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카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카리아는 북부 에게 해에 위치한 그리스 섬으로, 255.303km²의 면적과 8,312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 산악 지형이 특징이며, 강한 레드 와인 생산으로 유명하다. 신석기 시대부터 펠라스기아인들이 거주했으며, 기원전 750년경 밀레투스 출신 그리스인들이 식민지를 건설했다. 역사를 통틀어 제노바 공화국, 성 요한 기사단,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1912년 이카리아 자유국을 선포하고 독립을 시도했다. 이후 발칸 전쟁을 거쳐 그리스에 편입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과 그리스 내전 동안 큰 피해를 입었다. 현대에는 '블루존'으로 알려져 장수 지역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박물관과 이카리아 출신 유명 인사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에게주의 섬 - 레스보스섬
    레스보스섬은 에게해 북동부에 위치한 그리스의 세 번째로 큰 섬으로, 고대 그리스 신화와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시인 사포의 출생지이며, 올리브유 생산, 관광, 어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고, 여성 동성애자를 지칭하는 레즈비언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
  • 북에게주의 섬 - 림노스섬
    림노스섬은 에게해 북부의 그리스 섬으로, 헤파이스토스에게 신성한 곳이자 비옥한 토지와 지중해성 기후로 농업과 목축업이 발달했으며,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거쳐 현재 그리스의 주요 관광지이다.
  • 그리스의 섬 - 칼림노스섬
    칼림노스섬은 도데카니소스 제도 북부에 있는 그리스 섬으로, 과거 해면 채취업으로 유명했으나 현재는 암벽 등반을 중심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했으며, 동방 정교회 성인 사바스 신부와 관련 있고 밥 코스타스 등 여러 인물을 배출했다.
  • 그리스의 섬 - 도코스섬
    도코스섬은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알바니아 정착민의 피난처였던 전략적 요충지로, 인근 해역에서 기원전 2150년경의 난파선이 발견된 곳이다.
  • 밀레토스인의 식민지 - 삼순
    삼순은 흑해 연안에 위치한 터키의 도시로, 터키 독립 전쟁의 시작점이자 흑해의 주요 항구로 성장했으며, 다양한 산업과 문화를 갖춘 도시이다.
  • 밀레토스인의 식민지 - 트라브존
    트라브존은 터키 흑해 연안의 도시로, 트라페주스에서 기원하여 폰토스 왕국,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을 거쳐 트라페주스 제국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함시, 헤이즐넛, 차 생산지로 유명하고 아야 소피아, 쉬멜라 수도원, 우주응올 호수 등의 관광지가 있다.
이카리아
지도 정보
아르메니스티스 마을
아르메니스티스 마을
기본 정보
이름이카리아섬
현지 이름Ικαρία (이카리아)
위치북 에게해
면적255.303 제곱킬로미터
최고봉(정보 없음)
해발고도(정보 없음)
행정 구역북 에게해
이카리아 현
중심 도시아이오스 키리코스
행정
자치체 유형자치단체
위치북 에게해
이카리아
인구 (2021년)8843명
면적 (자치체)255.3 제곱킬로미터
최소 고도0 미터
최대 고도1037 미터
우편 번호833 xx
지역 번호22750
차량 번호판MO
별칭이카리아인
시장파누리오스 카루초스 (그리스 공산당)
웹사이트(정보 없음)
수도아이오스 키리코스
기타 정보
우편 번호(정보 없음)
전화 번호(정보 없음)
자동차 번호판(정보 없음)
웹사이트(정보 없음)

2. 지리 및 기후

이카리아는 북부 에게 해에 있는 중간 섬 중 하나로, 면적은 255.303km2이며 해안선은 약 164.15km이고 인구는 8,312명이다. 지형은 푸르른 경사면과 황량하고 가파른 바위의 대조를 이룬다. 섬은 대부분 산악 지형이다. 최고봉이 1037m인 에테라스 산맥이 섬을 가로지른다. 대부분의 마을은 해안 근처 평원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일부는 산에 위치해 있다.

이카리아 캄포스에서 바라본 산맥


이카리아는 강한 레드 와인을 생산하는 전통이 있다. 섬의 많은 부분, 특히 협곡은 관목으로 덮여 있어 풍경이 푸르다. 염소와 같은 가축 외에도 담비, 유럽 수달, 깡충거미, 유럽 푸른 두꺼비와 같은 작은 야생 동물도 발견할 수 있다. 이카리아는 전형적인 지중해성 기후 (쾨펜: ''Csa'')를 보인다.

