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검의 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검의 밤"은 1934년 6월 30일부터 7월 2일까지 나치 독일에서 일어난 대규모 숙청 사건이다. 아돌프 히틀러는 돌격대(SA)의 수장 에른스트 룀과 SA 지도자, 정적, 보수파 인사들을 제거하여 권력을 강화했다. 이 사건은 히틀러의 독재 체제를 공고히 하고, 친위대(SS)의 세력을 확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독일 사회에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다. 숙청 이후, 히틀러는 '국가 자위 조치에 관한 법률'을 통해 살인을 합법화하고, 자신의 절대적인 권력을 확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4년 6월 - 1934년 FIFA 월드컵
1934년 이탈리아에서 개최된 FIFA 월드컵은 우루과이와 영국 국가들의 불참 속에 16개국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하여 이탈리아가 체코슬로바키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개최국 예선 참가와 이집트의 첫 출전, 그리고 파시즘 이데올로기 영향 등의 특징을 가진다.
장검의 밤 | |
---|---|
사건 개요 | |
명칭 | 장검의 밤 |
독일어 명칭 | Nacht der langen Messer |
독일어 다른 명칭 | Unternehmen Kolibri (벌새 작전) |
영어 다른 명칭 | Night of the Long Knives Operation Hummingbird Röhm Putsch (룀 폭동, 나치 용어) The Blood Purge (피의 숙청) |
날짜 | 1934년 6월 30일 ~ 7월 2일 (3일간) |
위치 | 나치 독일 |
유형 | 숙청 |
원인 | 아돌프 히틀러의 권력 강화 및 과거 복수 국방군의 SA에 대한 우려 에른스트 룀과 SA의 "국가 사회주의 혁명" 지속 희망 vs 히틀러의 경제 재무장 및 독일 국민의 팽창 및 전쟁 필요에 대한 적응을 위한 사회적 안정 필요 히틀러의 국방군 통제 필요 |
주최자 | 아돌프 히틀러 헤르만 괴링 하인리히 힘러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참여자 | SS (친위대) 게슈타포 |
결과 | 전 총리 쿠르트 폰 슐라이허 암살 히틀러의 권력 확고화 SA의 위협 제거 및 지도자 에른스트 룀 제거 그레고어 슈트라서를 비롯한 슈트라서주의 파벌 탄압 및 지도자 사망 정권 반대 세력 약화 히틀러와 군부 관계 강화 |
사망자 | 공식적으로 85명, 추정치는 최대 1,000명 |
배경 | |
주요 인물 | 에른스트 룀: SA 참모장 아돌프 히틀러: 나치당 지도자, 독일 총리 하인리히 힘러: SS 지도자 헤르만 괴링: 프로이센 총리, 공군 총사령관 쿠르트 폰 슐라이허: 전 독일 총리 프란츠 폰 파펜: 전 독일 총리, 바이마르 공화국 부총리 그레고어 슈트라서: 나치당 초기 지도자, 슈트라서주의 옹호자 |
사건 전개 | |
발단 | SA의 급격한 성장과 영향력 확대로 인해 기존 군부와의 갈등 심화, 에른스트 룀의 정치적 야망이 히틀러에게 위협으로 인식됨. |
주요 사건 | 에른스트 룀 및 SA 간부 체포 및 처형 쿠르트 폰 슐라이허, 그레고어 슈트라서 등 정적 제거 수백 명의 SA 대원 및 반대파 숙청 |
결과 및 영향 | |
정치적 영향 | 히틀러의 권력 공고화 군부의 지지 확보 SA의 영향력 약화, SS의 부상 |
사회적 영향 | 공포 분위기 조성, 나치 정권에 대한 반대 의견 억압 |
법적 영향 | 사후에 살인 행위 합법화, 법치주의 훼손 |
평가 | |
역사적 평가 | 나치 정권의 폭력성과 권력 강화를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됨.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숙청 권력 투쟁 나치즘 SA SS |
2. 역사적 배경
1933년 1월 30일,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은 아돌프 히틀러를 총리로 임명했다. 이후 몇 달 동안 히틀러는 바이마르 공화국의 국회를 무력화하고 경쟁 정당들을 제거하여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그러나 국방군은 여전히 힌덴부르크의 지휘 아래 있었기 때문에 히틀러는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지는 못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불만을 품은 참전 용사들로 구성된 자유군단은 11월 혁명을 배신으로 여기고 바이마르 공화국에 반대했다. 에른스트 룀은 자유군단과의 연락을 담당하며 불법 무기를 제공했고, 이후 돌격대(SA)의 사령관이 되었다. SA는 나치당의 사병 조직으로, 경쟁 정당, 특히 독일 사회민주당과 독일 공산당의 회의를 방해하고 공산주의자들과의 거리 전투를 벌였다. 1932년 6월에는 400건이 넘는 거리 전투로 82명이 사망하는 등 폭력적인 대립이 심각했다.
히틀러가 총리로 임명된 후에도 SA의 폭력은 계속되었고, 이들의 "횡포하고 무례한" 행동에 대한 불만이 커졌다. 연방 외무부는 SA가 외국 외교관을 함부로 대하는 것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다.[1] 1933년 7월 6일, 히틀러는 나치 권력 장악의 성공을 선언하며 SA를 통제하려는 의도를 내비쳤다. 그러나 SA는 대공황으로 인해 많은 실업자가 발생하면서 급격히 성장했고, 많은 SA 대원들은 나치즘의 사회주의적 약속을 믿고 더 급진적인 경제적 조치를 기대했기 때문에 히틀러의 과제는 쉽지 않았다.
