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취추바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취추바이는 중국의 공산주의 혁명가이자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가로, 1899년 장쑤성에서 태어났다. 5.4 운동에 참여하고 베이징 대학에서 리다자오의 영향을 받아 공산주의 운동에 투신했으며, 소련 유학 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지도자로서 활동했다. 그는 코민테른의 지침에 따라 도시 무장 봉기를 지도했으나 실패하고, 좌경 맹동주의자로 비판받아 실각했다. 이후 문학 활동을 하며 좌익 문학 운동을 주도했고, 국민당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중국 공산당은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그를 비판했으나, 1980년에 명예를 회복하고 높이 평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극동인민대표회의 참석자 - 장궈타오
    장궈타오는 중국 공산당 창건 멤버이자 초기 노동 운동을 주도한 인물이지만, 마오쩌둥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국민당에 투항 후 망명하여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회고록은 중국 공산당 초기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중국의 극동인민대표회의 참석자 - 류사오치
    류사오치는 중국 공산당 초기 지도자로서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국가주석 등을 역임했으나 문화 대혁명 시기 마오쩌둥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 숙청당했고 이후 덩샤오핑에 의해 복권되어 중국 혁명과 초기 경제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공산주의 혁명가이자 정치인이다.
  • 창저우시 (장쑤성) 출신 - 저우유광
    저우유광은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인 한어 병음 개발에 기여하고,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비판을 받았으나 이후에도 저술 활동을 지속한 중국의 언어학자, 경제학자, 교육자이다.
  • 창저우시 (장쑤성) 출신 - 운격
    운격은 시, 서예, 그림에 모두 능한 삼절의 예술가로, 창저우 화파를 창시하고 화조화 부활에 기여했으며, 몰골법을 모방한 생생한 화풍으로 일본 화단에도 영향을 미쳤다.
  • 중화민국에서 사형된 사람 - 천궁보
    천궁보는 중국 공산당 창당 멤버였으나 국민당으로 전향하여 왕징웨이 정권에서 친일 행위를 하다가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중화민국에서 사형된 사람 - 양카이후이
    양카이후이는 중국 공산당 초기 당원이자 마오쩌둥의 두 번째 부인으로, 여성 권리 옹호와 노동 운동에 헌신하다 국공 분열 이후 국민당에 체포되어 처형되었으며 중국 공산주의 혁명에서 여성의 역할과 희생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취추바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취추바이
취추바이
원어 이름瞿秋白 (간체)
로마자 표기Qú Qiūbái (병음)
Ch'ü Ch'iu-pai (웨이드-자일스)
러시아어 표기Страхов (Strakhov)
출생 및 사망
출생일1899년 1월 29일
출생지청나라 강소성 상주
사망일1935년 6월 18일
사망지중화민국 푸젠성 창팅 현
사망 원인처형
국적
국적중화민국
가족 관계
배우자왕젠홍
양즈화
자녀취두이 ()
부모취스웨이 ()
진쉬안 ()
친척취이췬
취윈바이
취징바이
취야오바이
취젠바이
학력
출신 학교러시아어 연구소
베이징 대학 (청강)
경력
직업정치인, 작가, 문학 평론가
소속 정당중국 공산당
직책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제6기) (1928년 - 1935년)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후보위원 (제5기) (1927년 - 1928년)
중국 공산당 중앙선전부 부장 (7대) (1927년 8월 - 1927년 10월)
중국 공산당 중앙선전부 부장 (5대) (1927년 4월 - 1927년 4월)
주요 활동
활동 분야문학, 정치, 사상

2. 생애

1919년 5.4 운동에 참여하면서 리다자오가 주최한 마르크스주의 연구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11] 1920년 베이징 『신보(晨報)』 통신원으로 소비에트 연방에 파견되어 러시아 혁명 이후의 변화를 취재했다. 볼셰비키 혁명에 영향을 받아 1921년 모스크바 동방대학에서 수학하고,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3] 1922년 천두슈의 통역을 맡은 뒤 그의 초청으로 귀국, 1923년 <신청년> 편집장으로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중국에 소개했다.[3]

1924년 제1차 국공합작에서 공산당 측 중앙위원, 1925년 중공 중앙위원 및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다.[3] 1927년 천두슈의 '우경적 기회주의'를 비판하고 정치국 상무위원이 되었으며,[3] 코민테른에 의해 중앙위 총서기로 임명되었다.[3] 난창 봉기 이후 여러 도시 무장 폭동을 지도했으나 실패했고,[3] 1928년 '좌경 맹동주의'로 비판받아 모스크바로 소환되었다.[3]

1930년 상하이로 귀국했으나 리리싼의 '좌경 모험주의' 비판에 연루되어 다시 비판받았다.[3] 1931년 중앙 최고위에서 물러났고, 왕밍이 총서기가 되었다.[3] 이후 상하이에서 루쉰 등과 좌익 작가 연맹에서 활동하며 프롤레타리아 독재 혁명을 문학예술계에 확산시키는 데 주력했다.[20]