3. 역사

에브딜로스 마을


포르니 마을


이카리아에는 기원전 7000년 이전부터 신석기 시대 펠라스기아인들이 거주했다. 펠라스기아인들은 고대 그리스인들이 그리스 지역에 거주했던 모든 헬레네 이전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였다. 기원전 750년경, 밀레투스 출신의 그리스인들이 이카리아를 식민지화하여 현재 캄포스 지역에 정착, 오이노에라는 고대 수도를 건설했다. 고대에는 이카리아(Ἰκαρία) 또는 이카루스(Ἴκαρος)라고 불렸다.[3]

14세기에는 제노바 공화국에, 15세기 초에는 로도스 섬의 성 요한 기사단에 지배받았으나, 곧 오스만 제국에 병합되었다. 19세기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독립을 시도했으나 오스만 제국의 지배가 지속되었다.

1912년 7월, Icaria#Free State of Icaria|이카리아 자유국영어을 선포, 자체 군대, 국기, 국가, 우표를 가졌으나, 같은 해 11월 발칸 전쟁으로 그리스 왕국에 통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그리스 내전 기간 동안 약 13,000명의 공산주의자들이 섬에 유배되었고, 이후 주민들은 공산주의에 동정적인 성향을 띠게 되었다.

1960년대부터 정부의 투자로 관광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3. 1. 고대

기원전 7000년 이전부터 이카리아에는 신석기 시대 펠라스기아인들이 거주했다. 펠라스기아인들은 고대 그리스인들이 그리스 지역에 거주했던 모든 헬레네 이전 민족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였다. 기원전 750년경, 밀레투스 출신의 그리스인들이 이카리아를 식민지화하여 현재 캄포스 지역에 정착지를 건설했으며, 이곳은 후에 오이노에라는 고대 수도가 되었다. 고대에는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이카리아 또는 이카리아(Ἰκαρίαgrc)라고 불렸으며, '''이카루스''' 또는 '''이카로스'''(Ἴκαρος)라고도 불렸다.[3]

이카리아는 기원전 6세기에 폴리크라테스의 해상 제국에 편입되었고, 기원전 5세기에는 이카리아의 도시 오이노에와 테르마이가 아테네가 주도하는 델로스 동맹의 일원이었다. 2세기에는 사모스에 의해 이 섬이 식민지화되었다.[4] 이때 오이노에에 아르테미스 신전인 ''타우로폴리온''이 세워졌다.[5]

도시의 동전은 아르테미스와 황소를 묘사했다.[6] 섬 북서 해안의 나스에는 아르테미스 타우로폴로스에게 바쳐진 또 다른 작은 ''테메노스''가 있었다.[7][8]

이카리아 주변의 바다는 고대인들 사이에서 무시무시한 명성을 얻었다. 호메로스는 이 바다의 변덕스러움을 선동에 의해 흥분한 군중에 비유했다. "그 무리는 이카리아 해의 긴 파도처럼 동풍이나 남풍이 일으켜 아버지 제우스의 구름으로부터 그들을 향해 돌진하는 듯했다"(일리아스 2, 145). 호라티우스 역시 그의 송가의 시작 부분에서 "이카리아의 파도와 싸우는 아프리카 바람"을 부서진 배와 연관시켰다(송가 I.i.15–6). 섬 자체에는 두 개의 연관된 묘사적 형용사가 있었다. '돌리치'(길쭉한)와 '이케테우스'(물고기가 풍부한). 이 이름은 신화 속 이카루스와의 연관성보다는, 물고기를 뜻하는 페니키아어 '이코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카루스의 추락은 아티카의 이카리아 또는 이카리온의 고대 ''데메''와 연관되었을 것이다.[9]