히틀러는 룀과 SA를 잠재적 위협으로 간주하고, 국방군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조치를 취했다. 룀과 SA는 나치당의 이념적 파벌 중 하나인 슈트라세주의자와 함께 룀 숭배를 형성했다. 룀과 돌격대원 다수는 나치의 정권 장악 후 돌격대를 새로운 정규군으로 만들기를 원했고, 독자적인 구상을 가지고 있었다. 룀은 히틀러 내각에서 국방장관이 되기를 희망했지만, 처음에는 각료에 포함되지 못했고, 이는 룀의 불만을 키웠다.
룀은 공개적으로 "제2혁명"을 외치며 히틀러와 군부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헤르만 괴링 지휘 하의 게슈타포는 룀을 감시하고 그의 반히틀러적 언행을 히틀러에게 보고했다. 히틀러는 룀을 회유하려 했지만, 룀은 더욱 공격적인 자세를 취했다. 룀을 중심으로 한 돌격대 일파가 반란을 꾀하고 있다는 유언비어가 퍼졌고,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은 히틀러에게 계엄령을 포고하여 군으로 처치하겠다고 경고했다. 결국 히틀러는 숙청을 결심했지만, 룀은 반란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괴링, 하인리히 힘러,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가 룀의 반란 계획을 날조한 것으로 여겨진다.[12]
2. 1. 나치 돌격대(SA)의 성장과 위협
나치당의 사병 조직이었던 돌격대(SA)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부터 급격히 성장하여 1933년에는 400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조직이 되었다.[12] SA 지도자 에른스트 룀은 SA를 정규군으로 만들려는 야망을 품고 있었으며, 이는 국방군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룀은 공개적으로 '제2의 혁명'을 주장하며 히틀러와 군부를 비판했고, 이는 히틀러에게 큰 위협으로 다가왔다.[12]룀은 뮌헨 폭동에 참여했던 나치당 초기 멤버이자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였다. 그는 폭력을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으로 여겼으며, 국가 사회주의의 사회주의적 약속을 진지하게 받아들여 히틀러와 다른 당 지도자들이 독일에서 광범위한 사회주의 개혁을 시작할 것을 요구했다.
룀은 SA 지도자 자리에 만족하지 않고, 히틀러에게 로비하여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 장군이 맡고 있던 국방부 장관 자리에 임명되도록 했다. 블롬베르크는 군대와 당 사이의 다리 역할을 했지만, 프로이센 귀족 출신이었던 블롬베르크와 그의 동료 장교들 대부분은 SA를 평민 무리로 여겨 군대의 전통적인 높은 지위를 위협한다고 생각했다.
룸멜스부르크의 SA 지도자 막스 하이데브레크는 군대를 비난하며 "군대 장교 중 일부는 돼지입니다. 대부분의 장교는 너무 늙었고 젊은이들로 교체해야 합니다."라고 말할 정도로 SA는 군대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갈등에도 불구하고 블롬베르크와 군의 다른 사람들은 SA를 확대되고 활성화된 군대를 위한 원자재 징병 자원으로 보았다. 그러나 룀은 SA를 새로운 독일 군대의 핵심으로 만들고 싶어했다.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군대가 10만 명으로 제한되면서, 지도자들은 1934년 초 SA의 회원 수가 300만 명을 넘어가는 것을 불안하게 지켜봤다. 1934년 1월, 룀은 블롬베르크에게 SA가 정규군을 대체하고 국방군이 SA의 훈련 부속 기관이 되어야 한다는 내용의 각서를 제출했다.
1934년 2월 28일, 히틀러는 블롬베르크와 SA 및 SS의 지도부를 만나 룀은 국방군이 SA보다 우위에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서약서에 서명했다. 히틀러는 SA가 국방군의 보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룀은 회의가 끝난후 "우스꽝스러운 하사관"의 지시를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히틀러를 비하했다.
룀은 여전히 SA를 핵심으로 하는 새로운 독일군에 대한 비전을 고수했고, 이는 권력을 공고히 하고 국방군을 확장하려는 히틀러의 계획과 충돌했다. SA를 위협으로 간주한 것은 국방군만이 아니었다. 히틀러의 측근 몇몇은 룀의 커져가는 권력을 두려워했다. 헤르만 괴링,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루돌프 헤스를 포함한 히틀러 측근들이 룀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면서 당내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었다.
1934년 초, SA의 역할에 대한 룀과 히틀러 사이의 갈등은 쿠르트 폰 슐라이허가 다시 정치에 관여하게 만들었다. 슐라이허는 히틀러 내각을 비판했고, 그의 추종자들은 슐라이허가 부총리, 룀이 국방부 장관이 되는 새로운 내각 명단을 전달했다.
룀을 고립시키기 위해 1934년 4월 20일, 괴링은 프로이센 정치 경찰(게슈타포)에 대한 통제권을 힘러에게 넘겨주었다. 힘러는 1934년 4월 22일 자신의 부관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를 게슈타포 수장으로 임명했다.
1934년 6월 17일, 프란츠 폰 파펜 부총리가 마르부르크 연설에서 "두 번째 혁명"의 위협에 대해 경고하면서 히틀러에게 행동을 요구하는 보수 세력의 요구가 최고조에 달했다.
