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텔멘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텔멘족은 캄차카반도에 거주하는 원주민으로, 러시아의 정복과 지배를 받으며 러시아 문화와 혼합되었다. 17세기 러시아의 캄차카 정복 이후, 이텔멘족은 러시아인과의 혼혈을 겪으며 인구가 감소했다. 전통적으로 어로 생활을 하며, 겨울에는 땅을 파서 만든 직사각형 집에서, 여름에는 높이 지은 집에서 생활했다. 다신교를 믿었으며, 쿠트카를 창조신으로 숭배했다. 18세기 전반까지 아이누족과 교역 관계를 맺었으며, 현재는 관광 산업과 연계된 민족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유전적으로는 하플로그룹 C2가 높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차카 변경주 - 캄차카 시간
캄차카 시간은 러시아의 시간대 중 하나로, 캄차카 지방과 추코트카 자치구에 적용되며, 2014년 부활 이후 UTC+12를 사용한다. - 캄차카 변경주 - 알류트족
알류트족은 알류샨 열도, 슈마긴 제도, 알래스카 반도의 극서부 지역에 거주하며 '우낭안' 또는 '우낭아스'라고 불리는 원주민으로, 해양 사냥 기술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왔으나 외부 세력과의 접촉으로 고난을 겪었고 현재는 고유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캄차카반도 -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는 캄차카반도 남동부 아바차 만 연안에 위치한 러시아 캄차카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서, 군사 및 어업 기지 역할과 캄차카 화산군 중심의 관광 산업이 발전한 곳이다. - 캄차카반도 - 오호츠크판
오호츠크판은 동아시아 북부에 위치한 미소판으로 유라시아판, 북아메리카판, 태평양판, 필리핀해판과 상호작용하며, 특히 동쪽 경계에서 태평양판 섭입으로 지진 활동이 활발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분석되며 과거 북아메리카판의 일부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독립된 판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 북아시아의 원주민 - 알류트족
알류트족은 알류샨 열도, 슈마긴 제도, 알래스카 반도의 극서부 지역에 거주하며 '우낭안' 또는 '우낭아스'라고 불리는 원주민으로, 해양 사냥 기술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왔으나 외부 세력과의 접촉으로 고난을 겪었고 현재는 고유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북아시아의 원주민 - 부랴트인
부랴트인은 러시아 부랴티야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며 몽골 제국의 일원이었던 몽골계 민족으로, 바이칼호 주변에서 반유목 생활을 하며 샤머니즘과 티베트 불교를 믿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높은 사상자 비율로 논란이 되었다.
이텔멘족 | |
---|---|
기본 정보 | |
![]() | |
민족 명칭 | 이텔멘 |
러시아어 명칭 | Ительмены (Itel'meny) |
주요 거주 지역 | 러시아 캄차츠카 지방 |
총 인구 | 3,211명 |
러시아 내 인구 | 3,193명 |
우크라이나 내 인구 | 18명 |
사용 언어 | 이텔멘어 러시아어 |
종교 | 다신교 샤머니즘 러시아 정교회 |
관련 민족 | 추크치족 코랴크족 |
언어별 명칭 | |
이텔멘어 | Итәнмә’н (Itənmən) |
러시아어 | Ительмены (Itel'meny) |
2. 역사
블라디미르 아틀라소프는 1695년 루카 모로즈코를 캄차카 정찰에 파견했고, 1년 후 유카기르 보조병 120명을 이끌고 캄차카를 러시아에 합병, 공물을 징수하기 위해 출발했다.[6] 1703년 아틀라소프가 세운 볼셰레츠크가 이 지역 최초의 코사크 정착지였다.[4]
아틀라소프는 그곳에서 일본 상인 점원을 포로로 잡고 있던 이텔멘들을 발견했다. 표트르 대제는 그에게 일본어 학교를 설립하게 했다.[6]
1706년, 코랴크족에 의해 고위 관리들이 살해되면서 무법 상태가 만연했다. 코사크들은 공물의 양을 어기고 이텔멘들을 노예로 삼아 도박을 하거나 거래했다.[4] 1711년 아틀라소프는 암살당했다. 다닐라 안치페로프와 이반 코지레프스키가 반도 남쪽 끝과 쿠릴 열도 원정을 이끌었다.[6]
이텔멘들은 북쪽 이웃 코랴크족과 동맹, 안치페로프를 살해했다. 1715년 천연두가 발생할 때까지 반란은 계속되었고, 러시아는 5년 동안의 공물과 최소 200명의 러시아인 목숨을 잃었다.[6]
시간이 지나면서 남은 인구는 동화되었다. 러시아 정교회 신앙을 가졌지만 외모와 관습은 이텔멘 고유의 특징을 가진 혼혈 인구가 등장했다. 베링의 두 번째 캄차카 원정 당시, 인구는 코사크 도착 전보다 약 10%로 감소했다.[4] 17세기 말 캄차카 반도가 러시아에 병합되면서 러시아화가 진행되었다.