히기누스의 파불라에("이야기")에서, 멜라니페(또는 아르네)와 그녀의 아들 보에오투스와 아이올로스가 포세이돈에 의해 맺어진 그리스 신화 버전은 이카리아의 왕 메타폰투스의 아내 테아노 (또는 아우톨리테)의 이야기를 관련짓도록 수정되었다. 메타폰투스는 그녀에게 자식을 낳거나 왕국을 떠나라고 요구했다. 그녀는 넵투누스에 의해 멜라니페의 버려진 쌍둥이 아들을 마치 자신의 아들인 것처럼 남편에게 제시했다. 나중에 테아노는 자신의 두 아들을 낳았고, 왕국을 자신의 아이들에게 물려주기를 바라며 사냥을 나간 멜라니페의 아들을 죽이도록 보냈다. 이어진 싸움에서 그녀의 두 아들이 죽었고, 그녀는 그 소식을 듣고 자살했다.[10] 메타폰투스는 나중에 멜라니페와 결혼했고, 그녀의 두 아들은 프로폰티스에 그들의 이름을 딴 도시를 세웠다. 그 도시는 보에오티아와 아이올리아라고 불렸다.

나스는 에게해의 헬레니즘 이전 거주자들에게 신성한 장소였으며, 고대에는 이카리아 주변의 위험한 바다를 시험하기 전 마지막 기착지인 중요한 섬 항구였다. 이곳은 항해자의 수호신인 아르테미스 타우로폴로스에게 희생을 바치기에 적절한 장소였으며, 여기서 여신은 고대 나무 조각상인 ''크소아논''으로 표현되었다.

이 신전은 19세기 중반까지 잘 보존되어 있었으나, 카토 라체스 마을 사람들이 자신들의 지역 교회에 사용하기 위해 대리석을 약탈했다. 1939년, 이 교회는 그리스 고고학자 레온 폴리티스에 의해 발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리스의 추축국 점령 기간 동안, 폴리티스에 의해 발굴된 많은 유물들이 사라졌다. 지역 이야기에 따르면, 독일군과 이탈리아군이 유물을 훔쳐갔다고 한다. 지역 전설에 따르면, 신전의 대리석 유물들이 신전이 있던 나스 해변의 모래 아래에 여전히 남아있다고 한다.

아리아노스의 2세기 그리스 역사가 아리아노스알렉산드로스 대왕페르시아만의 파일라카 섬을 에게해의 이카리아를 따서 이카루스라고 부르라고 명령했다고 아리스토불로스의 말을 인용하여 기록했다.[11]

3. 2. 중세 시대

기원전 750년경, 밀레토스 출신의 그리스인들이 이카리아를 식민지화하여 현재 캄포스 지역에 정착지를 건설했으며, 이곳은 후에 오이노에라는 고대 수도가 되었다.[3] 14세기에는 제노바 공화국의 에게해 영토에 속했다. 이 시기에 이카리아인들은 원치 않는 방문객의 상륙을 막기 위해 스스로 항구를 파괴했다. 지역 역사가들에 따르면 이카리아인들은 자체 설계에 따라 해안선을 따라 7개의 망루를 건설했다. 정체불명의 배나 적의 배가 나타나면 관찰자들은 즉시 꼭대기에 불을 지르고 항상 물이 채워져 있는 물탱크로 달려갔다. 바닥에 있는 나무 마개를 뽑으면 물이 흘러나왔다. 다른 망루의 경비병들은 불빛에 의해 경고를 받고 이 과정을 반복했다. 각 망루의 탱크 안쪽에는 플라스크의 부피를 측정하는 것과 동일한 표시가 있었다. 이 표시에는 "해적 공격" 또는 "정체불명의 배 접근"과 같은 다른 메시지가 적혀 있었다. 물의 높이가 해당 메시지를 나타내는 표시까지 도달하면 메신저들은 탱크에 마개를 다시 꽂고 불을 꺼서 다른 망루들이 다가오는 위험의 크기와 심각성을 해독할 수 있도록 했다. 드라카노의 망루와 같이 섬의 높은 곳에 있는 망루는 델리안 동맹 시대부터 섬의 통신망의 일부였다.

