미드는 건설자들이 처음부터 "진정한" 매끄러운 면의 피라미드를 만들고자 했던 최초의 이집트 피라미드로 여겨진다. 초기 메이둠의 피라미드는 완성된 상태에서 매끄러운 면을 가지고 있었지만, 계단식 피라미드로 구상되어 건설된 후 계단을 채우고 다듬은 돌의 매끄러운 외피로 덮었다. 진정한 매끄러운 면의 구조물로서 굽은 피라미드는 부분적인 성공에 그쳤지만, 독특하고 시각적으로 인상적인 구조물이었다. 또한 원래의 매끄러운 석회암 외피가 상당 부분 그대로 남아 있는 유일한 주요 이집트 피라미드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피라미드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피라미드를 어떻게 만들고자 했는지 보여주는 최고의 동시대 사례가 된다. 굽은 피라미드에서 북쪽으로 수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는 스네페루 통치 기간 동안 건설된 세 개의 피라미드 중 마지막이자 가장 성공적인 피라미드인 붉은 피라미드가 있다. 이 구조물은 기자의 쿠푸와 카프라 피라미드 다음으로 이집트에서 세 번째로 큰 피라미드이다.
다슈르에는 아메네엠핫 3세가 건설한 두 개의 피라미드 중 하나인 검은 피라미드와 여러 개의 작고 대부분 파괴된 부속 피라미드도 있다.
4. 4. 기타 지역
동부 사하라의 초기 유적이라고 추정되는 곳들에 이어, 거석 기념물이 있는 고분(tumuli)은 기원전 4700년경 니제르 사하라 지역에서 발달했다.[10] 페크리 하산(Fekri Hassan)은 니제르와 동부 사하라 지역의 거석 기념물이 고대 이집트의 마스타바와 피라미드의 선행 요소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10] 전이집트 시대에는 나카다(Naqada), 헬완(Helwan) 등 여러 지역에 고분이 있었다.[10]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3150~2686년경)부터, 충분한 자산을 가진 이집트인들은 마스타바(mastaba)라고 알려진 벤치 모양의 구조물에 매장되었다.[11][12]
이집트의 피라미드 건설 시대가 끝난 오래 후, 이집트의 대부분이 나파타(Napata)를 중심으로 한 쿠시 왕국(Kingdom of Kush)의 지배를 받게 된 후, 현재 수단에서 피라미드 건설이 급증했다. 25왕조로 알려진 나파타 통치는 기원전 750년부터 기원전 664년까지 지속되었다. 왕국이 메로에(Meroë)를 중심으로 했던 쿠시 역사의 메로이틱 시대(기원전 300년경부터 기원후 300년경까지)에는 이집트에서 영감을 받은 약 180개의 토착 왕족 피라미드 무덤이 왕국의 수도 주변에 건설되었다.
이집트의 두 번째 아이유브 왕조 술탄 알 아지즈 우스만(Al-Aziz Uthman)(1171~1198)은 기자 피라미드 단지를 파괴하려고 시도했다. 작업이 너무 힘들다는 것이 판명되면서 멘카우라 피라미드에 손상을 입힌 것 외에는 포기했다.
1842년, 독일의 고고학자 카를 레프시우스(Karl Lepsius)는 최초의 피라미드 목록(레프시우스 피라미드 목록)을 작성하여 67개를 기재하였다. 그 이후로 많은 피라미드가 발견되어, 2008년 11월 현재 118개에 달한다.[42]
레프시우스가 "머리가 없는 피라미드"라고 불렀던 29번째 피라미드의 위치는 레프시우스의 조사 이후 사막의 모래에 묻혀 두 차례나 알 수 없게 되었지만, 2008년에 실시된 발굴 조사에서 재발견되었다.[43]
많은 피라미드는 보존 상태가 좋지 않거나 모래에 묻혀 있다. 보인다 하더라도 잔해 더미처럼 보이는 것도 많다.
최근에 발견된 피라미드는 제6왕조의 파라오 테티(Teti)의 어머니 셰셰티(Shepseshet)의 것으로, 사카라(Saqqara)에 있었다. 이집트 고고학 최고 평의회(Supreme Council of Antiquities)의 수장 자히 하와스(Zahi Hawass)에 의해 2008년 11월 11일에 발표되었다.[33][44]
자위트 엘-마이틴(Zawiyet el-Maytin)에 있는 제3왕조 시대의 소규모 피라미드를 제외한 이집트의 모든 피라미드는 나일 강 서안에 건설되었으며, 그 대부분은 몇몇 그룹을 이루고 있다.