19세기에 이르러 총, 담배, 차, 설탕, 보드카와 같은 물품들이 이텔멘족에게 널리 유통되었다.[8] 많은 이텔멘족이 러시아 정교회에 세례를 받았지만, 애니미즘은 여전히 널리 행해졌다.[8] 1930년대에 러시아어 교육이 표준이 되었고, 1989년 인구 조사 당시 이텔멘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이텔멘족은 5명 중 1명 미만이었다.[8]
2. 1. 러시아의 정복과 지배
블라디미르 아틀라소프는 1695년 루카 모로즈코(루카 모로즈코)를 캄차카 정찰에 파견했고, 1년 후 유카기르 보조병 120명을 이끌고 캄차카를 러시아에 합병, 공물을 징수하기 위해 출발했다.[6] 이들은 아나디르스크 만에서 순록을 타고 출발, 서해안 대부분을 탐험하고 동쪽 산맥을 넘어 주민들을 복종시켰다. 1696년 7월 중순 캄차카 강에 도착하여 부대를 둘로 나누었는데, 한 부대는 서쪽으로, 다른 부대는 동해안에 남았다. 이때 유카기르 보조병들이 반란을 일으켜 러시아인 6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당했다. 코랴크족도 아틀라소프의 순록 떼를 훔쳐 달아났지만, 러시아인들에게 쫓겨 한 명을 제외하고 모두 죽임을 당했다.[6]캄차카 강 상류에서 이들은 요새화된 이텔멘 마을을 처음 만났다. 원주민들은 이들을 친절하게 맞이했고, 저항 없이 공물을 받았다. 이후 강 상류의 라이벌 이텔멘 마을을 약탈하여 이텔멘과의 동맹을 강화했다.[6] 1703년 아틀라소프가 세운 볼셰레츠크가 이 지역 최초의 코사크 정착지였지만, 슈텔러는 "허풍선이 아틀라소프"가 도착했을 때 이미 유명한 마을이었다고 언급한다.[4]
아틀라소프는 그곳에서 일본 상인 점원을 포로로 잡고 있던 이텔멘들을 발견했다. 이 일본인은 캄차카 강에 도착했을 때 이텔멘들에게 붙잡힌 난파선 생존자였다. 아틀라소프는 처음에 그를 인도 힌두교도로 생각, "혼도" 또는 도쿄라는 단어에 대한 혼란으로 인해 모스크바로 보냈고, 표트르 대제는 그에게 일본어 학교를 설립하게 했다.[6]
1706년, 코랴크족에 의해 고위 관리들이 살해되면서 무법 상태가 만연했다. 코사크들은 공물의 양을 어기고 이텔멘들을 노예로 삼아 도박을 하거나 거래했다.[4] 이 시기 반란이 빈번했다. 아틀라소프는 잠시 투옥되었다가 법 질서를 재정립하려 노력했다. 1711년 그의 부하들이 반란을 일으켰고, 그는 니즈네캄차츠크로 도망쳤으나 암살당했다. 반란군은 정부 일을 계속하면 사형을 면제받았다. 다닐라 안치페로프와 이반 코지레프스키가 반도 남쪽 끝과 쿠릴 열도 원정을 이끌었다.[6]
이들의 통치하에 이텔멘들은 북쪽 이웃 코랴크족과 동맹, 안치페로프를 살해했다. 1715년 천연두가 발생할 때까지 반란은 계속되었고, 러시아는 5년 동안의 공물과 최소 200명의 러시아인 목숨을 잃었다.[6]
시간이 지나면서 남은 인구는 동화되었다. 자살률 증가로 인해 러시아는 원주민 자살 금지 법을 제정했다.[7] 러시아 정교회 신앙을 가졌지만 외모와 관습은 이텔멘 고유의 특징을 가진 혼혈 인구가 등장했다. 정부는 혼혈 아동에게 법적 지위를 부여했고, 이텔멘 여성은 정교회 신앙으로 결혼하는 것이 허용되었다.[7] 베링의 두 번째 캄차카 원정 당시, 인구는 코사크 도착 전보다 약 10%로 감소했다.[4] 17세기 말 캄차카 반도가 러시아에 병합되면서 러시아화가 진행되었다.