이와 동시에 이카리아인들은 오늘날 흔히 볼 수 있는 형태로 집을 거의 짓지 않았다. 각 집은 낮고, 방이 하나였으며, 돌판으로 지붕을 덮었고, 이웃집과 멀리 떨어져 있었다. 낮은 문이 하나 있었고, 바다 쪽은 높은 벽으로 보호되었으며, 지붕에는 구멍(현지에서는 ''아네판티스''라고 불림)이 있었다. 연기가 나는 굴뚝은 집의 위치를 노출할 수 있었기 때문에 종종 밀봉되었다. 연기는 보이지 않게 지붕 슬래브를 통해 쏟아져 나왔고, 동시에 나무 지붕 지지대에서 곤충을 제거했다. 방에는 맷돌과 솥과 같은 최소한의 필수품만 갖춰져 있었다. 전통적으로 사람들은 바닥에서 잠을 자고 벽에 소지품을 숨겼다. 남녀는 거의 같은 옷을 입었다. 여성은 꿰매어진 울 스커트를, 남성은 일종의 푸스타넬라를 입었다. 나중에는 조끼를 남녀 모두 입게 되었다. 이러한 검소한 생활 방식은 이카리아인의 장수와 뚜렷한 사회 계층이 없는 데 기여했다. 각 집은 자급자족했으며, 주변의 생활 공간을 활용하여 필요한 것을 재배했고, 여성은 일과 사회 생활에 기여했다. 마을은 점차 확산된 원래 가족의 후손들에 의해 천천히 형성되었다. 인구 밀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통합은 컸다. 파니기리아(전통 축제, 춤, 음악, 지역 특산물 소비), 팀 노동, 결정을 내리는 장로 회의가 있었다. 이러한 독특한 생활 방식과 건축 양식은 19세기 말까지 보존되었으며, 많은 요소들이 오늘날까지 살아남았다.

3. 3. 오스만 제국 시대

성 요한 기사단은 로도스를 근거지로 하여 1521년까지 이카리아를 어느 정도 지배했지만, 이후 오스만 제국에 병합되었다.[12] 섬 주민들은 해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보이지 않음' 전술을 채택했다. 즉, 섬의 고지대로 숨어들어 마을과 집을 숨겼다. 해적에 대항하기 위한 추가적인 전술로는 망루, (바다에서는 보이지 않는 고원 등) 여러 방어 거점, 비상시 사용할 공동 은닉물 등이 있었다. 당시 관습법에 따르면 절도 행위는 사형으로 처벌받았다. 현지인들은 난파된 뱃사람을 포함하여 원치 않는 방문객을 해안에서 공격했다고 전해진다.

이카리아인들은 최초의 터키인 세무 징수관을 처형했지만 처벌을 면했다. 구전 설화에 따르면 오스만 아가가 두 명의 현지인에게 어깨에 메고 앉으라고 명령했고, 짐꾼들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어 그를 카코 카타바시디 지역의 절벽에서 던져 버렸다. 터키 당국이 주민들을 체포하여 범인이 누구인지 묻자, 전설에 따르면 "우리 모두, 폐하"라는 답을 들었다고 한다. 터키인들은 현실적으로 모든 사람을 처벌하는 것은 이익도 명예도 없다고 판단했다.[12]

오스만 투르크는 매우 느슨한 행정을 펼쳐 수 세기 동안 이카리아에 어떤 관리도 파견하지 않았지만, 이후 제국을 위해 세금을 징수하기 위해 섬의 각 마을에 현지인 그룹을 코자바시로 임명했다. 오스만 통치 초기 이 섬에 대한 가장 좋은 기록은 1677년 섬을 묘사한 요한 게오르기레네스 대주교의 기록으로, 그는 섬에 거의 1,000명의 강인하고 장수한 주민들이 살고 있었으며, 이들은 에게해에서 가장 가난한 사람들이라고 했다.[13]

제대로 된 항구가 없었기 때문에 —해적의 습격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현지인들은 오래 전에 섬의 항구를 파괴했다— 이카리아는 외부 세계와의 매우 제한적인 무역을 해변으로 끌어올린 작은 배에 의존했다. 이카리아의 배 제작자들은 섬의 전나무 숲으로 배를 만드는 것으로 명성이 높았다. 그들은 배와 목재를 인근 키오스에서 돈과 곡물로 팔았다. 게오르기레네스는 섬의 연안 해역에서 군도에서 가장 좋은 바지락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수 세기 동안 이카리아는 ''Carbon Cariot''(이카리아 숯)로 알려지게 된 으로도 유명했다.[14]

염소와 양은 바위가 많은 지형에서 거의 방치된 채 돌아다녔다. 치즈는 모든 가정에서 소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17세기의 이카리아는 수출용 와인을 생산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군도에서 특이했다. 사람들은 자신들의 음주를 위해 와인 통을 보관했다. 그들은 또한 청동기 시대부터 유행했던 구식 방법으로 와인을 테라코타 ''피토스'' 용기에 담아 땅에 묻어 세금 징수관과 해적 모두로부터 공급품을 보호했다.