아부 라와시(Abu Rawash)에는 이집트 최북단의 피라미드인 제데프레(Djedkare Isesi)의 피라미드가 있다.[45] 기존에는 이 피라미드가 미완성이었다고 여겨져 왔지만, 최근에는 완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멘카우라 피라미드(Pyramid of Menkaure)와 같은 높이였다는 것이 고고학계의 정설이 되고 있다.
이 장소는 큰 교차로에 인접해 있어 석재 공급이 용이했다. 작은 위성 피라미드에는 보존 상태가 좋은 것이 많다.
자윗 엘 아리안은 기자와 아부시르 중간에 위치하며, 고왕국 시대의 미완성 피라미드 두 기가 있다. 북쪽 피라미드는 사나크트 왕, 남쪽 피라미드는 카바 왕의 것으로 여겨진다. 카바 왕의 파라오 재위 4년 동안 피라미드 건설이 중단된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는 약 20m이지만, 완성되었다면 약 40m 정도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에는 이집트 제5왕조의 피라미드 14개가 있다. 아부시르 피라미드의 건축 수준은 이집트 제4왕조의 것보다 낮다. 이는 파라오의 권력이 약화되었거나 경제 활력이 저하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유명한 것으로는 가장 보존 상태가 좋은 니우세라의 피라미드를 비롯하여 네페르이카라, 사후레의 피라미드가 있다. 또한 네페르에프라의 미완성 피라미드도 있다. 아부시르의 주요 피라미드는 모두 계단식 피라미드로 건설되었지만, 대부분은 나중에 계단 부분이 매워져 각뿔형 피라미드가 된 것으로 생각된다.
다슈르 남쪽에 있는 마즈구나(Mazghuna)에는 이집트 제1중간기의 파라오가 건설한 피라미드가 있다.
리슈트에는 아멘엠하트 1세와 그의 아들 센우세르트 1세에 의해 건설된 두 개의 주요 피라미드가 있다. 후자는 10개의 소규모 피라미드 유적에 둘러싸여 있으며, 그중 하나는 아멘엠하트의 사촌인 카바 2세의 것으로 알려져 있다.[48] 이곳은 파유ーム 오아시스 근처에 위치하며, 다슈르와 메이둠의 중간 지점으로 카이로에서 약 100km 남쪽에 있다. 또한, 이집트 제12왕조의 수도였으나 현재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는 이타치위에도 가까웠던 것으로 추정된다.
메이둠 피라미드는 스네프루(Sneferu) 치세에 건설된 세 개의 피라미드 중 하나로, 그의 아버지 후니(Huni)가 시작했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이 설은 확실하지 않으며, 이곳에서 후니의 이름이 적힌 것은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 피라미드는 처음에는 계단식 피라미드로 건설되었고, 나중에 단이 매워져 매끄럽게 만들어졌다.
이 피라미드는 고대부터 중세까지 여러 차례 파괴 위기에 직면했다. 중세 아랍인들은 7단이었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오늘날에는 위쪽 3단만 남아 있다.
아메네메트 3세(Amenemhat III)는 제12왕조에서 강력한 권력을 가진 마지막 파라오이며, 파유ーム(Faiyum) 근처 하와라(Hawara)에 하와라의 피라미드를 건설했다.
엘라훈(エル・ラフーン)에 있는 센우세르트 2세(センウセレト2世)의 피라미드는 이집트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피라미드이다. 높이 12m의 천연 석회암을 기초로 사용함으로써 건설에 필요한 노동력을 크게 줄였다.
아래 표는 이집트 주요 피라미드를 건설 연대순으로 정리한 것이다. 각 피라미드는 건설을 의뢰한 파라오의 이름으로 표기되며, 대략적인 연대와 위치가 기록되어 있다.