보수 세력의 압력에 대응하여 히틀러는 노이데크로 가서 힌덴부르크를 만났다. 블롬베르크는 히틀러에게 힌덴부르크가 계엄령을 선포하고 히틀러가 룀에 대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정부를 ''국방군''에게 넘길 태세라고 말했다.
2. 2. 국방군과의 갈등
에른스트 룀은 돌격대(SA)를 국방군에 통합하거나 대체하려 했고, 이는 국방군의 강력한 반발을 샀다.[3] 국방군은 SA를 평민들의 무질서한 집단으로 폄하하며, 군의 전통적인 지위를 위협하는 존재로 여겼다.[4] 베르사유 조약으로 군대가 10만 명으로 제한되면서, 1934년 초 SA의 회원 수가 300만 명을 넘어서자 군 지도자들은 불안감을 느꼈다.[6]룀은 SA가 정규군을 대체하고 국방군이 SA의 훈련 부속 기관이 되어야 한다는 내용의 각서를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에게 제출했다.[7] 1934년 2월 28일, 아돌프 히틀러는 블롬베르크와 SA 및 SS 지도부를 만나 룀에게 국방군이 SA보다 우위에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서약서에 서명하게 했다.[8] 히틀러는 SA가 국방군의 보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룀은 회의 후 히틀러를 비하하며 그의 지시를 따르지 않겠다고 선언했다.[9]
룀은 SA를 핵심으로 하는 새로운 독일군에 대한 비전을 고수했고, 1934년 초, 이는 권력을 공고히 하고 국방군을 확장하려는 히틀러의 계획과 충돌했다. 군대에 대한 계획이 충돌했기 때문에, 룀의 성공은 히틀러의 희생을 통해서만 가능했다.[10]
1934년 6월 17일, 프란츠 폰 파펜 부총리가 마르부르크 연설에서 "두 번째 혁명"의 위협에 대해 경고하면서, 히틀러에게 행동을 요구하는 보수 세력의 요구가 거세졌다.[17] 폰 파펜은 히틀러가 행동하지 않으면 사임하겠다고 위협했다.[18]
룀을 제약하라는 압력에 히틀러는 노이데크로 가서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을 만났다. 블롬베르크는 힌덴부르크가 계엄령을 선포하고 히틀러가 룀에 대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정부를 국방군에게 넘길 태세라고 히틀러에게 말했다.[20] 힌덴부르크의 계엄령 선포 위협은 히틀러에게 압력을 가했고, 결국 히틀러는 룀을 제거하기로 결심했다.[21]
2. 3. 나치 정권 내부의 권력 투쟁
헤르만 괴링, 하인리히 힘러,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등 나치 정권 핵심 인물들은 에른스트 룀의 권력 확장을 경계하며 그를 제거하려 했다.[18] 괴링과 룀은 서로를 정적으로 여겼으며, 룀은 괴링을 "반동의 화신"이라고 공공연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괴링은 자신의 항공성에 조사국이라는 조직을 만들어 전화 도청을 통해 룀을 비롯한 정적들의 움직임을 감시했다.친위대(SS)는 SA로부터 독립하여 나치 정권의 핵심 세력으로 성장하기 위해 룀의 숙청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당시 친위대는 돌격대의 하부 조직에 불과했기에, 친위대 전국 지도자 하인리히 힘러는 룀의 숙청에 처음에는 동의하지 않았으나, 친위대 첩보부(SD) 부장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의 설득으로 결국 숙청을 결단하게 되었다. 숙청 대상자 명단 작성은 하이드리히가 주도했다.
2. 4. 슐라이허 전 총리의 정계 복귀 시도
당시 독일 정계에서는 쿠르트 폰 슐라이허 전 총리가 정계 복귀를 획책하고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19] 슐라이허는 에른스트 룀 및 그레고어 슈트라서와 접촉하여 새로운 내각을 구성하려 한다는 내용이었다. 이 소문에 따르면 슐라이허는 자신이 부총리, 룀은 국방장관에 임명되고, SA를 육군에 합병시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구체적인 각료 후보로 하인리히 브뤼닝 전 총리와 그레고어 슈트라서 등의 이름이 거론되었다.이 소문은 근거가 없었지만, 히틀러가 숙청을 결심하고 국방군의 협력을 얻는 데 이용되었다. 친위대와 헤르만 괴링은 이 소문을 활용했고, 소문에 언급된 인물들은 숙청 명단에 추가되었다. 5월 말, 슐라이허와 브뤼닝에게 암살 위험이 있다는 정보가 전달되었고, 브뤼닝은 국외로 도피했지만 슐라이허는 베를린에 머물렀다.
3. 사건의 전개
1934년 6월, 돌격대 반란 소문이 퍼지면서 사건이 시작되었다. 6월 초, 테오도어 아이케가 지휘하는 친위대 해골 부대가 돌격대 강습을 상정한 훈련을 실시했다. 6월 4일, 히틀러와 룀은 '제2혁명' 포기 문제를 놓고 5시간 동안 대담했지만, 룀은 정세 안정 노력에 그쳤다. 6월 7일, 돌격대원 전원에게 한 달간 휴가가 주어졌고, 8일에는 룀이 신경통 치료를 위해 요양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6월 17일, 프란츠 폰 파펜 부총리가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룀과 나치의 과격파를 비판하는 연설(마르부르크 연설)을 했다. 파펜은 비 나치 당원이었기 때문에 친위대의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6월 21일, 히틀러는 힌덴부르크 대통령으로부터 계엄령 포고 및 군에 의한 사태 수습 가능성을 통고받았다. 히틀러는 수상 권력 형해화를 우려하여 숙청을 결심했다.
