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바바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도시 키시의 수호신이자 전쟁의 신으로, 수메르어 또는 셈어파 어원과 관련이 없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그는 초기 왕조 시대부터 숭배되었으며, 특히 함무라비 시대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자바바는 독수리를 상징으로 하며, 전쟁의 신으로서 왕의 원정을 수호하고 맹세의 신으로서의 면모도 지녔다. 그의 주요 신전은 키시에 위치한 에두바였으며, 이난나/이슈타르, 바우 등 다른 신들과의 관계 속에서 묘사되었다. 자바바는 메소포타미아 외부, 특히 히타이트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다양한 전쟁 신들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동의 신 - 야훼
야훼는 히브리어 성경에 나오는 하느님의 고유한 이름인 YHWH를 가리키며, 다양한 종교에서 다르게 이해되고 숭배되며, 고대 이스라엘 종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 중동의 신 - 타니트
타니트는 서지중해 지역에서 숭배받았던 여신으로, 전쟁, 다산, 보호를 상징하며, 바알 함몬과 함께 숭배되었고, 삼각형 위에 원이 있는 상징으로 표현된다. - 히타이트의 신 - 엔릴
엔릴은 수메르 신화에서 바람, 폭풍, 영혼을 상징하며, 창조자, 아버지, 왕으로 숭배받았고, 니푸르의 수호신이자 삼위일체 중 북천구를 관장하는 신이다. - 히타이트의 신 - 키벨레
키벨레는 아나톨리아 기원의 머리카락 있는 여성 형상의 여신으로, 그리스와 로마로 전파되어 숭배되었으며, 아티스와 관련된 신화와 축제가 존재하고, 현재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그 이름이 사용된다.
자바바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자바바 |
다른 이름 | 자마마 자마무 |
신화적 정보 | |
문화 | 메소포타미아 신화 |
역할 | 전쟁의 신 |
숭배 중심지 | 키시 움마 |
배우자 | 이슈타르 |
2. 신격
일반적으로 라가쉬의 도시 신 바바(Baba)가 배우신으로 여겨진다. 한편, 특히 키슈에서는 전쟁의 신이라는 공통점이 있는 자바바와 이난나/이슈타르의 관계가 자주 나타난다. 고대 바빌로니아 왕 샴수일루나의 비문에는 자바바와 이슈타르가 키슈의 주신이라고 새겨져 있으며, 함무라비는 키슈의 자바바 신전인 에메테우르사그를 개수하면서 자바바와 이난나가 거주하는 탑을 만들었다. 샴수일루나 역시 자바바와 이난나를 위해 지구라트를 건조했다. 이난나/이슈타르가 자바바의 배우신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샴수일루나가 키슈의 성벽을 수리한 기록에서 이난나를 "자바바의 가장 사랑하는 여동생"으로 묘사한 것을 근거로 이난나가 자바바의 여동생이라고 주장하는 쪽도 있다.
이가리마와 슈르샤가나는 니푸르의 여신 닌 니니브와 닌우르타의 두 아들, 또는 라가쉬의 주신 닌기르수와 바바의 두 아들로 묘사되기도 한다.
2. 1. 이름 및 기원
자바바의 이름은 수메르어나 셈어파 어원과 관련이 없으며, 알랄라, 부네네, 바우와 같은 신들의 이름과 유사하다.2. 2. 역할
자바바는 전쟁의 신이자 키시의 수호신이었다. 이미 초기 왕조 시대에 키시에서 숭배되었으며, 기원전 3천년기 에블라에서 나온 텍스트에서 그를 키시의 "왕"으로 언급하고 있다. 함무라비 통치 기간 동안 그의 지위는 특히 높았으며, 당시 국가 판테온에서 주요 전사의 신은 닌우르타가 아닌 자바바였다.자바바는 왕의 원정을 수호하고, 맹세의 신으로서의 면모도 가지고 있었다. 그의 무기는 카미 타미스(kami-tamisu, 맹세를 세운 것을 묶는 것)라고 불렸다. 키슈의 마나나 왕조(mananaia dynasty)에서는 부동산 거래나 급여 지불 등 공적인 기록 속에서 종종 "자바바와 이아위움 왕(Yawirum, 혹은 Iawium)의 이름으로"라는 문구로 맹세가 이루어졌다.