1934년 중화 소비에트 공화국 장시성 해방구에서 중앙 집행 위원과 교육 부장 등으로 활동했다.[23] 장정 시작 무렵 장시성 후방 전선 호위 임무를 받았고, 결핵 치료차 상하이로 피신했다가 1935년 중화민국 국군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25] 처형 전 인터내셔널가를 불렀다고 전해진다.[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899년 1월 29일 장쑤성 창저우(당시 창저우부 우진 현)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관직을 지낸 명문가였으나, 할아버지 대에서 가세가 기울기 시작했다.[9] 아버지는 그림과 펜싱, 의학에 능했지만, 정치와 사업에는 관심이 없어 가족을 부양할 능력이 부족했다.[2] 어머니는 시에 능한 명문가 출신이었으나, 생활고와 빚에 시달리다 1916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2][10]

1904년 5세 때 사숙(私塾)에서 공부를 시작했고, 1905년 소학교, 1909년 중학교에 입학했다. 신해혁명 이후 집안의 지원이 끊기면서 학비 체납으로 전학을 해야 했다.[10]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학업을 이어간 그는 1916년 우한으로 건너가 사촌의 도움으로 우창 외국어 학교에서 영어를 공부했다.[2] 1917년 봄, 베이징으로 올라와 중국 외교부 산하 러시아어 연구소에 입학했다. 학비가 없고 졸업 후 일자리가 보장된다는 점이 그에게 큰 매력으로 다가왔다.[2]

2. 2. 5.4 운동과 초기 혁명 활동

1919년 5.4 운동에 참여하여, 리다자오·장쑹녠이 주최한 마르크스주의 연구회에 가입했다. 같은 해 6월 3일에 경찰에 연행되었으나 1주 뒤에 풀려났다. 8월에 중난하이 총통부 앞에서 열린 "마량화루"(군벌 마량이 임지인 산둥성에서 정치 탄압을 벌인 사건)에 대한 항의 시위에 참가하여 체포되었다. 하지만 곧 석방되었다.[11] 러시아어를 전공했던 그는 1920년 8월 베이징의 유력 신문이자 리다자오가 일부 영향을 끼치고 있던 베이징 『신보(晨報)』의 통신원으로 소비에트 연방에 머물면서 러시아 혁명 후 소련 인민의 삶과 경제적 변화 등에 관한 취재 활동을 했다. 레닌과 트로츠키를 만나 적극적으로 취재하기도 했던 취추바이는 볼셰비키러시아 혁명에 빠져들게 되면서 신문사에서 해고된 후 1921년 5월 소련 모스크바 동방대학에서 수학했으며, 1921년 6월에는 중국 공산당 모스크바 지부에서 장태뢰의 소개로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였다. 1922년 12월 중국 공산당 코민테른 영수 천두슈가 모스크바에 왔을 때 통역을 맡았고, 얼마 후 천두슈의 초청으로 중국에 돌아갔다. 1923년 6월에는 당시 소비에트 연방의 국가였던 '인터내셔널가'의 초기 중국어 번역판을 <신청년>에 내놓기도 하였다. 앞서 1923년 4월부터 중공 기관지 <신청년>의 편집장을 맡았던 그는 코민테른 지도자였던 레닌과 스탈린의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 이론, 공산주의 혁명 운동 책략, 유물사관, 변증법적 유물론 혁명 방법론 등을 중국 국내에 보급하였다.

2. 3. 중국 공산당 입당과 활동

1921년 6월, 취추바이는 중국 공산당 모스크바 지부에서 장타이레이의 소개로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였다.[3] 1922년 12월, 중국 공산당의 코민테른 영수 천두슈가 모스크바에 왔을 때 통역을 맡았고, 얼마 후 천두슈의 초청을 받고 중국으로 돌아갔다.[3] 1923년 6월, 당시 소비에트 연방의 국가였던 인터내셔널가의 초기 중국어 번역판을 <신청년>에 내놓았다.[3] 1923년 4월부터 중공 기관지 <신청년>의 편집장을 맡았고, 코민테른의 지도자였던 레닌과 스탈린의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 이론, 공산주의 혁명 운동 책략, 유물사관, 변증법적 유물론 혁명 방법론 등을 중국 국내에 보급하였다.[3]

1924년 7월, 코민테른의 전략에 따른 제1차 국공합작에서 공산당 측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3] 1925년 1월에는 중공 중앙위원, 중공 정치국 위원에 선출되었다.[3]