100채가 넘지 않는 세 개의 작은 마을[15] 외에도 수많은 마을 정착지가 있었으며, 각 집에는 벽으로 둘러싸인 과수원과 정원 구획이 있었다. 사모스의 밀집된 마을과는 달리, 강인한 주민들은 요새화된 가구가 없는 농가에서 따로 살았다.

1827년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이카리아는 오스만 제국에서 벗어났지만, 최초의 독립 그리스의 좁은 영토에 포함되지 않았고, 몇 년 후 다시 오스만 통치를 받아야 했다.[16]

3. 4. 이카리아 자유국 (1912)

이카리아는 1912년 7월 17일까지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으나, 이카리아인들이 터키 수비대를 몰아내고 독립을 달성했다.[16] 제1차 발칸 전쟁 발발 후, 이카리아의 유일한 "전함"인 ''클레오파트라''는 그리스 해군에 점령된 사모스와 키오스 섬에 식량과 물자를 제공했다.

조지 N. 스파노스를 기리는 기념관; 크리소스토모스, 이카리아


1912년 7월 17일 터키 매복에서 사망한 에브딜로스 출신 조지 N. 스파노스(1872년경–1912년)는 이카리아 혁명의 영웅으로 추앙받는다. 그의 시신에 밴돌리어를 두르고 손에 소총을 든 채 당당한 모습으로 묘사된 그의 흉상은 이카리아의 크리소스토모스에 있는 그의 죽음 현장에 세워진 기념관에서 볼 수 있다.

1912년 7월 18일, 이카리아 자유국(Ελευθέρα Πολιτεία Ικαρίας, ''Elefthéra Politía Ikarías'')이 선포되었다. 인근의 포르노이 코르세온 섬들도 해방되어 자유국의 일부가 되었다. 요안니스 말라키아스 (Ιωάννης Μαλαχίας)는 이카리아 자유국의 첫 번째이자 유일한 대통령이었다.[16]

이카리아 혁명의 지도자 요안니스 말라키아스의 흉상; 아기오스 키리코스, 이카리아


기념 문구와 날짜가 새겨진 이카리아 자유국의 깃발


이카리아 자유국은 5개월 동안 자체 정부, 군대, 국기, 문장, 우표, 국가를 가진 독립 국가였다. 그러나 이 5개월은 섬의 경제에 어려움을 가져왔다. 식량 부족이 발생했고, 이탈리아령 도데카니제의 일부가 될 위험에 처해 있었다.[16] 1912년 11월 4일, 발칸 전쟁으로 인해 지연된 후, 이카리아는 공식적으로 그리스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오스만 제국런던 조약 (1913년)에서 이카리아와 기타 에게해 섬에 대한 그리스의 합병을 인정했다.

3. 5. 제2차 세계 대전 및 그리스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탈리아와 독일의 점령으로 이 섬은 재산 및 인명 피해를 입었다. 카라보스타모 마을에서만 100명 이상이 굶어 죽는 등, 많은 사람들이 굶주림으로 희생되었다.[18][19]

전쟁의 참혹함 이후, 민족주의자들과 공산주의자들은 그리스 내전 (1946–49)에서 격돌했고, 그리스 정부는 약 13,000명의 공산주의자들을 이 섬에 유배시켰다. 오늘날까지 지역 주민 대다수는 좌익 정당과 공산주의에 동정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이카리아는 일부 사람들에게 "붉은 바위"(Κόκκινος Βράχος, ''Kokkinos Vrahos'')라고 불린다.[18][19]

이스트 캐롤라이나 대학교의 역사가 앤서니 J. 파팔라스(Anthony J. Papalas)는 저서 "반군과 급진주의자; 이카리아 1600–2000"에서 20세기 이카리아의 빈곤, 미국으로의 이민, 추축국의 점령, 공산주의의 부상, 그리스 내전, 그리고 급진적인 전후 운동에 대한 우익의 반작용 등을 분석하며 현대 이카리아를 연구했다.