2. 2. 현대
19세기에 이르러 총, 담배, 차, 설탕, 보드카(vodka)와 같은 물품들이 이텔멘족에게 널리 유통되었다.[8]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이텔멘족이 러시아 정교회에 세례를 받았지만, 애니미즘은 여전히 널리 행해졌다.[8] 188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텔멘족 인구는 4,029명으로 기록되었고, 1959년에는 1,109명으로 감소했지만, 1989년 인구 조사에서는 2,480명으로 증가했다.[8] 1930년대에 러시아어 교육이 표준이 되었고, 1989년 인구 조사 당시 이텔멘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이텔멘족은 5명 중 1명 미만이었다.[8]3. 문화
이텔멘족은 다신교를 믿었으며, 창조신 쿠트카(Kutka)를 숭배했지만, 그의 어리석음을 탓하며 꾸짖거나 저주하기도 했다. 쿠트카는 차치(Chachy)라는 지혜로운 아내 덕분에 어리석음을 바로잡았다고 전해진다. 캄차카반도의 강에는 쿠트카의 아들과 딸들이 살고 있다고 믿었으며, 이는 각 강마다 다른 방언이 존재하는 이유로 설명된다. 바다에는 물고기 형태의 미트흐(Mitgh)라는 정령을, 숲에는 우샤흐트추(ushakhtchu)라는 요정을 숭배했다. 산신은 가물리(gamuli)라고 불렸으며, 특히 화산이 있는 높은 산에 살았다. 구름에는 천둥, 번개, 폭풍을 담당하는 빌루카이(billukai) 신이 살고 있다고 믿었다. 악마 캄마(Kamma)는 매년 화살로 공격받는 존재였다.[4][5]
노동은 성별에 따라 분담되었는데, 어업에서는 남성이 고기를 잡고 여성이 손질과 건조, 알 수집을 담당했다. 주택 건설에서는 남성이 목공과 굴착을, 여성이 지붕을 이는 작업을 맡았다. 여성은 발효 생선과 개 사료를 제외한 모든 음식을 준비하고, 씨앗, 열매, 애기솔나물 채집도 담당했다. 풀로 매트, 가방 등을 만들었고, 개와 순록 가죽으로 의류를 제작했다.[4]
이텔멘족은 정해진 식사 시간 없이 생활했으며, 가족끼리 식사하는 경우도 드물었다. 튀긴 음식보다는 차가운 음식을 즐겼고, 주식은 버드나무나 자작나무 껍질에 싸서 먹는 생선 알이었다. 축제에는 사라나, 잣, 엉겅퀴, 갯강활, 꼬리풀 뿌리, 베리 등을 물개 기름, 고래 기름, 생선기름에 넣어 끓인 죽을 먹었다. 로파트칸에서는 발효된 베리 음료를 마셨다.[4]
18세기 전반까지 아이누족과 교역 및 무역 관계를 맺었다. 연어나 해달 모피 등 아이누족의 특산물이 캄차카반도 남부에서 거래되었다.[1] 현재는 관광 산업을 통해 이텔멘족의 민족 무용과 역사 유물(아이누족과의 교역에 사용된 물품 포함)을 전시하고 있다.[1]
17세기 말 캄차카 반도가 러시아에 병합되면서 러시아화가 진행되었다. 이텔멘족은 이텔멘어(캄차달어)와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20세기 무렵에는 원주민 또는 원주민과 혼혈한 러시아인을 가리키는 캄차달이라는 호칭이 사용되었다. 이들은 콜호스에 속해 어업, 수렵, 원예 등에 종사했다. 어로 생활을 중심으로 겨울과 여름에 거주지를 이동했으며, 이동과 운반에는 개썰매, 눈신, 스키, 통나무배가 사용되었다.