1927년 4월, 취추바이는 마오쩌둥의 '호남 농민운동 고찰 보고'라는 혁명 지도서에 서문을 써주기도 하는 등 마오쩌둥보다 당시 당내 서열이 앞선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가였으며, 얼마 후 천두슈와는 총서기 후계직을 겸한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3] 1927년 4월~5월에는 '중국 혁명의 논쟁 문제에 관해'라는 보고서를 공산 당원들에게 확산시키고, 노동자 무장 혁명이 실패하게 된 이유를 국민당이 개입된 국공합작 전선에서 유명무실한 결과를 얻게 된 전 영수 천두슈의 '우경적 기회주의' 때문이라고 비판하였으며, 그 후로는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에 오를 수 있었다.[3] 1927년 7월, 천두슈코민테른으로부터 총서기 직에서 해임되면서는 장궈타오의 대리를 거쳐 당해 8월부터 코민테른으로부터 중앙위 총서기로 임명되었다.[3]

취추바이는 난창 봉기 이후 1927년 7월부터 1928년 4월까지 세 차례 이상의 프롤레타리아트 도시 무장 폭동을 지도하였으며, 1927년 7월 11일 우한 폭동, 1927년 12월 10일 창사 폭동, 1927년 12월 11일 광저우 봉기 등이었다.[3] 공산당 요원들이 일으킨 무장 폭동은 그러나 정부의 반격으로 모두 진압되었으며, 그는 1928년 3월~4월 중국 공산당 임시 상임회의에서 '좌경 맹동주의(左傾盲動主義)'자로 자아 비판 후, 5월에는 소련 모스크바로 불려갔다.[3] 중공 주모스크바 대표로 2년을 체류하였으며, 이 기간에 중화민국 현지의 공산화 지도는 신진 세력으로 부상한 리리싼 등에게로 넘어갔다.[3]

4.12사건 뒤로 중국 전역에 몰아친 공산당 혁명에 대한 탄압으로 중공 지도부가 분열하는 중에 1929년 왕밍 등이 광저우에서 일으킨 28인의 볼셰비키 봉기의 배후로 지목받은 뒤에는 당내 지도부로부터 다시 공격을 받았다.[3] 1930년 코민테른은 이를 중재하여 취추바이의 중공 주모스크바 대표 직위를 철회하기로 하였고, 취추바이는 같은 해 8월 모스크바를 떠나 상하이로 귀국하였다.[3] 그러나 1930년 9월에는 리리싼코민테른으로부터 '좌경 모험주의(左傾冒險主義)'자로 역시 비판을 받았으며, 이때 취추바이는 다시 그의 동조자로 몰려 비판을 받았다.[3]

1931년 1월 상하이에서 열린 중공 중앙 전체회의에서 취추바이는 리리싼과 함께 공산당 중앙 최고위에서 물러났으며, 총서기는 왕밍이 맡았다.[3] 얼마 후, 샹중파의 지도부 봉기 실패와 경찰에 의한 체포 뒤는 왕밍이 중국 공산당 주모스크바 대표로 호출되었고, 보구가 대리 총서기를 맡았다.[3]

2. 4. 중국 공산당 지도자

1927년 4월 상하이 쿠데타로 제1차 국공 합작이 붕괴된 후, 7월 12일 천두슈는 직무 정지를 당하고 장궈타오가 대리로서 중국 공산당 중앙 책임자가 되었다. 중국 공산당이 우한 국민 정부와도 결별한 후 8월 7일, 신임 코민테른 중국 담당 루미너스(Besso Lominadze)와 하인츠 노이만에 의해 8·7 회의가 한커우의 일본 조계에서 개최되어, 천두슈는 정식으로 파면되었다.[13] 코민테른의 지원을 받아[14] 취추바이가 임시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 겸 중앙 지도자로 임명되었다.[15] 천두슈의 뒤를 이어, 취추바이는 중국 공산당의 3번째 최고 지도자가 된 것이다. 취추바이의 지도 방식은 강압적인 천두슈의 방식과는 달리, 일반적인 정치 주장을 발표하는 데 그쳤으며, 당 조직과 군사 방면에서는 전혀 권력을 휘두르지 않았다. 취추바이가 중앙 정치국의 책임자였던 기간(1927년 8월부터 1928년 5월)에는 여러 차례 봉기(난창 봉기, 추수 봉기 등)가 일어났지만, 모두 실패했다.[16]

1928년 4월, 취추바이는 소련으로 향했고, 5월에 모스크바에 도착했다. 6월, 취추바이는 모스크바 교외에서 열린 중국 공산당 6차 대회에 참석했다. 거기서 천두슈의 "우경 모험주의"와 함께, 취추바이는 봉기 실패의 책임을 물어 "좌경 모험주의"로 비판받았다.[17] 그 후에도 모스크바에 머물면서 중공의 코민테른 대표단 단장을 2년간 역임했다. 그동안 중국에서의 사실상의 중공 지도자는 리리산샹중파였다.