3. 6. 현대

그리스 내에서의 유배 참고

그리스 내전 (1946–49)에서 민족주의자들과 공산주의자들 간의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고, 그리스 정부는 약 13,000명의 공산주의자들을 이 섬에 유배시켰다.[18][19] 오늘날까지도 이카리아 지역 주민 대다수는 좌익 정당과 공산주의에 동정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이카리아는 "붉은 바위"(Κόκκινος Βράχος, ''Kokkinos Vrahos'')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역사학자 앤서니 J. 파팔라스(Anthony J. Papalas) (이스트캐롤라이나 대학교)는 "반군과 급진주의자; 이카리아 1600–2000"이라는 분석에서 빈곤, 미국으로의 이민, 추축국의 점령, 공산주의의 부상, 그리스 내전, 그리고 전후 급진적인 운동에 대한 우익의 반작용 등 20세기 이카리아의 주요 문제들을 조명하며 현대 이카리아사를 연구했다.

1960년 이후 그리스 정부가 섬의 기반 시설에 투자하여 관광 산업 진흥을 도우면서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되었다. 오늘날 이카리아는 세계 5대 "블루존" 중 하나로 손꼽히며, 인구의 3분의 1이 90세까지 장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이는 건강한 식단, 생활 방식, 그리고 유전적 요인 덕분으로 여겨진다.[21] 2011년에 발표된 이카리아 연구는 이카리아인들의 장수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한 연구이다.[22] 이 연구에서는 65세에서 100세 사이의 이카리아 남성 80%가 정기적으로 성관계를 갖는다는 사실을 밝혀내며, 노년층 남성의 높은 성관계 빈도를 보여주기도 했다.[23]

4. 인구

이 섬의 주민들은 이카리아인 또는 이카리오트라고 불린다. (Ικαριότες|이카리오테스el)

이카리아인 디아스포라는 그리스 전역, 특히 티메나와 포르노이 코르세온, 아테네에 대규모 공동체가 있다. 이카리아인 디아스포라는 전 세계, 주로 호주, 미국, 캐나다, 이집트 및 영국에서 발견된다.[24]

이카리아 그리스인들은 에게해 섬의 다른 그리스인들, 예를 들어 사모스, 키오스, 포르노이 코르세온, 파트모스 출신 그리스인들, 그리고 아나톨리아 출신 그리스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5. 지방 자치 단체

현재의 이카리아 지방 자치 단체는 2011년 지방 정부 개혁으로 다음의 세 개의 이전 지방 자치 단체가 합병되어 형성되었으며, 이는 지방 자치 단위를 구성하게 되었다.[1]


  • 아기오스 키리코스
  • 브디로스
  • 라헤스


아기오스 키리코스, 에브딜로스 및 라체스 시정 구역은 다음과 같은 지방 자치 단체로 세분된다.

아기오스 키리코스에브딜로스라체스



에브딜로스


라헤스 마을의 거리

6. 박물관

'''캄포스 고고학 박물관'''

캄포스 마을에 위치한 고고학 박물관은 한때 고대 오이노에의 요새였던 언덕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카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인 아기아 이리니 바로 옆에 있다. 박물관에는 신석기 시대 도구, 도자기, 점토 조각상, 기둥, 동전, 조각된 묘비 등 250점이 넘는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

'''아기오스 키리코스 고고학 박물관'''

미국에 거주하는 이카리아 이민자들이 지은 아기오스 키리코스의 옛 고등학교에 자리 잡고 있는 이 박물관은 2014년 현재 최근에 개조된 1925년의 신고전주의 건물이다. 이 유적 건물에는 이카리아의 가장 관련성이 높은 발견물이 모두 보관되어 있으며, 현대 박물관 및 연구/보존 센터의 시설을 통해 섬의 역사와 문화를 조명한다.

이카로스 신화와 드라카노 고대 성채에 관한 멀티미디어 전시와 영화를 갖춘 이 박물관은 이카리아의 고고학적 발견물을 전시하고 방문객에게 섬의 역사 전반에 걸쳐 고대 이카리아 정착촌의 문화적, 상업적, 사회적 발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아기오스 키리코스 민속 역사 박물관'''

이카리아의 아기오스 키리코스에 위치한 이 박물관은 2010년 7월에 개관되었으며, 테미스토클레스 카차로스 교수의 오랜 노력의 결과이다. 박물관은 이카리아의 민속, 전통 및 관습을 보존하고 홍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카리아와 그 주민들의 역사와 유산을 반영하는 1,500점 이상의 물품을 전시하고 있다. 박물관은 드레스, 직물, 가정 용품, 도자기, 농업 및 무역 도구 및 기구, 사진, 문서 및 기타 여러 물품을 포함하여 섬에서 문화적으로 중요한 물품을 전시한다.