피라미드/파라오 | 재위 기간 | 위치 | 높이 |
---|---|---|---|
조세르 | 기원전 2630년경 ~ 2612년경 | 사카라 | 62m |
스네프루 | 기원전 2612년경 ~ 2589년경 | 다슈르 | 104m |
스네프루 | 기원전 2612년경 ~ 2589년경 | 메이둠 | 65m (파괴됨) |
쿠푸 | 기원전 2589년경 ~ 2566년경 | 기자 | 146.7m |
제데프레 | 기원전 2566년경 ~ 2558년경 | 아부라와시 | 60m |
카프레 | 기원전 2558년경 ~ 2532년경 | 기자 | 136.4m |
멘카우라 | 기원전 2532년경 ~ 2504년경 | 기자 | 65m |
우세르카프 | 기원전 2494년경 ~ 2487년경 | 사카라 | 48m |
사후레 | 기원전 2487년경 ~ 2477년경 | 아부시르 | 47m |
네페르카레 | 기원전 2477년경 ~ 2467년경 | 아부시르 | 72.8m |
니우세레 | 기원전 2416년경 ~ 2392년경 | 아부시르 | 51.68m |
아멘엠하트 1세 | 기원전 1991년경 ~ 1962년경 | 리슈트 | 55m |
세누세르트 1세 | 기원전 1971년경 ~ 1926년경 | 리슈트 | 61.25m |
세누세르트 2세 | 기원전 1897년경 ~ 1878년경 | 엘라훈 | 48.65m |
아멘엠하트 3세 | 기원전 1860년경 ~ 1814년경 | 다슈르 | 75m |
헨저 | 기원전 1764년경 ~ 1759년경 | 사카라 | 약 37m, 현재 완전히 파괴됨 |
피예의 피라미드 | 기원전 721년경 | 엘쿠루 | 20m 또는 30m |
타하르카의 피라미드 | 기원전 664년경 | 누리 | 40m 또는 50m |
5. 건설 기법
이집트 피라미드 건설 기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피라미드 건설에는 막대한 양의 돌 운반이 필요했으며, 대부분의 돌은 근처 채석장에서 운반되었지만, 투라의 백색 석회암이나 아스완의 화강암처럼, 특수한 돌은 먼 곳에서 큰 배로 운반되었다.[49]
5. 1. 석재 채취 및 운반
이집트 피라미드 건설 기법 문서도 참고.피라미드 건설에는 엄청난 양의 돌을 옮기는 작업이 포함되었다. 대부분의 돌은 인근 채석장에서 가져왔지만, 투라의 흰색 석회암과 아스완의 화강암처럼 특수한 돌은 멀리 떨어진 곳에서 큰 배를 이용하여 운반되었다.[49]
2013년, 홍해 연안의 고대 이집트 항구에서 "메레르의 일기"라는 파피루스가 발견되었다. 이것은 4,500년 전에 "감독관"이라는 직함을 가진 관리가 투라 채석장에서 채취한 흰색 석회암을 나일 강을 따라 기자 대피라미드, 즉 쿠푸 파라오의 무덤으로 운반한 것을 기록한 항해일지이다.[27]
채석된 돌은 목재 썰매를 이용하여 건설 현장으로 운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썰매 앞의 모래를 적시면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물방울이 모래 알갱이 사이에 다리를 형성하여 서로 달라붙도록 도왔다.[28]
많은 절단 도구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작업자들은 건설 현장 가까이에서 돌을 자른 것으로 추정된다. 완성된 돌은 미리 준비된 기초 위에 놓였다.[29] 기초는 대략적인 직각 수준기, 물 도랑 및 숙련된 측량사를 사용하여 평평하게 만들었다.[30]
2024년 5월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서는 과거 이집트 대피라미드와 다른 기자의 기념물 근처를 흘렀던 나일 강의 폐천화된 지류인 아흐라마트 지류(Ahramat Nile Branch)의 지도를 작성했다. 연구자들은 위성 이미지와 퇴적물 코어 분석을 이용하여 64km의 수로가 피라미드 건설을 위한 자재와 인력의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너비 약 0.5km, 깊이 25m 이상이었던 이 지류는 가뭄과 사막화로 소멸되었을 가능성이 높다.[50][51]
5. 2. 석재 가공 및 배치
피라미드 건설에는 엄청난 양의 돌을 옮기는 작업이 포함되었다. 대부분의 돌은 인근 채석장에서 가져왔지만, 투라의 흰색 석회암과 아스완의 화강암처럼 특수한 돌은 멀리 떨어진 곳에서 큰 배를 이용하여 운반되었다.[49]2013년, 홍해 연안의 고대 이집트 항구에서 "메레르의 일기"라는 파피루스가 발견되었다. 이것은 4,500년 전에 "감독관"이라는 직함을 가진 관리가 투라 채석장에서 채취한 흰색 석회암을 나일 강을 따라 기자의 대피라미드, 즉 쿠푸 파라오의 무덤으로 운반한 것을 기록한 항해일지이다.[27]
채석된 돌은 목재 썰매를 이용하여 건설 현장으로 운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썰매 앞의 모래를 적시면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물방울이 모래 알갱이 사이에 다리를 형성하여 서로 달라붙도록 도왔다.[28]