6월 22일, 히틀러는 빅토어 루체에게 룀 추방을 통보했고, 힘러는 친위대를 대기시켰다. 국방부도 돌격대 쿠데타 발생에 대비하여 친위대에 무기 제공을 지시했다. 6월 23일, 국방부 방첩부는 '돌격대에 무장 봉기를 명령한 룀의 명령서'를 입수했지만, 위조 의혹이 짙다고 판단했다. 한편 괴링은 돌격대 지도자 및 반역자 체포 리스트를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 국방부 장관에게 전달했다.
6월 25일, 히틀러는 6월 30일에 룀을 체포할 것을 블롬베르크에게 통보했고, 베르너 폰 프리치 중장은 전군의 외출 금지를 명령했다. 6월 28일, 히틀러는 요제프 테어보펜의 결혼식에 참석하고, 괴링에게 숙청 지휘를 맡겼다. 히틀러는 룀에게 6월 30일에 바트 비세에서 돌격대 간부들과 회합하자는 뜻을 전달했고, 룀 이하 돌격대 간부들이 모였다.
6월 29일, 괴링은 프로이센 주 총리 권한으로 계엄령 포고 권한을 부여받고, 친위대가 돌격대 무장 해제와 지도자 체포를 시작했다. 같은 날, 블롬베르크는 나치당의 '푈키셔 베오바흐터'지에 히틀러 지지를 표명했다. 저녁에는 요제프 디트리히 SS 중장이 이끄는 '라이프슈탄다르테 아돌프 히틀러'가 뮌헨으로 이동하여 아이케의 부대와 합류했다.
3. 1. 숙청 준비
룀은 여전히 돌격대(SA)를 핵심으로 하는 새로운 독일군에 대한 자신의 비전을 고수했고, 1934년 초 이러한 비전은 국방군을 확장하려는 히틀러의 계획과 직접적으로 충돌했다. 군대에 대한 계획이 충돌했기 때문에, 룀의 성공은 히틀러에게는 위협이 될 수 밖에 없었다. 게다가 SA를 위협으로 간주한 것은 국방군만이 아니었다. 헤르만 괴링,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루돌프 헤스를 포함한 히틀러 측근들이 룀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면서 당내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었다.1934년 초, 나치 내에서 SA의 역할에 대한 룀과 히틀러 사이의 갈등은 전 총리 쿠르트 폰 슐라이허가 다시 정치에 관여하게 만들었다. 슐라이허는 현 히틀러 내각을 비판했고, 그의 추종자들 중 일부는 슐라이허가 부총리, 룀이 국방부 장관, 하인리히 브뤼닝이 외무부 장관, 그레고어 슈트라세가 국가경제부 장관이 되는 새로운 히틀러 내각 명단을 전달하기 시작했다. 비록 슐라이허는 1934년까지 사실상 중요하지 않았지만, 그가 룀과 함께 권력의 자리에 다시 들어가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소문은 위기감을 더욱 부채질했다.
룀을 고립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1934년 4월 20일, 괴링은 프로이센 정치 경찰(게슈타포)에 대한 통제권을 힘러에게 넘겨주었다. 힘러는 1934년 4월 22일 자신의 부관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를 게슈타포 수장으로 임명했다. 5월까지 "숙청" 대상자 명단이 괴링과 힘러의 사람들 사이에서 돌기 시작했고, 그들은 서로의 적을 추가하는 대신 서로의 친구를 살리는 거래를 했다.

군대, 산업, 정치계의 보수 세력은 히틀러에게 SA의 영향력을 줄이고 룀에 대항하라고 압력을 가했다. 히틀러는 6월 15일 베니토 무솔리니를 만나기 위해 베니스로 떠날 때 정확히 무엇을 하고 싶은지에 대해 여전히 우유부단하고 불확실했다. 베니스에서 열린 정상 회담에서 무솔리니는 히틀러에게 SA의 폭력, 난동, 동성애를 용인하는 것에 대해 비난했으며, 무솔리니는 이것들이 전 세계에서 히틀러의 좋은 평판을 망치고 있다고 말했다.
1934년 6월 17일, 프란츠 폰 파펜 부총리가 마르부르크 연설에서 "두 번째 혁명"의 위협에 대해 경고하면서 히틀러에게 행동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히틀러는 노이데크로 가서 힌덴부르크를 만났다.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던 블롬베르크는 히틀러에게 룀을 더 빨리 처리하지 않은 것을 질책했다. 그는 힌덴부르크가 계엄령을 선포하고 히틀러가 룀과 그의 갈색 셔츠에 대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정부를 ''국방군''에게 넘길 태세라고 히틀러에게 말했다.