2. 3. 상징
자바바의 상징은 독수리였으며, 독수리가 위에 있는 깃발 형태로 상징적으로 묘사되었다. 사자 머리의 지팡이 또는 메이스와 함께 묘사되기도 한다. 다른 문헌에서는 오른손에는 사자를 모티브로 한, 왼손에는 독수리를 모티브로 한 두 개의 시미터를 가지고 있다고 묘사되며, 이들은 이가리마, 슈르샤가나라는 이름으로 인격화되어 신격화되기도 한다.3. 숭배
자바바는 함무라비를 칭송하는 여러 글에서 언급된다. 한 찬가에서는 아누, 엔릴, 샤마쉬, 아다드, 마르두크에 이어 그의 성공에 기여한 신들 중 하나로 열거되며, 이난나보다 앞서 언급된다. 다른 찬가에서는 왕의 조력자로 나타난다. 함무라비의 후계자 삼수-일루나 시대의 글에는 이슈타르와 함께 키시의 성벽을 재건하고, 적을 물리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윌프레드 G. 램버트는 이러한 자료들이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에 "판테온 내에서 마르두크의 우월성에 대한 암시가 전혀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라고 지적한다.
네부카드네자르 1세의 경계석(쿠두루)에는 아누, 엔릴, 마르두크, 나부, 이슈타르, 닌우르타, 굴라, 네르갈, 파프수칼, 이사라, "아누 라부"(이쉬타란)와 함께 신들의 순서대로 언급된다.
자바바를 기리기 위해 이름을 지은 메소포타미아 왕으로는 "자바바의 사람"이라는 뜻의 우르-자바바가 있는데, 그는 "수메르 사르곤 전설"에서의 역할로 유명하다. 기원전 12세기에 카시트 바빌론을 통치했던 자바바-슈마-이딘도 있었으나, 엘람 왕 슈트루크-나훈테에 의해 1년 만에 왕위에서 쫓겨났다.
3. 1. 주요 신전
자바바의 주요 신전은 키시에 위치한 에두바였다. 에메테르사그는 별도의 신전이라기보다는 에두바 내에 자바바에게 헌정된 켈라였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치세의 기록에는 키시에서 자바바와 관련된 ''아키투'' 축제를 위한 신전이 존재했음이 언급되어 있다.3. 2. 기타 지역
키시 외에 자바바 신전은 우르(와라드-신이 건설), 바빌론 근처의 마을인 타비라, 아슈르에서 확인된다. 그는 또한 바빌론에서 ''아키투'' 축제 기간 동안 나부, 바우, 네르갈, 맘미툼, 라스와 같은 신들과 함께 도시에 "도착"했다고 전해진다.3. 3. 왕과의 관계
함무라비를 칭송하는 여러 텍스트에서 자바바가 언급된다. 한 찬가에서는 아누, 엔릴, 샤마쉬, 아다드, 마르두크에 이어 그의 성공에 기여한 신들 중 하나로 열거되며, 이난나보다 앞서 언급된다. 다른 찬가에서는 자바바가 왕의 조력자로 나타난다. 함무라비의 후계자 삼수-일루나 시대의 텍스트에는 자바바와 이슈타르의 도움으로 키시의 성벽을 재건하고, 이 두 신이 적을 물리치는 데 도움을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윌프레드 G. 램버트는 이러한 자료들이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에 "판테온 내에서 마르두크의 우월성에 대한 암시가 전혀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라고 지적한다.네부카드네자르 1세의 경계석(쿠두루)에는 자바바가 아누, 엔릴, 마르두크, 나부, 이슈타르, 닌우르타, 굴라, 네르갈, 파프수칼, 이사라, "아누 라부"(이쉬타란)와 함께 신들의 순서대로 언급된다.
자바바를 기리기 위해 이름을 지은 메소포타미아 왕으로는 키시의 우르-자바바("자바바의 사람")가 있는데, 그는 소위 "수메르 사르곤 전설"에서의 역할로 유명하다. 또한 기원전 12세기에 카시트 바빌론을 통치했던 자바바-슈마-이딘이 있었으나, 그는 엘람 왕 슈트루크-나훈테에 의해 1년 만에 왕위에서 쫓겨났다.
4. 다른 신들과의 관계
일반적으로 라가쉬의 도시 신 바바(Baba)가 배우신으로 여겨진다. 특히 키슈에서는 전쟁의 신이라는 공통점이 있는 자바바와 이난나/이슈타르를 짝짓는 경우가 많으며, 고대 바빌로니아 왕 샴수일루나의 비문에는 자바바와 이슈타르가 키슈의 주신이라고 새겨져 있다. 함무라비는 키슈의 자바바 신전인 에메테우르사그를 개수하면서 자바바와 이난나가 거주하는 탑을 만들었고, 샴수일루나는 자바바와 이난나를 위해 지구라트를 건조하기도 했다. 이처럼 이난나/이슈타르가 자바바의 배우신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샴수일루나가 키슈 성벽 수리 기록에서 이난나를 "자바바의 가장 사랑하는 여동생"으로 묘사한 것을 근거로 이난나가 자바바의 여동생이라고 주장하는 쪽도 있다.