박물관에 전시된 물품 중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이카리아 자유국(1912년)의 국기이다. 일부 전시물은 주제별 및 연대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방문객은 18세기부터 1970년대까지 이카리아의 사회 및 경제 생활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브라카데스 민속 박물관'''

브라카데스 민속 박물관은 섬의 북서쪽에 위치한 해발 650미터의 그림 같은 브라카데스 마을에 위치해 있다. 17세기에 설립된 이 마을은 건축학적으로 주목할 만한 오래된 돌집과 선장의 별장을 포함하고 있다. 박물관에는 이 지역의 역사와 사람들과 관련된 흥미로운 컬렉션이 소장되어 있다. 특히 이카리아 자유국의 문서와 기념품이 눈에 띈다.

다른 전시물로는 가정주부, 양봉가 및 농부가 사용한 다양한 점토 및 나무 물건, 브라카데스의 프로피트 엘리아스와 에바겔리스트리아스 마브리아누 수도원의 교회 유물, 이카리아 작가의 책, 500년 이상 된 이카리아 기록 및 문서가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소박한 현지 의류를 만드는 데 사용된 양모와 염소 털을 가공하는 데 사용된 커터 "라나리"(그리스어), 로프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간단한 도구 "리스고스", 오래된 굴착 도구 및 섬의 첫 번째 거주자에게 속한 다른 많은 도구이다.

7. 이카리아와 관련된 인물


  • 엘레프테리아 아르바니타키 (1957년 출생): 이카리아 출신 가수이다.
  • 요안니스 말라키아스 (1880–1958): 이카리아 자유국의 초대이자 유일한 대통령이었다.
  • 아리스티데스 푸트리데스 (1887–1927): 하버드 고전 언어학 교수였다.
  • 아리스 풀리아노스 (1924-2021): 이카리아 출생의 인류학자이다.
  • 잭 스페이스 (1961년 출생): 미국 정치인으로, 가족이 이카리아 출신이다.
  • 크리스토둘로스 I. 스테파나디스 (1947년 출생): 이카리아 출생의 심장학 교수이다.
  • 크리스토둘로스 시로스 (1958년 출생): 그리스 테러리스트로, 11월 17일 테러 단체 회원이었다.
  • 앤서니 마라스: 그리스계 호주인 영화 감독이다.
  • 크리스티 차코스 (크리소스토모스 차칼리아스): 그리스계 미국인 예술가이자 조각가이다.
  • 크리스 코우라키스: 남호주의 대법원장이다.
  • 미키스 테오도라키스: 이카리아 섬에서 망명 생활을 했다.
  • 닉 마마타스: 미국 작가로, 가족이 이카리아 출신이다.
  • 요르고스 란티모스: 그리스 영화 감독으로, 그의 할머니가 이카리아 출신이다.
  • 엘레나 카라페티스: 호주 여배우로, 그녀의 아버지 가족이 이카리아 출신이다.
  • 딘 카르나제스: 미국 울트라마라톤 선수이자 작가로, 그의 어머니 가족이 이카리아 출신이다.
  • 스테판 파스티스: 미국 만화가이다.
  • 알렉스 카라페티스: 호주 음악가이다.
  • 조나단 카라페티스: 호주 소아과 의사로, 그의 아버지가 이카리아 출신이다.
  • 테오 마라스: 그리스계 호주인 부동산 재벌이다.
  • 닉 채플리: 그리스계 호주인 사업가이자 푸드랜드 소유주이다.
  • 존 채플리: 그리스계 호주인 사업가이자 푸드랜드 소유주이다.
  • 니키 바실라키스: 그리스계 호주인 바이올리니스트이다.
  • 조지 V. 스파노스: 캘리포니아 고등 법원 판사로, 그의 아버지가 이카리아 출생이다.
  • 니콜라스 이카리스: 조각가이다.
  • 아르기리스 차칼리아스: 그리스의 지식인, 신학자, 철학자이자 급진적 정치 운동가이다.
  • 엘렉트라 차칼리아: 그리스 여배우 (아르기리스의 딸)이다.
  • 티나 페이: 미국 배우로, 그녀의 할머니가 이카리아 출신이다.