숙청을 준비하기 위해 힘러와 하이드리히는 룀이 히틀러를 전복하기 위해 프랑스로부터 (EUR in )을 받았다는 조작된 증거 자료를 조립했다. 6월 24일 SS의 주요 장교들에게 룀이 SA를 사용하여 정부에 대한 음모(Röhm-Putschde)를 시작할 계획이라는 조작된 증거가 제시되었다. 히틀러의 지시에 따라 괴링, 힘러, 하이드리히, 그리고 빅토르 루체는 SA 내부 및 외부에서 살해될 사람들의 명단을 작성했다. 6월 25일 베르너 폰 프리치 장군은 ''국방군''을 최고 수준의 경계 태세에 돌입시켰다. 6월 27일 히틀러는 육군의 협력을 확보하기 위해 움직였다. 블롬베르크와 당과의 육군 연락 담당자인 발터 폰 라이헤나우 장군은 룀을 독일 장교 연맹에서 추방함으로써 그에게 협력을 제공했다. 6월 28일 히틀러는 에센으로 가서 요제프 테어보벤의 결혼식과 피로연에 참석했다. 거기에서 그는 바트 비제에 있는 룀의 부관에게 전화하여 6월 30일 오전 11시에 SA 지도자들과 만날 것을 명령했다. 6월 29일, 블롬베르크가 서명한 기사가 ''Völkischer Beobachter''에 게재되었는데, 블롬베르크는 격렬하게 ''국방군''이 히틀러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3. 2. 1934년 6월 30일, 숙청의 시작
1934년 6월 30일 오전 4시 30분경, 히틀러는 뮌헨으로 향했다. 뮌헨 경찰청장인 아우구스트 슈나이더후버는 전날 밤 발생한 SA 폭동에 대한 책임을 추궁당하고 직위 해제된 후 처형되었다.[1] 히틀러는 SS와 경찰을 이끌고 에른스트 룀과 SA 지도부가 머물던 바트 비제의 한젤바우어 호텔로 갔다.오전 6시에서 7시 사이, 히틀러는 호텔을 급습하여 룀과 SA 고위 지도자들을 직접 체포했다. SS는 브레슬라우 SA 지도자 에드문트 하이네스가 남성 SA 대원과 함께 있는 것을 발견했고, 히틀러는 그들 둘을 즉결 처형하도록 명령했다.[1] 요제프 괴벨스는 이를 숙청의 명분으로 활용했다.[1]
뮌헨으로 돌아온 히틀러는 "세계 역사상 최악의 배신"을 언급하며 SA 지도부를 비난했다. 괴벨스는 베를린의 헤르만 괴링에게 암호 Kolibri|콜리브리de를 통해 숙청 작전 개시를 알렸다.[1] 제프 디트리히는 히틀러의 명령에 따라 SA 지도자들을 슈타델하임 감옥으로 이송, 처형했다.[1]



베를린에서는 괴링의 지휘 하에 숙청이 진행되었다. 프란츠 폰 파펜 부총리의 측근들이 살해되었고, 쿠르트 폰 슐라이허 전 총리와 그의 아내, 그레고어 슈트라서 등 주요 인사들이 살해되었다.[1] 구스타프 리터 폰 카와 빌리 슈미트와 같이 오인으로 인한 희생자도 발생했다.
일부 돌격대(SA)원들은 자신들이 히틀러 반대 친위대(SS) 음모로 인해 처형되었다고 믿었기 때문에 "Heil Hitler"라고 외치며 죽었다.[1]
3. 3. 7월 1일 ~ 7월 2일, 숙청의 확대
히틀러는 룀에게 자결할 기회를 주었으나, 룀은 "나를 죽이려면 아돌프가 직접 하도록 하라"며 거부했다.[6] 룀은 결국 테오도어 아이케와 미하엘 리페르트에 의해 사살되었다.[6]숙청은 돌격대(SA) 간부뿐만 아니라 반나치 인사들에게도 확대되었다. 히틀러의 전임 총리였던 쿠르트 폰 슐라이허와 그의 아내가 자택에서 살해되었고,[19] 그레고어 슈트라서, 구스타프 리터 폰 카 등도 살해되었다.[19] 이 과정에서 뮌헨의 음악 평론가 빌리 슈미트가 게슈타포의 표적과 이름이 같아 살해되는 엉뚱한 사건도 발생했다.
가톨릭 중앙당 지도자 여러 명도 숙청 대상이 되었다. 이들은 나치즘에 비판적이었으나, 1933년 수권법에는 찬성표를 던졌다.
4. 숙청 이후
"장검의 밤" 사건으로 에른스트 룀을 비롯한 SA 주요 간부들과 쿠르트 폰 슐라이허 전 총리 등 반대파 인사들이 숙청된 이후, 아돌프 히틀러와 나치당의 권력은 더욱 강화되었다.
헤르만 괴링은 경찰에 숙청 관련 문서를 소각하라고 지시했고, 요제프 괴벨스는 언론을 통제하며 히틀러가 국가를 혼란에서 구했다고 선전했다.[7] 히틀러는 1934년 7월 3일 내각을 통해 "국가 자위 조치에 관한 법률"을 발표하여 숙청을 합법화했다.[8]
이 사건으로 SA는 크게 약화되었고, 친위대(SS)가 핵심 조직으로 부상했다. 히틀러는 룀을 대신하여 빅토르 루체를 SA 수장으로 임명하고, SA의 "동성애, 방탕, 음주, 사치"를 근절하라고 명령했다.[20] 이후 SA는 세력을 잃었지만, 군사 훈련 기관으로서의 역할은 유지했다.
국방군은 히틀러를 지지하며 재군비를 통해 국방군으로 재편성되었고, 전쟁 준비에 착수했다. 시민들 사이에서도 돌격대에 대한 평판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숙청은 오히려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졌다.