많은 절단 도구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작업자들은 건설 현장 가까이에서 돌을 자른 것으로 추정된다. 완성된 돌은 미리 준비된 기초 위에 놓였다.[29] 기초는 대략적인 직각 수준기, 물 도랑 및 숙련된 측량사를 사용하여 평평하게 만들었다.[30]
5. 3. 최근 연구
피라미드 건설에는 엄청난 양의 돌을 옮기는 작업이 포함되었다. 대부분의 돌은 인근 채석장에서 가져왔지만, 투라의 흰색 석회암과 아스완의 화강암처럼 특수한 돌은 멀리 떨어진 곳에서 큰 배를 이용하여 운반되었다.[49]
2013년, 홍해 연안의 고대 이집트 항구에서 "메레르의 일기"라는 파피루스가 발견되었다. 이것은 4,500년 전에 "감독관"이라는 직함을 가진 관리가 투라 채석장에서 채취한 흰색 석회암을 나일 강을 따라 기자의 대피라미드, 즉 쿠푸 파라오의 무덤으로 운반한 것을 기록한 항해일지이다.[27]
채석된 돌은 목재 썰매를 이용하여 건설 현장으로 운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썰매 앞의 모래를 적시면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물방울이 모래 알갱이 사이에 다리를 형성하여 서로 달라붙도록 도왔다.[28] 많은 절단 도구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작업자들은 건설 현장 가까이에서 돌을 자른 것으로 추정된다. 완성된 돌은 미리 준비된 기초 위에 놓였다.[29] 기초는 대략적인 직각 수준기, 물 도랑 및 숙련된 측량사를 사용하여 평평하게 만들었다.[30]
2024년 5월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서는 과거 이집트 대피라미드와 다른 기자의 기념물 근처를 흘렀던 나일 강의 폐천화된 지류인 아흐라마트 지류(Ahramat Nile Branch)의 지도를 작성했다. 연구자들은 위성 이미지와 퇴적물 코어 분석을 이용하여 64km의 수로가 피라미드 건설을 위한 자재와 인력의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너비 약 0.5km, 깊이 25m 이상이었던 이 지류는 가뭄과 사막화로 소멸되었을 가능성이 높다.[50][51]
참조
[1]
뉴스
In the Shadow of a Long Past, Patiently Awaiting the Future
https://www.nytimes.[...]
2010-05-01
[2]
서적
The Complete Pyramids: Solving the Ancient Mysteries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2008
[3]
뉴스
In the Shadow of a Long Past, Patiently Awaiting the Future
https://www.nytimes.[...]
2007-11-16
[4]
웹사이트
Dating the Pyramids
http://www.uwsp.edu/[...]
2003
[5]
서적
Archaic Egypt
[6]
서적
Art through the Ages
Harcourt Brave Jovanovitch
[7]
서적
A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Laurence King Publishing
[8]
학술지
The Place where Huni probably Buried
http://osf.io/gnw3k/
2019-01-31
[9]
서적
Mythes et légendes du delta d'après le papyrus brooklyn 47 218 84
[10]
서적
Droughts, Food and Culture
Springer
[11]
웹사이트
Burial customs: mastabas
http://www.digitaleg[...]
University College London
2005-04-14
[12]
웹사이트
Early Dynastic burial customs
http://www.digitaleg[...]
Digitalegypt.ucl.ac.uk
[13]
서적
Archaic Egypt
[14]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From the First Farmers to the Great Pyramid
[15]
서적
The Pyramids
[16]
서적
The Cult of Ra: Sun Worship in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17]
웹사이트
Old Kingdom of Egypt
https://www.worldhis[...]
[18]
서적
Egypt at its Origins. Studies in Memory of Barbara Adam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rigin of the State. Predynastic and Early Dynastic Egypt", Krakow, 28th August – 1st September 2002
Peeters
2004
[19]
웹사이트
Discovery Channel Nederland
http://www.discovery[...]
