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티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티인은 기원전 3000년 후반부터 중앙 아나톨리아 지역에 거주했던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들은 히타이트 이전 시대부터 존재했으며, 독자적인 언어인 하티어를 사용했다. 하티어는 인도유럽어족이나 셈어족에 속하지 않는 고립어로 추정되며, 종교적으로는 대지의 여신 숭배와 폭풍신 등을 섬겼다. 기원전 2000년경 히타이트인의 아나톨리아 진출 이후 히타이트인에게 동화되었으며, 히타이트 종교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티인 - 하티어
하티어는 고대 아나톨리아에서 사용된 사멸된 고립어이며, 여러 어족과의 연관성에 대한 학설이 존재하고 히타이트 사제들이 작성한 종교적 점토판에서 일부 단어와 어근이 발견된다. - 하티인 - 하투샤
하투샤는 튀르키예 보아즈칼레 근처에 위치한 고대 도시 유적으로, 기원전 17세기부터 12세기까지 히타이트 제국의 수도였으며 거대한 성벽, 왕궁, 사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보아즈쾨이 문서 보관소와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 점토판 등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아나톨리아의 고대인 - 이오니아인
이오니아인은 고대 그리스 부족으로, 여러 문헌에 등장하며 다양한 언어에서 그리스인을 지칭하는 용어의 어원이 되었고, 이오니아어를 사용했으며 그리스 신화에서는 이온을 시조로 여긴다. - 아나톨리아의 고대인 - 리디아인
리디아인은 기원전 1세기부터 소아시아 서부에 존재했던 국가 및 주민을 지칭하며, 금화와 은화를 만들어 사용한 최초의 민족으로, 고대 그리스 기록을 통해 알려져 있고 독자적인 문자와 다양한 종교 및 예술적 특징을 지녔다.
하티인 | |
---|---|
개요 | |
다른 이름 | 하티족 |
주요 거주 지역 | 아나톨리아 중부 |
존속 기간 | 기원전 2500년경 - 기원전 2000년경 |
언어 | 하티어 |
역사 | |
기원 | 아나톨리아의 토착민 |
주요 활동 시기 | 청동기 시대 |
문화적 특징 | 독자적인 언어와 종교 히타이트 문화에 큰 영향 |
멸망 원인 | 히타이트에 흡수 및 동화 |
문화 | |
언어 | 하티어 (고립어) |
종교 | 자연 숭배 히타이트 종교에 영향 |
사회 구조 | 도시 국가 체제 왕을 중심으로 한 지배 체제 |
예술 | 독특한 토기 금속 공예 |
관련 항목 | |
관련 민족 | 히타이트 후르리인 |
관련 지역 | 아나톨리아 |
2. 용어
'하티'라는 명칭은 히타이트 이전 시대부터 중앙 아나톨리아 지역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7]。 후대의 히타이트인들은 이 지역의 이름과 주민, 언어를 그대로 계승하여 사용하였다. 현대 학계에서는 히타이트 이전의 중앙 아나톨리아 주민을 지칭할 때 '하티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다만, 이들이 스스로를 어떻게 불렀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하티인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초기 청동기 시대(기원전 3000년 후반)부터 중앙 아나톨리아에 여러 고고학 유적지를 남겼다. 하투사스를 비롯한 하티인의 도시들은 계층화된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복잡한 문화가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하티인은 인도유럽어족이나 셈어족에 속하지 않는 하티어를 사용했다. 하티어는 계통이 불분명하며, 일부 학자들은 북서캅카스어족과의 관련성을 제기한다.[8]
하티인의 종교는 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하티인들은 풍요로운 수확과 자신들의 안녕을 보장하기 위해 어머니 여신으로 의인화된 대지를 숭배했다.[4] 하티 신들의 판테온에는 폭풍의 신 ''타루''(황소)와 태양 여신 ''푸루세무'' 또는 ''우룬세무''(표범으로 묘사)를 비롯하여, 다른 여러 원소 신들이 포함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하티인과 히타이트인의 신체적 특징이 달랐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카데시 전투에 대한 이집트 측 기록에는 코가 높은 하티인 병사들에 대한 언급이 있지만, 이는 확실한 근거는 아니다.[17]
[1]
간행물
Central Anatolian Languages and Language Communities in the Colony Period: A Luwian-Hattian Symbiosis and the independent Hittites
OAAS
2008
'원시 히타이트'라는 용어는 하티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는 부정확한 표현이다[7]。 히타이트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반면, 하티어는 계통이 불분명한 언어이기 때문이다.