국제 사회에서는 서방 국가들이 히틀러를 비난했지만, 소련의 이오시프 스탈린은 히틀러의 정적 제거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1] 스탈린은 이 사건을 계기로 대숙청을 결심하게 되었다.[11]
4. 1. 독일 국내의 반응
국방군은 쿠르트 폰 슐라이허와 페르디난트 폰 브레도우 장군이 희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장검의 밤"에 대해 거의 만장일치로 찬사를 보냈다. 독일의 존경받는 군사 영웅인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은 히틀러에게 "반역을 조기에 근절"한 것에 대해 축하하며 "깊이 느껴지는 감사"를 표현했다.[9] 그러나 헤르만 괴링은 나중에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그 전보는 힌덴부르크가 본 적이 없고, 나치에 의해 작성되었다고 인정했다. 베르너 폰 라이헤나우 장군은 슐라이허가 정부를 전복하려 했다는 거짓말을 공개적으로 믿는 행동을 보였다.육군의 지원은 이 기관에 광범위한 결과를 초래했다. SA의 굴욕은 육군에 가해졌던 위협을 종식시켰지만, 숙청 기간 동안 히틀러를 지지함으로써 육군은 나치 정권에 더 굳건히 묶이게 되었다. 퇴역 대위 에르빈 플랑크는 "손가락 하나 까딱하지 않고 보고만 있으면, 너도 조만간 같은 운명을 맞이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장검의 밤"에 대한 소문은 빠르게 퍼졌다. 많은 독일인들은 요제프 괴벨스가 설명한 사건의 공식 뉴스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지만, 다른 많은 사람들은 정권의 말을 믿고 히틀러가 독일을 혼란으로 몰아가는 것을 막았다고 믿었다. 함부르크의 교사 루이제 졸미츠는 자신의 개인 일기에 히틀러의 "개인적인 용기, 결단력, 효율성"을 언급하며 많은 독일인들의 정서를 반영했다. 그녀는 심지어 그를 프로이센의 18세기 왕인 프리드리히 대왕에 비유했다.
다른 사람들은 처형의 규모와 많은 동료 독일인들의 상대적인 자기 만족에 경악했다. 일기 작가인 빅토르 클렘페러는 "전혀 국가 사회주의자가 아닌 매우 침착하고 태평한 우체부"가 "그냥 그들을 '선고'했다"고 말했다고 기록했다. 클렘페러는 많은 희생자들이 히틀러를 집권시키는 데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간과하지 않았다. 그는 "총리가 자신의 사병을 선고하고 총살한다!"라고 썼다. 그러나 학살의 규모와 게슈타포의 상대적인 만연함은 숙청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이에 대해 침묵을 지킬 수밖에 없음을 의미했다.
4. 2. 국제 사회의 반응
서방 각국의 언론은 일제히 히틀러의 행위를 비난했다.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히틀러 일파가 비합법적인 수단으로 정적을 제거한 것이 정권의 불안정성을 나타내는 징후이며, 나치 정권은 붕괴 직전이라는 논조가 지배적이었다. 파시즘 체제의 이탈리아에서조차 베니토 무솔리니가 "일련의 행위는 난폭하고 잔인한 방식이며, 용납할 수 없다"고 비난 성명을 발표했다.[11]소련만이 이 사건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오시프 스탈린은 1934년 7월, 사건 직후 크렘린에서 열린 정치국 회의에서 "정적을 제거함으로써 히틀러의 권력과 그의 체제는 더욱 견고해졌다"고 서방 각국과는 정반대의 분석을 제시했다. 스탈린이 이 사건에 강한 관심을 보인 이유는 히틀러가 국내에서 아무런 질책도 받지 않고 공공연하게 정적을 말살할 수 있었다는 점에 있었다. 스탈린은 정치국 회의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전해진다.[11]
스탈린은 1920년대부터 반대 세력 제거를 꾀했지만, 반격을 받을 것을 두려워해 주저했다. 이 사건은 그에게 반대 세력을 철저하게 근절하겠다는 결의를 굳히게 했다.[11]
1934년 12월 1일, 스탈린의 유력한 후계자이자 잠재적인 라이벌로 여겨지던 세르게이 키로프가 암살되었다(암살에는 스탈린의 관여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키로프 암살을 계기로, 스탈린은 소련 전역에서 대숙청을 전개하게 된다.[11]
4. 3. 나치 정권의 변화
이 사건으로 수많은 저명한 독일인들이 사망했기 때문에, 이를 비밀로 유지하기는 어려웠다. 숙청을 기획한 사람들 사이에서는 이 사건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열된 것처럼 보였다. 헤르만 괴링은 경찰서에 "지난 이틀간의 행동에 관한 모든 문서를" 불태우라고 지시했다.[7] 한편, 요제프 괴벨스는 신문들이 사망자 명단을 발표하는 것을 막으려 했지만, 동시에 7월 2일 라디오 연설을 통해 아돌프 히틀러가 에른스트 룀이 정부를 전복하고 국가를 혼란에 빠뜨리는 것을 간신히 막았다고 묘사했다.[7]히틀러는 이 학살을 법적으로 승인된 것으로 제시하길 원했고, 내각은 7월 3일에 "6월 30일, 7월 1일, 2일에 취해진 반역적 공격 진압 조치는 국가의 자위 행위로서 합법적이다"라고 선언하는 조치를 승인했다. 프란츠 귀르트너 법무부 장관은 이 법령을 통해 숙청에 법적 외관을 더했다. 히틀러, 귀르트너, 그리고 빌헬름 프리크 내무부 장관이 서명한 "국가 자위 조치에 관한 법률"은 숙청 기간 동안 저질러진 살인을 소급하여 합법화했다.[8]

이 사건으로 SA는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고, 친위대(SS)가 나치 정권의 핵심 조직으로 부상했다. 히틀러는 이 사건을 통해 절대적인 권력을 확립하고, 독일 사회에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다.