1930년 7월, 취추바이는 조화주의적인 입장을 취했던 것을 현지 당 간부로부터 "기회주의", "이분자를 비호했다"고 비판받아, 중공의 주 모스크바 대표에서 파면되었다. 8월 중순에 처자식과 함께 상하이로 돌아온 취추바이는, 9월에 열린 6기 3중 전회에서 리리산 노선을 비판했다. 그러나 비판은 철저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다음 해 1931년 1월[18]에 상하이에서 열린 6기 4중 전회에서는, 반대로 취추바이가 중앙 지도자 직무를 해임당하면서, 중공 지도자로서 실각했다.[19]

2. 5. 상하이에서의 문예 활동

1931년 1월 상하이에서 열린 중공 중앙 전체회의에서 취추바이는 리리싼과 함께 공산당 중앙 최고위에서 물러났으며, 총서기는 왕밍이 맡았다.[20] 얼마 후, 샹중파의 지도부 봉기 실패와 경찰에 의한 체포왕밍은 중국 공산당 주모스크바 대표로 호출되었고, 보구가 대리 총서기를 맡았다.

취추바이는 상하이에서 1931년부터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등의 공산주의 혁명 노선에 보조를 맞추어, 루쉰, 마오둔 등과 함께 지하 좌익 작가 연맹(이후 중국 작가 협회)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혁명을 추진하는 주요 간부 중 하나가 되어서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을 문학예술계에 확산시키는 공산당의 공작에 참여하였다.[20] 이들은 대장정으로부터 옌안 등의 침투 지역으로 이러한 혁명 활동의 인력을 증대시키는 공작을 하였으며, 국민정부의 시장 경제의 맹점을 활용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 문학 혁명 진지를 국민정부 통치 지역 속으로 확장시키는 작업을 하였다. 취추바이는 코민테른 지도를 직접 받았던 중국의 공산주의자로서, 한자를 폐기하고 소련 학자들과 함께 알파벳 자모음으로만 중국 언어를 기재하는 신문 발행 등의 대중 운동을 펴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21]

폐결핵을 앓던 취추바이는 상하이에서 요양하는 한편, 문예 활동과 번역에 종사하며 마오둔, 루쉰과 교류했다. 취추바이와 루쉰 사이에는 깊은 교류가 있었다. 두 사람은 1930년대에 상하이에서 좌련 문학 운동을 펼쳤으며, 취추바이는 후스 등 '신월파', 두헝 등 '제3종인', 후추위안 등 '자유인', 황전샤 등 '민족주의 문학'을 비판했다.[20] 루쉰은 또한 취추바이를 몇 차례 자택에 숨겨주었다. 취추바이도 『루쉰 잡감 선집』을 직접 편집하여 서문을 쓰고, 루쉰에게 "인생에 한 명의 지기를 얻는 것으로 족하다. 이 세상에서는 마음을 같이하는 사람으로 대해야 한다"라는 구절을 보내 은혜에 보답했다.[21] 후에 취추바이가 도피 중에 체포되었을 때, 루쉰은 그를 구하려 노력했지만 실패했고, 취추바이의 처형 후에 취추바이의 유고인 『해상수록림』을 편집했다.[22]

2. 6. 체포와 처형

1934년 1월, 취추바이는 상하이에 머물 수 없게 되어 공산당 소비에트 구의 본거지인 루이진으로 들어갔다. 그곳에서 인민 교육 위원과 소비에트 대학 교장과 같은 한직을 맡았다.[23] 홍군의 대장정 출발 시 취추바이는 병으로 인해 동행하지 못했다.[24] 1935년 2월 24일, 취추바이는 홍콩[25]으로 도주하던 중, 푸젠성 창팅 현 수커우샹 메이징촌(현재의 쭈오톈 진)에서 국민정부군 제36사단에 체포되었다. 그리고 6월 18일, 창팅의 중산공원에서 총살형에 처해졌다. 구류 중에 취추바이는 『남은 말』을 기록하여, 문화인으로서 정치에 관여한 심경을 기록했다.

3. 사상과 노선

취추바이는 많은 러시아어 문학 및 정치 저작물을 번역했다. 1923년에는 인터내셔널가를 중국어로 번역했다.[3] 그는 정치에 참여하여 비극적인 삶을 살았던 문인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그의 복잡한 심경은 처형 직전에 기록한 《여분적화(多余的話)》에 솔직하게 드러나 있는데, 자신과 같은 어중간한 문인이 정치에 관여하고, 심지어 중국 공산당의 지도자가 된 것은 "역사적 오해"였다고 스스로 이야기했다.[3]

1919년 5.4 운동에 참여한 취추바이는 리다자오 등이 주최한 마르크스주의 연구회에 가입하여 활동했다.[3] 1920년 소련에 머물면서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 인민의 삶과 경제적 변화 등을 취재했고, 볼셰비키의 혁명에 빠져들었다.[12] 1921년 중국 공산당 모스크바 지부에서 장타이레이의 소개로 입당했다.[3]