3. 1. 주거
이텔멘족은 여름과 겨울에 서로 다른 집에서 생활했다. 11월부터 거주하는 겨울집은 땅을 약 90~150cm 정도 파서 만든 직사각형 모양이었다. 벽은 막대기와 짚으로 덮어 습기가 스며드는 것을 막았다. 집 중앙의 네 기둥이 지붕을 지탱했고, 서까래를 얹어 유르트 꼭대기를 흙벽과 연결했다. 서까래 위에는 짚을 약 30cm 정도 깔고 파낸 흙을 덮어 단단히 다졌다. 유르트 꼭대기의 네 기둥 한쪽에 있는 구멍은 굴뚝과 출입구 역할을 했다. 난로 맞은편에는 강을 향한 외부 통로를 만들었는데, 불을 지필 때만 열었다. 짚 매트와 순록이나 바다표범 가죽을 깔개로 사용했고, 나무 조각으로 침실을 구분했다.[4]
여름에는 "페흐므" 또는 "페흐미"라고 불리는 높이 지은 집에서 살았다. 여름에 지면이 녹으면서 겨울집 바닥이 침수되었기 때문이다. 여름에는 각 가족이 각자의 집에서 살았다. 코사크인들은 이러한 높이 지은 집을 "발라간"이라고 불렀는데, 높은 기둥 위에 세운 피라미드 형태였다. 남쪽과 북쪽에 문이 있었고, 기후의 극심한 습도 때문에 건조한 저장을 위해 집을 높이 지었다. 대부분의 마을에는 여름집과 겨울집 외에도 짚으로 만든 오두막이 있어 음식을 조리하고, 바닷물에서 소금을 끓이고, 기름을 정제했다. 러시아인들이 들어오기 전에는 마을을 흙벽이나 울타리로 둘러쌌지만, 이후 이 관습은 금지되었다.[4]
이텔멘족은 캄차카 반도의 여러 강가에 정착했다. 1650년대 초반 코사크들이 반도에 처음 도착했을 당시 마을 주민 수는 200~300명이었으나, 1744년에는 40~50명으로 줄었다. 각 마을은 하나의 가부장적 가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결혼한 남성은 아내의 마을로 이주했다. 마을이 커지면 분열하여 같은 강가의 다른 지점에 정착지를 건설했다. 슈텔러는 강마다 방언이 크게 달랐는데, 이는 이텔멘족이 주로 같은 강을 공유하는 공동체와 소통했기 때문이라고 기록했다.[4]
3. 2. 종교
이텔멘족은 다신교를 믿었다. 창조신은 쿠트카(Kutka) 또는 쿠트가(Kutga)로 불렸는데, 모든 것을 창조한 신으로 여겨졌지만 슈텔러는 그에 대한 숭배가 전혀 없었다고 기술하고 있다.[5] 이텔멘족은 삶의 문제와 어려움을 그의 어리석음 탓으로 돌리며, 그를 꾸짖거나 저주하기도 했다.[5] 그들은 쿠트카가 차치(Chachy)라는 지혜로운 여자와 결혼했다고 믿었는데, 그녀는 그의 어리석음을 막고 끊임없이 그를 바로잡았다고 한다. 쿠트카는 캄차카반도의 가장 큰 강에 살았다고 여겨지며, 각 강마다 아들과 딸을 남겼다고 하는데, 이는 반도에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는 것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이텔멘족은 또한 바다에 살며 물고기 형태를 한 미트흐(Mitgh)라는 여러 정령을 숭배했다. 그들은 사람을 닮았다고 하는 우샤흐트추(ushakhtchu)라는 숲의 요정을 믿었다. 산신은 가물리(gamuli) 또는 작은 영혼이라고 불렸는데, 특히 화산이 있는 높은 산에 살았다. 구름에는 빌루카이(billukai) 신이 살고 있다고 믿었는데, 그는 천둥, 번개, 폭풍을 담당했다고 한다. 그들은 캄마(Kamma)라고 불리는 악마가 있다고 여겼는데, 니즈노이 마을 밖의 나무에 살며 매년 화살로 공격받았다고 한다.[4]3. 3. 생업
노동은 성별에 따라 매우 명확하게 분담되었지만, 많은 일은 공동으로 수행되었다. 어업의 경우 남녀가 함께 노를 젓기는 했지만, 남성만이 고기를 잡았고 여성은 고기 손질 및 건조, 알 수집 등 관련 작업을 모두 수행했다. 주택 건설에서는 남성이 목공, 굴착, 목수 일을 모두 담당했고, 여성은 짚 지붕을 이는 작업과 곰의 어깨뼈로 만든 뼈 낫으로 짚을 자르는 작업을 했다. 여성은 발효 생선과 개 사료를 제외한 모든 생선을 준비했고, 개 사료는 남성이 담당했다. 여성은 씨앗, 열매 및 차의 일종으로 사용되는 애기솔나물(Epilobium angustifolium) 채집 작업을 모두 수행했다. 풀로는 매트, 가방, 바구니, 상자를 만들어 보관과 운반에 사용했다. 개와 순록 가죽은 무두질하고 염색하여 남녀가 착용하는 다양한 의류로 만들었다.[4]17세기 말 캄차카 반도가 러시아에 병합되면서 러시아화가 진행되었다. 이텔멘족은 이텔멘어(캄차달어)와 러시아어를 사용한다. 캄차달이라는 명칭은 20세기 무렵 현지에 거주하던 원주민 또는 원주민과 혼혈한 러시아인을 가리키는 호칭이며, 이텔멘(Ительмен)이 자칭이다. 이들은 콜호스(колхоз)에 속해 어업, 수렵, 원예 등에 종사했다.