자바바는 전쟁의 신으로서 왕의 원정을 수호하고 맹세의 신으로서의 면모도 가지고 있었으며, 그의 무기는 카미 타미스(kami-tamisu, 맹세를 세운 것을 묶는 것)라고 불렸다. 키슈의 마나나 왕조에서는 부동산 거래나 급여 지불 등 공적인 기록에 "자바바와 이아위움 왕(Yawirum, 혹은 Iawium)의 이름으로"라는 문구로 맹세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독수리 머리 지팡이가 자바바의 상징으로 여겨지거나, 사자 머리 지팡이 또는 메이스와 함께 묘사된다. 다른 문헌에서는 오른손에는 사자, 왼손에는 독수리를 모티브로 한 두 개의 시미터를 가지고 있다고 하며, 이들은 이가리마, 슈르샤가나라는 이름으로 인격화되어 신격화되었다. 이가리마와 슈르샤가나는 때때로 니푸르의 여신 닌 니니브와 닌우르타의 두 아들, 또는 라가쉬 시의 주신 닌기르수와 바바의 두 아들로 묘사되기도 한다.
4. 1. 배우자
자바바의 아버지는 엔릴이었다. 처음에는 그의 아내가 키시의 이슈타르였으며, 고 바빌로니아 시대 이후에는 이 역할이 바우로 완전히 대체되었다.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에서는 라가쉬의 도시 신 바바(Baba)가 배우신으로 여겨진다고 설명한다. 키시에서는 전쟁의 신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자바바와 이난나/이슈타르의 페어링이 자주 보인다.4. 2. 다른 신들과의 동일시
파프수칼은 자바바의 ''숙칼''(시종 신)이었지만, 기원전 1천년기에야 어느 정도 유명세를 얻었다. 자바바와 닌우르타는 많은 별칭을 공유했으며, 후기 어휘 텍스트는 때때로 술사가와 이가림이라는 이름을 자바바의 무기에 적용한다. "키시의 네르갈"로서의 자바바에 대한 언급도 있지만, 이 칭호는 루후샤를 지정할 수도 있었다. 닌우르타, 네르갈, 자바바의 완전한 동일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기원전 1천년기의 신 목록은 자바바를 "전쟁의 마르두크"로 식별한다.4. 3. 에두바의 딸들
"에두바의 딸들"은 자바바의 신전 에두바와 관련된 두 명의 작은 여신을 가리킨다. 이들은 집합적으로 "에두바의 딸들"이라고 불렸다. 그들의 이름은 각각 "괜찮아!"라는 뜻의 이크비-다미크와 "나를 기억해!"라는 뜻의 후시니였다.이와 같은 "신성한 딸들"의 쌍은 북부 메소포타미아의 다른 신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타의 에메슬람(타드무슈툼과 벨레트-일리), 딜바트의 에이비-아눔(입테-비타와 벨레트-애안니), 보르시파의 에지다(카니수라와 가즈바바), 바빌론의 에사길(카툰나와 실루시-타브) 등이 있다. 이들은 특정 신전의 주요 신 또는 신들의 집에서 하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4. 4. 무기
자바바의 무기는 카미 타미스(kami-tamisu|맹세를 세운 것을 묶는 것sux)라고 불렸다. 이가리마와 슈르샤가나는 인격화되어 신격화되었다. 이가리마(Igalima|들소의 문을 의미sux)와 슈르샤가나(Šul-šagana|가장 사랑하는 청년을 의미sux)는 때때로 고대 도시 니푸르의 여신 닌 니니브와 닌우르타의 두 아들로 묘사된다. 또는 라가쉬 시의 주신 닌기르수(Ningirsu|닌우르타, 니니브, 그리고 자바바와 동일시된다.sux)와 바바의 두 아들로 묘사되기도 한다.5. 메소포타미아 외부
궨돌린 라이크에 따르면, 히타이트인들은 자바바의 이름을 사용하여 다양한 전쟁 신들의 이름을 표기했는데, 예를 들어 하티인의 우룬카테, 히타이트와 루위안의 하샤밀리, 이아리, 자파나, 그리고 후르족 종교의 아슈타비, 헤슈이, 누파티크 등이 있다. 하지만 게르노트 빌헬름에 따르면 누바디그는 자바바와 관련이 없으며, 알폰소 아르치에 따르면 아슈타비의 이름은 ZA.BA.BA가 아닌 NIN.URTA로 표기된다. 그럼에도 자바바는 바빌로니아 신 목록에서 "Aštabinu"과 동일시되며, 이는 아마도 아슈타비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히타이트 자료에서 ZA.BA.BA로 표기될 수 있는 또 다른 전쟁 신은 슐린카테였는데, 그는 하티 출신으로 젊은 남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묘사되었다. 하지만 그는 대신 U.GUR 로고그램으로 표현될 수도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