3. 역사
대부분의 학자들은 아카드 제국 시대(기원전 24~23세기)에 이미 하티 국가가 존재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주로 히타이트와 아시리아의 기록에 근거한다. "전투의 왕"이라는 서사시(기원전 14세기부터 여러 버전으로 기록됨)는 아카드의 사르곤 대왕(기원전 24~23세기)과 푸루산다의 누르-닥갈 왕 사이의 전쟁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그러한 사건은 아카드 제국 시대의 동시대 자료에서는 입증되지 않는다.[1][2]
히타이트는 기원전 1400년경에 더 오래된 아카드인 이야기를 번역했는데, 이 이야기는 아카드(기원전 23세기)의 나라암-신 통치 기간 동안 나라암-신과 17명의 왕의 동맹 간의 갈등을 설명한다. 이 이야기의 히타이트 버전에는 그 왕들 중 하티의 팜바가 포함되어 있지만, 아카드 버전의 이야기나 아카드 제국 시대의 동시대 자료에서는 입증되지 않는다. 일부 학자들은 히타이트 버전(기원전 1400년경)이 신뢰할 수 있으며 일부 지역 출처에서 파생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경우, 그 이야기는 고대 하티 왕국이 이미 아카드 제국 시대에 존재했다는 주장의 근거가 된다.[3][4][5][6]
하티인들은 군주제 도시 국가로 조직되었으며, 이 국가들은 신정 정치 왕국 또는 공국으로 통치되었다. 아나톨리아의 하티 지역은 메소포타미아 정치체의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아카드 제국(기원전 24~22세기)과 그 뒤를 이은 구 아시리아 제국(기원전 21~18세기)은 동부 및 중앙 아나톨리아 전역에 '카룸'이라는 무역 식민지를 설립했다. 기원전 2천년기의 첫 번째 세기 동안, 아시리아 무역 식민지는 하투사스시에 존재했으며, 여러 아시리아 비문은 (이름이 아닌 직책으로) 하투사스의 지역 통치자(왕)의 존재와 그 지역의 다른 도시 국가와의 관계를 언급했다.[7]
아나톨리아 반도 중앙부를 의미하는 가장 오래된 표현인 "하티의 땅"은 아카드 왕 사르곤 시대(기원전 2350년 - 기원전 2150년경)로 거슬러 올라가는 메소포타미아의 설형 문자 점토판에 나타난다. 거기에는 아시리아/아카드 상인들이 사르곤 왕에게 원조를 요청하고 있었다. 아시리아의 연대기에서 "하티의 땅"이라는 호칭은 그 후에도 기원전 650년까지 1,500년 정도 계속 사용되었다. 그 후 히타이트의 기록에 따르면 사르곤 대왕은 루위인의 왕 푸르슈안다의 누르다가르(Nurdaggal)와 싸웠으며, 사르곤의 후계자인 아카드의 나람 신은 하티 왕 팜바와 16명의 연합자들과 싸웠다고 한다.
하티인을 가리켜 "원시 히타이트(proto-Hittite)"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이것은 부정확한 호칭이다[8]。네사(퀼테페)의 말로 네실리(''Nešili'')라고 불렸던 히타이트는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하티인과는 언어 계통이 달랐다. 하티인들은 자신들의 왕국을 "하티의 땅"이라고 계속 칭했다. 이윽고 하티인도 히타이트어, 루위어, 팔라어 등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동화되었다.