룀은 1933년 뉘른베르크 전당대회에 관한 레니 리펜슈탈의 영화인 ''신념의 승리''와 같이 모든 나치 선전에서 제거되었는데, 이 영화는 히틀러와 룀을 자주 함께 보여주었다. 룀이 편집되기 전의 영화 원본 사본은 1980년대 동독 영화 보관소에서 발견되었다.[12]
히틀러는 룀을 대신하여 SA의 수장으로 빅토르 루체를 임명했다. 히틀러는 그에게 SA 내의 "동성애, 방탕, 음주, 사치"를 근절하라고 명령했다. 히틀러는 또한 SA 자금이 리무진과 연회에 사용되는 것을 중단하라고 명시적으로 말했는데, 이는 그가 SA의 사치의 증거로 여겼다. 루체는 앞으로 몇 년 동안 SA의 독립성을 주장하는 데 거의 기여하지 못했고, 이 조직은 독일 내에서 그 힘을 잃었다.
대립 조직을 제거하는 데 성공한 국군은 나치 당에 대한 완전한 협력을 약속했고, 히틀러의 주도권이 확립되었다. 국군은 재군비를 통해 국방군으로 재편성되었으며, 전쟁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졌다. 시민들 사이에서도 폭력 사건이나 동성애 등으로 돌격대에 대한 평판은 좋지 않았고, 숙청은 오히려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졌다.
SA의 대원 수는 이후 감소하여, 장검의 밤 무렵에는 450만 명이었으나 숙청 2개월 후인 1934년 9월에 260만 명, 1935년 10월에 160만 명, 1938년에는 120만 명까지 감소했다. 1940년 초, SA의 회원 수는 약 90만 명이었다.[20]
사건 후에도 청년에 대한 군사 훈련 기관으로서의 역할은 남겨졌고, 이것이 돌격대의 주요 임무가 되었다(단, 1939년 1월에 돌격대 방위단이 조직될 때까지 무기의 사용·소지는 인정되지 않았다). 돌격대의 또 다른 임무는 행정 기관이나 대관구 등의 포고를 배포·선전하는 것이었다. 매년 겨울에 열리는 나치 당의 자선 사업인 동계 빈민 구제 사업도 돌격대가 행하고 있었다.
빅토르 루체가 룀의 후임으로 SA 최고 막료장에 취임하여 돌격대와 히틀러 앞에서 완전한 충성을 맹세하는 연설을 했다. 이 무렵까지 형식적으로 돌격대의 산하에 있던 친위대는 명실상부 독립적인 조직이 되었고, 이후 당의 중요한 조직으로서 확대를 계속했다. 돌격대는 세력을 잃었지만 해산되지는 않았고, 국방군 입대자에 대한 교련이나 대관구의 포고 보조 등을 패전까지 했다. 그러나 전시 중에도 친위대와 돌격대는 여러 차례 대립을 일으켰고, 양자에게는 사라지지 않는 악연이 남았다.
5. 사건의 의의와 영향
장검의 밤 사건은 나치 정권이 권력을 강화하고 반대파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 폭력적인 방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1934년 6월 30일, 아돌프 히틀러는 에른스트 룀을 비롯한 돌격대(SA) 지도자들과 정적들을 제거하는 대대적인 숙청을 단행했다. 이 과정에서 뮌헨 경찰청장 아우구스트 슈나이더후버가 배신 혐의로 처형되었고, 바트 비세의 호텔에서 룀을 비롯한 SA 간부들이 체포되었다.[2] 에드문트 하이네스 등 일부는 현장에서 즉결 처형되었다.[2]
요제프 괴벨스는 이 숙청을 도덕적 타락에 대한 단속으로 정당화했지만, 실제로는 히틀러의 권력 강화를 위한 무자비한 탄압이었다.[2] 히틀러는 룀이 정권 전복 음모를 꾸몄다고 비난했지만, 명확한 증거는 제시하지 않았다.[2]
숙청은 SA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쿠르트 폰 슐라이허 전 총리와 그의 아내, 그레고어 슈트라서, 구스타프 리터 폰 카 등 과거의 정적들도 살해되었다.[2] 심지어 빌리 슈미트와 같이 우발적인 희생자도 발생했다.[2]
이 사건으로 국방군은 히틀러에게 완전히 복종하게 되었고, 친위대는 독립적인 조직으로 성장했다. 히틀러는 자신을 "독일 국민의 최고 지도자"로 선언하며 법 위에 군림하는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2]
5. 1. 히틀러 독재 체제 강화
1934년 6월 30일, 히틀러는 에른스트 룀을 비롯한 돌격대(SA) 지도자들과 정적들을 제거하는 숙청을 단행했다. 이 사건은 '장검의 밤'으로 불리며, 히틀러의 권력 강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2]히틀러는 뮌헨에서 아우구스트 슈나이더후버 뮌헨 경찰청장을 체포하고, 바트 비세의 호텔에서 룀을 비롯한 SA 간부들을 체포했다. 에드문트 하이네스 등 일부는 현장에서 즉결 처형되었다.[2] 체포된 이들 중 일부는 슈타델하임 감옥에서 처형되었고, 나머지는 리터펠데의 친위대(SS) 병영으로 끌려가 처형되었다.