어로 생활을 중심으로 겨울과 여름에 거주지를 이동하는 생활을 했다. 하천 유역 연안에 움집이나 작은 오두막을 짓고 거주했다. 이동과 운반에는 개썰매, 눈신, 스키 등이 사용되었다. 수상 이동의 경우에는 통나무배가 이용되었다.
3. 4. 음식
이텔멘족은 손님을 접대할 때를 제외하고는 정해진 식사 시간을 거의 지키지 않았다. 또한, 따뜻한 음식인 '오파나'(opana)나 신선한 생선을 먹을 때를 제외하고는 가족끼리 식사하는 경우도 드물었다. 이웃 원주민인 에벤키족(Evenks)과 야쿠트족(Yakuts)과는 달리 튀긴 음식을 즐기지 않았고, 대부분 차가운 음식을 먹었다. 주식은 버드나무 껍질이나 자작나무 껍질(birch bark)에 싸서 먹는 생선 알이었다. 축제인 '셀라가'(selaga)에서 즐겨 먹던 음식은 사라나(sarana), 잣(pine nut), 엉겅퀴(fireweed), 갯강활(cow parsnip), 꼬리풀(bistort) 뿌리, 그리고 여러 가지 베리를 물개 기름(seal), 고래 기름(whale), 또는 생선기름(fish oil)에 넣어 끓인 죽이었다. 로파트칸에서는 발효된 베리 음료를 마셨지만, 다른 이텔멘족 정착지에서 발효 음료(fermented drink)를 만들었다는 증거는 없다.[4]3. 5. 아이누족과의 교역
이텔멘족은 18세기 전반까지 사할린, 홋카이도, 쿠릴 열도의 원주민인 아이누족과 교역 및 무역 관계를 맺었다. 아이누족이 강에서 잡은 연어나 바다에서 잡은 해달의 모피 등 아이누족의 특산물이 캄차카반도 남부에서 이텔멘족과 아이누족 사이에 거래되었다.[1]현재, 관광 산업에 힘을 쏟고 있는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는 전 세계에서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으며, "화산 반도"인 캄차카는 "온천"과 이텔멘족의 민족 무용이 두 가지 관광의 주요 내용이다. 이텔멘족 거주지에서는 "수확에 대한 감사의 춤" 등의 민족 무용뿐만 아니라, 이텔멘족의 역사를 보여주는 물품들도 관광객을 위해 전시하고 있으며, 그중에는 아이누족과의 교역 및 무역에서 (기본적으로 물물교환이지만) 결제 통화로 사용되었던 것들도 전시되어 있다.[1]
4. 유전적 특징
이텔멘족의 Y염색체 하플로그룹은 C2가 38.9~66.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9] 다음으로는 R1a가 22.2%를 차지하는데,[10] 이는 러시아인(R1a가 고빈도)과의 혼혈을 짐작하게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Russian Census 2010: Population by ethnicity
http://www.perepis-2[...]
[2]
웹사이트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 National composition of population, 2001
http://2001.ukrcensu[...]
[3]
이미지
Map 3.7 (Kamchatka)
http://www.npolar.no[...]
1997
[4]
서적
Steller's History of Kamchatka
University of Alaska Press
2003
[5]
논문
Anthropology: Opinions of Various Rude Nations regarding the Origin of Mankin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Virginia
1829
[6]
서적
East of the Sun: The Conquest and Settlement of Siberia
https://books.google[...]
Mandarin
1993
[7]
서적
The Russian Far East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4
[8]
서적
The Red Book of the Peoples of the Russian Empire
NGO Red Book
2001
[9]
문서
C-M48 및 C-RPSY4의 비율
[10]
논문
The dual origin and Siberian affinities of Native American Y chromosomes
https://www.ncbi.nlm[...]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