4. 언어
히타이트 설형 문자 점토판에서는 약 150개의 하티어 문장이 발견되었다. 하티 지도자들은 고대 아시리아어로 글을 쓰는 서기관을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터키의 고고학자 Ekrem Akurgal|에크렘 아쿠르갈영어은 "아나톨리아 군주들은 메소포타미아와의 교역과 카네슈(퀼테페)에서의 거래를 위해 아시리아어를 습득한 서기를 사용했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아시리아와의 거래가 목적이었음을 시사한다.[9] 기원전 21세기부터 기원전 18세기까지 아시리아는 하티 지역에 하툼(Hattum)이나 Zalpuwa|잘푸와영어 등의 교역 거점을 설치했다.
학자들은 오랫동안 아나톨리아 지방 인구의 대부분이 "기원전 제3천년기에 인도유럽어족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도래하기 이전부터의 선주민인 하티인"이라고 추정해 왔다. 그러나 인도유럽어족 언어 사용자들이 아나톨리아 반도 중앙부에 더 이른 시점부터 공존했을 수도 있다는 견해도 있다. 페트라 괴데게부르(Petra Goedegebuure)는 히타이트인 정복 이전에 인도유럽어족 언어, 아마도 루위어가 하티어와 함께 이미 장기간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했다.
히타이트 신왕국 시대에 가까워지면서 하티어는 능격성을 강화했다. 이는 하티어가 적어도 기원전 14세기 말까지는 살아있는 언어였음을 시사한다.[11]
알렉세이 카시안(Alexei Kassian)은 통사론적으로 SOV형 구문을 취하는 북서캅카스어족(압하스-아디게어족)이 어휘에서 하티어와 통한다는 설을 제시했다.
5. 종교
이후 히타이트인들은 하티 신들의 판테온의 많은 부분을 자신들의 종교적 믿음에 흡수했다.[14] 제임스 멜라트는 토착 아나톨리아 종교가 땅에서 나오는 물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고 제안했다. 그림 및 서면 자료에 따르면 아나톨리아 주민들에게 가장 중요한 신은 지상의 물의 신이었다. 많은 신들이 땅과 물과 연결되어 있었다. 히타이트 설형 문자에서 지상의 물의 신은 일반적으로 dIM으로 표현된다. 아나톨리아의 폭풍신은 약 100개의 dU의 목록 변형으로 쓰여졌으며, 대부분 하티의 폭풍신 또는 도시 이름으로 묘사되었다.[5][6]
텔리피누와 뱀 용 일루얀카에 대한 히타이트 전설은 하티 문명에서 기원한다.[17]
6. 인류학적 특징 (추가)
참조
[2]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53e Rencontre Assyriologique Internationale Vol. 1: Language in the Ancient Near East
2010
[3]
간행물
Ugarit Forschungen Band 41, 403
2009
[4]
서적
Gods, Goddesses, and Mythology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05
[5]
논문
Religion in Hittite Anatolia. Some Comments on "Volkert Haas: Geschichte der hethitischen Religion"
1997
[6]
서적
The Storm-God in the Ancient Near East
Eisenbrauns
[7]
서적
世界の歴史〈2〉古代オリエント
https://books.google[...]
河出書房新社
1989-06-01
[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Hittite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4
[9]
간행물
Akurgal
2001
[10]
간행물
Central Anatolian Languages and Language Communities in the Colony Period: A Luwian-Hattian Symbiosis and the independent Hittites
OAAS
2008
[11]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53e Rencontre Assyriologique Internationale Vol. 1: Language in the Ancient Near East
2010
[12]
간행물
Ugarit Forschungen Band 41, 403
2009
[13]
서적
Gods, Goddesses, and Mythology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05
[1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Hittite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4-04-19
[15]
논문
Religion in Hittite Anatolia. Some Comments on "Volkert Haas: Geschichte der hethitischen Religion"
https://www.jstor.or[...]
1997
[16]
서적
The Storm-God in the Ancient Near East
Eisenbrauns
[17]
간행물
The Hattian and Hittite Civilizations
Publications of the Republic of Turkey: Ministry of Culture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