참조

[1]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2]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3] DGRG Icarus
[4] 서적 A History of Samos, c 800–188 B.C. Oxford 1987
[5] 문서 Strabo
[6] 서적 Historia numorum: a manual of Greek numismatics
[7] 문서 Brauron
[8] 간행물 Hot Springs and Healing: A Preliminary Answer 1961
[9] 서적 From Ikaria to the stars Austin 2004
[10] 문서 Fabulae
[11] Wikisource The Anabasis of Alexander; or, The history of the wars and conquests of Alexander the Great Hodder & Stoughton
[12] 문서 Georgirenes 1677
[13] 서적 A Description of the Present State of Samos, Nikaria, Patmos, and Mount Athos https://books.google[...] 1677
[14] 서적 Rebels and Radicals Icaria 1600–2000 https://books.google[...] Bolchazy-Carducci Publishers
[15] 문서 Georgirenes' Cachoria
[16] 서적 Rebels and Radicals Icaria 1600–2000 https://books.google[...] Bolchazy-Carducci Publishers
[17] 웹사이트 βιογραφίες των δημιουργών του https://ikarianews.n[...] 2016-12-29
[18]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Ikaria https://ekloges.ypes[...] Ministry of the Interior (Greece)
[19] 서적 Ikaria, o kokkinos vrachos / Ικαρία, ο "κόκκινος βράχος" Sychroni Epochi 2016
[20] 웹사이트 The Island Where People Live Longer https://www.npr.org/[...] NPR 2013-03-26
[21] 웹사이트 Ikaria Greece Longevity Secrets http://www.businessi[...] Business Insider 2013-03-26
[22] 학술지 Unveiling the secrets of longevity: The Ikaria study http://www.hellenicj[...]
[23] 웹사이트 Ikaria, Greece, is one of the world's Blue Zones where people live longer than average. Residents nap often, drink herbal tea, and value family. https://www.business[...] 2024-02-22
[24] 문서 'ΕΚΑΤΟ ΧΡΟΝΙΑ ΙΚΑΡΙΑΚΗΣ ΕΞΩΤΕΡΙΚΗΣ ΜΕΤΑΝΑΣΤΕΥΣΗΣ, 1892-1991' Dekalogos 2015
[25] 문서 Greek Artists Abroad Greek Ministry of Foreign Affairs 1988
[26] 웹사이트 Greek church shows Orthodox exhibit https://www.washingt[...]
[27] 뉴스 See ABC article https://www.abc.net.[...]
[28] 웹사이트 'Museum Mikis Theodorakis | Visit Ikaria' https://www.visitika[...]
[29] 웹사이트 BAFTA David Lean Lecture: Yorgos Lanthimos https://www.bafta.or[...] 2018-02-03
[30] 웹사이트 State Theatre premieres Elena Carapetis new play the Gods of Strangers about migrants in Australia https://www.adelaide[...] 2018-10-21
[31] 웹사이트 'Dean Karnazes Goes the Extra Mile | Live Happy' https://www.livehapp[...]
[32] 서적 The Saturday Evening Pearls: A Pearls Before Swine Collection https://www.google.c[...] Andrews McMeel Publishing 2009
[33] 문서 'Ikarians In South Australia: The origins of the Pan-Ikarian Brotherhood of South Australia “Ikaros” Inc., and its connections with the community' https://www.academia[...] 2014
[34] 웹사이트 What office item do you cherish most? https://www.perthnow[...] 2019-01-27
[35] 웹사이트 Theo Maras, his rise from humble beginnings in Ikaria to being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ustralian businessmen https://neoskosmos.c[...] 2020-06-18
[36] 웹사이트 How a poor boy from Ikaria went on to become one of the most successful businessmen in Australia https://neoskosmos.c[...] 2019-06-19
[37] 웹사이트 How a poor boy from Ikaria went on to become one of the most successful businessmen in Australia https://neoskosmos.c[...] 2019-06-19
[38] 웹사이트 Upfront and solo: classical violinist Niki Vasilakis - Neos Kosmos https://neoskosmos.c[...] 2016-03-18
[39] 웹사이트 Resolution of The Board of Supervisors of Contra Costa County, California http://64.166.146.24[...] 2017-06-06
[40] 서적 Myth and the Creative Process: Michael Ayrton and the Myth of Daedalus, the Maze Maker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03
[41] 웹사이트 Electra Tsakalia https://www.imdb.com[...]
[42] 문서 Ikarian Days in Brusssels https://www.ikariam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