1922년 천두슈가 모스크바에 왔을 때 통역을 맡았고,[12] 1923년 그의 초청으로 중국에 돌아가 신청년의 편집장을 맡아 레닌과 스탈린의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 이론 등을 중국에 보급했다.[3] 1924년 제1차 국공합작에서 공산당 측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고,[3] 1925년 중공 중앙위원, 중공 정치국 위원에 선출되었다.[3]

1927년 마오쩌둥의 '호남 농민운동 고찰 보고'에 서문을 써 주기도 했으며,[3] 천두슈와 총서기 후계직을 겸한 라이벌 관계에서 천두슈의 '우경적 기회주의'를 비판하며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이 되었다.[3]

1931년 이후 상하이에서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등과 함께 루쉰, 마오둔 등과 지하 좌익 작가 연맹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혁명을 추진하며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을 문학예술계에 확산시키는 공작에 참여했다.[3]

3. 1. 마르크스-레닌주의 수용과 전파

1919년 5.4 운동에 참여한 취추바이는 리다자오 등이 주최한 마르크스주의 연구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3] 1920년 8월, 베이징의 『천보』와 상하이의 『시사신보』 통신원으로 소련에 머물면서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 인민의 삶과 경제적 변화 등을 취재했다.[12] 레닌과 트로츠키를 만나 취재하기도 했던 취추바이는 볼셰비키러시아 혁명에 빠져들었고, 1921년 5월에 모스크바 동방대학에서 수학하였으며, 1921년 6월에는 중국 공산당 모스크바 지부에서 장타이레이의 소개로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였다.[3]

1922년 12월, 중국 공산당의 코민테른 영수 천두슈가 모스크바에 왔을 때 통역을 맡았고, 이후 천두슈의 초청으로 중국에 돌아갔다.[3] 1923년 6월에는 당시 소비에트 연방의 국가였던 인터내셔널가의 초기 중국어 번역판을 신청년에 내놓기도 하였다.[3] 1923년 4월부터 중공 기관지 신청년의 편집장을 맡은 그는, 코민테른 지도자였던 레닌과 스탈린의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 이론, 공산주의 혁명 운동 책략, 유물사관, 변증법적 유물론 혁명 방법론 등을 중국 국내에 보급하였다.[3]

1924년 7월, 코민테른의 전략에 따른 제1차 국공합작에서 공산당 측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3] 1925년 1월에는 중공 중앙위원, 중공 정치국 위원에 선출되었다.[3]

1927년 4월, 취추바이는 마오쩌둥의 '호남 농민운동 고찰 보고'라는 혁명 지도서에 서문을 써주기도 하는 등 마오쩌둥보다 당시 당내 서열이 앞선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가였다.[3] 천두슈와 총서기 후계직을 겸한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게 된 취추바이는 1927년 4월~5월에는 '중국 혁명의 논쟁 문제에 관해'라는 보고서를 공산 당원들에게 확산시키고, 노동자 무장 혁명이 실패하게 된 이유를 국민당이 개입된 국공합작에서 유명무실한 결과를 얻게 된 천두슈의 '우경적 기회주의' 때문이라고 비판하였으며, 그 후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에 오를 수 있었다.[3]

1931년 이후, 상하이에서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등의 공산주의 혁명 노선에 보조를 맞추어, 루쉰, 마오둔 등과 함께 지하 좌익 작가 연맹(이후 중국 작가 협회)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혁명을 추진하는 주요 간부가 되어서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을 문학예술계에 확산시키는 공산당의 공작에 참여하였다.[3] 대장정으로부터 옌안 등의 침투 지역으로 이러한 혁명 활동의 인력을 증대시키는 공작을 하였으며, 국민정부의 시장 경제의 맹점을 활용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 문학 혁명 진지를 국민정부 통치 지역 속으로 확장시키는 작업을 하였다.[3] 코민테른 지도를 직접 받았던 중국의 공산주의자로서, 한자를 폐기하고 소련 학자들과 함께, 알파벳 자모음으로만 중국 언어를 기재하는 신문 발행 등의 대중 운동을 펴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3]

취추바이는 소비에트 연방의 1922년-1944년 국가, 코민테른의 국가였던 인터내셔널가의 초기 중국어본 작사자 중 한 사람이었다.[3]

3. 2. 코민테른과의 관계

1921년 가을, 동방 대학교에 중국반이 개설되면서, 당시 모스크바에서 몇 안 되는 통역이었던 취추바이는 동방대학교의 번역 및 조교가 되었다. 1922년 1월부터 2월에 걸쳐 코민테른이 개최한 극동 민족 대회에 참가했다. 같은 해, 모스크바에서 같은 고향 출신인 장타이레이의 소개로 중국 공산당에 가입했다. 그해 말, 천두슈가 중국 공산당 대표로 모스크바에 왔을 때 통역을 맡았다.[12]

천두슈가 소비에트 러시아에서 귀국할 때, 취추바이에게 귀국을 권하여, 취추바이도 천두수와 함께 베이징으로 돌아갔다. 1923년 여름, 위유런덩중샤상하이 대학을 개설했을 때, 취추바이는 교무처장 겸 사회학과 주임이 되었다. 동시에 중국 공산당의 선전 업무를 겸임하여, 『신청년』 등의 편집을 담당했다.

