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성 (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성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특정 지역의 방어를 목적으로 축조된 구조물을 의미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북방 유목 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만리장성을 건설했으며, 로마 제국은 영토 방어를 위해 영국, 독일 등지에 장벽을 설치했다. 일본에서는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여 수성, 아쓰카시야마 방루, 겐코 방루 등 다양한 형태의 방루가 축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 - 요새
    요새는 적의 침략으로부터 영토와 인구를 보호하기 위해 역사적으로 건설된 방어 시설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술로 발전해 왔으며, 군사적 중요성이 감소하면서 현재는 유적이나 관광지로 활용된다.
  • 성 - 해자
    해자는 성이나 요새와 같은 방어 시설의 바깥쪽에 굴착된 도랑 형태의 장애물로, 공성 무기의 접근을 어렵게 하고 굴착을 방해하며 필요에 따라 물을 채워 사용하기도 한다.
장성 (성)
장성
만리장성
만리장성
길이21,196.18km
건설 기간기원전 7세기 ~ 17세기
위치중국 북부
세계유산 등재 연도198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번호438
역사
건설 목적북방 민족의 침입 방어
주요 시대춘추전국시대
진나라
한나라
수나라
명나라
관련 인물진시황
몽염
수양제
척계광
구조
주요 구성 요소성벽
망루
관문
봉화대
건축 재료

벽돌
장성 (성)
장성읍성
장성읍성
종류읍성
위치대한민국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지정 종류사적
지정 번호166호
지정일1967년 9월 5일
역사
축조 시기조선 시대
관련 역사적 사건정유재란
구조
성벽 둘레약 1.4km
성벽 높이약 4m
주요 시설동문
서문
남문
북문
객사
아문
군기고

2. 고대 중국의 장성

천리장성만리장성은 고대 중국에서 북방 유목 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여러 왕조에 걸쳐 축조되었다.

진산링의 만리장성


만리장성은 춘추전국시대부터 명나라 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축조되었으며, 총 길이는 21,196.18km에 달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팔달령장성은 만리장성의 일부분으로, 베이징 북쪽에 위치하며 관광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구간 중 하나이다.

2. 1. 만리장성

춘추전국시대부터 명나라 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축조된 장성으로, 총 길이는 21,196.18km에 달한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팔달령장성은 만리장성의 일부분으로, 베이징 북쪽에 위치하며 관광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구간 중 하나이다.

2. 1. 1. 팔달령장성

만리장성의 일부분으로, 베이징 북쪽에 위치하며 관광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구간 중 하나이다.

2. 2. 천리장성

3. 중국 북방 왕조와 유목 민족 간의 장성

요나라 또는 금나라 시대에 북방 유목민의 침입에 대비하여 축조된 방어 시설이다. 몽골에서는 "칭기스의 벽(칭기스힌 헤렘 Чингисийн хэрэм)", "칭기스의 길(칭기스힌 잠 Чингисийн зам)", "칭기스의 참호(칭기스힌 달라 Чингисийн далан)"[1], 칭기스 칸의 토벽/Вал Чингисханаru[1], 중국에서는 "요변호", "금계호", "영북계호" 등으로 불린다[1]

고비 사막에서 발견된 장성으로, 서하의 북쪽에 축조된 요새이다.[2][3][4]

3. 1. 요변호, 금계호, 칭기스 칸 장성

요나라 또는 금나라 시대에 북방 유목민의 침입에 대비하여 축조된 방어 시설이다. 몽골에서는 "칭기스의 벽(칭기스힌 헤렘 Чингисийн хэрэм)", "칭기스의 길(칭기스힌 잠 Чингисийн зам)", "칭기스의 참호(칭기스힌 달라 Чингисийн далан)"[1], 칭기스 칸의 토벽/Вал Чингисханаru[1], 중국에서는 "요변호", "금계호", "영북계호" 등으로 불린다[1]

3. 2. 서하 장성 (칭기스 칸 장성)

고비 사막에서 발견된 장성으로, 서하의 북쪽에 축조된 요새이다.[2][3][4]

4. 로마 제국의 국경선

로마 제국은 광대한 영토를 방어하기 위해 국경선을 따라 장벽을 설치하였다.

; 영국


  • 하드리아누스 장벽


영국 북부에 위치한 로마 제국 시대의 방벽으로, 122년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명으로 건설되었다.

  • 안토니누스 장벽


스코틀랜드 중부에 위치한 로마 제국 시대의 방벽으로, 142년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의 명으로 건설되었다.

; 스코틀랜드

  • 안토니누스 장벽


; 독일

리메스는 고대 로마 제국이 라인 강과 도나우 강 사이의 게르마니아 지역에 설치한 국경 방어 시설이다.

4. 1. 영국


  • 하드리아누스 장벽
  • 안토니누스 장벽


영국 북부에 위치한 로마 제국 시대의 방벽으로, 122년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명으로 건설되었다.

스코틀랜드 중부에 위치한 로마 제국 시대의 방벽으로, 142년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의 명으로 건설되었다.

4. 1. 1. 하드리아누스 장벽

영국 북부에 위치한 로마 제국 시대의 방벽으로, 122년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명으로 건설되었다.

4. 1. 2. 안토니누스 장벽

스코틀랜드 중부에 위치한 로마 제국 시대의 방벽으로, 142년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의 명으로 건설되었다.

4. 2. 독일

리메스는 고대 로마 제국이 라인 강과 도나우 강 사이의 게르마니아 지역에 설치한 국경 방어 시설이다.

4. 2. 1. 리메스

리메스는 고대 로마 제국이 라인 강과 도나우 강 사이의 게르마니아 지역에 설치한 국경 방어 시설이다.

5. 일본의 방루

일본에서는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방루가 축조되었다.

5. 1. 수성 (水城)

7세기, 후쿠오카현다자이후시에서 오노조시에 걸쳐 축조되었다. 하카타만에서 다자이후로의 침공에 대비하기 위한 방루이다.

5. 2. 아쓰카시야마 방루 (阿津賀志山防塁)

헤이안 말기, 후쿠시마현다테군구니미정에 축조되었다. 오슈 후지와라 씨에 의한 것으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등 겐지 세력의 침입을 저지하기 위한 방루이다.

5. 3. 겐코 방루 (元寇防塁)

겐코 방루는 가마쿠라 시대인 1288년부터 1332년까지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하카타만 일대에 축조된 돌 축대이다. 가마쿠라 막부몽골 제국의 침입에 대비하여 건설하였다.

6. 한국의 장성 (별도 추가)

6. 1. 고구려의 천리장성

6. 2. 고려의 천리장성

6. 3. 조선시대의 장성

7. 현대의 장성

참조

[1] 웹사이트 日本モンゴル学会コラム「"チンギス・ハーン長城"報道の顛末」(松川節) https://ja-ms.org/ja[...]
[2] 뉴스 失われた万里の長城、モンゴルで発見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 ジオグラフィック 2012-03-21
[3] 논문 「タングートの国、西夏の北疆:考古学的証拠と史料にもとづいた」 https://doi.org/10.2[...]
[4] 논문 「内外モンゴル・河西回廊・楼蘭における一辺130mの囲郭遺跡の分布と展開-衛星画像・GISの歴史学・考古学への応用-」(森谷一樹) https://doi.org/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