이 숙청은 SA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쿠르트 폰 슐라이허 전 총리, 그레고어 슈트라서 전 나치당 간부, 구스타프 리터 폰 카 등 과거의 정적들도 살해되었다. 에리히 클라우제너와 같이 나치에 협조적이었지만 비판적인 인물들도 숙청 대상에 포함되었다.
이 사건으로 국방군은 히틀러에게 완전히 복종하게 되었고, 친위대는 독립적인 조직으로 성장했다. 히틀러는 자신을 "독일 국민의 최고 지도자"로 선언하며, 법 위에 군림하는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2]
장검의 밤 사건은 나치 독일의 폭력적인 억압 통치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5. 2. 나치즘의 폭력성 드러내
이 사건은 나치 정권이 반대파를 탄압하고 제거하는 데 얼마나 잔혹하고 무자비했는지를 보여주었다.1934년 6월 30일, 히틀러는 에른스트 룀을 비롯한 돌격대(SA) 지도자들과 정적들을 제거하기 위해 숙청을 단행했다. 히틀러는 뮌헨 경찰청장 아우구스트 슈나이더후버를 배신 행위로 비난하며 처형했고, 바트 비세의 호텔에서 룀과 다른 SA 지도자들을 체포했다.[2]
SS는 브레슬라우 SA 지도자 에드문트 하이네스와 그의 동성 파트너를 호텔에서 끌어내 총살했다. 요제프 괴벨스는 이를 도덕적 타락에 대한 단속으로 정당화했다.[2]
히틀러는 룀이 정권을 전복하려는 음모를 꾸몄다고 비난했지만, 증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뮌헨에서 히틀러는 "세계 역사상 최악의 배신"을 비난하며 "규율이 없고 불복종하는 인물들"을 제거할 것이라고 말했다. 요제프 괴벨스는 암호 Kolibri|콜리브리de를 사용하여 숙청을 시작했다.[2]
제프 디트리히는 히틀러의 명령에 따라 ''라이프슈탄다르테''를 이끌고 슈타델하임 감옥에서 SA 지도자들을 처형했다. 처형되지 않은 사람들은 리터펠데의 ''라이프슈탄다르테'' 병영으로 끌려가 처형되었다.[2]
정권은 돌격대(SA) 숙청에만 국한하지 않고, 쿠르트 폰 슐라이허 전 총리와 그의 아내, 그레고어 슈트라서, 구스타프 리터 폰 카 등 과거의 적들을 살해했다. 또한, 빌리 슈미트와 같이 우발적인 희생자도 발생했다.[2]
일부 돌격대(SA)원들은 자신들이 히틀러 반대 친위대(SS) 음모로 인해 처형되었다고 믿었기 때문에 "하일 히틀러"라고 외치며 죽었다.[2] 해산된 가톨릭 중앙당의 지도자 여러 명도 이 숙청에서 살해되었다.
6. 관련 작품
참조
[1]
서적
In the Garden of Beasts
Broadway Paperbacks
2011
[2]
서적
Inside Europe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3]
간행물
Books: Nazi Salvage
https://content.time[...]
2023-12-25
[4]
뉴스
An Inside View of the Nazis by a Former Party Member; Kurt Ludecke, Once Director of Propaganda--in the United States. Escaped the Famous Blood Purge
https://www.nytimes.[...]
2023-12-25
[5]
논문
Kurt Ludecke and "I Knew Hitler": An Evaluation
https://www.jstor.or[...]
1979
[6]
서적
Hitler's Gladiator: The Life and Wars of Panzer Army Commander Sepp Dietrich
[7]
서적
My New Order
https://books.google[...]
Reynal & Hitchcock
2022-01-24
[8]
웹사이트
The Führer Protects the Law
https://pdfslide.us/[...]
2020-03-01
[9]
논문
Der Furcht so Fern, dem Tod so Nah'
https://www.spiegel.[...]
2019-12-31
[10]
citation
The Nazi Germany Sourcebook: An Anthology of Texts
Routledge
2002
[11]
문서
[12]
문서
[13]
웹사이트
Release notes: the Long Knife
https://public.oed.c[...]
2022-01-21
[14]
서적
A Companion to Geoffrey of Monmouth
Brill
2020
[15]
서적
The occult roots of Nazism : secret Aryan cults and their influence on Nazi ideology
Tauris Parke
2004
[16]
서적
The Gravediggers : The last winter of the Weimar Republic
Profile
2019
[17]
서적
Night of the Long Knives : Hitler's excision of Röhm's SA Brownshirts, 30 June - 2 July 1934
Pen & Sword Books
2018
[18]
서적
ニュルンベルク軍事裁判
原書房
[19]
서적
第三帝国の興亡
東京創元社
[20]
서적
ナチ強制収容所 その誕生から解放まで
草思社
[21]
서적
ナチス突撃隊
白金書房
[22]
서적
ナチス第三帝国事典
三交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