1924년에 국민당이 개조되자 취추바이는 국민당 제1차 전국 대표 대회에 참석했다. 또한 상하이와 광저우를 왕복하며 번역업에 종사했고, 국민당 업무에 관여했다.

1925년 1월부터 취추바이는 중국 공산당 제4, 5, 6차 전국 대표 대회에서 중앙 위원(제4차), 중앙정치국 위원(제5차) 등으로 선출되어 공산당 지도자 중 한 명이 되었다.

1927년 천두슈가 실각한 후 그는 중국 공산당 정치국의 임시 주석이자 당의 ''사실상'' 지도자가 되었다. 중국 공산당은 폭동 정책을 따랐고, 추수 봉기나 1927년 12월 11일의 광저우 봉기와 같은 행동을 조직했다.[4] 이 모든 시도가 실패하면서 중국 공산당은 도시 프롤레타리아와의 모든 관계를 잃었고, 농촌 지역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5]

1928년 4월, 취추바이는 다시 모스크바로 가서 2년 동안 중국 공산당의 대표로 활동했다. 6월 18일부터 7월 11일까지 열린 중국 공산당 제6차 당대회에서 그의 전술은 "쿠데타 좌익 편향"으로 비판받았다.[5] 1930년, 러시아 주재 중국 공산당 대표에서 해임된 후, 중국으로 돌아왔지만 중앙 지도부에서도 해임되었다.

3. 3. 노선 투쟁과 비판

1927년 4월, 취추바이는 중국 공산당 동지 마오쩌둥의 '호남 농민운동 고찰 보고'라는 혁명 지도서에 서문을 써 주는 등 마오쩌둥보다 당내 서열이 앞선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가였으며, 얼마 후 천두슈와 총서기 후계직을 겸한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3] 1927년 4월~5월에는 '중국 혁명의 논쟁 문제에 관해'라는 보고서를 공산당원들에게 확산시키고, 노동자 무장 혁명이 실패한 이유를 국민당이 개입된 국공합작 전선에서 유명무실한 결과를 얻게 된 천두슈의 '우경적 기회주의' 때문이라고 비판하며 중국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이 되었다.[3] 1927년 7월, 천두슈코민테른으로부터 총서기 직에서 해임되면서 장궈타오를 대리로 거쳐 중앙위 총서기로 임명되었다.[3]

취추바이는 난창 봉기 이후 1927년 7월부터 1928년 4월까지 세 차례 이상의 프롤레타리아트 도시 무장 폭동(1927년 7월 11일 우한 폭동, 12월 10일 창사 폭동, 12월 11일 광저우 폭동 등)을 지도하였다.[4] 그러나 이 폭동들은 정부의 반격으로 모두 진압되었고, 1928년 3월~4월 중국 공산당 임시 상임회의에서 '좌경 맹동주의(左傾盲動主義)'자로 자아 비판 후, 5월에 소련 모스크바로 불려갔다.[4] 이후 2년간 중공 주모스크바 대표로 체류하였으며, 이 기간에 중화민국 현지의 공산화 지도는 리리싼 등에게 넘어갔다.[4]

4.12사건 이후 중국 전역에 공산당 혁명 탄압이 거세지면서 중공 지도부가 분열되었고, 1929년 왕밍 등이 광저우에서 일으킨 28인의 볼셰비키 봉기의 배후로 지목받아 당내 지도부로부터 공격받았다.[5] 1930년 코민테른은 이를 중재하여 취추바이의 중공 주모스크바 대표 직위를 철회하였고, 취추바이는 같은 해 8월 모스크바를 떠나 상하이로 귀국하였다.[5] 그러나 1930년 9월, 리리싼코민테른으로부터 '좌경 모험주의(左傾冒險主義)'자로 비판받으면서 취추바이도 그의 동조자로 몰려 비판받았다.[5]

1931년 1월 상하이에서 열린 중공 중앙 전체회의에서 취추바이는 리리싼과 함께 공산당 중앙 최고위에서 물러났으며, 총서기는 왕밍이 맡았다.[18][19] 이후 샹중파의 지도부 봉기 실패와 체포 이후 왕밍이 중국 공산당 주모스크바 대표로 호출되었고, 보구가 대리 총서기를 맡았다.