Discoverychannel.co.uk
[20]
뉴스
Egypt says has found pyramid built for ancient queen
https://www.reuters.[...]
2008-11-11
[21]
뉴스
Egypt uncovers 'missing' pyramid of a pharaoh
https://news.yahoo.c[...]
2008-06-05
[22]
웹사이트
Archaeologists Unearth Egyptian Queen's Tomb, 13-Foot 'Book of the Dead' Scroll
https://www.smithson[...]
[23]
서적
Ramesside Inscriptions, Translated & Annotated, Translations, Volume II
Blackwell Publishers
[24]
웹사이트
The Mastaba of Shepseskaf
http://egyptphoto.nc[...]
[25]
서적
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 (Writings from the Ancient World, No. 23)
Brill Academic
[26]
뉴스
The surprisingly simple way Egyptians moved massive pyramid stones without modern technology
https://www.washingt[...]
2014-05-02
[27]
웹사이트
The World's Oldest Papyrus and What It Can Tell Us About the Great Pyramids
https://www.smithson[...]
[28]
웹사이트
Solved! How Ancient Egyptians Moved Massive Pyramid Stones
https://www.livescie[...]
[29]
웹사이트
Building in Ancient Egypt: foundations of stone buildings
https://www.ucl.ac.u[...]
[30]
웹사이트
EGYPTIAN SURVEYING TOOLS
http://www.surveyhis[...]
[31]
뉴스
In the Shadow of a Long Past, Patiently Awaiting the Future
https://www.nytimes.[...]
[32]
서적
Mark Lehner (2008). The Complete Pyramids: Solving the Ancient Mysteries. p. 34.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33]
뉴스
In the Shadow of a Long Past, Patiently Awaiting the Future
https://www.nytimes.[...]
2008-11-16
[34]
웹사이트
Dating the Pyramids
http://www.uwsp.edu/[...]
2003
[35]
서적
A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Laurence King Publishing
[36]
웹사이트
Burial customs: mastabas
http://www.digitaleg[...]
University College London
2005-04-14
[37]
웹사이트
Burial customs in Early Dynastic Egypt
http://www.digitaleg[...]
University College London
2005-04-14
[38]
웹사이트
Imhotep, Doctor, Architect, High Priest, Scribe and Vizier to King Djoser
http://www.touregypt[...]
2005-04-24
[39]
서적
名画と建造物
角川書店
2023-10-12
[40]
웹사이트
The Pyramids: "Resurrection Machines"
http://college.hmco.[...]
Houghton Mifflin College
2005-04-13
[41]
웹사이트
Hidden History of Egypt
http://www.discovery[...]
The Discovery Channel
2005-04-13
[42]
뉴스
Egypt says has found pyramid built for ancient queen
http://africa.reuter[...]
Reuters
2008-11-18
[43]
뉴스
http://news.yahoo.co[...]
[44]
웹사이트
http://news.national[...]
[45]
웹사이트
Dating the Pyramids
http://www.uwsp.edu/[...]
2005-04-13
[46]
웹사이트
エジプト:ピラミッドも一時閉鎖 衝突拡大で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3-08-15
[47]
웹사이트
The Mastaba of Shepseskaf
http://egyptphoto.nc[...]
[48]
서적
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
Brill Academic
[49]
서적
The Complete Pyramids
https://archive.org/[...]
[50]
웹사이트
EGYPTIAN SURVEYING TOOLS
http://www.surveyhis[...]
[51]
웹사이트
ピラミッド建設に使われた「失われたナイル川の支流」の証拠が見つかる
https://gigazine.net[...]
Gigazine
2024
[52]
뉴스
In the Shadow of a Long Past, Patiently Awaiting the Future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2010-05-01
[53]
서적
Mark Lehner (2008). The Complete Pyramids: Solving the Ancient Mysteries. p. 34.
Thames & Hudson
2008-03-25
[54]
뉴스
In the Shadow of a Long Past, Patiently Awaiting the Future
http://www.nytimes.c[...]
New York Times
2008-11-17
[55]
웹사이트
Dating the Pyramids
http://www.uwsp.edu/[...]
2005-04-13
[56]
서적
The Complete Pyramids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57]
웹사이트
Who Built the Pyramids?
http://www.nationalg[...]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2-07-25
[58]
서적
A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http://books.google.[...]
Laurence King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