4. 문학과 번역 활동

취추바이는 많은 러시아어 문학 및 정치 저작물을 번역했다. 1923년에는 인터내셔널가를 중국어로 번역했다. 그는 정치에 참여하여 배척, 몰락, 희생이라는 운명을 겪은 비극적인 문인으로 여겨진다. 그의 곡절한 심경은 처형 직전에 기록한 《여분적화(多余的話)》에서 솔직하게 드러났다. 취추바이는 자신과 같은 반쪽짜리 문인이 정치에 관여하고, 심지어 중국 공산당의 지도자가 된 것은 완전한 "역사적 오해"였다고 말했다.

4. 1. 러시아 문학 번역

1921년 가을, 동방 대학교에 중국반이 개설되었다. 취추바이는 당시 모스크바에서 몇 안 되는 통역이었기에 동방대학교의 번역 및 조교가 되었다. 1922년 1월부터 2월에 걸쳐 코민테른이 개최한 극동 민족 대회에 참가했다. 같은 해 모스크바에서 같은 고향 출신인 장타이레이의 소개로 중국 공산당에 가입했다. 그해 말, 천두슈가 중국 공산당 대표로 모스크바에 왔을 때 통역을 맡았다.[12]

4. 2. 마르크스-레닌주의 문학 이론 소개

1923년 4월부터 취추바이는 중공 기관지 신청년의 편집장을 맡았으며, 코민테른의 지도자였던 레닌과 스탈린의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 이론, 공산주의 혁명 운동 책략, 유물사관, 변증법적 유물론 혁명 방법론 등을 중국 국내에 보급하였다.

4. 3. 좌익 문학 운동 주도

1931년 이후 상하이에서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등의 공산주의 혁명 노선에 보조를 맞추어, 루쉰, 마오둔 등과 함께 지하 중국 좌익 작가 연맹(이후 중국 작가 협회)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혁명을 추진하는 주요 간부 중 하나가 되어서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을 문학예술계에 확산시키는 공산당의 공작에 참여하였다.[20] 그는 대장정으로부터 옌안 등의 침투 지역으로 이러한 혁명 활동의 인력을 증대시키는 공작을 하였으며, 국민정부의 시장 경제의 맹점을 활용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 문학 혁명 진지를 국민정부 통치 지역 속으로 확장시키는 작업을 하였다. 취추바이는 코민테른 지도를 직접 받았던 중국의 공산주의자로서, 한자를 폐기하고 소련 학자들과 함께, 알파벳 자모음으로만 중국 언어를 기재하는 신문 발행 등의 대중 운동을 펴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

폐결핵을 앓던 취추바이는 상하이에서 요양하는 한편, 문예 활동과 번역에 종사하며 마오둔, 루쉰과 교류했다. 취추바이와 루쉰 사이에는 깊은 교류가 있었다. 두 사람은 1930년대에 상하이에서 좌련 문학 운동을 펼쳤으며, 취추바이는 후스 등 '신월파', 두헝 등 '제3종인', 후추위안 등 '자유인', 황전샤 등 '민족주의 문학'을 비판했다.[20] 루쉰은 또한 취추바이를 몇 차례 자택에 숨겨주었다. 취추바이도 『루쉰 잡감 선집』을 직접 편집하여 서문을 쓰고, 루쉰에게 "인생에 한 명의 지기를 얻는 것으로 족하다. 이 세상에서는 마음을 같이하는 사람으로 대해야 한다"라는 구절을 보내 은혜에 보답했다.[21] 후에 취추바이가 도피 중에 체포되었을 때, 루쉰은 그를 구하려 노력했지만 실패했고, 취추바이의 처형 후에 취추바이의 유고인 『해상수록림』을 편집했다.[22]

5. 유산과 평가

취추바이는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반역자"로 비판받았으나, 1980년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그의 혐의를 벗겨 주었다.[7] 그의 고향인 창저우에는 취추바이 박물관이 세워졌다.[7] 샤지안은 저서 ''어둠의 문: 중국 좌익 문학 운동 연구''(1968년 출판)에서 취추바이를 "마음이 따뜻한 공산주의자"라고 묘사했다. 취추바이와 러시아의 동료 V.S. Kolokolov는 신 원 시스템(표준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개발에 기여했다.[7]

5. 1. 중국 공산당의 공식 평가

중국 공산당은 취추바이를 5·4 운동의 주요 지식인이자 중국 혁명 운동의 정신을 확립한 초기 공산당원 중 한 명으로 높이 평가한다. 그는 감성적인 시인이었으며, 인터내셔널가를 중국어로 번역하여 중국 공산당의 국가로 사용되도록 한 업적을 남겼다.[8]

1945년 4월 20일, 마오쩌둥이 주최한 중국공산당 제6기 7차 중앙전체회의에서 '약간의 역사 문제에 관한 결의'가 통과되어, 취추바이가 1927년 11월~1928년 4월에 좌경 모험주의 노선을 취했다고 비판받았다. 1955년 베이징 바바오산 열사 묘지에 매장되었으나,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마오쩌둥에게 배신자로 비판받아 묘지가 홍위병에 의해 훼손되었다. 1980년 10월에 명예가 회복되었으며, 그의 고향인 창저우에는 취추바이 박물관이 세워졌다.[7]

5. 2. 후대에 미친 영향

1989년 톈안먼 사건 당시, 중국 공산당의 대학생, 농민, 노동자, 교원들은 수업 거부, 근로 거부 및 파업을 선언하고 베이징의 톈안먼 광장에 집결하여 중국 정부 관료들의 부정부패에 항의하며 시위 농성과 폭력 봉기 시위를 벌였다. 이때 루쉰, 리다자오, 천두슈, 저우언라이공산주의 유토피아를 꿈꾸던 중국 공산당의 혁명 영웅들을 상기시키는 '인터내셔널가' 합창 소리가 톈안먼 광장 내에 널리 울려 퍼지기도 했다.[8]

취추바이는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반역자"로 비판받았으나, 1980년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그의 혐의를 벗겨 주었다. 오늘날 그는 중국 공산당으로부터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그의 고향인 창저우에는 취추바이 박물관이 세워졌다. 샤지안은 자신의 저서 ''어둠의 문: 중국 좌익 문학 운동 연구''(1968년 출판)에서 취추바이를 "마음이 따뜻한 공산주의자"라고 묘사했다. 취추바이와 러시아의 동료인 V.S. Kolokolov는 신 원 시스템(표준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의 초기 개발에 기여했다.[7] 취추바이는 인터내셔널가를 중국어로 번역했으며, 그의 번역본은 공식적으로 인정되어 중국 공산당의 국가로 사용되었다.[8] 그는 5·4 운동에서 등장한 주요 중국 지식인 중 한 명이자, 중국 혁명 운동의 정신을 확립한 초기 공산당원 중 한 명으로, 감성적인 시인으로도 널리 기억되고 있다.

취추바이는 많은 러시아어 문학 및 정치 저작물을 번역했으며, 1923년에는 인터내셔널가를 중국어로 번역했다. 그는 정치 참여로 인해 배척, 몰락, 희생이라는 운명을 겪은 비극적인 문인으로 여겨지며, 그의 복잡한 심경은 처형 직전 기록한 《여분적화(多余的話)》에 솔직하게 드러나 있다. 취추바이는 자신과 같은 반쪽짜리 문인이 정치에 관여하고, 심지어 중국 공산당의 지도자가 된 것은 "역사적 오해"였다고 말했다.

1945년 4월 20일, 마오쩌둥이 주최한 중국공산당 제6기 7차 중앙전체회의에서 '약간의 역사 문제에 관한 결의'가 통과되어, 취추바이는 1927년 11월~1928년 4월에 좌경 모험주의 노선을 취했다고 비판받았다. 1955년 베이징 바바오산 열사 묘지에 매장되었으나, 문화 대혁명에서 마오쩌둥에게 배신자로 비판받아 묘지가 홍위병에 의해 훼손되었다. 1980년 10월에 명예가 회복되었다.

참조

[1] 뉴스 people's daily http://english.peopl[...]
[2] 웹사이트 Qu Qiubai - The first Chinese to Translate "The Internationale" http://history.cultu[...] 2013-03-23
[3] 서적 The Gate of Heavenly Peace Penguin Books
[4] 서적 Mao Zedong, Zhou Enlai and the Evolution of the Chinese Communist Leadership https://books.google[...]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5] 서적 From Rebel to Ruler: One Hundred Year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arva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瞿秋白被国民党枪杀前说的最后四个字是什么? http://news.ifeng.co[...] 凤凰网
[7] 웹사이트 新文字 Sin Wenz http://www.pinyin.in[...] 2011-06-18
[8] 웹사이트 http://history.cultu[...] 2011-10-05
[9] 서적 從書生到領袖瞿秋白 上海人民出版社
[10] 서적 瞿秋白伝 自聯出版
[11] 서적 瞿秋白伝
[12] 서적 瞿秋白伝
[13] 서적 瞿秋白伝
[14] 서적 瞿秋白伝
[15] 서적 瞿秋白伝
[16] 서적 瞿秋白伝
[17] 서적 瞿秋白伝
[18] 서적 瞿秋白伝
[19] 서적 瞿秋白伝
[20] 서적 瞿秋白伝
[21] 서적 瞿秋白伝
[22] 서적 瞿秋白伝
[23] 서적 瞿秋白伝
[24] 서적 瞿秋白伝
[25] 서적 瞿秋白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